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676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676A
KR20140034676A KR1020130039412A KR20130039412A KR20140034676A KR 20140034676 A KR20140034676 A KR 20140034676A KR 1020130039412 A KR1020130039412 A KR 1020130039412A KR 20130039412 A KR20130039412 A KR 20130039412A KR 20140034676 A KR20140034676 A KR 20140034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washing machine
balancer
wash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4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츠시 오야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3183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08628B1/en
Priority to ES13183591.0T priority patent/ES2547215T3/en
Priority to US14/024,079 priority patent/US20140069148A1/en
Priority to CN201310414832.3A priority patent/CN103668866A/en
Publication of KR2014003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6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6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operating automatically, i.e. where, for a given amount of unbalance, there is movement of masses until balance is achiev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11Balancing, e.g. counterbalancing to produce static ba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regularly arranging balls within a ball balancer before dehydration. The washing machine has a ring type ball balancer (30) installed in a washing tub (6) around a vertical shaft (J). The ball balancer (30) comprises: a plurality of balls (50); a viscous fluid (60); a balancer case (31) including a ring type ring space (39) partitioned into the bottom, the top,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division plates (41) partitioning the ring space (39) into arc type divided spaces (40). A sloped surface (42) is inclined circumferentially downward the deepest portion (43) from an end on a portion of the bottom in each divided space (40). The deepest part (43) is arranged on a position where weights of the balls (50) are balanced while the washing machine is in a stop state.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 「헹굼」, 「탈수」의 각 처리를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는 종형의 전자동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vertical type automatic washing machine which can perform each process of "washing", "rinse", and "dehydration" continuously.

이러한 종류의 전자동식 세탁기(이하, 간단히 세탁기라고 함)에서는 일반적으로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조를 수용한 수조가 세탁기의 하우징의 내부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세탁물은 세탁조에 투입되고, 자동 제어에 의해 세탁부터 탈수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세탁조는 탈수시에 고속으로 회전한다.In this type of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washing machine), a water tank accommodating a washing tank generally rotating around a longitudinal axis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suspended inside the housing of the washing machine. The laundry is put in a washing tank, and a series of treatments from washing to dehydration are continuously performed by automatic control. The washing tank rotates at high speed during dehydration.

탈수 중에 세탁조 내에서 세탁물이 한쪽으로 치우치면, 세탁조와 수조는 크게 진동한다. 그 결과, 세탁기의 내구성의 저하나 소음의 발생을 초래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세탁조에는 그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환형의 밸런서가 설치되어 있다.If the laundry is biased to one side in the washing tank during dewatering, the washing tank and the water tank vibrate greatly.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a washing machine and the generation of noise are caused. Therefore, the annular balancer is normally provided in the washing tank in order to suppress the vibration.

밸런서의 내부에는 환형의 공간(레이스)이 형성되어 있고, 그 레이스에 액체나 고체 등의 밸런스 조정재가 봉입되어 있다. 밸런스 조정재는 세탁물이 한쪽으로 치우치면, 세탁물과의 사이에서 중량 밸런스를 조정하도록 작용한다.An annular space (race) is formed inside the balancer, and a balance adjusting material such as liquid or solid is enclosed in the race. The balance adjuster acts to adjust the weight balance between the laundry and the laundry when it is biased to one side.

단, 밸런서가 그 밸런스 조정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것은 세탁조가 1차 공진을 일으키는 소정의 회전수(공진 회전수라고도 함)보다 커진 이후이다. 따라서, 공진 회전수를 초과할 때까지의 저 회전수 영역에서는 밸런서는 거의 기능하지 않는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However, the balancer effectively exerts its balance adjustment function after the washing tank has become larger than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also referred to as resonance rotational speed) causing primary resonance. Therefore, the balancer rarely functions in the low speed range until the resonance speed is exceeded.

그리고, 세탁조의 회전수가 공진 회전수를 초과할 시에는 세탁조의 진동에 수반하여 수조가 크게 흔들리면서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washing tank exceeds the resonance rotation speed, the washing tank tends to rotate greatly with the vibration of the washing tank.

밸런서의 하나로서, 밸런스 조정재에 강구 등의 볼을 이용한 볼 밸런서가 있다. 볼 밸런서는 공진 회전수를 초과한 후에는 뛰어난 밸런스 조정 기능을 발휘하지만, 공진 회전수를 초과할 시에 수조의 흔들림 회전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As one of the balancers, there is a ball balancer using balls such as steel balls as the balance adjusting material. The ball balancer exhibits excellent balance adjustment function after exceeding the resonant rotational speed, but may adversely affect the shake rotation of the tank when the resonant rotational speed is exceeded.

즉, 공진 회전수를 초과할 시에 볼의 위치가 일정하지 않으면, 볼 자신이 불균형의 요인이 되어, 수조의 흔들림 회전이 커지거나 반대로 작아져, 수조의 흔들림 회전이 불규일하다(흔들림 회전 불균일).That is, if the position of the ball is not constant when the resonant rotation speed is exceeded, the ball itself becomes a cause of imbalance, and the shake rotation of the tank becomes large or vice versa, and the shake rotation of the tank is uneven (shake rotation unevenness). .

예를 들면, 볼 밸런서의 상태에 따라서는, 세탁물의 치우침은 작은데 수조의 흔들림 회전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이상 정지하여 탈수 처리를 다시 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For example,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ball balancer, although the skew of the laundry is small, the shaking rotation of the water tank may increase. In that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o stop abnormally and perform the dehydration treatment again.

또한, 세탁물의 치우침은 큰데 수조의 흔들림 회전이 작아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탈수 회전수가 상승한 후에, 큰 진동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공진 회전수를 초과할 시에 볼이 레이스 내에, 과대한 세탁물의 치우침과는 반대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으면, 공진 회전수를 초과할 시의 흔들림 회전은 작아지고, 과대한 세탁물의 치우침을 검지하여 탈수를 정지할 수 없으며, 회전수가 상승한 후에, 큰 진동을 발생시키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washing | cleaning is large, the shake rotation of a water tank may become small. In such a case, there is a fear that a large vibration is caused after the dewatering rotation speed increases. For example, if the ball is positioned in the r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xcessive washing of the laundry when the resonance speed is exceeded, the shaking rotation when the resonance speed is exceeded becomes small, and the excessive laundry is biased. Dehydration can not be stopped by detecting, and after the rotation speed is increased, a large vibration may be generated.

