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145A - 조준장치 - Google Patents

조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145A
KR20140038145A KR1020120104504A KR20120104504A KR20140038145A KR 20140038145 A KR20140038145 A KR 20140038145A KR 1020120104504 A KR1020120104504 A KR 1020120104504A KR 20120104504 A KR20120104504 A KR 20120104504A KR 20140038145 A KR20140038145 A KR 20140038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hole
main body
use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144B1 (ko
Inventor
유상현
Original Assignee
유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현 filed Critical 유상현
Priority to KR1020120104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144B1/ko
Priority to PCT/KR2013/008360 priority patent/WO2014046438A2/ko
Publication of KR20140038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1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 G01C3/12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with monocular observation at a single point, e.g. coincidenc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경기 중 볼과 홀 사이의 실거리를 알기 위해 사용자가 볼의 위치에서 목표지점(홀)을 조준하여 볼과 목표지점(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조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동작버튼이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평면에서의 기울어진 기울기의 정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기울기측정부와,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저장하고, 그 값을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기울기측정부와 메모리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조준 위치까지의 실거리를 연산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거리측정부와, 상기 거리측정부에서 연산하여 출력한 값을 토대로 실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가 구비되는 본체를 구성하는데, 상기 본체의 외면 정중앙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는 볼록경와, 상기 볼록경의 주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를 관통 형성되어, 조준하고자 하는 목표지점을 주시하는 조준홀이 포함되어, 가늠쇠와 가늠자가 구비된 총기와 같이 목표 지점에 대한 정확한 조준이 가능하고, 포켓시계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해 휴대하기 매우 편한 이점을 가지며, 본체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지형의 경사각을 고려한 실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근 거리에서의 오차율은 감소시키는 조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준장치{Aiming device}
본 발명은 골프경기 중 볼과 홀 사이의 실거리를 알기 위해 사용자가 볼의 위치에서 목표지점(홀)을 조준하여 볼과 목표지점(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조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외부에는 가늠쇠의 기능을 하는 볼록경과, 가늠자의 기능을 하는 조준홀이 형성되어, 목표지점을 정밀하게 조준하여 정확한 실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조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마추어 골퍼들은 골프 경기 시 그린 위 홀컵까지 도달할 때 보통 캐디 도움과 골프장내 거리말뚝을 이용하여 타격거리를 인지하면서 샷을 수행한다.
그러나 바람 영향과 타격 실수 등으로 그린에 못미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100m 또는 50m 이내 거리에는 골프장내 거리말뚝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정확한 거리측정이 어렵다.
따라서 어프로치 거리 및 퍼팅 거리는 개개인의 경험에서 인지하는 거리감각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므로 아마추어 골퍼들은 어프로치와 퍼팅에서 거리산출이 부정확하여 거리 실수가 많은 것을 목격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볼과 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제공되었는데, 일예로 GPS 시스템을 이용한 종래의 골프용 거리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을 살펴보면, GPS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와 목표 지점 사이의 거리를 알려주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골퍼에게 골프코스의 그린까지의 거리를 알려주는 방법으로 다양한 GPS 시스템을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970252, 공개특허공보 2011-0106188, 공개특허공보 2011-0032760에 제시한 이러한, 종래 GPS 시스템을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은 통상 GPS 시스템으로 수신되는 골퍼의 위치 좌표값(위도 및 경도 좌표 또는 X,Y좌표 값)와 기 저장된 골프 코스의 그린의 위치 좌표값(위도 및 경도 좌표 또는 X,Y좌표 값)를 이용하여 단순히 수평면상의 직선거리만을 연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골퍼의 위치와 그린의 위치에 경사각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직선 거리만을 알려주고, 실 거리는 알려주지 못하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즉, 골퍼의 위치와 그린의 위치에 경사각이 존재하는 경우 실 거리가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수평면상의 직선 거리가 측정되어, 골퍼에게 전달하는 거리 정보에 큰 거리 오차를 가지게 된다.
이 거리 오차는 예를 들어, 골퍼의 위치와 그린 위치 간의 경사각이 20도 정도이고 실제 거리가 500m 일 경우 그 거리의 오차는 500-500cos로 계산되며 그 오차는 30m를 초과하게 된다.
