KR20140040445A -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445A
KR20140040445A KR1020120107115A KR20120107115A KR20140040445A KR 20140040445 A KR20140040445 A KR 20140040445A KR 1020120107115 A KR1020120107115 A KR 1020120107115A KR 20120107115 A KR20120107115 A KR 20120107115A KR 20140040445 A KR20140040445 A KR 20140040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x
terminal
ccs
subfram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범
안재현
허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10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0445A/ko
Publication of KR2014004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지시하는 CCS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CCS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구성된 다수의 서빙셀에 대해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에 적용하는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시점이 도래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CCS가 구성 또는 해제된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PDCCH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RX 수행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과 기지국은 PDCCH 서브프레임의 카운트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CROSS CARRIER SCHEDULING}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케줄링 셀 또는 피스케줄링 셀들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PDCCH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무선자원(radio resource)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 시간 영역 및 코드영역에서 정의된다. 무선통신에서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base station: BS)이 각각 주어진 무선자원을 이용하여야 한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경로를 상향링크(uplink)라 하며,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경로를 하향링크(downlink)라 한다. 한편,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자원과,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자원이 겹치지 않도록 구분하는 방식이 필요한데, 이러한 방식을 듀플렉스(duplex)라고 한다.
듀플렉스 방식에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주파수로 구분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시간으로 구분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있다.
FDD 방식에서는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구분되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의 데이터의 전송이 각 링크에서 시간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로 사용하되, 시간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분하고 있으므로, 일정 시간 동안은 상향링크로 사용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은 하향링크로 사용하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다. TDD 방식에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송수신되므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채널 상태가 거의 일치한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 반송파 집성이란 조각난 작은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로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비연속적인(non-continuous) 다수 개의 밴드를 묶어 논리적으로 큰 대역의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은 주파수 영역에서 구별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들의 집성을 지원한다. 요소 반송파는 상향링크에 사용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하향링크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합쳐져 하나의 서빙셀(serving cell)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으로 하나의 서빙셀이 구성될 수도 있다.
TDD 방식에 있어서, 서로 같은 밴드의 서빙셀들이 집성되는 경우, 각 서빙셀에는 동일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plink/downlink configuration)이 할당된다. 이는 같은 밴드 내의 서빙셀들간에는 주파수 간격이 가깝기 때문에 서로 다른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할당되는 경우 서빙셀들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반면, 서로 다른 밴드의 서빙셀들이 집성되는 경우, 각 서빙셀에는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할당될 수 있다.
단말은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을 이용하여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를 모니터링(monitoring)한다. 매 DRX 사이클(cycle) 동안 단말이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간을 활동시간(active time)이라 한다. 그리고 활동시간은 PDCCH 서브프레임(subframe)을 기준으로 카운트(count)된다. 예를 들어, PDCCH 서브프레임이 정해진 개수만큼 카운트되기 전까지 활동시간이 지속되고, 상기 정해진 개수 만큼 카운트되면 활동시간은 종료될 수 있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와 같이 하나의 단말에 다수의 서빙셀을 지원하는 경우, 각 서빙셀이 동적으로 단말에 추가(addition)되거나 또는 해제(release)될 수 있다. TDD 방식에 따르면 각 서빙셀마다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할당될 수 있으므로, 서빙셀의 추가 또는 해제는 PDCCH 서브프레임의 변경을 가져온다. 즉, 매 무선 프레임 내에서 일정 위치의 서브프레임이 서빙셀의 추가 또는 해제 전에는 PDCCH 서브프레임이었는데, 서빙셀의 추가 또는 해제 이후에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닐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의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서빙셀의 추가 또는 해제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재구성(reconfiguration)과 같은 상위계층의 시그널링(upper layer signall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하위계층의 시그널링과 달리 처리지연 시간(processing delay time)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을 지원하기 위해 RRC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PDCCH 서브프레임이 변경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RRC 재구성으로 인한 처리지연 시간 동안 PDCCH 서브프레임의 변경되는 시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설정 및 해제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설정을 고려하여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시, 서빙셀들을 구별하여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서빙셀들 중에서 스케줄링 셀과 피스케줄링 셀을 구별하여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변적으로 구성된 스케줄링 셀들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PDCCH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에 따른 PDCCH 서브프레임을 불연속 수신 동작에 적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위한 RRC 재구성의 처리지연 시간 동안 PDCCH 서브프레임을 카운트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수행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 이하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지시하는 CCS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CCS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구성된 다수의 서빙셀(serving cell)에 대해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서브프레임의 검출에 적용하는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시점이 도래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CCS가 구성 또는 해제된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PDCCH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의한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하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지시하는 CCS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CCS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구성된 다수의 서빙셀(serving cell)에 대해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RRC 처리부, 및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에 적용하는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하되, 상기 시점이 도래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CCS가 구성 또는 해제된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PDCCH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DRX 동작을 수행하는 DRX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단말의 불연속 수신(이하 DRX)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에 구성된 다수의 서빙셀에 대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하 CCS)을 구성 또는 해제하도록 cif-presence 필드와 schedulingCellID 필드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cif-presence 필드와 schedulingCellID 필드들을 포함하는 CCS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와 더불어 DRX 관련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DRX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CCS 구성정보와 상기 DRX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불연속 수신(이하 DRX)을 제어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구성된 다수의 서빙셀에 대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하 CCS)을 구성 또는 해제하도록 cif-presence 필드와 schedulingCellID 필드의 값을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부, 상기 설정된 cif-presence 필드와 schedulingCellID 필드들을 포함하는 CCS 구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와 더불어 DRX 관련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DRX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RRC 처리부, 상기 CCS 구성정보와 상기 DRX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의 변경이 PDCCH 서브프레임의 카운트에 사용되는 시점을 명확히 함으로써, 기지국은 단말이 어느 시점에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적용하는지 알 수 없더라도, 적어도 PDCCH 서브프레임의 카운트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케줄링 셀 또는 피스케줄링 셀의 구성을 위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DRX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구성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구성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의 불연속 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의 불연속 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의 불연속 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에 불연속 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에 불연속 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에 불연속 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라는 의미는 특정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채널은 일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혹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셀(cell)(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기지국(11)은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femto) 기지국, 가내 기지국(Home node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단말(12;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 방향의 전송링크(transmission link)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 방향으로의 전송링크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은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통신방식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한다. 각 요소 반송파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요소 반송파가 할당된다면, 최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반송파 집성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과 불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으로 나눌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요소 반송파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요소 반송파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0)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1)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2)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3) +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반송파 집성 및/또는 비인접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서빙셀(serving cell)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 기반하여 반송파 집성에 의해 집성될 수 있는 요소 주파수 대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서빙셀에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이 있다. 주서빙셀은 RRC 연결(establishment) 또는 재연결(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또한 주서빙셀은 기지국과 단말간 RRC 시그널링을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이라 한다. 하나의 단말에 구성되는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주서빙셀은 항상 활성화되는(activated) 반면, 부서빙셀은 특정 조건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서빙셀이다. 상기 특정 조건은 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 지시자를 수신하였거나 단말내의 비활성화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행해지거나 준비 상태(ready state)에 있는 것을 말한다. 비활성화(deactivation)는 트래픽 데이터와 상기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제어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고, 측정이나 최소 정보의 송신/수신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주요소 반송파(DL PCC)라 하고,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주요소 반송파(UL PCC)라 한다. 또한, 하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L SCC)라 하고, 상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부요소 반송파(UL SCC)라 한다. 하나의 서빙셀에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만이 대응할 수도 있고, DL CC와 UL CC가 함께 대응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이는 TDD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두 개의 하프프레임(half-frame)을 포함한다. 각 하프프레임의 구조는 동일하다. 하프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과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을 포함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표 1은 무선 프레임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L/DL configuration)의 일 예를 나타낸다.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하나의 TDD 무선 프레임 내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reserved)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즉,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하나의 TDD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어떠한 규칙에 의해 할당(또는 예약)되는지를 알려준다.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전환시점 주기
서브프레임 번호
0 1 2 3 4 5 6 7 8 9
0 5 ms D S U U U D S U U U
1 5 ms D S U U D D S U U D
2 5 ms D S U D D D S U D D
3 10 ms D S U U U D D D D D
4 10 ms D S U U D D D D D D
5 10 ms D S U D D D D D D D
6 5 ms D S U U U D S U U D
표 1을 참조하면, 'D'는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U'는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낸다. 'S'는 특별 서브프레임으로서, 서브프레임이 특별한 용도로 쓰임을 나타내며, 프레임 동기(sync)를 맞추거나,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특별 서브프레임은 DwPTS, 보호구간 및 UpPTS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을 간단히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ownlink subframe)이라 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을 간단히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plink subframe)이라 한다. 각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마다 하나의 TDD 무선 프레임내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배치(position) 및 개수가 서로 다르다.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되는 시점 또는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전환되는 시점을 전환시점(switching point)이라 한다. 전환시점의 주기성(Switch-point periodicity)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전환되는 양상이 동일하게 반복되는 주기를 의미하며, 5ms 또는 10ms 이다. 예를 들어,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에서 보면, 0번째부터 4번째 서브프레임까지 D->S->U->U->U로 전환되고, 5번째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 이전과 동일하게 D->S->U->U->U로 전환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ms이므로,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5ms이다. 즉,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 길이(10ms)보다 적으며, 무선 프레임내에서 전환되는 양상이 1회 반복된다.
표 1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바뀔 때마다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의 인덱스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하향링크 할당상태의 변경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방송정보로서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 셀 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으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일 수 있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은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등과 같은 복수의 서빙셀들을 운용한다.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주서빙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따라서 단말에 구성된 복수의 서빙셀들이 각기 독립적으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를 셀-특정 TDD 구성(cell-specific TDD configuration)이라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에서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2번이고,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5번이라 하자. 이때 7번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나, 부서빙셀에 대하여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예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서빙셀(Cell1), 제2 서빙셀(Cell2), 제3 서빙셀(Cell3) 이렇게 3개의 서빙셀이 단말에 구성된다고 하자. 이 중 제1 서빙셀이 주서빙셀이고, 나머지 서빙셀들은 부서빙셀일 수 있다.
