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771A -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771A
KR20140033771A KR1020120100059A KR20120100059A KR20140033771A KR 20140033771 A KR20140033771 A KR 20140033771A KR 1020120100059 A KR1020120100059 A KR 1020120100059A KR 20120100059 A KR20120100059 A KR 20120100059A KR 20140033771 A KR20140033771 A KR 20140033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image
coordinates
co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우
Original Assignee
강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우 filed Critical 강승우
Priority to KR102012010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3771A/ko
Publication of KR2014003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면 방송영상의 일부 영역에 시청자가 선택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운동경기를 방송함에 있어, 운동선수 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운동장의 맵에 매핑되도록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경기정보를 전략/전술적 팀훈련 등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영상 이외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선수에 대한 영상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방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분야에서의 신뢰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관 분야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Display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user-centric}
본 발명은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면 방송영상의 일부 영역에 시청자가 선택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운동경기를 방송함에 있어, 운동선수 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운동장의 맵에 매핑되도록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경기정보를 전략/전술적 팀훈련 등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아날로그방송보다 향상된 영상 및 음향 품질을 제공하는 디지털방송(예를 들어 지상파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디지털방송 등)에 대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디지털 방송의 실시와 함께 디지털 TV의 보급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우수한 품질의 영상과 음향을 제공한다는 장점 이외에도 양방향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메뉴방식으로 부가서비스를 제어하는 기법을 통해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0021호 "티브이의 방송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청자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방송에서 제공하는 부가정보는 대부분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에 한정되고 있으며, 홈쇼핑 등에서 제공하는 제품정보 또한 방송전에 미리 만든 정보를 단순히 오버랩하는 수준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면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축구경기를 시청함에 있어, 방송사에 의해 전송되는 영상 이외에, 특정 선수를 선택하여 해당 선수에 대한 영상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 또는 축구장 내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선수들 및 축구공의 위치 변화와 특정 선수의 이력정보, 현재 경기에서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등과 같이, 디지털 방송에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0021호 "티브이의 방송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의 경우에도, 단순히 디지털 방송가 인터넷을 결합하여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특정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언급되었을 뿐,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방송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나타나 있지 않다.
다시 말해, 종래의 디지털 방송에서는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정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일부를 시청자에게 제공하고 있을 뿐, 다양한 취향의 시청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만족스럽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0021호 "티브이의 방송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면, 방송영상의 일부 영역에 시청자가 선택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합 및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운동경기를 방송함에 있어, 운동선수 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운동장의 맵에 매핑되도록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특정 선수에 대한 영상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중심의 방송을 위하여 취합된 경기정보를 전략/전술적 팀훈련 등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은, 객체별 원시데이터(Source data)를 수집하는 원시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객체별 원시데이터를 분석하여 객체파라미터(Object parameter)를 추출하는 정보분석 및 객체정보 추출단계; 상기 정보분석을 통해 추출된 객체별 3차원좌표를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단계; 상기 객체정보를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정보로 변환하는 출력정보 생성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좌표에 매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하는 객체정보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정신호 수신단계는, GPS시스템 또는 IGPS시스템 기반으로 측정되는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 또는 스테레오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객체별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포함하는 객체별 원시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분석 및 객체정보 추출단계는, 상기 객체별 원시데이터에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상기 객체파라미터로 추출하며, 상기 객체별 원시데이터에 상기 객체별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이 포함된 경우, 적어도 세 개의 스테레오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영상처리하여 각 스테레오카메라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스테레오카메라별 위치정보 및 객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를 상기 