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684A - 메타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메타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684A
KR20140032684A KR1020120099278A KR20120099278A KR20140032684A KR 20140032684 A KR20140032684 A KR 20140032684A KR 1020120099278 A KR1020120099278 A KR 1020120099278A KR 20120099278 A KR20120099278 A KR 20120099278A KR 20140032684 A KR20140032684 A KR 20140032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andidate
contents
preferen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2414B1 (ko
Inventor
양우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41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시스템은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에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메타 테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하나 이상 보유한 컨텐츠들을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하는 컨텐츠 서버와; 상기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수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타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USING META INFORMATION}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역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서비스 업체들은 단순히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컨텐츠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컨텐츠 추천을 위하여는 사용자의 취향과 기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나, 이러한 사용자 취향 분석에 기초가 되는 자료는 서비스 가입 정보 등 매우 제한적이고 피상적인 정보로부터 수집되어 그 효과가 미미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컨텐츠 선호 취향을 조사하기 위한 캠페인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대상자에게 거부감을 주는 경우가 있어 그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할 때도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컨텐츠 추천이 실제 해당 컨텐츠의 이용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취향을 공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기호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에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메타 테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하나 이상 보유한 컨텐츠들을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하는 컨텐츠 서버와; 상기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수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서버는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에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설정하는 메타 데이터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메타 테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하나 이상 보유한 컨텐츠들을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후보 컨텐츠 제시부와;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하는 선호도 파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컨텐츠 제시부는 후보 컨텐츠를 토너먼트 방식으로 반복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제시하고, 상기 선호도 파악부는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단계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 파악부는 각 토너먼트 단계에서 선택된 후보 컨텐츠에 상기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지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가중치의 총합 순으로 상기 후보 컨텐츠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호도 파악부는 전체 토너먼트 단계에서 상기 후보 컨텐츠에 설정된 메타 데이터 각각이 선택된 횟수에 상기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지정된 가중치를 곱한 값의 총합 순으로 상기 후보 컨텐츠에 설정된 메타 데이터 각각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분류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후보 컨텐츠 제시부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 중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만을 달리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관점에 따라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컨텐츠 서버가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에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서버가 상기 설정된 메타 테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하나 이상 보유한 컨텐츠들을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서버가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와; 단말이 상기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수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이 상기 제공된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 및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관점에 따라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에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메타 테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하나 이상 보유한 컨텐츠들을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를 토너먼트 방식으로 반복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제시하는 단계이고, 상기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는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단계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는, 각 토너먼트 단계에서 선택된 후보 컨텐츠에 상기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지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가중치의 총합 순으로 상기 후보 컨텐츠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는, 전체 토너먼트 단계에서 상기 후보 컨텐츠에 설정된 메타 데이터 각각이 선택된 횟수에 상기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지정된 가중치를 곱한 값의 총합 순으로 상기 후보 컨텐츠에 설정된 메타 데이터 각각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분류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 중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만을 달리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감성 정보, 장르 정보. 출연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성 정보만을 달리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컨텐츠별 선호도를 반영하여 관련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텐츠 수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통해 거부감 없이 사용자의 기호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컨텐츠 선호도 조사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단말(10a, 10b)과 컨텐츠 제공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접속 단말에게 음악,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일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멀티스크린(N-스크린) 서비스도 지원할 수 있다. 즉 한 사용자가 다수 개의 유,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에 어디서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수 개의 단말로 VOD(video on demand) 컨텐츠 이어 보기, 동시 보기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의 컨텐츠별 선호도를 반영하여 관련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에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 다수개의 컨텐츠 각각을 특징지을 수 있는 여러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컨텐츠의 분위기, 장르, 출연배우, 제작 연도 등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컨텐츠와 연계시킬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여 보면, N개의 컨텐츠 각각에 대하여 각 컨텐츠의 감성(분위기), 장르, 출연자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 생성한 예를 볼 수 있다. 상기 감성 정보는 컨텐츠의 분위기를 나타내며 우울함, 희망적인, 활기찬 분위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장르 정보는 해당 컨텐츠가 영화라면 멜로, 코미디, 공포, SF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출연자 정보는 주연/조연으로 출연한 배우명이 포함된다.
