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069A - 컨텐츠변환장치, 컨텐츠변환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컨텐츠변환장치, 컨텐츠변환방법 및 그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069A
KR20140037069A KR1020137028592A KR20137028592A KR20140037069A KR 20140037069 A KR20140037069 A KR 20140037069A KR 1020137028592 A KR1020137028592 A KR 1020137028592A KR 20137028592 A KR20137028592 A KR 20137028592A KR 20140037069 A KR20140037069 A KR 20140037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ion
content
degree
quality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3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61Image signal generators with monoscopic-to-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D컨텐츠를 3D컨텐츠로 변환하는 컨텐츠변환장치, 컨텐츠변환방법 및 그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컨텐츠변환방법은, 영상컨텐츠인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2D컨텐츠로부터 변환되는 3D컨텐츠의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하여 깊이(depth)를 할당하는 단계와; 깊이가 할당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3D컨텐츠로의 변환을 위한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깊이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결정된 상기 3D컨텐츠의 품질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품질의 3D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변환장치, 컨텐츠변환방법 및 그 저장 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2D CONTENT INTO 3D CONTEN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변환장치, 컨텐츠변환방법 및 그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D컨텐츠를 3D컨텐츠로 변환하는 컨텐츠변환장치, 컨텐츠변환방법 및 그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영화, 드라마, 스포츠경기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이하, 간략히, '컨텐츠'라고 함)는 TV,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플레이어 등과 같이 컨텐츠재생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재생된다.
한편, 근래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컨텐츠가 3D컨텐츠로 만들어져,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재생되고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3D컨텐츠를 만드는데는 통상 막대한 규모의 장치와, 개발인력이 필요하여 매우 큰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아직까지는 우수한 품질의 3D컨텐츠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제공되고 있는 3D컨텐츠의 경우에도, 미리 정해진 품질의 3D컨텐츠를 이용하는 정도에 그치는 상황이며,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품질의 3D컨텐츠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품질의 3D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변환장치, 컨텐츠변환방법 및 그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컨텐츠변환장치를 이용하여 2D컨텐츠를 3D컨텐츠로 변환하는 컨텐츠변환방법에 있어서, 영상컨텐츠인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2D컨텐츠로부터 변환되는 3D컨텐츠의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하여 깊이(depth)를 할당하는 단계와; 깊이가 할당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3D컨텐츠로의 변환을 위한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깊이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결정된 상기 3D컨텐츠의 품질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컨텐츠변환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깊이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해진 기준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자동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수동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3D컨텐츠의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는, 해당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상기 자동프로세스 및 상기 수동프로세스가 얼마나 수행되는지를 나타내는 수행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행정도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품질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동프로세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GUI항목으로서, 선택된 상기 품질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GUI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깊이를 할당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처리되는 상기 프레임의 장면의 내용 및 전개과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변환방법은,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키프레임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깊이를 할당하는 단계는, 선정된 상기 키프레임에 대하여 수행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상기 키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에 대하여 트래킹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변환방법은, 상기 렌더링이 수행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3D화질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2D컨텐츠를 3D컨텐츠로 변환하는 컨텐츠변환장치에 있어서, 영상컨텐츠인 2D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하여 깊이(depth)를 할당하고, 깊이가 할당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3D컨텐츠로의 변환을 위한 렌더링을 수행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부는, 변환되는 상기 3D컨텐츠의 품질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3D컨텐츠의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추출, 상기 깊이의 할당 및 상기 렌더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컨텐츠변환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변환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미리 정해진 기준정보에 기초하는 자동프로세스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는 수동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오브젝트의 추출, 상기 깊이의 할당 및 상기 렌더링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변환부는, 해당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상기 자동프로세스 및 상기 수동프로세스가 얼마나 수행되는지를 나타내는 수행정도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3D컨텐츠의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수행정도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품질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수행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수동프로세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GUI항목으로서, 선택된 상기 품질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GUI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처리되는 상기 프레임의 장면의 내용 및 전개과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추출 및 상기 깊이의 할당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키프레임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키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추출 및 상기 깊이의 할당을 수행하며,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상기 키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에 대하여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렌더링이 수행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3D화질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instructions)을 갖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명령이 수행될 때, 상기 명령은 2D컨텐츠를 3D 컨텐츠로 변환하는 컨텐츠변환방법을 수행하고, 상기 컨텐츠변환방법은, 영상컨텐츠인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2D컨텐츠로부터 변환되는 3D컨텐츠의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하여 깊이(depth)를 할당하는 단계와; 깊이가 할당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3D컨텐츠로의 변환을 위한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깊이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결정된 상기 3D컨텐츠의 품질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깊이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정해진 