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871A -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871A
KR20140039871A KR1020120106661A KR20120106661A KR20140039871A KR 20140039871 A KR20140039871 A KR 20140039871A KR 1020120106661 A KR1020120106661 A KR 1020120106661A KR 20120106661 A KR20120106661 A KR 20120106661A KR 20140039871 A KR20140039871 A KR 2014003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keyboard
area
display unit
enl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현
오윤석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9871A/ko
Priority to US13/965,659 priority patent/US20140085208A1/en
Publication of KR2014003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자판의 오타를 방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장치는 본 발명은 터치자판을 포함하는 터치자판영역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제1 터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터치의 터치영역을 확대한 기 설정된 모양의 확대자판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는 플로팅(floating) 또는 호버링(hovering) 터치인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TOUCH SCREE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자판의 오타를 방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등과 같은 접촉 감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장치로서, 최근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제한된 폼팩터에서 다양한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접촉 감지 장치로 터치스크린의 채용 비율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길고 다양한 입력 방법과 제스처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그 적용 비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전용량 방식은 저항막 방식에 비해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가 용이하여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 폭넓게 적용된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터치자판이 이용되고 있다. 다만, 물리적 자판과 달리 터치자판은 손가락에서 물리적인 굴곡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 비교적 오타가 쉽게 나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 중 특허문헌 1은 멀티-이벤트 입력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터치스크린의 입력 오타를 개선하기 위하여 터치자판 상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에, 터치된 자판키를 판단하기 위하여 터치된 자판키를 확대하는 기술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특허문헌 1은 터치가 입력된 이후에 터치된 자판키를 확인할 수 있으나, 터치 입력 전에 터치가 될 자판키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효과적으로 오타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 US 2012/0011462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터치자판에 터치가 입력되기 전에, 손가락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터치자판을 포함하는 터치자판영역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제1 터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터치의 터치영역을 확대한 기 설정된 모양의 확대자판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는 플로팅(floating) 또는 호버링(hovering) 터치인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터치자판은 복수의 자판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터치의 터치영역에 포함되는 자판키 중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가 가장 큰 자판키를 상기 확대자판 내에서 기 설정된 강조색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를 복수 개 감지한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터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확대자판을 복수 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모양은, 원, 네모 및 삼각형 중 하나인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자판을 상기 터치자판영역 외의 화면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자판의 자판키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자판을 상기 표시영역에 포함되는 커서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터치자판을 포함하는 터치자판영역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제1 터치, 제2 터치 및 제3 터치 중 하나의 터치를 감지한 경우, 감지된 터치의 터치영역을 확대한 기 설정된 모양의 확대자판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는 정전용량 변화가 기 설정된 제1 기준값 이상 기 설정된 제2 기준값 미만인 터치이며, 상기 제2 터치는 정전용량 변화가 상기 제2 기준값 이상 기 설정된 제3 기준값 미만인 터치이며, 상기 3 터치는 정전용량 변화가 상기 제3 기준값 이상인 터치인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터치자판은 복수의 자판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 제2 터치 및 제3 터치 중 하나의 터치를 감지한 경우, 감지된 터치의 터치영역에 포함되는 자판키 중 상기 감지된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가 가장 큰 자판키를 상기 확대자판 내에서 기 설정된 강조색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강조색은 상기 제1 터치, 상기 제2 터치 및 상기 제3 터치에 각각 대응되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 상기 제2 터치 및 상기 제3 터치 중 하나의 터치를 복수 개 감지한 경우, 감지된 복수의 터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확대자판을 복수 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 상기 제2 터치 및 상기 제3 터치에 해당하는 터치를 복수 개 감지하는 경우, 감지된 복수의 터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확대자판을 복수 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자판의 자판키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2 기준값 이상의 터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2 기준값 이상의 터치에 대응하는 자판키의 상기 문자를 상기 표시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자판의 자판키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3 기준값 이상의 터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3 기준값 이상의 터치에 대응하는 자판키의 상기 문자를 상기 표시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자판을 상기 터치자판영역 외의 화면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자판의 자판키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자판을 상기 표시영역에 포함되는 커서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모양은, 원, 네모 및 삼각형 중 하나인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3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자판에 터치가 입력되기 전에도 손가락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 터치자판을 통한 입력시 오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터치의 구분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대자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포함한 전자기기(10)의 정면도이다. 