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391A -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391A
KR20140039391A KR1020120104842A KR20120104842A KR20140039391A KR 20140039391 A KR20140039391 A KR 20140039391A KR 1020120104842 A KR1020120104842 A KR 1020120104842A KR 20120104842 A KR20120104842 A KR 20120104842A KR 20140039391 A KR20140039391 A KR 20140039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rip
opening
platform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우
이성진
김재모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9391A/ko
Publication of KR2014003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위치로 회동가능한 가동접촉자를 구비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주 회로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 회로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 회로부에 이상전류 발생시 흡인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를 개방 구동위치로 동작하도록 트리거시키기 위해 트립바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립부를 구비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커버의 누름 지지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전면 양측에 동일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승강대와 함께 상승되어 상기 트립바가 트립 해지 위치로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 지지하는 한 쌍의 걸림돌기 및, 상기 승강대의 일측 하단 부위와 상기 본체의 상단 부위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버 분리시 상기 승강대를 상승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커버를 분리시 트립바가 트립 위치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로부터 커버를 분리시킨 상태에서도 트립바의 트립 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트립바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걸림 지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선로의 과부하 및 단락 등의 이상 발생시 선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차단하여 부하 및 선로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본체와, 커버와, 전원측과 부하측을 연결하는 회로부와, 기구적으로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개폐시키는 개폐부와, 전원측에서 과전류나 순시전류 또는 단락전류 등의 이상전류 및 사고전류의 발생을 검출하여 개폐기구가 동작되도록 트립바가 구비되는 트립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내부 부품을 수리하는 등의 목적으로 커버를 분리시키는 경우, 트립바가 트립 해지 위치로 회전될 수 있어 감전 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3049호(2006년 10월 3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배선용 차단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위치가 유지되는 승강대의 걸림돌기를 이용하여 트립바가 트립 위치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대의 중앙을 기준으로 걸림돌기를 양측에 각각 형성시켜 트립바의 트립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본체로부터 커버를 분리시킨 상태에서도 트립바의 트립 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트립바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걸림 지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위치로 회동가능한 가동접촉자를 구비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주 회로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 회로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 회로부에 이상전류 발생시 흡인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를 개방 구동위치로 동작하도록 트리거시키기 위해 트립바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립부를 구비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커버의 누름 지지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전면 양측에 동일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승강대와 함께 상승되어 상기 트립바가 트립 해지 위치로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 지지하는 한 쌍의 걸림돌기 및, 상기 승강대의 일측 하단 부위와 상기 본체의 상단 부위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버 분리시 상기 승강대를 상승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축이 더 결합되며, 상기 승강대는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일면에 상기 걸림돌기들이 설치되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축들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이 고정되는 제1걸림구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의 하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고정되는 제2걸림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들은 상기 승강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의 양 방향에서 인장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위치가 유지되는 승강대의 걸림돌기를 이용하여 트립바가 트립 위치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대의 중앙을 기준으로 걸림돌기를 양측에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본체로부터 커버를 분리시킨 상태에서도 트립바의 트립 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트립바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걸림 지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승강대와 걸림돌기 및 탄성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본체(10)와, 커버(20)와, 주 회로부와, 개폐부(30)와, 트립부(40)와, 승강대(100)와, 걸림돌기(200) 및, 한 쌍의 탄성부재(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커버(20)는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나의 함 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양측에는 전원측 단자(미도시)와 부하측 단자(미도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축(11)이 더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축(11)들은 상하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축(11)들은, 후술 될 수직바(120)의 가이드홈(121)에 대응되게 결합되어 승강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주 회로부(미도시)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접촉자(미도시)와,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위치로 회동가능한 가동접촉자(미도시)를 구비하여 회로를 개폐한다.
개폐부(3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주 회로부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부(31)에는 커버(20)를 관통한 조작 핸들(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트립부(4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주 회로부에 이상전류 발생시 흡인력에 의해 개폐부(30)를 개방 구동위치로 동작하도록 트리거시킨다.
여기서, 상기 트립부(40)는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와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고정단자와 가동단자가 기구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트립바(4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트립바(40)와 연동하는 기구부(미도시)들이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승강대(100)는, 본체(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된 커버(20)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상기 커버(20)의 가압력이 해지되는 경우에, 후술 될 탄성부재(300)의 인장력에 의해 상승 위치되어 트립바(41)의 회동을 제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대(100)는 수평바(110) 및, 수직바(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평바(110)는, 본체(10)의 측방으로 길이를 가지는 빔 형상을 가지며, 전명에는 후술 될 걸림돌기(200)들이 설치된다.
즉, 상기 수평바(110)는 본체(10)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된다.
