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828A - H.파이로리 검출을 위한 검출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H.파이로리 검출을 위한 검출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828A
KR20140037828A KR1020137027085A KR20137027085A KR20140037828A KR 20140037828 A KR20140037828 A KR 20140037828A KR 1020137027085 A KR1020137027085 A KR 1020137027085A KR 20137027085 A KR20137027085 A KR 20137027085A KR 20140037828 A KR20140037828 A KR 20140037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onia
detector
concentration
output signal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나스타지아 리가스
Original Assignee
아나스타지아 리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나스타지아 리가스 filed Critical 아나스타지아 리가스
Publication of KR2014003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7Devices for facilitating collection of breath or for directing breath into or through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16Diagnosing or evaluating gastrointestinal ul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85Nanoscal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닐린-탄소 나노튜브 센서를 이용하여 호기내 암모니아를 측정함으로써 성인 및 아동의 H. Pylori를 검출할 수 있는, 저비용의 휴대가능하고, 소형이며, 현장진단 가능하고, 비침습성의 호기-분석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H.파이로리 검출을 위한 검출기 및 방법{Detector and method for detection of H.pylori}
관련출원의 상호 참증
본 출원은 2011년 3월 14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1/452,39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은 2010년 9월 3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번호 제61/379,963호, 2011년 9월 6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번호 제13/226,082호, 및 2011년 3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번호 제61/452,507호가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비표지된 요소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사용하여 구성된, 암모니아에 특이적이고 민감한 나노센서(nanosensor)를 이용하여, 휴대가 쉽고 손에 쥐고 쓸 수 있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H.Pylori) 검출용 현장 진단 의료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인간 소화관의 잘 알려진 병원균인 H.Pylori는 어떤 연령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는 유아기에 위장 점막에 서식한다. H, Pylori는 소화성 궤양 질환, 궤양 출혈, 위 림프종(MALTOMAS) 및 위암의 특정 형태와 병인적으로 연결되어 질병률 및 사망률에 상당히 관련되어 있다. H.Pylori의 조기 진단 및 근절은 치명적인 인간의 암들 중 하나를 예방하여 건강 증진에 기여한다. H.Pylori의 출현율은 인구 통계에 따라 선진국에서 25%-55%, 개발도상국가에서 80% 이상으로 추정되고, 대부분이 어린이에서 발현된다.
H.Pylori 균은 몇 가지의 진단 양상으로 검출되고 있다. 이것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a) H.Pylori 항체에 대한 혈청 시험; b) 빠른 요소 분해효소(urease) 시험을 위한 위장 점막성 생검; c)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법을 통해 얻어진 조직에서 H.Pylori의 배양 및 민감도; d) H.Pylori 항원에 대한 대변 검사; 및 e) 요소 호기 검사(Urea Breath Test; UBT).
H.Pylori에 대한 항체 검출을 위한 혈청학적 시험은 H.Pylori의 치료 효능과 근절을 평가하는 데는 사용할 수 없어 비효율적인 진단 도구이다.
점막 생검을 얻기 위한 위장 내시경 검사법은 위장관에서 H.Pylori의 존재를 검출하기에는 침습적이고 비싼 방법이고, H.Pylori 항원을 위한 대변 검사는 비효율적이고 번거로우며 이용가능한 모든 H.Pylori 검출 방법 중 가장 낮은 민감도와 특이성을 갖는다. 13C-요소 호기 검사는 비싸고, 호흡 샘플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중앙 실험실 시설로 이송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H.Pylori의 검출을 위한 요소 호기 검사는 박테리아가 요소를 암모니아와 CO2로 변환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반으로 한다. 요소 기질의 타입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가지 형태의 FDA 승인을 받은 상용화된 UBT법이 있다: 13C가 표지된 요소 및 14C가 표지된 요소. 14C는 탄소의 방사성 동위원소이고, 호흡에서 14CO2의 검출에 기반한 14C-UBT법은 실질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13C는 안정한 탄소의 비-방사성 동위원소이고, 자연에서 발생하며, 호흡에서 13CO2의 검출에 기반한 13C-UBT법은 현재로는 H.Pylori 검출을 위한 가장 좋은 표준 호흡 시험이다.
13C-UBT법의 광범위한 사용의 제한은 13C 요소와 13CO2를 검출하기 위한 기구의 고비용에서 비롯된다.
