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998A - Chair for transforming back's shape - Google Patents

Chair for transforming back's sh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998A
KR20140034998A KR1020120100687A KR20120100687A KR20140034998A KR 20140034998 A KR20140034998 A KR 20140034998A KR 1020120100687 A KR1020120100687 A KR 1020120100687A KR 20120100687 A KR20120100687 A KR 20120100687A KR 20140034998 A KR20140034998 A KR 20140034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user
shape
chai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4544B1 (en
Inventor
권현욱
권영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544B1/en
Publication of KR20140034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9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5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with a transformable backrest. The chair includes a seat unit on which a user sits, a backrest unit which is coupled to the seat unit and supports user′s back, and a backrest deformation unit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backrest and changes the shape of the backrest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user′s 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since the backrest can be trans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user′s back.

Description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Chair for transforming back's shape}Chair for transforming back's shape

본 발명은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별 등 형상에 대응하여 등받이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 shape deformation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capable of deforming the shape of the back back corresponding to a back shape for each user.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종래 의자(1)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석토록 제공되는 시트(3)와 상기 시트(3)의 하단에서 상기 시트(3)를 지지해주는 다리(4) 및 상기 시트(3)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의자의 상기 등받이(2)는 사용자의 등 골격 형상에 관계없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일관된 직선형이나 곡선형의 등받이 패턴으로 구성된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onventional chair 1 as shown in Figure 1a and the seat (3) provided for the user to sit and the leg (4) for supporting the seat (3) at the bottom of the seat (3) and the It may be configured as a backrest 2 connected to the seat 3 and supporting the user's back. By the way, the backrest 2 of the conventional chair is composed of a straight or curved backrest pattern consistent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irrespective of the shape of the back skeleton of the user.

이는 사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지 않은 등받이로서, 만약 사용자의 등 골격 형상과 의자(1)의 등받이(2) 굴곡 형상이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의자에 앉았을 때 큰 불편을 겪게 된다. This is a backrest that does not consider the user's body shape. If the shape of the back skeleton of the user does not match the shape of the backrest 2 of the chair 1, the user may experience great inconvenience when sitting on the chai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공개번호 제 20-1996-016207 호가 있으며, 이는 등받침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좌석의 등받이 장치(5)에 관한 것이다. The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is the publication No. 20-1996-016207, which relates to the seat back device 5 of the seat can be modified in the form of a backrest.

구체적으로 도 1b를 참고하면, 우선 좌석 등에 결합되는 받침판(6)이 있으며, 상기 받침판(6)에는 종방향으로 한 쌍의 벨크로즈 테이프(7)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 다른 높낮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쿠션부재(8)가 제공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B, first, there is a support plate 6 coupled to a seat, and the support plate 6 is provided with a pair of velcro tapes 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8 having different heights are provided.

