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961A -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961A
KR20140036961A KR1020130106226A KR20130106226A KR20140036961A KR 20140036961 A KR20140036961 A KR 20140036961A KR 1020130106226 A KR1020130106226 A KR 1020130106226A KR 20130106226 A KR20130106226 A KR 20130106226A KR 20140036961 A KR20140036961 A KR 20140036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interactive service
communication
near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7196B1 (ko
Inventor
고재우
위태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BR112015004797A priority Critical patent/BR112015004797A2/pt
Priority to PCT/KR2013/008326 priority patent/WO2014046424A1/en
Priority to RU2015114562A priority patent/RU2609566C2/ru
Priority to AU2013318849A priority patent/AU2013318849B2/en
Priority to IN2997MU2013 priority patent/IN2013MU02997A/en
Priority to JP2013191468A priority patent/JP6306307B2/ja
Priority to EP13184719.6A priority patent/EP2709384B1/en
Priority to CN201310426551.XA priority patent/CN103685727B/zh
Priority to US14/030,298 priority patent/US9826337B2/en
Publication of KR2014003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961A/ko
Priority to US15/700,814 priority patent/US1008009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기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할 때 주변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가 제공된다. 정보 전송 방법은, 전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할 때, 전자 기기의 주변 객체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주변 객체에 저장된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할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제 2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정보 전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랙티브 서비스(interactive service)를 사용할 수 있는 기기(devices)간의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기기간 인터랙티브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메신저 서비스(messenger service), 이메일 서비스(e-mail service), 영상 통화 서비스, 음성 통화 서비스,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등 다양한 종류의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터랙티브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인터랙티브 서비스 환경에 기초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안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기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기기의 주변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기기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기기의 주변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기기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기기의 주변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기기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기기의 주변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외부 기기와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기기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기기의 주변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상기 전자 기기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수행될 때 상기 전자 기기의 주변 객체에 저장된 제 1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될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정보를 획득단계는 상기 주변 객체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제 2 정보를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렉티브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전자 기기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제 2 정보를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전자 기기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제 2 정보를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서버로 요청(a request)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요청의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된다.
상기 제 1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URL을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URL을 통해 이용 가능한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객체는 상기 근거리 통신을 사용할 수 있는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 2 정보를 상기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상기 제 2 정보의 데이터 포맷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한 후, 상기 제 2 정보에 관한 전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상기 제 1 정보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RFID(Radio Frequenc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및 바코드 인식 기반 기술 및 QR(Quick Response) 코드 인식 기반 기술 중 하나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주변의 객체에 저장된 제 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정보 획득기; 상기 전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수행될 때, 상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출력하도록 구성된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상기 전자 기기간에 상기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을 때, 상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되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시스템은 제 1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기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수행될 때 주변 객체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주변 객체에 저장된 제 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1 기기; 및 상기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기를 사용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술한 정보 전송 방법과 같이 수행된다.
도 1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b는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와 제 2 기기간에 음성 통화 서비스 수행시 제 1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예들이다.
도 6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와 제 2 기기간의 메신저 서비스 수행시 제 1 기기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예들이다.
도 7은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a는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 2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b는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 2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 2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의 예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의 다른 예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 세트를 모듈별로 분류한 예이다.
도 16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 2 기기의 예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한 용어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명세서 전반에서의 컨텐트는 컨텐츠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반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에 기초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입력은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제스처는 입력 장치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 기반일 때, 사용자의 제스처는 예를 들어 탭(tap), 터치 앤 홀드(touch and hold), 더블 탭(double tap), 드래그(drag), 패닝(panning), 플릭(flick),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및 스윕(swee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사용자 제스처는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터치스크린 기반의 사용자의 제스처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도구(예를 들어, stylus pen)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모션 센서 기반일 때, 사용자의 입력은 기기의 움직임을 발생시키는 사용자 제스처(예를 들어 기기 흔들기, 기기 치기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기 모션)에 기초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및 방향(orientation)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카메라 기반일 때, 사용자의 제스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기반의 공간 제스처(space ges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터 및/또는 광 센서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물리적 버튼,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조이스틱, 클릭 휠,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때, 사용자의 입력은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물리적인 제어에 기초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오디오 입력 장치 기반일 때, 사용자의 입력은 말하는 언어(spoken language) 기반의 사용자의 음성 인식에 기초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전송 시스템(100)은 제 1 기기(110), 객체(120), 제 2 기기(130), 서버(140), 및 네트워크(150)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정보 전송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전송 시스템(100)은 객체(120)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전송 시스템(100)은 제 2 기기(130)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전송 시스템(100)은 서버(140)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전송 시스템(100)은 서버(1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정보 전송 시스템(100)이 서버(140)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객체(120)와 네트워크(150)간의 점선은 삭제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전자 기기로 언급되고, 제 2 기기(130)는 제 1 기기(110)가 정보를 전송하는 외부 기기로 언급될 수 있다. 객체(120)는 제 1 기기(110)의 주변의 객체 또는 외부 객체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언급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 2 기기(13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근거리 통신을 통해 객체(120)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서비스는, 예를 들어, 메신저 서비스(messenger service), 이메일 서비스(e-mail service), 영상 통화 서비스, 음성 통화 서비스,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등과 같은 양방향 통신 서비스를 의미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객체(12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 1 기기(110)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객체(120)에 저장되는 정보는 오디오, 비디오, 및 텍스트중 적어도 하나를 디지털 신호 형식으로 제작한 정보일 수 있다. 객체(120)는 생활 전반에서 수집될 수 있는 정보 또는/ 및 수집될 수 있는 정보의 메타 데이터(meta-data)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의 메타 데이터는 생활 전반에서 수집될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는 공연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홈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이하 URL이라 약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객체(120)에 저장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공연 정보(예를 들어, 공연 장소, 공연 위치, 예매처, 예매 율, 및/또는 공연에 관한 임의의 다른 정보 타입), 상품 정보(예를 들어, 규격 정보 또는 성분 정보, 및/또는 상품에 관한 임의의 다른 정보 타입), 상점 정보(예를 들어, 상점 위치 정보, 판매 제품 정보, 메뉴 정보, 및/또는 상점에 관한 임의의 다른 정보 타입), 명함 정보, 포스터 정보(예를 들어, 상세 정보 제공 사이트의 URL, 요약 정보,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포스터 정보 타입), 전화 번호 정보, 주소 정보, 지역 정보(예를 들어, 특산품 정보, 문화재 정보, 상세 정보 제공 사이트의 URL, 및/또는 인근에 관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 타입), 광고 정보(예를 들어 후원자 정보, 관련 매체 정보, 및/또는 광고에 관한 임의의 적절한 정보 타입), 샘플 음원 정보, 영화 예고 정보(예를 들어, 시놉시스(synopsis), 및/또는 영화 예고에 관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 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객체(120)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황인지 정보(context-aware information) 또는 컨텐트(content)로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120)에 저장되는 정보가 상점 정보일 때, 정보를 수신하는 기기의 사용자는 정보를 송신하는 기기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객체(120)에 저장된 정보를 상황인지 정보로 언급할 수 있다. 또한, 객체(120)에 저장된 정보가 영화의 시놉시스일 때, 저장된 정보를 텍스트 기반의 컨텐트로 언급할 수 있다.