본 발명은, 기질로서 비표지된 요소를 이용하고, 호흡에서 CO2 대신 암모니아를 측정하고,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암모니아에 특이적이고 민감한 나노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호기(breath) 중의 암모니아를 검출하는 기질로서 비표지 우레아(urea)를 갖고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를 검출할 수 있는, 폴리아닐린(PANI)-탄소 나노튜브 복합체(composite)를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의 검출용 검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검출기는 소형(hand-held)이며 휴대형(portable) 장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검출기는, 암모니아의 검출 농도를 나타내는 특성을 갖고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폴리아닐린(PANI)-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로부터 출력 신호를 받기 위한 수집 모듈(acquisition module); 상기 수집 모듈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를 받도록 연결되고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 모듈(computation module); 및 상기 수집 모듈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기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검출된 암모니아 농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역치(threshold) 농도를 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의 존재를 가리키는 역치 검출 결과를 보여주는 비주얼 인디케이터(visual indic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기(breath) 중의 암모니아를 검출하는 기질로서 비표지 우레아(urea)를 갖고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를 검출할 수 있는, 폴리아닐린(PANI)-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검출방법은 소형(hand-held)이며 휴대형 장치 형태의 검출기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검출방법은 암모니아의 검출 농도를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폴리아닐린(PANI)-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검출 암모니아 농도를 보완하기 위한 연산 모듈(computation module)을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검출방법은 검출된 암모니아의 농도를 나타내는 수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검출방법은 검출된 암모니아 농도를 역치량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역치량이 초과되었는지 또는 역치량 미만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형이며 휴대용인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호기로부터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을 검출하기에 충분히 낮은 농도의 암모니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검출된 암모니아 농도의 출력 대표값(representative)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전자회로; 및 상기 전자회로에 연결되며, 검출된 암모니아 농도를 나타내는 출력에 반응하여 비주얼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호기(breath) 중의 암모니아 검출용 검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검출기는 암모니아의 검출 농도를 나타내는 특성을 갖고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폴리아닐린(PANI)-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로부터 출력 신호를 받기 위한 수집 모듈(acquisition module); 상기 수집 모듈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를 받도록 연결되고,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 모듈(computation module); 및 상기 수집 모듈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기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검출된 암모니아의 농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역치(threshold) 농도를 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의 존재를 가리키는 역치 검출 결과를 보여주는 비주얼 인디케이터(visual indic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렴하고, 비침습적이며, 휴대 가능하고, 현장 진료할 수 있으며, 작동이 쉬운, H.Pylori의 검출에 대해 높은 민감성과 특이성을 지닌 암모니아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H.Pylori에 대한 항체를 위한 혈청 시험이나, 점막 생검을 획득하고 H.Pylori를 배양하기 위한 위장 내시경이나, H.Pylori 항원 검출을 위한 대변 검사나, 13C-요소 호기 시험을 이용하여 H.Pylori를 검출할 필요성 등이 없다.
본 발명은 폴리아닐린-탄소 나노튜브 센서를 사용하여 호흡에서 암모니아를 측정함으로써 성인과 어린이에서 H.Pylori를 검출할 수 있는, 저렴하고, 휴대가 쉬우며, 손에 쥐고 쓸 수 있고, 현장 진료가 가능한 비침습적인 호흡 분석기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기의 블록 다이아그램(block diagram)이다.
도 2는 폴리아닐린 박막을 이용하여 화학적 감지를 위한 기본적인 메카니즘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센서 홀더(holder)에서 센서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4(b)는 건성 질소에서 암모니아의 펄스 함수로서 센서 출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4(a)는 도 4(b)에서 원형 부위(화살표 방향)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양쪽 축에서 선형 스케일로 PANI-EB 센서의 저항성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세미-로그 스케일(semi-log scale)로 센서의 저항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질소에서 암모니아의 10 ppm의 펄스 하에서 센서 출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세미-로그 스케일로 질소에서 10 ppb의 암모니아 하에서 센서 출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PANI-EB 센서가 10ppb 수준의 암모니아를 어떻게 쉽게 검출하는지를 선형 근사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자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마우스 피스(mouse piece), 트랩(trap), 에머랄딘-염기 폴리아닐린(emeraldine-base polyaniline, 이하 'PANI-EB'라 함) 센서, N2 플로우(flow) 및 전자 장치로 구성된 호기 분석기(breath-analyzer)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자장치는 수집 모듈(acquisiton module), 메모리/연산 모듈(memory/computation module), 예/아니오 디스플레이(yes/no display) 및 수치 디스플레이(numerical display)를 포함한다.