이와 같은 볼 밸런서의 결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특개평10-52591호 공보, 이하 '특허문헌 1').A washing machine designed to solve the drawbacks of such a ball balancer is disclosed (Patent Publication No. 10-52591, hereinafter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에서는 탈수 초기에 볼을 균등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볼을 수용하고 있는 환형의 수용 챔버의 바닥면에 볼을 균등하게 떨어뜨려 넣는 3개의 함몰 수용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Patent Literature 1 makes it possible to arrange balls evenly at the beginning of dehydration. Specifically, three recessed accommodating portions for dropping the balls even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nular accommodating chambe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ball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함몰 수용부에 떨어뜨린 볼은 소정의 회전수에 이르면 함몰 수용부로부터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고, 함몰 수용부로부터 나온 후에는 수용 챔버 내를 자유롭게 움직인다. 함몰 수용부로부터 나온 볼은 세탁조의 감속 회전 중의 진동에 의해 함몰 수용부에 자연스럽게 수용된다.The ball dropped to the recessed accommod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exit from the recessed accommodating portion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is reached, and freely moves inside the accommodating chamber after exiting the recessed accommodating portion. The ball from the depression receiving portion is naturally accommodated in the depression receiving portion by the vibration during the deceleration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복수의 구체(볼)를 수용한 환형의 환형실에 복수의 저항판이 마련된 볼 밸런서가 개시되어 있다(특개소58-209518호 공보, 이하 '특허문헌 2').In addition,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ball balancer is provided in which a plurality of resistance plates are provided in an annular annular chambe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spheres (balls) (Patent No. 58-209518, hereinafter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 2에서의 저항판은 환형실의 외주 측벽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저항판 상에는 구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동로가 형성되어 있다. 공진 회전수를 초과할 때까지는, 저항판에 의해 구체의 이동이 저해된다. 외주 측벽은 경사되어 있으며, 공진 회전수를 초과하면, 구체는 외주 측벽을 올라 유동로 내에 위치하고, 원주 방향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resistance plate in patent document 2 protrudes toward the center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wall of an annular chamber. On the resistance plate,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sphere can pass is formed. Until the resonance speed is exceeded, the movement of the sphere is inhibited by the resistance pl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wall is inclined, and when the resonant rotation speed is exceeded, the sphere is placed in the flow path by rai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wall, and the free movem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comes possible.

특허문헌 1의 세탁기의 경우, 탈수 처리 전에 모든 볼을 항상 각 함몰 수용부에 수용할 수 있다면, 수조의 흔들림 회전의 증대를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washing machine of patent document 1, if all the balls can always be accommodated in each recess accommodating part before dewatering process, the increase of the shaking rotation of a water tank can be suppressed stably.

그러나, 볼 밸런서의 경우, 자려진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볼의 움직임은 어느 정도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수용 챔버의 내부에는 볼과 함께 고 점성의 점성 유체가 수용되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ball balancer, it is necessary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ball to some extent in order to prevent self-vibration. Therefore, a high viscosity viscous fluid is accommod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chamber together with the ball.

따라서, 그 점성 유체에 의해 볼의 움직임이 저해되기 때문에, 특허문헌 1의 세탁기와 같이, 감속 회전 중의 진동을 이용하여 볼을 함몰 수용부에 수용하는 것은 시간이 소요되고, 모든 볼을 함몰 수용부에 안정적으로 수용기는 어렵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세탁기는 안정성의 측면에서 곤란함이 있다.Therefore, since the movement of the ball is inhibited by the viscous fluid, it is time-consuming to accommodate the ball using the vibration during the deceleration rotation, like the washing machine of Patent Document 1, and all the balls are recessed. The receiver is difficult to reliably. Therefore, the washing machine of patent document 1 has difficulty in terms of stability.

또한, 점성 유체 자체도 회전에 수반하여 율동을 일으킨다. 이 점성 유체의 율동 또한 세탁조의 진동이나 소음을 크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In addition, the viscous fluid itself also causes movement with rotation. The movement of the viscous fluid is also a factor that increases the vibration and noise of the washing tank.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구조이면서, 탈수 처리전에 안정적으로 볼 밸런서 내의 볼을 균등하게 배치할 수 있고, 점성 유체의 율동도 억제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stably arrange the balls in the ball balancer before dehydration treatment and can also suppress the viscous fluid movement.

본 발명에 따른 세탁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현가된 수조와, 상기 수조에 수용되어,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조와,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세탁조에 설치되는 환형의 볼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이다.The washing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water tank suspended in the housing, a washing tank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and rotating about a longitudinal axis, and an annular ball balancer installed in the washing tank about the vertical axis. It is a washing machine.

상기 볼 밸런서는 복수의 볼과, 점성 유체와, 바닥면, 윗면, 내주면 및 외주면으로 구획된 환형의 링 스페이스를 내부에 갖는 밸런서 케이스와, 상기 링 스페이스를 호형상의 복수의 분할 스페이스로 구획하는 복수의 분할판을 갖고 있다. 상기 각 분할 스페이스에는 상기 점성 유체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볼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각 분할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면의 부분에, 상기 분할판이 있는 단부로부터 최심부를 향해 둘레방향으로 하향 경사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분할 스페이스의 상기 최심부가, 정지(?止)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의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ball balancer divides a plurality of balls, a viscous fluid, a balancer case having an annular ring space divided into a bottom surface, an upper surfac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in, and the ring space into a plurality of arc-shaped partition spaces. It has a plurality of dividers. Each of the divided spaces accommodates the viscous fluid and at least one of the balls. The inclined surface which inclines down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ward the deepest part from the end part with the said partition board is formed in the part of the said bottom surface in each said division space. The deepest portion of each of the divided spaces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weight balance of the plurality of balls is balanced in a stationary state.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조에 따르면, 볼 밸런서 내부에 마련된 환형의 링 스페이스가 분할판에 의해 복수의 호형상의 분할 스페이스로 구획되고, 그 각 분할 스페이스에 볼과 점성 유체가 수용되어 있다. 이들 분할 스페이스의 바닥면에는, 정지 상태에 있어서 볼의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된 최심부를 향해 경사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washing tank comprised in this way, the annular ring space provided in the ball balancer is divided into several arc-shaped division spaces by the partition plate, and the ball and viscous fluid are accommodated in each division spa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se division spaces, the inclined surface which inclines toward the deepest part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ere the weight balance of a ball balances in the stop state is formed.

따라서, 정지 상태가 되면, 각 분할 스페이스에 수용되어 있는 볼은 경사면으로 유도되어 각각의 최심부로 자동적으로 모이기 때문에, 탈수 처리의 개시 전에 어느 정도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것만으로, 항상 볼 밸런서를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루는 상태로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ball is stopped, the balls accommodated in the divided spaces are guided to the inclined surface and are automatically collected at their deepest parts. Therefore, the ball balancer is always weight-balanced just by holding the ball balance to some extent before the start of the dehydration process. Can be in a balanced state.

그 결과, 세탁조의 회전수가 공진 회전수를 초과할 시에 발생하는 수조의 흔들림 회전 불균일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hake rotation unevenness of the water tank which arises when the rotation speed of a washing tank exceeds the resonance rotation speed can be suppressed stably.

또한, 링 스페이스가 분할판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점성 유체의 율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고, 세탁조의 진동이나 소음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ing space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the movement of the viscous fluid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and vibration and noise of the washing tank can be further suppressed.

