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449A -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 - Google Patents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449A
KR20140036449A KR1020120102289A KR20120102289A KR20140036449A KR 20140036449 A KR20140036449 A KR 20140036449A KR 1020120102289 A KR1020120102289 A KR 1020120102289A KR 20120102289 A KR20120102289 A KR 20120102289A KR 20140036449 A KR20140036449 A KR 20140036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olver
frame
trigger
spr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7366B1 (ko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이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환 filed Critical 이규환
Priority to KR102012010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3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24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a movable magazine or clip as feeding element
    • F41A9/26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a movable magazine or clip as feeding element using a revolving drum magazine
    • F41A9/27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a movable magazine or clip as feeding element using a revolving drum magazine in revolver-type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61Magazines
    • F41A9/64Magazines for unbelted ammunition
    • F41A9/73Drum magaz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04Gas-blowing apparatus, e.g. for tea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볼빙 방식의 최루탄 발사기로써 연속하여 발사 가능한 리볼버를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회전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루탄발사기의 총열과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최루탄을 연속하여 발사할 수 있는 리볼빙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이 열려있고, 프레임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상부에 착탈되는 프레임백커버를 포함하는 리볼버프레임(30)과;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전방브라켓 및 후방브라켓이 설치되고, 다수개의 최루탄이 장전될 수 있는 리볼버(10); 상기 리볼버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리볼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40);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리볼버에 지지되고 타단이 중심축에 지지되어, 리볼버의 일방향 회전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되는 코일스프링(44);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리볼버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볼버를 정해진 위치에 멈추는 멈춤수단; 그리고 상기 프레임백커버에 설치되어 리볼버에 장전된 최루탄을 발사시킬 수 있는 격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Revolving device for tear gas fi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볼빙(revolving) 방식의 최루탄 발사장치에서 다수 개의 최루탄을 발사하기 위한 리볼버를 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리볼빙시키기 위한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루탄 발사장치는 하나의 최루탄을 발사하고 다시 장전하여 발사하는 단발식 발사장치에서 발전하여, 최근에는 리볼버에 복수 개의 최루탄을 장전하여 발사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여 왔다. 이와 같은 리볼빙 방식의 최루탄 발사기는 한번 장전하면 예를 들어 6발의 최루탄을 연속하여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증가하는 것은 사실이다.
리볼빙 타입의 최루탄 발사장치에 있어서는 다수 개의 최루탄이 장전되는 리볼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요구된다. 그러나 최루탄 발사기는 기계식으로 구성되어 전기 및 모터와 같은 외부 동력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힘을 이용하여 리볼버를 회전시켜야 한다. 종래의 리볼빙 타입의 최루탄 발사장치에서는, 단순히 방아쇠를 당기는 힘에 의존하여 리볼버를 회전시키고 있다.
그러나 리볼버 자체도 금속으로 만들어져서 꽤 무거운 것이고, 여기에 최루가스가 내장되어 있는 최루탄이 6개 들어가게 되면 실제로 리볼버는 상당한 하중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무거운 리볼버를 단순히 방아쇠를 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것은 실제로 최루탄 발사기의 효율적 사용에 많은 장애가 될 수 있다. 더욱이 방아쇠는 그 길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리볼버에 요구되는 토크를 걸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방아쇠를 당기는데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제기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리볼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이 아주 간편한 리볼빙 타입의 최루탄 발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로 사용될 때 사용자는 리볼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들이지 않도서도 사용자의 최루탄 격발에 따라서 리볼버가 자체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아주 편리하게 연속적 발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최루탄발사기의 총열과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최루탄을 연속하여 발사할 수 있는 리볼빙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이 열려있고, 프레임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상부에 