객체파라미터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표변환단계는,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에 따른 3차원좌표를 전체대상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2차원좌표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정보 출력단계는, 상기 객체정보에 대응하는 객체별 촬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다른 일부에 더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별 원시데이터, 객체파라미터, 객체별 3차원좌표, 디스플레이좌표, 객체정보 및 디스플레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경기시작시점부터 경기종료시점까지 시계열적으로 누적저장하는 경기정보 생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은,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객체위치 측정장치; 객체를 중심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객체영상 촬영장치; 및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객체에 매칭된 객체정보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좌표에 매칭된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상기 객체영상의 적어도 일부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객체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객체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객체위치 측정장치로부터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원시데이터(Source data) 수신부; 상기 원시데이터 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에 따른 3차원좌표를 전체대상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2차원좌표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부; 상기 객체별 객체정보를 호출하여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정보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정보 생성부; 상기 좌표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스플레이좌표에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매칭하고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도록 스케일을 조절하는 매핑부; 및 상기 매핑부에서 매칭 및 스케일조절된 디스플레이정보를 클라이언트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은, 객체를 중심으로 스테레오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세 개의 객체영상 촬영장치; 및 상기 스테레오영상의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객체영상 촬영장치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를 상기 객체영상 촬영장치별로 산출하고, 상기 객체영상 촬영장치의 설치위치정보 및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객체에 매칭된 객체정보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좌표에 매칭된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상기 스테레오영상의 적어도 일부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객체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객체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상기 스테레오영상을 수신하는 원시데이터(Source data) 수신부; 상기 원시데이터 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스테레오영상의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영상처리하여 객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산출부; 및 상기 객체영상 촬영장치의 위치정보를 호출하고 상기 거리산출부에서 산출된 거리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3차원 위치정보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에 따른 3차원좌표를 전체대상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2차원좌표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부; 상기 객체별 객체정보를 호출하여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정보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정보 생성부; 상기 좌표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스플레이좌표에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매칭하고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도록 스케일을 조절하는 매핑부; 및 상기 매핑부에서 매칭 및 스케일조절된 디스플레이정보를 클라이언트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방송영상을 제공함에 있어, 방송현장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합하고, 이를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운동경기를 방송함에 있어, 운동선수 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운동장의 맵에 매핑되도록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가 경기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시청자가 원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영상 이외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선수에 대한 영상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방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특정 선수에 대한 이력정보는 물론, 현재 경기에서의 활동량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취합된 경기정보를 전략/전술적 팀훈련 등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대팀의 예상전략 및 그에 따른 대응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기 중 취합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오프사이드(Off side) 판정 등 경기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통해 공정한 경기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분야에서의 신뢰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경기 진행 보조 시스템 분야 등의 연관 분야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계 'S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계 'S3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객체정보 처리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의 객체정보 처리장치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은 원시데이터 수신단계(단계 S100), 정보분석 및 객체정보 추출단계(단계 S200), 좌표변환단계(단계 S300), 출력정보 생성단계(단계 S400) 및 객체정보 출력단계(단계 S500)를 포함한다.
