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067A -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오염 제거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오염 제거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067A
KR20140033067A KR1020137031659A KR20137031659A KR20140033067A KR 20140033067 A KR20140033067 A KR 20140033067A KR 1020137031659 A KR1020137031659 A KR 1020137031659A KR 20137031659 A KR20137031659 A KR 20137031659A KR 20140033067 A KR20140033067 A KR 20140033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
disinfectant
concentration
moisture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지. 루카식
쑤민 린
로버트 씨. 주니어 플랫
토드 모리슨
Original Assignee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098,386 external-priority patent/US20120275952A1/en
Application filed by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8Hydrogen per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1Use of hydrogen peroxide, liquid and vapor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약 500 ppm 이하의 소독제의 농도를 갖는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더 낮은 농도로 일정 기간 동안 감소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소독제를 제거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환경을 제습하는 단계, 및 환경의 하한 상대 습도와 상한 상대 습도 사이의 차이를 약 20 내지 50%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수분으로 환경을 가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독제의 공급원, 수분의 공급원, 하나 이상의 분무 발생기, 및 제습기를 포함하는,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이 또한 개시된다. 소독제를 도입시키는 단계, 표면 상에 액체 소독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소독제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환경을 제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또는 구내 공간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오염 제거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관련 방법{METHOD FOR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DISINFECTANT, DECONTAMINATION APPARATUSES AN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관련 출원과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현재 계류 중인 2011년 4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3/098,386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환경 중의 소독제(disinfectant)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오염 제거 장치 및 시스템, 및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 및 호텔 객실과 같은 구내 공간(enclosure) 및 기타 환경은 박테리아, 곰팡이, 진균, 효모균 등을 비롯한 매우 다양한 미생물 오염 물질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 일부 미생물 오염 물질은 공기로 운반되고, 출입구, 창문, 및/또는 환기 시스템을 통해 객실로 유입된다. 다른 미생물 오염 물질은 예컨대 옷에 묻어 객실로 들어가는 이용자에 의해 환경 중으로 운반되고, 접촉을 통해 객실 내의 표면 또는 물품으로 옮겨진다. 이들 미생물은 흔히 카펫, 커튼, 벽지, 가구, 조리대 등과 같은 객실 내의 다양한 표면, 또는 표면 상에 위치되는 다양한 물품 내에서 또는 그 상에서 생존할 수 있고, 퇴치하기 매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또한, 환경은 담배 연기, 바디 퍼퓸(body perfume), 및 약품 냄새와 같은 다양한 비-미생물 오염 물질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들 오염 물질은 분명히 마찬가지로 퇴치하기 어렵다.
객실의 이용이 빈번하게 바뀌는 병원 및 호텔 객실과 같은 환경의 경우에, 객실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비-미생물 오염 제거제 둘 모두가 후속 이용자의 오염을 야기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염 제거는 환경으로부터 미생물 및 비-미생물 오염 물질을 감소시키거나 퇴치하는 잘 알려진 방법이다. 통상적인 오염 제거 과정은 전형적으로, 먼저 환경이 소독제의 도입에 의해 허용가능한 정도로 오염 제거되고 후속하여 소독제를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제거하기 위한 일련의 많은 오랜 기간의 단계들이 이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오염 제거 단계를 수반한다. 이들 단계에서, 환경으로부터 소독제를 더 낮은 농도로 제거하는 것, 특히 과산화수소와 같은 소독제를 1 ppm 이하의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제거하는 것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오염 제거 과정을 설계 또는 개발할 때 중요한 과제이다. 오염 제거 과정은 이러한 과정의 대부분 또는 전체 동안 환경이 사용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특히 환경이 예를 들어 호텔 또는 병원 객실일 때 오랜 기간의 오염 제거 과정, 구체적으로 오랜 기간의 소독제 제거 과정은 상당한 비사용 시간 및 객실이 이용되지 못하는 동안의 수익의 손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소독제가 신속하게 제거되어 환경이 신속하게 다시 이용될 수 있도록 환경으로부터 소독제를 제거하는 대안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환경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오염 제거를 실행함에 있어서 과제 중 하나는 환경의 표면 내에 또는 그 상에 존재하는 미생물 오염 물질을 불활성화시키는 데 필요한 최소량의 소독제를 도입하는 것이다. 필요한 것보다 적은 소독제를 도입하는 것은 불쾌한 미생물 오염 물질의 생존을 초래할 수 있거나, 효과적이게 하는 데에 과도한 접촉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필요한 것보다 많은 소독제를 도입하는 것은 소독제 비용과 관련하여 비경제적일 수 있고, 과량의 소독제는 상업적으로 허용가능한 시간의 양 내에 객실에 다시 들어가기 위해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제거하기 어렵거나 시간 소모적일 수 있다. 많은 소독제는 수용액으로서 제공된다. 소독제 및/또는 물에 의한 환경의 대기의 포화는 환경의 대기 중에서 달성될 수 있는 소독제의 최대 농도를 제한한다. 너무 많은 소독제 용액이 도입되는 경우, 과량의 소독제 용액은 환경의 바닥에 침착 및/또는 응축되어 고일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환경 중에 존재하는 재료 또는 장비를 부식시키거나 그에 달리 유해할 수 있다.
환경의 오염 제거에 대한 다른 과제는, 환경 중에 정착되고 나면 미생물 오염 물질과 접촉하여 불활성화시키는 데 충분한 시간 동안 효과적인 양의 소독제를 유지하는 것이다. 소독제는 또한 환경 중의 재료에 의해 분해되거나 흡수되기 쉬워서, 환경의 대기 중의 소독제의 초기 농도가 비효과적이거나 비효율적인 수준까지 감소하게 된다.
환경 중의 습도가 미리설정된 수준 미만으로 떨어진 때 추가의 소독제를 분무함으로써 소독제 농도의 손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시키고, 습도가 다른 미리설정된 다른 수준으로 증가한 때 소독제의 분무를 중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소독제의 분무 동안 환경을 제습(dehumidifying)함으로써 환경의 대기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초기에 존재하는 농도를 초과하여 증가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의 단점은 소독제 용액이 환경 중으로 도입되는 동안 제습 과정에 의해 수분 및 소독제가 동시에 제거된다는 것이다. 이는 요구되는 시간의 양 동안 환경 중의 또는 그 상의 미생물과 접촉하는 데 이용가능한 소독제의 실제 투입량을 결정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약 500 ppm 이하의 소독제의 농도를 갖는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더 낮은 농도로 일정 기간 동안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상기 일정 기간 동안 환경을 제습하는 단계, 및 환경의 하한 상대 습도와 상한 상대 습도 사이의 차이를 약 20 내지 50%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일정 기간 동안 수분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환경을 가습(humidify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태양은 소독제의 공급원, 수분의 공급원, 하나 이상의 분무 발생기(spray generator), 및 제습기(dehumidifier)를 포함하는,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오염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분무 발생기는 소독제의 공급원 및/또는 수분의 공급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유체 연통되고, 소독제 및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미스트(mist) 또는 증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환경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제습기는 환경으로부터 소독제 및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발명에서,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대기압으로 유지되는 환경 중으로 도입되는 소독제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환경 중으로의 소독제 용액의 도입, 및 환경의 대기 중의 소독제가 제습 전의 소독제 도입 단계에서 도달되는 것보다 높은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환경의 후속 제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전술된 방법의 하나 이상의 집합을 포함하며, 여기서 소독제 용액의 도입의 각각의 단계에 후속하여, 습도가 감소되는 동시에 습도의 감소 단계 또는 단계들 전의 소독제의 도입에 기인하는 농도에 비해 환경의 대기 중의 소독제 농도가 수반하여 증가되는 순 효과(net effect)를 가진 제습 단계가 이어진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환경 중으로 전달되는 소독제 용액의 투입량을 고정시키고 본질적으로 대기압에서 투입량이 전달된 후에 제습 과정을 수행하여 궁극적으로 신뢰성 있고 예측가능한 방식으로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개략적으로 전술된 단점을 최소화하면서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기술된 발명은 이러한 발명의 내용에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기술된 다양한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일 실시예의 오염 제거 장치의 전방 사시도.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일 실시예의 오염 제거 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3>
도 3은 장치의 전방 도어가 개방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일 실시예의 오염 제거 장치의 정면도.