기준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자동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수동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3D컨텐츠의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는, 해당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상기 자동프로세스 및 상기 수동프로세스가 얼마나 수행되는지를 나타내는 수행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행정도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품질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동프로세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GUI항목으로서, 선택된 상기 품질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GUI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깊이를 할당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처리되는 상기 프레임의 장면의 내용 및 전개과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변환방법은,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키프레임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깊이를 할당하는 단계는, 선정된 상기 키프레임에 대하여 수행되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상기 키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에 대하여 트래킹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변환방법은, 상기 렌더링이 수행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3D화질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컨텐츠변환장치를 이용하여 2D컨텐츠를 3D컨텐츠로 변환하는 컨텐츠변환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수행 정도에 기초하여 2D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을,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레임군으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분류된 복수의 프레임군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프레임군에 대한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변환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지정할 수 있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항목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변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변환 품질에 관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 품질에 관한 메뉴항목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는, 제1변환 프로세스와,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보다 낮은 변환 품질에 대응하는 제2변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변환 프로세스는,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를 이용한 보간 및 트래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샘플링 레이트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다운 샘플링하여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를 적용할 상기 프레임군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를 적용할 상기 프레임군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2D컨텐츠를 3D컨텐츠로 변환하는 컨텐츠변환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수행 정도에 기초하여 2D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을,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레임군으로 분류하여, 상기 분류된 복수의 프레임군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군에 대한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를 병합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컨텐츠변환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지정할 수 있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메뉴항목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변환 품질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변환 품질에 관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변환 품질에 관한 메뉴항목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는, 제1변환 프로세스와,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보다 낮은 변환 품질에 대응하는 제2변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변환 프로세스는,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를 이용한 보간 및 트래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결정된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샘플링 레이트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다운 샘플링하여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를 적용할 상기 프레임군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결정된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를 적용할 상기 프레임군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품질의 3D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변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에 의한 복수의 품질모드의 일례를 도시하는 테이블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의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가 제공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8은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컨텐츠변환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9 및 10은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며,
도 11은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컨텐츠변환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변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2차원의 컨텐츠(이하, '2D컨텐츠'라고 함)를 3D컨텐츠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의 컨텐츠는, 동영상컨텐츠로서, 예컨대 영화, 드라마, 스포츠경기 등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소정의 2D컨텐츠제공장치(도시 안됨)로부터 3D컨텐츠로 변환할 2D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소정의 네트워크(도시 안됨)를 통해서 2D컨텐츠제공장치로부터 2D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2D컨텐츠제공장치는 예컨대 네트워크서버로서, 2D컨텐츠를 저장하고, 컨텐츠변환장치(1)의 요청에 따라 2D컨텐츠를 컨텐츠변환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데이터 전송 수단을 통하여 2D컨텐츠제공장치로부터 2D컨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예컨대, 2D컨텐츠제공장치는 2D컨텐츠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 플래시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장치로서, 컨텐츠변환장치(1)에 로컬 장치로서 연결되어 컨텐츠변환장치(1)의 요청에 따라 2D컨텐츠를 컨텐츠변환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2D컨텐츠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것이라면, 컨텐츠변환장치(1)와, 2D컨텐츠제공장치 간의 로컬 연결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USB 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3D컨텐츠제공장치(도시 안됨)로부터 2D컨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예컨대, 3D컨텐츠제공장치는 2D컨텐츠를 컨텐츠변환장치(1)에 전달하고, 컨텐츠변환장치(1)에 의해 변환된 3D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소정의 사용자단말기(도시 안됨)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는 컨텐츠변환장치(1)로부터 제공된 3D컨텐츠를 3차원의 입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예컨대, TV,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PMP, MP3플레이어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변환된 3D컨텐츠를 3차원의 입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자단말기에 3D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에 있어서, 2D컨텐츠 및/또는 3D컨텐츠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이라면,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 등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으며, 알려진 통신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11) 및 통신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부(11)는 2D컨텐츠를 3D컨텐츠로 변환한다. 2D컨텐츠는 복수의 영상프레임(이하, '프레임'이라고 함)을 포함한다. 3D컨텐츠는 시청자의 양안 시차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좌안프레임 및 복수의 우안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좌안프레임 및 복수의 우안프레임 중 한 쌍의 좌안프레임과, 우안프레임은, 2D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대응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각각 변환될 것일 수 있다. 변환부(11)에 의해 수행되는 2D컨텐츠로부터 3D컨텐츠로의 변환(이하, '2D-3D변환'이라고 함)에 대해서는 아래에 다시 상술한다.