예를 들면, 상기 분할판은 상기 외주면과의 사이의 부분에만, 상기 볼보다 작은 틈을 갖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plate has a smaller gap than the ball only in a portion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점성 유체도, 볼과 마찬가지로,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균등해지도록 각 분할 스페이스에 균등하게 수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틈이 있으면, 볼을 규제하면서, 소정량을 링 스페이스에 충전하는 것만으로 자연스럽게 각 분할 스페이스에 균등하게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이 우수하다.Like the ball, the viscous fluid needs to be equally accommodated in each divided space so that the weight balance of the whole is equal. If there is such a gap, the fluid is naturally filled by simply filling a predetermined amount into the ring space while regulating the ball. It can be accommodated evenly in the partition space. Therefore, productivity is excellent.

볼 밸런서가 회전하여 고 회전 영역에 이르면, 점성 유체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점성 유체의 액면은 내주면측 가까이에 거의 수직인 상태가 된다. 그러나, 틈이 외주면과의 사이의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점성 유체의 유동이 제한되어, 율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ball balancer rotates to reach the high rotation region, the viscous fluid moves radially outward by the action of centrifugal force, and the liquid level of the viscous fluid i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However, since the gap is formed only in the portion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low of the viscous fluid is limited, and the movement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예를 들면, 고 회전시에 상기 볼을 상기 윗면측으로 유도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떼어 놓는 경사면이, 상기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surface separating the ball from the bottom surface is guided to the upper surface side at the time of high rotation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그렇게 하면, 정지 상태나 저 회전 상태에서는 볼은 항상 바닥면에 접해 있으므로, 각 볼은 바닥면의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 항상 최심부로 모아지고, 세탁조의 회전수가 공진 회전수를 초과할 시에 발생하는 수조의 불균일한 흔들림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ball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n the stationary state or the low rotation state, each ball is always collected at the deepest part by the a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Uneven shaking of the tank can be suppressed.

그리고, 세탁조가 고 회전 상태에 이르면, 원심력과 외주면의 경사면과의 작용에 의해 각 볼이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지므로, 각 볼은 바닥면의 경사면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둘레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볼 밸런서의 밸런스 조정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When the washing tank reaches a high rotation state, each ball falls from the bottom surface by the a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each ball is free from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and can move free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refore, the balance adjustment function of a ball balancer can be exhibited effectively.

특히, 상기 분할 스페이스는 3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form three division spaces.

그렇게 하면, 뛰어난 진동 억제 효율을 발휘시킬 수 있다.By doing so, excellent vibration suppression efficiency can be exhibited.

또한, 상기 최심부는 상기 분할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중앙 부위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deepest part is located in the center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said division space.

그렇게 하면, 바닥면에 있어서의 경사면의 둘레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상대적으로 경사면의 경사를 크게 할 수 있고, 각 볼을 최심부로 안정적으로 모을 수 있다.By doing so, since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on the bottom surface is shortened, the inclined surface can be relatively increased, and each ball can be stably collected at the deepest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간소한 구조이면서, 탈수 개시 시에는 안정적으로 볼 밸런서 내의 볼을 균등하게 배치할 수 있고, 점성 유체의 율동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arrange the balls in the ball balancer stably at the start of dehydration, and to suppress the pulsation of the viscous fluid.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세탁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있어서의 X-X선에서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볼 밸런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볼 밸런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볼 밸런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정지 상태와 회전 상태에 있어서의 볼 밸런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a)가 정지 상태, (b)가 회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점성 유체의 율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는 개략 평면도, (b)는 (a)의 Y-Y선에서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링 스페이스의 분할 수와, 세탁조의 진동 억제 효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언밸런스 볼의 수와, 수조가 흔들림 회전하는 범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세탁조의 진동 파형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a)는 분할판이 있는 경우, (b)는 분할판이 없는 경우이다.
도 11은 세탁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세탁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세탁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세탁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in FIG. 1.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ll balancer.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all balancer.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all balancer.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ll balancer in a stationary state and a rotating state. (a) shows a stationary state, and (b) shows a rotation stat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a viscous fluid. (a) is a schematic plan view, (b)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t the YY line of (a).
8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divisions of the ring space and the vibration suppression efficiency of the washing tank.
9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unbalanced balls and the range in which the water tank is rotated and rotated.
It is a graph which shows the time-dependent change of the vibration waveform of a washing tank. (a) is a case where there exists a partition plate, (b) is a case where there is no partition plate.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washing machine.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a washing machine.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washing machine.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merely exemplary in natur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s application or its use.

(세탁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Washing Machine)

도 1에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동식 세탁기(1)를 나타낸다. 세탁기(1)는 직사각형 박스형의 하우징(2)을 가지며, 그 하우징(2)의 상부에, 상방을 향해 개구하고, 요동 개폐 가능한 뚜껑(3)으로 덮여진 투입구(2a)가 형성되어 있다. 세탁물은 이 투입구(2a)를 통해서 출입이 이루어진다.The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1 which applied this invention to FIG. 1 is shown. The washing machine 1 has a rectangular box-shaped housing 2, and an inlet 2a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 which is opened upward and covered with a lid 3 which can swing open and close. The laundry enters and exits through this inlet 2a.

투입구(2a)의 후방에는 각종 스위치나 표시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세탁기(1)에서는, 이들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세탁」, 「헹굼」, 「탈수」의 각 처리를 연속하여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Various switches and display sections are provided behind the inlet 2a. In this washing machine 1, each operation of "washing", "rinse", and "dehydration"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and automatically by operating these switches.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의 내부에는 수조(5), 세탁조(6), 구동장치(7), 교반기(8), 볼 밸런서(3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 9는 각 처리에 따라 구동장치(7)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As shown in FIG. 2, the water tank 5, the washing tank 6, the driving device 7, the stirrer 8, the ball balancer 30, and the like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 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device 7 and the like in accordance with each process.

수조(5)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용기이며, 개구를 상방을 향한 상태로 하우징(2)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수조(5)는 하우징(2)의 내부를 자유롭게 흔들리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서스펜션 바(10)를 통해 하우징(2)에 현가되어 있다.The water tank 5 is a cylindrical container with a bottom, and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center part of the housing 2 with an opening facing upward. The water tank 5 is suspended in the housing 2 via a plurality of suspension bars 10 so that the inside of the housing 2 can freely rotate and rotate.

구체적으로는, 하우징(2)의 내부 상측에 있어서의 주위 복수 개소에 브래킷(11)이 마련되고, 이들 브래킷(11)에 서스펜션 바(10)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브래킷(11)에 대응하여, 수조(5)의 하부에 있어서의 주위 복수 개소에 연결부(5a)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연결부(5a)에 서스펜션 바(10)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bracket 11 is provided in several surroundings in the inside upper part of the housing | casing 2, and the upper end of the suspension bar 10 is connected to these brackets 11. As shown in FIG. And corresponding to these brackets 11, the connection part 5a is provided in several surroundings in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5, and the lower end of the suspension bar 10 is connected to these connection parts 5a.