객체(120)에 저장된 정보의 량이 제 1 기기(110)와 객체(120)간에 전송될 수 있는 정보의 량보다 큰 경우에, 객체(120)는 제 1 기기(110)로 메타 데이터만 전송할 수 있다. 객체(120)에 저장된 정보량이 제 1 기기(110)와 객체(120)간에 전송될 수 있는 정보량보다 큰지는 제 1 기기(110)와 객체(120)간의 통신 링크에 대한 정보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객체(12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RFID(Radio Frequency) 기반, 또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라고 약함) 기반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근거리 통신 모드는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객체(12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또는 RFID(Radio Frequency) 기반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에, 객체(120)는 태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객체(120)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라고 약함) 기반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에, 객체(120)는 블루투스 기반으로 저장된 정보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객체(120)가 구성되는 경우에, 객체(120)와 제 1 기기(110)간의 통신 서비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로 언급될 수 있다.
객체(120)는, 예를 들어, 바코드(bar code)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 같은 코드를 이용하는 근거리 비주얼 커뮤니케이션(visual communication)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이란 시각 정보(예를 들어, 이미지, 책, 자료 및/또는 임의의 적절한 시각 정보)를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획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거리 범위이다.
예를 들어, 근거리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정의 거리내로부터 시각 정보를 켭쳐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 또는 레이저를 시각 정보에 투영하여 반사되는 빛의 량으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소정의 거리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근거리로서, 예를 들어 약 7cm ~ 약10cm가 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객체(120)가 근거리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기반으로 구성된 경우에, 객체(120)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로 구성되거나 바코드 또는 QR 코드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객체(120)는 전자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또는 코드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객체(120)는 코드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로 언급될 수 있다.
객체(120)가 바코드 또는 QR 코드로 대체되는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바코드 스캐너 또는 QR 코드 스캐너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시켜 바코드 또는 QR 코드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객체(120)가 바코드 또는 QR 코드로 대체되는 경우에, 제 1 기기(110)에 의한 근거리 통신에 기초한 주변 정보 획득은 코드 인식 기술에 기초한 주변 정보 획득으로 언급될 수 있다.
객체(120)가 바코드 또는 QR 코드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 스캐너 또는 QR 코드 스캐너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바코드 또는 QR 코드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통신 모듈로부터 바코드 또는 QR 코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객체(120)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또는 RFID(Radio Frequency) 기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및/또는 RFID(Radio Frequenc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객체(120)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객체(120)가 BLE 기반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BLE 기반으로 브로드캐스트 된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객체(120)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15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및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5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넷, 무선 인트라넷, 무선 전화 네트워크, 무선 랜(LAN)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3G(Generation) 통신, 4G(4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4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 1 기기(110) 및 제 2 기기(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서버(140)는 제 1 기기(110) 또는 제 2 기기(130)로부터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원 정보(original information)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원 정보를 제 1 기기(110) 또는/ 및 제 2 기기(1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가 객체(120)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에, 서버(140)는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로부터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원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40)는 정보 제공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로 언급될 수 있다.
객체(1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는 상황에 따라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버(140)로부터 제공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객체(120)는 제 1 기기(110)와의 근거리 통신 기능과 네트워크(150)를 통한 서버(140)와의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객체(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 2 기기(130)로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정보 송신 기기로 언급되고, 제 2 기기(130)는 정보 수신 기기로 언급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객체(120)로부터 획득된 정보의 보안 레벨과 제 2 기기(120)의 보안 레벨에 기초한 상술한 획득된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객체(120)는 저장된 정보에 관한 보안 레벨 정보를 더 저장하고, 제 2 기기(130)는 제 2 기기(130)에 관한 보안 레벨 정보를 제 1 기기(11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제 1 기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객체(120)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보안 레벨 정보와 제 2 기기(130)에 관한 보안 레벨 정보의 제 1 기기(110)로의 전송은 상술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객체(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객체(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방해하지 않고 병렬로 동작하면서 획득된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의 타입과 획득된 정보의 타입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음성 통화 서비스이고, 획득된 정보의 타입이 텍스트, 이미지,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SMS/MMS 서비스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의 타입에 기초한 통신 방식과 다른 통신 방식이 될 수 있다.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메신저 서비스인 챗온(Chaton)이고, 획득된 정보의 타입이 텍스트, 이미지,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챗온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객체(12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 2 기기(130) 및/또는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객체(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로부터 제 2 기기(130)로 전송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획득된 정보를 제 1 정보로 언급하고, 제 2 기기(130)로 전송할 정보를 제 2 정보로 언급할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정보가 원 정보와 원 정보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경우에, 제 2 정보는 원 정보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정보가 원 정보와 보안 레벨 정보를 포함할 때, 제 2 정보는 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정보는 제 1 기기(11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정보는 사전에 제 1 기기(110)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정보는 예를 들어, 데이터 용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정보가 소정의 데이터 용량 정보이고, 제 1 정보의 데이터 량이 상기 소정의 데이터 용량 정보보다 크면,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의 데이터 량 보다 적은 데이터 량을 갖는 제 2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 1 정보의 데이터 량보다 적은 데이터 량을 갖는 제 2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에 포함 및/또는 제 1 정보에 의해 참조되는 데이터의 종류(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및/또는 음악,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데이터 타입)에 따라 결정된 우선 순위 정보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정보의 데이터 포맷은 제 1 기기(110)로부터 제 2 기기(130)로의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정보가 텍스트 형태이고,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음성 통화 서비스이고, 상술한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이 음성 통화 서비스인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텍스트 형태인 제 1 정보로부터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제 2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 2 정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변환된 음성 신호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정보가 이미지 파일이고,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메신저 서비스인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를로부터 추출 된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는 제 2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더욱이, 제 1 정보가 메타 데이터이면,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제 1 정보가 이미지 파일이고,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음성 통화 서비스인 경우에,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제 2 정보는 제 1 정보를 설명하는 정보일 수 있다. 제 1 정보를 설명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제 1 정보에 타입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제 1 정보의 데이터 포맷(image, text, music, 및/또는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 제 1 정보에 포함된 객체 명, 이미지를 획득한 장소 정보 또는/및 날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정보를 설명하는 제 2 정보는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제 2 기기(130)로 전송될 수 있다.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 각각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이동 단말(Mobile Device), 핸드헬드(handheld) 기기 또는 핸드헬드 PC,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북 단말기,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TV, 통신 기능을 갖는 네비게이션, 통신 기능을 갖는 CE(Consumer Electronics) 기기(예컨대, 통신 기능을 갖는 냉장고, 통신 기능을 갖는 에어컨, 및/또는 통신 기능을 갖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CE 기기) 및/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통신 기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 2 기기(13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 1 기기(110) 및/또는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는 기기이다. 특히 제 2 기기(130)는 제 1 기기(11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기기(130)는 제 1 기기(110)와 동일한 종류의 기기일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종류의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는 모두 스마트 폰일 수 있다. 그러나 제 1 기기(110)는 스마트 폰이고, 제 2 기기(130)는 태블릿 PC이거나 제 1 기기(110)는 테블릿 PC이고, 제 2 기기(130)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제 2 기기(130)는 제 1 기기(110)의 외부 기기 및/또는 보조 기기로 언급될 수 있고,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30)의 외부 기기 및/또는 보조 기기로 언급될 수 있다.