더욱이 근거리 즉, 그린과 가까운 거리, 예를 들어 30m 내외의 거리에서는 상기 경사에 의한 오차에 더하여 GPS 값의 내재적인 위치 오차 즉, 대략 반경 10m 정도의 오차로 인하여, 실 거리와 측정거리와의 오차율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GPS 시스템을 이용한 거리 측정 장치는 골프 플레이에 있어 신뢰할 수 있는 거리 값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정밀한 거리측정을 위해서는 장치가 정확한 목표지점의 조준을 해야만 하는데, 종래의 거리측정장치는 골프코스의 맵과 GPS 시스템에 의존하다 보니 이러한 조준장치가 생략되거나, 설사 있다 해도 정확한 조준이 이루어지질 않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포켓시계와 같이 휴대가 가능하고, 본체의 외부에 볼록경과 조준홀을 형성해 가늠쇠와 가늠자가 구비된 총기와 같이 목표 지점에 대한 정확한 조준이 가능하며, 본체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지형의 경사각을 고려한 실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근 거리에서의 오차율은 감소시켜 신뢰할 수 있는 거리 값을 제공하는 조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동작버튼이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평면에서의 기울어진 기울기의 정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기울기측정부와,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저장하고, 그 값을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기울기측정부와 메모리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조준 위치까지의 실거리를 연산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거리측정부와, 상기 거리측정부에서 연산하여 출력한 값을 토대로 실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가 구비되는 본체를 구성하는데, 상기 본체의 외면 정중앙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는 볼록경와, 상기 볼록경의 주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를 관통 형성되어, 조준하고자 하는 목표지점을 주시하는 조준홀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동작버튼이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평면에서의 기울어진 기울기의 정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기울기측정부와,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저장하고, 그 값을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기울기측정부와 메모리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조준 위치까지의 실거리를 연산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거리측정부와, 상기 거리측정부에서 연산하여 출력한 값을 토대로 실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가 구비되는 본체를 구성하는데, 상기 본체의 정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조준하고자 하는 목표지점을 주시하는 조준홀과, 상기 조준홀의 주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는 볼록경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볼록경의 표면 중심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비추어지는 얼굴의 일부분과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게 가늠하는 제1수평선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준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준홀에 구비되는 렌즈의 중심점에는 상기 조준홀을 통해 주시되는 목표지점이 정중앙에 위치되게 목표지점의 측정점을 가늠하는 조준도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준홀에는 상기 조준홀을 통해 주시되는 목표지점의 수평선과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게 가늠하는 제2수평선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준홀의 외주연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준홀을 통해 주시되는 목표지점이 정중앙에 위치하게 목표지점의 측정점을 가늠하는 복수의 가늠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수평의 정도를 확인하는 수평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체의 외부에 볼록경과 조준홀을 형성해 가늠쇠와 가늠자가 구비된 총기와 같이 목표 지점에 대한 정확한 조준이 가능하다.
둘째, 포켓시계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해 휴대하기 매우 편한 이점을 가진 발명이다.
셋째, 본체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지형의 경사각을 고려한 실거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근 거리에서의 오차율은 감소시켜 신뢰할 수 있는 거리 값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준홀에 렌즈를 구성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가 구비된 조준홀에 조준도트와 가늠점을 형성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에 수평계를 구성한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로 목표지점을 조준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가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구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를 보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준홀에 렌즈를 구성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즈가 구비된 조준홀에 조준도트와 가늠점을 형성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에 수평계를 구성한 것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로 목표지점을 조준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가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구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골프경기 중 볼의 위치에서 목표지점(홀)을 조준하여 볼과 목표지점(홀)의 사이 실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조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10)의 내부에는 기울기측정부(11)와, 메모리부(12)와, 거리측정부(13)와, 출력부(14)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10)의 외부에는 동작버튼(15)과, 볼록경(20)과, 조준홀(30)이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조준장치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를 살펴보면,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전체적인 형상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원통형의 본체의 정면 또는 배면은 단면 중 어느 한 면이고, 원주면이 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기측정부(11)와, 메모리부(12)와, 거리측정부(13)와, 출력부(14)가 하나의 모듈로 갖추어져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포함되는 각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상기 기울기측정부(11)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수평면에서의 본체(10)가 기울어진 기울기 정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데, 이때 수평면이라 함은 평평한 지면에 본체(10)를 놓았을 때 X축, Y축에 대한 기울기의 정도가 전혀 없는 0°의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측정부(11)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울기측정부(11)에서 측정된 기울기 값(데이터)은 선택적으로 거리측정부(13)로 출력된다.