TDD 방식에 있어서, 각 서빙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PDCCH를 포함하는 제어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PDSCH를 포함하는 데이터영역으로 구성된다. 제1 서빙셀은 제1 제어영역(310)과 제1 데이터 영역(311)으로 구성되고, 제2 서빙셀은 제2 제어영역(320)과 제2 데이터 영역(321)으로 구성되며, 제3 서빙셀은 제3 제어영역(330)과 제3 데이터 영역(33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제어영역을 구성하는 OFDM 심벌의 수는 가변적이다. 예를 들어, 제1 제어영역(310)과 제3 제어영역(330)을 구성하는 OFDM 심벌의 수는 3개이고, 제2 제어영역(320)을 구성하는 OFDM 심벌의 수는 2개일 수 있다. 제어영역을 구성하는 심벌의 수를 지시하는 정보를 형식지시자(format indicator)라 하며, 이는 PCFICH에 맵핑되어 전송된다.
각 서빙셀의 제어영역에는 복수의 PDCCH들이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빙셀에는 PDCCH1(301), PDCCH2(302) 및 PDCCH3(303)이 맵핑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각 PDCCH가 하나의 OFDM 심벌에 한정되어 전송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편의상 도시한 것일 뿐, 실제로 각 PDCCH는 각 제어영역 내에서 물리적으로 시스템 대역폭 및 전체 OFDM 심벌에 대하여 골고루 퍼져있는 형태로 전송된다.
단말은 이러한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다. 즉, 자신에게 할당된 특정한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방식으로 모니터링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이하 DCI)라고 한다. DCI는 그 포맷(format)에 따라 사용용도가 다르고, DCI내에서 정의되는 필드(field)도 다르다.
PDCCH1(301), PDCCH2(302) 및 PDCCH3(303)은 어느 하나의 포맷의 DCI를 전송한다. 그리고 각 DCI는 반송파 지시자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를 포함할 수 있다. CIF는 DCI가 맵핑된 PDCCH와 관련된 PDSCH를 나르는 서빙셀의 인덱스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PDCCH1(301)의 DCI에 포함된 제1 CIF는 제1 서빙셀을 지시하고, PDCCH2(302)의 DCI에 포함된 제2 CIF는 제2 서빙셀을 지시하며, PDCCH3(303)의 DCI에 포함된 제3 CIF는 제3 서빙셀을 지시한다.
이와 같이 반송파 집성에 있어서 PDCCH의 DCI 정보는 해당 PDCCH가 속한 서빙셀의 자원할당을 스케줄링할 뿐만 아니라 다른 서빙셀에 대해서도 자원할당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것을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이라고 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은 부서빙셀에 관한 제어정보를 상기 부서빙셀이 아닌 다른 서빙셀을 통해 전송할 수 있으므로 스케줄링이 유연해진다. 이때, 단말이 해당 서빙셀 및 타 서빙셀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서빙셀을 스케줄링 셀(scheduling cell)이라 하고 상기 스케줄링 셀을 통해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제공받는 서빙셀을 피스케줄링 셀(scheduled cell)이라 한다. 스케줄링 셀과 피스케줄링 셀의 구성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케줄링 셀 또는 피스케줄링 셀의 구성을 위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주서빙셀을 통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cross carrier scheduling configuration)를 단말로 전송한다(S400).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는 예를 들어 다음의 표와 같은 구문(syntax)을 포함할 수 있다.
-- ASN1START
CrossCarrierSchedulingConfig ::= SEQUENCE {
schedulingCellInfo CHOICE {
own SEQUENCE { -- No cross carrier scheduling
cif-Presence BOOLEAN
},
other SEQUENCE { -- Cross carrier scheduling
schedulingCellId ServCellIndex,
pdsch-Start INTEGER (1..4)
}
}
}
-- ASN1STOP
표 2를 참조하면, CrossCarrierSchedulingConfig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를 의미한다. schedulingCellInfo 필드는 스케줄링 셀 또는 피스케줄링 셀을 구성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schedulingCellInfo 필드는 own 필드와 other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own 필드와 관련하여, 해당 서빙셀에 대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schedulingCellInfo 필드에 own 필드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own 필드는 cif-presence 필드를 포함한다. cif-presence 필드는 부울린(boolean) 형식으로서 'true' 또는 'false'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cif-presence 필드가 'false'로 설정되면, 해당 셀에 대한 PDCCH 내 DCI 정보에 CIF가 포함되지 않음을 지시한다. 만약 cif-presence 필드가 'true'로 설정되면, 해당 셀에 대한 PDCCH 내 DCI 정보에 CIF가 포함됨을 지시한다. 따라서 해당 셀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CIF가 포함된 DCI 정보를 수신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다른 서빙셀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구성할 경우, 상기 다른 서빙셀의 스케줄링 셀이 될 수 있다.
other 필드와 관련하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 시 해당 셀이 피스케줄링 셀인 경우, 기지국은 schedulingCellInfo 필드에 other 필드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other 필드는 schedulingCellID 필드와 pdsch-Start 필드를 포함한다. schedulingCellID 필드는 피스케줄링 셀의 제어정보를 나르는 스케줄링 셀의 서빙셀 인덱스를 지시한다. 만약 schedulingCellID 필드가 0이면, schedulingCellID 필드는 주서빙셀의 인덱스를 지시한다. pdsch-Start 필드는 단말이 해당 서빙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몇 번째 OFDM 심볼에서부터 PDSCH의 수신을 시작해야 하는지를 지시한다.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구성한다(S405). 예를 들어 단말은 schedulingCellID 필드를 포함하는 서빙셀을 피 스케줄링 셀로 구성하고 상기 피 스케줄링 셀 내 schedulingCellID 필드가 지시하는 인덱스의 서빙셀을 스케줄링 셀로 구성한다.
기지국은 각 서빙셀에 대한 DCI를 PDCCH에 맵핑하여 단말로 전송한다(S410).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된 경우, 피 스케줄링 셀에 대한 DCI는 스케줄링 셀을 통해 단말로 전송된다.
DCI의 포맷은 1A/1B/1D/2/2A/2B/2C/4가 있다. DCI는 그 포맷에 따라 다른 내용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포맷이 다르더라도 DCI는 공통적으로 CIF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I 포맷 0과 1은 모두 0 또는 3비트의 CIF를 포함한다. 이 때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들 중에 일부는 cif-presence 필드가 'true'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부는 cif-presence 필드가 'false'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cif-presence 필드가 'true'로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되는 서빙셀에 한하여 3비트의 CIF를 포함하는 DCI가 사용된다. 반면, 만약 cif-presence 필드가 'false'로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되는 서빙셀에 한하여 0비트의 CIF를 포함하는 DCI가 사용된다. 즉, DCI에 CIF가 포함되지 않는다.
이때, 단말은 스케줄링 셀의 제어영역에서 PDCCH 모니터링(monitoring)을 수행한다(S415). 단말은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 예를 들어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와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 C-RNTI, 다수의 단말들과 공유하는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PUCCH-RNTI, TPC-PUSCH-RNTI 를 기반으로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NTI들 중 하나로 스크램블된(scrambled) PDCCH의 모니터링은 DRX 동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DRX 관련 파라미터(DRX related parameter)는 기지국이 RRC 메시지에 의해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은 SI-RNTI(system information-RNTI), P-RNTI(paging-RNTI)로 스크램블된 PDCCH는 DRX 동작과는 무관하게 항상 수신하여야 한다. 여기서 C-RNTI로 스크램블된 PDCCH를 제외한 나머지 PDCCH들은 주서빙셀의 DL PCC 내 공용검색공간(common search space)를 통해서만 수신될 수 있다.
기지국은 피스케줄링 셀을 통해 PDSCH를 단말로 전송한다(S420). 그리고 단말은 스케줄링 셀을 통해 수신한 DCI 내의 CIF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CIF가 지시하는 피스케줄링 셀에서 PDSCH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15의 PDCCH 모니터링과 관련하여, DRX 관련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단말에 DRX 관련 파라미터가 구성되어 있다면, 단말은 DRX 동작에 기반하여 PDCCH에 대한 불연속적인(discontinuous)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반면, 만일 단말에 DRX 관련 파라미터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은 연속적인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불연속적인 PDCCH 모니터링이란 PDCCH를 수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 중 미리 정해진(predefined) 특정한 서브프레임에서만 단말이 PDCCH를 모니터링함을 의미하고, 연속적인 PDCCH 모니터링이란 단말이 PDCCH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절차와 같은 DRX와 무관한 동작에서 PDCCH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단말은 해당 동작의 요구사항에 따라 DRX 동작에 의해 미리 정해진 특정 서브프레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DRX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DRX 동작은 DRX 사이클(cycle, 500) 단위로 반복되는데, DRX 사이클(500)은 비활동(inactivity)이 가능한 구간을 따라오는 지속구간(On Duration, 505)의 주기적인 반복으로 정의된다. 한 주기의 DRX 사이클(500)은 지속구간(505)과 DRX 기회(opportunity for DRX, 510)를 포함한다. RRC 계층에서는 DRX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몇 개의 타이머(timer)들을 관리한다. DRX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에는 지속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 DRX 비활동 타이머(drxInactivity Timer), DRX 재전송 타이머(drxRetransmission Timer)가 있다.
지속구간 타이머, DRX 비활동 타이머, DRX 재전송 타이머가 진행 중인 시간을 활동 시간(active time)이라 한다. 또는 활동 시간은 단말이 깨어있는 모든 구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DRX 사이클(500)이 구성되어 있을 때, 활동 시간은 지속구간 타이머, DRX 비활동 타이머, DRX 재전송 타이머의 시간을 포함한다. 단말은 활동 시간 동안, PDCCH 서브프레임(PDCCH subframe)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이 때, PDCCH 서브프레임은 구성된 측정 간격(configured measurement gap)의 일부가 아니어야 한다.
