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573A -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573A
KR20140035573A KR1020120101899A KR20120101899A KR20140035573A KR 20140035573 A KR20140035573 A KR 20140035573A KR 1020120101899 A KR1020120101899 A KR 1020120101899A KR 20120101899 A KR20120101899 A KR 20120101899A KR 20140035573 A KR20140035573 A KR 20140035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pen
receiver
housing
plu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영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5573A/ko
Publication of KR20140035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터치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리시버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어셈블리{STYLUS PEN AND STYLUS PEN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사용 가능한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 리시버에 결합 가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의 보급이 확대 됨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의 보급도 확대 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이란, 손 또는 물체와 같은 입력수단에 의해 접촉(터치)되는 경우,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한다.
스타일러스 펜은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과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을 의미하며, 일명 터치 펜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은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내장형 스타일러스 펜과, 전자기기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외장형 스타일러스 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외장형 스타일러스 펜의 경우, 전자 기기와는 별도로 소지하고 다녀야 하므로,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이 필요함에도 이를 소지하고 있지 않아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분실의 위험도 높다.
반면, 내장형 스타일러스 펜의 경우, 분실(또는 미소지)의 위험은 적으나, 스타일러스 펜이 내장되는 공간만큼 전자 기기의 부피가 커 질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타일러스 펜의 분실의 위험을 줄이면서도, 스타일러스 펜 수납을 위한 공간의 낭비를 줄여, 전자 기기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터치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리시버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부는 탄성을 가지며 통전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은, 전자 기기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는 플러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부는 상기 플러그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기기 내부에 스타일러스 펜이 수납되기 위한 별도 공간이 필요치 않아, 전자 기기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스타일러스 펜의 분실 위험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을 리시버에 결합시켜 가지고 다닐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소지가 용이하여, 스타일러스 펜이 필요함에도 이를 소지 하고 있지 않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 및 이와 결합되는 리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 및 이와 결합 가능한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가 전자 기기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 전체가 전자 기기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이 리시버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이 리시버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일부가 전자 기기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100,200)은,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10, receiver)에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먼저 리시버(10)의 구성을 설명한 후, 각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리시버(receiver)란 전기 신호를 음향 진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 이어폰 또는 헤드폰 등으로 불리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리시버(10)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플러그(12)와, 상기 하우징(11)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케이블(13)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플러그(12)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플러그(12)를 전자 기기에 꽂으면, 전자 기기로부터 전기 신호가 전달되며, 이 전기 신호가 리시버(10)에서 소리로 변환된다.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리시버(10)에 결합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100) 및 이와 결합되는 리시버(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100) 및 이와 결합되는 전자 기기(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2에 도시된 전자 기기(30)는 통상 스마트 폰으로 불리는 휴대 단말기이며, 후술하는 리시버(10)의 플러그(12) 또는 스타일러스 펜(100)의 플러그(112)가 삽입되는 출력 단자(3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100)은, 전자 기기(30)와의 결합을 위한 단말 결합부(110)와, 리시버(10)의 플러그(12)가 결합되는 리시버 결합부(130)와, 상기 단말 결합부(110)와 상기 리시버 결합부(130)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단말 결합부(110)는, 제1 하우징(111)과 상기 제1 하우징(111)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돌출되는 플러그(112)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112)의 단부에는 터치부(113)가 구비된다.
상기 플러그(112)는 전자 기기에 끼워지는 경우, 전자 기기 내부에 설치된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 신호를 전달받는 구성으로, 플러그를 통해 전기 신호가 전달되는 원리는, 종래 리시버 플러그(12)의 전기 신호 전달 원리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터치부(113)는, 전자 기기의 터치 스크린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드러운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다소간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전식 터치 스크린에 의해 인식 가능하도록 통전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부(120)는 상기 단말 결합부(110)의 타단, 즉, 터치부(113)의 반대쪽에 결합된다. 상기 중간부(12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부러짐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돌출부(121)와 홈부(122)가 길이방향으로 교차되어 주름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 중간부(120)의 일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결합부(110)에 결합되며, 타단은 자세히 후술하는 리시버 결합부(130)에 결합된다.
