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179A -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179A
KR20140038179A KR1020120104580A KR20120104580A KR20140038179A KR 20140038179 A KR20140038179 A KR 20140038179A KR 1020120104580 A KR1020120104580 A KR 1020120104580A KR 20120104580 A KR20120104580 A KR 20120104580A KR 20140038179 A KR20140038179 A KR 20140038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ume
speaker
outpu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577B1 (ko
Inventor
김양수
방경호
손백권
장근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577B1/ko
Priority to US14/033,231 priority patent/US9444423B2/en
Publication of KR2014003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being dependent upon ambient noise level or sound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control of the receiver volume to provide a dual operational mode at close or far distance from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출력 신호를 고려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은, 마이크를 통해 제 1 신호가 입력되는 중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2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유사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증폭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VOLUME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출력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를 통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휴대용 전자 장치는 기 설정된 음량으로 통화 서비스를 위한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 장치의 주변 잡음이 심한 경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출력 신호는 주변 잡음에 의해 마스킹되어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출력 신호를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주변 잡음에 의해 출력 신호가 마스킹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변 잡음에 따른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주변 잡음의 크기를 확인한다. 이후, 휴대용 전자 장치는 주변 잡음의 크기에 따라 출력 신호의 음량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하지만, 휴대용 전자 장치는 하울링도 주변 잡음으로 인식하므로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하울링에 의해 출력 신호의 음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하울링을 고려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출력 신호가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에서 출력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은, 마이크를 통해 제 1 신호가 입력되는 중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2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유사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증폭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1 신호의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증폭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 1 신호가 입력되는 중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2 신호의 유사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증폭 여부를 결정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1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증폭 여부를 결정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출력 신호가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거나, 유입될 가능성이 큰 경우,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한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사용자가 주변 잡음이 심한 환경에서도 통화 상대방과 원활한 통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자기 상관 방식을 이용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피치 검출 방식을 이용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출력 신호를 고려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및 MP3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전자 장치(100)는 전면부에 표시장치(102)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표시 장치(102)의 상부에는 통화를 위한 이어 피스(ear-piece)(110)가 설치되고, 표시 장치(102)의 하부에는 통화를 위한 마이크(micro phone)(120)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이어 피스(110)를 통해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120)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잡음(124)에 의해 사용자가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120)를 통해 유입되는 주변 잡음(124)의 크기에 따라 이어 피스(110) 또는 외부 스피커의 출력 음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120)를 통해 유입되는 주변 잡음(124)의 크기에 따라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하울링 정보를 고려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12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122), 주변 잡음(124) 및 전자 장치의 출력 신호(112)(이하, "하울링 신호"라 칭함)를 입력받을 수 있다. 만일, 전자 장치(100)가 마이크(120)로 유입된 하울링 신호(112)를 잡음으로 인식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주변 잡음(124)이 없어도 하울링 신호(112)로 인해 출력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120)를 통해 하울링 신호(112)가 유입되는 경우, 출력 음량을 조절하지 않는다. 즉,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120)를 통해 유입되는 하울링 신호(112)의 존재 여부에 따라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울링은 이어 피스(110) 또는 전자 장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신호가 마이크(120)로 유입되는 현상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220), 오디오 처리부(230), 통신부(240), 입출력 제어부(250), 표시부(260) 및 입력 장치(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210)는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21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2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212)는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에서 하울링 신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 값을 저장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11)는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214)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2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은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되는 하울링 신호의 존재 여부에 따라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은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상관도를 고려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즉,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상관도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은 마이크(232)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유입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은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상관도가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은 마이크(232)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유입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은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통해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주변 잡음에 따라 출력 음량을 조절한다. 이때,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은 송화 신호와 출력 신호의 주파수 특성, 자기 상관 방식(auto correlation) 및 피치 검출 방식(pitch detectio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상관도를 결정한다. 여기서, 송화 신호는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되는 오디오 신호, 잡음 신호 및 하울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응용프로그램(214)은 전자장치(2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유닛(2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2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2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2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2) 및 주변 인터페이스(223)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221)는 프로세서(2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210) 접근을 제어한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3)는 전자장치(2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2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221)의 연결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장치(200)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222)는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는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을 실행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하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30)는 스피커(231) 및 마이크(232)를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2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오디오 처리부(230)는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신호를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232)를 통해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스피커(231)는 이어 피스와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통신부(240)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통신부(240)는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다.
입출력 제어부(250)는 표시부(260) 및 입력 장치(27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260)는 전자장치(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만일, 표시부(26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부(260)는 터치 정보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입력부는 터치 패널을 통해 감지된 터치 펜 또는 손가락에 의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25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220)으로 제공한다.