전자 및 화학 센서 적용을 위한 고분자 박막에 근거한 기술은 현재 개발 중에 있고, 공액 고분자(conjugated polymer)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불리는 특정 클래스의 폴리머 물질이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는 화학 센서에 응용하기 위해 연구중에 있으며, 초기 연구는 PANI의 에머랄딘 형태의 이용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에 대한 개략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폴리아닐린은 낮은 농도(ppm-ppb) 범위에서도 암모니아 증기를 검출하는 화학 센서로서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은 센서의 반응속도와 민감도를 개선하는데 고 전도성 첨가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폴리아닐린 박막 및 이의 나노복합체는 H. Pylori의 검출을 위해 사람 호기 내 저농도의 암모니아를 검출할 수 있다.
폴리아닐린 박막을 사용한 화학적 센싱을 위한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도 2에 나타내었으며(Pure Appl. Chem. Vol. 74, No. 5 pp 857-02), 여기서 폴리아닐린의 에머랄딘 염 형태는 전도성이 더 낮은 에머랄딘 염기 형태를 수득하기 위해 탈양성화된다. 고 전도성에서 사실상 절연 상태로의 저항성 변화는 PANI 백본(backbone)을 따라 질소 결합 부위와의 화학반응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암모니아에 대한 PANI 에머랄딘 염의 노출은 가역적 디도핑(de-doping) 효과를 낳아 센서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분자량 10kDa의 PANI-EB 및 캠퍼-10 설폰산 B(camphor-10 sulphonic acid B, 이하 'CSA'라 함)는 Aldrich사로부터 구입하였고 입수한대로 사용하였다. 에머랄딘 염 형태(PANI-CSA)를 제조하기 위해 PANI 백본을 완전히 양성화시키기 위해, PANI-EB 및 CSA를 1:0.5의 몰비로 클로로폼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3일 동안 교반하고, 박막을 제조하기 전에 15분 동안 초음파 처리(sonicated)하였다.
박막은 사전-패턴화된 백금 전극을 가지고 유리 기판 상에서 스핀 캐스팅(spin casting)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유리 기판은 아세톤으로 초음파 처리하여 세척한 후, 탈이온수로 수세하였다. 100-200 nm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머 필름을 45초 동안 1000 RPM으로 스핀 캐스팅하였다. March Plasma RIE에서의 O2/Ar 플라즈마 조합을 이용하여 직류 접점(direct electrical contact)을 확보하기 위하여, 박막의 일부가 백금 핑거 전극(Pt finger electrodes)으로부터 제거되었다.
도 3은 센서 홀더 내의 센서의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전체 기판이 스핀 캐스트된 PANI 필름으로 커버되었다. 활성 영역(active area)은 기판(20×10mm)의 중앙에 위치되고, 활성 영역(active area)은 기판(20×10mm)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활성영역(4×4mm)은 5μm 간격으로 4개의 평행한 평면 백금 전극을 가지며, 상부에는 PANI 필름이 있다.
PANI-CSA 박막 샘플은 고정된 인가 전압하에 실온 및 고온(70℃ 이하)에서 질소 분위기(atmosphere) 내의 암모니아 증기에 대한 노출 함수로서 전류 흐름(current flow)을 측정함으로써 특성분석하였다. 암모니아에 대한 센서 노출 기간 및 암모니아 가스 농도는 다양하게 하였다.
암모니아에 대한 센서의 일반-민감도(general-sensitivity)는 건성 질소에서 상대적으로 고 농도의 암모니아를 적용하여 테스트하였고, 그 결과를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모니아 농도들은 N2에서 10ppm 및 10,000ppm NH3에 해당한다.
매우 낮은 ppb 농도(약 10ppb)의 암모니아를 검출하는 PANI-EB 센서의 능력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PANI-EB 센서의 민감도는 중요하다. 이러한 기술의 이용은 ppb의 범위에서 테스트가 요구하는 엄격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PANI-EB 센서의 실험 구성을 최적화할 것이다. 도 4(b)는 대략 100초에서 약 10ppb 및 250초에서 104ppm의 건성 질소에서 암모니아 펄스의 함수로서 센서 출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영역에서의 센서 반응의 초기 단계는 약 10ppb에 해당하고, 편평한 기준선에서 큰 기울기(significant slope)까지 저항(옴) 특성의 급격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저항의 증가는 전압 강하를 야기한다.