<도 4>
도 4는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일 실시예의 오염 제거 장치의 정면도.
<도 5>
도 5는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6>
도 6은 다수회 소독제 도입 각각에 후속하여 제습이 이어지는,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7>
도 7은 환경을 제습하기 전에 환경 중으로 도입되는 소독제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8>
도 8은 환경을 제습하기 전에 환경의 표면 상에 액체 소독제를 침착 및/또는 응축시킴으로써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그래프.
본 개시 내용에서, 달리 지시되는 경우 이외에, 모든 수치 파라미터는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 시작하여 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 경우 수치 파라미터는 이 파라미터의 수치값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초적인 측정 기술의 고유한 변동성의 특성을 가진다. 적어도,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와 동등한 원칙의 응용을 제한하려는 시도로서가 아니라, 본 설명에 기술된 각각의 수치 파라미터는 적어도, 보고된 유효 숫자의 개수를 고려하여 그리고 통상적인 반올림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임의의 수치 범위는 열거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하위 범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1 내지 10"의 범위는 열거된 최소값 1과 열거된 최대값 10 사이(및 이를 포함함), 즉 1 이상인 최소값 및 10 이하인 최대값을 갖는 모든 하위 범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열거된 임의의 최대 수치 한계는 그에 포함되는 모든 더 낮은 수치 한계를 포함하도록 의도되며, 본 명세서에 열거된 임의의 최소 수치 한계는 그에 포함되는 모든 더 높은 수치 한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출원인은 본 명세서에 명확하게 열거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임의의 하위 범위를 명확하게 열거하기 위해, 특허청구범위를 비롯한 본 개시 내용을 보정할 권리를 갖는다. 모든 그러한 범위는 임의의 그러한 하위 범위를 명확하게 열거하려는 보정이 35 U.S.C. § 112, 첫 단락, 및 35 U.S.C. § 132(a)의 요건을 따르도록 본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것으로 언급되는 임의의 특허, 공보 또는 다른 개시 자료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전체적으로, 하지만 포함된 자료가 본 설명에 명확하게 기재된 기존의 정의, 표현 또는 다른 개시 자료와 상충되지 않는 범위로만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오염 제거"라는 용어는 반드시 전혀 없는(zero) 것은 아니지만 허용가능한 수준으로의 미생물의 감소를 의미하며, 위생 처리, 소독 및 살균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염 제거는 또한 프리온(prion), 원충 접합자(protozoal oocyst), 박테리아 내생포자(bacterial endospore), 마이코박테리아(mycobacteria), 바이러스, 진균 포자(fungal spore), 영양형 박테리아(vegetative bacteria), 및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의 불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고; 위생 처리는 공중 위생 관점에서 안전한 것으로 고려되는 수준으로의 미생물의 감소를 지칭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미생물의 5 미만의 대수 감소(log reduction)를 필요로 하고; 소독은 무생물 표면 상의 질병-유발 유기체의 감소를 지칭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미생물의 5 이상의 대수 감소를 필요로 하고; 살균은 포자를 비롯한 모든 미생물 생명체의 박멸을 지칭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미생물의 6 이상의 대수 감소를 필요로 한다.
"환경"이라는 용어는 개방된 영역, 기체 또는 공기의 밀폐된 영역, 폐쇄된 영역, 객실, 격리 공간(isolator), 구내 공간, 또는 오염 제거를 필요로 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공간, 장소, 및/또는 영역을 의미한다. "환경"이라는 용어는 또한 표면, 장비, 장치, 침대, 탁자, 및/또는 공간, 장소, 및/또는 영역 내의 임의의 다른 물품을 포함한다. 살균성 화학물질의 농도 및 응용에 따라, "환경"이라는 용어는 또한 공간, 장소, 및/또는 영역 내의 가금류, 및/또는 동물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환경은 객실 또는 "구내 공간"일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서, 환경은 예를 들어 25 내지 100 m3의 객실이다. 구내 공간은 창문과 문을 포함할 수 있고, 가구가 비치되거나 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소독제의 공급원(4), 수분의 공급원(16), 소독제의 공급원(4) 및 수분의 공급원(16)과 유체 연통되고 소독제 및 수분을 환경(100)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된 분무 발생기(8), 및 환경(100)으로부터 잔류 소독제 및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제습기(18)를 포함하는 하우징(2)을 포함하는, 환경(100)을 살균하기 위한 오염 제거 장치(10)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소독제의 공급원"은 오염 제거 장치(10)의 분무 발생기(8)와 유체 연통되는 소독제의 공급부를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리고 예시된 바와 같이, 소독제의 공급원(4)은 비축되는 일정량의 소독제를 보유하기 위한 용기 또는 탱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소독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오염 제거 용액을 지칭한다. 소독제는 단일 또는 다중 성분 오염 제거 액체 또는 용액, 예컨대 전해수, 물과 알코올의 혼화성 용액, 살생물제, 예컨대 과산화수소, 유기 화합물, 과아세트산, 과포름산, 다른 과산 화학물질, 아세트산, 에톡실화 첨가제(계면 활성제), 이온, 예컨대 은 이온, 오존화 액체, 염소 화합물, 차아염소산염, 사차 암모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오일 및 이들의 블렌드, 및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독제는 약 40% 미만, 약 20% 미만, 약 10% 미만, 또는 약 5 내지 8% 범위의 농도의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이다. 단지 하나의 소독제의 공급원(4)이 예시되어 있지만, 소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오염 제거 장치(10)가 매우 큰 환경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될 때, 또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하나 이상의 비축 또는 예비 소독제 공급원이 요구되는 경우와 같이, 2개 이상의 소독제의 공급원이 이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2개 이상의 소독제의 공급원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소독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수분의 공급원"은 환경 중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기 위해, 또는 더욱 전형적으로는 절대 또는 상대 습도로서 측정되는 제1 습도 수준으로부터 제1 습도 수준보다 높은 제2 습도 수준으로 환경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분을 보유하거나 이용하는 임의의 용기 또는 장치를 지칭한다. "수분"이라는 용어는 환경에 첨가될 때 환경 중의 절대 또는 상대 습도를 증가시키는 자유수(free water)의 일부를 포함하는 임의의 조성물을 의미한다. 수분은 그의 다양한 형태로의 물, 또는 예를 들어 소량의 소독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조성물과 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른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수분의 공급원은 실질적으로 소독제를 함유하지 않은 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물은 살균 상태이다. 절대 습도는 0.5 kg (1 파운드)의 건조 공기와 결합되는 수증기의 파운드 수이며, 단순히 습도로도 불린다. 절대 단위는 예를 들어 건조 공기의 파운드당 물의 그레인(grain) 또는 이슬점(dew point)을 포함할 수 있다. 상대 습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의 분압 대 통상의 온도에서의 물의 증기압의, 대개 백분율로서 표시되는 비이다. 상대 습도는 본질적으로 공기의 포화도를 기술한다.