도 1의 전자기기(10)는 휴대용 단말기 등 터치스크린(200)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전자기기(10)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기(10)는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00),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스크린(2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 외에도 음성 출력을 위한 오디오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는 터치자판을 포함하는 터치자판영역(300)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자판이란 터치입력 장치에 의한 터치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키보드를 의미하며, 터치자판은 복수의 자판키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디스플레이부(100)는 터치자판의 자판키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영역(400)이란 자판키가 터치가 되는 경우 자판키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문자가 출력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경우 터치스크린(200)이 디스플레이부(100)에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터치스크린(200)은 디스플레이부(100)가 표시하는 화면이 투과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빛 투과율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20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등과 같이 투명한 필름 재질의 베이스 기판에 투명하고 전기 전도성을 갖는 ITO(Indium-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탄소 나노 튜브(CNT, Carbon Nano Tube), 또는 그라핀(Graphene)과 같은 물질로 감지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베젤 영역에는 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감지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 패턴이 배치되며, 배선 패턴은 베젤 영역에 의해 시각적으로 차폐되므로 은(Ag), 구리(Cu) 등과 같은 금속 물질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정전용량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가정하므로, 소정의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극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정전용량 감지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터치스크린(200)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터치에 의해서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 및 정전용량 변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정전용량 변화를 기 설정된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제3 기준값과 비교하여 터치를 제1 터치, 제2 터치 및 제3 터치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터치의 구분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 순서대로 정전용량 변화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기준값 이상 제2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1 터치로 판단하고, 제2 기준값 이상 제3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2 터치로 판단하고, 제3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3 터치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터치는 터치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200) 상에 접촉되지 않고,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터치를 말한다. 정전용량 방식에 의한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스크린(200) 상에 터치입력 장치가 수 mm 위에 떠 있는 경우에도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터치를 플로팅(floating) 또는 호버링(hovering) 터치라 지칭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터치의 구분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도 3에는 터치입력 장치의 일 예로써 손가락이 도시되어 있으며, 터치스크린(200)을 포함하는 전자기기(1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터치는 도 3(a)와 같이 터치스크린(200) 상에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에 의한 터치를 말한다.
도 2를 살펴보면, 제3 터치는 제2 터치보다 정전용량의 변화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정전용량의 변화는 터치입력 장치의 종류, 터치입력 장치와 터치스크린(200)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에 따라 차이가 나게 되는 것으로, 도 3(b)(c)를 비교하여 보면, 정전용량의 변화 차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손가락과 터치스크린(200)의 접촉 면적을 상이하게 도시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정전용량의 변화 차이가 손가락과 터치스크린(200)의 접촉 면적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어부는 터치자판영역(300) 내에서 제1 터치 및 제2 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제1 터치 및 제2 터치에 대응하는 자판키를 표시영역(4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지 않고, 터치자판영역(300) 내에서 제3 기준값 이상의 제3 터치를 감지한 경우에만 제3 터치에 대응하는 자판키의 문자를 표시영역(400)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3 터치와 같이 정전용량 변화가 큰 딥(deep) 터치만을 자판키를 표시영역(400)에 표시하기 위한 터치로 판단하고, 제1 터치 및 제2 터치와 같이 정전용량 변화가 작은 가벼운 터치는 자판키를 터치입력 표시창에 표시하기 위한 터치로서 판단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서, 위와 달리, 제어부는 제2 기준값 이상의 제2 터치 및 제3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된 터치에 대응하는 자판키의 문자를 표시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자판(6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터치입력 장치의 일 예인 손가락이 터치자판영역(300) 내를, 구체적으로는 터치자판의 자판키 j 부근을, 터치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터치는 터치스크린(200)상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제2 터치 및 제3 터치일 수 있고, 손가락이 터치스크린(200)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에 의한 제1 터치일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는 터치자판의 자판키 j부근을 확대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어 있다. 터치자판영역(300) 내의 터치영역(500)을 확대한 화면을 후술할 바와 같이 확대자판(600)이라 지칭할 수 있다. 도 4에서 확대자판(600)은 원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네모 및 삼각형 모양으로도 가능하며, 또한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터치의 종류 및 터치가 입력되는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터치, 제2 터치 및 제3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가 입력되는 위치가 터치자판영역(300) 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터치영역(500)을 확대한 확대자판(600)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확대자판(600)이란 터치자판영역(300) 내에서 입력되는 터치영역(500)을 확대하여 표시한 화면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확대자판(600)이란 제1 내지 제3 터치 중 어느 하나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와 대응되는 터치자판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확대자판(600)을 터치자판영역(300) 외의 영역에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확대자판(600)이 표시영역(400)에 포함되는 커서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터치 및 제3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플로팅 터치와 같은 제1 터치를 감지한 경우에도, 즉 터치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200)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에도 터치자판을 확대한 확대자판(600)을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하여, 터치입력 장치가 터치자판 위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터치자판의 오타를 줄일 수 있다.