통신부(14)는 2D컨텐츠제공장치 및 컨텐츠변환장치(1) 간의 데이터 통신, 3D컨텐츠제공장치 및 컨텐츠변환장치(1) 간의 데이터 통신, 또는 사용자단말기 및 컨텐츠변환장치(1)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변환부(11)는, 저장부(111), RAM(112) 및 CPU(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1)는 2D-3D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변환프로그램(114), 변환할 2D컨텐츠(115) 및 2D컨텐츠로부터 변환되는 3D컨텐츠(116)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1)는 하드디스크, 플래시메모리 등의 비휘발성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RAM(112)에는 변환부(11)의 동작 시 변환프로그램(114)의 적어도 일부가 로딩되며, CPU(113)는 RAM(112)에 로딩된 변환프로그램(114)을 실행한다. 변환프로그램(114)은 CPU(113)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instructions)을 가진다. 저장부(111)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의 일례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1)의 동작(이하, '2D-3D변환 프로세스'라고도 함)은, 변환프로그램(114)의 명령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변환방법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의 2D-3D변환 프로세스는, 3D컨텐츠의 품질 결정(201), 오브젝트 추출(202), 깊이(depth) 할당(203) 및 렌더링(rendering; 204)을 포함할 수 있다.
3D컨텐츠의 품질 결정(201)에서는, 변환하고자 하는 3D컨텐츠의 품질이 결정된다. 본 실시예의 2D-3D변환 프로세스는, 3D컨텐츠의 품질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오브젝트 추출(202), 깊이(depth) 할당(203) 및 렌더링(rendering; 204)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는 결정된 3D컨텐츠의 품질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3D컨텐츠의 품질 결정(201)은 아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오브젝트 추출(202)에서는, 처리되는 프레임의 영상에 대하여 3차원 효과가 반영될 오브젝트가 추출된다. 오브젝트는 각 프레임의 장면 중에 포함된 주요한 이미지로서, 예컨대, 주인공이 등장하는 장면에서 주인공인 인물의 이미지, 차량이 달리는 장면에서 해당 차량의 이미지 등을 들 수 있다. 오브젝트 추출(202)에서는, 해당 프레임의 영상을 분할(segmentation)하여 그 결과로부터 오브젝트의 경계(boundary)를 추출할 수 있다.
깊이 할당(203)에서는, 오브젝트 추출(202)의 프로세스에서 추출된 오브젝트에 대하여 깊이가 할당된다. 깊이는 3차원의 시각 효과를 내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대응하여 생성되는 좌안프레임 및 우안프레임에서 오브젝트를 할당된 파라미터의 값만큼 각각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shift)시키는데 이용된다. 깊이 할당(203)에서는, 미리 마련된 정형화된 템플릿(template)을 이용하여 깊이가 할당될 수 있다.
렌더링(204)에서는 깊이 할당(203)이 수행된 좌안프레임 및 우안프레임에 대하여 완성된 3차원의 영상을 위한 이미지 처리가 수행된다. 예컨대, 렌더링(204)에서는 프레임의 영상에서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라 발생한 빈 영역을 채우는 처리, 이른바, 인페인팅(inpainting)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3D컨텐츠의 품질 결정(201)의 프로세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2D-3D변환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수동프로세스 및 미리 정해진 기준정보에 따라 수행되는 자동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오브젝트 추출(202), 깊이 할당(203) 등의 프로세스에서, 일부의 프레임은 수동프로세스에 의해 처리되고, 나머지 프레임에 대해서는 자동프로세스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수동프로세스에서는, 사용자(컨텐츠 변환 작업을 수행하는 개발자)의 입력에 따라 변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하여 키보드, 마우스, 태블릿 등과 같은 사용자입력부(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변환장치(1)는 사용자가 변환 처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변환 처리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3)에 처리되는 프레임의 영상과, 소정 입력메뉴 등을 포함하는 GUI(도시 안됨)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는 프레임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GUI의 입력메뉴 등을 이용하여 변환 처리를 위한 입력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프레임의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확인하면서, GUI의 입력메뉴 등을 이용하여 해당 오브젝트가 추출되도록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다.
자동프로세스에서는, 미리 정해진 기준정보에 따라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예컨대, 오브젝트 추출(202)에 있어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프레임의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내의 어느 오브젝트의 경계에서 화소값의 변화가 소정 문턱치 이상인 오브젝트를 추출할 오브젝트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정보는 추출할 오브젝트로 선택하도록 하는, 오브젝트의 경계에서의 화소값의 변화의 문턱치일 수 있다.
3D컨텐츠의 품질은, 어느 2D-3D변환 프로세스에 있어서, 수동프로세스 및 자동프로세스가 각각 얼마나 수행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오브젝트 추출(202)에 있어서, 수동프로세스와, 자동프로세스가 각각 절반씩 이루어진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3D컨텐츠의 품질은, 어느 2D-3D변환 프로세스 전체 중에서 자동프로세스(혹은 수동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비율(이하, '조합비율' 혹은 '수행정도'라고도 함)로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1)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컨텐츠변환장치(1)는, 3D컨텐츠의 품질을 고려하여 자동프로세스(혹은 수동프로세스)의 수행정도를 결정한다(301). 다음으로, 어느 2D-3D변환 프로세스에 있어서, 결정된 수행정도에 기초하여 자동프로세스로 처리할 것인지 아니면, 수동프로세스로 처리할 것인지를 결정한다(302). 동작 302에 있어서, 자동프로세스 혹은 수동프로세스로 처리할 것인지를 구분하는 결정은 예컨대 프레임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자동프로세스로 처리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해당 2D-3D변환 프로세스를 자동프로세스로 처리한다(303). 만일, 수동프로세스로 처리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해당 2D-3D변환 프로세스를 수동프로세스로 처리한다(304).