착탈되는 프레임백커버를 포함하는 리볼버프레임과;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전방브라켓 및 후방브라켓이 설치되고, 다수개의 최루탄이 장전될 수 있는 리볼버; 상기 리볼버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리볼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리볼버에 지지되고 타단이 중심축에 지지되어, 리볼버의 일방향 회전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리볼버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볼버를 정해진 위치에 멈추는 멈춤수단; 그리고 상기 프레임백커버에 설치되어 리볼버에 장전된 최루탄을 발사시킬 수 있는 격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후방브라켓 또는 리볼버에서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탄성스토퍼와, 상기 프레임백커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하고, 방아쇠에 연동하여 전후방 이동 가능한 푸쉬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푸쉬로드의 전단부에는 상면과, 상기 상면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토퍼는 상기 지지턱에 걸려서 회전이 멈추고, 방아쇠가 당겨지면 푸쉬로드의 후방이동에 의하여 지지턱에서 해제된 후, 관통공의 걸림턱에 걸리게 되어 발사 가능한 상태로 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멈춤장치는, 상기 후방브라켓 또는 리볼버에서 후방으로 돌출 성형되는 스토퍼와; 상기 프레임백커버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에 걸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레버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볼버와 후방브라켓은 복수 개의 결합볼트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탄성스토퍼는 상기 결합볼트의 후방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격발수단은, 상기 프레임백커버의 후방에 형성되는 방아쇠프레임과, 상기 방아쇠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원위치되는 방아쇠와, 상기 방아쇠와 연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푸쉬부재와, 상기 방아쇠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 가능하며 상기 방아쇠의 회전운동 사이에 접촉하면서 회동하였다가 방아쇠와 이격되면 스프링에 의하여 전방의 공이를 타격하는 노리쇠로 구성되고, 상기 푸쉬부재는 방아쇠와 연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방아쇠의 스프링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브라켓의 전면에는 일측의 경사면과 타측의 멈춤면을 구비하는 멈춤돌기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에는 상기 멈춤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넘거나 멈춤면에 걸리도록 후방으로 탄성지지되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는 중심축의 후단부로 돌출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고정용돌기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끼워져서 고정용돌기와 연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최루탄을 리볼버에 장전하여 연발 발사가 가능함과 동시에 리볼버의 구동을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아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루탄 발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최루탄 발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최루탄 발사장치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리볼빙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리볼빙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중심축과 후방브라켓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최루탄 발사장치의 예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프레임백커버의 예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격발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격발장치의 분해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리볼빙 타입의 최루탄 발사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분해 상태 예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루탄 발사기에는 다수개의 최루탄이 장전될 수 있는 리볼버(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리볼버(10)는 발사기의 바디(2)와 총열(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볼버(10)는 리볼버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리볼버프레임(30)은 상기 바디(2)와 총열(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볼버프레임(30)은 상기 리볼버(10)를 실질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발사기의 바디(2)에 지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리볼버프레임(30)은 리볼버(10)의 회전을 위하여 양측면이 개구된 상태이고, 프레임백커버(32)가 프레임하부(3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프레임상부(3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백커버(32)는 리볼버(10)의 뒷면에 대응하는 원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 상단부(32a)가 착탈장치(32b)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상부(3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있다. 여기서 프레임백커버(32)를 프레임상부(36)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장치(32b)는 공지된 것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레임전면(35)에는 총열(4)이 결합될 것이고, 총열과 연통하도록 관통공(35a)이 프레임전면(35)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볼버프레임(30)의 후단을 형성하는 프레임백커버(32)에는 후방손잡이(6a)가, 그리고 후방손잡이(6a)에는 견착대(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리볼버프레임(30)의 전방에는 총열(4)이 설치되고 총열의 하부에는 전방손잡이(6b) 등이 설치된다.