입력 장치(27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25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220)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70)는 전자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 장치(2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2)는 잡음 확인부(300) 및 음량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잡음 확인부(300)는 프로그램 저장부(211)에 저장된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을 실행하여 마이크(232)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유입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잡음 확인부(300)는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상관도를 고려하여 마이크(232)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유입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잡음 확인부(300)는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상관도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잡음 확인부(300)는 자기 상관 방식을 이용하여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상관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잡음 확인부(300)는 피치 검출 방식을 이용하여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상관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송화 신호는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되는 오디오 신호, 잡음 신호 및 하울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잡음 확인부(300)는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잡음의 크기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잡음 확인부(300)는 음성 감지(VAD: Voice Activity Detection)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신호와 잡음신호를 구분한다. 이후, 잡음 확인부(300)는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다.
음량 제어부(310)는 프로그램 저장부(211)에 저장된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을 실행하여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음량 제어부(310)는 마이크(232)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유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잡음 확인부(300)에서 마이크(232)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유입된 것으로 인식한 경우, 음량 제어부(310)는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잡음 확인부(300)에서 마이크(232)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유입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 경우, 음량 제어부(310)는 잡음 확인부(300)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잡음 크기에 따라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음량 증폭비를 결정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프로그램 저장부(211)에 저장된 음량 제어 프로그램(213)을 실행하는 프로세서(222)를 이용하여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하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오디오 처리부(230)를 이용하여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처리부(230)는 코덱(Codec)(400) 및 음량 조절 제어부(410)를 포함한다.
코덱(400)은 프로세서 유닛(220)으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 유닛(220)으로 제공한다.
음량 조절 제어부(410)는 하울링 신호의 존재 여부에 따라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음량 조절 제어부(410)는 잡음 확인부(412) 및 음량 제어부(414)를 포함한다.
잡음 확인부(412)는 마이크(232)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유입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잡음 확인부(412)는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상관도를 고려하여 마이크(232)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유입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잡음 확인부(412)는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상관도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잡음 확인부(412)는 자기 상관 방식을 이용하여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상관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잡음 확인부(412)는 피치 검출 방식을 이용하여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상관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송화 신호는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되는 오디오 신호, 잡음 신호 및 하울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잡음 확인부(412)는 마이크(232)를 통해 유입된 잡음의 크기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잡음 확인부(412)는 음성 감지(VAD)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신호와 잡음신호를 구분한다. 이후, 잡음 확인부(412)는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다.
음량 제어부(414)는 마이크(232)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유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음량 증폭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잡음 확인부(412)에서 마이크(232)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유입된 것으로 인식한 경우, 음량 제어부(414)는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잡음 확인부(412)에서 마이크(232)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유입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 경우, 음량 제어부(414)는 잡음 확인부(412)로부터 제공받은 주변 잡음 크기에 따라 스피커(231)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음량 증폭비를 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501단계에서 마이크를 통해 송화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232)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 신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송화 신호는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는 오디오 신호, 잡음 신호 및 하울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송화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스피커는 이어 피스와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를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를 고려하여 출력 음량을 증폭할 것인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의 유사성을 확인한다. 만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가 유사한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에 의한 하울링 신호가 포함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출력 음량을 증폭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즉, 전자 장치는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가 유사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에 의한 하울링 신호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라 출력 음량을 증폭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즉, 전자 장치는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출력 음량을 증폭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출력 음량을 증폭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전자 장치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음량을 증폭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음량 증폭비를 결정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음량 증폭비에 따라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자기 상관 방식을 이용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601단계에서 마이크를 통해 송화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232)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 신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송화 신호는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는 오디오 신호, 잡음 신호 및 하울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송화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스피커는 이어 피스와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를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자기 상관을 통해 송화 신호와 출력 신호의 상관도를 분석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송화 신호와 출력 신호의 상관도와 기준 값을 비교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송화 신호와 출력 신호의 상관도가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하울링 신호가 포함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자동 음량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송화 신호와 출력 신호의 상관도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하울링 신호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하울링 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자동 음량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음성 감지(VAD)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송화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와 잡음신호를 구분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다.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른 음량 증폭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음량 증폭 테이블에서 609단계에서 확인한 잡음 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음량 증폭비를 선택한다. 여기서, 음량 증폭 테이블은 각각의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른 음량 증폭비 정보를 포함한다.