한편, 제 1 기기(110)는 홈 스크린(Home Screen) 모드에서 객체(120)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시켜 객체(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 2 기기(130)와 연결되면, 획득된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애플리케이션은 상술한 네트워크(150) 기반으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메신저 서비스일 수 있다.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은 M2M(Machine to Machine), P2P(Pear to Pear), 또는 D2D(Device to Device) 기반의 네트워크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M2M(Machine to Machine), P2P(Pear to Pear), 또는 D2D(Device to Device) 기반의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WFD) 통신 네트워크, 블루투스 통신 네트워크,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네트워크,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네트워크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110)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정보 전송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a는 객체(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이다.
단계 S201에서,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단계 S202에서 제 1 기기(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객체(120)로부터 제 1 정보를 획득한다.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는 도 1에서 언급된 서비스 방식들중 하나이고, 제 1 정보의 획득 방식은 상술한 도 1에서 설명된 정보 획득 방식들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201에서,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에 음성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을 때, 단계 S202에서 NFC 접촉에 의해 제 1 기기(110)는 객체(120)에 저장된 제 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객체(120)과 제 1 기기(110)간의 거리가 NFC 통신 반경내이면 NFC 접촉은 발생될 수 있다.
인터랙티브 서비스는 근거리 통신 기반으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인터랙티브 서비스는 근거리 통신이 아닌 통신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서비스로 언급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기기(130)로 전송할 제 2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는 서로 다른 정보일 수 있으나 동일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제 1 정보로부터 제 2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 S203은, 제 1 정보를 제 1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하고, 제 1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 1 정보에 대한 전송 요청에 응답 및/또는 전송 요청 결과로서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재 정의될 수 있다.
단계 S204에서, 제 1 기기(110)는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단계 S203에서 생성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한다.
도 2a는 제 1 기기(110)에서 단계 S204를 수행하기 전(즉, 생성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하기 전)에,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메신저 서비스이고, 제 2 정보가 메신저 서비스로 전송할 수 없는 데이터 포맷을 갖는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제 2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반면에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메신저 서비스이고, 제 2 정보가 메신저 서비스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을 갖는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제 2 정보에 대한 포맷 변경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 2 정보의 데이터 포맷이 인터랙티브 서비스로 전송할 수 있으나 제 2 정보의 용량이 인터랙티브 서비스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정보 용량보다 큰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제 2 정보를 압축하고, 압축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2a는 제 1 기기(110)에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한 후, 제 2 정보에 대한 전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 1 기기(110)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2b는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110)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b는 제 1 기기(110)에서 객체(1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제 2 기기(130)로 전송하는 경우이다.
단계 S205에서,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단계 S206에서 제 1 기기(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객체(120)로부터 제 1 정보를 획득한다.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는 도 1에서 상술한 서비스 방식들중 하나 이상이고, 제 1 정보의 획득 방식은 도 1에서 상술한 정보 획득 방식들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단계 S207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기기(130)로 전송할 제 2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 S207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단계 S207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제 1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 1 정보에 대한 전송 요청에 응답 및/또는 전송 요청 결과로서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계 S208에서, 제 1 기기(110)는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단계 S207에서 생성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한다.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도 1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획득된 정보의 타입(또는 데이터 포맷) 및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나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래티브 서비스가 음성 통화 서비스일 때,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을 SMS/MMS로 사전에 설정한 경우,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통신이 음성 통화 서비스이면, 제 1 기기(110)는 SMS/MMS방식으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한다.
제 1 기기(110)는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제 2 정보를 전송할 때, 연동되는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제 2 정보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접촉에 의해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정보를 SMS/MMS 방식으로 전송할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제 2 정보를 SMS/MMS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NFC 접촉에 의해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정보를 메신저 방식으로 전송할 경우에, 제 2 정보를 메신저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NFC 접촉에 의해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생성된 제 2 정보를 SNS/이메일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제 2 정보를 SNS/이메일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단계 S208에서, 제 1 기기(110)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획득된 제 1 정보에 관한 보안 레벨 정보와 제 2 기기(120)에 관한 보안 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 1 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제 1 기기(110)가 도 2b에 도시된 흐름도와 같이 동작하는 경우에, 제 1 기기(110), 객체(120), 및 제 2 기기(130)간의 동작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301에서,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단계 S302 및 S303에서 제 1 기기(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객체(120)로부터 제 1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제 1 정보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생활 전반에서 수집될 수 있는 정보 또는/및 생활 전반에서 수집될 수 있는 정보에 관한 메타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 S304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도 2b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단계 S305에서, 제 1 기기(110)는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한다.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해 SMS/MMS를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사전에 설정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에 현재 수행되는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음성 통화 서비스인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사전에 설정된 연동되는 전송 방식인 SMS/MMS방식으로 생성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한다. 이 때, 제 1 기기(110)는 제 2 정보의 데이터 포맷을 SMS/MMS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306에서, 제 2 기기(130)는 단계 S301에서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와 연동되는 전송 방식(예를 들어, SMS/MMS 방식)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4는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110)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제 1 기기(110)에서 획득된 제 1 정보와 연동되는 전송 방식에 기초한 사용자의 전송 요청에 응답 및/또는 전송 요청 결과로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20)로 전송하는 경우이다.
단계 S401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3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음성 통화 서비스일 때, 단계 S401에서 제 1 기기(110)는 도 5에 도시된 화면(510)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5는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음성 통화 서비스일 때, 제 1 기기(110)에서의 화면의 예이다.