상기 메모리부(12)는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저장하고, 그 값(데이터)을 출력하는데, 이때 상기 메모리부(12)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신장 정보는 외부장치(신장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값이 데이터화 되어, 상기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2)가 외부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인계받아 저장하거나,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저장하는 것 중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에 저장된 사용자의 신장 정보는 선택적으로 거리측정부(13)로 출력된다.
상기 거리측정부(13)는 상기 기울기측정부(11)와, 메모리부(12)에서 각각 출력되는 값(데이터)을 토대로 본체의 위치로부터 조준되는 위치인 목표지점까지의 거리를 연산하여 그 값(데이터)을 출력한다.
상기 거리측정부(13)가 거리를 측정하는 예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준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할 시 설명하겠다.
그리고 출력부(14)는 상기 거리측정부(13)에서 연산하여 출력한 값을 토대로 실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출력부(14)의 구성을 음성으로 출력되는 것만 예시하나, 본체의 일측면에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음성과 함께 숫자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작동은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동작버튼(15)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10)의 외부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조준을 위해 볼록경(20)과, 조준홀(30)이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10)의 외면 정중앙에는 소정의 곡률로 볼록경(20)이 형성되어, 거리를 측정할 시 사용자의 얼굴을 비춘다.
즉, 다시 말해 상기 본체(10)의 정면(사용자의 얼굴과 마주 보이는 면) 정중앙에는 볼록경(20)이 형성되어, 거리를 측정할 시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볼록경(20)의 주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10)를 관통 형성하는 조준홀(30)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거리를 측정할 시 목표지점인 조준하고자 하는 목표지점을 주시한다.
이때 상기 볼록경(20)의 표면 중심에는 제1수평선(21)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록경(20)에 비추어지는 사용자 얼굴의 일부분과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게 가늠하는데, 얼굴의 일부분 중 사용자의 눈과 제1수평선(21)이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게 가늠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리고 상기 조준홀(30)에는 제2수평선(31)이 형성되어, 상기 조준홀(30)을 통해 주시되는 목표지점의 수평선과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게 가늠한다.
이때 상기 제2수평선(31)는 와이어를 상기 조준홀(30)에 수평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준홀(30)의 다른 실시 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준홀(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40)를 구비하여, 목표지점을 확대 주시할 수 있고, 상기 렌즈(40)의 중심부 표면에 수평으로 제2수평선(3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준홀(30)에 렌즈(40)가 구비될 시 상기 렌즈(40)의 중심점에는 상기 조준홀(30)을 통해 주시되는 목표지점이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목표지점의 측정점과 일치되게 가늠하는 조준도트(4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준도트(41)는 제2수평선(31) 상에 일체로 상기 렌즈(40)의 표면에 형성되어, 목표지점이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목표지점의 측정점과 일치되게 가늠할 수도 있다.
상기 조준홀(30)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조준홀(30)의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가늠점(32)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준홀(30)을 통해 주시되는 목표지점이 정중앙에 위치하게 목표지점의 측정점을 가늠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수평계(16)가 구성되어 수평의 정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준장치의 다른 실시 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정중앙에 조준홀(30)이 관통 형성되어, 조준하고자 하는 목표지점을 주시하고, 상기 조준홀(30)의 주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록경(20)이 한쌍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볼록경(20)을 한쌍으로 형성한 것은 좌,우측 눈으로 각각 바라볼 시 발생되는 편차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준장치를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10)를 살펴보면,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전체적인 형상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원통형의 본체의 정면 또는 배면은 단면 중 어느 한 면이고, 원주면이 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기울기측정부(11)와, 메모리부(12)와, 거리측정부(13)와, 출력부(14)가 하나의 모듈로 갖추어져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포함되는 각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상기 기울기측정부(11)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수평면에서의 기울어진 기울기 정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데,
이때 수평면이라 함은 평평한 지면에 본체(10)를 놓았을 때 X축, Y축에 대한 기울기의 정도가 전혀 없는 0°의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측정부(11)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울기측정부(11)에서 측정된 기울기 값(데이터)은 선택적으로 거리측정부(13)로 출력된다.
상기 메모리부(12)는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저장하고, 그 값(데이터)을 출력하는데, 이때 상기 메모리부(12)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신장 정보는 외부장치(신장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값이 데이터화 되어, 상기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2)가 외부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인계받아 저장하거나,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저장하는 것 중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에 저장된 사용자의 신장 정보는 선택적으로 거리측정부(13)로 출력된다.
