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805A -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805A
KR20140039805A KR1020120106509A KR20120106509A KR20140039805A KR 20140039805 A KR20140039805 A KR 20140039805A KR 1020120106509 A KR1020120106509 A KR 1020120106509A KR 20120106509 A KR20120106509 A KR 20120106509A KR 20140039805 A KR20140039805 A KR 20140039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information
word
text
unit
hyper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8467B1 (ko
Inventor
양종문
Original Assignee
(주)앤드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앤드웍스 filed Critical (주)앤드웍스
Priority to KR102012010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467B1/ko
Priority to CN201380038830.7A priority patent/CN104487965A/zh
Priority to US14/406,573 priority patent/US20150189482A1/en
Priority to PCT/KR2013/003396 priority patent/WO2013187595A1/ko
Publication of KR2014003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텍스트(Text)를 작성하며, 작성된 텍스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어를 저장하는 단어 저장부; 단어 저장부에 등록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저장하는 링크정보 저장부; 텍스트 작성 시 단어 저장부에 저장된 단어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해당 단어에 하이퍼링크 시키는 하이퍼링크부; 및 하이퍼링크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링크정보가 하이퍼링크된 텍스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텍스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Link Information Joint System, Mobile and Text Transmit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때, 작성된 문서에 대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하이퍼링크를 생성하여 다양한 관련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최소한의 문자입력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검색의 편리성 및 문서작성의 간결성의 하나로 하이퍼링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이퍼링크는 사용자가 문서를 작성할 때, 하이퍼텍스트 문서 내의 하나의 단어나 구(phrase), 기호, 이미지 같은 요소와 그 문서 내의 다른 요소 또는 다른 하이퍼텍스트 문서 내의 다른 요소 사이의 연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문서를 작성할 때마다 기 작성된 관련 문서를 반복하여 작성할 필요가 줄어들며, 작성된 문서의 수신자는 필요시에만 하이퍼링크된 부분을 클릭하여 필요한 정보를 간단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하이퍼링크 방법은 사용자가 문서를 작성할 때마다 하이퍼링크가 필요한 단어, 구, 기호 등에 일일이 링크를 거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통신기술의 발달로 사용자는 이동 중에도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여 다른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동 중에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최소화될 필요가 있으므로 유선통신 단말기에 비하여 전달할 수 있는 문자의 수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다른 통신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의 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원하는 정보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방법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때, 작성된 문서에 대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하이퍼링크를 생성하여 다양한 관련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최소한의 문자입력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은, 텍스트(Text)를 작성하며, 작성된 상기 텍스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관련정보의 링크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단어 및 그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하는 수신자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링크정보 중 공유가 설정된 링크정보를 저장하며, 수신자단말기로부터의 수신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링크정보를 수신자단말기에 전송하는 링크정보 공유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텍스트(Text)를 작성하며, 작성된 텍스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어를 저장하는 단어 저장부; 단어 저장부에 등록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저장하는 링크정보 저장부; 텍스트 작성 시 상기 단어 저장부에 저장된 단어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해당 단어에 하이퍼링크 시키는 하이퍼링크부; 및 하이퍼링크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링크정보가 하이퍼링크된 텍스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텍스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텍스트 작성 시 상기 단어 저장부에 저장된 단어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의 하이퍼링크 여부를 선택하는 하이퍼링크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퍼링크부는 하이퍼링크 선택부에 의해 하이퍼링크가 선택된 경우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시킨다.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링크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링크정보에 대한 공유여부를 설정하는 공유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공유 설정부에 의해 공유가 설정된 링크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단어 및 링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정보 공유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 내의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하여 공유여부를 검색하며, 공유된 단어에 대한 링크정보를 수신하여 링크정보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링크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공유 설정부는 링크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링크정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공유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텍스트를 제3자단말기에 재전송하는 경우, 텍스트 전송부는 하이퍼링크된 단어 및 설정된 공유여부를 그대로 상기 제3자단말기에 재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텍스트 전송부에 의해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텍스트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전송시간, 하이퍼링크된 단어,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의 공유여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이퍼링크 선택부에 의한 선택에 대응하여 링크정보 저장부로부터 둘 이상의 링크정보가 검색되는 경우, 해당 텍스트를 수신하는 전송대상의 위치를 조회하는 위치 조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퍼링크부는 위치 조회부에 의해 조회된 위치에 기초하여 관련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전송방법은, 텍스트를 작성하며, 작성된 텍스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어를 저장하는 단계; 단어 저장단계에 의해 등록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텍스트 작성 시 단어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단어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해당 단어에 하이퍼링크 시키는 단계; 및; 및 하이퍼링크 단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가 하이퍼링크된 텍스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텍스트 전송방법은, 텍스트 작성 시 상기 단어 저장부에 저장된 단어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의 하이퍼링크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퍼링크단계는 하이퍼링크여부 선택단계에 의해 하이퍼링크가 선택된 경우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시킨다.