원시데이터 수신단계(단계 S100)에서는, 객체별 원시데이터(Source data)를 수집한다. 여기서, 객체는 정보획득의 대상, 예를 들어, 축구경기의 경우 축구선수 및 축구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시데이터는 각 객체들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시데이터는 특정 선수에 매칭되어 해당 선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측정장치의 식별자 및 선수의 위치정보가 내포된 코드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분석 및 객체정보 추출단계(단계 S200)에서는, 객체별 원시데이터를 분석하여 객체파라미터(Object parameter)를 포함하는 객체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축구경기의 경우, 객체파라미터는 측정장치의 식별자로부터 알 수 있는 선수의 소속팀, 이름, 등번호와 더불어, 코드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선수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변환단계(단계 S300)에서는, 정보분석을 통해 추출된 객체파라미터 중 객체별 3차원좌표를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축구경기의 경우, 측정된 3차원좌표를 축구장 평면에 대응하는 2차원좌표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2차원좌표를 디스플레이의 기준좌표계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정보 생성단계(단계 S400)에서는, 객체정보를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정보로 변환한다. 여기서,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정보는 객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설정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경기의 경우, 디스플레이정보는 각 선수들과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아이콘, 아이콘에 매핑될 선수의 신상정보, 이력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경기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정보 출력단계(단계 S500)에서는, 디스플레이좌표에 매칭하여 디스플레이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한다. 다시 말해, 전체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출력할 정보가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스케일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객체정보 출력단계(단계 S500)는, 객체정보에 대응하는 객체별 촬영영상을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다른 일부에 더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경기의 경우, 시청자가 특정 선수를 선택하면, 해당 선수의 신상정보 및 이력정보 등을 출력하면서, 해당 선수를 추적하여 촬영하는 카메라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객체별 원시데이터, 객체파라미터, 객체별 3차원좌표, 디스플레이좌표, 객체정보 및 디스플레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경기시작시점부터 경기종료시점까지 시계열적으로 누적저장하는 경기정보 생성단계를 통해, 도 1의 방법을 위하여 취합, 추출 및 생성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여, 전략/전술적 팀훈련 등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대팀의 예상전략 및 그에 따른 대응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경기 중 취합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오프사이드(Off side) 판정 등 경기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통해 공정한 경기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단계 'S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1의 측정신호 수신단계(단계 S100)는, GPS시스템 또는 IGPS(Indoor GPS)시스템 기반으로 측정되는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 또는 스테레오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객체별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객체별 원시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GPS시스템은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는 3지점(3개의 GPS위성)과, 각 지점으로부터 위치를 알고자 하는 지점(객체-GPS수신장치가 설치된 선수 및 공)까지의 거리를 알면, 원하는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GPS시스템을 이용한다 함은, IGPS와 같이 GPS시스템의 개념을 이용하는 다른 시스템으로의 변경이 가능함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 하더라도, GPS시스템의 개념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예를 들어, GPS위성, GPS수신기, 데이터추출 알고리즘)들은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테레오카메라는 각 객체마다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위치를 추적할 객체의 수에 대응(예를 들어, 객체의 3배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스트레오카메라의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분석하는 영상인식알고리즘을 통해, 각 객체의 위치, 운동량 및 속도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하에서 설명될 객체정보처리장치는 측정신호 수신단계(단계 S100)에서 수집된 원시데이터를 분석하고(단계 S201)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202).
확인결과, 객체별 원시데이터에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가 포함된 경우(단계 S202),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확인하여(단계 S203) 객체파라미터로 추출할 수 있다(단계 S204). 여기서, 3차원 위치정보로부터 객체파라미터(예를 들어, 3차원좌표값)를 추출하는 과정은, GPS시스템 또는 IGPS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만약, 객체별 원시데이터에 객체별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이 포함된 경우(단계 S202), 적어도 세 개의 스테레오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영상처리하여(단계 S205) 각 스테레오카메라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단계 S206). 예를 들어,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비교하여 배경영상으로부터 객체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영역의 픽셀을 비교하면, 두 영상의 오차 정도에 따라 스테레오카메라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공간상에서 서로 다른 세 지점을 설정하고, 각 지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알면 공간상의 특정위치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각 스테레오카메라에 대한 위치정보를 호출하고(단계 S207), 호출된 스테레오카메라별 위치정보 및 객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단계 S208).
이후, 산출된 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를 객체파라미터로 추출할 수 있다(단계 S204).
여기서, 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는 촬영된 영상을 영상인식처리하여, 해당 경기장에 표시된 다양한 라인(예를 들어, 엔드라인, 사이드라인)들과 객체 간의 상대거리를 통해서도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단계 'S3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분석 및 객체정보 추출단계(단계 S200)에 의해 추출된 객체파라미터로부터 3차원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301).
예를 들어, 축구경기의 경우, 확인된 3차원 좌표를 축구경기장(전체대상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경기장좌표로 변환한 후(단계 S302), 경기장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에 해당하는 2차원좌표로 매핑할 수 있다(단계 S303).