사용자는 자신의 등 골격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쿠션부재(8)를 배열하고 상기 벨크로즈 테이프(7)를 이용하여 상기 받침판(6)에 부착시킨다. 이후 상기 등받이 장치(5)를 차량 등의 좌석에 결합시켜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자가 좌석에 착석될 수 있도록 한다. The user arranges the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8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ck skeleton of the user and attaches the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8 to the support plate 6 using the Velcro tape 7. The backrest device 5 is then coupled to a seat such as a vehicle so that the user can be seated in the seat in a comfortable position.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쿠션부재(8)의 높낮이는 정해져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사용자의 등 형상에 대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으며, 횡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되어 있어 인체의 형상에 잘 부합하지 못한다. 장기적으로 사용시 쿠션이 압착되어 원래의 높이를 유지하지 못할 상황이 있다. 또한 두꺼운 쿠션이 등 형상으로 변형되어 지지하므로 열이나 습기가 발생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시 상기 벨크로즈 테이프(7)가 마모되어 수명을 다하여 쿠션부재(8)가 원활히 고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However, in such a structure, since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8 is determined, there is a limit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pe with a variety of back shapes of users, and it is linea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does not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uman body. In the long term, there is a situation that the cushion is squeezed and the original height cannot be maintained. In addition, since the thick cushion is deformed and supported in a back shape, heat or moisture may be inconvenient. In addition, the Velcro tape 7 may be worn out for a long time, and thus the cushion member 8 may not be smoothly fix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 각각의 등 형상에 대응하여 의자의 등받이 형상을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configured to deform the back of the chair corresponding to the back shape of each user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while sitting on the chair for a long time It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be u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ck shape deformation chair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와 연결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치도록 제공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등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형상을 변형 가능토록 제공되는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seated by the user, and is provided inside the backrest and the backrest provided to support the seat of the seated user, corresponding to the back shape of the seated user It may include a back shape deformation means provided to be able to deform the shape of the back portion.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착석한 사용자의 종방향 등 형상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토록, 상기 지지판에 종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되는 등받이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재의 이동홈을 관통하며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ackrest shape deforming means, the support plate is installed i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s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user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user, the plurality of the support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connecting bar which is mounted to the support plate and penetrates the moving groove of the backrest member to guide the backrest member and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backrest member disposed.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가 압하력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단을 가압토록 제공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ackrest shape deform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and provided to press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such that the plurality of backrest members are fixed to each other by a pressing force.

상기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은, 상기 등받이부재를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전,후진토록, 상기 등받이부재의 일측에 장탈착 가능토록 설치되는 조절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ackrest deformation means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ment bar installed to allow the backrest member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user and to be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backrest member.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받이부재는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측이 오목하게 만곡되어 제공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ackrest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concave curved side on which the user's back is seated.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받이부재는, 상기 연결바가 관통하는 이동홈이 설치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전,후진토록 제공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서 사용자의 등을 바라보는 측에 설치되고, 오목하게 만곡되어 제공되는 안착판 및 상기 이동판과 안착판간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등에 의해 상기 안착판에 인가되는 하중을 완충토록 제공되는 가이드빔과 코일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ackrest member is provided with a moving groov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bar penetrates, and is provided on the side facing the user's back from the movable plate and the movable plate provid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user, and concave. It is connected between the seating plate and the movable plate and the seating plate is provided to be curved, it may include a guide beam and a coil spring provided to cushion the load applied to the seating plate by the user.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판은 사용자의 횡방향 등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 가능토록, 상기 안착판은 복수개로 분할되며, 상기 복수개의 안착판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ating plate is deformabl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ser, such as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seating pl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s may be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by the elastic member.

본 발명인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의 일 실시예는 의자의 등받이부에 전,후이동 가능한 복수개의 등받이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별 등의 종방향 골격 형상에 대응하여 등받이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어 사용자의 등에 대체로 균일한 압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안락한 자세에서 의자에 착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backrest shape deformation chai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ackrest members tha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in the backrest portion of the chair, so that the shape of the backrest can be modified to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skeletal shape of the user. The uniform pressure is applied to the back, so that the chair can be seated in a comfortable position.

또한, 상기 등받이부재의 이동판은 사용자가 기대는 측을 사용자의 횡방향 등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하여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의자에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ovable plate of the backrest member ha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be seated in a chair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by providing a curved sid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lateral direction such as the user's leaning side.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재를 이동판 및 안착판으로 분리하고 양자간에 가이드빔과 코일스프링으로 연결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안착판에 기댈시 탄성력으로 사용자의 등을 완충하며 지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backrest member into a moving plate and a seating plate and connecting the guide beam and the coil spring between the two, there is an effect of buffering and supporting the user's back with elastic force when the user leans on the seating plate.

더하여, 상기 안착판을 복수개로 분리하고 상호간에 탄성패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횡방향 등 형상에 맞추어 변형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보다 좋은 등받침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elastic pads to be deformed to fit the shape of the user's later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providing a better backrest to the user.