3D컨텐츠의 품질은, 복수의 품질모드를 포함하며, 복수의 품질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2D-3D변환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품질모드의 일례를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4의 테이블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품질모드는, 예컨대, 품질이 높아지는 순으로, '간이(Simple) 모드', '기본(Basic) 모드', '향상된(Advanced) 모드' 및 '전문가(Expert)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품질모드는, 각각의 자동프로세스의 수행정도는, 해당 프로세스 전체 중에서 예컨대 85% 초과, 85%, 70% 및 50%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품질모드는 3D컨텐츠를 제작하는 측면에서의 비용에도 대응한다(도 4의 테이블에서, '매우 낮은', '낮은', '중간' 및 '중간+' 참조).
3D컨텐츠의 품질은, 2D컨텐츠의 종류 혹은 속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2D컨텐츠가 최신 개봉작인 영화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품질로 결정되고, 제작된지 오래된 영화는 상대적으로 낮은 품질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블록버스터와 같은 스케일이 큰 영화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품질로 결정되고, 스토리 전개 위주의 영화는 상대적으로 낮은 품질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스포츠, 영화, 드라마 등과 같은 컨텐츠의 장르에 따라 3D컨텐츠의 품질이 결정될 수도 있다.
3D컨텐츠의 품질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3D컨텐츠의 품질의 결정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예컨대, 사용자입력부(12)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해당 컨텐츠를 변환하는 개발자일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13)에는 3D컨텐츠의 품질의 결정을 위한 GUI로서의 입력메뉴가 표시될 수 있으며, 3D컨텐츠의 품질의 결정을 위한 입력메뉴는, 예컨대, '간이(Simple) 모드', '기본(Basic) 모드', '향상된(Advanced) 모드' 및 '전문가(Expert)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GUI항목을 포함하는 풀다운메뉴(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풀다운메뉴의 복수의 GUI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각 2D-3D변환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GUI 입력메뉴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의 GUI항목 중에서, 선택된 품질모드에 따라 필요한 기능의 GUI항목만 활성화되고, 불필요한 기능의 GUI항목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3D컨텐츠의 품질의 결정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통신부(14)를 통해 다른 장치, 예를 들면 3D컨텐츠의 변환을 요청하는 사용자단말기(도시 안됨)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사용자는 예컨대 해당 컨텐츠의 변환을 요청하고 변환된 3D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에에 의하면, 변환되는 3D컨텐츠의 품질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비용 대비 효과적인 품질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1)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1)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컨텐츠변환장치(1)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2D-3D변환 프로세스는, 3D컨텐츠의 품질 결정(501), 키프레임의 선정(502), 오브젝트 추출(503), 깊이 할당(504), 트래킹(505), 렌더링(506) 및 3D화질처리(507)를 포함할 수 있다.
3D컨텐츠의 품질 결정(501)에서는, 변환하고자 하는 3D컨텐츠의 품질이 결정된다.
키프레임 선정(502)에서는, 2D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임의의 키프레임이 선정된다. 키프레임으로서는, 2D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영상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프레임이 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키프레임은, 장면이 전환되는 프레임, 장면의 주인공이 클로즈업되는 프레임 등일 수 있다. 키프레임은 해당 프레임의 영상의 모션에 기초하여 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영상의 모션이 소정치 이상인 프레임을 키프레임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오브젝트 추출(503)에서는, 선정된 키프레임에 대하여 3차원 효과가 반영될 오브젝트가 추출된다. 깊이 할당(504)에서는, 오브젝트 추출의 프로세스(503)에서 추출된 오브젝트에 대하여 깊이가 할당된다.
트래킹(505)에서는, 키프레임이 아닌 나머지 프레임에 대하여 대응하는 좌안프레임 및 우안프레임이 생성된다. 트래킹(505)은 키프레임에 수행된 오브젝트 추출(503) 및 깊이 할당(504)을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요한 키프레임에 대하여 오브젝트 추출, 깊이 할당 등을 수행하고, 나머지 프레임에 대하여 키프레임을 참조하여 트래킹을 수행함으로써, 품질적으로 우수함을 유지하면서도, 비용적, 시간적으로 효율적인 변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렌더링(506)에서는 깊이 할당(504) 및 트래킹(505)이 수행된 좌안프레임 및 우안프레임에 대하여 완성된 3차원의 영상을 위한 이미지 처리가 수행된다.