다음에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리볼버(10)의 주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볼버(10)의 중앙에는 회전의 중심축이 됨과 동시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본 축이 되는 중심축(40)이 설치된다. 상기 중심축(40)은 리볼버(10)의 정중앙인 회전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리볼버(10)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40)의 전방과 후방에는 리볼버(10)와 같이 연동하는 원판상의 전방브라켓(60)과 후방브라켓(5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브라켓(60)과 후방브라켓(50)은 리볼버(10)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어 리볼버(10)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브라켓(60)과 후방브라켓(50)은 상기 중심축(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40)은 스프링지지통(42)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지지통(42)은 상기 중심축(40)과 같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프링지지통(42)에는 축방향을 따른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지지통(42)에는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키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중심축(40)과 스프링지지통(42)은 같이 고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지지통(42)에는 코일스프링(4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44)은 리볼버(10)의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회전되어 압축된 상태에서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리볼버(10)를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코일스프링(44)의 일단은, 전방브라켓(50)에 지지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지지통(42)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원판상의 후방브라켓(60)에는 장전되는 최루탄의 갯수(6 개)에 대응하는 6개의 결합공(6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64)에는 결합볼트(62)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볼트(62)는 리볼버(10)와 후방브라켓(60)을 서로 연결시켜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리볼버(10)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후방브라켓(60)도 같이 회전하여 코일스프링(44)이 회전하여 압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잠재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후방브라켓(60)의 외측면(60a)에는 멈춤돌기(70)가 6개[리볼버(10)에 장전되는 최루탄의 갯수만큼,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설명함] 성형되어 있다. 상기 멈춤돌기(70)는 리볼버(10)를 감는 방향으로는 스토퍼(76)가 타고 넘을 수 있는 경사면(74)으로 형성되어 있고, 리볼버(10)가 풀리는 방향으로는 직각의 멈춤면(7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76)는, 도 5 및 도 6을 같이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40)과 연결되어 있는 고정용돌기(78)와 같이 연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79)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76)는 도 6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실제로는 발사기의 전후방향)으로 일정 구간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멈춤돌기(70)의 경사면(74)을 타고 넘거나 멈춤면(72)에 걸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용돌기(78)도 중심축(4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스프링(79)에 의하여 외측(후방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브라켓(60)을 관통하고 있는 중심축의 후단부에서 돌출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고정용돌기(78)는 상기 중심축(40)의 내부에서 외부로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스토퍼(76)가 상기 고정용돌기(78)에 가로 방향으로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임의로 빠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보면 상기 고정용돌기(78)는 중심축(4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조립되는데 스프링(79)의 탄성력을 받아서 후방으로 탄성지지되고 있으며, 중심축(40)에서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76)도 스프링(79)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멈춤돌기(70)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76)는 후방브라켓(60)의 전면에, 그리고 고정용돌기(78)는 후방브라켓(6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40)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전방브라켓(50) 및 후방브라켓(60)은 리볼버(10)와 같이 회전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리볼버(10)를 일방향(감는 방향)으로 손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된 스프링지지통(42)에 의하여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브라켓(50)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44)은 탄성복원력이 축적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시, 중심축(40)에 설치된 스토퍼(76)는 후방브라켓(60)에 형성된 멈춤돌기(70)의 경사면(74)을 타고 넘게 되는데, 일단 멈춤돌기(70)를 타고 넘게 되면 멈춤돌기(70)의 반대측 멈춤면(7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리볼버(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전방브라켓(50) 및 후방브라켓(60)이 같이 회전하게 되면서 스프링(44)에 탄성복원력이 축적되고, 이러한 스프링의 탄성복원력 축적 과정에서, 스토퍼(76)가 멈춤돌기(70)의 멈춤면(72)에 걸려서 리볼버(10)가 임의로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리볼버(10)의 회전을 수차례 반복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44)에는 충분한 탄성복원력이 잠재한 상태로 감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축적된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루탄 발사기의 발사 동작에서 리볼버(10)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상기 스토퍼(76)가 멈춤돌기(70)의 멈춤면(72)에 걸린 상태는 리볼버(10)가 임의로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76)가 멈춤돌기(70)와의 결합관계가 해제되면 리볼버(10) 및 전후방브라켓(50,60)은 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하여 풀리는 방향으로 임의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리볼버프레임(30)은 리볼버(10)의 회전을 위하여 양측면이 개구되고, 프레임백커버(32)가 프레임하부(3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프레임상부(3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은 상술하였다. 