또한, 상기 등받이부재는 탈부착 쿠션식이 아니라 전,후 이동 방식이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마모 등이 적어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ackrest member is not a removable cushion type, but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re is less wear and the lik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도 1a는 종래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1b는 종래 등받이 장치에 관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자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의자의 측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의 등받이부재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의 등받이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의 등받이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user is seated in a conventional chair.
1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ackrest device.
2 is a sid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the chair shown in FIG. 2.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hair shown in FIG. 2.
Figure 5a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ackrest member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ckrest member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c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ckrest member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back shape deformation chair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related components among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the respective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각각의 등 형상에 대응하여 의자의 등받이 형상을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configured to be able to deform the back shape of the chair corresponding to the back shape of each user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when sitting on the chai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인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의 후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FIG. 2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or's back shaped deformation chair, FIG. 3 is a rear view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100) 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부(200)와 상기 시트부(200)와 연결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치도록 제공되는 등받이부(300) 및 상기 등받이부(3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등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등받이부(300)의 형상을 변형 가능토록 제공되는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2 to 4,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backrest shape deformation chair 100 is connected to the seat 200 and the seat 200 where the user is seated, and the back of the seated user. The backrest shape deformation means provided in the backrest part 300 and the backrest part 300 provided to support the backrest part provided to be able to deform the shape of the backrest part 300 corresponding to the back shape of the seated user ( 400).

먼저 상기 시트부(200)는 시트부재(210) 및 지지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210)는 사용자의 엉덩이 및 허벅지의 일부가 착석되는 부분이고, 사용자의 편안함을 위해 원목, 플라스틱, 쿠션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상기 시트부재(210)의 하단에서 상기 시트부재(210)를 지지토록 제공될 수 있다. First, the sheet unit 200 may include a sheet member 210 and a support frame 220. The seat member 210 is a part in which a part of the user's hip and thigh is seated,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olid wood, plastic, or cushion for the user's comfort. The support frame 22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sheet member 210 at the lower end of the sheet member 21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트부(200)를 지지하게 위해 상기 시트부(200)의 하단에 연결되는 다리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부재(130), 다리프레임(120) 및 유압실린더부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included a leg portion 15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heet portion 200 to support the sheet portion 200. As shown in FIG. 4, the leg part 150 may include a wheel member 130, a leg frame 120, and a hydraulic cylinder member 110.

상기 유압실린더부재(110)의 상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부재(110)가 구동되면 상기 지지프레임(2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시트부(200)의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키에 대응하여 상기 시트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An upper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membe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220. When the hydraulic cylinder member 110 is driven, the support frame 22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of is to be adjusted. This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heet unit 200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부재(110)의 하단은 상기 다리프레임(1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프레임(120)은 상기 시트부(200)의 하측에서 방사방향으로 여러 개의 바 형태로 분산되며 상기 시트부(200)를 지지하게 된다. And the lower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membe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leg frame 120, the leg frame 120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bars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at portion 200 and the seat The support 200 is supported.

여기서 상기 방사방향으로 분산된 여러 개의 바 단부에는 상기 바퀴부재(1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상기 시트부(200)를 움직여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다리부(150)의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의자에 구비되는 4 개의 수직다리 형태로 제공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Here, the wheel member 130 may be mounted 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radially distributed bars. In this case, the user can move and use the sheet unit 200 to a desired position.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leg portion 15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is apparent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provided in the form of four vertical legs provided in a conventional chair.

한편, 상기 시트부(200)의 지지프레임(220)은 ㄱ 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등받이부(300)와 손잡이가 달린 볼트(240)로 체결되며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300)는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한함을 느낄 수 있도록 원목, 플라스틱, 쿠션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frame 220 of the seat portion 200 is bent in the form of the letter "B" is fastened with a bolt 240 with the backrest portion 300 and the handle may be connected. Here, the backrest part 300 supports the user's back, and may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solid wood, plastic, and cushion so that the user may feel comfortable.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300)의 내부에는 상기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4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400)은 착석한 사용자의 등 골격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등받이부(300)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The backrest shape deforming means 4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ackrest part 300, and the backrest shape deforming means 40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back skeleton of the seated user of the backrest part 300. It is provided to deform the shape.