소독제는 미스트 및/또는 증기의 형태로 오염 제거 장치(10)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소독제가 미스트의 형태로 분산될 때, 미스트의 일부 부분이 오염 제거 장치(10)를 빠져 나가기 전에 또는 빠져 나갈 때 기화하거나 증발하여 증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미스트"라는 용어는 액체의 작은 액적들로 구성된 물질을 의미한다. 액체의 작은 액적들의 크기 및 밀도에 따라, 미스트는 일반적으로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증기"라는 용어는 자유 분자들로 구성된 기체를 의미한다. 증기는 미스트 또는 액체의 증발로부터 생성된다. 명확함을 위해, 소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 및 방법은 환경(100) 중으로의 "분무" 또는 "미스트"의 방출의 형태로 기술될 것이지만, 당업자는 환경(100) 중으로 장치(10)를 빠져 나가는 스트림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가 증기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소독제의 공급원(4)은 환경(100) 중으로 소독제를 분해하기 위한, 분무 노즐과 같은 출구(12)를 갖는 액적 또는 분무 발생기(8)와 도관(6)을 통해 유체 연통될 수 있다. 분무 발생기(8)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통상적인 미스트 또는 액체 액적 발생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환경으로부터의 따뜻한 건조된 공기가 분무 발생기를 통해 채널링될(channeled)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분무 발생기(8)는 약 1 내지 20 마이크로미터, 약 1 내지 10 마이크로미터, 약 1 내지 5 마이크로미터, 또는 약 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 직경 미스트 액적들의 미세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스트는 단-분산성(mono-dispense)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미국 플로리다주 디어필드 비치 소재의 포그마스터 코포레이션(Fogmaster Corporation)에 의한 포그마스터(Fogmaster)와 같은 구매가능한 분무 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분무 발생기(8)는 초음파 가습기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분무 또는 미스트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액체의 액적들이 기류 내로 흡인되고 다른 액적들과 충돌하는 난류 공기 유동에 의해 더 작은 액적들로 전단되는(sheared) 난류 혼합(turbulent mixing)이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분무 발생기(8)는 소독제의 공급원(4)으로부터 그리고 도관(6)을 통해 소독제를 흡인하기 위해 장치 내에 압력차가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도관(6)이 분무 발생기(8)와 유체 연통된다는 사실로 인해, 소독제는 분무가 출구(12)로부터 빠져 나가서 환경(100) 중으로의 분무의 이동에 의해 생성되는 진공의 결과로서 이동될 때 제1 도관(6)을 통해 흡인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차는 출구(12) 밖으로 그리고 환경(100) 중으로 분무를 분배하는 데 필요한 힘을 제공한다. 소독제 이동 장치(도시 안됨)가 또한 분무 발생기(8)로의 소독제의 전달을 돕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소독제 이동 장치는 소독제의 공급원(4)으로부터 분무 발생기(8)로의 소독제의 이동을 돕도록 구성되는 펌프, 팬, 송풍기, 및/또는 다른 적합한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구성요소가 하우징(2) 내에 또는 그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오염 제거 장치(10)의 분무 발생기(8)에 의해 생성되는 미스트의 양은 소독제의 공급원이 존재하는 한 미스트가 지속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므로, 단지 더 오랜 기간 동안 오염 제거 장치(10)를 작동시키는 것만에 의해 임의의 환경에 대해 용이하게 조정가능할(scalable)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오염 제거 장치(10)는 또한, 오염 제거 장치(10)의 하우징(2) 내로 통합되고 수분으로 환경(100)을 가습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분의 공급원(16)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수분의 공급원(16)은 환경으로 수분을 배출하는 분무 발생기(8)에 물을 공급하는 도관(17)을 포함하는 용기 또는 탱크의 형태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분의 공급원(16)은 소독제의 공급원(4)에 인접한 위치에서와 같이 하우징(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소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오염 제거 장치(10)는 하나 초과의 분무 발생기(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 제거 장치(10)가 2개의 분무 발생기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소독제의 공급원으로부터의 하나의 소독제 도관은 제1 분무 발생기와 유체 연통될 수 있고, 수분의 공급원으로부터의 별개의 수분 도관이 제2 분무 발생기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서, 오염 제거 장치(10)는 2개 초과의 분무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소독제의 공급원으로부터 원하는 수의 분무 발생기로의 하나 이상의 소독제 도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분의 공급원으로부터 원하는 수의 분무 발생기로의 하나 이상의 수분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염 제거 장치(10)는 단일 분무 발생기(8)를 이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소독제의 공급원(4) 및 수분의 공급원(16)은 소독제 도관(6), 수분 도관(17), 와이(wye), 및 단일 도관을 통해 분무 발생기(8)와 유체 연통되어 위치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도관(6, 17) 및 와이를 포함하는 모든 도관은 작동의 용이함을 위해 굽힘가능하고 압축가능한 배관으로 제조된다. 소정 실시예에서, 와이는 소독제 도관(6) 및 수분 도관(17)이 분무 발생기(8)와 유체 연통되는 단일 도관을 통해 그들 각자의 공급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삼각형 접합부일 수 있다. 와이는 도관(6)으로부터 소독제를 그리고/또는 도관(17)으로부터 수분을 수용할 수 있으며, 소독제 및/또는 수분 공급물이 도관(7)을 통해 분무 발생기(8)로 통과하게 한다. 와이는 소독제 및 수분 둘 모두가 단일 분무 발생기(8)로부터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분무되게 한다. 예를 들어, 소독제 및 미스트가 별개의 분무 발생기들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무될 수 있도록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분무 발생기가 이용될 수 있지만, 와이는 감소된 구성요소 부품 및 비용을 가능하게 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수분의 공급원은 필터를 통해 여과될 수 있거나, 살균 또는 소독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소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수분의 공급원(16)을 와이에 연결하는 수분 도관(17)은 소독제의 공급원(4)을 와이에 연결하는 소독제 도관(6)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수분 도관(17)은 분무 발생기로부터의 분무 후에 남아 있는 잔류 소독제가 분무 발생기가 꺼질 때마다 수관으로 하강하여 수분의 공급원(16) 내로 배수되게 하도록 더 낮게 위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정 실시예에서, 오염 제거 장치(10)는 배수 탱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탱크(30)는 예시된 바와 같이, 오염 제거 장치(10)의 가장 낮은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배수 탱크(30)는 오염 제거 작동으로부터의 과량의 소독제 또는 다른 용액 또는 제습 과정으로부터의 물과 같이, 오염 제거 장치(10)의 작동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는 잔류 수분 및 다른 부산물을 포획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서, 소독제의 공급원(4) 및 수분의 공급원(16)은 제품 정보, 로트(lot) 번호, 유효 기간, 체적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에 저장된 정보는 RFID 리더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RFID 리더는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체적을 충전하며, 유효 기간을 확인하기 위해, 태그와 주기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소독제의 공급원(4) 및 수분의 공급원(16) 상의 RFID 태그들 사이의 통신은 오염 제거 장치(10)의 작동자가 예를 들어 각자의 용기 내에 남아 있는 소독제 또는 수분의 양을 통지받게 한다. 