상기 프레임백커버(32)가, 프레임하부(34)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프레임상부(36)에 결합되면, 프레임백커버(32)의 전면이 상기 고정용돌기(78)를 누르게 된다. 상기 고정용돌기(78)가 눌러지면, 스토퍼(76)도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스토퍼(76)와 멈춤돌기(70)의 결합관계가 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백커버(32)가 프레임상부(36)에 결합된다는 것은, 발사기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꺽어서 리볼버(10)에 최루탄(CS)을 장전한 후, 발사기를 발사 가능한 상태(도 1의 상태)로 다시 결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리볼버(1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리볼버프레임(30)의 프레임백커버(32)는 바디(2)와 연결되어 있어서, 리볼버프레임(30)의 프레임백커버(32)를 연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최루탄 발사기 전체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꺽이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프레임백커버(32)가 프레임상부(36)에 결합된 상태(도 1 참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백커버(32)의 내측 구성을 보이는 예시 사시도인 도 8을 참조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리볼버(10)는 전후방프레임(50,60)에 결합됨은 상술한 바와 같고, 후방프레임(60)에 형성된 6개의 결합공(64)을 통하여, 결합볼트(62)(도 6 참조)가 후방프레임(60)과 리볼버(10)를 연결하고 있음도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결합볼트(62)의 후단부에는 탄성스토퍼(6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탄성스토퍼(66)는 결합볼트(62)에 내장된 스프링(67)에 의하여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상기 탄성스토퍼(66)는 결합볼트(6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후방으로 탄성지지되나, 결합볼트(62)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스토퍼(66)의 중앙 또는 후방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스토퍼(66)가 삽입되는 구멍의 내측에도 플랜지가 형성되어 그 사이에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탄성스토퍼(66)가 결합볼트(62)의 후단에서 이탈하지 않으면서도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탄성스토퍼(66)르 결합볼트(62)의 후단에 삽입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에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예를 들면 탄성스토퍼에 설치 또는 형성되는 스토퍼 등을 이용하여 결합볼트(62)에 후방에 형성된 구멍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탄성스토퍼(66)는 항상 후방으로 스프링(67)의 힘을 받고 있어서, 본 발명의 최루탄 발사기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사 가능한 상태가 되면, 프레임백커버(32)의 전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사 가능한 상태[프레임백커버(32)가 프레임상부(36)에 결합되면]에서는, 상기 탄성스토퍼(66)가 프레임백커버(32)의 전면에 밀착됨과 같이, 상기 고정용돌기(78)가 프레임백커버(32)에 의하여 눌러져서 스토퍼(76)가 멈춤돌기(7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는 전후방브라켓(50,60)과 연결된 리볼버(10)가 중심축(40)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임과 동시에, 스프링(44)에 축적되어 있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회전(풀리는 방향)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백커버(32)의 전면에는 상기 탄성스토퍼(66)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홈(8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82)은 상기 탄성스토퍼(66)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회전방향에 대한 일측은 열린 상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걸림턱(8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턱(82a)이 형성된 걸림홈(82)의 단부에는 관통공(84)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84)에는 푸쉬로드(86)가 전방으로 삽입되어 있다.
상기 푸쉬로드(86)는, 후술하는 방아쇠(90)에 연동하여 전후진하는 것이고, 상술한 탄성스토퍼(66)를 밀기 위한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82) 및 걸림턱(82a)은, 발사되는 최루탄이 위치해야 하는 상단부 정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리볼버(10) 중에서 발사하고자 하는 최루탄이 총열(4)에 일치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걸림턱(8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백커버(32)가 프레임상부(36)에 결합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축(40)은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하려고 한다. 이때 상기 탄성스토퍼(66)는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하는 리볼버(10)와 같이 거의 약간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턱(82a)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리볼버(10)에 장전되어 있는 하나의 최루탄이 총열(4)과 일치되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발사기가 격발되어 최루탄이 발사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푸쉬로드(86)의 중간부분에 지지턱(86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턱(86c)은 상면(86a)와 하면(86b)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원호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턱(86c)도 상술한 탄성스토퍼(66)가 걸리는 부분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에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방아쇠(90)와 상기 푸쉬로드(86)의 연동 관계 및 격발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발사기의 방아쇠(90)는, 프레임백커버(32)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방아쇠프레임(32f)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방아쇠프레임(32f)에 핀(Pb) 결합되어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방아쇠(90)는 격발시 당겨지는 하단부가 항상 전방을 향할 수 있도록 스프링(Sb)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핀(Pb)에는 상술한 푸쉬로드(86)의 후단부(86e)에 형성된 슬롯(86g)이 같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방아쇠(90)와 푸쉬로드(86)의 후단부(86e)는 핀(Pc)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방아쇠(90)를 당기게 되면 푸쉬로드(86)의 후단부(86g)는 핀(Pc)에 의하여 후방으로 당겨진다. 즉 방아쇠(90)를 당기게 되면 푸쉬로드(86)은 연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격발후 방아쇠(90)를 놓게 되면 방아쇠(90)는 스프링(Sb)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푸쉬로드(86)도 전방으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푸쉬로드(86)가 전방으로 복귀한 상태는 관통공(84)(도 8 참조)를 통하여 전방으로 일정 간격 앞으로 나온 상태이다.