전술한 텍스트 전송방법은, 링크정보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링크정보에 대한 공유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공유 설정단계에 의해 공유가 설정된 링크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단어 및 링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정보 공유서버에 업로드한다.
전술한 텍스트 전송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 내의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하여 공유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공유된 단어에 대한 링크정보를 수신하여 링크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공유여부 설정단계는 링크정보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복수의 링크정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공유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텍스트를 제3자단말기에 재전송하는 경우, 텍스트 전송단계는 하이퍼링크된 단어 및 설정된 공유여부를 그대로 제3자단말기에 재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텍스트 전송방법은, 텍스트 전송단계에 의해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텍스트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전송시간, 하이퍼링크된 단어,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의 공유여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텍스트 전송방법은, 하이퍼링크 선택단계에 의한 선택에 대응하여 링크정보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링크정보 중 둘 이상의 링크정보가 검색되는 경우, 해당 텍스트를 수신하는 전송대상의 위치를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퍼링크 단계는 위치 조회단계에 의해 조회된 위치에 기초하여 관련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문자메시지, 메일 등을 작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에 간단한 동작만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링크정보가 하이퍼링크되어 수신자단말기에 전송되며, 이로써 수신자는 별다른 검색을 할 필요없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링크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관련정보를 보내고자 하는 단어를 설정하여 저장하며 그에 대응하는 링크정보의 공유여부를 설정할 수 있고, 해당 텍스트를 수신한 다른 회원은 자신이 필요한 링크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링크정보를 손쉽게 획득하여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동일한 단어에 대하여 회원들 사이에 공유되는 링크정보를 비교하여 최적의 링크정보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링크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문자메시지, 텍스트 등을 작성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간단한 동작을 통해 관련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문자의 입력수 및 입력시간을 줄이면서도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단어에 대한 링크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며, 자신이 설정한 링크정보를 텍스트 내에 하이퍼링크 시켜 타인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수신자가 특정한 관련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의 링크정보를 타인들과 공유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 사이에 해당 링크정보의 유용성, 정확성 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를 공유하는 사용자들 사이의 소셜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링크정보를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되는 링크된 단어들의 정렬방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되는 링크삭제/중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링크정보에 대응하는 관련정보의 팝업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표시되는 하이퍼링크된 텍스트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한 선택메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선택메뉴에 따라 관련정보가 전송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텍스트 전송시간 및 선택 여부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선택방식 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은 네트워크(10), 수신자단말기(20),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링크정보 공유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0)는 컴퓨터, 노트북 등의 단말기를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유선통신망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등의 3세대 이동통신망과,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무선 인터넷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과 같은 4세대 무선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을 말한다.