단계 S402에서, 제 1 기기(110)는 객체(120)로부터 제 1 정보를 획득한다. 제 1 정보의 획득방식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객체(120)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제 1 기기(110)는 획득된 제 1 정보와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획득된 제 1 정보와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는 도 5의 화면(5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창(522)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획득된 제 1 정보와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는 제 1 기기(110)의 빈 디스플레이 영역에 독립된 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는 복수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정보 전송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기기(110)는 단계 S405에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도 2b의 단계 S20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정보 전송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은 단계 S403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된다. 예를 들어, 단계 S403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정보가 도 5의 화면(520)과 같을 때, “SMS로 전달”메시지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기기(110)는 정보 전송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인식한다.
복수개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때, 제 1 기기(110)는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선택된 전송 방식으로의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의 화면(520)의 경우에, "SMS로 전달“메시지가 선택되면,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S406에서, 제 1 기기(110)는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한다. 제 2 기기(130)로의 제 2 정보의 전송은 전송 완료를 나타내는 팝업 창(531)를 포함하는 도 5의 화면(530)과 같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6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메신저 서비스인 경우의 제 1 기기(110)에서의 화면의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제 1 기기(110)가 화면(61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을 때, 제 1 기기(110)에 의해 객체(120)로부터 제 1 정보를 획득하면, 제 1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610)은 화면(620)으로 자동적으로 변경된다.
변경된 화면(620)에서 “입력”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 1 기기(110)는 정보 전송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인식한다. 도 6의 화면(620)에 포함된 팝업 창(621)에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가 아닌 “입력”메시지(622)가 포함된 것은,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이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와 동일한 전송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이 인터랙티브 서비스와 동일한 경우에, 제 1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시지는 “입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에서 제 1 기기(110)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의 동작 흐름도에 전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 1 기기(110)에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추가한 경우이다.
단계 S701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3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한다.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음성 통화 서비스인 경우에, 단계 S701에서 제 1 기기(110)는 도 5에 도시된 화면(510)을 디스플레이 한다.
단계 S702에서, 제 1 기기(110)는 객체(120)로부터 제 1 정보를 획득한다. 제 1 정보의 획득방식은 객체(120)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제 1 기기(110)는 획득된 제 1 정보와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획득된 제 1 정보와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는 도 5의 화면(5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창(522)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704에서, 정보 전송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제 1 기기(110)는 단계 S705에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정보로부터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도 2b의 단계 S20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정보 전송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의 화면(52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MS로 전달”메시지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및/또는 도 6의 화면(62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입력” 메시지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인식될 수 있다.
단계 S706에서, 제 1 기기(110)는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한다. 단계 S706에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하는 것은 도 2b의 단계 S208에서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706에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단계 S707에서, 제 1 기기(110)는 전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는 도 5의 화면(530)과 같이 “전송되었습니다” 메시지를 팝업 창(531)으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도 6의 화면(630)과 같이 말 주머니(431)에 제 2 정보를 포함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5의 화면(530)과 같이 전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30)와의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또는 전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종료 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술한 메시지를 블링크(blink)할 수 있다.
도 8은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제 1 기기(110)가 상술한 도 4의 흐름도와 같이 동작할 때 제 1 기기(110), 객체(120) 및 제 2 기기(130)간의 동작 흐름도와 제 1 기기(110)가 상술한 도 7의 흐름도와 같이 동작할 때 제 1 기기(110), 객체(120), 및 제 2 기기(130)간의 동작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801에서,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을 때, 단계 S802 및 S803에서 제 1 기기(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객체(120)로부터 제 1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제 1 정보는 도 1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생활 전반에서 수집될 수 있는 정보 또는/및 상기 수집될 수 있는 정보의 메타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 S804에서, 제 1 기기(110)는 획득된 제 1 정보와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제 1 기기(110)는, 예를 들어, 도 5의 화면(520)의 팝업 창(521) 또는 도 6의 화면(620)의 팝업 창(6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805에서, 제 1 기기(110)는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획득된 제 1 정보와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고, 단계 S806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전송 요청 신호의 수신은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에 기초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도 4의 단계 S405와 도 7의 단계 S70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807에서, 제 1 기기(110)는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제 2 정보를 전송한다.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도 5의 화면(520)과 도 6의 화면(6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808에서, 제 2 기기(130)는 단계 S801에서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단계 S809에서, 제 1 기기(110)는 전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9는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에서 제 1 기기(11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통신이 종료된 후,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하여 제 1 기기(110)로부터 제 2 기기(130)로 전송하는 경우이다.
단계 S901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3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한다. 단계 S902에서, 제 1 기기(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객체(120)로부터 제 1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903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1 기기(120)와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종료하고, 단계 S904에서, 제 1 정보로부터 및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S905에서, 제 1 기기(110)는 인터랙티브 서비스와 연동되는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와 다른 통신 방식이다. 예를 들어, 단계 S901에서 인터랙티브 서비스는 음성 통화 서비스 또는 영상 통화 서비스일 수 있고, 단계 S905에서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SMS/MMS일 수 있다. 단계 S905에서 이용되는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단계 S901에서의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기초하여 사전에 설정된 전송 방식이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획득된 제 1 정보의 타입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기초하여 연동되는 전송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 1 기기(110)의 동작 흐름도가 도 9와 같은 경우에 제 1 기기(110), 객체(120), 및 제 2 기기(130)간의 동작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1001에서,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단계 S1002 및 S1003에서 제 1 기기(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객체(120)로부터 제 1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제 1 정보는 도 1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생활 전반에서 수집될 수 있는 정보 또는/ 및 상기 정보에 관한 메타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 S1004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2 기기(13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종료한다. 단계 S1005에서, 제 1 기기(110)는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S1006에서, 제 1 기기(110)는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한다. 단계 S1007에서, 제 2 기기(130)는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11a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기기(130)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단계 S1101에서, 제 2 기기(130)는 제 1 기기(11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한다. 단계 S1102에서, 제 2 기기(130)는 제 1 기기(110)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기초하여 수신한다. 단계 S1103에서, 제 2 기기(130)는 수신된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출력한다.
도 11b는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 2 기기(130)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정보 전송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단계 S1104에서, 제 2 기기(130)는 제 1 기기(11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한다. 단계 S1105에서, 제 2 기기(130)는 제 1 기기(110)에 의해 근거리 통신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수신한다.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제 1 기기(110)의 결정에 따른다.
단계 S1106에서, 제 2 기기(130)는 제 2 정보의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와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를 출력한다. 정보는 제 2 기기(130)상에 디스플레이 또는/및 오디오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정보가 디스플레이 형태로 출력될 경우에, 제 2 기기(130)는 도 5의 화면(520)에서의 팝업 창(521) 또는 도 6의 화면(620)에서의 팝업 창(621)과 같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단계 S1107에서, 제 2 기기(130)는 출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의 수신 수락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의 입력은 도 5의 화면(520)의 팝업창(521)에 포함된 연동되는 전송 방식 메시지(522)에 대응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 또는 도 6의 화면(620)의 팝업 창(621)에 포함된 입력(622)에 대응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에 기초할 수 있다. 단계 S1108에서, 제 2 기기(130)는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출력한다.