이 밖에 DRX 동작을 제어하는 파라미터로서 장기 DRX 사이클(longDRX-Cycle), DRX 개시 오프셋(drxStartOffset)이 있고, 기지국은 선택적으로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drxShortCycleTimer)와 단기 DRX-사이클(shortDRX-Cycle)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하향링크 혼합 자동반복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process)마다 HARQ 왕복시간(round trip time: RTT) 타이머(timer)가 정의된다.
DRX 개시 오프셋은 DRX 사이클(500)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을 규정한 값이다.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는 단말이 반드시 단기 DRX 사이클을 따라야 하는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정의하는 타이머이다. HARQ RTT 타이머는 단말에 의해 하향링크 HARQ 재전송이 기대되는 구간 이전의 최소 서브프레임 개수를 정의하는 타이머이다.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각 서빙셀마다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은, DRX 동작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DRX 동작을 위해 기지국이 구성하는 각 타이머들에 대한 동작기준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한다.
먼저, DRX 관련 타이머로서, 지속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에 관하여 상세히 개시된다. 지속구간 타이머는 원칙적으로 DRX 사이클이 시작된 시점부터 계속적인(consecutive) PDCCH 서브프레임의 수를 지칭한다(specify). 즉, 지속구간 타이머의 시작시점은 DRX 사이클의 시작시점과 일치한다. 지속구간 타이머 값은 미리 설정된 제1 만료 값과 같아지는 때에 만료된다. 지속구간 타이머 값이 제1 만료 값과 같아지기 전까지는 단말이 지속구간 타이머를 유효하게 진행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활동 시간(active time)은 지속구간 타이머가 진행 중(running)인 동안의 시간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DRX 관련 타이머로서, DRX 비활동 타이머(DRX inactivity timer)에 관하여 상세히 개시된다. DRX 비활동 타이머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사용자 데이터 전송 중 재전송이 아닌 새로운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CCH를 성공적으로 복호한 시점부터 계속적인(consecutive) PDCCH 서브프레임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지속적인 데이터 수신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이 지속적으로 PDCCH를 모니터해야 하는 시간이다. DRX 비활동 타이머는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에서 HARQ 최초 전송에 대한 PDCCH를 성공적으로 복호한 때에 시작 또는 재시작된다.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단말이 DRX 동작 중 활동 시간에 진입한 상태여야 한다. 따라서, DRX 비활동 타이머가 시작하기 위해서는 지속시간 타이머 등에 의해 단말이 활동 시간에 진입할 것, PDCCH 서브프레임이 존재할 것, 그리고 PDCCH 디코딩에 성공할 것이 요구된다. DRX 비활동 타이머 값이 제2 만료 값과 같아지기 전까지는 단말은 DRX 비활동 타이머를 유효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DRX 관련 타이머로서, DRX 재전송 타이머(DRX retransmission timer)에 관하여 상세히 개시된다. DRX 재전송 타이머는 단말에 의해 곧 하향링크 재전송이 기대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연속적인 수의 최대값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타이머이다. DRX 재전송 타이머는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재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시작된다. 단말은 DRX 재전송 타이머가 진행 중인 동안에 HARQ 프로세스에서 재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을 모니터할 수 있다. DRX 재전송 타이머의 설정은 RRC 계층의 MAC-MainConfig 메시지에 의해서 정의된다.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은 일정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1씩 증가하며,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이 미리 설정된 제3 만료 값과 같아지는 때에 만료된다.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이 제3 만료 값과 같아지기 전까지는 DRX 재전송 타이머는 유효하게 진행되거나, 경우에 따라 중지된다.
전술된 바에 따르면, DRX 관련 타이머의 카운팅은 PDCCH 서브프레임에 의해 좌우됨을 알 수 있다. 즉, DRX 관련 타이머를 정확히 카운팅하기 위해서는 먼저 PDCCH 서브프레임의 정의가 명확히 규정되어야 한다.
PDCCH 서브프레임은 가장 넓게는 단말이 PDCCH를 찾을 수 있는 서브프레임으로서 정의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듀플렉스 방식에 따라 PDCCH 서브프레임의 정의가 달라질 수 있다. FDD 방식에서의 PDCCH 서브프레임은 모든 서브프레임이 PDCCH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다. 반면, TDD 방식에서의 PDCCH 서브프레임은, 모든 서빙셀들 중 schedulingCellId이 설정되어 있는 서빙셀들을 제외한 서빙셀들의 합집합 내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특별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의 서브프레임으로서 정의된다. 이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고려한 PDCCH 서브프레임 정의라 할 수 있다. 여기서, schedulingCellId이 설정되어 있는 서빙셀은 곧 피스케줄링 서빙셀이다. 따라서 TDD 방식에서의 PDCCH 서브프레임은, 스케줄링 서빙셀들 중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특별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의 서브프레임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이러한 TDD 방식에서의 PDCCH 서브프레임의 정의에 따르면, 서빙셀들에 적용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이미 결정된 상황이라 할지라도,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간에는 PDCCH 서브프레임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이 적용되고, 부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5가 적용된다고 하자. 상기 표 1에 기반할 때, 서브프레임 4는 주서빙셀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부서빙셀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 서브프레임 4는 어떠한 서빙셀도 schedulingCellId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즉,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모두 독자적으로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PDCCH 서브프레임의 정의에 따를 때, 서브프레임 4는 PDCCH 서브프레임이다.
이와 반대되는 예로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되었다고 가정하자. 즉, 부서빙셀에 대해 schedulingCellId가 설정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PDCCH 서브프레임의 판단에 있어서 부서빙셀은 제외된다. 주서빙셀만을 두고 판단할 때, 서브프레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니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특수성과 상기 특수성을 고려한 PDCCH 서브프레임의 정의로 인해, 동일한 서브프레임이 어떤 경우는 PDCCH 서브프레임이 되고, 또 다른 경우는 PDCCH 서브프레임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은 기지국 또는 단말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말의 DRX 동작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구성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에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이미 구성되어 있고, 각 서빙셀마다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적용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주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이 적용되고, 부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5가 적용된다고 하자.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0에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단말에 구성된 것은 아니다.
기지국이 단말에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구성하고자 할 때,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 절차에 의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이 구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주서빙셀이 스케줄링 셀이고, 부서빙셀이 피스케줄링 셀이라 한다. 이 경우 표 2와 같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schedulingCellId 필드는 주서빙셀을 지시한다. 부서빙셀에 대하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되면, PDCCH 서브프레임은 스케줄링 셀인 주서빙셀만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먼저, 기지국은 하향링크 자원할당(DL allocation)을 포함하는 PDCCH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을 위한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PDSCH를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 0에서 단말로 전송한다(S600). 여기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을 위한 RRC 시그널링은 다시 말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이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주서빙셀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 절차는 RRC 절차이므로, 표준에서 정의된 처리지연 시간(processing delay time)을 요한다. 처리지연 시간은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RRC 하향링크 명령(DL command)이 물리계층에서 수신완료된 시점(RRC 하향링크 명령은 단일 또는 다수의 서브프레임에 걸쳐 송신될 수도 있음)으로부터 단말이 반드시 기지국으로 응답 메시지를 보낼 준비를 마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는 시점까지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실제 구현에서 단말이 응답 메시지를 보낼 준비를 마친 것은 버퍼에 RLC SDU가 저장되어 버퍼상태보고(buffer state report: BSR)이 가능한 시점이다. RRC 하향링크 명령의 일 예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이다.
처리지연 시간은 N으로 표현되고, N은 서브프레임의 개수 또는 N 밀리세컨드(ms)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단계 S600에서는 기지국이 PDCCH와 PDSCH를 전송하는 시점을 서브프레임 0으로 예시하였으나, 기지국은 임의의 서브프레임 n에서 PDCCH와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RRC 하향링크 명령을 단말의 물리계층에서 수신완료한 후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할 준비가 완료되는 시점의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n+N)이다. 물론, 처리지연 시간이 서브프레임이 아닌 ms와 같이 시간단위로 정의될 수도 있다.
처리지연 시간을 정의함에 있어서, 접속 지연 (access delay)은 고려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랜덤 액세스 절차, 물리계층 동기화 등이다. 여기서 N은 다음의 i), ii) 조건 중 어느 하나인 경우, 15+a와 같은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양의 정수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일 예로 5가 될 수 있다. i) 주서빙셀이 구성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내의 부서빙셀이 추가/제거되는 경우, ii) 이미 구성되어 있는 부서빙셀의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내의 부서빙셀이 추가/제거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i), ii) 조건에 해당되는 부서빙셀은 비활성화 상태에서 측정(measurement) 주기가 640ms 이하로 설정될 또는 설정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할 수도 있다.
단말은 처리지연 시간 N 내의 임의의 시점(도 6의 예에서는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에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구성을 변경한다.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부서빙셀을 위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에는 주서빙셀을 지시하는 schedulingCellId 필드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은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에서 부서빙셀을 위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을 인에이블(enable)한다(S605).
처리지연 시간 N=15라 할 때,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6에서 기지국은 단말로 주서빙셀에 대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포함하는 PDCCH를 전송한다(S610). 이에 대해, 단말은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주어진 자원을 사용하여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2에서 주서빙셀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615). 단말이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전송하는 시점은, 단말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이므로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이다. 이는 HARQ RTT(round trip time) 동작에 따른 타이밍이다. 그런데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는 주서빙셀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단말은 이 시점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은 PDCCH를 수신한 후 4ms 이후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주서빙셀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인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2에서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기지국은 ACK/NACK을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6에서 주서빙셀을 통해 단말로 회신한다(S620). ACK/NACK을 포함하는 PHICH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CA가 적용된 경우, ACK/NACK을 포함한 PHICH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한 PDCCH가 전송된 서빙셀로만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경우 주서빙셀을 통해서만 ACK/NACK이 전송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6은 주서빙셀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기지국이 PHICH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 직전에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되지 않았으나,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 직후에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적용된다. 단말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적용한 시점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 직전에는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을 모두 스케줄링 셀로 보고 PDCCH 서브프레임을 인지할 수 있다.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 직전까지 단말이 인지하는 PDCCH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0, 1, 3, 4, 5, 6, 7이다.