소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RFID 리더는 소독제의 공급원(4) 및 수분의 공급원(16)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오염 제거 장치(10)는 또한 환경(100)으로부터 소독제 및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습기(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습기(18)는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 내에, 예컨대 오염 제거 장치(10)의 후방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하우징(2) 내에 통합된 때, 오염 제거 장치(10)는 그 중에 수분 및/또는 소독제를 갖는 공기가 환경(100)으로부터 제습기(18) 내로 흡인되게 하는 제습기 흡입구(1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오염 제거 장치(10)의 어느 하나의 측면 또는 두 측면 모두가 제습기(18)로부터 처리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다시 환경(100)으로 배출하는 제습기 배출구(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18)는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 소재의 서마-스토 엘엘씨(Therma-Stor LLC)에 의해 제조되는, 일당 150 파인트(pint per day, ppd)의 수분 제거 용량을 가진 응축 유형 제습기 산타페 맥스 드라이 듀얼 엑스티(Santa Fe Max Dry Dual XT)와 같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통상적인 제습기, 바람직하게는 140 ppd @ AHAM 초과의 속도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일 수 있다.
소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오염 제거 장치(10)는 스크러버(scrubber)(도시 안됨)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스크러버는 환경(100)으로부터 미립자 및/또는 기체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습식 또는 건식 스크러버-유형 공기 오염 제어 장치일 수 있다. 스크러버가 이용될 때, 잔류 기체 또는 추가의 잔류 소독제, 예컨대 과산화수소를 환경(100)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팔라듐 촉매와 같은 다양한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오염 제거 장치(10)는 작동 동안 오염 제거 장치(10)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작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돕는 다양한 감지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 제거 장치(1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습도 센서, 소독제 센서, 및/또는 수위 센서(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소독제 센서는 환경(100)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과산화수소가 소독제로서 이용될 때 과산화수소 센서일 수 있다. 습도 센서는 환경(100)의 상대 습도를 모니터링하도록 하우징(2) 내에 위치되거나 환경 내의 물체에 부착될 수 있다. 수위 센서는 용액의 높이와 관련하여 전기 용량에 있어서의 용액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용액의 수준을 검출하는 용량형 센서일 수 있다. 용량형 수위 센서는, 예를 들어 배수 탱크(30)가 가득 차서 액체가 배수 탱크(30)로부터 배수될 필요가 있음을 오염 제거 장치(10)의 작동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용량형 수위 센서가 배수 탱크(30)가 가득 차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는 경우 오염 제거 장치(10)는 정지될 것이다.
소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오염 제거 장치(10)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은 오염 제거 장치(10)의 작동의 다양한 양태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부(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소독제의 공급원(4), 수분의 공급원(16), 하나 이상의 분무 발생기(8), 및 제습기(18)를 포함하는, 환경(100)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오염 제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오염 제거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들과 유사한 구성요소 및 작동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되며, 이 경우 예를 들어 수분의 공급원(16), 제습기(18)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하우징(2)의 외측에, 하지만 환경(100) 내에 위치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하우징(2)과 별개인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오염 제거 장치(10)와 유체 연통되거나 유체 연통되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이들 별개의 구성요소의 작동은 오염 제거 장치와 협력하여 이용될 수 있거나, 오염 제거 장치로부터 독립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의 공급원은 오염 제거 장치(10)의 외부에 그리고 별개로 위치되는, 크레인 유에스에이 인크.(Crane USA, Inc.)에 의해 일당 최대 약 7.95 L (2.1 갤론)의 수분을 전달하는 용량을 갖는 크레인 모델 # EE-3186 가습기와 같은 가습기일 수 있다.
오염 제거 과정 동안, 소독제는 1회 이상 환경 중으로 도입될 수 있고, 후속하여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이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약 500 ppm 이하, 약 100 내지 500, 또는 약 10 내지 100 ppm의 소독제의 농도를 갖는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제습을 사용하는 환경으로부터의 소독제의 제거에 의해 일정 기간 내에 더 낮은 농도로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정 실시예에서, 약 50 ppm 이하, 또는 약 10 내지 50 ppm의 소독제의 농도가 일정 기간 내에 더 낮은 농도로 감소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ppm 이하, 또는 약 2 내지 10 ppm의 소독제의 농도가 일정 기간 내에 더 낮은 농도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라는 용어는 오염 제거 장치(10) 내에 잔류하는 소독제는 제외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환경은 소독제가 환경 중으로 도입될 때, 약 13 내지 35℃ 또는 약 20 내지 27℃ (약 55 내지 95℉ 또는 약 68 내지 80℉)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습을 사용하여 환경으로부터 과산화수소를 더 낮은 농도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소독제 농도를 약 10 ppm, 5 ppm 또는 3 ppm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오염 제거 과정에서 소독제로서 과산화수소가 이용될 때, 사람이 환경으로 다시 들어갈 수 있기 전에, 정부 규정에 의해 허용가능한 것으로 여겨지는 농도로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에게 안전한 것으로 여겨지는 과산화수소 농도는 약 1 ppm 이하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준은 소정 국가에서는 더 높을 수 있고, 이로써 허용가능한 수준은 상이한 국가의 정부 규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소독제가 제습기를 사용하여 환경으로부터 제거될 때의 기간 동안, 환경의 제습은 소독제 농도가 더 낮은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환경의 가습은 동일한 기간 동안 가습기의 출력에 따라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있다. 대안적으로, 소독제가 제습기를 사용하여 환경으로부터 제거될 때의 기간 동안, 환경의 제습은 소독제 농도가 더 낮은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간헐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환경의 가습은 동일한 기간 동안 가습기의 출력에 따라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있다. 대안적으로, 소독제가 제습기를 사용하여 환경으로부터 제거될 때의 기간 동안, 제습 및 가습 둘 모두가 간헐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임의의 주어진 시점에 제습 및 가습은 동시에 작동할 수 있거나, 제습 및 가습 중 하나가 작동 상태이고 다른 하나는 작동 중지 상태이거나, 제습 및 가습 둘 모두가 잠시 작동 중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습 및 가습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라는 용어는 균등하게 이격되거나 가변적인 시간 간격으로 적어도 한번 제습 및/또는 가습의 작동 및 작동 중지를 순환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제습에 대한, 고려되는 기간의 총 시간에 대한 작동 시간의 비로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사용률(duty cycle)은 제습 및 가습 유닛의 상대 제거율 및 출력에 따라 가습에 대한 사용률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습 및 가습은 서로 같은 위상으로 또는 다른 위상으로 순환될 수 있다.