상기 거리측정부(13)는 상기 기울기측정부(11)와, 메모리부(12)에서 각각 출력되는 값(데이터)을 토대로 본체의 위치로부터 조준되는 위치인 목표지점까지의 거리를 연산하여 그 값(데이터)을 출력한다.
그리고 출력부(14)는 상기 거리측정부(13)에서 연산하여 출력한 값을 토대로 실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출력부(14)의 구성을 음성으로 출력되는 것만 예시하나, 본체의 일측면에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음성과 함께 숫자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작동은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동작버튼(15)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10)의 외부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조준을 위해 조준홀(30)과 볼록경(20)이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10)의 외면 정중앙에는 상기 본체(10)를 관통 형성하는 조준홀(30)이 형성되어, 거리를 측정할 시 목표지점인 조준하고자 하는 목표를 주시한다.
그리고 상기 조준홀(30)의 주변에는 한쌍의 볼록경(2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조준홀(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조준홀(30)과 한쌍의 볼록경(20)이 일직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볼록경(20)은 소정의 곡률로 볼록경(20)이 형성되어, 거리를 측정할 시 사용자의 얼굴을 비춘다.
즉, 다시 말해 상기 본체(10)의 정면(사용자의 얼굴과 마주 보이는 면) 정중앙에는 조준홀(30)이 형성되어, 거리를 측정할 시 목표지점인 조준하고자 하는 목표지점을 주시한다.
그리고 상기 조준홀(30)의 주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록경(20)이 형성되어, 거리를 측정할 시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볼록경(20)의 표면 중심에는 제1수평선(21)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록경(20)에 비추어지는 사용자 얼굴의 일부분과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게 가늠하는데, 얼굴의 일부분 중 사용자의 눈과 제1수평선(21)이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게 가늠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리고 상기 조준홀(30)에는 제2수평선(31)이 형성되어, 상기 조준홀(30)을 통해 주시되는 목표지점의 수평선과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게 가늠한다.
이때 상기 제2수평선(31)는 와이어를 상기 조준홀(30)에 수평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준홀(30)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조준홀(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32)를 구비하여, 상기 렌즈(32)의 중심부 표면에 수평으로 제2수평선(3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조준홀(30)에 렌즈(40)가 구비될 시 상기 렌즈(40)의 중심점에는 상기 조준홀(30)을 통해 주시되는 목표지점이 정중앙에 위치하게 목표지점의 측정점과 일치되게 가늠하는 조준도트(4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준홀(30)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조준홀(30)의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가늠점(33)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준홀(30)을 통해 주시되는 목표지점이 정중앙에 위치하게 목표지점의 측정점을 가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수평계(16)가 구성되어 수평의 정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예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신장정보가 미리 메모리부(12)에 입력되어야만 하고, 사용자의 위치에서 목표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본체(10)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사용자의 눈높이에 위치한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돌출 구성된 동작버튼(15)이 상부에 위치되게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동작버튼(15)을 눌러,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성된 거리측정부(13)의 구동을 준비함과 동시에 기울기측정부(11)가 기울기 정도를 측정하도록 구동하며, 사용자는 상기 동작버튼(15)을 누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목표지점을 조준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조준홀(30)을 통해 목표지점을 주시하면서 목표지점의 측정점이 조준홀(30)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상기 조준홀(30)에 구비된 제2수평선(31)과 목표지점의 측정점이 서로 일치되도록 가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준홀(30)의 제2수평선(31)과 목표지점의 측정점이 일치되도록 가늠을 마치면, 상기 본체(10)를 수평유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유동시켜, 상기 본체(10)의 볼록경(20)에 사용자의 얼굴이 비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볼록경(20)의 표면에 형성된 제1수평선(21)이 사용자의 눈과 일치하도록 가늠하여 상기 본체(10)를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정이 끝나면 사용자는 동작버튼(15)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성된 거리측정부(13)가 기울기측정부(11)에서 측정한 기울기 정도와, 메모리부(12)에 저장된 신장정보를 연산해 그 값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부(14)로 전달한다.