도 5는 건성 질소 내 NH3의 104 ppm 펄스에 반응하여 양축에서 PANI-EB 센서의 저항 변화를 선형 눈금(linear scale)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세미-로그 스케일로 센서의 저항성을 나타낸 것이고, 건성 질소 내 104 ppm의 NH3 에서 두 자릿수의 저항 크기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은 건성 질소에서 NH3의 10 ppm 펄스 하에서 센서 출력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고, ADC(analog-to-digital converter)(센서 전류에 비례하고, 여기서 1 볼트는 10uA에 해당함)가 도시되었다. 센서의 회복을 목적으로 70℃까지 센서를 가열하였다.
도 8은 세미 로그 스케일에서 건성 질소 내 NH3의 10 ppm 펄스 하에서 센서 출력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세미 로그 스케일에서 센서의 저항은 건성 질소 내 NH3의 10 ppm 적용의 한 자릿수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다.
도 9는 PANI-EB 센서가 선형 근사(linear approximation)로 10ppb 수준에서 암모니아를 어떻게 용이하게 검출하는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PANI-EB 암모니아 센서는 하기의 면에서 요소 호기 검사법(urea breath test)의 MoO3 암모니아 센서에 비해 개선된 특징을 갖는다:
1. PANI-EB 센서는 MoO3 센서에 비해 암모니아에 대한 특이도 및 민감도가 더 높다.
2. PANI-EB 센서는 기준선으로 돌아가 재사용되기 위해서 단지 70℉로 가열하는 것만이 필요한 반면, MoO3 센서는 470℉으로 가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높은 열은 소형(hand-held) 장치를 다루는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3. PANI-EB 센서는 MoO3 나노센서에 비해 매우 쉽게 재생될 수 있다.
도 10은 장치의 전자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 및 디스플레이를 보여준다. 마이크로 컨트롤러(μC)는 A/D 변환기 메모리(SRAM)와 ALU(Arithmetic logic unit)을 포함한다. V 테스트는 센서의 저항에 비례한 볼트이다. 상기 센서는 암모니아 가스를 검출한다. 암모니아 이외의 가스를 검출하고자 한다면, 다른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하고자 하는 특정 가스를 위한 회로에 센서의 연결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호기(breath) 중의 암모니아를 검출하는 기질로서 비표지 우레아(urea)를 갖고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를 검출할 수 있는, 폴리아닐린(PANI)-탄소 나노튜브 복합체(composite)를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의 검출용 검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소형(hand-held)이며 휴대형(portable) 장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암모니아의 검출 농도를 나타내는 특성을 갖고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폴리아닐린(PANI)-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로부터 출력 신호를 받기 위한 수집 모듈(acquisition module),
    상기 수집 모듈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를 받도록 연결되고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 모듈(computation module), 및
    상기 수집 모듈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기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검출된 암모니아 농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역치(threshold) 농도를 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의 존재를 가리키는 역치 검출 결과를 보여주는 비주얼 인디케이터(visual indic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기.
  6. 호기(breath) 중의 암모니아를 검출하는 기질로서 비표지 우레아(urea)를 갖고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를 검출할 수 있는, 폴리아닐린(PANI)-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의 검출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방법은 소형(hand-held)이며 휴대형 장치 형태의 검출기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방법은,
    암모니아의 검출 농도를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 폴리아닐린(PANI)-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검출 암모니아 농도를 보완하기 위한 연산 모듈(computation module)을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방법은, 검출된 암모니아의 농도를 나타내는 수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방법은, 검출된 암모니아 농도를 역치량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역치량이 초과되었는지 또는 역치량 미만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11. 하기를 포함하는, 호기(breath) 중의 암모니아 검출용 검출기:
    소형이며 휴대용인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호기로부터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을 검출하기에 충분히 낮은 농도의 암모니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검출된 암모니아 농도의 출력 대표값(representative)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전자회로; 및
    상기 전자회로에 연결되며, 검출된 암모니아 농도를 나타내는 출력에 반응하여 비주얼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 디스플레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암모니아의 검출 농도를 나타내는 특성을 갖고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폴리아닐린(PANI)-탄소 나노튜브 복합체로부터 출력 신호를 받기 위한 수집 모듈(acquisition module),
    상기 수집 모듈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를 받도록 연결되고,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 모듈(computation module), 및
    상기 수집 모듈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기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검출된 암모니아의 농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역치(threshold) 농도를 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의 존재를 가리키는 역치 검출 결과를 보여주는 비주얼 인디케이터(visual indic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기.