도 11a 또는 도 11b에 도시된 제 2 기기(130)의 동작 흐름도는 상술한 도 3 및 도 8에서의 제 2 기기(130)의 동작 흐름도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에서 제 2 기기(1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제 1 기기(110)와의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종료된 후, 제 1 기기(110)에 의해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이다.
단계 S1201에서, 제 2 기기(130)는 제 1 기기(11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한다. 단계 S1202에서, 제 2 기기(130)는 제 1 기기(11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종료한다.
단계 S1203에서, 제 2 기기(130)는 제 1 기기(110)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생성된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수신한다.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은 제 1 기기(110)의 결정에 따른다.
단계 S1204에서, 제 2 기기(130)는 제 2 정보의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와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를 출력한다. 정보는 제 2 기기(130)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오디오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정보가 제 2 기기(130)상에 디스플레이될 경우에, 제 2 기기(130)는 도 5의 화면(520)에서의 팝업 창(521) 또는/및 도 6의 화면(620)에서의 팝업 창(6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단계 S1205에서, 제 2 기기(130)는 출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의 수신 수락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의 입력은 도 5의 화면(520)의 팝업창(521)에 포함된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메시지(522)에 대응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 또는 도 6의 화면(620)의 팝업 창(621)에 포함된 입력(622)에 대응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에 기초할 수 있다. 단계 S1206에서, 제 2 기기(130)는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출력한다.
도 12에 도시된 제 2 기기(130)의 동작 흐름도는 상술한 도 10에서의 제 2 기기(130)의 동작 흐름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100)의 예의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기기(110)는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310), 정보 획득기(1320), 통신 인터페이스(1330), 프로세서(1340), 및 메모리(1350)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제 1 기기(110)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310)는 정보 입출력부 또는 정보 입출력 모듈로 언급될 수 있다. 정보 획득기(1320)는 정보 획득부 또는 정보 획득 모듈로 언급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30)는 통신부 또는 통신 모듈로 언급될 수 있다.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3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제 1 기기(110)로부터 출력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기반 입력, 물리적인 버튼 제어 기반의 입력, 사용자의 제스처 기반의 입력, 사용자의 음성 인식 기반의 입력, 얼굴 인식 기반의 입력, 및 원격 제어기(미 도시됨) 기반의 하나 이상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3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화면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정보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310)는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조이스틱, 클릭 휠,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마이크로 폰, 스피커, 센서들, 커넥터, 표시등, 키패드, 디스플레이 기기, 스크롤 휠, 및 무선 통신에 기초한 원격 신호 수신기.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입력 메커니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정보 획득기(1320)는 근거리 통신에 기초하여 주변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한다. 정보 획득기(132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RFID(Radio Frequenc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및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 기반 기술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정보 획득기(132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기반 통신 모듈,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기반 통신 모듈, 및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 기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정보 획득기(1320)는 상술한 모듈들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NFC 기반 통신 모듈은 외부의 객체(120)이 NFC 기반 태그일 때, NFC 리드/라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 1 기기(110)와 객체(120)간의 거리가 NFC 기반 통신 반경(예를 들어, 10cm ~ 20cm)내이면, 정보 획득기(1320)는 객체(120)에 저장된 정보를 리드 또는 수신할 수 있다.
RFID 기반 통신 모듈은 외부의 객체(120)이 RFID 기반 태그일 때, RFID 판독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 1 기기(110)와 객체(120)간의 거리가 RFID 인식 거리내이면, 정보 획득기(1320)는 객체(12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RFID 인식 거리는 RFID 태그의 종류에 기초하여 가변적이 될 수 있다.
블루투스 저 에너지 기반 통신 모듈은 외부의 객체(120)이 BLE 모듈일 때, BLE에서 브로드캐스트 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 1 기기(110)와 객체(120)간의 거리가 BLE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거리내이면, 정보 획득기(1320)는 객체(12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바코드 또는 QR 코드 인식 기반 모듈은 외부의 객체(120)이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코드로 구성된 경우에, 바코드 스캐너 또는 QR 코드 스캐너로 구성되거나 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정보 획득기(1320)가 바코드 또는 QR 코드 스캐너 또는 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경우에, 정보 획득기(1320)는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31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3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 2 기기(130) 및/또는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30)는 제 2 기기(130)와, 예를 들어, 메신저 서비스(messenger service), 메시지 서비스(message service), 이메일 서비스(e-mail service), 영상 통화 서비스, 및 음성 통화 서비스 중 하나 이상과 같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인터페이스(1330)는 제 2 기기(130)와 근거리 통신이 아닌 통신으로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이 아닌 통신은, 예를 들어, AP(Access Point)를 이용한 와이파이 통신, 3G 통신, 및 4G LTE 통신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정보 획득기(1320)로부터 획득된 제 1 정보가 메타 데이터인 경우에, 통신 인터페이스(1330)는 프로세서(1340)에 의해 제어되어 서버(140)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원 정보(original information) 요청을 전송 및 서버(140)로부터 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3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 2 기기(130)와 상술한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정보 획득기(1320)에서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정보를 제 2 기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30)는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에 맞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시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정보의 데이터 포맷 변환은 프로세서(13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340)는 메모리(1350)에 저장된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특히, 프로세서(1340)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통신 인터페이스(1330)를 통해 제 2 기기(13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정보 획득기(1320)에 의한 제 1 정보 획득 과정, 통신 인터페이스(1330)에 의한 제 2 정보 전송 과정, 및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310)에 의한 정보 입출력 과정을 제어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340)는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을 때, 정보 획득기(1320)로부터 제 1 정보가 획득되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한다. 프로세서(1340)는 생성된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기초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330)를 통해 제 2 기기(13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1340)는 상술한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제 2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40)는 상술한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에 대한 정보, 및 획득된 제 1 정보를 도 5의 화면(520) 또는 도 6의 화면(620)에서와 같이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31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1350)에 사전에 저장될 수 있다. 사전에 저장되는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에 대한 정보는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따른다.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31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된 제 1 정보의 전송이 요청됨에 따라 프로세서(1340)는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여 제 2 기기(13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30)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340)는 제 2 정보가 제 2 기기(130)로 전송된 후, 전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32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40)는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종료한 후,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350)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등의 정보, 제 1 기기(110)에서 수행될 수 있는 각종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따른 통신 애플리케이션 및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13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XD 메모리 등), 롬(ROM,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기기(110)의 기능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기기(11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1), 센서(1402),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403), 카메라(1404), 오디오 입력인터페이스(1405),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406), 저장기(1407), 통신 인터페이스(1408), 정보 획득기(1409), 포트(1410), 프로세서(1411), 및 전원 공급부(1412)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제 1 기기(110)는 도 1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1)는 사용자 입력부 또는 사용자 입력 모듈로 언급될 수 있다. 센서(1402)는 센싱부 또는 센싱 모듈로 언급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405)는 오디오 입력부 또는 오디오 입력 모듈로 언급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406)는 오디오 출력부 또는 오디오 출력 모듈로 언급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8)는 통신부 또는 통신 모듈로 언급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1)는 제 1 기기(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또는 제어 데이터) 및 상술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1)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마우스를 대신할 수 있는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하드웨어(H/W) 버튼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입력 메커니즘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402)는,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의 위치, 유저의 접촉 유무, 제 1 기기(110)의 방위, 제 1 기기(110)의 가속 또는 감속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상태 관련 정보중 하나 이상과 같이 제 1 기기(11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제 1 기기(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서(1402)는 근접 센서 및 상술한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1402)는 센서 기반의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사전에 설정된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및/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및/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발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의 센터가 있다.