여기서 상기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400)은 지지판(410), 등받이부재(420) 및 연결바(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지지판(410)은 상기 등받이부(300)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20)에 상기 볼트(240)에 의해 연결되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410)은 상기 등받이부(300)의 내부에서 ㄷ 자 형태로 종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410)의 ㄷ 자 형태의 홈에는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420)가 위치할 수 있다. The backrest shape deforming means 40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410, a backrest member 420, and a connection bar 430. First, the support plate 410 may be connected to and fixed by the bolt 240 to the support frame 220 in the backrest part 300. The support plate 410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shaped inside the backrest portion 300, the plurality of backrest member 420 is located in the c-shaped groove of the support plate 410 can do.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420)는 상기 지지판(410)의 ㄷ 자 형태의 홈에서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410)의 상,하단과 상기 연결바(430)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ackrest members 42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shaped groove of the support plate 410,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plate 410 and the connection bar 430 to each other Can be connected.

이때 상기 지지판(410)의 상단은 힌지부재(419)에 의해 유동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420)를 겹겹이 안착시키고 상기 상단 지지판(410)을 내려 상기 연결바(430)로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410 may be provided to flow by the hinge member 419.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back support members 420 may be seated in layers, and the upper support plate 410 may be lowered to the connection bar 430. Can be linked together.

즉 상기 지지판(410)의 상,하단에는 관통홀(413,415)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413,415)에는 상기 상부 관통홀(415)보다 약간 큰 머리를 가진 상기 연결바(430)가 삽입, 상기 하부 관통홀(413)에서 너트(417)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420)는 각각 한 쌍의 이동홈(422)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바(430)는 상기 이동홈(422)을 관통하며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420)를 상호연결하고 상기 지지판(4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plate 410 are provided with through holes 413 and 415, and the connecting bars 430 having a head slightly larger than the upper through hole 415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413 and 415, and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410. The through hole 413 is fixed by the nut 417.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backrest members 420 are provided with a pair of moving grooves 422,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bar 430 penetrates the moving grooves 422 and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backrest members 420. To be interconnected and seated on the support plate 410.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재(420)는 상기 연결바(430)에 의해 상기 지지판(4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 형상에 대응하여 전,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홈(422)이 상기 연결바(430)의 이동을 허용하여 상기 등받이부재(420)의 이동을 가능하게 된다.Here, the backrest member 420 is able to move back and forth corresponding to the back shape of the user in a state seated on the support plate 410 by the connecting bar 430. In this case, the movable groove 422 allows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bar 430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member 420.

또한,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면 상기 등받이 부재(420)는 사용자의 횡방향 등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측이 오목하게 만곡되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마다 등이 넓거나 좁은 타입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때 상기 등받이 부재(420)는 사용자별의 횡방향 등 형상에 대응하여 몇 종류의 세트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5A to 5C, the backrest member 420 may be provided with a concave curved side on which the user's back is sea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ser's lateral direction. Since there may be a wide or narrow type of back for each user, the backrest member 420 may be provided in several kinds of set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ransverse direction for each user.

그리고, 상기 등받이 부재(420)는 한 세트당 복수개로 제공되므로, 개별 형상은 사용자의 종방향 등 형상과 연계되며, 상하 배치에 따라 동일하거나 또는 각기 다른 형태로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since the backrest member 420 is provided in plurality in one set, the individual shape is associated with the user's longitudinal shape, such as to be configured to have a concave curved shape in the same or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vertical arrangement. Can be.

즉, 상기 등받이 부재(420)는 사용자 등의 종방향 형상뿐만 아니라 횡방향 형상에도 함께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안한 착석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backrest member 420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not only to the longitudinal shape of the user, but also to the transverse shape, so that the user may feel a more comfortable seating feeling.