한편 단말은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 직후에는 주서빙셀만을 스케줄링 셀로 보고 PDCCH 서브프레임을 인지할 수 있다.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 직후부터 단말이 인지하는 PDCCH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0, 1, 5, 6,..이다.
그러나, 이러한 PDCCH 서브프레임 인식은 어디까지나 단말의 입장에서 판단된 것일 뿐, 기지국은 단말이 어느 시점에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적용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단말이 어떠한 서브프레임을 PDCCH 서브프레임으로 인지하였는지 또는 인지하지 않았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이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3에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적용할지,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5에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적용할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도 6의 맨 하단에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최대로 인지할 수 있는 PDCCH 서브프레임을 표시하였다. 'P'는 해당 서브프레임이 PDCCH 서브프레임임을 기지국이 인지함을 표시하고, '?'는 해당 서브프레임이 PDCCH 서브프레임인지 아닌지를 기지국이 명확히 알 수 없음을 표시하며, 'X'는 해당 서브프레임이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님을 기지국이 인지함을 표시한다.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에 모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특별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경우 의심의 여지 없이 해당 서브프레임은 PDCCH 서브프레임이어서 'P'로 표시된다. 그리고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에 모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경우에도 당연히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니므로 'x'로 표시된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서빙셀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서빙셀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경우에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적용 여부에 따라 해당 서브프레임이 PDCCH 서브프레임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로 표시된다.
이와 같은 단말과 기지국간의 PDCCH 서브프레임 인식의 불일치는 단말의 DRX 동작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단말은 RRC 연결 재구성 절차와는 별개로, 단말은 DRX 관련 타이머들(지속시간 타이머, DRX 비활동 타이머, DRX 재전송 타이머)에 기반하여 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RX 관련 타이머들은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에 의존하여 카운팅된다. 그런데 단말과 기지국이 PDCCH 서브프레임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면, DRX 동작에서의 활동 시간도 다르게 인식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n이 단말의 입장에서 활동 시간이 아니어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고 있는데, 기지국의 입장에서는 활동 시간일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에서 단말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단말은 이를 수신할 수 없다. 이는 기지국의 불필요한 무선자원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도 6과 같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적용하기 위한 RRC 연결 재구성 절차 뿐만 아니라, 도 7과 같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해제하기 위한 RRC 연결 재구성 절차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입장에서 보면, 단말은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 직전에는 주서빙셀만을 스케줄링 셀로 보고 PDCCH 서브프레임을 인지할 수 있다.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 직전까지 단말이 인지하는 PDCCH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0, 1, 5, 6이다.
한편 단말은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 직후에는 CCS(교차 반송파 스케줄링)를 디스에이블(disable, S705)함으로 인해,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을 스케줄링 셀로 보고 PDCCH 서브프레임을 인지할 수 있다.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 직후부터 단말이 인지하는 PDCCH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 9와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0, 1, 3, 4, 5, 6,...이다. 그러나, 이러한 PDCCH 서브프레임 인식은 어디까지나 단말의 입장에서 판단된 것일 뿐, 기지국은 단말이 어느 시점에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적용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PDCCH 서브프레임을 정확히 인지할 수 없다.
따라서, RRC 연결 재구성에 의해 변경된 RRC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하는 시점, 다시 말하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 또는 해제된 상태를 기반으로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하는 시점에 대해 단말과 기지국간에 명확한 규약이 필요하다.
(1) 일례로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 또는 해제된 상태를 기반으로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하는 시점은, 기지국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단말이 확인하는 시점, 즉, 단말이 전송한 PUSCH에 대한 ACK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시점이다. 즉,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구성 또는 해제하는 즉시 그 상태를 반영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단말이 확인하는 시점부터 상기 상태를 반영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시점 이전 동안에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 또는 해제되기 이전의 상태를 기반으로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의 불연속 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의 해제를 위한 RRC 시그널링에 기반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에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이미 구성되어 있고, 각 서빙셀마다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적용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주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Conf : 0)이 적용되고, 부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5(Conf : 5)가 적용된다고 하자.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0에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단말에 구성된 상태이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에 따를 때 주서빙셀이 스케줄링 셀이고, 부서빙셀이 피스케줄링 셀로 지정된다고 하자. 이 경우 표 2와 같은 부서빙셀을 위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schedulingCellId 필드는 주서빙셀을 지시한다.
먼저, 기지국은 하향링크 자원할당(DL allocation)을 포함하는 PDCCH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의 해제를 위한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PDSCH를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 0에서 단말로 전송한다(S800). 여기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의 해제를 위한 RRC 시그널링은 다시 말해 표 2와 같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이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의 해제를 지시하기 위해, cif-presence 필드를 전송하며 ‘true’또는 'false'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CIF가 필요 없으므로 cif-presence 필드는 ‘false'로 설정된다.
단말은 임의의 시점, 예를 들어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에서 부서빙셀을 위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디스에이블한다(S805). 이 시점에,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해제한다. 그러나, 아직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에 대한 ACK/NACK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이전이므로, 단말은 여전히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된 상태를 반영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한다. 기지국도 ACK/NACK을 전송한 바 없으므로, 단말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이 해제되기 전 상태를 반영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할 것임을 알 수 있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이 해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PDCCH 서브프레임을 인식함에 있어서 ACK/NACK을 수신하기 이전까지는 단말은 주서빙셀만을 여전히 스케줄링 셀로 본다. 즉,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 또는 해제와, DRX 동작을 위한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은 서로 분리되며, 독립적, 개별적으로 수행된다.
처리지연 시간 N=15라 할 때,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5에서 기지국은 단말로 주서빙셀에 대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포함하는 PDCCH를 주서빙셀을 통해 전송한다(S810). 이에 대해, 단말은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주어진 자원을 사용하여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에서 주서빙셀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815). 단말이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전송하는 시점은, 단말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이므로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이다. 단계 S810, S815가 수행되는 동안에도, 여전히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에 대한 ACK/NACK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이전이므로, 단말은 여전히 RRC 연결 재구성 이전의 상태(즉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된 상태)를 반영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한다. 기지국도 ACK/NACK을 전송한 바 없으므로, 단말이 RRC 연결 재구성 이전의 상태(즉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된 상태)를 기반으로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할 것임을 알 수 있다.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기지국은 ACK/NACK을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5에서 단말로 회신한다(S820). HARQ RTT 동작에 따른 타이밍에 의하면, 기지국은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단말로부터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인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3에서, ACK/NACK을 포함하는 PHICH를 단말로 전송해야 하지만,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3은 주서빙셀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기지국은 PUSCH를 수신한 후 4ms 이후의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주서빙셀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인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5에서 상기 PUSCH에 대한 ACK/NACK을 포함한 PHICH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로 ACK/NACK을 전송하였고, 단말도 ACK/NACK을 수신하였으므로, 비로소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을 해제한 상태를 기반으로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을 해제한 상태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모두 스케줄링 셀로 전환되는 것이다. S820 시점부터는 PDCCH 서브프레임을 인식함에 있어서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모두 스케줄링 셀로 본다. 따라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중 어느 하나라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특별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면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을 PDCCH 서브프레임으로 검출한다. 이 경우, 단말이 하나의 프레임당 검출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ACK/NACK 수신 이후로 증가한다.
본 실시예는 단말이 ACK/NACK을 수신한 시점 또는 확인한 시점부터 이론상 즉시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단말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 정보에 따라 변경된 상태를 반영하여 실제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하는 시점은 상기 ACK/NACK의 HARQ 프로세싱 시간을 고려하여 S820 시점과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ARQ 동작에 따라 단말이 ACK/NACK을 수신한 시점과 상기 ACK/NACK 정보에 따라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을 적용하는 시점과의 차이는 오프셋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 정보에 따라 변경된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하는 시점은, 상기 오프셋 만큼 지연될 수 있다. 상기 오프셋은 단말이 ACK/NACK을 수신하고 상기 ACK/NACK의 정보를 확인한 후,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는 프로세싱 시간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 정보에 따라 변경된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하는 시점은,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5보다 늦어질 수도 있다. 즉, ACK/NACK의 수신시점과 이를 확인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에 반영하기 까지 구현상의 지연(delay)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의 변경이 PDCCH 서브프레임의 카운트에 사용되는 시점을 명확히 함으로써, 기지국은 단말이 어느 시점에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적용하는지 알 수 없더라도, 적어도 PDCCH 서브프레임의 카운트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막을 수 있다.
(2) 다른 예로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 또는 해제된 상태를 기반으로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하는 시점은, 단말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시점 또는 수신을 확인한 시점이다. 여기서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는 단말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 또는 해제를 위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이다. 즉,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구성 또는 해제하는 즉시 그 상태를 반영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시점 또는 수신을 확인한 시점부터 상기 상태를 반영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시점 이전 동안에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 또는 해제되기 이전의 상태를 기반으로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의 불연속 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의 해제를 위한 RRC 시그널링에 기반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에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이미 구성되어 있고, 각 서빙셀마다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적용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주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Conf : 0)이 적용되고, 부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5(Conf : 5)가 적용된다고 하자.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0에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단말에 구성된 상태이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에 따를 때 주서빙셀이 스케줄링 셀이고, 부서빙셀이 피스케줄링 셀로 지정된다고 하자. 이 경우 표 2와 같은 교차 부서빙셀을 위한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schedulingCellId 필드는 주서빙셀을 지시한다.