도 5 및 도6은, 도 4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자판(600)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300) 내에서 상기 제1 터치, 제2 터치 및 제3 터치 중 하나의 터치를 감지한 경우, 감지된 터치의 터치영역(500)에 포함되는 자판키 중 상기 감지된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가 가장 큰 자판키를 확대자판 내에서 기 설정된 강조색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강조색은 제1 터치, 제2 터치 및 제3 터치에 각각 대응되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자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에서, 입력장치의 일 예인 손가락은 터치자판 중 자판키 e 부근을 터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터치영역(500) 내에는 자판키 w, e, r이 포함되어 있으나, 제어부는 정전용량 변화가 가장 큰 자판키인 e를 진하게 강조하여 표시한 것을 알 수 있다. 터치영역(500)을 확대한 확대자판(600)영역에서 정전용량 변화가 가장 큰 자판키를 강조색으로 표시함으로써, 터치자판의 오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터치자판영역(300) 내에서 제1 터치, 제2 터치 및 제3 터치 중 하나의 터치를 복수 개 감지하는 경우 또는 제1 터치, 제2 터치 및 제3 터치에 해당하는 터치를 복수 개 감지하는 경우, 감지된 복수의 터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확대자판(600)을 복수 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장치의 일 예인 손가락은 터치 자판 중 자판키 e 부근 및 자판키 j 부근을 터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확대자판(600)은 자판키 e 부근의 터치 및 자판키 j 부근의 터치에 대응하여 2개의 확대자판(600)이 디스플레이부(100)에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복수의 터치에 대응하는 확대자판(600)을 각각 표시함으로써 복수의 손가락 또는 양손을 이용하여 터치를 하는 경우에도 오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전자기기
100 : 디스플레이부
200 : 터치스크린
300 : 터치자판영역
400 : 표시영역
500 : 터치영역
600 : 확대자판

Claims (17)

  1. 터치자판을 포함하는 터치자판영역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제1 터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터치의 터치영역을 확대한 기 설정된 모양의 확대자판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는 플로팅(floating) 또는 호버링(hovering) 터치인 터치스크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자판은 복수의 자판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터치의 터치영역에 포함되는 자판키 중 상기 제1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가 가장 큰 자판키를 상기 확대자판 내에서 기 설정된 강조색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를 복수 개 감지한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터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확대자판을 복수 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은,
    원, 네모 및 삼각형 중 하나인 터치스크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자판을 상기 터치자판영역 외의 화면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자판의 자판키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자판을 상기 표시영역에 포함되는 커서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7. 터치자판을 포함하는 터치자판영역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제1 터치, 제2 터치 및 제3 터치 중 하나의 터치를 감지한 경우, 감지된 터치의 터치영역을 확대한 기 설정된 모양의 확대자판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는 정전용량 변화가 기 설정된 제1 기준값 이상 기 설정된 제2 기준값 미만인 터치이며, 상기 제2 터치는 정전용량 변화가 상기 제2 기준값 이상 기 설정된 제3 기준값 미만인 터치이며, 상기 3 터치는 정전용량 변화가 상기 제3 기준값 이상인 터치인 터치스크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자판은 복수의 자판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 제2 터치 및 제3 터치 중 하나의 터치를 감지한 경우, 감지된 터치의 터치영역에 포함되는 자판키 중 상기 감지된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가 가장 큰 자판키를 상기 확대자판 내에서 기 설정된 강조색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조색은 상기 제1 터치, 상기 제2 터치 및 상기 제3 터치에 각각 대응되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 상기 제2 터치 및 상기 제3 터치 중 하나의 터치를 복수 개 감지한 경우, 감지된 복수의 터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확대자판을 복수 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터치, 상기 제2 터치 및 상기 제3 터치에 해당하는 터치를 복수 개 감지하는 경우, 감지된 복수의 터치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확대자판을 복수 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자판의 자판키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2 기준값 이상의 터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2 기준값 이상의 터치에 대응하는 자판키의 상기 문자를 상기 표시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자판의 자판키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자판영역 내에서 상기 제3 기준값 이상의 터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3 기준값 이상의 터치에 대응하는 자판키의 상기 문자를 상기 표시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자판을 상기 터치자판영역 외의 화면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자판의 자판키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자판을 상기 표시영역에 포함되는 커서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은,
    원, 네모 및 삼각형 중 하나인 터치스크린 장치.