그리고 방아쇠(90)의 상부선단(90a)은 예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는 노리쇠(92)의 하부후단(92a)를 연동시킨다. 상기 뇌리쇠(92)는 핀(Pa)를 중심으로 방아쇠프레임(32f)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스프링(Sc)이 핀(Pc)에 걸려 있어서, 도면상 항상 화살표(Ab)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10에서 노리쇠(92)와 하부후단(92a)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서로 결합(예를 들면 리벳팅)되어 있어서 연동하게 된다.
상기 방아쇠(90)가 당겨지면 상기 상부선단(90a)은, 노리쇠(92)의 하부후단(92a)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노리쇠(92)는 하부의 핀(P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즉 화살표(Ac)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방아쇠(92)가 더 당겨지면, 상부선단(90a)이 하부후단(92a)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방아쇠(90)와 노리쇠(92)가 서로 이격되면, 스프링(Sc)의 탄성복원력이 노리쇠(92)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그러면 노리쇠(92)는 공기(95)를 타격하게 되고, 공이(95)는 최루탄을 발사시킨다. 여기서 상기 공이(95)는 공지지지구(97)을 통하여 프레임백커버(32)에 고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방아쇠(90)를 당기는 경우에는, 먼저 푸쉬로드(86)가 후방으로 당겨진 후, 격발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탄성스토퍼(66)(도 6 참조)가 푸쉬로드(86)의 지지턱(86c)에 걸리도록 하는 구성과 관련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리볼빙장치를 구비하는 최루탄 발사기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백커버(32)를 연 상태에서, 상기 리볼버(10)에 다수 발(6 발)의 최루탄을 장전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리볼버(10)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백커버(32)가 닫힌 상태에서 리볼버(10)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스프링(44)가 감기게 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잠재적으로 가질 수 있는 상태이고, 실질적으로 최루탄의 발사시 리볼버(10)를 풀어내면서 6발을 연속적으로 발사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백커버(32)를 닫은 상태가 되면, 중심축(40)의 후단에 마련된 고정용돌기(78)가 눌려져서 중심축(40)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그러나 탄성스토퍼(66)가 푸쉬로드(86)의 지지턱(86c)에 걸리게 되기 때문에 리볼버(10)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리볼버(10)에 장전된 최루탄과 총열(4)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상태이고, 각도로는 약 5도 정도 그리고 길이로는 대략 수mm 정도 불일치한다. 즉 5도 정도 더 회전해야만 최루탄과 총열(4)로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발사 가능한 상태가 되는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아쇠(90)를 당기게 되면, 먼저(격발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푸쉬로드(86)이 후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푸쉬로드(86)가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면, 그 지지턱(86c)에 걸려 있는 탄성스토퍼(66)가 해제되고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하여 리볼버(10)가 약 5도 정도 더 회전하여 총열(4)과 최루탄이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탄성스토퍼(66)가 관통공(84)의 걸림턱(82a)에 걸려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방아쇠(90)를 더 당기게 되면, 방아쇠(90)는 노리쇠(92)를 후방으로 당겼다가 해제시키게 되어 노리쇠(92)는 스프링(Sc)의 힘에 의하여 공이(95)를 가격하게 되어, 최루탄이 발사된다. 이와 같이 최루탄이 발사된 후, 사용자가 방아쇠(90)를 놓게 되면 방아쇠는 스프링(Sb)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방아쇠(9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푸쉬로드(86)의 후단부(86e)도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푸쉬로드(86)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다시 관통공(84)을 통하여 전방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때 푸쉬로드(86)의 상면(86a)이 다시 탄성스토퍼(66)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탄성스토퍼(66)가 전방으로 밀려서 결합볼트(62) 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리볼버(10)과 리볼버프레임(30) 사이는 자유상태가 되고, 따라서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리볼버(10)는 1/6바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1/6바뀌 회전한 다음, 회전방향으로 그 후방에 있는 탄성스토퍼(66)가 상기 