먼저, 기지국은 하향링크 자원할당(DL allocation)을 포함하는 PDCCH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의 해제를 위한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PDSCH를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 0에서 단말로 전송한다(S900). 여기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의 해제를 위한 RRC 시그널링은 다시 말해 표 2와 같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이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의 해제를 지시하기 위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를 전송하며 필드값은 'false'로 설정된다.
단말은 임의의 시점, 예를 들어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8에서 부서빙셀을 위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디스에이블한다(S905). 이 시점에,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해제한다. 그러나, 아직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에 대한 ACK/NACK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이전이므로, 단말은 여전히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된 상태를 반영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한다. 기지국도 ACK/NACK을 전송한 바 없으므로, 단말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이 해제되기 전 상태를 반영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할 것임을 알 수 있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이 해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PDCCH 서브프레임을 인식함에 있어서 ACK/NACK을 수신하기 이전까지는 단말은 주서빙셀만을 여전히 스케줄링 셀로 본다. 즉,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 또는 해제와, DRX 동작을 위한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은 서로 독립적, 개별적으로 수행된다.
처리지연 시간 N=15라 할 때,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5에서 기지국은 단말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포함하는 PDCCH를 전송한다(S910).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할 준비가 완료되었으므로, 비로소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을 해제한 상태를 기반으로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이 해제한 상태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모두 스케줄링 셀로 전환되는 것이다. S910 시점부터는 PDCCH 서브프레임을 인식함에 있어서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을 모두 스케줄링 셀로 본다. 따라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 중 어느 하나라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특별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면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을 PDCCH 서브프레임으로 검출한다. 기지국은 이 시점부터 단말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의 해제 상태로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말과 DRX 관련 타이머의 카운팅을 동기화한다. 이 경우, 단말이 하나의 프레임당 검출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ACK/NACK 수신 이후로 증가한다.
단말은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주어진 자원을 사용하여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915). 단말이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전송하는 시점은, 단말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이므로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이다.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기지국은 ACK/NACK을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5에서 단말로 회신한다(S920).
이와 같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의 변경이 PDCCH 서브프레임의 카운트에 사용되는 시점을 명확히 함으로써, 기지국은 단말이 어느 시점에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적용하는지 알 수 없더라도, 적어도 PDCCH 서브프레임의 카운트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막을 수 있다.
(3) 또 다른 예로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 또는 해제된 상태를 기반으로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하는 시점은, 단말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구성 또는 해제한 시점이다. 즉,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구성 또는 해제하는 즉시 그 상태를 반영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시작한다. 다만, 이 경우 DRX 동작에서 활동 시간이 원래 예정보다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와 함께 DRX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전송 이전에 DRX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또는 단말은 DRX 관련 타이머를 인위적으로 만료시키거나 지속시킨다. 또는 DRX 관련 타이머와 관계없이 활동 시간을 지속하는 조건을 설정한다. 즉, 본 실시예들은 DRX 관련 타이머의 동작을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 또는 해제됨으로 인해 원래 예정보다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증가하면, 그 만큼 DRX 관련 타이머의 카운트가 빠르게 진행된다. 이렇게 되면 활동 시간이 원래 예정보다 빨리 만료되기 때문에, 단말은 DRX 관련 타이머를 만료시키지 않고, 특정 시점까지 인위적으로 지속시킨다. 반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 또는 해제됨으로 인해 원래 예정보다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감소하면, 그 만큼 DRX 관련 타이머의 카운트가 느리게 진행된다. 이렇게 되면 활동 시간이 원래 예정보다 느리게 만료되기 때문에, 단말은 특정 시점에 DRX 관련 타이머를 인위적으로 만료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의 불연속 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을 적용하면서 활동 시간이 원래 예정보다 느리게 만료되는 경우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에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이미 구성되어 있고, 각 서빙셀마다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적용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주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Conf : 0)이 적용되고, 부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5(Conf : 5)가 적용된다고 하자.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0에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단말에 구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모두 스케줄링 셀로 설정된다고 하자.
먼저, 기지국은 하향링크 자원할당(DL allocation)을 포함하는 PDCCH, 및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을 위한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PDSCH를 주서빙셀의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0에서 단말로 전송한다(S1000). 여기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을 위한 RRC 시그널링은 다시 말해 표 2와 같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와 DRX 구성정보를 포함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지시하기 위해, 주서빙셀을 위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는 'true'로 설정된다. 타이머 동작 관점에서 볼 때, 단말이 신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PDCCH를 성공적으로 검출하면, 단말은 상기 서브프레임 0에서 DRX 비활동 타이머를 구동한다. DRX 비활동 타이머의 만료 시점을 psf2라 가정할 때,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0에서 시작하여 서브프레임 1에서 DRX 비활동 타이머가 만료한다. DRX 동작 관점에서 볼 때, DRX 비활동 타이머가 시작된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0부터 서브프레임 1까지 활동시간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단말은 단기 DRX 사이클이 새롭게 시작되는 시점인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0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하므로, 지속구간 타이머를 시작한다. 이로써 단말은 다시 활동시간으로 진입한다.
단말은 임의의 시점, 예를 들어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2에서 부서빙셀을 위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인에이블한다(S1005). 이 시점에,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한다. 이로 인해 부서빙셀이 피스케줄링 셀로 변경된다. 이 경우 표 2와 같은 부서빙셀을 위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schedulingCellId 필드는 주서빙셀을 지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PDCCH 서브프레임의 인식시점과 관련하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이 적용됨과 동시에, 단말은 상기 적용된 상태에 기반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을 인식한다. 즉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이 완료되면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함에 있어서 단말은 주서빙셀만을 스케줄링 셀로 보고 부서빙셀을 피스케줄링 셀로 본다. 즉,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 또는 해제와, DRX 동작을 위한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은 분리되지 않는다.
처리지연 시간 N=15라 할 때,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5에서 기지국은 단말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포함하는 PDCCH를 전송한다(S1010). 단말은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주어진 자원을 사용하여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015). 단말이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전송하는 시점은, 단말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이므로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이다.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기지국은 ACK/NACK을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5에서 단말로 회신한다(S1020).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인에이블된 후 예정된 활동 시간은 지속시간 타이머의 psf=10을 기준으로 했을 때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0부터 프레임 3의 서브프레임 1까지이다. 그런데 DRX 관련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단기 DRX 사이클 또는 장기 DRX 사이클이 만료되어 지속시간 타이머가 시작되어야 하는 조건이 발생하면, 단말은 이전에 동작 중이던 지속시간 타이머를 즉시 재시작한다(S1025). 예를 들어, 도 10에서 단기 DRX 사이클이 16 서브프레임일 때,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5에서 단기 DRX 사이클이 끝나므로 이 시점에 단말은 지속시간 타이머를 재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를 재시작한다 함은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을 초기화하고 다시 시작함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지속시간 타이머를 재시작할 수 없는 경우,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설정여부에 따라 변경된 PDCCH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정해진 만료 기준까지 지속시간 타이머를 계속 카운팅 한 후(즉, 상기 DRX 활동 시간을 연장한 후), 상기 카운팅 값이 만료 기준에 부합되면 상기 지속시간 타이머를 만료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의 지속시간 타이머가 종료되는 시점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DRX 동작 시점과 상이한 시점으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지속시간 타이머 종료 시점을 파악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단말이 지속시간 타이머를 재시작할 수 있으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인에이블된 후 예정된 활동 시간이 DRX 사이클보다 길 경우, 기존의 DRX 관련 파라미터로는 활동 시간이 끝나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기지국은 활동 시간보다 DRX 사이클이 길게 되도록 단계 S1000과 같이 DRX 변경을 위한 새로운 DRX 구성정보를 함께 단말로 시그널링한다.
새로운 DRX 구성정보는 MAC-MainConfig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X 구성 정보는 아래의 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DRX-Config ::= CHOICE {
release NULL,
setup SEQUENCE {
onDurationTimer ENUMERATED {
psf1, psf2, psf3, psf4, psf5, psf6,
psf8, psf10, psf20, psf30, psf40,
psf50, psf60, psf80, psf100,
psf200},
drx-InactivityTimer ENUMERATED {
psf1, psf2, psf3, psf4, psf5, psf6,
psf8, psf10, psf20, psf30, psf40,
psf50, psf60, psf80, psf100,
psf200, psf300, psf500, psf750,
psf1280, psf1920, psf2560, psf0-v1020,
spare9, spare8, spare7, spare6,
spare5, spare4, spare3, spare2,
spare1},
drx-RetransmissionTimer ENUMERATED {
psf1, psf2, psf4, psf6, psf8, psf16,
psf24, psf33},
} OPTIONAL -- Need OR
}
longDRX-CycleStartOffset CHOICE {
sf10 INTEGER(0..9),
sf20 INTEGER(0..19),
sf32 INTEGER(0..31),
sf40 INTEGER(0..39),
sf64 INTEGER(0..63),
sf80 INTEGER(0..79),
sf128 INTEGER(0..127),
sf160 INTEGER(0..159),
sf256 INTEGER(0..255),
sf320 INTEGER(0..319),
sf512 INTEGER(0..511),
sf640 INTEGER(0..639),
sf1024 INTEGER(0..1023),
sf1280 INTEGER(0..1279),
sf2048 INTEGER(0..2047),
sf2560 INTEGER(0..2559)
},
shortDRX SEQUENCE {
shortDRX-Cycle ENUMERATED {
sf2, sf5, sf8, sf10, sf16, sf20,
sf32, sf40, sf64, sf80, sf128, sf160,
sf256, sf320, sf512, sf640},
drxShortCycleTimer INTEGER (1..16)
} OPTIONAL -- Need OR
}
}
표 3을 참조하면, DRX 구성정보는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을 한정하는 onDurationTimer 필드와,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을 지시하는 drx-InactivityTimer 필드와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을 지시하는 drx-RetransmissionTimer 필드를 포함한다. onDurationTimer 필드는 {psf1, psf2, psf3,...psf200}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psf는 PDCCH 서브프레임을 의미하고, psf뒤의 숫자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나타낸다. 즉, psf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로서 타이머의 만료 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onDurationTimer 필드=psf1이면, 지속시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이 시작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누적적으로 1개의 PDCCH 서브프레임까지 진행된 후 만료된다. 또는 onDurationTimer 필드=psf4이면, 지속시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의 시작에서부터 누적적으로 4개의 PDCCH 서브프레임까지 진행된 후 만료된다.
drx-InactivityTimer 필드는 {psf1, psf2, psf3,...psf2560}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x-InactivityTimer 필드=psf3이면, DRX 비활동 타이머는 구동된 시점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누적적으로 3개의 PDCCH 서브프레임까지 진행된 후 만료된다. drx-RetransmissionTimer 필드는 {psf1, psf2, psf4,...psf33}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x-RetransmissionTimer 필드=psf4이면, DRX 재전송 타이머는 구동된 시점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누적적으로 4개의 PDCCH 서브프레임까지 진행된 후 만료된다.