이론에 의해 구애되고자 함이 없이, 전술된 바와 같은 제습과 함께 연속적이거나 간헐적인 가습에 의해 환경으로부터 과산화수소를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가능한 메커니즘은 (1) 증기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과산화수소가 가습기에 의해 전달되는 수분의 액적에 용해되는 것; (2) 액적으로서 액체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과산화수소가 가습기에 의해 전달되는 수분의 액적과 충돌하고, 그와 합쳐지며, 그에 의해 희석될 수 있는 것; (3) 증기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과산화수소가 가습기에 의해 전달되는 수분에 의한 대기의 포화로 인해 대기로부터 응축될 수 있고, 전술된 바와 같이 합쳐지고 희석될 수 있거나, 표면 상으로 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과정의 제습 부분 동안 전술된 바와 같이 재-증발될 수 있고 수분에 용해될 수 있는 것; 및/또는 (4) 물과 비교할 때 더 큰 분자량 및 더 높은 증기압으로 인해, 가습기에 의해 전달되는 수분으로 인해 상대 습도가 증가됨에 따라, 과산화수소가 물에 앞서 응축되는 것이다.
소정 실시예에서, 소독제가 제습을 사용하여 환경으로부터 제거되는 기간 동안, 수분의 공급원에 의한 환경의 가습은 환경의 하한 상대 습도와 상한 상대 습도 사이의 차이를 약 20 내지 50%로 유지하는데, 예를 들어 가습은 환경의 하한 상대 습도와 상한 상대 습도 사이의 차이를 약 50%로, 예를 들어 약 30%(하한 상대 습도) 내지 80%(상한 상대 습도) 범위의 환경의 상대 습도로 유지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가습은 약 40%의 차이로, 예를 들어 약 40 내지 80% 범위의 환경의 상대 습도로, 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게, 약 30%의 차이로, 예를 들어 약 25 내지 55% 범위의 환경의 상대 습도로, 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게, 약 25%의 차이로, 예를 들어 약 30 내지 55% 범위의 환경의 상대 습도로, 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게, 또는 약 20%의 차이로, 예를 들어 약 25 내지 45% 범위의 환경의 상대 습도로, 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소독제가 환경으로부터 제거되는 기간 동안 수분의 공급원에 의한 환경의 가습은 환경 중의 상대 습도를 약 25 내지 80%, 약 25 내지 55%, 약 30 내지 55%, 또는 약 25 내지 45%로 유지한다.
소독제가 환경으로부터 제거될 때의 기간 동안,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습이 먼저 작동될 수 있다. 그 후이지만 동일한 기간 동안, 환경의 상대 습도가 약 25%에 도달할 때, 예를 들어 상대 습도를 약 25 내지 55%로 유지하기 위해 가습이 작동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환경의 상대 습도를 약 25 내지 80%로 유지하기 위해 수분에 의한 환경의 제습 및 가습의 조합은 제습만이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더 짧은 기간 내에,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가 허용가능한 더 낮은 농도 수준, 예를 들어 약 10.0 ppm 이하, 약 5.0 ppm 이하, 약 3.0 ppm 이하, 또는 1.0 ppm 이하에 도달할 때까지 소독제가 제거되게 한다. 소정 실시예에서, 이 기간 동안 환경을 가습하는 단계는 300 ml/분 미만의 속도, 또는 대안적으로 약 10 내지 80 ml/분, 약 40 내지 70 ml/분 범위의 속도, 또는 원하는 기간 내에 원하는 습도로 특정 객실 크기를 가습할 속도로 수분을 도입시킬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제습 및 가습은 자동이거나 수동일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제습 및 가습은 수동 작동이 필요하지 않도록 감지 장치 및 제어기의 사용을 통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소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팔라듐 촉매를 포함하는 스크러버를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러빙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스크러버의 사용이 환경으로부터 소독제의 농도를 더 낮은 농도로, 즉 사람이 환경으로 다시 들어가기 위해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데 요구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스크러버, 특히 촉매 스크러버의 비용은 오염 제거 장치의 비용을 상당하게 증가시킨다. 따라서, 스크러빙 단계가 본 발명에 따른 환경으로부터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오염 제거 장치로부터 스크러버를 제외하고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은 임상적 미생물의 수준을 3, 4, 5 또는 6 대수만큼 감소시키기 위해, 환경 중으로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소독제를 도입시키고, 이어서 전술된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객실 내의 소독제의 농도 또는 양, 또는 상대 습도를 달성하기 위해, 또는 요구되는 수준의 오염 제거가 충족될 때까지, 1회 이상의 소독제의 도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독제는 오염 제거 시스템이 작동되고 있음을, 즉 분무 발생기가 기능하고 있음을 보장하기 위한 초기 시스템 확인 단계, 및/또는 제1 소독제 주입, 제2 소독제 주입 등과 같은 소독제 도입 단계 동안 환경 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에서,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은 원하는 상대 습도, 예를 들어 약 50 내지 60%에 도달될 때까지 과산화수소를 도입시키고, 이어서 소독제가 환경 중에 체류하게 하는 일정 기간을 포함할 수 있고, 그 후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서,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은 원하는 상대 습도, 예를 들어 약 70 내지 80%에 도달될 때까지 과산화수소를 도입시켜서, 소독제가 환경 중에 체류하게 하고 다음 반복 사이클 전에 60 내지 70%의 상대 습도로 환경을 제습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나 초과의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후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소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제습의 사용은 환경의 표면 상에 소독제를 농축시키기 위해 소독제의 도입 전, 도입 동안, 또는 도입 후에 이용될 수 있다. 이론에 구애되고자 함이 없이, 예를 들어 더 큰 분자량 및 더 낮은 증기압을 갖는 과산화수소는 습도가 증가될 때 물에 앞서 응축할 것이며; 더 작은 분자량 및 더 높은 증기압을 갖는 물은 간헐적 가습 및 제습이 환경 중의 과산화수소의 농축을 가능하게 하는 순 효과로 인해 습도가 낮아질 때 과산화수소에 앞서 증발할 것이다.
소정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수계(water-based) 소독제 중의 물은 소독제 도입 단계 동안 소독제가 실제로 전달되고 있는지를 습도 센서를 사용하여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별개의 소독제 센서를 사용할 필요를 제거한다.