터치 스크린(1403) 기반의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존하는 사용자의 요청(request) 또는 사용자의 선택(selection)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스처는 터치 횟수, 터치 패턴, 터치 면적, 및 터치 강도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상술한 사용자 제스처의 예들과 같이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3)에 대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기초한 터치는 터치 스크린(1403)의 터치 영역을 터치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기초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3)은 터치 스크린(1403)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3)에 구비되는 센서는 터치 스크린(1403)상에서의 사용자의 제스처 또는 패턴을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1403)은 상술한 터치 기반의 드래그, 플릭, 탭, 터치 앤 홀드, 더블 탭, 패닝, 스윕(sweep), 및 스와이프(swipe) 등과 근접 센서에 기초한 사용자 제스처 또는 패턴을 센싱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3)을 위한 근접 센서는 센서(1402)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와 동일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3)의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의 터치 기반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3)의 터치(touch)는 패널에 포인터(pointer)가 터치된 경우이다. 터치는 멀티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3)의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는 포인터가 터치 스크린(1403)에 실제로 터치되지 않고, 터치 스크린(1403)으로부터 소정 거리내에 접근된 경우이다. 포인터는 터치 스크린(1403)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기 위한 도구이다. 그 일 예로, 스타일러스 펜, 손가락,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객체 또는 터치 스크린(1403)에 터치를 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신체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포인터는 외부 입력 장치로 언급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3)은 제 1 기기(1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터치 스크린(1403)은 터치 스크린(1403)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제스처 또는 터치 패턴 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1)를 통해 수신된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 또는 센서(1402)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응답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터치 스크린(1403)은 입력 및 출력 장치로 언급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3)이 입력 및 출력 장치일 때, 터치 스크린(1403)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403)은 재생되고 있는 컨텐트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기초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40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화면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3)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터치 스크린(1403)은 디스플레이로 언급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3)은 제 1 기기(110)의 구현 형태에 기초하여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카메라(1404)는, 예를 들어, 영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또는 광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터치 스크린(1403)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404)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기(1407)에 저장되거나 통신 인터페이스(1408), 또는 포트(141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404)는 정보 획득기(1409)가 바코드 또는 QR코드 인식 기반으로 구성된 경우에 프로세서(1411)를 통해 정보 획득기(1409)와 연동될 수 있다.
카메라(1404)는 제 1 기기(110)의 구성에 기초하여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404)는 사용자의 공간 제스처를 인식하는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1404)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프레임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통신 서비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의 이미지일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405)는 통화모드, 또는 녹화 모드, 또는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411)로 전송한다.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405)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40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405)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상기 음향 신호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서비스 및 컨텐트 공유를 위한 자연어 기반의 사용자 입력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관련 정보 획득 명령이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405)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자연어 기반의 사용자 입력 정보는 음성 인식 기술 기반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405)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의 음향 신호는 저장기(1407)에 저장되거나 통신 인터페이스(1408) 또는 포트(141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406)는 통화 모드, 또는 오디오 재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406)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406)는 컨텐트가 재생될 때, 재생되는 컨텐트에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재생되는 컨텐트에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405)와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406)는 헤드셋과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기(1407)는 후술할 프로세서(1411)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 세트와 자원(resource)을 저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제 1 기기(110)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제 1 기기(110)에서 수행되는 각종 기능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제 1 기기(110)에 포함된 하드웨어 컴포넌트(component)들을 구동시키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자원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수행되는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는 도 1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자원은 제 1 기기(110)의 사용자 정보, 제 1 기기(110)에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관리에 관련된 정보 및 상술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실행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저장기(1407)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XD 메모리 등), 롬(ROM,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기(1407)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 세트는 기능에 따라 복수개의 모듈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5는 저장기(1407)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 세트를 모듈별로 분류한 예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저장기(1407)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501), 제 1 통신 모듈(1502), 제 2 통신 모듈(1503), 그래픽 모듈(1504),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505), UI(User Interface) 모듈(1506), 센싱 모듈(1507), 접촉 및 움직임 모듈(1508), 전원 모듈(1509), 및 애플리케이션 모듈(1510)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510)은 컨텐트 재생 모듈(1511), 정보 전송 모듈(1512), 외부 기기 제어 모듈(1513), 영상 통화 모듈(1514), 음성 통화 모듈(1515), 메신저 모듈(1516), SMS 모듈(1517), MMS 모듈(1518), 및 폰북 모듈(1519), 및 컨텐트 공유 모듈(1520)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모듈(1510)은 이메일 모듈, SNS(Social Network Service) 모듈, 화상 회의 모듈, 이미지 관리 모듈, 브라우징 모듈, 달력 모듈, 위젯 모듈, 검색 모듈 및 워드 문서 작성 모듈 등 다양한 모듈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501)은 제 1 기기(110)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제 1 기기(110)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component)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제 1 통신 모듈(1502)은 통신 인터페이스(1408)를 통해 제 2 기기(130) 및 서버(14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통신 인터페이스(1408)를 통해 제 2 기기(130) 및 서버(14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와 제 2 기기(130) 및 서버(140)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1502)은 제 2 기기(13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 수행시 제 1 기기(110)의 주변 객체로부터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 2 통신 모듈(1503)은 포트(1410)를 통해 외부 기기(미 도시됨)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포트(1410)를 통해 외부 기기(미 도시됨)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와 외부 기기(미 도시됨)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그래픽 모듈(1504)은 터치 스크린(1403)에 디스플레이 되는 그래픽의 밝기 조절 및 랜더링을 위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 애플리케이션 모듈(1510)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가상 키보드(또는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GPS 모듈(1505)은 제 1 기기(110)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UI 모듈(1506)은 터치 스크린(1403) 기반의 UI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될 UI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센싱 모듈(1507)은 센서(1402) 기반의 센싱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센싱 정보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모듈(1510)에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접촉 및 움직임 모듈(1508)은 터치 스크린(1403) 기반의 터치 접촉을 감지하고, 접촉에 기초한 움직임을 추적하고, 애플리케이션 모듈(1510)로 추적된 움직임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전원 모듈(1509)은 오퍼레이팅 시스템(1501)과 연동되어 제 1 기기(110)내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1403)으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절전 모드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1510)에 포함되는 모듈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모듈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 1 기기(110)의 음성 통화 모듈(1514)을 실행시켜 제 2 기기(130)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을 때, 정보 전송 모듈(1512)을 실행시켜 객체(120)로부터 제 1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기기(110)는 정보 전송 모듈(1512)에서 제공하는 음성 통화 서비스시 연동되는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제 2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408)를 통해 제 2 기기(130)로 전송한다.