상기 출력부(14)에서는 인가받은 값에 대응하는 메세지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한 거리측정부(13)의 거리 산출 일 예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현재(볼)위치에 서서(또는 앉아서) 조준홀(30)을 통하여 목표지점(홀)에 있는 깃대의 최하부를 조준함에 따라 기울여지는 장치의 기울기 각도 값인 제1 기울기 각도 값을 측정하여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통하여 깃대의 최상부를 조준함에 따라 기울여지는 장치의 기울기 각도 값인 제2 기울기 각도 값을 출력한다.
이때 메모리부(12)에는 골퍼(사용자)의 앉은 키 정보 및 선 키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신장정보와, 깃대 높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거리측정부(13)는 메모리부(12)에 저장되어 있는 골퍼의 신장 정보 중 사용자의 선택 또는 설정에 의하여 정해진 사용된 앉은 키 정보 또는 선 키 정보를 호출하여, 임시 저장된 상기 두 개의 기울기 각도 값과 상기 신장 정보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1)를 통하여 현재위치(볼)에서 목표지점(홀)까지의 실 거리를 연산한다.
[오르막의 경우(D1 > d)]
도 9를 참조하여,
Hf : 깃대 높이
H : 측정 높이
a1 : 깃대 아래 측정 각도
D1 : 깃대 아래 측정시 거리
d1 : 눈에서 깃대 아래까지의 거리이고,
a2 : 깃대 위 측정 각도
d2 : 눈에서 깃대 위까지의 거리
d: 눈에서 깃대까지의 수평거리 혹은 현재위치(볼)에서 목표지점(홀)까지의 수평거리라 할 때,
D1 = H * tan(a1)
d1 = Hf * sin(180 - a2)/ sin(a2 - a1)(사인법칙)
d2 = Hf * sin(a1)/ sin(a2 - a1)이고,
d = d1 * sin(a1)/ sin(90)= d2 * sin(180-a2)/ sin(90)
h =(D1 - d)* tan(90 - a1)이다.
따라서,
경사도 a = arcTan(h / d)
실거리
Figure pat00001
와 같이 연산된다.(수학식 1)
[내리막의 경우 (D1 < d)]
도 9를 참조하여,
Hf : 깃대 높이
H : 측정 높이
a1 : 깃대 아래 측정 각도
D1 : 깃대 아래 측정시 거리
d1 : 눈에서 깃대 아래 까지의 거리이고,
a2 : 깃대 위 측정 각도
d2 : 눈에서 깃대 위까지의 거리
d: 눈에서 깃대까지의 수평거리 혹은 볼에서 홀까지의 수평거리라 할 때,
D1 = H * tan(a1)
d1 = Hf * sin(180 - a2)/ sin(a2 - a1)(사인법칙)
d2 = Hf * sin(a1)/ sin(a2 - a1)이고,
d = d1 * sin(a1)/ sin(90)= d2 * sin(180-a2)/ sin(90)
h =(d - D1)* tan(90 - a1)이다.
따라서,
경사도 a = arcTan(h / d)
실거리는
Figure pat00002
와 같이 연산된다.(수학식 1)
더불어 본 발명은 거리 측정을 더욱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GPS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기울기측정부
12: 메모리부 13: 거리측정부
14: 출력부 15: 동작버튼
16: 수평계 20: 볼록경
21: 제1수평선 30: 조준홀
31: 제2수평선 32: 가늠점
40: 렌즈 41: 조준도트

Claims (8)

  1. 외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동작버튼이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평면에서의 기울어진 기울기 정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기울기측정부와,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저장하고, 그 값을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기울기측정부와 메모리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조준 위치까지의 실거리를 연산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거리측정부와, 상기 거리측정부에서 연산하여 출력한 값을 토대로 실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면 정중앙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는 볼록경;
    상기 볼록경의 주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를 관통 형성되어, 조준하고자 하는 목표지점을 주시하는 조준홀;이 포함되는 조준장치.
  2. 외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동작버튼이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평면에서의 기울어진 기울기의 정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기울기측정부와,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저장하고, 그 값을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기울기측정부와 메모리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조준 위치까지의 실거리를 연산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거리측정부와, 상기 거리측정부에서 연산하여 출력한 값을 토대로 실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정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조준하고자 하는 목표지점을 주시하는 조준홀;
    상기 조준홀의 주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비추는 볼록경;이 포함되는 조준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록경의 표면 중심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비추어지는 얼굴의 일부분과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게 가늠하는 제1수평선이 더 포함되는 조준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준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더 포함되는 조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준홀에 구비되는 렌즈의 중심점에는 상기 조준홀을 통해 주시되는 목표지점이 정중앙에 위치되게 목표지점의 측정점을 가늠하는 조준도트가 더 포함되는 조준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준홀에는
    상기 조준홀을 통해 주시되는 목표지점의 수평선과 일직선상으로 위치되게 가늠하는 제2수평선이 더 포함되는 조준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준홀의 외주연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준홀을 통해 주시되는 목표지점이 정중앙에 위치하게 목표지점의 측정점을 가늠하는 복수의 가늠점이 더 포함되는 조준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수평의 정도를 확인하는 수평계가 더 포함되는 조준장치.