그리고 상기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400)은, 상기 등받이부재(420)의 일측에는 상기 등받이부재(420)를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보다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절바(450)가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바(450)는 상기 등받이부재(420)에서 상기 등받이부(300)의 외부까지 신장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쉽게 잡도록 제공될 수 있다. And the backrest shape deforming means 400, one side of the backrest member 42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djustment bar 450 to more easily move the backrest member 420 in the user's back direction. have. The adjustment bar 450 may extend from the backrest member 420 to the outside of the backrest part 300 to be provided by the user, and may be provided to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

이때 상기 조절바(450)는 상기 등받이부재(420)에 나사체결되어 장탈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등받이부재(42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때는 상기 조절바(420)를 체결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등받이부재(420)의 위치 조정 완료 후에는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djustment bar 450 is screwed to the backrest member 420 may be provided in a demountable manner. That is, when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backrest member 420, the control bar 420 is fastened and moved, and after completion of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backrest member 420, it can be stored separately.

또한 상기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400)은, 상기 지지판(4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등 골격 형상에 대응하여 전,후 이동된 상기 등받이부재(420)의 위치를 고정토록 하는 가압부재(4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ckrest shape deforming means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410, the pressing memb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backrest member 420 moved forward and backward corresponding to the back skeleton shape of the user ( 44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가압부재(440)는 상기 지지판(410)의 상단에서 ㄱ 자 형태로 절곡, 신장된 돌출부재(441) 및 가압바(4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바(443)는 상기 돌출부재(441)에 회전 가능하게 나사연결되며, 상기 가압바(443)의 하측 단부는 상기 지지판(410)의 상단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pressing member 4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otruding member 441 and a pressure bar 443 which is bent, extended in the form of an "A" at the top of the support plate 410. The pressure bar 443 is rotatably screwed to the protruding member 441, and a lower end of the pressure bar 443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410.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등받이부재(420)를 자신의 등 골격 형상에 대응하여 전,후 이동시킨 후, 상기 등받이부재(420)의 위치를 고정하게 위해 상기 가압바(443)를 돌리게 되면, 상기 가압바(443)는 상기 지지판(410)의 상단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지지판(410)의 ㄷ 자 형태의 홈에 안착된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420)는 상호간에 압하력을 가하게되며 고정되게 된다. Here, the user moves the backrest member 420 before and aft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his back skeleton, and then turns the pressure bar 443 to fix the position of the backrest member 420, the pressure bar The 443 is to press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410 and the plurality of backrest member 420 seated in the c-shaped groove of the support plate 410 is applied to each other is pressed and fix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가압부재(440)는 상기 지지판(410)의 상,하단과 상기 등받이부재(420)가 맞닿는 면에 장착되는 고무 등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된 고정패드(4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압바(443)로 상기 지지판(410)의 상단을 가압시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420)는 보다 단단히 고정되게 될 것이다. 이는 상기 고정패드(460)가 눌리면서 상기 지지판(410)과 상기 등받이부재(420)간의 간격을 최소화시키게 되면서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pressing member 44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d 460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such as rubber,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plate 410 and the backrest member 420. In this case, when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410 with the pressure bar 443, the plurality of backrest members 420 will be more firmly fixed. This is to minimize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late 410 and the backrest member 420 while the fixing pad 460 is pressed to improve the fixing force.

한편, 도 5a는 본 발명인 등받이부재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인 등받이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인 등받이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5a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back member, Figure 5b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back member, Figure 5c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back member. .

먼저 도 5a를 참고하면, 상기 등받이부재(420)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부분이 만곡된 이동판(421)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판(421)의 양측에는 한 쌍의 이동홈(42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421)에서 만곡된 부분의 반대측에는 상기 조절바(45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조절바(450)를 전,후로 밀거나 당기어 자신의 등 골격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등받이부재(4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5A, one embodiment of the backrest member 420 may be implemented as a moving plate 421 having a curved portion on which a user's back is seated, and a pair of both sides of the moving plate 421. The moving groove 422 may be provided. And the control bar 450 may be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moving plate 421, the user pushes or pulls the control bar 450 before or after the corresponding back skeleton shape The position of the backrest member 420 can be adjusted.