기지국은 표 3에서 longDRX-CycleStartOffset 필드 또는 shortDRX-Cycle 필드의 값을 변경한 DRX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함(S1000)으로써 예정된 활동 시간이 DRX 사이클보다 길거나 짧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런데 MAC의 상위계층인 RRC에 의해 DRX 관련 타이머에 대한 변경 요청이 있더라도, 단말은 상기 DRX 관련 타이머가 동작 중(running)에는 상기 변경을 적용할 수 없다. 즉, 단말은 MAC 계층은 상기 DRX 관련 타이머가 시작 또는 재시작된 이후에야 변경된 파라미터를 적용한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지속시간 타이머가 이미 동작 중에 단말 내에서 CCS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기지국이 변경된 MAC 파라미터를 CCS 구성정보와 함께 전송하더라도 상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한번의 지속시간 타이머의 재시작 동작이 요구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에 불연속 수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을 해제하면서 활동 시간이 원래 예정보다 짧게 만료되는 경우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에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이미 구성되어 있고, 각 서빙셀마다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적용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주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Conf : 0)이 적용되고, 부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5(Conf : 5)가 적용된다고 하자.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0에서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단말에 구성된 상태이다. 즉 주서빙셀은 스케줄링 셀이고 부서빙셀은 피스케줄링 셀로 구성된 상태이다.
먼저, 기지국은 하향링크 자원할당(DL allocation)을 포함하는 PDCCH, 및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을 해제하기 위한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PDSCH를 주서빙셀의 서브프레임 0에서 단말로 전송한다(S1100). 여기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을 해제하기 위한 RRC 시그널링은 다시 말해 표 2와 같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를 포함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해제하기 위해, 주서빙셀 및 부서빙셀에 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는 'false'로 설정된다. 타이머 동작 관점에서 볼 때, 단말이 신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PDCCH를 성공적으로 검출하면, 단말은 상기 서브프레임 0에서 DRX 비활동 타이머를 구동한다. DRX 비활동 타이머의 만료 시점을 psf2라 가정할 때,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0에서 시작하여 서브프레임 1에서 DRX 비활동 타이머가 만료한다. DRX 동작 관점에서 볼 때, DRX 비활동 타이머가 시작된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0부터 서브프레임 1까지 활동시간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단말은 장기 DRX 사이클이 새롭게 시작되는 시점인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6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하므로, 지속구간 타이머를 시작한다. 이로써 단말은 다시 활동시간으로 진입한다.
단말은 임의의 시점, 예를 들어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2에서 부서빙셀을 위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디스에이블한다(S1105). 이 시점에,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모두 스케줄링 셀로 변경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PDCCH 서브프레임의 인식시점과 관련하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의 구성이 적용됨과 동시에, 단말은 상기 적용된 상태에 기반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을 인식한다. 즉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의 해제가 완료됨과 동시에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함에 있어서 단말은 주서빙셀만을 스케줄링 셀로 본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디스에이블된 후 예정된 활동 시간은 지속시간 타이머의 psf3을 기준으로 했을 때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6부터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4까지이다. 이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디스에이블 안되었음을 가정하였을 때의 활동 시간보다 매우 짧다. 이로 인해 기지국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단말이 수신못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현재 단기 DRX 사이클이 끝나지도 않았다. 따라서, 단말은 현재 단기 DRX 사이클 또는 장기 DRX 사이클이 끝나는 시점까지 활동 시간을 지속시킨다(S1125). 즉, 지속시간 타이머를 만료시키지 않고 현재 단기 DRX 사이클 또는 장기 DRX 사이클이 끝날 때 만료시킨다.
이와 대등한 실시예로서, 도 12a와 같이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을 디스에이블하지 않았더라면 유지되었을 활동 시간까지 지속시간 타이머를 만료시키지 않고 유지한다(S1225). 이때 지속시간 타이머가 만료되는 시점은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0이다. 이로써 활동 시간이 너무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대등한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12b와 같이 지속시간 타이머의 만료시점이 매우 짧은 경우(예를 들어, psf3), 단말이 최소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는 시점(S1260)까지 활동시간을 보장하도록 활동시간이 새롭게 정의될 수 있다. 즉, 활동시간은 DRX 타이머들의 동작과 무관하게 정의된다. 이에 따르면, 활동시간은, 단말이 CCS 구성의 해제를 위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S1250) 이후로부터 상기 단말의 C-RNTI로 어드레스된(addressed) 신규 전송을 지시하는 PDCCH를 수신하지 못하는 시간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S1275).
기지국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단말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단말이 수신할 때(S1260)까지, 또는 하향링크 신규 전송에 대한 PDCCH를 수신할 때까지 단말은 활동시간을 지속시킨다. 그리고 단말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완료하면(S1260), 새로운 정의에 의한 활동시간은 DRX 타이머와는 무관하게 종료된다. 즉, 새로운 정의에 의한 활동시간은 DRX 비활동 타이머나 지속구간 타이머의 동작과는 별개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DRX 비활동 타이머 동작구간(psf2)이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0에서 서브프레임 1까지이다. 따라서 DRX 비활동 타이머에 따른 활동시간이 상기 서브프레임 1에서 종료되어야 한다. 그러나, 새로운 정의에 의한 활동시간에 따르면 단말이 CCS 구성의 해제를 위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므로(S1250) 활동시간이 지속된다. 또한, 지속구간 타이머(psf3) 동작구간은 프레임 0의 서브프레임 6부터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0까지이므로,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0에서 활동시간이 종료되어야 하나, 새로운 정의에 의한 활동시간 때문에 활동시간이 지속된다. 한편, 새로운 정의에 의한 활동시간이 종료되어야 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진행 중인 DRX 타이머들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DRX 타이머에 의해 활동시간이 계속 유지된다.
단말의 C-RNTI로 어드레스된(addressed) 신규 전송을 지시하는 PDCCH가 하향링크 신규 전송에 대한 PDCCH인 경우, DRX 타이머들의 동작과 무관한 활동시간은 종료되나 DRX 비활동 타이머가 시작되므로 기지국은 단말의 활동시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추가적으로 확보한 상기 활동시간 동안에 단말로 하여금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전송토록 하기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할 수 있다(S1260).
상기 실시예들에 따를 때 단말이 인위적으로 활동시간 또는 지속시간 타이머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므로, 처리지연 시간 N=15을 기준으로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5에서 기지국은 단말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포함하는 PDCCH를 전송한다(S1110, S1210, S1260). 활동시간(또는 지속시간 타이머)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므로, 단말은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주어진 자원을 사용하여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115, S1215, S1265). 단말이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전송하는 시점은, 단말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이므로 프레임 1의 서브프레임 9이다. RRC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PUSCH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기지국은 ACK/NACK을 프레임 2의 서브프레임 5에서 단말로 회신한다(S1120, S1220, S1270).
도 1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에 특정하게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거나 해제하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정보를 생성한다(S1300).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는 예를 들어 표 2와 같은 구문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단말에 적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스케줄링 셀에 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를 'true'로 설정(set)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피스케줄링 셀에 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schedulingCellID 필드를 스케줄링 셀의 서빙셀 인덱스로 설정한다.
반면 기지국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단말에서 해제하는 경우, 스케줄링 셀 및 피스케줄링 셀에 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를 'false'로 설정한다.
기지국은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1305).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가 단말에 적용됨으로써 변경되는 DRX의 활동 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기지국은 새로운 DRX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RX 구성정보를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와 함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및 상기 DRX 구성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단말이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또는 DRX 구성정보를 사용하여 RRC 연결 재구성을 완료하면, 이를 나타내는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해야 한다. 그리고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처리지연 시간은 N이 경과된 후 상향링크 그랜트를 PDCCH에 실어서 단말로 전송한다(S1310).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면,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즉 기지국은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S1315). 그리고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수신의 성공 또는 실패를 지시하는 ACK/NACK을 단말로 전송한다(S1320).
도 1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빙셀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는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이 구성될 수 있다.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 간에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이 단말에 적용되는 경우, 주서빙셀은 스케줄링 셀이고,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은 피스케줄링 셀일 수 있다. 반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이 해제되는 경우,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은 모두 스케줄링 셀이다. 여기서는 단말에 2개 이상의 서빙셀이 구성되고, 각 서빙셀별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서로 다르며, 어떠한 형태의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이 적용 또는 해제된 상태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400).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는 예를 들어 표 2와 같은 구문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 및/또는 schedulingCellID 필드를 확인 및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거나 해제한다(S1405). 즉, 단말은 RRC 연결 재구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주서빙셀에 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가 'true'로 설정됨을 확인하고, 부서빙셀에 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schedulingCellID 필드가 존재하며 상기 schedulingCellID 필드값이 ‘0’임을 확인하면, 단말은 주서빙셀을 스케줄링 셀로 하고 부서빙셀을 피 스케줄링 셀로 하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한다. 반면, 단말이 주서빙셀 및 부서빙셀에 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가 'false'로 설정됨을 확인하거나, schedulingCellID 필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면,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해제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거나 해제한 상태에서, 단말은 상기 상태를 곧바로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에 반영하지 않는다. 즉,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이 적용되거나 해제되기 이전의 CCS 구성상태를 기초로 단말은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수행한다(S1410). 예를 들어, 이전의 CCS 구성상태가 '주서빙셀=스케줄링 셀', '부서빙셀=피스케줄링 셀'이라면, 현재 CCS 구성상태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이 해제되어 '주서빙셀=스케줄링 셀', '부서빙셀=스케줄링 셀'이라 할지라도, 단말은 이전의 CCS 구성상태에 기반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한다. 즉 단말은 주서빙셀을 스케줄링 셀로, 부서빙셀을 피스케줄링 셀로 보고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한다.