3D화질처리(507)에서는, 렌더링(506)이 수행된 프레임에 대하여 3D화질처리가 수행된다. 3D화질처리(406)는 콘트라스트향상(contrast enhancement), 디테일향상(detail enhance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D화질처리(507)에 의해, 3D컨텐츠의 실제 디스플레이 시 화질의 측면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최적화되도록 화질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2D-3D변환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는, 처리되는 프레임의 장면의 내용 및 전개과정에 관한 정보(이하, '스토리텔링(storytelling)정보'라고도 함)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토리텔링정보는 컨텐츠의 제작자가 의도한 바에 따라 컨텐츠의 스토리 전개에 맞추어 3차원의 시각 효과가 대응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브젝트 추출(503), 깊이 할당(504) 등의 프로세스가 스토리텔링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토리텔링정보를 이용하는 예로서는, 두 인물이 대화를 나누는 장면에서, 대화를 나누는 두 인물의 뒤를 다른 주요 인물이 지나가는 경우, 다른 주요 인물을 해당 프레임에서의 오브젝트로 추출하도록 하거나, 추출된 다른 주요 인물의 오브젝트에 깊이를 충분히 적용하도록 하는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스토리텔링정보는 오브젝트 추출을 위한 다른 주요 인물의 이미지에 관한 정보나, 깊이 할당을 위하여 스토리 전개 상의 주요한 정도를 나타내는 값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프레임에 대응하여 미리 마련되어 저장부(111)에 저장될 수 있다. 변환부(11)는 해당 프레임에 대한 프로세스 시 저장부(111)에 저장된 스토리텔링정보를 참조하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컨텐츠변환장치(1)의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컨텐츠변환장치(1)의 구성 중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컨텐츠변환장치(1)와 동일 내지 유사한 사항의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동작 601에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2D-3D변환에 적용할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는, 변환되는 3D컨텐츠의 품질(이하, '변환 품질'이라 함)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1변환 프로세스와, 제1변환 프로세스보다는 변환 품질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2변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변환 프로세스는, 예컨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를 추출하거나, 깊이를 할당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제2변환 프로세스는,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보간하거나, 트래킹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만, 제1변환 프로세스와, 제2변환 프로세스는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환 품질이 상이한 다양한 형태의 변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는, 2개의 변환 프로세스에 한정되지 않으며, 3이상의 변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동작 601에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사용자에 입력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변환장치(1)는 사용자입력부(12)를 통하여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에 입력에 따라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지정할 수 있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고, 메뉴항목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의 일례를 도시한다. GUI(71)은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제1변환 프로세스, 제2변환 프로세스 등) 각각의 수행 정도를 지정할 수 있는 메뉴항목(72, 73)을 포함한다. 메뉴항목(72, 7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항목(72, 73)을 이용하여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제1변환 프로세스, 제2변환 프로세스 등) 각각의 수행 정도를 지정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지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형태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행 정도를 지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예컨대, 직접 입력, 선택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환 품질을 고려하여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제1변환 프로세스, 제2변환 프로세스 등) 각각의 수행 정도를 지정할 수 있다. 제1변환 프로세스가 높은 변환 품질에 대응하고, 제2변환 프로세스가 제1변환 프로세스보다 낮은 변환 품질에 대응하는 경우, 변환 품질을 높히고자 하는 경우,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를 제2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비하여 크게 지정한다(제2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를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비하여 작게 지정). 예컨대, 제1변환 프로세스를 60%로 지정하고, 제2변환 프로세스를 30%로 지정할 수 있다. 반대로, 변환 품질을 낮추고자 하는 경우,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를 제2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비하여 작게 지정한다(제2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를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비하여 크게 지정). 예컨대, 제1변환 프로세스를 30%로 지정하고, 제2변환 프로세스를 60%로 지정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지정된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제1변환 프로세스, 제2변환 프로세스 등) 각각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여 예상되는 변환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변환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품질모드를 나타내는 메뉴항목(74)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품질모드는 '품질A', '품질B',...와 같이 품질이 높은 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대한 지정에 대응하여 예상되는 변환 품질의 메뉴항목(74)을 하이라이트시킨다. 도 7에서는, 현재의 지정에 의하면, 예상되는 변환 품질은 가장 품질이 높은 '품질A'에 해당함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로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메뉴항목(74)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항목(72, 73) 대신 메뉴항목(74)을 이용하여 변환 품질을 선택하고, 컨텐츠변환장치(1)는 선택된 변환 품질에 대응하여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품질B'에 해당하는 메뉴항목(74)을 선택한 경우, 컨텐츠변환장치(1)는 두 번째로 변환 품질이 높은 경우로 판단하고, 제1변환 프로세스를 40%로 지정하고, 제2변환 프로세스를 50%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의 수행 정도의 수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제 구현에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01에서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가 결정되면, 동작 602에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결정된 수행 정도에 기초하여, 변환하고자 하는 2D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을,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레임군으로 분류한다.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가 제1변환 프로세스와, 제2변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경우, 컨텐츠변환장치(1)는 2D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을 제1변환 프로세스를 적용할 제1프레임군과, 제2변환 프로세스를 적용할 제2프레임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2D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을 분류함에 있어서, 동작 601에서 결정된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고려한다. 예컨대,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가 70%, 제2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가 30%로 결정된 경우, 2D컨텐츠의 전체 프레임 중에서 70%를 제1프레임군으로, 30%를 제2프레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변환장치(1)는 분류된 복수의 프레임군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즉, 제1프레임군에 대하여 제1변환 프로세스가 수행되고(동작 603), 제2프레임군에 대하여 제2변환 프로세스가 수행된다(동작 604).