다음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등받이부재(420)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등받이부재(420)가 안착판(427) 및 이동판(421)으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판(421)은 사용자가 상기 조절바(450)를 밀거나 당기어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이동판(421)에 한 쌍의 상기 이동홈(422)이 구비되게 된다. Next, referring to FIG. 5B, another embodiment of the backrest member 420 may be provided by separating the backrest member 420 into a seating plate 427 and a moving plate 421. In this case, the moving plate 421 is moved by the user to push or pull the control bar 450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user, thus moving the pair of the moving groove 422 to the moving plate 421 ) Will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안착판(427)은 사용자의 등이 기대어 지는 부분이므로 사용자의 등이 맞닿는 부분이 만곡되어 제공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등이 상기 안착판(427)에 안착될 때 탄성력으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안착판(427)과 상기 이동판(421)간에는 가이드빔(423) 및 상기 가이드빔(4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감겨 제공되는 코일스프링(424)이 설치될 수 있다. Since the seating plate 427 is a part where the back of the user is leaned, a part where the back of the user touches is provided to be curved. Here, the guide beam 423 and the guide beam 423 between the seating plate 427 and the movable plate 421 in order to maximize comfort to the user with elastic force when the user's back is seated on the seating plate 427. A coil spring 424 wound and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may be installed.

상기 안착판(427)은 상기 가이드빔(423)에 의해 안내되며 정확히 상기 이동판(42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424)이 완충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강한 하중으로 상기 등받이부재(420)에 기대더라도 이때 상기 등받이부재(420)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며 동시에 사용자의 편안한 착석감도 구현하게 된다. The seating plate 427 is guided by the guide beam 423 and moves precisely in the direction of the moving plate 421. At this time, the coil spring 424 provides a cushioning force so that the user has a strong load. At this time, even when leaning to 420, the shock generated in the backrest member 420 is alleviated and at the same time, a comfortable seating feeling of the user is realized.

그리고 상기 안착판(427)과 상기 이동판(421)을 연결토록, 상기 등받이부재(420)는 연결볼트(429) 및 제2 연결바(4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판(427)의 양측단에는 고정홈(427a)에 가공되며, 상기 이동판(421)의 양측단에는 제2 이동홈(421a)이 가공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제2 연결바(428)가 상기 고정홈(427a)과 상기 제2 이동홈(421a)간에 끼워지며 상기 연결볼트(429)에 의해 상기 안착판(427)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안착판(427)이 상기 코일스프링(424)에 의해 완충시 상기 제2 연결바(428)가 상기 제2 이동홈(421a)을 따라 유동되면서 완충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The backrest member 42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bolt 429 and a second connection bar 428 to connect the seating plate 427 and the movable plate 421 to each other. That is, the both ends of the seating plate 427 are processed in the fixing grooves 427a, and the second moving grooves 421a are processed in both ends of the moving plate 421. Thereafter, the second connection bar 428 is inserted between the fixing groove 427a and the second moving groove 421a and is fixed to the seating plate 427 by the connecting bolt 429. When the seating plate 427 is cushioned by the coil spring 424, the second connecting bar 428 flows along the second moving groove 421a to provide a buffer space.

다음 도 5c를 참고하면, 상기 등받이부재(42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안착판(427)이 복수개로 분할되고, 분할된 상기 안착판(427)이 각각 고무 등의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된 탄성패드(425)에 의해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다양한 횡방향 등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판(427)이 유동되며 맞춰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Next, referring to FIG. 5C, another embodiment of the backrest member 4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ating plates 427, and the seating plates 427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such as rubber. It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by the elastic pad 425. In this case, the seating plate 427 may be flown and matched to correspond to various transverse shapes of the user, thereby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seating feeling to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an operation stat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기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100) 의 상기 시트부(200)에 착석한다. 만약 등받이의 형상이 자신의 등 골격 형상에 맞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는 우선 상기 가압바(443)를 일방향으로 돌려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420)간의 압하력을 느슨하게 한다. First,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part 200 of the backrest deformation chair 1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hape of the backrest does not match the shape of the back skeleton of the user, the user first loosens the pressing force between the plurality of backrest members 420 by turning the pressure bar 443 in one direction.