지지턱(86c)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그 이후의 격발 및 리볼버(10)의 회전동작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리볼버(10)가 회전할 때 탄성스토퍼(66)가 푸쉬로드(86)의 지지턱(86c)에 먼저 걸리는 것은 탄성스토퍼(66)가 회전하면서 걸림턱(82a)에 충격을 가하여 피로하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걸림턱(82a)는 실질적으로 프레임백커버(32)에 형성되기 때문에 이 전체적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푸쉬로드(86)는 상대적으로 아주 작은 부품이기 때문에 충분한 열처리를 통하여 탄성스토퍼(66)가 부딪히는 충격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성형하거나 열처리를 통하여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리볼버(10)를 회전시키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착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리볼버(10)를 회전시키면서 정해진 위치에 멈출 수 있는 스토퍼를 설치하고, 이러한 스토퍼를 수동으로 별도로 조작하거나 방아쇠와 연동하여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탄성스토퍼(66)와 유사하게 6개의 스토퍼를 등간격으로 리볼버(10)에 형성한다. 그리고 리볼버(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프링(44)의 탄성 복원력을 축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백커버(32)에는 이러한 스토퍼에 걸리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키 또는 조작 가능한 돌기 등(레버 장치)을 설치하고 이를 별도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자명할 것이다.
2 ..... 바디
4 ..... 총열
10 ..... 리볼버
30 ..... 리볼버프레임
32 ..... 프레임백커버
34 ..... 프레임하부
36 ..... 프레임상부
40 ..... 중심축
42 .... 스프링지지통
44 ..... 스프링
50 ..... 전방브라켓
60 ..... 후방브라켓
62 ..... 결합볼트
64 ..... 결합공
66 ..... 탄성스토퍼
70 ..... 멈춤돌기
72 ..... 멈춤면
74 ..... 경사면
76 ..... 스토퍼
78 ..... 고정용돌기

Claims (6)

  1. 최루탄발사기의 총열과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최루탄을 연속하여 발사할 수 있는 리볼빙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이 열려있고, 프레임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상부에 착탈되는 프레임백커버를 포함하는 리볼버프레임과;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전방브라켓 및 후방브라켓이 설치되고, 다수개의 최루탄이 장전될 수 있는 리볼버;
    상기 리볼버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리볼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리볼버에 지지되고 타단이 중심축에 지지되어, 리볼버의 일방향 회전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리볼버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볼버를 정해진 위치에 멈추는 멈춤수단; 그리고
    상기 프레임백커버에 설치되어 리볼버에 장전된 최루탄을 발사시킬 수 있는 격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후방브라켓 또는 리볼버에서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탄성스토퍼와;
    상기 프레임백커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하고, 방아쇠에 연동하여 전후방 이동 가능한 푸쉬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푸쉬로드의 전단부에는 상면(86a)과, 상기 상면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지지턱(86c)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토퍼는 상기 지지턱(86c)에 걸려서 회전이 멈추고, 방아쇠가 당겨지면 푸쉬로드의 후방이동에 의하여 지지턱에서 해제된 후, 관통공의 걸림턱(82a)에 걸리게 되어 발사 가능한 상태로 되는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장치는, 상기 후방브라켓 또는 리볼버에서 후방으로 돌출 성형되는 스토퍼와; 상기 프레임백커버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에 걸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레버수단으로 구성되는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볼버와 후방브라켓은 복수 개의 결합볼트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탄성스토퍼(66)는 상기 결합볼트의 후방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수단은,