상기 리시버 결합부(130)는 제2 하우징(131)과, 상기 제2 하우징(132)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32)는 상기 리시버(10)의 플러그(12)가 삽입 가능하도록, 리시버 플러그(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리시버 결합부(130)는 일단이 상기 중간부(120)에 결합되며, 타단은 일부가 개구되어 수용부(132)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상기 수용부(132)에는 상기 리시버(10)의 플러그(12)가 착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132)에는 복수의 단자(미도시)가 구비되며, 단말 결합부(110)의 플러그(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리시버(10)와 스타일러스 펜(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스타일러스 펜(100)의 플러그(112)를 전자 기기(30)의 출력 단자(31)에 끼워 결합시키면, 전자 기기(30)의 음성 신호가, 단말 결합부(110)의 플러그(112),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시버 결합부(130)의 수용부(132)를 차례로 거쳐, 리시버(10)의 플러그(12)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타일러스 펜(100)은 연결부(20)와 함께 스타일러스 펜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부(20)는 일단이 상기 스타일러스 펜(100)의 제2 하우징(13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시버(10)의 하우징(11) 또는 와이어(13)에 결합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100)이 상기 리시버(10)으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부(2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신축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1은 상기 연결부(20)가 스터일러스 펜(100)의 제2 하우징(131)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연결부(20)는 제1 하우징(111) 또는 중간부(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1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10)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에 입력을 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100)과 리시버(1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리시버(10)의 하우징(11) 길이만큼 스타일러스 펜(100)의 길이가 늘어나는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보다 긴 스타일러스 펜(100)의 그립감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경우, 리시버(10)와 스타일러스 펜(100)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10)로 음악이나 음성 등을 들으며 동시에 스타일러스 펜(10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스타일러스 펜(100)의 리시버 결합부(130)로부터 리시버(10)를 분리하여, 리시버(10)의 플러그(12)를 전자 기기(30)의 출력 단자(31)에 끼워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분리된 스타일러스 펜(100)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에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린다. 이때, 연결부(20)가 높은 신축성을 가지므로, 리시버(10)가 전자 기기와 연결된 상태에서도 스타일러스 펜(100)을 이용한 조작이 가능하다.
한편, 스타일러스 펜(100)과 리시버(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리시버(1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타일러스 펜(100)과 리시버(10)를 분리시킬 필요 없이, 스타일러스 펜(100)의 플러그(112)를 전자 기기(30)의 출력 단자(31)에 그대로 끼워 넣는다.
스타일러스 펜의 단말 결합부(110)에 구비된 플러그(112)는, 일 단부에 구비된 터치부(113)를 제외하고는, 전기 신호의 전달 측면에서 종래의 리시버 플러그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또한, 리시버 결합부(130)의 수용부(132)와 스타일러스 펜의 플러그(11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자 기기(30)에 스타일러스 펜(100)의 플러그(112)가 삽입되더라도, 리시버(10)의 플러그(12)가 직접 전자 기기에 삽입된 것과 마찬가지로, 리시버(10)로 음성신호가 전달 될 수 있다.