수신자단말기(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10)를 통해 하이퍼링크된 텍스트를 수신하는 수신대상으로서의 단말기로서, 컴퓨터나 노트북 등의 유무선 통신단말기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망이나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수신자단말기(20)에 문자메시지, 텍스트(Text)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같이 이동 중에 문자메시지, 텍스트 등의 작성이 가능하며, 작성된 문자메시지, 텍스트 등을 네트워크(10)를 통해 다른 통신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네트워크(10)를 통해 문자메시지, 텍스트 등을 전송하는 경로는 일반적인 SMS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메신저나 카카오톡 등과 같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포함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문자메시지, 텍스트 등(이하, '텍스트'라고 한다)을 작성 시, 입력되는 특정 단어에 대응하는 관련정보를 수신자단말기(20)의 사용자가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설정하며, 설정된 관련정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링크정보는 해당 단어에 대응하는 관련정보가 저장된 웹페이지에 대하여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와 같은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자신에 의해 설정된 관련정보를 링크정보 공유서버(200)에 업로드하여 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들과 공유하며, 타인 단말기에 의해 공유된 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설정한 관련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어 저장부(110), 링크정보 저장부(120), 하이퍼링크 선택부(130), 하이퍼링크부(140), 텍스트 전송부(150), 공유 설정부(160), 링크정보 수신부(170), 히스토리 저장부(180) 및 위치 조회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된 하드웨어 모듈에 의해 구현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모듈과 어플리케이션이 연동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단어 저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어를 저장한다. 즉, 단어 저장부(110)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작성할 경우에 관련정보를 함께 전송하기를 원하는 특정 단어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링크정보 저장부(120)는 단어 저장부(110)에 등록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링크정보 저장부(120)는 동일한 단어에 대하여 텍스트를 전송하는 대상의 위치, 연령, 성별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링크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정보 저장부(120)는 영화라는 단어에 대응하여 텍스트를 전송하는 대상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영화관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지역이라 하더라도 10대, 20대, 30대 등의 연령에 따라 서로 다른 영화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링크정보 저장부(120)에 복수의 링크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경우, 텍스트의 전송 대상에 따라 특정 링크정보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링크정보를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링크정보 저장부(120)에 링크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링크정보를 편집 또는 삭제하며, 저장된 링크정보 중에서 특정 링크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하이퍼링크 선택부(130)는 단어 저장부(110)에 등록된 단어에 대한 하이퍼링크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텍스트를 작성 시 단어 저장부(110)에 등록된 단어가 입력되면, 하이퍼링크 선택부(130)는 입력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의 하이퍼링크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작성하던 도중에 '학교'라는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단어가 단어 저장부(110)에 기 등록된 단어이며, 링크정보 저장부(120)에 해당 단어 '학교'에 대응하는 링크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해당 단어의 입력 전 또는 입력 후에 기 설정된 키(예를 들면 "@")를 입력함으로써 '학교'라는 단어에 대응하여 저장된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하이퍼링크 선택부(130)는 입력되는 단어의 글자 수에 따라 단어 저장부(110)에 저장된 관련된 단어들의 목록을 선택메뉴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어 저장부(110)에 학원, 학교, 학생, 학원가, 학교장, 학생주임, 학교앞 빵집 등의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먼저 '학'이라는 첫 글자를 입력할 때 해당 글자를 첫 글자로 포함하는 '학원, 학교, 학생, 학원가, 학교장, 학생주임, 학교앞 빵집'을 선택메뉴로 제공하며, 다음에 사용자가 '학교'라는 단어를 입력하면 그에 따라 '학교, 학교장, 학교앞 빵집'을 선택메뉴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메뉴를 통하여 하이퍼링크를 시키고자 하는 단어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이퍼링크 선택부(130)는 단어 저장부(110)에 저장된 단어에 대응하여 생성된 순서, 텍스트 수신자에 의해 해당 단어의 하이퍼링크가 오픈된 비율, 각각의 단어가 텍스트에 포함되어 발송된 비율, 각각의 단어에 관련되는 관련정보의 중요도 등에 따라 각각의 단어의 순서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홍대 레스토랑, 아지트, 가평 펜션 등의 단어들이 있다고 가정하면, 하이퍼링크 선택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각각의 단어들에 대하여 생성된 순서, 오픈된 비율의 순서, 발송된 비율의 순서, 해당 단어에 관련된 이벤트의 비중 등에 따라 그 배열순서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하이퍼링크부(140)는 텍스트 작성 시 단어 저장부(110)에 저장된 단어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해당 단어에 자동으로 하이퍼링크 시킬 수 있다. 또는, 하이퍼링크부(140)는 텍스트 작성 시 단어 저장부(110)에 저장된 단어가 입력되면, 해당 단어에 대하여 하이퍼링크 선택부(130)에 의해 하이퍼링크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며, 하이퍼링크 선택부(130)를 통해 하이퍼링크가 선택된 경우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시킬 수도 있다. 이때, 하이퍼링크부(140)는 동일한 단어에 대하여 둘 이상의 링크정보가 검색되는 경우, 후술하는 위치조회부(190)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전송하는 대상 단말기의 위치를 조회하거나, 텍스트를 전송하는 대상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성별, 연령 등을 포함하는 수신자정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 시킬 수도 있다.