    상기 프레임백커버의 후방에 형성되는 방아쇠프레임과, 상기 방아쇠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원위치되는 방아쇠와, 상기 방아쇠와 연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푸쉬부재와, 상기 방아쇠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 가능하며 상기 방아쇠의 회전운동 사이에 접촉하면서 회동하였다가 방아쇠와 이격되면 스프링에 의하여 전방의 공이를 타격하는 노리쇠로 구성되고, 상기 푸쉬부재는 방아쇠와 연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고 방아쇠의 스프링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어지는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브라켓의 전면에는 일측의 경사면과 타측의 멈춤면을 구비하는 멈춤돌기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에는 상기 멈춤돌기의 경사면을 타고 넘거나 멈춤면에 걸리도록 후방으로 탄성지지되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는 중심축의 후단부로 돌출되고 스프링(79)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고정용돌기(78)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끼워져서 고정용돌기와 연동하는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






KR1020120102289A 2012-09-14 2012-09-14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 KR101467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89A KR101467366B1 (ko) 2012-09-14 2012-09-14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89A KR101467366B1 (ko) 2012-09-14 2012-09-14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449A true KR20140036449A (ko) 2014-03-26
KR101467366B1 KR101467366B1 (ko) 2014-12-02

Family

ID=5064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289A KR101467366B1 (ko) 2012-09-14 2012-09-14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3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1556A (zh) * 2021-08-25 2021-11-26 浙江新华机械制造有限公司 九孔防暴发射器
KR102547215B1 (ko) * 2023-03-23 2023-06-23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가스압을 이용한 리볼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볼빙식 유탄 발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240B1 (ko) 2015-07-31 2017-08-01 주식회사 금성산업공사 탄환의 장착이 용이한 최루탄 발사기
KR101761243B1 (ko) 2017-02-16 2017-07-26 진연창 탄창 자동회전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205B1 (ko) * 2010-09-24 2012-10-19 김진찬 회전식 탄창부가 구비된 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1556A (zh) * 2021-08-25 2021-11-26 浙江新华机械制造有限公司 九孔防暴发射器
KR102547215B1 (ko) * 2023-03-23 2023-06-23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가스압을 이용한 리볼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볼빙식 유탄 발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366B1 (ko)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4518B (en) Controlling structure of double acting toy gun
US10533821B2 (en) Toy projectile launch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467366B1 (ko) 최루탄 발사기의 리볼빙 장치
US7395626B2 (en) Firearm with selection device for right or left-hand cartridge case ejection
KR101761507B1 (ko) 완구총
US8777079B2 (en) Nail gun capable of preventing its trigger from being pulled in nail-empty condition
CN110711391B (zh) 加速玩具系统
US9347726B1 (en) Striker style firearm with improved mechanical function
US9061217B2 (en) Projectile launcher
US11346631B1 (en) Quick start projectile launcher and methods
WO2020034767A1 (zh) 多向发射器
US8707939B2 (en) Percussion and magazine revolving device of toy grenade launcher
KR101761243B1 (ko) 탄창 자동회전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KR101096736B1 (ko)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US10816294B2 (en) Firearm safing assemblies and firearms including the same
KR101763240B1 (ko) 탄환의 장착이 용이한 최루탄 발사기
WO2015030892A2 (en) Minigun with improved access door
KR102142667B1 (ko) 탄창의 호환이 가능한 자동회전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KR101079162B1 (ko) 모터식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CN109141106B (zh) 一种连发配枪和一种无人机
AU2015238445B2 (en) Driving-in device
KR20140142460A (ko) 완구총
KR101079169B1 (ko) 기계식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US9354020B1 (en) Dual compression spring projectile launcher
JP2004215957A (ja) 発射体の発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