세탁조(6)는 수조(5)보다 한 단계 작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용기이다. 수조(5)의 내측에 쌍방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로, 세탁조(6)는 수조(5)에 수용되어 있다. 세탁조(6)의 외면에는 물 빼기용의 복수의 관통공(6b)이 형성되어 있다. 세탁조(6)는 구동장치(7)의 구동에 의해, 거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축(J)을 중심으로 회전한다.The washing tank 6 is a cylindrical container with a bottom one step smaller than the water tank 5. The washing tank 6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5 in the state which centered both centers inside the water tank 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shing tub 6,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b for draining water are formed. The washing tub 6 is rotated about the longitudinal axis J extending in the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by the drive of the drive device 7.

구동장치(7)는 수조(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7)에는 구동 모터(12)와 동력 전달 장치(13) 등이 구비되어 있다. 동력 전달 장치(13)는 수조(5) 등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 회전축(13a) 및 제2 회전축(13b)을 가지고 있다. 제1회전축(13a)은 수조(5)의 바닥벽을 관통하여 세탁조(6)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회전축(13b)은 수조(5) 및 세탁조(6)의 바닥벽을 관통하여 세탁조(6)의 내부로 돌출되어, 교반기(8)에 설치되어 있다.The drive device 7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5. The drive device 7 includes a drive motor 12, a power transmission device 13, and the like.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3 has the 1st rotation shaft 13a and the 2nd rotation shaft 13b which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5 etc. The first rotating shaft 13a penetrates the bottom wall of the water tank 5 and is installed in the washing tank 6. The 2nd rotary shaft 13b penetrates the bottom wall of the water tank 5 and the washing tank 6, protrudes into the washing tank 6, and is provided in the stirrer 8. As shown in FIG.

동력 전달 장치(13)는 구동 모터(12)의 구동에 의해, 각 처리에 따라 전환되면서 제1 회전축(13a) 및 제2 회전축(13b)을 정역 반전 가능하게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세탁이나 헹굼 처리에서는 제2 회전축(13b)이 구동되어, 교반기(8)가 일정한 주기로 정역 반전하면서 회전한다. 탈수 처리에서는 제1 회전축(13a)이 구동되어, 세탁조(6)가 고속으로 회전한다.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3 rotates the first rotary shaft 13a and the second rotary shaft 13b so as to be reversed and inverted while being switched according to each process by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12. For example, in the washing or rinsing process, the second rotating shaft 13b is driven, and the stirrer 8 rotates while being invert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ehydration process, the 1st rotating shaft 13a is driven and the washing tank 6 rotates at high speed.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수조(5)에는 각 처리에 대응하여 개폐 제어되는 배수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의 내부에는 각 처리에 대응하여 수조(5)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도 마련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ure, the water tank 5 is provided with the drain opening to open and close control corresponding to each process. Moreover, the water supply apparatus which supplies water to the water tank 5 corresponding to each process is also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2.

따라서, 예를 들면, 세탁이나 헹굼 처리시에는 배수구가 닫혀진 상태로 세탁조(6)에 물이 공급되고, 수조(5) 및 세탁조(6)에 물이 저류된다. 또한, 탈수 처리시에는 배수구가 열리고, 저류된 물이나 세탁물로부터 탈수된 물은 배수구를 통해 수조(5) 및 세탁조(6)로부터 배출된다.Thus, for example, during washing or rins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6 while the drain port is closed, and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tank 5 and the washing tank 6. In addition, during the dehydration process, the drain port is opened, and the water dehydrated from the stored water or the laundry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5 and the washing tank 6 through the drain port.

각 처리, 특히 탈수 처리시에는 세탁조(6)가 진동한다. 세탁물이 한쪽으로 치우치면, 그 진동은 한층 더 커진다. 볼 밸런서(30)는 그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세탁조(6)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In each process, especially the dehydration process, the washing tank 6 vibrates. When the laundry is biased to one side, the vibration becomes even larger. The ball balancer 30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ank 6 in order to suppress the vibration.

(볼 밸런서의 구성)(Configuration of Ball Balancer)

볼 밸런서(30)는 환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중심이 세탁조(6)의 중심, 즉 세탁조(6)의 회전축인 종축(J)과 일치하도록, 세탁기(1)의 개구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다.The ball balancer 30 has an annular shape, and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of the washing machine 1 so that its center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washing tank 6, that is, the longitudinal axis J which is the rotation axis of the washing tank 6. have.

도 3에 볼 밸런서(30)를 나타낸다. 볼 밸런서(30)는 밸런서 케이스(31), 볼(50), 점성 유체(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3 shows a ball balancer 30. The ball balancer 30 is composed of a balancer case 31, a ball 50, a viscous fluid 60, and the like.

밸런서 케이스(31)는 환형의 케이스 본체(32)와, 케이스 본체(32)에 접합되는 환형의 뚜껑 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32)에는 환형의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4)는 환형의 바닥면(35)과, 그 바닥면(35)의 반경 방향 내측의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원통형의 내주면(36)과, 내주면(36)에 대향하여 바닥면(35)의 반경 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는 원통형의 외주면(37)으로 구획되고, 상면이 개구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The balancer case 31 is comprised from the annular case main body 32 and the annular lid member 33 joined to the case main body 32. As shown in FIG. An annular recess 34 is formed in the case main body 32. The recessed part 34 has an annular bottom face 35, a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face 36 standing up from a radially inner edge of the bottom face 35, and a bottom face 35 opposite the inner circumferential face 36. It is partitioned by the cylindrical outer peripheral surface 37 which stands up from the radially outer edge of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with an upper surface opened.

뚜껑 부재(33)는 케이스 본체(32)의 상면에 접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오목부(34)의 윗면(38)은 뚜껑 부재(33)에 의해 덮여지고, 밸런서 케이스(31)의 내부에, 밀폐된 환형의 링 스페이스(39)가 형성되어 있다. 링 스페이스(39)를 구획하고 있는 바닥면(35)과 윗면(38), 내주면(36)과 외주면(37)은 각각 거의 평행하며, 바닥면(35) 등과 내주면(36) 등과는 각각 거의 직교하고 있다.The lid member 33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32. By doing so, the upper surface 38 of the concave portion 34 is covered by the lid member 33, and a sealed annular ring space 39 is formed inside the balancer case 31. The bottom surface 35, the upper surface 38,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36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37, which define the ring space 39, are substantially parallel, respectively, and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35,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36, and the like. Doing.

링 스페이스(39)는 복수의 분할판(41)에 의해 원호형의 복수의 분할 스페이스(40)로 구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분할판(41)에 의해, 링 스페이스(39)의 내부에 3개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분할 스페이스(40)가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ring space 39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arc-shaped partition spaces 40 by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4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e dividing plates 41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equally formed in the dividing space 40 having three identical structures inside the ring space 39.