텍스트 전송부(150)는 하이퍼링크부(14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링크정보가 하이퍼링크된 텍스트를 네트워크(10)를 통해 수신자단말기(20)에 전송한다.
공유 설정부(160)는 링크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링크정보에 대한 공유여부를 설정한다. 이때, 공유 설정부(160)는 공유가 설정된 링크정보를 링크정보 공유서버(200)에 업로드하여 타인 단말기들이 조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하여 공유 설정부(160)에 의해 공유가 설정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링크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링크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단어를 링크정보 공유서버(200)에 업로드함으로써 해당 단어에 대응하는 관련정보에 대한 링크정보를 타인 단말기가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공유 설정부(160)는 하이퍼링크되는 단어에 대응하여 공유 설정부(160)에 의해 공유가 되었는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설정부(160)는 링크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링크정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공유여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동일한 단어에 대하여 둘 이상의 링크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링크정보에 대한 공유 여부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텍스트 작성시에 제공하는 관련정보에 대하여 단어별로 공유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링크정보 공유서버(200)에 저장된 공유된 단어를 참조하여,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링크정보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링크정보를 삭제하거나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링크 리스트 내의 단어 중에서 특정 단어를 선택하여 링크를 삭제하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링크정보 수신부(17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 내의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하여 공유여부를 검색한다. 즉, 네트워크(10)를 통해 텍스트가 수신되면, 링크정보 수신부(17)는 수신되는 텍스트 내의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하여 해당 텍스트를 전송한 타인 단말기의 공유 설정부(160)가 공유를 설정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색한다. 이때,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하여 공유가 설정된 경우, 링크정보 수신부(170)는 링크정보 공유서버(200)로부터 공유된 단어에 대한 링크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링크정보를 링크정보 저장부(12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단어 저장부(110)에 저장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매번 자신이 직접 검색하여 링크정보 저장부(120)에 저장할 필요는 없으며, 회원들 사이에 공유된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의 링크정보를 갱신하거나 등록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링크정보에 대응하는 관련정보의 팝업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링크정보에 대응하는 관련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공유된 링크정보에 대한 유용성, 정확성 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자신이 설정한 링크정보의 유용성, 정확성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10)를 통해 타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를 다시 제3자 단말기에 재전송하는 경우, 텍스트 전송부(150)는 하이퍼링크된 단어 및 각각의 링크정보에 대한 공유여부를 그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타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텍스트 내의 특정 단어의 링크정보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한정하여 공유가 설정된 경우, 제3자단말기로 재전송되는 단어에 대한 링크정보는 공유가 차단되어 재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스토리 저장부(180)는 텍스트 전송부(150)에 의해 네트워크(10)로 전송되는 텍스트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전송시간, 하이퍼링크된 단어,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의 공유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수신자단말기(20)로 전송된 텍스트에 대하여 어느 단어에 어떠한 링크정보가 제공되었으며, 해당 링크정보가 수신자단말기(20)와 공유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위치 조회부(190)는 하이퍼링크 선택부(140)에 의한 선택에 대응하여 링크정보 저장부(120)로부터 둘 이상의 링크정보가 검색되는 경우, 해당 텍스트를 수신하는 수신자단말기(20)의 위치를 조회한다. 