KR1020120104504A 2012-09-20 2012-09-20 조준장치 KR10142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504A KR101426144B1 (ko) 2012-09-20 2012-09-20 조준장치
PCT/KR2013/008360 WO2014046438A2 (ko) 2012-09-20 2013-09-16 거리측정용 조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504A KR101426144B1 (ko) 2012-09-20 2012-09-20 조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145A true KR20140038145A (ko) 2014-03-28
KR101426144B1 KR101426144B1 (ko) 2014-07-31

Family

ID=5034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504A KR101426144B1 (ko) 2012-09-20 2012-09-20 조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6144B1 (ko)
WO (1) WO201404643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504A (ko) * 2017-04-21 2018-10-31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6259B1 (ko) * 2017-11-22 2019-03-08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2089B2 (ja) * 1994-07-08 1997-06-18 株式会社オフィスツーワン 測量装置
KR200192066Y1 (ko) * 2000-03-13 2000-08-16 유상일 골프용 광학거리측정기
KR200244038Y1 (ko) * 2001-05-28 2001-10-15 김기열 거리 측정기
KR100631302B1 (ko) * 2006-01-04 2006-10-04 주식회사코메론 휴대용 측정기
CN101378812A (zh) * 2006-02-09 2009-03-04 路波史蒂芬公司 测距装置及用于打高尔夫球的方法
KR101084481B1 (ko) * 2009-11-30 2011-11-21 (주)성림코데라 골프용 정보 단말기
KR101145718B1 (ko) * 2011-09-20 2012-05-14 주식회사 블루콤 장착이 용이한 골프 경기 보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504A (ko) * 2017-04-21 2018-10-31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06793B2 (en) 2017-04-21 2022-11-22 Vc Inc. Distance measur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956259B1 (ko) * 2017-11-22 2019-03-08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03468A1 (ko) * 2017-11-22 2019-05-31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78384B2 (en) 2017-11-22 2022-07-05 Vc Inc. Distance measur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6438A2 (ko) 2014-03-27
WO2014046438A3 (ko) 2014-05-22
KR101426144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552B2 (en) Survey setting point indicating device
KR101019105B1 (ko) 골프 정보 제공 장치 및 골프 복기 시스템
US20170010359A1 (en) Golf device with gps and laser rangefinder functionalities
KR101169851B1 (ko) 표고차를 고려한 골프 거리 측정 방법
KR20180036004A (ko) 퍼팅정보 제공기능을 갖춘 디지털 볼 마커
US201700310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s on a golf course
US20220074764A1 (en) Surveying system and auxiliary measuring instrument
KR20150001132A (ko) 디지털 볼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거리 측정시스템
CN109141120A (zh) 一种基于北斗精准定位技术的简易火控狙击枪瞄具设计
CN207797881U (zh) 一种基于北斗精准定位技术的简易火控狙击枪瞄具设计
KR20160102136A (ko) 골프 가이드 시스템
KR20110017802A (ko) 골프장 거리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KR101426144B1 (ko) 조준장치
KR20160109251A (ko) 골프 에이밍 안내 기능을 구비한 골프거리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방법
KR101547336B1 (ko) 모바일 단말기에 골프 그린의 핀 위치 및 그 주변의 경사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11285368B2 (en) Address direction guid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20333926A1 (en) Staking method and staking system
KR101339562B1 (ko) 실 거리 측정 장치 및 실 거리 측정 방법
US9393477B2 (en) Electronic golfing alignment aid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0534379B1 (ko)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279168B1 (ko) 지피에스와 각도 센서를 이용한 골프장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00376B1 (ko) 그린 홀과의 잔여 거리 제공 방법
KR20160014333A (ko) 골프용 거리 측정장치
CN106092041B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测高方法及装置
KR101339548B1 (ko) 골프용 실 거리 측정 장치 및 실 거리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