볼(50)은 볼 밸런서(30)에 복수 이용되고 있다(본 실시형태에서는 24개). 각 볼(50)은 예를 들면 강구 등으로 이루어지고, 모두 동일한 중량 및 치수를 가지고 있다. 이들 볼(50)은 각 분할 스페이스(40)에 8개씩 수용되어 있다.The ball 50 is used in multiple numbers by the ball balancer 30 (24 in this embodiment). Each ball 50 is made of steel balls or the like, and all have the same weight and dimensions. Eight of these balls 50 are accommodated in each of the divided spaces 40.

점성 유체(60)는 소정의 고 점성을 갖는 유체이며, 볼(50)과 함께 링 스페이스(39)에 수용되어 있다. 점성 유체(60)에 의해 볼(50)의 이동이 억제된다. 점성 유체(60)는 링 스페이스(39)의 내부에 공간이 남아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도 6 참조).The viscous fluid 60 is a fluid having a predetermined high viscosity and is accommodated in the ring space 39 together with the ball 50. Movement of the ball 50 is suppressed by the viscous fluid 60. The viscous fluid 60 is accommodated so that the space remains inside the ring space 39 (see FIG. 6).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분할 스페이스(40)에 있어서의 바닥면(35)의 부분에는 경사면(42)(바텀 테이퍼(42)라고도 함)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inclined surface 42 (also called the bottom taper 42) is formed in the part of the bottom surface 35 in each division space 40.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는, 분할 스페이스(40)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중앙 부위에, 바닥면(35)이 가장 낮아지는 최심부(43)가 위치하고 있고, 그 최심부(43)를 향해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기울기로 하향 경사하는 바텀 테이퍼(42)가 최심부(43)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각 바텀 테이퍼(42)는 분할 스페이스(40)의 둘레방향의 양 단부, 다시 말하면, 그 분할 스페이스(40)의 양 단을 구획하고 있는 각 분할판(41)의 하부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deepest part 43 in which the bottom face 35 is lowest is located in the center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division space 40, and the inclination consta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ward the deepest part 43 is shown. Bottom taper 42 inclined downwar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eepest portion 43. Each bottom taper 42 extends to both 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viding space 40, that is, to the lower edge of each dividing plate 41 which divides both ends of the dividing space 40.

볼 밸런서(30)가 정지한 상태나 저 회전수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각 볼(50)은 어느 위치에 있어도 항상 바텀 테이퍼(42)와 접해 있다. 따라서, 각 볼(50)이 흩어져도, 탈수 처리가 종료되고 시간이 경과하면, 바텀 테이퍼(42)에 의해 유도되어 자연스럽게 최심부(43)로 모아진다.In a state where the ball balancer 30 is stopped or rotated at a low rotational speed, each ball 50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bottom taper 42 at any position. Therefore, even if each ball 50 is disperse | distributed, when time passes and dehydration is complete | finished, it will be guide | induced by the bottom taper 42, and will collect | collect to the deepest part 43 naturally.

이들 최심부(43)는 볼(50)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se deepest parts 43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ere the weight balance of the whole ball 50 balances.

즉, 각 분할 스페이스(40)에 수용되어 있는 각 볼(50)이 최심부(43)로 모인 경우, 볼 밸런서(30)가 거의 수평한 상태로 균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 볼 밸런서(30)의 경우, 동일한 구성의 3개의 분할 스페이스(40)가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최심부(43)는 각 분할 스페이스(40)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That is, when each ball 50 accommodated in each division space 40 gathers in the deepest part 43, the ball balancer 30 is balance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In the case of this ball balancer 30, since the three division spaces 40 of the same structure are arrange | positioned even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deepest part 43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each division space 40. FIG. have.

따라서, 이 볼 밸런서(30)에 의하면, 단지 탈수 처리 전에 정지한 상태를 소정 시간 이상 확보하는 것만으로, 항상 각 볼(50)이 최심부(43)로 모이게 되고, 볼(50)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룬다. 따라서, 세탁조(6)의 회전수가 공진 회전수를 초과할 시에 발생하는 수조(5)의 흔들림 회전 불균일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ball balancer 30, only the state which stopped before the dehydration process only ensures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each ball 50 will always gather in the deepest part 43, and the weight of the whole ball 50 Balance is balanced. Therefore, the shake rotation nonuniformity of the water tank 5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washing tank 6 exceeds the resonance rotation speed can be suppressed stably.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37)의 부분에도 경사면(44)(사이드 테이퍼(44)라고도 함)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inclined surface 44 (also called the side taper 44) is formed also in the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37.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테이퍼(44)는 외주면(37)의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에,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테이퍼(44)는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비스듬히 상향으로 경사해 있고,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외주면(37)의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side taper 44 is formed in the middle part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37 over the perimeter. The side taper 44 is inclined upward obliquely toward the radial direction outer side, and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37 may become gradually larg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사이드 테이퍼(44)는 최심부(43)로 모여 바닥면(35)에 접한 볼(50)이 적어도 접촉할 수 있는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테이퍼(44)에 의해, 고 회전시에는 각 볼(50)은 윗면(38)측으로 유도되어, 바닥면(35)으로부터 떨어져 외주면(37)을 오른다.The side taper 44 is gathered in the deepest part 43, and is formed in the range which the ball 50 which contact | connects the bottom surface 35 can contact at least. By the side taper 44, at the time of high rotation, each ball 50 is guided to the upper surface 38 side, and rises from the bottom surface 35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37.

구체적으로는, 세탁조(6)의 회전수가, 1차 공진을 일으키는 소정의 회전수(공진 회전수라고도 함)를 통과한 후, 원심력에 의해 볼(50)이 바닥면(35)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사이드 테이퍼(44)가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aft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ashing tub 6 passes a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also referred to as a resonance rotational speed) causing primary resonance, the ball 5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35 by centrifugal force. The side taper 44 is formed.

도 6의(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한 상태로부터, 세탁조(6)가 회전하여 그 회전수가 공진 회전수에 이를 때까지의 저 회전수 영역에서는, 볼(50)은 항상 바닥면(35)에 접해 있다. 따라서, 각 볼(50)은 바텀 테이퍼(42)의 작용에 의해 최심부(43)로 모아진다.As shown in Fig. 6A, in the low rotational speed region from the stopped state until the washing tank 6 rotates and the rotational speed reaches the resonance rotational speed, the ball 50 always remains at the bottom surface ( 35). Therefore, each ball 50 is collected in the deepest part 43 by the action of the bottom taper 42.

그 결과, 탈수 처리의 개시 전이나, 탈수 처리의 개시 초기의 저 회전수 영역에서는, 항상 볼(50)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룬 상태가 되기 때문에, 세탁조(6)의 회전수가 공진 회전수를 초과할 시에 발생하는 수조(5)의 흔들림 회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weight balance of the whole ball 50 is always in a balanced state before the start of the dehydration treatment and at the beginning of the dehydration treatment, the rotation speed of the washing tub 6 is the resonance rotation speed. The shake rotation unevenness of the water tank 5 which arises when exceeding can be suppressed.