이 경우, 하이퍼링크부(140)는 위치 조회부(190)에 의해 조회된 위치에 기초하여 관련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 시킬 수 있다. 이때, 하이퍼링크부(140)는 수신자단말기(20)에 대응하는 수신자에 대한 성별, 연령 등을 포함하는 수신자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관련도가 높은 링크정보를 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수신자정보는 수신자단말기(20)에 대응하는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단어에 대한 링크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며, 자신이 설정한 링크정보를 텍스트 내에 하이퍼링크 시켜 타인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수신자가 특정한 관련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의 링크정보를 타인들과 공유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 사이에 해당 링크정보의 유용성, 정확성 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를 공유하는 사용자들 사이의 소셜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하드웨어적 구성요소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텍스트 작성 시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관련정보를 하이퍼링크시키고자 하는 단어를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단어 저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어를 저장하고(S110), 링크정보 저장부(120)는 단어 저장부(110)에 등록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저장한다(S120).
공유 설정부(160)는 링크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링크정보에 대한 공유여부를 설정한다(S130). 이때, 공유 설정부(160)는 공유가 설정된 링크정보를 링크정보 공유서버(200)에 업로드하여 타인 단말기들이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유 설정부(160)는 하이퍼링크되는 단어에 대응하여 공유 설정부(160)에 의해 공유가 되었는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설정부(160)는 링크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링크정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공유여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동일한 단어에 대하여 둘 이상의 링크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링크정보에 대한 공유 여부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하이퍼링크 선택부(130)는 단어 저장부(110)에 등록된 단어에 대한 하이퍼링크 여부를 선택한다(S140).
위치 조회부(190)는 하이퍼링크 선택부(140)에 의한 선택에 대응하여 링크정보 저장부(120)로부터 둘 이상의 링크정보가 검색되는 경우, 해당 텍스트를 수신하는 수신자단말기(20)의 위치를 조회한다(S150).
하이퍼링크부(140)는 하이퍼링크 선택부(130)의 선택에 따라 링크정보 저장부(120)로부터 해당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 시킨다(S160). 이때, 해당 단어에 대응하여 링크정보 저장부(120)로부터 둘 이상의 링크정보가 검색되는 경우, 하이퍼링크부(140)는 위치 조회부(190)에 의해 조회된 위치에 기초하여 관련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 시킬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입력되는 텍스트에 대하여 링크정보 저장부(120)로부터 특정 단어에 대응하는 둘 이상의 링크정보가 검색되는 경우, 하이퍼링크부(140)는 위치 조회부(190)에 의해 조회된 위치에 기초하여 수신자단말기(20)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 시킬 수 있다. 또한, 수신자단말기(20)의 위치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 링크정보가 둘 이상인 경우, 하이퍼링크부(140)는 수신자단말기(20)에 대응하는 수신자에 대한 성별, 연령 등을 포함하는 수신자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관련도가 높은 링크정보를 선정할 수도 있다.