추가적 발명에서, 환경의 표면 상에 그리고 대기 중에 소독제를 농축시키는 방법은 도 6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소독제의 다수회 도입을 포함하며, 이들 도입 각각에 후속하여 제습 단계가 이어진다. 소독제의 제2 도입으로 시작하여, 소독제보다 비례적으로 더 많은 물을 제거함으로써 과정이 우선적으로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있음을 나타내는, 상대 습도(RH)가 감소함에 따른 소독제 농도(ppm)가 증가의 경향이 존재한다는 것에 주목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은 제1 습도를 달성하도록 소독제를 도입하고 소독제의 도입을 중단하며; 이어서 제1 습도보다 낮은 제2 습도로 제습하고 제습을 중단하며; 이어서 제1 습도보다 낮지만 제2 습도보다는 높은 제3 습도를 달성하도록 소독제를 도입하고 소독제의 도입을 중단하며; 이어서 제2 습도보다 낮은 제4 습도로 제습하는 것 등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소정 실시예는 환경의 제습에 의해 환경 또는 구내 공간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환경 중으로 소독제 용액을 도입하는 단계, 충분한 액체 소독제가 환경의 표면 상에 존재하여 환경의 후속 제습 시에 표면 상의 그리고 환경 중의 소독제 농도가 증가되게 하도록 본질적으로 대기압에서 미스트를 침착시키고 그리고/또는 증기를 응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환경의 표면 상에 그리고 대기 중에 소독제를 농축시키는 방법은 단일의 연속적 또는 간헐적 주입으로 소독제의 수용액 - 여기서 소독제는 물보다 덜 휘발성임 - 을, 환경의 표면 상에서 액체 소독제 및 물을 침착 또는 응축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환경 중으로 도입하는 단계, 및 이어서 응축 또는 침착된 액체 소독제를 증기상으로 되게 하는 데 충분한 시간 및/또는 정도로 환경을 제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법의 사용은 제습 전에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보다 약 5 ppm, 약 80 ppm, 또는 약 285 ppm 더 높은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생성한다.
이론에 의해 구애되고자 함이 없이, 각각의 제습 단계 후의 소독제 농도에 있어서의 증가는 환경 중으로의 소독제의 도입 단계가 응축 유형 제습기에 의한 소독제 및 수증기의 제거에 의해 증기상으로 되는, 대기 중에 포화될 수 있거나 환경의 표면에 의해 분해 또는 흡수될 수 있는 양을 초과하는 과량의 소독제를 도입할 때, 환경의 대기로부터의 소독제 증기의 응축 및/또는 소독제 미스트의 액적의 침착으로부터 환경의 표면 상에 축적되는 액체 소독제의 존재에 좌우되고 이에 비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소정의 다른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제습 단계는 하기 이벤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에 의해 개시된다: 소독제 도입 단계의 개시 또는 완료 중 하나 후의 미리설정된 양의 시간 경과; 미리설정된 양의 소독제의 환경 중로의 도입 완료; 환경의 대기 중의 소독제의 원하는 농도 달성; 환경의 대기 중의 소독제의 피크 농도 달성; 환경의 대기 중의 원하는 상대 습도 달성 및 환경의 표면 상의 액체의 존재의 검출. 이러한 방법으로 인한 소독제의 농도에 있어서의 증가는 방법이 의도된 대로 실시되었음을 보장하기 위해 진단 또는 품질 제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기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는 실시예의 범주를 제한함이 없이 다양한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추가로 기술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예들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 1
객실이 소독된 후에 남아 있는 높은 수준으로부터 객실로 다시 들어가기 위해 허용가능한 낮은 수준으로 소독제를 제거하는 시간이 객실의 간헐적 가습 및 제습에 의해 현격하게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예에서, 40% RH의 43 m3의 객실을 소독제로 처리하였다. 가습기에 의해 분배된 물의 양은 각각의 실험이 진행되기 전과 후에 물 탱크를 칭량함으로써 결정하였다. 실험 케이스 1 및 2에서, 소독제 제거 부분 동안 객실 내로 물을 분배하지 않았다. 실험 케이스 3 및 4에서, 소독제 제거 부분 동안 물을 사용하였고 제습기 및 가습기를 가동하였다. 1 ppm 이하의 소독제 수준에 도달하는 시간을 기록하였다. 제습기만으로는 소독제를 1 ppm까지 감소시키는 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가습 없이 제습기를 사용한 실험 케이스 1 및 2는 5.02 시간 후에 종료하였다. 실험 케이스 3 및 4에서, 약 1시간 30분 후에 1 ppm 이하에 도달하였고, 이는 제습과 조합하여 물이 객실 내로 분배되는 경우, 소독제의 농도가 더 짧은 기간 내에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Figure pct00001
예 2
환경의 표면 상에 소독제를 침착 또는 응축시키기 위해 충분한 소독제가 환경 중으로 도입될 때, 후속 제습이 환경의 표면 상에 소독제를 침착 또는 응축시키기에 불충분한 소독제가 도입되는 경우에 달성될 수 있는 것을 초과하는 증가된 농도를 생성할 것임을 입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양의 소독제의 도입 후에 제습으로 구성되는 2개의 오염 제거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소독제는 물 중 5% 과산화수소의 용액이었다. 각각의 진행을 개시하기 전에, 초기 상대 습도를 50%로 조절하였다. 도입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환경 중으로 도입되는 소독제의 양을 변동시켰다. 하나의 실험 진행에서 3분 동안, 그리고 다른 실험 진행에서 8분 동안 환경 중으로 소독제를 주입하였다. 각각의 실험 진행에 있어서, 일당 95 파인트의 수분 제거에 대한 조합 용량을 갖는 2개의 제습기를 켬으로써, 도입 단계가 시작된 지 10분 후에 제습 단계를 시작하였다. 환경의 대기 중의 소독제의 농도 및 상대 습도를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하여 플로팅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트레이스들의 상부 세트는 상대 습도를 나타내고, 트레이스들의 하부 세트는 소독제 농도에 관한 것이다. 트레이스들의 각각의 세트에서, 상부 트레이스는 소독제의 8분 주입에 대응하고, 하부 트레이스는 소독제의 3분 주입에 대응한다. 가습기는 습도가 45%로 감소된 때 켰고, 습도를 45% 내지 50%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그래프는, 8분 주입으로 인한 상대 습도가 4분 미만에 90% 초과에 도달하였고 6분 미만에 100%의 최대 판독값에 도달한 반면, 3분 주입으로 인한 상대 습도는 4분 후에 겨우 약 81%에 도달하였고 이어서 제습이 개시되기 전에 약 74%로 하락하였음을 보여준다. 도 7은 또한, 소독제의 도입으로부터 약 15분 후에 8분 주입을 한 실험에 대한 트레이스에서 소독제의 농도가 증가한 반면, 3분 주입에 대한 트레이스는 그러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고 사실상 소독제 농도가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보여준다. 8분 주입에 의한 실험 동안 실험실은 미스트로 채워졌고, 이는 실험실의 표면 상에 침착되었음을 알았다. 제습기를 켰을 때, 수증기 및 과산화물 증기가 대기로부터 제거되었고, 제습기 내에 응축되었으며, 각각의 실험에서 환경에 대해 더 이상 이용가능하지 않았지만, 8분 주입 후의 다양한 표면 상에서 관찰된 액체 과산화물은 이어서 기화되어 대기 중의 감소된 물 및 과산화물을 보상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기화 과정 동안, 물은 과산화수소보다 빠르게 기화하고, 이는 표면 상에 남겨진 액체 과산화물을 농축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초기 제습 과정 동안, 표면 상의 액체 과산화물은 더욱 농축되었고, 더욱 농축된 과산화물은 표면으로부터 기화되었다. 제습기에 의해 제거된 것보다 많은 과산화물이 기화되었으며, 이로써 소독제의 도입 개시 후 약 15분에 농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모든 소독제가 도입 후 증기상으로 존재한다면, 8분 주입과 3분 주입의 환경의 대기 중의 농도 사이의 예상 비는 8 대 3, 또는 약 2.66일 것인 반면, 관찰된 실제 비는 5.0만큼 컸으며, 이는 침착된 액체로부터의 추가 과산화물이 제습기에 의해 증기상으로 되었음을 나타낸다.