다음으로, 동작 605에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각 프레임군에 대한 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를 병합한다. 병합에 의해 3D컨텐츠의 변환이 완료될 수도 있고, 추가적으로 변환 과정이 더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컨텐츠변환장치(1)의 구체적인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상대적으로 높은 변환 품질에 대응하는 제1변환 프로세스를 적용할 제1프레임군을 소정 기준을 가지고 선별할 수 있다. 동작 801에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동작 601에서 결정된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샘플링 레이트로 복수의 프레임을 다운 샘플링하여 제1프레임군을 결정할 수 있다. 다운 샘플링은 전체 프레임에 대하여 1/n (n=1, 2, 3, …)의 샘플링 레이트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변환 프로세스가 50%인 경우, 1/2의 샘플링 레이트로 다운 샘플링이 수행되어 제1프레임군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프레임군은 전체 프레임 중에서 절반이 선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802에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결정된 제1프레임군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제1프레임군으로 선별된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을 위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GUI를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프레임(91) 내의 오브젝트(93)를 추출하기 위하여, GUI(92)를 이용한 사용자입력부(12)의 입력을 통하여 오브젝트(93)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94)을 그릴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선(94)을 참조하여 이를 경계로 하는 오브젝트(93)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깊이를 할당하는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프레임(101) 내의 오브젝트(103)에 대하여, GUI(102)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3)에 할당할 깊이를 나타내는 값(104)을 지정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값(104)을 참조하여 오브젝트(103)에 깊이를 할당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제1프레임군으로 선별된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이 완료되면, 동작 802를 종료한다.
한편, 동작 803에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제1변환 프로세스(동작 802)의 수행 결과를 이용한 보간과, 업 샘플링을 수행한다. 2D컨텐츠의 일부 프레임(제1프레임)에 대하여만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이 이루어졌으므로, 나머지 프레임에 대하여도 해당 처리가 필요하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동작 802에서 제1프레임군에 대하여 이루어진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의 결과를 이용하여 나머지 프레임에 대한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을 수행한다. 동작 803에서의 업 샘플링은 동작 801에서 수행된 다운 샘플링에 대응하는 샘플링 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동작 801에서 다운 샘플링이 1/2의 샘플링 레이트로 수행된 경우, 동작 803에서의 업 샘플링은 2(배)의 샘플링 레이트로 수행된다. 업 샘플링된 프레임에 대한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은, 처리하고자 하는 프레임에 인접한 제1프레임군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의 결과를 보간하여 수행된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업 샘플링된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보간이 완료되면, 동작 803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동작 804에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동작 802에서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이 수행된 제1프레임군과, 동작 803에서 보간 및 업샘플링이 수행된 프레임을 병합한다. 병합된 프레임에 대하여 렌더링 등의 추가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음은 앞선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1은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컨텐츠변환장치(1)의 구체적인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상대적으로 높은 변환 품질에 대응하는 제1변환 프로세스를 적용할 제1프레임군을 다른 기준을 가지고 선별할 수 있다. 동작 1101에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2D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동작 601에서 결정된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중요도 이상을 가진 제1프레임군을 결정할 수 있다. 중요도는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영상의 내용을 대표하는 정도에 대응한다. 예컨대, 장면이 전환되는 프레임, 장면의 주인공이 클로즈업되는 프레임 등은 중요도가 높을 수 있다. 중요도는, 예컨대, 해당 프레임의 영상의 모션 변화 정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해당 프레임의 영상의 모션이 동작 601에서 결정된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값 이상인 프레임을 제1프레임군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변환 프로세스가 50%로 지정된 경우, 전체 프레임 중에서 중요도의 순으로 상위 1/2에 해당하는 프레임이 제1프레임군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1102에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결정된 제1프레임군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제1프레임군으로 선별된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102는 앞서 설명한 동작802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제1프레임군으로 선별된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이 완료되면, 동작 1102를 종료한다.