이후 사용자는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420)와 연결된 상기 조절바(450)를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어 자신의 종방향 등 골격 형상에 대응하여 위치를 변형하도록 한다. Thereafter, the user pushes or pulls the control bar 45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ckrest members 42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deform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keleton shape such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420)의 위치 변경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다시 상기 가압바(443)를 처음 풀 때의 반대방향으로 돌려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420)간에 다시 압하력이 발생하도록 조인다. 이때 상기 지지판(410)과 상기 등받이부재(420)간에는 상기 고정패드(4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등받이부재(420)의 위치 고정력은 보다 향상될 것이다. When the position change of the plurality of backrest members 420 is completed, the user again rotates the pressure bar 443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first release, and tightens again to generate a pressing force between the plurality of backrest members 420. At this time, since the fixing pad 460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late 410 and the backrest member 420, the position fixing force of the backrest member 420 will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시트부(200)에 착석하고 상기 등받이부(300)에 등을 기댈시, 상기 등받이부재(420)는 상기와 같이 만곡부를 구비하는 상기 이동판(421)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안착판(427) 및 상기 이동판(421)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횡방향 등 형상에 대응하여서도 조절됨으로써, 사용자의 착석감을 보다 향상되도록 하게 된다.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200 again and leans back against the backrest 300, the backrest member 420 may be composed of only the movable plate 421 having a curved portion as described above. Or it is composed of the seating plate 427 and the moving plate 421 is also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such as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user, thereby improving the user's seating fee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상태를 통해 사용자 각각의 등 형상에 대응하여 의자의 등받이 형상을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form the back shape of the chair in response to the back shape of each user through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as described above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while sitting on the chair for a long time It is to bring the effect that can be used.

이상의 사항은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The above is only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back shape deformation chair.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do.

200...시트부 300...등받이부
400...등받이 형사 변형수단 410...지지판
420...등받이부재 421...이동판
422...이동홈 423...가이드빔
424...코일스프링 425...탄성패드
427...안착판 430...연결바
440...가압부재 450...조절바
460...고정패드
200 ... seat part 300 ... backrest part
400 Backrest Detective 410 Support Plate
420 Backrest member 421 Moving plate
422 Moving groove 423 Guide beam
424 ... coil spring 425 ... elastic pad
427 ... seat plate 430 ... connection bar
440 ... Pressure member 450 ... Adjustment bar
460 ... Fix Pad