이하,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200)이 리시버(10)의 플러그(11)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200)이 리시버(10) 플러그(11)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200)은,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터치부(230)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리시버(10)의 하우징(11)과 대략 동일한 직경(단면이 원이 아닌 경우에는 동일한 높이)을 가지며 연장되다가, 일측 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직경(또는 높이)이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직경(또는 높이)가 점차 작아진 단부에는 뭉툭한 형상의 터치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부(230)는 터치 스크린의 손상을 방지하며 부드러운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다소간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전식 터치 스크린에 의해 인식 가능하도록 통전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부(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타단을 향해 개구되며, 리시버의 플러그(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10)의 수용부(220)에는 리시버의 플러그(12)가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220)에는 상기 리시버의 플러그(120)가 착탈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리시버(10)에 연결부(20)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200)과 상기 연결부(20)는 스타일러스 펜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상기 연결부(20)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시버(10)의 하우징(11) 또는 와이어(13)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10)이 상기 리시버(10)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부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신축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타일러스 펜(2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200)을 리시버(10)에 결합시킨 채로 가지고 다닐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에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고자 하는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10)가 결합된 채로 스타일러스 펜(20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리시버를 사용하여 음악이나 음성을 듣고자 하는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200)을 리시버(10)으로부터 분리시켜, 리시버(10)의 플러그(12)를 전자 기기(30)의 출력 단자(31)에 꽂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스타일러스 펜(200)은 연결부(20)에 의해 리시버(10)의 하우징(11) 또는 와이어(13)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분실의 위험이 없다.
한편, 리시버를 전자 기기에 꽂은 채, 스타일러스 펜(200)을 사용하고 자 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20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 연결부(20)가 높은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타일러스 펜(200)의 사용이 제약을 받지는 않는다.
10: 리시버 11: 하우징
12: 플러그 13: 케이블
20: 연결부 30: 전자 기기
31: 출력 단자 100: 스타일러스 펜
110: 단말 결합부 111: 하우징
112: 플러그 113: 터치부
120: 중간부 121: 돌출부
122: 홈부 130: 리시버 결합부
131: 하우징 132: 수용부
200: 스타일러스 펜 210: 하우징
220: 수용부 230: 터치부

Claims (3)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터치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리시버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탄성을 가지며 통전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스타일러스 펜.
  3. 제1항에 있어서,
    전자 기기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구비되는 플러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부는 상기 플러그에 구비되는 스타일러스 펜.
KR1020120101899A 2012-09-14 2012-09-14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어셈블리 KR20140035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899A KR20140035573A (ko) 2012-09-14 2012-09-14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899A KR20140035573A (ko) 2012-09-14 2012-09-14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573A true KR20140035573A (ko) 2014-03-24

Family

ID=5064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899A KR20140035573A (ko) 2012-09-14 2012-09-14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55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76841U (zh) 一种USB-Type-C接口转换器
JP6026471B2 (ja) 3g又は4gによりネットワーク化可能な独立智能ヘッドセット
JP6026472B2 (ja) 磁石の吸着によりボディの分離可能な構造を実現する独立智能ヘッドセット
KR10116305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액세서리
US11431181B2 (en)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with charging function
US20190327551A1 (en) Wireless headphone system
WO2016015619A1 (zh) 具有空间笔功能的耳麦
CN204244456U (zh) 耳机
US20160192055A1 (en) Drive-by-wire earphone capable of being connected with input sour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206164777U (zh) 一种触摸式无线蓝牙耳机
CN203482367U (zh) 一种耳机
KR101270528B1 (ko) 핸즈프리기능이 구비된 전자펜
CN205159720U (zh) 一种USB-Type-C接口转换器
TW201304562A (zh) 具有觸控筆的無線耳機
CN108322839B (zh) 具有蓝牙耳机充电功能的外置设备及蓝牙耳机系统
US20180020279A1 (en) Multifunctional bluetooth device
CN207802275U (zh) 触摸式耳机以及电子设备
KR20210014359A (ko) 헤드셋 전자 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KR20140035573A (ko)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어셈블리
KR101142906B1 (ko) 터치스크린의 신호입력 기능을 갖는 이어폰
CN209913088U (zh) 连接器、移动终端及音频设备
KR101428794B1 (ko) 레이저포인터가 수납된 필기구
CN202282855U (zh) 一种多功能蓝牙耳机
JP7196840B2 (ja) 音響出力装置
US8147271B2 (en) Electronic conn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