한편, 동작 1103에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제1변환 프로세스(동작 1102)의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트래킹을 수행한다. 2D컨텐츠의 일부 프레임(제1프레임)에 대하여만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이 이루어졌으므로, 나머지 프레임에 대하여도 해당 처리가 필요하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동작 1102에서 제1프레임군에 대하여 이루어진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의 결과를 이용한 트래킹을 실행함으로써 나머지 프레임에 대한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을 수행한다. 동작 1103에서의 트래킹은 앞서 설명한 동작 505에서의 트래킹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컨텐츠변환장치(1)는 2D컨텐츠의 전체 프레임 중에서 제1프레임군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트래킹이 완료되면, 동작 1103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동작 1104에서, 컨텐츠변환장치(1)는 동작 1102에서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이 수행된 제1프레임군과, 동작 1103에서 트래킹이 수행된 프레임을 병합한다. 병합된 프레임에 대하여 렌더링 등의 추가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음은 앞선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브젝트 추출(202), 깊이 할당(203) 등의 프로세스에 대하여 3D컨텐츠의 품질을 다양하게 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프로세스인 키프레임 선정(502), 렌더링(506) 등의 프로세스도 3D컨텐츠의 품질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1: 컨텐츠변환장치
11: 변환부
12: 사용자입력부
13: 디스플레이부
14: 통신부

Claims (18)

  1. 컨텐츠변환장치를 이용하여 2D컨텐츠를 3D컨텐츠로 변환하는 컨텐츠변환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수행 정도에 기초하여 2D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을,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레임군으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분류된 복수의 프레임군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프레임군에 대한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변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변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지정할 수 있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항목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변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변환 품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변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변환 품질에 관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 품질에 관한 메뉴항목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변환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는, 제1변환 프로세스와,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보다 낮은 변환 품질에 대응하는 제2변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컨텐츠변환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변환 프로세스는,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를 이용한 보간 및 트래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변환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샘플링 레이트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다운 샘플링하여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를 적용할 상기 프레임군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변환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를 적용할 상기 프레임군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변환방법.
  10. 2D컨텐츠를 3D컨텐츠로 변환하는 컨텐츠변환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수행 정도에 기초하여 2D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을,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레임군으로 분류하여, 상기 분류된 복수의 프레임군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군에 대한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를 병합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컨텐츠변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컨텐츠변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지정할 수 있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메뉴항목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컨텐츠변환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변환 품질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컨텐츠변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변환 품질에 관한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변환 품질에 관한 메뉴항목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 정도를 결정하는 컨텐츠변환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환 프로세스는, 제1변환 프로세스와,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보다 낮은 변환 품질에 대응하는 제2변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컨텐츠변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행되는 오브젝트 추출 및 깊이 할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변환 프로세스는,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결과를 이용한 보간 및 트래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변환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결정된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샘플링 레이트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을 다운 샘플링하여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를 적용할 상기 프레임군을 결정하는 컨텐츠변환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결정된 제1변환 프로세스의 수행 정도에 대응하는 중요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상기 제1변환 프로세스를 적용할 상기 프레임군을 결정하는 컨텐츠변환장치.
KR1020137028592A 2011-05-17 2012-05-09 컨텐츠변환장치, 컨텐츠변환방법 및 그 저장 매체 KR201400370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349 2011-05-17
KR20110046349 2011-05-17
PCT/KR2012/003643 WO2012157886A2 (en) 2011-05-17 2012-05-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2d content into 3d conten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069A true KR20140037069A (ko) 2014-03-26

Family

ID=4500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592A KR20140037069A (ko) 2011-05-17 2012-05-09 컨텐츠변환장치, 컨텐츠변환방법 및 그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293616A1 (ko)
EP (2) EP2525581A3 (ko)
JP (2) JP2012244622A (ko)
KR (1) KR20140037069A (ko)
CN (2) CN102789648A (ko)
WO (1) WO20121578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428684A (zh) * 2013-01-10 2014-07-16 Calin Technology Co Ltd 影像仿真補正之方法