한편, 단말은 상기 현재 CCS 구성상태를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또는 카운트)에 적용(또는 반영)하는 시점(이하 변경 적용 시점(change applying timing)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한다(S1415). 여기서, 변경 적용 시점의 일례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시점 또는 서브프레임이다. 변경 적용 시점의 다른 예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세지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한 시점 또는 서브프레임이다.
만약 변경 적용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은 이전 CCS 구성상태에 기반하여 검출되는 PDCCH 서브프레임에 따라서 DRX 동작을 수행한다(S1420).
만약 변경 적용 시점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은 현재 CCS 구성상태에 기반하여 PDCCH 서브프레임 검출을 수행한다(S1425). 그리고 상기 검출되는 PDCCH 서브프레임에 따라서 DRX 동작(예컨대 DRX 관련 타이머의 카운트)을 수행한다(S1430).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빙셀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는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이 구성될 수 있다.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 간에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이 단말에 적용되는 경우, 주서빙셀은 스케줄링 셀이고,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은 피스케줄링 셀일 수 있다. 반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이 해제되는 경우,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은 모두 스케줄링 셀이다. 여기서는 단말에 2개 이상의 서빙셀이 구성되고, 각 서빙셀별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서로 다르며, 어떠한 형태의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이 적용 또는 해제된 상태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및 DRX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500).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는 예를 들어 표 2와 같은 구문으로 정의될 수 있다. DRX 구성정보는 예를 들어 표 3과 같은 구문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 및/또는 schedulingCellID 필드를 확인 및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거나 해제하고, 상기 DRX 구성정보에 따라서 DRX 관련 파라미터를 변경한다(S1505). 단계 S1505를 넓은 개념으로 말하면 RRC 연결 재구성이라 한다.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거나 해제한 상태에서, 단말은 상기 상태를 곧바로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에 반영한다. 즉,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이 적용되거나 해제된 현재 CCS 구성상태를 기초로 단말은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수행한다(S1510). 예를 들어, 이전의 CCS 구성상태가 '주서빙셀=스케줄링 셀', '부서빙셀=피스케줄링 셀'이고, 현재 CCS 구성상태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이 해제되어 '주서빙셀=스케줄링 셀', '부서빙셀=스케줄링 셀'이면, 단말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을 모두 스케줄링 셀로 보고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한다.
단말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와 해제하는 경우를 나누어, 각 경우에 따라서 DRX 관련 타이머의 만료 또는 재시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 단말은 도 10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반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해제하는 경우, 단말은 도 11 또는 도 12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schedulingCellID 필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1515).
만약, 단말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schedulingCellID 필드가 존재함을 확인하면, 이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 구성됨을 의미하므로, 단말은 활동시간 계속 중에 DRX 사이클이 시작되는지 확인한다(S1520). 만약, 단말이 활동시간 계속 중에 DRX 사이클이 시작됨을 확인하면, 단말은 DRX 관련 타이머를 상기 DRX 사이클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에 만료하고, 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DRX 관련 타이머를 바로 재시작한다(S1525). 단계 S1520에서 만약 단말이 활동시간 계속 중에 DRX 사이클이 시작됨을 확인하지 못하면, 단말은 이전의 DRX 관련 타이머를 계속 진행한다.
다시 단계 S1515에서, 만약 단말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schedulingCellID 필드가 존재함을 확인하지 못하면, 단말은 제1 활동시간이 제2 활동시간과 다른지 확인한다(S1530). 여기서 제1 활동시간은, 이전 CCS 구성상태가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단말이 검출하는 PDCCH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DRX 관련 타이머를 카운트할 때 주어지는 활동시간을 의미한다. 제2 활동시간은, 단말이 현재 CCS 구성상태에서 기반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하고, 이렇게 검출되는 PDCCH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DRX 관련 타이머를 카운트할 때 주어지는 활동시간을 의미한다.
만약, 제1 활동시간이 제2 활동시간과 다르면, 단말은 DRX 관련 타이머의 만료시점을 변경한다(S1535). 예를 들어, 단말은 DRX 관련 타이머의 만료시점을 도 11과 같이 DRX 사이클의 종료시점으로 변경할 수도 있고, 도 12와 같이 제1 활동시간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은 단계 S1520과 S1525를 계속 수행한다.
만약, 제1 활동시간이 제2 활동시간과 같으면, 단말은 DRX 관련 타이머의 만료시점을 변경함이 없이, 단계 S1520과 S1525를 계속 수행한다.
활동시간의 변경과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단말은 다음의 경우에 활동 시간을 지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단말로 전송하는 새로운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새로운 하향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단말이 수신할 때까지, 단말은 활동 시간을 지속시킨다. 그리고 단말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완료하면, 단말은 활동 시간을 종료(즉, DRX 타이머들과 무관하게)시킨다. 만일 진행 중인 DRX 타이머들이 존재하는 경우, 활동시간은 종료되지 않는다. 이에 따르면, 활동 시간은 단말이 CCS 구성의 해제를 위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단말의 C-RNTI로 어드레스된(addressed) 신규 전송을 지시하는 PDCCH를 수신하지 못하는 시간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1600)은 수신부(1605), 단말 프로세서(1610) 및 전송부(1615)를 포함한다. 단말 프로세서(1610)은 RRC 처리부(1611)와 DRX 제어부(1612)를 포함한다.
수신부(1605)는 기지국(1650)으로부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정보, DRX 구성정보,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ACK/NACK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부(1605)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정보와 DRX 구성정보를 같은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수신부(1605)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정보 및/또는 DRX 구성정보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605)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PDCCH를 통해 수신하고, ACK/NACK을 PHICH를 통해 수신한다.
RRC 처리부(1611)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기 위해 단말(1600)에 다수의 서빙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RRC 처리부(1611)는 RRC 연결 재구성을 완료하면, 이를 지시하는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전송부(1615)로 보낸다.
RRC 처리부(1611)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정보와 DRX 구성정보들을 확인하고, 각 정보내의 필드들의 내용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정보가 상기 표 2와 같은 구문으로 구성된 경우, RRC 처리부(1611)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정보 내에 cif-presence 필드 및/또는 schedulingCellID 필드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각 필드가 지시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RRC 처리부(1611)는 상기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거나 해제한다. 이를 RRC 연결 재구성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RRC 처리부(1611)가 주서빙셀에 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가 'true'로 설정됨을 확인하고, 부서빙셀에 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에 schedulingCellID 필드가 존재함과 상기 schedulingCellID 필드가 상기 주서빙셀을 지시함을 확인하면, RRC 처리부(1611)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에 따라 변경한다. 반면, RRC 처리부(1611)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에 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가 'false'로 설정됨을 확인하거나, 부서빙셀에 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에 schedulingCellID 필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면, RRC 처리부(1611)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해제한다.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에 의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이 적용되거나 해제되는 상태를 현재 CCS 구성상태라 하고,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가 반영되지 이전의 상태를 이전 CCS 구성상태라 한다.
DRX 제어부(1612)는 RRC 처리부(1611)에 의해 설정된 DRX 관련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DRX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DRX 제어부(1612)는 DRX 관련 타이머를 시작, 재시작, 만료할 수 있다. 그리고 DRX 제어부(1612)는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하고 활동시간을 확보하여, 전송부(1615)가 상기 활동시간에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일례로서, DRX 제어부(1612)는 상기 현재 CCS 구성상태를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또는 카운트)에 적용(또는 반영)하는 시점(변경 적용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변경 적용 시점의 일례는 수신부(1605)가 기지국(1650)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시점 또는 서브프레임이다. 변경 적용 시점의 다른 예는 수신부(1605)가 기지국(1650)으로부터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세지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한 시점 또는 서브프레임이다.
변경 적용 시점이 도래하지 않음을 확인하면, DRX 제어부(1612)는 상기 현재 CCS 구성상태에 기반하여 PDCCH 서브프레임 검출을 수행하지 않고, 이전의 CCS 구성상태를 기초로 단말은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전의 CCS 구성상태가 '주서빙셀=스케줄링 셀', '부서빙셀=피스케줄링 셀'이라면, 현재 CCS 구성상태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이 해제되어 '주서빙셀=스케줄링 셀', '부서빙셀=스케줄링 셀'이라 할지라도, DRX 제어부(1612)는 이전의 CCS 구성상태에 기반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한다. 즉 DRX 제어부(1612)는 주서빙셀을 스케줄링 셀로, 부서빙셀을 피스케줄링 셀로 보고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한다. 그리고 DRX 제어부(1612)는 이전 CCS 구성상태에 기반하여 검출되는 PDCCH 서브프레임에 따라서 DRX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변경 적용 시점이 도래하였음을 확인하면, DRX 제어부(1612)는 현재 CCS 구성상태에 기반하여 PDCCH 서브프레임 검출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되는 PDCCH 서브프레임에 따라서 DRX 동작(예컨대 DRX 관련 타이머의 카운트)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서, DRX 제어부(1612)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와 해제하는 경우를 나누어, 각 경우에 따라서 DRX 관련 타이머의 만료 또는 재시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 DRX 제어부(1612)는 도 10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반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해제하는 경우, DRX 제어부(1612)는 도 11 또는 도 12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RRC 처리부(1611)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에 schedulingCellID 필드의 존재를 확인하면, DRX 제어부(1612)는 DRX 활동시간 계속 중에 DRX 사이클이 시작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DRX 제어부(1612)가 활동시간 계속 중에 DRX 사이클이 시작됨을 확인하면, DRX 제어부(1612)는 DRX 관련 타이머를 상기 DRX 사이클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에 만료시키고, 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DRX 관련 타이머를 바로 재시작한다. 만약 DRX 제어부(1612)가 DRX 활동시간 계속 중에 DRX 사이클이 시작됨을 확인하지 못하면, DRX 제어부(1612)는 이전의 DRX 관련 타이머를 계속 진행한다.