  17. 제1항 또는 제7항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120106661A 2012-09-25 2012-09-25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140039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661A KR20140039871A (ko) 2012-09-25 2012-09-25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13/965,659 US20140085208A1 (en) 2012-09-25 2013-08-13 Touchscree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661A KR20140039871A (ko) 2012-09-25 2012-09-25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871A true KR20140039871A (ko) 2014-04-02

Family

ID=5033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661A KR20140039871A (ko) 2012-09-25 2012-09-25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85208A1 (ko)
KR (1) KR201400398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580A (ko)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확대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123461A (ko) * 2015-04-15 2016-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US9652097B2 (en) 2013-11-29 2017-05-16 Hideep Inc. Feedback method according to touch level and touch input device perform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277B1 (ko) * 2015-12-04 2017-07-31 주식회사 하이딥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기
US10359924B2 (en) * 2016-04-28 2019-07-23 Blackberry Limited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keyboard moveable relative to the display
CN108304122A (zh) * 2018-02-09 2018-07-20 北京硬壳科技有限公司 一种输出提示信息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2977A1 (en) *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Illuminated touchpad
US20090251422A1 (en) * 2008-04-08 2009-10-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interaction of a virtual keyboard provided through a small touch screen
US8451237B2 (en) * 2009-07-06 2013-05-28 Atmel Corporation Sensitivity control as a function of touch shap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2097B2 (en) 2013-11-29 2017-05-16 Hideep Inc. Feedback method according to touch level and touch input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10331337B2 (en) 2013-11-29 2019-06-25 Hideep Inc. Feedback method according to touch level and touch input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20160026580A (ko)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확대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123461A (ko) * 2015-04-15 2016-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85208A1 (en)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3954B2 (en) Keyboard with adaptive input row
CN105980974B (zh) 用于手势控制的系统及方法
US20150268802A1 (en) Menu control method and menu control devic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20140062875A1 (en) Mobile device with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to adjust state of graphical user interface or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nit, and including a hover sensing function
US898207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7126356A (ja) ディスプレイ対象の移動方向調節方法及び端末機
KR20140039871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JP5780438B2 (ja) 電子機器、位置指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73824A (ko) 터치 키패드 모듈 및 그 모드 스위칭 방법
US20150084921A1 (en) Floating touch method and touch device
US20150248186A1 (en) Touch panel
US20150185869A1 (en) Keyboard proximity sensing
JP2015099577A (ja) タッチパネル
KR101388793B1 (ko) 디지타이저 펜,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4166460B (zh) 一种电子设备及信息处理的方法
KR20150103455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US20150309604A1 (en) Touch panel module
JPWO2013099070A1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678213B1 (ko) 터치 영역 증감 검출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09183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150006328A (ko) 터치스크린 장치
WO2015093005A1 (ja) 表示システム
KR20160089680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20120096365A (ko) 슬라이딩을 이용한 터치스크린용 키패드 커서 이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2014075022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