텍스트 전송부(150)는 하이퍼링크부(14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링크정보가 하이퍼링크된 텍스트를 네트워크(10)를 통해 수신자단말기(20)에 전송한다(S17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자단말기에 의해 표시되는 하이퍼링크된 텍스트의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수신자단말기(20) 사이에 송수신되는 커뮤니케이션 대화에 하이퍼링크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때, 수신자단말기(20)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전송 서비스의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가로수길, 커피, 치킨, 쿠팡, 하프티켓, 가영이 유치원, 날씨 등의 단어를 설정하고 각각의 단어에 대응하는 각각의 관련정보를 관련정보 저장부(120)에 설정하여 저장한 경우, 하이퍼링크부(140)는 각각의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하며, 텍스트 전송부(150)는 이와 같이 하이퍼링크된 텍스트를 수신자단말기(2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자단말기(20) 또한, 수신자단말기(30)를 통해 작성되는 텍스트에 수신자에 의해 설정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수신자단말기(20)는 자신이 작성한 텍스트 및 하이퍼링크된 단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수신자단말기(20)에 전송되는 텍스트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한 선택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자단말기(20)에 명성부동산, 에어컨 이전, 인테리어, 이삿짐센터 등의 하이퍼링크된 단어들이 전송되어 표시되는 경우, '이삿짐센터'라는 단어에 대응하여 전화걸기, 인터넷/App, 지도, 메모 등과 같은 선택방식을 선택메뉴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정보 저장부(120)는 하이퍼링크된 단어 '이삿짐센터'에 대응하여 전화번호, 인터넷/App, 지도, 메모 등의 링크정보를 각각 저장하며, 수신자단말기(20)의 수신자가 선택메뉴에 기초하여 원하는 관련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이퍼링크된 단어 '이삿짐센터'에 대응하여 전화걸기, 인터넷/App, 지도, 메모가 선택메뉴로 제공되는 경우, 수신자단말기(20)의 수신자는 선택된 인터넷/App 메뉴에 대응하여 인터넷 웹 페이지와 링크된 "트윗이사"라는 상호의 이삿짐센터에 대한 관련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히스토리 저장부(180)는 텍스트 전송부(150)에 의해 네트워크(10)로 전송되는 텍스트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전송시간, 하이퍼링크된 단어, 수신자단말기(20)에 의한 선택여부,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의 공유여부 등의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80).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꽃님이'라고 예명이 설정된 수신자에 대하여 하이퍼링크된 텍스트들을 전송하였다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각각의 텍스트의 전송시간 및 각각의 하이퍼링크된 단어들에 대하여 수신자가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수신자가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히스토리 저장부(180)는 수신자단말기(20)로부터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히스토리 저장부(18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이퍼링크된 단어가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단어가 선택된 시간, 해당 단어가 선택된 선택방식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2에는 '가로수길'이라는 하이퍼링크된 단어가 메모->지도->전화->메모의 순서로 4번에 걸쳐 선택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전송내역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전송내역의 정보는 수신자단말기(20)에도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7)

  1. 텍스트(Text)를 작성하며, 작성된 상기 텍스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관련정보의 링크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단어 및 그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텍스트를 수신하는 수신자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링크정보 중 공유가 설정된 링크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수신자단말기로부터의 수신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링크정보를 상기 수신자단말기에 전송하는 링크정보 공유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
  2. 텍스트를 작성하며, 작성된 텍스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어를 저장하는 단어 저장부;
    상기 단어 저장부에 등록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저장하는 링크정보 저장부;
    텍스트 작성 시 상기 단어 저장부에 저장된 단어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해당 단어에 하이퍼링크 시키는 하이퍼링크부; 및
    상기 하이퍼링크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링크정보가 하이퍼링크된 텍스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텍스트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텍스트 작성 시 상기 단어 저장부에 저장된 단어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의 하이퍼링크 여부를 선택하는 하이퍼링크 선택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이퍼링크부는 상기 하이퍼링크 선택부에 의해 하이퍼링크가 선택된 경우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링크정보에 대한 공유여부를 설정하는 공유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 설정부에 의해 공유가 설정된 링크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단어 및 링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정보 공유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 내의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하여 공유여부를 검색하며, 공유된 단어에 대한 링크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링크정보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링크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설정부는 상기 링크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링크정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공유여부의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5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텍스트를 제3자단말기에 재전송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전송부는 하이퍼링크된 단어 및 설정된 공유여부를 그대로 상기 제3자단말기에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전송부에 의해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텍스트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전송시간, 하이퍼링크된 단어,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의 공유여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선택부에 의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링크정보 저장부로부터 둘 이상의 링크정보가 검색되는 경우, 해당 텍스트를 수신하는 전송대상의 위치를 조회하는 위치 조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이퍼링크부는 상기 위치 조회부에 의해 조회된 위치에 기초하여 관련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텍스트를 작성하며, 작성된 텍스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어 저장단계에 의해 등록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텍스트 작성 시 상기 단어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단어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해당 