예 3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습 후 환경의 대기 중에 달성되는 소독제의 농도가 환경의 대기 중에 달성되는 소독제의 농도를 초과할 수 있음을 입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개의 실험 진행 각각에서 소독제의 도입 전에, 환경을 25%의 상대 습도로 조절하였다. 각각의 실험 진행의 파라미터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각각의 실험 진행에서, 소독제의 농도는 약 60분의 기간 내에 조합된 총량을 도입하기 위해 제1 양을 전달하기 위한 일정 기간 동안 제1 속도로 그리고 제2 양을 전달하기 위한 제2 속도로 도입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각각의 실험 진행은 소독제 도입 단계 후의 대기 중의 소독제의 제1 피크량 및 제습 단계 후의 소독제의 제2 피크량을 생성하였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15% 실험 진행의 제1 피크의 높이는 7.5% 실험 진행의 제1 피크의 높이의 약 2배이다. 7.5% 실험 진행에서, 제2 피크의 높이는 제1 피크의 높이를 훨씬 초과한 반면, 15% 실험 진행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는 것에 주목한다. 제습 후의 이러한 농도 효과는 후속 제습 단계에 의해 재-기화되는 환경의 표면 상의 과산화물의 응축을 야기하는, 7.5% 실험 진행에 의해 환경의 대기에 전달되는 더 많은 양의 소독제 용액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개시 내용은 다양한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개시된 실시예들(또는 그 일부) 중 임의의 것의 다양한 대체, 변형 또는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명확하게 기재되지 않은 추가의 실시예를 포함한다는 것이 고려되고 이해된다. 그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의 개시된 단계, 구성요소, 요소, 특징, 태양, 특성, 제한 등 중 임의의 것을 조합, 변형 또는 재편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출원인은 본 명세서에 다양하게 기술된 것과 같은 특징을 추가하기 위해 심사 동안 특허청구범위를 보정할 권리를 가진다.

Claims (26)

  1. 약 500 ppm 이하의 소독제(disinfectant)의 농도를 갖는 환경 중의 소독제의 농도를, 상기 환경 중의 상기 소독제의 상기 농도가 더 낮은 농도로 감소될 때까지 일정 기간 동안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소독제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일정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환경을 제습(dehumidifying)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의 하한 상대 습도와 상한 상대 습도 사이의 차이를 약 20 내지 50%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일정 기간 동안 수분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상기 환경을 가습(humidify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은 약 100 ppm 이하의 농도를 갖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은 약 10 ppm 이하의 농도를 갖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을 가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더 낮은 농도가 약 10.0 ppm 이하일 때까지 수행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을 가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더 낮은 농도가 약 5.0 ppm 이하일 때까지 수행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을 가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더 낮은 농도가 약 3.0 ppm 이하일 때까지 수행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을 가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더 낮은 농도가 약 1.0 ppm 이하일 때까지 수행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을 가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환경 중의 상기 상대 습도를 약 25 내지 55%로 유지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을 가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환경 중의 상기 상대 습도를 약 30 내지 55%로 유지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을 가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환경 중의 상기 상대 습도를 약 25 내지 45%로 유지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는 과산화수소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은 실질적으로 소독제를 함유하지 않은 물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살균 상태인, 방법.
  14. 환경 중으로 과산화수소 소독제를 도입시키는 단계 및 제1항에 따라 상기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 소독제는 제1 주입 기간 동안 상기 환경 중으로 도입되고, 상기 제1 주입 기간 동안 약 40 내지 60%의 상대 습도로 상기 환경을 제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 소독제는 약 40 내지 70 ml/분 범위의 속도로 상기 환경 중으로 도입되고, 상기 제1 주입 기간 동안 상기 환경을 제습하는 상기 단계는 140 ppd @ AHAM 초과의 속도로 수분을 제거하는,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과산화수소 소독제를 도입시키는 상기 단계는 1회 이상 반복되는,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과산화수소 소독제를 도입시키는 상기 단계를 반복하기 전에 상기 환경을 제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
  19.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오염 제거 시스템으로서,
    소독제의 공급원;
    수분의 공급원;
    상기 소독제의 공급원 및/또는 수분의 공급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유체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분무 발생기(spray generator)로서, 상기 소독제 및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미스트(mist) 또는 증기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상기 환경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분무 발생기; 및
    상기 환경으로부터 소독제 및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제습기(dehumidifier)를 포함하는, 오염 제거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의 공급원, 상기 수분의 공급원, 상기 하나 이상의 분무 발생기, 및 상기 제습기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는, 오염 제거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스크러버(scrubber)를 추가로 포함하는, 오염 제거 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는 과산화수소인, 오염 제거 시스템.
  23. 환경 중의 제1 습도가 달성될 때까지 소독제의 공급원과 유체 연통되는 분무 발생기를 켬으로써 상기 환경 중으로 소독제를 도입시키고, 상기 분무 발생기를 끄는 단계;
    상기 환경 중의, 상기 제1 습도보다 낮은 제2 습도가 달성될 때까지 제습기를 켬으로써 상기 환경 중으로 도입된 상기 소독제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습기를 끄는 단계; 및
    상기 환경 중의, 상기 제2 습도보다 높지만 상기 제1 습도보다는 낮은 제3 습도가 달성될 때까지 소독제의 공급원과 유체 연통되는 상기 분무 발생기를 켬으로써 상기 환경 중으로 소독제를 도입시키고, 상기 분무 발생기를 끄는 단계
    의 단계들을 2회 이상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
  24. 환경 중의 수성 소독제의 포화 한계를 초과하는 양의 상기 수성 소독제를 상기 환경 중으로 도입시켜서, 상기 수성 소독제 증기를 상기 환경의 표면 상에 응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응축된 수성 소독제를 실질적으로 재-기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환경을 제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
  25. 환경 중으로 수성 소독제를 도입시키는 단계; 미생물 오염 물질을 3, 4, 5 및 6 대수 감소(log reduction) 중 하나로 감소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상기 소독제의 일부를 표면들 상에 응축 또는 침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환경을 제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는 과산화수소인, 방법.