음량 증폭비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음량 증폭비에 따라 출력 신호의 음량을 증폭한다.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611단계에서 결정한 음량 증폭비에 따라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701단계에서 마이크를 통해 송화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232)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 신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송화 신호는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는 오디오 신호, 잡음 신호 및 하울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송화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스피커는 이어 피스와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를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신호의 주파수 특성의 상관도를 분석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709단계로 진행하여 송화 신호와 출력 신호의 상관도와 기준 값을 비교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송화 신호와 출력 신호의 상관도가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하울링 신호가 포함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자동 음량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송화 신호와 출력 신호의 상관도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하울링 신호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하울링 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711단계로 진행하여 자동 음량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음성 감지(VAD)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송화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와 잡음신호를 구분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다.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713단계로 진행하여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른 음량 증폭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음량 증폭 테이블에서 711단계에서 확인한 잡음 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음량 증폭비를 선택한다. 여기서, 음량 증폭 테이블은 각각의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른 음량 증폭비 정보를 포함한다.
음량 증폭비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715단계로 진행하여 음량 증폭비에 따라 출력 신호의 음량을 증폭한다.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713단계에서 결정한 음량 증폭비에 따라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피치 검출 방식을 이용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801단계에서 마이크를 통해 송화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232)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 신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송화 신호는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는 오디오 신호, 잡음 신호 및 하울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803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로 송화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스피커는 이어 피스와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 신호를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805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신호의 피치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피치 정보는 송화 신호와 출력 신호의 유성음 부분(voiced part)의 주기를 나타낸다. 즉, 오디오 신호는 주기적인 유성음과 비주기적인 무성음(unvoiced part)으로 구분된다. 이때, 오디오 신호의 유성음 부분의 주기를 피치 정보라 칭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807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 신호의 피치 정보의 상관도를 분석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809단계로 진행하여 송화 신호와 출력 신호의 상관도와 기준 값을 비교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송화 신호와 출력 신호의 상관도가 기준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하울링 신호가 포함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자동 음량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송화 신호와 출력 신호의 상관도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하울링 신호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하울링 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811단계로 진행하여 자동 음량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음성 감지(VAD)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송화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와 잡음신호를 구분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다.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813단계로 진행하여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른 음량 증폭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음량 증폭 테이블에서 811단계에서 확인한 잡음 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음량 증폭비를 선택한다. 여기서, 음량 증폭 테이블은 각각의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른 음량 증폭비 정보를 포함한다.
음량 증폭비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815단계로 진행하여 음량 증폭비에 따라 출력 신호의 음량을 증폭한다.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813단계에서 결정한 음량 증폭비에 따라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송화 신호에 하울링 신호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하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출력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901단계에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903단계로 진행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크기와 기준 크기를 비교하여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크기와 기준 크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입력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자동 음량 자동 음량 조절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여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크기와 기준 크기보다 작은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하울링 신호가 입력될 확률이 낮은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905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를 통해 송화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마이크(232)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 신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송화 신호는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는 오디오 신호 및 잡음 신호를 포함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907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송화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음성 감지(VAD)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송화 신호에 포함된 음성 신호와 잡음신호를 구분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다.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909단계로 진행하여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른 음량 증폭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음량 증폭 테이블에서 907단계에서 확인한 잡음 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음량 증폭비를 선택한다. 여기서, 음량 증폭 테이블은 각각의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른 음량 증폭비 정보를 포함한다.
음량 증폭비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911단계로 진행하여 음량 증폭비에 따라 출력 신호의 음량을 증폭한다. 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909단계에서 결정한 음량 증폭비에 따라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오디오 처리부(230)를 이용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자동 음량 제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서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제 1 신호가 입력되는 중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2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유사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증폭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증폭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상관도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상관도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상관도가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도를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주파수 특성에 대한 상관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도를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Auto correlation)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상관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도를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피치(pitch) 성분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피치 성분에 대한 상관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른 음량 증폭비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량 증폭비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전자 장치에서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1 신호의 크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증폭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증폭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 1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제 1 신호가 입력되는 중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2 신호의 유사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증폭 여부를 결정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상관도를 분석하는 잡음 확인부와,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상관도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증폭 여부를 결정하는 음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제어부는,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상관도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지 않고,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상관도가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는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확인부는,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주파수 특성에 대한 상관도를 확인하는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확인부는,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Auto correlation)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상관도를 확인하는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확인부는,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피치(pitch) 성분에 대한 상관도를 확인하는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제어부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른 음량 증폭비를 결정하고, 상기 음량 증폭비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는 장치.
  1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1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 증폭 여부를 결정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제 1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고,
    상기 제 1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는 경우,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된 잡음 신호의 크기에 따른 음량 증폭비를 결정하고, 상기 음량 증폭비를 고려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증폭하는 장치.