단어에 하이퍼링크 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하이퍼링크 단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가 하이퍼링크된 텍스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텍스트 작성 시 상기 단어 저장부에 저장된 단어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의 하이퍼링크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이퍼링크단계는 상기 하이퍼링크여부 선택단계에 의해 하이퍼링크가 선택된 경우에 대응하는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정보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링크정보에 대한 공유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 설정단계에 의해 공유가 설정된 링크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단어 및 링크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정보 공유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 내의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하여 공유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공유된 단어에 대한 링크정보를 수신하여 링크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여부 설정단계는 상기 링크정보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복수의 링크정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공유여부의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텍스트를 제3자단말기에 재전송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전송단계는 하이퍼링크된 단어 및 설정된 공유여부를 그대로 상기 제3자단말기에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전송단계에 의해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텍스트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전송시간, 하이퍼링크된 단어, 하이퍼링크된 단어에 대응하는 링크정보의 공유여부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링크 선택단계에 의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링크정보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링크정보 중 둘 이상의 링크정보가 검색되는 경우, 해당 텍스트를 수신하는 전송대상의 위치를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이퍼링크 단계는 상기 위치 조회단계에 의해 조회된 위치에 기초하여 관련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를 하이퍼링크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전송방법.
KR1020120106509A 2012-06-12 2012-09-25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 KR101538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09A KR101538467B1 (ko) 2012-09-25 2012-09-25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
CN201380038830.7A CN104487965A (zh) 2012-06-12 2013-04-22 为移动通信终端提供相关信息的装置及共享相关信息的系统
US14/406,573 US20150189482A1 (en) 2012-06-12 2013-04-22 Device for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for mon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for sharing related information
PCT/KR2013/003396 WO2013187595A1 (ko) 2012-06-12 2013-04-22 이동통신 단말기용 관련정보 제공장치 및 관련정보 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09A KR101538467B1 (ko) 2012-09-25 2012-09-25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805A true KR20140039805A (ko) 2014-04-02
KR101538467B1 KR101538467B1 (ko) 2015-07-22

Family

ID=5065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509A KR101538467B1 (ko) 2012-06-12 2012-09-25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231A (ko) * 2014-08-11 2016-02-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운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201B1 (ko) * 2011-10-04 2012-12-07 주식회사 소머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다국어 광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231A (ko) * 2014-08-11 2016-02-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467B1 (ko)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236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uto-reply messages
US20100081461A1 (en) SMS Based Social Networking
US20170289071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nomous messaging integration
JP6368857B2 (ja) チャットメッセージをタギング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CN105027587B (zh) 利用结构化实体扩充的消息
US20180069828A1 (en)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therein
KR20160016531A (ko) 번역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538467B1 (ko) 링크정보 공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전송방법
US20150189482A1 (en) Device for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for mon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for sharing related information
KR102347070B1 (ko) 단말기의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971474B1 (ko) 멀티 컨텐츠 원 포스트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다이어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33873A (ko)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110104448A (ko) 모바일에서의 웹을 활용한 전화발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38803A (ko) 양방향 통신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관리 서버
Mairn Three things you can do today to get your library ready for the mobile experience
CN106790959A (zh) 一种信息发送的方法和移动终端
WO201600814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uto-reply messages
KR1012267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관련정보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JP5727810B2 (ja) 言語能力判定装置、言語能力判定方法、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703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ing service
KR101795620B1 (ko) 스마트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1564577B1 (ko) 단말장치 및 스마트카드 및 수신 메시지 처리 방법
KR20230159105A (ko)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10085501A (ko)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 간의 데이터베이스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9311B1 (ko)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27

Effective date: 201503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