세탁조(6)의 회전수가 공진 회전수를 통과하여, 고 회전수 영역에 이르면, 원심력과 사이드 테이퍼(44)의 작용에 의해, 각 볼(50)이 경사한 바닥면(35)로부터 떨어져 외주면(37)을 따라 올라 간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볼(50)은 바텀 테이퍼(42)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볼 밸런서(30)의 밸런스 조정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washing tub 6 passes through the resonance rotation speed and reaches the high rotation speed region, the ball circumferential surface is separated from the inclined bottom surface 35 by the a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side taper 44 ( Go up along 37). As shown in FIG. 6B, each ball 50 rises to a position not affected by the bottom taper 42. Therefore, the balance adjustment function of the ball balancer 30 can be exhibited effectively.

사이드 테이퍼(44)의 경사각θ 볼 밸런서(3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과 사이드 테이퍼(44) 사이의 각도)은 40°~88°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θ ball balancer 30 and the side taper 44 of the side taper 44 is preferably set within a range of 40 ° to 88 °.

40°이상이면 공진 회전수를 통과한 직후 볼(50)을 안정적으로 바닥면(35)으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다. 또한, 88°보다 크면 공진 회전수를 초과한 고 회전수가 되어도 볼(50)이 바닥면(35)으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워지므로, 볼 밸런서(30)의 밸런스 조정 기능의 효율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If it is 40 degrees or more, the ball 50 can be stably detached from the bottom surface 35 immediately after passing the resonance speed. In addition, if it is larger than 88 °, the ball 50 is less likely to fall from the bottom surface 35 even at a high rotation speed exceeding the resonance rotation speed, which may cause a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the balance adjustment function of the ball balancer 30.

각 분할판(41)과 외주면(37)의 사이에는 틈(45)(연통 틈(45)이라고도 함)이 형성되어 있다.A gap 45 (also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gap 45) is formed between each partition plate 4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37.

분할판(41)은 케이스 본체(32)에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34)의 내측을 내주면(36)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분할판(41)은 바닥면(35)에 이어져 있고, 분할판(41)과 바닥면(35)의 사이에는 틈은 없다. 또한, 분할판(41)의 상단 가장자리는, 접합된 뚜껑 부재(33)의 내면과 밀착되거나 또는 밀착에 가까운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분할판(41)과 윗면(38)의 사이에도 거의 틈은 없다.The partition plate 41 is formed in the case main body 32,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36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inside the recessed part 34. As shown in FIG. The partition plate 41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35, and there is no gap between the partition plate 41 and the bottom surface 35. In addition, the upper edge of the partition plate 41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ed lid member 33, and is also substantially spaced between the partition plate 41 and the upper surface 38. Is not.

한편, 분할판(41)의 돌출단과 외주면(37)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의 연통 틈(45)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틈(45)은 볼(50)보다 충분히 작은 크기이며, 적어도 바닥면(35)측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protruding end of the partition plate 4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37, the communication gap 45 of an elongate shape in the up-down direction is formed. The communication gap 45 is sufficiently smaller than the ball 50 and is formed so as to be open at least on the bottom surface 35 side.

따라서, 점성 유체(60)는 이 연통 틈(45)을 통해 각 분할 스페이스(40)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지만, 볼(50)은 분할판(41)에 의해 규제되어, 수용된 분할 스페이스(40)의 내부만 이동할 수 있다.Thus, the viscous fluid 60 can move freely between the divided spaces 40 through this communication gap 45, but the ball 50 is restricted by the divided plate 41, so that the divided space 40 accommodated therein. Only the inside of can be moved.

볼(50)이 이동할 수 있는 범위는 볼 밸런서(30)의 일부에 한정되기 때문에, 이동 범위가 작아지는 만큼, 볼(50)은 최심부(43)로 빠르게 모이기 쉬워진다.Since the range in which the ball 50 can move is limited to a part of the ball balancer 30, the ball 50 is easy to gather to the deepest part 43 quickly as the moving range becomes smaller.

또한, 점성 유체(60)도 볼(50)과 마찬가지로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균등해지도록 각 분할 스페이스(40)에 균등하게 수용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만일 분할판(41)에 연통 틈(45)이 없으면, 각 분할 스페이스(40)에 같은 양의 점성 유체(60)를 정밀도 높게 수용할 필요가 있고, 제조 시에 시간과 노력을 요한다. 그에 반해, 이 볼 밸런서(30)의 경우, 연통 틈(45)이 있기 때문에, 소정량을 링 스페이스(39)에 충전하면, 자연스럽게 각 분할 스페이스(40)에 균등하게 수용할 수 있어, 생산성이 뛰어나다.In addition, like the ball 50, the viscous fluid 60 needs to be equally accommodated in each division space 40 so that the weight balance of the whole may become equal. Therefore, if there is no communication gap 45 in the partition plate 41, it is necessary to accommodate the same amount of viscous fluid 60 with high accuracy in each partition space 40, which requires time and effort in manufacturing. .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is ball balancer 30, since there is a communication gap 45, when a predetermined amount is filled in the ring space 39, it can be accommodated equally in each division space 40 equally, and productivity will be improved. outstanding.

또한, 분할판(41)에는 점성 유체(60)의 율동을 억제하는 기능도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plate 41 also has a function of suppressing movement of the viscous fluid 60.

정지 상태나 저 회전수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의 볼 밸런서(30)에서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성 유체(60)의 액면(61)은 거의 수평인 상태가 되어 있다.In the ball balancer 30 in the stationary state or the state rotating at a low rotational speed, as shown in FIG. 6A, the liquid level 61 of the viscous fluid 60 is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볼 밸런서(30)가 회전하여, 고 회전 영역에 이르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성 유체(60)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렇기 때문에, 점성 유체(60)의 액면(61)은 내주면(36)측 가까이에 위치하고, 거의 수직인 상태가 된다.When the ball balancer 30 rotates to reach the high rotation region, as shown in FIG. 6B, the viscous fluid 60 moves radially outward by the a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Therefore, the liquid surface 61 of the viscous fluid 60 is located near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36 side, and i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state.

만일, 분할판(41)이 없고, 점성 유체(60)가 원주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고 하면, 볼 밸런서(30)의 회전 및 진동에 수반하여, 점성 유체(60)가 링 스페이스(39) 내를 이동할 수 있다(율동). 점성 유체(60)의 율동이 발생하면, 세탁조(6)의 진동이나 소음은 한층 더 커진다.If the partition plate 41 is absent and the viscous fluid 60 can move free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viscous fluid 60 is caused in the ring space 39 with the rotation and vibration of the ball balancer 30. You can move (movement). When movement of the viscous fluid 60 occurs, the vibration and the noise of the washing tub 6 become even larger.

그에 반해, 이 볼 밸런서(30)에서는, 링 스페이스(39)의 내부가 분할판(41)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점성 유체(60)의 유동이 저해되어, 점성 유체(60)의 율동을 억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ball balancer 30, since the inside of the ring space 39 is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41, the flow of the viscous fluid 60 is inhibited, and the movement of the viscous fluid 60 can be suppressed. Can be.