KR1020120104580A 2012-09-20 2012-09-20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56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580A KR101956577B1 (ko) 2012-09-20 2012-09-20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033,231 US9444423B2 (en) 2012-09-20 2013-09-20 Method for adjusting volum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580A KR101956577B1 (ko) 2012-09-20 2012-09-20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179A true KR20140038179A (ko) 2014-03-28
KR101956577B1 KR101956577B1 (ko) 2019-03-11

Family

ID=5027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580A KR101956577B1 (ko) 2012-09-20 2012-09-20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44423B2 (ko)
KR (1) KR1019565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4016A (zh) * 2017-12-01 2018-05-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音量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90066893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아세스 수상 활동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방법
WO2020166796A1 (ko) * 2019-02-11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7952B2 (en) * 2013-11-07 2020-03-10 Intel Corporation Microphone system for notebook computer
CN106255004A (zh) * 2016-08-30 2016-12-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声音调整方法、耳机和音源设备
CN109151634B (zh) * 2018-07-27 2020-03-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耳机音量控制方法、无线耳机及移动终端
CN110035374B (zh) * 2019-04-19 2021-07-30 宁波启拓电子设备有限公司 调试音频采集设备的方法及装置
US10674265B1 (en) * 2019-04-26 2020-06-02 Google Llc Background level dependent dynamic volume levels
CN113115292B (zh) * 2021-04-13 2022-11-29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近场通信的会议系统啸叫消除方法及装置
WO2023163427A1 (ko) * 2022-02-28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및 장치
CN114882910A (zh) * 2022-04-29 2022-08-09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近距离通信的确定方法及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206506A1 (zh) * 2022-04-29 2023-11-02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近距离通信的确定方法及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8134B1 (en) * 2006-07-26 2011-03-15 Starmark, Inc. Automatic volume control to compensate for speech interference noise
KR20110090600A (ko) * 2010-02-04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신호로부터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176B1 (en) 1996-07-23 2004-07-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speaker and microphone gains within a mobile telephone
JP2005086361A (ja) 2003-09-05 2005-03-3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端末装置
KR20050076959A (ko) 2004-01-26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음량 조절장치 및 방법
KR100750127B1 (ko) * 2005-09-06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D급 앰프에서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7760869B2 (en) * 2008-08-28 2010-07-20 Embarq Holdings Compan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ransmit volume level of a speakerphone
KR101060493B1 (ko) 2009-02-20 2011-08-30 주식회사 코아로직 송신신호 레벨 컨트롤러 및 그 컨트롤러를 이용한 음량 자동조절 송수신 장치와 방법
KR101639331B1 (ko) 2009-12-04 2016-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잡음 환경에서 음성 신호를 강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
EP2487792A1 (en) * 2011-02-11 2012-08-15 Dialog Semiconductor B.V.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 gain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8134B1 (en) * 2006-07-26 2011-03-15 Starmark, Inc. Automatic volume control to compensate for speech interference noise
KR20110090600A (ko) * 2010-02-04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신호로부터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4016A (zh) * 2017-12-01 2018-05-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音量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90066893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아세스 수상 활동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방법
WO2020166796A1 (ko) * 2019-02-11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261055A (zh) * 2019-02-11 2021-08-13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1710498B2 (en) 2019-02-11 2023-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3261055B (zh) * 2019-02-11 2024-05-28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577B1 (ko) 2019-03-11
US9444423B2 (en) 2016-09-13
US20140079227A1 (en)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577B1 (ko)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516776B2 (en) Volume adjusting method,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17032030A1 (zh) 一种音量调节方法及用户终端
US20160267908A1 (en) Low-power voice command detector
KR101944416B1 (ko) 영상 통화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8869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noise suppression using logistic function and a suppression target value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20140254832A1 (en) Volume adjusting system and method
CN106384597B (zh) 一种音频数据处理方法、及设备
US9641660B2 (en) Modifying sound output i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CN108845787B (zh) 音频调节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60056781A1 (en) Volume control
CN108076199B (zh) 麦克风的气密性检测方法及装置
KR102044498B1 (ko)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4381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apting a user volume input range on an electronic device
KR102155555B1 (ko) 보청기 호환성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449302B2 (en) Volume adjustments based on ambient sounds and voices
CN107564534B (zh) 音频品质鉴定方法和装置
KR20120115941A (ko) 휴대 단말기에서 볼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
US10887459B1 (en) Identifying a live person on a phone call
US201601920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JP2012199705A (ja) 通信装置および受話音量設定プログラム
KR100561774B1 (ko) 벨소리를 이용한 음량 자동 조절방법
US20200098363A1 (en) Electronic device
US20190058795A1 (en) Method of Transferring a Call, User Device and a Computer Program
TWI566233B (zh) 可增加通訊內容清晰度之行動通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