KR101503691B1 (ko) * 2013-02-07 2015-03-19 주식회사 로커스 입체영상 제작 시 인터레이스 이미지 처리 방법, 이를 이용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20150066883A (ko) * 2013-12-09 2015-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US9979952B2 (en) * 2013-12-13 2018-05-22 Htc Corporation Method of creating a parallax video from a still image
CN104967893B (zh) * 2014-07-10 2019-03-29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便携电子设备的视频生成方法和装置
KR102264591B1 (ko) * 2015-02-27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926463B1 (ko) * 2016-12-22 2018-12-10 주식회사 디지털아이디어 영상 처리를 위한 공정 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610059B2 (en) * 2018-12-07 2023-03-21 Interject Data Syste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visual interface for grid-based programs
IT201900000082A1 (it) * 2019-01-04 2020-07-04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sistema, metodo e prodotto informatico di rilevamento e valutazione di grandezze ambientali ed eventi ad approccio modulare e complessita' variabile
CN111212278B (zh) * 2020-01-07 2021-08-03 电子科技大学 一种预测位移帧的方法与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9512A1 (en) * 1999-11-26 2001-05-31 Sanyo Electric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two-dimensional video to three-dimensional video
KR20030062313A (ko) * 2000-08-09 2003-07-23 다이나믹 디지탈 텝스 리서치 피티와이 엘티디 영상 변환 및 부호화 기술
KR100461339B1 (ko) * 2002-05-14 2004-12-10 주식회사 포디컬쳐 영상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JP2004259063A (ja) * 2003-02-26 2004-09-16 Sony Corp 3次元オブジェクトの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00195B2 (ja) * 2003-02-26 2008-06-11 ソニー株式会社 3次元オブジェクトの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330801B2 (en) * 2006-12-22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Complexity-adaptive 2D-to-3D video sequence conversion
US8213711B2 (en) * 2007-04-03 2012-07-03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Industry, Through The Communications Research Centre Canada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difying depth maps
KR101387212B1 (ko) * 2007-06-12 2014-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2d 영상 미디어 표준을 기반으로 3d 입체영상 파일을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47265B1 (ko) * 2008-10-10 2010-03-12 (주)플렛디스 Pmp용 3d 영상 디스플레이 모듈
US8345956B2 (en) * 2008-11-03 2013-01-01 Microsoft Corporation Converting 2D video into stereo video
KR101506926B1 (ko) * 2008-12-04 2015-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깊이 추정 장치 및 방법, 및 3d 영상 변환 장치 및 방법
WO2011017308A1 (en) * 2009-08-04 2011-02-10 Shenzhen Tcl New Technolog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hree-dimensional video generation
US9083958B2 (en) * 2009-08-06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Transforming video data in accordance with three dimensional input formats
US8878912B2 (en) * 2009-08-06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Encapsulating three-dimensional video data in accordance with transport protocols
WO2011028837A2 (en) * 2009-09-01 2011-03-10 Prime Focus Vfx Services Ii Inc. System and process for transforming two-dimensional images into three-dimensional images
US8537200B2 (en) * 2009-10-23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Depth map generation techniques for conversion of 2D video data to 3D video data
KR20120005328A (ko) * 2010-07-08 2012-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US8918715B2 (en) * 2010-11-16 2014-12-23 Magix Ag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tereoscopic 3D multimedia works from 2D input material
KR101028342B1 (ko) * 2011-01-20 2011-04-11 (주)디지탈아리아 2차원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입체 3차원 플래시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하는 방법
KR20120133640A (ko) * 2011-05-31 2012-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영상변환장치 그 구현방법 및 그 저장매체
US20130162625A1 (en) * 2011-12-23 2013-06-27 Michael L. Schmit Displayed Image Improvement
WO2013112796A1 (en) * 2012-01-25 2013-08-01 Lumenco, Llc Conversion of a digital stereo image into multiple views with parallax for 3d viewing without gla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5384A4 (en) 2014-10-08
CN103548343A (zh) 2014-01-29
JP2014515153A (ja) 2014-06-26
US20120293616A1 (en) 2012-11-22
WO2012157886A3 (en) 2013-03-21
CN102789648A (zh) 2012-11-21
JP2012244622A (ja) 2012-12-10
EP2525581A2 (en) 2012-11-21
WO2012157886A2 (en) 2012-11-22
EP2525581A3 (en) 2013-10-23
US20140115473A1 (en) 2014-04-24
EP2695384A2 (en)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7069A (ko) 컨텐츠변환장치, 컨텐츠변환방법 및 그 저장 매체
US9153032B2 (en)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depth map generation
KR101775253B1 (ko) 2차원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3차원 스테레오 이미지 또는 비디오로의 실시간 자동 변환
US11750786B2 (en) Providing apparatus,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processing relating to a virtual viewpoint image
US91547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2D content into 3D content
EP2999221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2138847B1 (ko) 알파 블렌딩을 사용한 동적 이미지 컬러 리매핑 방법
US201202936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content
US110761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26078A (ko) 컨텐츠변환장치 및 컨텐츠변환방법
JP6025740B2 (ja) エネルギー値を用いたイメージ処理装置およびそのイメージ処理方法、並びにディスプレイ方法
KR20120127992A (ko) 컨텐츠변환장치, 컨텐츠변환방법 및 그 저장 매체
CN115134677A (zh) 视频封面选择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859412B1 (ko) 컨텐츠변환장치 및 컨텐츠변환방법
KR20190004570A (ko) 웹 브라우저에 표시된 검색 결과 페이지로부터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108836A (ko)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비디오 장치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