이후, 매핑된 2차원좌표를 디스플레이좌표로 스케일 변환할 수 있다(단계 S305). 다시 말해, 전체 디스플레이에서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출력할 영역을 확인하고, 출력할 디스플레이정보가 해당 영역에 출력될 수 있도록 스케일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경기를 방송함에 있어, 운동선수 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운동장의 맵에 매핑되도록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가 경기의 전체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객체위치 측정장치(110), 객체영상 촬영장치(120), 객체정보 처리장치(130) 및 클라이언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위치 측정장치(100)는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것으로, GPS시스템의 GPS위성(111), IGPS시스템의 송신기(112a) 및 수신기(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GPS위성(111)에서 송출된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는 GPS수신기(도시하지 않음) 또는 IGPS 수신기(112b)는 각 선수들의 옷이나 신발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수신기는 객체정보 처리장치(130)와 연동하여 3차원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객체위치 측정장치(100)는 스테레오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스테레오카메라(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레오카메라(113)는 스테레오영상 기반의 방송을 위한 방송용 스테레오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영상 촬영장치(120)는 객체를 중심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방송을 위한 카메라 이외에, 각 선수들을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촬영하는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영상 촬영장치(120)는, 객체까지의 거리측정 및 이에 기초한 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 획득을 위하여 사용됨은 물론, 시청자에 의해 선택되는 선수를 중심으로 하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다.
또한, 객체영상 촬영장치(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영상인식처리하여, 특정 선수에 대하여 해당 경기 동안의 활동량이나 이동범위 등을 포함하는 경기력을 확인하여 정보로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객체정보 처리장치(130)는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객체위치 측정장치(110) 및 객체영상 촬영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14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140)는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디지털 TV(141), PC(142), 스마트폰(143) 및 테블릿PC(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객체정보 처리장치(130)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객체정보 처리장치(130)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예를 들어, 객체영상 촬영장치의 위치정보, 경기장 좌표, 객체정보, 출력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50)는 객체정보 처리장치(13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장치의 요청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객체정보 처리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객체정보 처리장치(130)는 원시데이터 수신부(131), 좌표변환부(132), 디스플레이생성부(133), 매핑부(134), 디스플레이영상 생성부(135), 촬영영상 수신부(136) 및 데이터전송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원시데이터 수신부(131)는 각 선수들의 옷이나 신발 등에 설치된 GPS수신기 또는 IGPS수신기(112b)로부터 각 시스템 기반의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변환부(132)는 원시데이터 수신부(131)로 수신된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에 따른 3차원좌표를 전체대상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2차원좌표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좌표는 데이터베이스(150)로 호출하여 수신된 경기장좌표로부터 얻어지는 평면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정보 생성부(133)는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객체별 객체정보를 호출하여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좌표변환부(132) 및 디스플레이정보 생성부(133)는 원시데이터 수신부(131)를 통해 수신된 원시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출된 객체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매핑부(134)는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호출된 출력정보에 기초하여, 좌표변환부(132)에서 변환된 디스플레이좌표에 디스플레이정보를 매칭하고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도록 스케일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정보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정보가 출력될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영상 생성부(135)는 촬영영상수신부(136)를 통해 수신된 영상들 중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영상과, 디스플레이정보 생성부(133) 및 매핑부(134)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조합, 편집 및 오버랩하여 데이터전송부(137)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전송부(137)는 디스플레이영상 생성부(135)에서 생성된 영상, 특히 매핑부(134)에서 매칭 및 스케일조절된 디스플레이정보를 클라이언트(140)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전송부(137)의 데이터 변환은 클라이언트(140)의 종류 및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도 4의 객체정보 처리장치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 촬영영상 수신부(136)는 객체를 중심으로 스테레오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세 개의 객체영상 촬영장치(120)로부터 각각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원시데이터 수신부(131)는 촬영영상 수신부(136)를 통해 스테레오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객체정보 처리장치(130)는 거리산출부(138) 및 3차원 위치정보 산출부(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산출부(138)는 촬영영상수신부(136)를 통해 원시데이터 수신부(131)로 수신된 스테레오영상의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영상처리하여 객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3차원 위치정보 산출부(139)는 데이터베이스(150)에 객체영상 촬영장치(120)의 위치정보를 호출하고, 거리산출부(138)에서 산출된 거리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3차원 