수직바(120)는, 수평바(110)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120)들에는 전술한 가이드축(11)들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홈(121)은, 측방으로 관통 형성된 장 홀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기 수직바(120)들이 승강할 때 전술한 가이드축(11)에 상단 및 하단이 선택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걸림돌기(200)들은, 승강대(100)의 전면 양측에 동일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전술한 트립바(41)의 회전을 제한한다.
물론, 상기 걸림돌기(200)들은 한 쌍으로 구비되지 않고 더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200)들은 승강대(100)의 하부로 수직 연장된 후,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한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돌기(200)들의 수평한 단부가 트립바(41)의 하단을 걸림 지지하게 되므로, 트립바(41)가 트립 위치에서 해지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다시 말해, 상기 걸림돌기(200)들은 커버(2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승강대(100)와 함께 상승되어, 트립바(41)가 회전하여 트립 해지 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걸림 지지한다.
탄성부재(300)들은, 승강대(100)의 일측 하단 부위와 본체(10)의 상단 부위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00)들은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300)들은, 본체(10)로부터 커버(20) 분리시 승강대(100)를 상승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탄성부재(300)의 상단이 고정되는 제1걸림구(12)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수직바(120)의 하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탄성부재(300)들의 하단이 고정되는 제2걸림구(1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걸림구(12)와 제2걸림구(123)에 각각 고정되는 탄성부재(300)들의 인장력에 의해, 승강대(100)는 일 방향으로 힘이 편중되지 않고 전후 방향에 균등한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300)들은 수직바(120)들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120)들의 양 방향에서 인장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바(110)는 양측의 수직바(120)에 균일하게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힘이 편중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위치가 유지되는 승강대(100)의 걸림돌기(200)를 이용하여 트립바(41)가 트립 위치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대(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걸림돌기(200)를 양측에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본체(10)로부터 커버를 분리시킨 상태에서도 트립바(41)의 트립 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트립바(41)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걸림 지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본체 11: 가이드축
12: 제1걸림구 20: 커버
30: 개폐부 31: 조작 핸들
40: 트립부 41: 트립바
100: 승강대 110: 수평바
120: 수직바 121: 가이드홈
122: 제2걸림구 200: 걸림돌기
300: 탄성부재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위치로 회동가능한 가동접촉자를 구비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주 회로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 회로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 회로부에 이상전류 발생시 흡인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를 개방 구동위치로 동작하도록 트리거시키기 위해 트립바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립부를 구비하는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커버의 누름 지지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전면 양측에 동일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승강대와 함께 상승되어 상기 트립바가 트립 해지 위치로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 지지하는 한 쌍의 걸림돌기 및,
    상기 승강대의 일측 하단 부위와 상기 본체의 상단 부위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버 분리시 상기 승강대를 상승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축이 더 결합되며,
    상기 승강대는,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일면에 상기 걸림돌기들이 설치되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축들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이 고정되는 제1걸림구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의 하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고정되는 제2걸림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들은,
    상기 승강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의 양 방향에서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KR1020120104842A 2012-09-21 2012-09-21 배선용 차단기 KR20140039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842A KR20140039391A (ko) 2012-09-21 2012-09-21 배선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842A KR20140039391A (ko) 2012-09-21 2012-09-21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391A true KR20140039391A (ko) 2014-04-02

Family

ID=5065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842A KR20140039391A (ko) 2012-09-21 2012-09-21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93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6570B2 (en) Interlock device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ard
KR101078181B1 (ko) 누전차단기
KR101071097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CN101562099B (zh) 用于电气保护装置的机电式联锁装置
ES2874565T3 (es) Módulos de desconexión de conmutación fusibles y dispositivos con detección de corriente en línea
KR101804583B1 (ko) 누전 차단기의 트립장치
KR200442291Y1 (ko) 기중차단기 및 그에 사용되는 링크
KR101191571B1 (ko) 기중 차단기
CN104409292B (zh) 漏电断路器
JP2013258000A5 (ko)
KR101777614B1 (ko) 차단기의 접점 상태 표시 장치
KR20140039391A (ko) 배선용 차단기
CN208908208U (zh) 一种漏电保护器
KR200462420Y1 (ko)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 소호 장치
CN106876220B (zh) 断路器的热过载报警不脱扣装置
KR100767472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용 수동 조작 장치
KR200406793Y1 (ko) 가정용 누전 차단기
KR20040028431A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KR102602302B1 (ko) 배전반의 컨트롤 잭 자동 동작 어셈블리
EP2899740B1 (en) Trip devic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2569202B1 (ko) 직류용 회로 차단기용 고정 접촉자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용 회로 차단기
KR10128575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크로스바
KR200482929Y1 (ko) 차단기용 리프터
CN205723394U (zh) 断路器的热磁脱扣装置
KR102281954B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