만약 RRC 처리부(1611)가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schedulingCellID 필드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하면, DRX 제어부(1612)는 제1 활동시간이 제2 활동시간과 다른지 확인한다. 여기서 제1 활동시간은, 이전 CCS 구성상태가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DRX 제어부(1612)가 검출하는 PDCCH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DRX 관련 타이머를 카운트할 때 주어지는 활동시간을 의미한다. 제2 활동시간은, DRX 제어부(1612)가 현재 CCS 구성상태에서 기반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하고, 이렇게 검출되는 PDCCH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DRX 관련 타이머를 카운트할 때 주어지는 활동시간을 의미한다.
만약, 제1 활동시간이 제2 활동시간과 다르면, DRX 제어부(1612)는 DRX 관련 타이머의 만료시점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DRX 제어부(1612)는 DRX 관련 타이머의 만료시점을 도 11과 같이 DRX 사이클의 종료시점으로 변경할 수도 있고, 도 12와 같이 제1 활동시간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만약, 제1 활동시간이 제2 활동시간과 같으면, DRX 제어부(1612)는 DRX 관련 타이머의 만료시점을 변경하지 않는다.
활동시간의 변경과 관련된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DRX 제어부(1612)는 다음의 경우에 활동 시간을 지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600)이 CCS 구성 해제를 위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기지국(1260)으로부터 수신한 시점부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는 시점까지, DRX 제어부(1612)는 활동시간을 지속시킨다(도 12b의 S1275). 그리고 단말(1600)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기지국(1650)으로부터 수신 완료하면, DRX 제어부(1612)는 활동시간을 종료(즉, DRX 타이머와 무관하게)시킨다. 만일 진행 중인 DRX 타이머들이 존재하는 경우, DRX 제어부(1612)는 활동시간을 종료하지 않는다. 이에 따르면, 활동 시간은 단말(1600)이 CCS 구성의 해제를 위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단말(1600)의 C-RNTI로 어드레스된(addressed) 신규 전송을 지시하는 PDCCH를 수신하지 못하는 시간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송부(1615)는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RRC 처리부(1611)로부터 제공받아서 기지국(1650)으로 전송한다.
기지국(1650)은 전송부(1655), 기지국 프로세서(1660) 및 수신부(1665)를 포함한다. 기지국 프로세서(1660)는 RRC 처리부(1662) 및 파라미터 설정부(1661)를 포함한다.
파라미터 설정부(1661)는 단말(1600)에 특정하게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적용하거나 해제하도록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CS) 구성정보 내의 필드의 값들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단말(1600)에 적용하는 경우, 파라미터 설정부(1661)는 스케줄링 셀에 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를 'true'로 설정(set)한다. 그리고 피스케줄링 셀에 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schedulingCellInfo 필드를 스케줄링 셀에 해당하는 서빙셀 인덱스로 설정한다. 반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단말(1600)에서 해제하는 경우, 파라미터 설정부(1661)는 스케줄링 셀과 피스케줄링 셀에 관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cif-presence 필드를 모두 'false'로 설정한다.
또한, 파라미터 설정부(1661)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을 단말(1600)에 적용할 때에,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내의 schedulingCellInfo 필드를 스케줄링 셀에 해당하는 서빙셀 인덱스로 설정한다. 그리고 파라미터 설정부(1661)는 상기 설정된 필드의 값들을 RRC 처리부(1662)로 보낸다.
RRC 처리부(1662)는 설정된 필드의 값들을 기반으로 스케줄링 셀과 피스케줄링 셀에 대해 상기 표 2와 같은 구문의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를 생성한다. RRC 처리부(1662)는 ‘true’ 또는 ‘false’로 설정된 cif-presence 필드를 포함하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를 생성한다. 또는 RRC 처리부(1662)는 schedulingCellID 필드를 포함하는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전송부(1655)로 보낸다. 전송부(1655)는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를 단말(1600)로 전송한다. 전송부(1655)는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를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가 단말(1600)에 적용됨으로써 변경되는 DRX의 활동 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RRC 처리부(1662)는 새로운 DRX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RX 구성정보를 생성하여 전송부(1655)로 ㅂ보내면, 전송부(1655)는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와 DRX 구성정보를 함께 단말(1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및 상기 DRX 구성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단말(1600)의 RRC 처리부(1611)가 상기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 구성정보, 또는 DRX 구성정보를 사용하여 RRC 연결 재구성을 완료하면, 단말(1600)은 이를 나타내는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1650)으로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송부(1655)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PDCCH에 실어서 단말(1600)로 전송한다.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단말(1600)이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지시되는 상향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1600)으로 전송하면, 수신부(1665)는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전송부(1655)는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 수신의 성공 또는 실패를 지시하는 ACK/NACK을 단말(1600)로 전송한다.
RRC 처리부(1662)는 상기 ACK/NACK을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에 기반하여 단말(1600)의 DRX에 따른 활동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또는 RRC 처리부(1662)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에 기반하여 단말(1600)의 DRX에 따른 활동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수행방법에 있어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 이하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지시하는 CCS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CCS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구성된 다수의 서빙셀(serving cell)에 대해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서브프레임의 검출에 적용하는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시점이 도래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CCS가 구성 또는 해제된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PDCCH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RX의 수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은 상기 단말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완료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할당해주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시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DRX의 수행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은 상기 단말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완료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서 ACK/NACK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시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DRX의 수행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이 도래하지 않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CCS가 구성 또는 해제되기 이전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RX의 수행방법.
  5.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의한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하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지시하는 CCS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CCS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구성된 다수의 서빙셀(serving cell)에 대해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RRC 처리부; 및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를 PDCCH 서브프레임의 검출에 적용하는 시점이 도래하였는지 확인하되, 상기 시점이 도래함을 확인한 경우 상기 CCS가 구성 또는 해제된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PDCCH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DRX 동작을 수행하는 DRX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RRC 연결 완료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DRX 제어부는, 상기 RRC 연결 완료 메시지의 전송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해주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수신부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때를 상기 시점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 5 항에 있어서,
    RRC 연결 완료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DRX 제어부는, 상기 RRC 연결 완료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데 대한 응답으로서 ACK/NACK을 상기 수신부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때를 상기 시점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제어부가 상기 시점이 도래하지 않음을 확인한 경우,
    상기 DRX 제어부는 상기 CCS가 구성 또는 해제되기 이전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PDCCH 서브프레임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단말의 불연속 수신(이하 DRX) 제어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구성된 다수의 서빙셀에 대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하 CCS)을 구성 또는 해제하도록 cif-presence 필드와 schedulingCellID 필드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cif-presence 필드와 schedulingCellID 필드들을 포함하는 CCS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와 더불어 DRX 관련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DRX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CCS 구성정보와 상기 DRX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RX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ACK/NACK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ACK/NACK을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DRX에 따른 활동시간을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RX의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해주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DRX에 따른 활동시간을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RX의 제어방법.
  12.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불연속 수신(이하 DRX)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에 구성된 다수의 서빙셀에 대해,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이하 CCS)을 구성 또는 해제하도록 cif-presence 필드와 schedulingCellID 필드의 값을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부;
    상기 설정된 cif-presence 필드와 schedulingCellID 필드들을 포함하는 CCS 구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와 더불어 DRX 관련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DRX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RRC 처리부;
    상기 CCS 구성정보와 상기 DRX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ACK/NACK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RRC 처리부는 상기 ACK/NACK을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DRX에 따른 활동시간을 인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해주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RRC 처리부는,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CCS의 구성 또는 해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DRX에 따른 활동시간을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CS 구성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시점부터,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는 시점까지 상기 DRX 동작의 활동 시간으로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DRX의 수행방법.
KR1020120107115A 2012-09-26 2012-09-26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40040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115A KR20140040445A (ko) 2012-09-26 2012-09-26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115A KR20140040445A (ko) 2012-09-26 2012-09-26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445A true KR20140040445A (ko) 2014-04-03

Family

ID=5065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115A KR20140040445A (ko) 2012-09-26 2012-09-26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04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000A (ko) * 2015-08-14 2018-03-27 레노보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홍콩)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연한 업링크/다운링크 전송
KR20220061848A (ko) * 2020-11-06 2022-05-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서 프레임 운용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000A (ko) * 2015-08-14 2018-03-27 레노보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홍콩)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유연한 업링크/다운링크 전송
KR20220061848A (ko) * 2020-11-06 2022-05-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서 프레임 운용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5782B2 (en) Method for supporting discontinuous reception and apparatus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reconfiguration of wireless resource
KR102154745B1 (ko) 협대역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16249B1 (ko) 무선 자원의 용도 변경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55503B2 (en) Method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EP29872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nitoring ti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294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US9549395B2 (en) Method for dynamic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RU2687958C2 (ru)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между устройствам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WO20140699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cheduling groups of devices characteristic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454004B2 (ja) 搬送波集成を支援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6967450B2 (ja)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102330528B1 (ko) 반송파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01274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11933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rror for carrier aggregation and apparatus for same
JP6445142B2 (ja) 搬送波集成を支援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送受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EP3618493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JP603962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情報の送信方法及び装置
KR1022737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421234B2 (ja) 搬送波集成を支援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D2D(Device−to−Device)信号の受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20140040445A (ko)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125005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20034521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60150138A (ko) 업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