연통 틈(45)은 율동에 의해 액면(61)이 외주면(37)측으로 가장 치우쳐 위치한 경우라도, 그 액면(61)이 분할판(41)에 의해 차단되는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munication gap 45 is preferably formed in a range in which the liquid level 61 is blocked by the partition plate 41 even when the liquid level 61 is most oriented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37 by movement.

구체적으로는, 링 스페이스(39)에 수용되는 점성 유체(60)의 용량으로부터, 종축(J)의 방향에서 보아 점성 유체(60)의 액면(61)이 거의 수직인 상태가 된 경우에 액면(61)이 그리는 원형의 궤적을 구한다. 그 액면(61)의 궤적을, 도 7의 (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면(36)에 접할 때까지 편심시킨다. 그렇게 했을 때,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37)으로부터 액면(61)까지의 거리가 가장 작은 부위에서도 액면(61)이 분할판(41)에 의해 차단되는 범위 내에 연통 틈(45)을 형성한다.Specifically, from the capacity of the viscous fluid 60 accommodated in the ring space 39, the liquid level (in the case where the liquid level 61 of the viscous fluid 60 become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J) Obtain the trajectory of the circle drawn by 61). The trajectory of the liquid surface 61 is eccentric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36 as shown by a virtual line in FIG. In doing so, as shown in FIG.7 (b), even in the site | part where the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37 to the liquid surface 61 is the smallest, the communication gap within the range which the liquid surface 61 is interrupted | blocked by the partition plate 41 is shown. Form 45.

(링 스페이스의 분할수와 진동 억제 효율과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the dividing number of the ring space and the vibration suppression efficiency)

도 8에, 링 스페이스(39)의 분할수와 세탁조(6)의 진동 억제 효율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분할 수가 2~4인 경우에 뛰어난 진동 억제 효율이 인정되고, 특히 분할수가 3인 경우에 가장 높은 진동 억제 효율이 인정되었다.In FIG. 8, the result of having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ding water of the ring space 39 and the vibration suppression efficiency of the washing tank 6 is shown graphically. Excellent vibration suppression efficiency was recognized when the number of divisions was 2 to 4, and the highest vibration suppression efficiency was recognized especially when the number of divisions was three.

분할수가 많아지면, 그 만큼 볼(50)이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작아지기 때문에, 치우친 중량 밸런스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세탁물과의 사이에서의 중량 밸런스의 균형도 얻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세탁조(6)의 진동 억제 효율은 저하된다.If the number of divisions increases, the range in which the ball 50 can move by that amount becomes small,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 skewed weight balance. As a result, since the balance of the weight balance with the laundry becomes difficult to be obtained, the vibration suppression efficiency of the washing tub 6 is lowered.

(수조의 흔들림 회전의 범위와 볼의 편차와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the range of shaking of the tank and the deviation of the ball)

도 9에, 공진 회전수까지의 저 회전수 영역에 있어서,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루는 위치로부터 벗어난 볼(50)(언밸런스 볼)의 수와, 하우징(2)의 내부에서 수조(5)가 흔들리면서 회전하는 범위(종축(J)의 방향에서 본 수조(5)의 흔들림 폭)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다.9, in the low speed range up to the resonance speed, the number of balls 50 (unbalanced balls) devia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weight balance is balanced, and the water tank 5 inside the housing 2 are shaken. The result of having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with the range to rotate (the shake width of the water tank 5 seen from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axis | shaft J) is shown graphically.

언밸런스 볼의 수가 많아질수록, 수조(5)의 흔들림 회전의 범위는 커지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이 볼 밸런서(30)에 의하면, 안정적으로 언밸런스 볼을 없앨 수 있으므로, 수조(5)가 흔들리면서 회전하는 범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t was recognized that the larger the number of unbalanced balls, the larger the range of the swing rotation of the water tank 5 was. Therefore, according to this ball balancer 30, since the unbalanced ball can be eliminated stably, the range which the water tank 5 rotates and rotates can be suppressed effectively.

(분할판과 점성 유체의 율동과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tion Plate and the Behavior of Viscous Fluid)

도 10에, 분할판(41)의 유무의 차이가 점성 유체(60)의 율동에 주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다. 그래프는 세탁조(6)의 진동 파형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분할판(41)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이고, (b)는 분할판(41)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다. 세탁물의 상태나 볼(50)의 개수 등, 분할판(41)의 유무 이외의 조건은 동일하다.In FIG. 10, the result of having investigated the influence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rtition plate 41 has on the rhythm of the viscous fluid 60 is shown graphically. The graph shows the chronological change of the vibration waveform of the washing tank 6, (a) is a case where the partition plate 41 is provided like this embodiment, and (b) is a case where the partition plate 41 is not provided. to be. Conditions other tha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rtition plate 41, such as the state of laundry and the number of balls 50, are the same.

(a)에서는 볼 밸런서(30)와 세탁물과의 사이에서 중량 밸런스가 조정되고, 분할판(41)에 의해 점성 유체(60)의 율동이 억제된 결과, 진폭의 크기가 일정한 안정된 진동이 인정되었다. 그에 반해, (b)에서는, 점성 유체(60)의 율동이 발생했기 때문에, 그 율동이 세탁조(6)의 진동에 중첩하여, 주기적으로 큰 진폭이 발생하는 불안정한 진동이 인정되었다.In (a), the weight balance was adjusted between the ball balancer 30 and the laundry, and the vibration of the viscous fluid 60 was suppressed by the partition plate 41, and as a result, stable vibration with a constant amplitude was recognized. . On the other hand, in (b), since the movement of the viscous fluid 60 occurred, the movement superimposed on the vibration of the washing tank 6, and the unstable vibration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a big amplitude periodically was recognized.

따라서, 분할판(41)을 마련하여 점성 유체(60)의 율동을 억제함으로써, 세탁조(6)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providing the divider plate 41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viscous fluid 60, the vibration of the washing tank 6 can be more effectively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의 다양한 구성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mentioned above, It also includes various other structures.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심부(43)는 각 분할 스페이스(40)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중앙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둘레방향의 어느 쪽으로 치우쳐 위치해 있을 수도 있다. 요점은, 각 최심부(43)가 볼(50)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deepest part 43 is not limited to the center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each division space 40, It may be located offset to eith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oint is that each innermost part 43 should just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ere the weight balance of the whole ball 50 balances.