위치정보 산출부(139)에서 산출된 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는 좌표변환부(132) 등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도 6에 나타난 좌표변환부(132), 디스플레이생성부(133), 매핑부(134), 디스플레이영상 생성부(135), 촬영영상 수신부(136) 및 데이터전송부(137)는 도 5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동작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140)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화면(200)은, 디스플레이정보창(210), 객체영상창(220) 및 전체영상창(23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정보창(210)은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전체경기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경기진행창(211)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수의 이력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선수정보창(2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영상창(220)은 사용자(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선수를 추적하여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역이고, 전체영상창(230)은 일반적으로 시청하는 경기의 방송화면을 출력하는 영역이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도 8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정보창(210) 전체에 일반적으로 시청하는 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정보창(210) 전체에 사용자(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선수를 추적하여 촬영된 영상을 출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객체영상창(220) 및 전체영상창(230)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영역(200) 전체에 출력되는 경우, 도 8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정보창(210)은 디스플레이영역(2000)에 출력되는 화면에 오버랩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객체영상창(220) 및 전체영상창(230)은 서로 다른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축구경기 이외에도 다양한 경기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으면 운동경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방송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것이므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
110 : 객체위치 측정장치 120 : 객체영상 촬영장치
130 : 객체정보 처리장치 131 : 원시데이터 수신부
132 : 좌표변환부 133 : 디스플레이정보 생성부
134 : 매핑부 135 : 디스플레이영상 생성부
136 : 촬영영상 수신부 137 : 데이터전송부
138 : 거리산출부 139 : 3차원 위치정보 산출부
140 : 클라이언트

Claims (11)

  1. 객체별 원시데이터(Source data)를 수집하는 원시데이터 수신단계;
    상기 객체별 원시데이터를 분석하여 객체파라미터(Object parameter)를 추출하는 정보분석 및 객체정보 추출단계;
    상기 정보분석을 통해 추출된 객체별 3차원좌표를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단계;
    상기 객체정보를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정보로 변환하는 출력정보 생성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좌표에 매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하는 객체정보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신호 수신단계는,
    GPS시스템 또는 IGPS시스템 기반으로 측정되는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 또는
    스테레오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객체별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포함하는 객체별 원시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 및 객체정보 추출단계는,
    상기 객체별 원시데이터에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상기 객체파라미터로 추출하며,
    상기 객체별 원시데이터에 상기 객체별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이 포함된 경우, 적어도 세 개의 스테레오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영상처리하여 각 스테레오카메라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스테레오카메라별 위치정보 및 객체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를 상기 객체파라미터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변환단계는,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에 따른 3차원좌표를 전체대상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2차원좌표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 출력단계는,
    상기 객체정보에 대응하는 객체별 촬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다른 일부에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별 원시데이터, 객체파라미터, 객체별 3차원좌표, 디스플레이좌표, 객체정보 및 디스플레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경기시작시점부터 경기종료시점까지 시계열적으로 누적저장하는 경기정보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7.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객체위치 측정장치;
    객체를 중심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객체영상 촬영장치; 및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객체에 매칭된 객체정보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좌표에 매칭된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상기 객체영상의 적어도 일부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객체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객체위치 측정장치로부터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원시데이터(Source data) 수신부;
    상기 원시데이터 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에 따른 3차원좌표를 전체대상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2차원좌표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부;
    상기 객체별 객체정보를 호출하여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정보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정보 생성부;
    상기 좌표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스플레이좌표에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매칭하고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도록 스케일을 조절하는 매핑부; 및