저장기(1407)는 도 15에 도시된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 세트중 애플리케이션 모듈(1510)에 포함되는 모듈들을 저장하지 않거나,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모듈(1510)의 URL과 같은 위치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나타낼 수 있는 표시 정보만 저장할 수 있다. 저장기(1407)에 애플리케이션 모듈(1410)에 포함되는 모듈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프로세서(1411)는 통신 인터페이스(1408)를 통해 서버(140)와 접속하여 서버(140)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모듈(1510)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 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저장기(1407)에 애플리케이션 모듈의 위치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나타낼 수 있는 표시 정보만 저장된 경우에, 터치 스크린(1403)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애플리케이션 모듈의 표시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세서(1411)는 통신 인터페이스(1408)를 통해 서버(14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 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8)는 무선 인터넷, 무선 인트라넷, 무선 전화 네트워크, 무선 랜(LAN)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FD, Wi-Fi Direct) 통신, 3G(Generation) 통신, 4G(4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 2 기기(130) 또는 서버(1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8)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정보 획득기(1409)는 도 13의 정보 획득기(1320)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포트(1410)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미 도시됨)와 같은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미 도시됨)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포트(1410)는 제 1 기기(110)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전원 공급부(1412)는 제 1 기기(110)에 포함된 하드웨어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412)는 예를 들어 배터리 및 교류 전원중 하나 이상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을 포함한다. 제 1 기기(110)는 전원 공급부(1412)를 포함하지 않고, 외부 전원 공급부(미 도시됨)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connection unit)(미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1)는 제 1 기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411)는 저장기(1407)에 저장된 오퍼레이팅 시스템(1501)과 각종 모듈(1502~1520)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1), 센서(1402), 터치 스크린(1403), 카메라(1403),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405), 오디오 출력 인터페이스(1406), 저장기(1407), 통신 인터페이스(1408), 정보 획득기(1409), 포트(1410) 및 전원 공급부(1412)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11)는 제어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언급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1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501)과 UI 모듈(1506)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1), 센서(1402), 터치 스크린(1403), 카메라(1404), 및 오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405)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1)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술한 도 2a, 도 2b, 도 4,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동작 흐름도중 하나의 동작 흐름도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1)는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기(1407)로부터 리드하여 실행시키거나 통신 인터페이스(1408)를 통해 연결된 서버(140)로부터 다운받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때, 서버(140)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 마켓 서버로 언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1411)는 제 1 기기(110)내의 각종 하드웨어 컴포넌트들과 프로세서(1411)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기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6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기기(130)의 예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2 기기(130)는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 통신 인터페이스(1620), 프로세서(1630), 및 메모리(1640)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제 2 기기(130)는 도 1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는 정보 입출력부 또는 정보 입출력 모듈로 언급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20)는 통신부 또는 통신 모듈로 언급될 수 있다.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제 2 기기(130)로부터 출력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기반 입력, 물리적인 버튼 제어 기반의 입력, 사용자의 제스처 기반의 입력, 사용자의 음성 인식 기반의 입력, 얼굴 인식 기반의 입력, 및 원격 제어기(미 도시됨) 기반의 입력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는 통신 인터페이스(1620)를 통해 제 2 정보의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와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 정보를 도 5의 화면(520) 또는 도 6의 화면(620)의 팝업 창(521, 621)에 의해 설명된 바와 유사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는 출력되는 메시지와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기기(110)로부터 수신된 제 2 정보에 대한 수신을 수락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는 통신 인터페이스(1620)를 통해 인터랙티브 서비스와 연동되는 전송 방식에 따라 수신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는 제 2 정보의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만 출력할 수 있다.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는 출력되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2 정보에 대한 수신을 수락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는 제 1 기기(110)와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 2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는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조이스틱, 클릭 휠,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마이크로 폰, 스피커, 센서들, 커넥터, 표시등, 키패드, 디스플레이 기기, 스크롤 휠, 및 무선 통신에 기초한 원격 신호 수신기 및/또는 임의의 적절한 입력 메커니즘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인터페이스(163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 1 기기(110) 또는 서버(14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30)는 제 1 기기(110)와, 예를 들어, 메신저 서비스(messenger service), 이메일 서비스(e-mail service), 영상 통화 서비스, 및 음성 통화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인터페이스(1630)는 수신된 제 1 기기(110)에서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정보가 메타 데이터인 경우에, 프로세서(1630)에 의해 제어되어 서버(140)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한 원 정보(original information)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에 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 1 기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제 2 정보가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제 2 정보는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에 따른 데이터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수신되는 제 2 정보가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따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수신되는 경우에, 제 2 정보는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포맷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630)는 메모리(1640)에 저장된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특히, 프로세서(1630)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제 2 기기(130)가 제 1 기기(11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통신 인터페이스(1620)를 통해 제 1 기기(110)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신하면,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를 통한 상술한 메시지와 정보의 출력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30)는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를 통해 출력되는 메시지와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상술한 제 2 정보에 대한 수신 수락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정보에 대한 수신 수락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630)는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1610)를 통해 인터랙티브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수신된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640)는 제 1 기기(110)와 제 2 기기(130)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종료한 후, 제 1 기기(110)에 의해 획득된 제 1 정보로부터 및/또는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정보를 인터랙티브 서비스에 연동되는 전송 방식으로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650)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및 제 1 기기(110)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16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XD 메모리 등), 롬(ROM,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가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9)

  1. 전자 기기를 사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할 때, 상기 전자 기기의 주변 객체에 저장된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될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객체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렉티브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제 2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전자 기기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제 2 정보를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서버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요청의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URL을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URL을 통해 이용 가능한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객체는 상기 근거리 통신에 대해 사용하기 위한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정보가 상기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정보의 데이터 포맷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한 후, 상기 제 2 정보에 대한 전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상기 제 1 정보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RFID(Radio Frequenc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바코드 인식 기반 기술 및 QR(Quick Response) 코드 인식 기반 기술중 하나에 기초하는 정보 제공 방법.