KR1020137027085A 2011-03-14 2012-03-14 H.파이로리 검출을 위한 검출기 및 방법 KR201400378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52391P 2011-03-14 2011-03-14
US61/452,391 2011-03-14
PCT/US2012/029103 WO2012125745A2 (en) 2011-03-14 2012-03-14 Detector and method for detection of h. pylor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828A true KR20140037828A (ko) 2014-03-27

Family

ID=4683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085A KR20140037828A (ko) 2011-03-14 2012-03-14 H.파이로리 검출을 위한 검출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685892A2 (ko)
KR (1) KR20140037828A (ko)
WO (1) WO20121257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8058B2 (en) 2010-09-03 2017-06-13 Anastasia Rigas Diagnostic method and breath testing device
US10401318B2 (en) 2011-03-14 2019-09-03 Anastasia Rigas Breath analyzer and breath test methods
GB2506863A (en) * 2012-10-09 2014-04-16 Univ Dublin City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ng and measuring ammonia levels in a sample
WO2021021236A1 (en) * 2019-07-26 2021-02-04 Heteron Biotechnologies, Llc Breath analyzer and urea breath tes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363799A1 (en) * 2001-11-13 2003-05-26 Photonic Biosystems Method for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US8152991B2 (en) * 2005-10-27 2012-04-10 Nanomix, Inc. Ammonia nanosensors, an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20080077037A1 (en) * 2003-04-21 2008-03-27 Pelagia-Irene Gouma Selective point of care nanoprobe breath analy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5745A3 (en) 2013-12-12
WO2012125745A2 (en) 2012-09-20
EP2685892A2 (en)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37968A1 (en) Detector and Method for Detection of H. Pylori
Sun et al. Detec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exhaled breath as noninvasive methods for cancer diagnosis
Dai et al. Highly sensitive ammonia sensor with organic vertical nanojunctions for noninvasive detection of hepatic injury
Nasution et al. The sensing mechanism and detection of low concentration acetone using chitosan-based sensors
US20170105656A1 (en) Breath analyzer and breath test method
Liu et al. Humidity-activated ammonia sensor with excellent selectivity for exhaled breath analysis
Liu et al. Room temperature ammonia gas sensor based on ionic conductive biomass hydrogels
KR20140037828A (ko) H.파이로리 검출을 위한 검출기 및 방법
EP3893736B1 (en) Breath analyzer devices and breath test methods
US8950240B2 (en) Acetone gas sensor apparatus
Aguilar et al. A breath ammonia sensor based on conducting polymer nanojunctions
US20140221863A1 (en) Detection of H. Pylori Utilizing Unlabeled Urea
Emam et al. A molecularly imprinted electrochemical gas sensor to sense butylated hydroxytoluene in air
CN105606585B (zh) 一种呼气传感器及其制备方法
Kushch et al. On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new generation of breath tests for Helicobacter pylori detection
Eamsa-Ard et al. Screening and discrimin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by testing exhaled breath with smart devices using composite polymer/carbon nanotube gas sensors
Kim et al. Trifluoromethyl ketone P3HT-CNT composites for chemiresistive amine sensors with improved sensitivity
TW202104890A (zh) 呼氣分析儀及尿素呼氣測試方法
WO2014063169A1 (en) Ammonia gas detector using polyaniline thin film sensor
Tsuboi et al. Mobile sensor that quickly and selectively measures ammonia gas components in breath
Boudaden et al. Smart capacitive CO 2 sensor
EP4111958A2 (en) Electrochemical sensing for breath analysis
Salimi et al. Copper Fluoride Doped Polypyrrole for Portable and Enhanced Ammonia Sensing at Room Temperature
Li et al. A vanadium oxide nanotube-based nitric oxide gas sensor
US1171405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gas sens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