    상기 매핑부에서 매칭 및 스케일조절된 디스플레이정보를 클라이언트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
  9. 객체를 중심으로 스테레오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세 개의 객체영상 촬영장치; 및
    상기 스테레오영상의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객체영상 촬영장치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를 상기 객체영상 촬영장치별로 산출하고, 상기 객체영상 촬영장치의 설치위치정보 및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객체에 매칭된 객체정보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정보로 변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좌표에 매칭된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상기 스테레오영상의 적어도 일부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객체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객체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상기 스테레오영상을 수신하는 원시데이터(Source data) 수신부;
    상기 원시데이터 수신부로 수신된 상기 스테레오영상의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영상처리하여 객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산출부; 및
    상기 객체영상 촬영장치의 위치정보를 호출하고 상기 거리산출부에서 산출된 거리 및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3차원 위치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객체별 3차원 위치정보에 따른 3차원좌표를 전체대상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2차원좌표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부;
    상기 객체별 객체정보를 호출하여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정보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정보 생성부;
    상기 좌표변환부에서 변환된 디스플레이좌표에 상기 디스플레이정보를 매칭하고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도록 스케일을 조절하는 매핑부; 및
    상기 매핑부에서 매칭 및 스케일조절된 디스플레이정보를 클라이언트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20100059A 2012-09-10 2012-09-10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33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059A KR20140033771A (ko) 2012-09-10 2012-09-10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059A KR20140033771A (ko) 2012-09-10 2012-09-10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771A true KR20140033771A (ko) 2014-03-19

Family

ID=5064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059A KR20140033771A (ko) 2012-09-10 2012-09-10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37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495A (ko) * 2016-12-28 2018-07-0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레오 비전을 이용한 객체 분리 및 3차원 위치 추정 방법
CN110737704A (zh) * 2019-10-24 2020-01-31 浙江口碑网络技术有限公司 数据展示方法及装置
CN113515187A (zh) * 2020-04-10 2021-10-19 咪咕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场景的生成方法和网络侧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495A (ko) * 2016-12-28 2018-07-0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테레오 비전을 이용한 객체 분리 및 3차원 위치 추정 방법
CN110737704A (zh) * 2019-10-24 2020-01-31 浙江口碑网络技术有限公司 数据展示方法及装置
CN110737704B (zh) * 2019-10-24 2022-03-22 浙江口碑网络技术有限公司 数据展示方法及装置
CN113515187A (zh) * 2020-04-10 2021-10-19 咪咕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场景的生成方法和网络侧设备
CN113515187B (zh) * 2020-04-10 2024-02-13 咪咕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场景的生成方法和网络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2826B2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terminal device and augmented reality display method
KR101828869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정보 제공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골프 정보 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 방법
US20200310630A1 (en) Method and system of selecting a view from a plurality of cameras
CN104012106B (zh) 使表示不同视点的视频对准
KR102105189B1 (ko) 관심 객체 추적을 위한 다중 카메라 동적 선택 장치 및 방법
EP3384495B1 (en) Processing of multiple media streams
US9392248B2 (en) Dynamic POV composite 3D video system
US20190082233A1 (en) Personalized live media content
JP2020511048A (ja) バーチャルプロップ割り当て方法、サーバー、クライアント及び記憶媒体
KR100974638B1 (ko) 야구 경기 중계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20090265748A1 (en) Handheld multimedia receiving and sending devices
JP202008698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10612B2 (en) Combining signal information from shoes and sports racket
JP201911414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82735A (ko) 객체 추적 기반의 객체 영상 제공 방법
KR20140033771A (ko) 사용자 중심의 디스플레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07897B1 (ko) 골프방송중 퍼팅정보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2448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mote assembly of partially overlapping images
JP4881178B2 (ja) 走行距離映像生成装置及び走行距離映像生成プログラム
JP590137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664215B2 (ja) 拡張現実感表示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拡張現実感表示方法及び拡張現実感表示プログラム
CN117440128A (zh) 视频处理方法、播放方法及相关系统、存储介质
JP6450305B2 (ja) 情報取得装置、情報取得方法及び情報取得プログラム
JP2010034699A (ja) 放送送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送受信システム
JPWO2019017046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3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9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