  13. 전자 기기에 있어서,
    주변 객체에 저장된 제 1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정보 획득기;
    상기 전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간의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수행할 때, 상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출력하도록 구성된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간의 상기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수행될 때, 상기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되게 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기는 상기 주변 객체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기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기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로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요청의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되는 전자 기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RL을 액세스하여 상기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URL을 통해 이용 가능한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추출하도록 더 구성된 전자 기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객체는 상기 근거리 통신에 대해 사용하기 위한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추출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기기.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정보의 데이터 포맷을 변경하도록 더 구성된 전자 기기.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정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전송된 후, 상기 제 2 정보에 대한 전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기기.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정보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 1 정보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기기.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RFID(Radio Frequenc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및
    바코드 인식 기반 기술, 및
    QR 코드 인식 기반 기술중 하나에 기초하는 전자 기기.
  25. 정보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기간에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수행될 때,상기 주변 객체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주변 객체에 저장된 제 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1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 1 기기; 및
    상기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 1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기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시스템.
  26. 제 1 전자 기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기기간에 인터렉티브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을 때, 상기 제 1 전자 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기기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기기에 의해, 상기 제 1 전자 기기에 의해 액세스할 수 있는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전자 기기로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제공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전자 기기의 주변 객체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컨텐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컨텐트로부터 상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기기로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렉티브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기기로 상기 제 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기기로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상기 생성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자 기기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자 기기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기기로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제공되게 하는 단계는
    서버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는 상기 요청의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자 기기로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관련된 컨텐트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URL을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URL에 관련된 상기 컨텐트로부터 상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RFID(Radio Frequenc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및
    바코드 인식 기반 기술, 및
    QR 코드 인식 기반 기술중 하나에 기초하는 정보 전송 방법.
  33.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컨텐트에 기초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인터렉티브 서비스가 상기 전자 기기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간에 수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생성된 정보가 제공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의 주변 객체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컨텐트를 얻기 위해 구성된 정보 획득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렉티브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 전자 기기.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로부터 상기 생성된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기기.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로 요청을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생성된 정보는 상기 요청의 결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 제공되는 전자 기기.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관련된 컨텐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RL을 액세스하여 상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URL에 관련된 상기 컨텐트로부터 상기 정보를 추출하도록 더 구성된 전자 기기.
  39.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RFID(Radio Frequenc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기반 근거리 무선 통신, 및
    바코드 인식 기반 기술, 및
    QR 코드 인식 기반 기술중 하나에 기초하는 전자 기기.
KR1020130106226A 2012-09-18 2013-09-04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 KR102057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8326 WO2014046424A1 (en) 2012-09-18 2013-09-16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RU2015114562A RU2609566C2 (ru) 2012-09-18 2013-09-16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AU2013318849A AU2013318849B2 (en) 2012-09-18 2013-09-16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BR112015004797A BR112015004797A2 (pt) 2012-09-18 2013-09-16 método para usar um dispositivo eletrônico para fornecer informação , e dispositivo eletrônico.
IN2997MU2013 IN2013MU02997A (ko) 2012-09-18 2013-09-17
JP2013191468A JP6306307B2 (ja) 2012-09-18 2013-09-17 情報伝送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その機器
EP13184719.6A EP2709384B1 (en) 2012-09-18 2013-09-17 Transmitting data without interrupting an interactive service
CN201310426551.XA CN103685727B (zh) 2012-09-18 2013-09-18 信息传输方法和系统、及设备
US14/030,298 US9826337B2 (en) 2012-09-18 2013-09-18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US15/700,814 US10080096B2 (en) 2012-09-18 2017-09-11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502 2012-09-18
KR20120103502 2012-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961A true KR20140036961A (ko) 2014-03-26
KR102057196B1 KR102057196B1 (ko) 2019-12-18

Family

ID=5064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226A KR102057196B1 (ko) 2012-09-18 2013-09-04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2057196B1 (ko)
AU (1) AU2013318849B2 (ko)
BR (1) BR112015004797A2 (ko)
IN (1) IN2013MU02997A (ko)
RU (1) RU2609566C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584A (ko) * 2014-06-06 2015-12-16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블루투스 저 에너지 광고 링크를 통한 양방향 통신들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70571A (ko) * 2014-12-10 2016-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WO2017065443A1 (ko) * 2015-10-16 2017-04-2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디어 중심 사물 인터넷 기반의 미디어 사물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41269C1 (ru) * 2017-03-02 2018-01-16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распознавания жест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адиочастотного датчика
US10684693B2 (en) 2017-03-02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ognizing a gestur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9659B2 (ja) * 2001-12-26 2005-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受信システム及び情報受信端末
US8045697B1 (en) * 2004-06-02 2011-10-2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 customer with a call center
WO2006049430A1 (en) * 2004-11-05 2006-05-11 Colorzip Media, Inc. Mixed cod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he same, and method and appratus for decoding the same
US20060279412A1 (en) * 2005-06-13 2006-12-14 Holland Joshua H System for using RFID tags as data storage devices
US20080186145A1 (en) * 2007-02-05 2008-08-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of cooperation between mobile and fixed rfid readers
EP2154481A4 (en) * 2007-05-31 2014-09-10 Panasonic Ip Corp America PICTURE RECORDING DEVICE, SERVER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SYSTEM FOR FILING SUPPLEMENTARY INFORMATION
US20090108057A1 (en) * 2007-10-24 2009-04-30 Hong Mu Using Quick Response Codes to Provide Interactive Services
KR101387726B1 (ko) * 2007-10-26 2014-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통화 연동 무선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8818350B2 (en) * 2010-06-21 2014-08-26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driven data shar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584A (ko) * 2014-06-06 2015-12-16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블루투스 저 에너지 광고 링크를 통한 양방향 통신들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70571A (ko) * 2014-12-10 2016-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WO2017065443A1 (ko) * 2015-10-16 2017-04-2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디어 중심 사물 인터넷 기반의 미디어 사물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5114562A (ru) 2016-11-10
AU2013318849A1 (en) 2015-02-12
KR102057196B1 (ko) 2019-12-18
IN2013MU02997A (ko) 2015-07-10
RU2609566C2 (ru) 2017-02-02
AU2013318849B2 (en) 2015-10-29
BR112015004797A2 (pt)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6307B2 (ja) 情報伝送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その機器
US9411512B2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executing a function related to information displayed on an external device
EP29811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9924018B2 (en) Multi display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10299110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JP6448900B2 (ja) 状況情報基盤の情報提供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6253639B2 (ja) コンテンツのオートネーミング遂行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記録媒体
EP27090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pplication,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057196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
EP2690843A1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uses the same
KR20150032068A (ko)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30106691A (ko) 에이전트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전자 기기, 서버 및 기록 매체
US999858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41463B1 (ko)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6007784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152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6866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