또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판(41)을 링 스페이스(39)의 둘레방향으로 불균등하게 배치하여, 각 분할 스페이스(40)의 크기가 다르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각 분할 스페이스(40)에 수용하는 볼(50)의 수도 동수가 아니어도 된다. 최심부(43)도 둘레방향으로 불균등하게 위치해 있을 수 있다. 요점은, 각 최심부(43)에 볼(50)이 모였을 때, 볼(50)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루면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partition plates 41 may be unevenly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ing space 39, so that the size of each partition space 40 may be different. In addition, the number of balls 50 accommodated in each division space 40 may not be the same. The deepest portion 43 may also be unevenly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oint is that when the balls 50 are gathered at each of the deepest portions 43, the weight balance of the entire ball 50 may be balanced.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 스페이스(40)의 둘레방향의 양 단 사이에 걸쳐 일정하게 경사하는 바텀 테이퍼(4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최심부(43)는 한 쪽의 분할판(41)의 근방에 위치하므로, 각 볼(50)은 그 분할판(41)측으로 모아진다.As shown in FIG. 13, the bottom taper 42 which inclines uniformly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vision space 40 can also be provided. In this case, since the deepest part 43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one partitioning plate 41, each ball 50 is gathered toward the partitioning plate 41 side.

단, 최심부(4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 스페이스(40)의 둘레방향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바텀 테이퍼(42)의 둘레방향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32)의 바닥부의 두께를 늘리지 않아도, 바텀 테이퍼(42)의 경사를 크게 할 수 있어, 각 볼(50)을 최심부(43)로 안정적으로 모을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deepest portion 43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vided space 40. By doing so, since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taper 42 becomes short,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taper 42 can be enlarged and each ball 50 can be made large,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art of the case main body 32. FIG. The deepest part 43 can be gathered stably.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35)에 있어서의 최심부(43)의 부분은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렇게 하면, 바텀 테이퍼(42)의 경사를 한층 더 크게 할 수 있어, 최심부(43)에 의해 안정적으로 모을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둘레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볼(50)이 바텀 테이퍼(42)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최심부(43)에 모아지는 볼(50)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안정된 중량 밸런스의 균형을 얻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portion of the deepest portion 43 on the bottom surface 35 may have a constant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a result,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taper 42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deepest portion 43 can be stably collected. In this case, at least, it is preferable that the ball 50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taper 42. By doing so, a gap does not occur between the balls 50 collected in the deepest portion 43, so that the balance of the stable weight balance can be obtain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볼(50)의 크기나 갯수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모든 볼(50)이 반드시 동일한 크기나 무게가 아니어도 된다.The size and number of the balls 50 can also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cessary. All the balls 5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same size or weight.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oregoing has shown and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1: 세탁기 2: 하우징
5: 수조 6: 세탁조
30: 볼 밸런서 31: 밸런서 케이스
35: 바닥면 36: 내주면
37: 외주면 38: 윗면
39: 링 스페이스 40: 분할 스페이스
41: 분할판 42: 바텀 테이퍼(경사면)
43: 최심부 44: 사이드 테이퍼(경사면)
45: 연통 틈 50: 볼
60: 점성 유체 J: 종축
1: washing machine 2: housing
5: water tank 6: washing tank
30: ball balancer 31: balancer case
35: bottom surface 36: inner circumference
37: outer circumference 38: top
39: ring space 40: partition space
41: divider 42: bottom taper (inclined surface)
43: deepest part 44: side taper (inclined surface)
45: communication gap 50: ball
60: viscous fluid J: longitudinal axis

Claims (5)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현가된 수조와,
상기 수조에 수용되어,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조와,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세탁조에 설치되는 환형의 볼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볼 밸런서는,
복수의 볼과,
점성 유체와,
바닥면, 윗면, 내주면 및 외주면으로 구획된 환형의 링 스페이스를 내부에 갖는 밸런서 케이스와.
상기 링 스페이스를 호형의 복수의 분할 스페이스로 구획하는 복수의 분할판을 가지고,
상기 각 분할 스페이스에는 상기 점성 유체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볼이 수용되고,
상기 각 분할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면의 부분에, 상기 분할판이 있는 단부로부터 최심부를 향해 둘레방향으로 하향 경사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각 분할 스페이스의 상기 최심부가, 정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의 중량 밸런스가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세탁기.
A housing,
A water tank suspended in the housing,
A washing tank accommodated in the tank and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In the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n annular ball balancer installed in said washing tank centering on said longitudinal axis,
The ball balancer,
With a plurality of balls,
With viscous fluid,
And a balancer case having an annular ring space divided into a bottom surface, a top surfac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t has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for partitioning the ring space into a plurality of arc-shaped partition spaces,
Each of the divided spaces accommodates the viscous fluid and the at least one ball,
In the part of the said bottom surface in each said division space, the inclined surface which inclines down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ward the deepest part from the edge part with the said partition board is formed,
The deepest part of each said division space is a washing machine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the weight balance of the said some ball | balance balances in a stationary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상기 외주면과의 사이의 부분에만 상기 볼보다 작은 틈을 갖고 있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partitioning plate has a clearance smaller than the said ball only in the part between the said outer peripheral surfaces.
제 1 항에 있어서,
고 회전시에 상기 볼을 상기 윗면측으로 유도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떼어 놓는 경사면이 상기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guiding the ball toward the upper surface side at a high rotation and separating from the bottom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스페이스가 3개 형성되어 있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A washing machine in which three partition spaces are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심부가 상기 분할 스페이스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deepest part is a washing machine located in the center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said division space.
KR1020130039412A 2012-09-12 2013-04-10 Washing machine KR20140034676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83591.0A EP2708628B1 (en) 2012-09-12 2013-09-09 Washing machine
ES13183591.0T ES2547215T3 (en) 2012-09-12 2013-09-09 Washing machine
US14/024,079 US20140069148A1 (en) 2012-09-12 2013-09-11 Washing machine
CN201310414832.3A CN103668866A (en) 2012-09-12 2013-09-12 Washing machine and balan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00785 2012-09-12
JP2012200785A JP2014054385A (en) 2012-09-12 2012-09-12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676A true KR20140034676A (en) 2014-03-20

Family

ID=5061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412A KR20140034676A (en) 2012-09-12 2013-04-10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4054385A (en)
KR (1) KR2014003467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9276B (en) * 2017-03-31 2021-06-01 日商Tmt機械股份有限公司 Vibration damping device, buffer system, bobbin holder system, and rotating bod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9276B (en) * 2017-03-31 2021-06-01 日商Tmt機械股份有限公司 Vibration damping device, buffer system, bobbin holder system, and rotating bod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54385A (en)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1685B1 (en)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balancers
KR101287536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13306B1 (en) The spin extractor of a washing machine
EP2377984B1 (en) Balancer and drum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2573249A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513033B1 (en) Washing machine with lower balancer
EP0810317A1 (en) Washing machine
KR20130080222A (en) Washing machine
KR100224450B1 (en) Balancing apparatus of a drum washing machine
US20190242048A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EP3358063B1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KR100640866B1 (en) Balancer of Washing Machine
EP0810318A1 (en) Washing machine
KR20200071517A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JP2013123599A (en) Washing machine
EP2708628B1 (en) Washing machine
KR20140034676A (en) Washing machine
JP3973571B2 (en) Drum washing machine
JP2013126436A (en) Ball balancer and washing machine
KR20140035796A (en) Washing machine
JP2021010452A (en) Vertical type washing machine
ES2547215T3 (en) Washing machine
KR20170011253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266978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EP3702512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