KR1020137031659A 2011-04-29 2012-04-24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오염 제거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관련 방법 KR20140033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98,386 US20120275952A1 (en) 2011-04-29 2011-04-29 Method for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Disinfectant, Decontamination Apparatuses an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US13/098,386 2011-04-29
US13/167,995 US20120275953A1 (en) 2011-04-29 2011-06-24 Method for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disinfectant, decontamination apparatuses an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US13/167,995 2011-06-24
PCT/US2012/034728 WO2012148868A2 (en) 2011-04-29 2012-04-24 Method for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disinfectant, decontamination apparatuses an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067A true KR20140033067A (ko) 2014-03-17

Family

ID=4604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659A KR20140033067A (ko) 2011-04-29 2012-04-24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오염 제거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20275953A1 (ko)
EP (1) EP2701749A2 (ko)
JP (1) JP2014517744A (ko)
KR (1) KR20140033067A (ko)
CN (1) CN103619361B (ko)
AU (1) AU2012249948A1 (ko)
BR (1) BR112013027881A2 (ko)
CA (1) CA2834507A1 (ko)
MX (1) MX2013012589A (ko)
RU (1) RU2013152974A (ko)
TW (1) TW201311299A (ko)
WO (1) WO201214886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95B1 (ko) * 2015-09-14 2016-12-20 국방과학연구소 생화학무기 제독방법
KR101955123B1 (ko) * 2017-12-07 2019-03-06 배찬원 과산화수소 농도센서부를 포함하는 분사헤드를 갖는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5523B2 (en) * 2012-05-10 2015-04-14 American Sterilizer Company Cold-mist decontamination unit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ITBO20130192A1 (it) * 2013-05-02 2014-11-03 99 Holding S A R L Dispositivo diffusore, sistema e metodo per la disinfezione di ambienti e superfici
DE102013106460B4 (de) * 2013-06-20 2015-05-07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kontamination eines Habitats
US20150020688A1 (en) * 2013-07-17 2015-01-22 Gary Lee Fairbank, JR. Air filtration device
US9302021B2 (en) * 2013-08-30 2016-04-05 American Sterilizer Company Method of performing sterilization cycle
US9801967B2 (en) * 2014-03-19 2017-10-31 Steris Inc. Saturation-enhanced, low-concentration vaporized hydrogen peroxide decontamination method
DE102015216445A1 (de) * 2015-08-27 2017-03-02 Olympus Winter & Ibe Gmbh Reinigungs- und Desinfektionseinrichtung, medizinisches System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Reinigungs- und Desinfektionseinrichtung
DE102016003005A1 (de) * 2016-03-14 2017-09-14 Franz Ziel Gmbh Verfahren zum Dekontaminieren eines Raumes
JP2018019884A (ja) * 2016-08-03 2018-02-08 日本エアーテック株式会社 過酸化水素ガスの分解除去方法および分解除去装置
JP6285060B1 (ja) * 2017-01-31 2018-02-28 Sdバイオシステム株式会社 除染装置及び当該除染装置を使用した除染方法
GB2561864B (en) * 2017-04-25 2020-01-01 Protex Hygiene Ltd Improvements related to the disinfecting of an air space
CN107281514A (zh) * 2017-05-18 2017-10-24 洛阳德威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消毒装置的设计方法
IT201700064162A1 (it) * 2017-06-09 2018-12-09 Dropsa Spa Dispositivo e metodo di sanificazione di un ambiente
IT201700064091A1 (it) * 2017-06-09 2018-12-09 Dropsa Spa Dispositivo e metodo di sanificazione di un ambiente
USD866738S1 (en) * 2017-08-30 2019-11-12 Foshan Naibao Electric Co., Ltd. Dehumidifier
US10398795B2 (en) * 2017-12-29 2019-09-03 Tomi Environmental Solutions, Inc. Decontamin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ultrasonic cavitation
FR3093166A1 (fr) * 2019-02-25 2020-08-28 Valeo Systemes Thermiques Système de nébulisat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TW202206119A (zh) * 2020-06-08 2022-02-16 澳大利亞商流疫諮詢與監控有限公司 消毒系統以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3258A (en) * 1989-10-11 1992-12-22 American Sterilizer Company Recirculation, vapor and humidity control in a sealable enclosure
GB9523717D0 (en) * 1995-11-20 1996-01-24 Mdh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ogen peroxide vapour sterilization
US6132679A (en) * 1997-12-24 2000-10-17 Alliedsig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erating chemically-sterilized articles
US20030143108A1 (en) * 2002-01-30 2003-07-31 Eric Wasinger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contamination
ATE372136T1 (de) * 2002-03-28 2007-09-15 Bioquell Uk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kontamination von geschlossenen räumen
GB2388545A (en) * 2002-03-28 2003-11-19 Bioquell Uk Ltd Gaseous room decontamination by controlled condensation
US20050074359A1 (en) * 2003-10-06 2005-04-07 Steris Inc. Aircraft and passenger decontamination system
US7354551B2 (en) * 2004-07-08 2008-04-08 Steris Inc Room decontamination with hydrogen peroxide vapor
MX2008000124A (es) * 2005-07-07 2008-04-02 Steris Inc Descontaminacion de habitaciones con vapor de peroxido de hidrogeno.
US7850931B2 (en) * 2005-08-11 2010-12-14 American Sterilizer Company Self-contained deactivation device
US7550122B2 (en) * 2006-05-31 2009-06-23 American Sterilizer Company Decontamination system with air bypass
US7988910B2 (en) * 2008-01-02 2011-08-02 Richard Michael Franchi Method of disinfecting and wetting the interior of a building
WO2009138430A1 (en) * 2008-05-13 2009-11-19 Infection Control B.V. Method and device for disinfecting a space
WO2011047127A1 (en) * 2009-10-15 2011-04-21 Minntech Corporation Room fogging disinfec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95B1 (ko) * 2015-09-14 2016-12-20 국방과학연구소 생화학무기 제독방법
KR101955123B1 (ko) * 2017-12-07 2019-03-06 배찬원 과산화수소 농도센서부를 포함하는 분사헤드를 갖는 과산화수소 멸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49948A1 (en) 2013-11-21
CA2834507A1 (en) 2012-11-01
JP2014517744A (ja) 2014-07-24
RU2013152974A (ru) 2015-06-10
WO2012148868A2 (en) 2012-11-01
CN103619361B (zh) 2016-01-20
MX2013012589A (es) 2014-07-10
EP2701749A2 (en) 2014-03-05
BR112013027881A2 (pt) 2016-09-20
TW201311299A (zh) 2013-03-16
CN103619361A (zh) 2014-03-05
WO2012148868A3 (en) 2013-05-02
US20120275953A1 (en)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3067A (ko) 소독제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오염 제거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관련 방법
AU2006275319B2 (en) Space disinfection
EP2296714B1 (en) Method for disinfecting a space
CN109414014B (zh) 用于消毒的方法和系统
WO2012032338A1 (en) Nebuli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20275952A1 (en) Method for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Disinfectant, Decontamination Apparatuses an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JP3232663U (ja) 複合空気清浄機
US20230372569A1 (en) Environmental decontamination
JP7392235B1 (ja) 無菌性密閉空間内の除染装置及び当該装置を用いた除染方法
KR20230069413A (ko)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방법 및 장치
MX2008001781A (en) Space dis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