Claims (7)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와 연결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치도록 제공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등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형상을 변형 가능토록 제공되는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
을 포함하는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
Seat portion seated by the user;
A backrest portion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and provided to support a seated user's back; And
A backrest shape modifying means installed in the backrest part and provided to be able to deform the shape of the backrest part corresponding to the back shape of a seated user;
Back shape deformation chai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판;
착석한 사용자의 종방향 등 형상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토록, 상기 지지판에 종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되는 등받이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재의 이동홈을 관통하며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는 연결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rest shape deforming means,
A support plate installed inside the backrest part;
A plurality of backrest member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pport plate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eated user's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bar that is mounted to the support plate and penetrates the moving groove of the backrest memb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member before and after;
Backrest shape deformation chai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등받이부재가 압하력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단을 가압토록 제공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ckrest shape deforming means further includes a press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and provided to press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such that the plurality of backrest members are fixed to each other by a pressing force. chai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형상 변형수단은, 상기 등받이부재를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전,후진토록, 상기 등받이부재의 일측에 장탈착 가능토록 설치되는 조절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
The method of claim 3,
The backrest shape deformation means, the backrest shape deformation chair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bar which is installed so as to b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user, and to be removable on one side of the backrest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는 사용자의 횡방향 등 형상에 대응토록,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측이 오목하게 만곡되어 제공되되, 복수개의 상기 등받이부재는 각각 사용자의 종방향 등 형상과 연계되며 동일하거나 또는 각기 다른 형태로 오목하게 만곡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ackrest member i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ser's lateral direction, the side on which the user's back is seated concave, provided, the plurality of the backrest member is associated with the shape of the user's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ame or different Backrest shape deformation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curved shape provid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는
상기 연결바가 관통하는 이동홈이 설치되고,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전,후진토록 제공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서 사용자의 등을 바라보는 측에 설치되고, 오목하게 만곡되어 제공되는 안착판; 및
상기 이동판과 안착판간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등에 의해 상기 안착판에 인가되는 하중을 완충토록 제공되는 가이드빔과 코일스프링;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ackrest member is
A moving plat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bar penetrates, is provid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user;
A seating plate installed at a side facing the user's back from the movable plate and provided concavely curved; And
A guide beam and a coil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movable plate and the seating plate and provided to cushion a load applied to the seating plate by a user;
Backrest shape deformation chai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은 사용자의 횡방향 등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 가능토록, 상기 안착판은 복수개로 분할되며, 상기 복수개의 안착판은 탄성패드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ating plate is deformable to correspond to the shape, such as the user's lateral direction, the seating pl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 is a back shape deformation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nterconnected by an elastic pad.
KR1020120100687A 2012-09-11 2012-09-11 Chair for transforming back's shape KR1016445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687A KR101644544B1 (en) 2012-09-11 2012-09-11 Chair for transforming back's sh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687A KR101644544B1 (en) 2012-09-11 2012-09-11 Chair for transforming back's sha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998A true KR20140034998A (en) 2014-03-21
KR101644544B1 KR101644544B1 (en) 2016-08-02

Family

ID=5064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687A KR101644544B1 (en) 2012-09-11 2012-09-11 Chair for transforming back's sh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5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8311A (en) * 2021-10-16 2021-12-10 深圳市西昊智能家具有限公司 Full-automatic human back intelligence seat of lamina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269B1 (en) * 2016-08-24 2018-11-28 유태경 Chair having variable backrest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2137A (en) * 1962-01-15 1963-11-26 John B Drenth Jig for making custom chairs
US5328245A (en) * 1992-10-30 1994-07-12 Thomas J. Marks Chair having adjustable back sup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2137A (en) * 1962-01-15 1963-11-26 John B Drenth Jig for making custom chairs
US5328245A (en) * 1992-10-30 1994-07-12 Thomas J. Marks Chair having adjustable back suppo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8311A (en) * 2021-10-16 2021-12-10 深圳市西昊智能家具有限公司 Full-automatic human back intelligence seat of lamin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544B1 (en)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3752B2 (en) Chair with activated back flex
US6910736B2 (en) Seats with twistable seat elements
US6079782A (en) Seat construction which corrects the pelvis so that it influences a proper alignment of the human body
US10064493B2 (en) Flex lumbar support
JP2021122746A5 (en)
JP2010505507A5 (en)
US20100244522A1 (en) Chair providing more comfortable when seated in optimum posture while reclining
CA3009505C (en) A chair and components
KR101976348B1 (en) Mesh type chair
CN106455819B (en) Seat recline mechanism, adjustable seat assembly and method
JP2013248148A (en) Nestable chair
JP2007151582A (en) Body supporting plate and chair
JPH10151033A (en) Chair
KR200396260Y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seat back of chair
JP3172695U (en) Adjustable back pad
KR101167816B1 (en) Backrest Chair
KR101473879B1 (en) chair having seat with adjusting angle
KR20140034998A (en) Chair for transforming back's shape
JP2006334025A (en) Sitting furniture
KR102138836B1 (en) Chair with tilting structure of seat
KR20100002894U (en) A Chair For Spinal Curvature Correction
KR101712824B1 (en) Dual-back chair
JP2012143634A (en) Human body support plate and chair
KR20110094501A (en) Health chair for spine reinforcement
KR20120100786A (en) Multi function head 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