컨텐츠 별 메타 데이터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임의의 사용자에게 추천할 후보 컨텐츠를 선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무작위로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사용자의 취향과 기호를 알 수 있도록 후보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후보 컨텐츠 선정 방법을 기술한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에 설정된 메타 테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하나 이상 보유한 컨텐츠들을 후보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추후에 사용자의 기호를 더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분류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후보 컨텐츠 결정은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 중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만을 달리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테고리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감성 정보, 장르 정보. 출연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설정되고, 다른 정보는 같고 감성 정보만이 다르도록 후보 컨텐츠를 선정하고, 그 중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하면 사용자의 감성 취향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다.
후보 컨텐츠 선정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특정 사용자가 상기 후보 콘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고르도록 제시할 수 있다. 이때 모든 후보 컨텐츠를 나열하고 그 중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더 자발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를 드러내도록 게임의 형태를 차용하여 후보 컨텐츠를 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토너먼트 형식으로 후보 컨텐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도 2b와 같이 후보 컨텐츠 8개를 선정한다. 후보 컨텐츠의 선정은 상기 서술한 것과 같이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만을 달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b와 같이 장르 정보와 출연자 정보는 일정부분 공통되더라도 감성 정보만은 모두 다르게 하여 후보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선정된 후보 컨텐츠들을 소정의 토너먼트 대진에 따라 1 대 1로 제시하고, 사용자는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우승 컨텐츠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의 토너먼트 선택 과정이 진행되는 중에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각 라운드별로 가중치를 달리하여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제1 라운드, 제2 라운드, 제3 라운드, … 에서 선택된 컨텐츠에 부여하는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최종 라운드까지 유지되는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를 더 중요한 사용자 주요 취향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2b와 같이 후보 컨텐츠를 선정하여 토너먼트를 진행한다면, 중복되는 정보가 포함된 장르/출연자 정보보다는 감성 정보의 차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이 이뤄졌음을 추론할 수 있고, 부수적으로는 라운드별 가중치에 따라 장르 정보나 출연자 정보의 차이가 어떻게 사용자의 선택에 영향을 주었는지도 파악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적 방법으로 사용자의 취향 정보가 파악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해당 사용자에게 파악된 취향에 대응되는 컨텐츠 및/또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최종적으로 선택한 컨텐츠 또는 유사한 메타 데이터(예컨대 감성 정보)를 보유한 컨텐츠를 무상 혹은 할인 제공하거나, 이용 쿠폰 등을 보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토너먼트 참가자에게 보상을 제공한다면 좀 더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를 파악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음악,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컨텐츠별 선호도를 반영하여 관련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아래의 각 단계를 통해 수행된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마다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설정한다(S310). 즉,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 다수개의 컨텐츠 각각을 특징지을 수 있는 여러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컨텐츠의 분위기, 장르, 출연배우, 제작 연도 등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컨텐츠와 연계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로서 도 2a를 참조하여 보면, N개의 컨텐츠 각각에 대하여 각 컨텐츠의 감성(분위기), 장르, 출연자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 생성한 예를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설정된 메타 테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하나 이상 보유한 컨텐츠들을 후보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S320).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특정 사용자의 취향과 기호를 알 수 있도록 후보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는 도 1 및 도 2a를 통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하나의 예로서 이때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분류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후보 컨텐츠 결정은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 중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만을 달리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보 컨텐츠 선정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한다(S330). 후보 컨텐츠 제시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토너먼트 형식으로 후보 컨텐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토너먼트 형식의 선택 방법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선택된 컨텐츠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한다(S340). 만약 토너먼트 방식으로 컨텐츠 선택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단계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S340 단계에서 토너먼트 단계마다 부여되는 가중치는 컨텐츠별로 부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메타 데이터별로 부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의 예에서 가중치 1, 가중치 2 및 가중치 3의 각 토너먼트 단계별로 1점의 가중치를 부여한다고 가정할 때, 후보 컨텐츠 D는 3점을 획득하고, 컨텐츠 G는 2점을 획득하며, 컨텐츠 B 및 E는 1점을 획득한 것으로 연산하여 추후 해당 사용자에게 2점 이상의 가중치를 획득한 2개의 후보 컨텐츠 D 및 G를 추천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컨텐츠 제공 서버에 탑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도 3에서 가중치 1, 가중치 2 및 가중치 3의 각 토너먼트 단계별로 1점의 가중치를 부여한다고 가정할 때, 감성 ⓓ가 3회 선택되었으므로 3점, 장르 a가 4회 선택되었으므로 4점, 그리고 출연자 ε이 5회 선택되었으므로 5점을 획득하도록 구성하고, 향후 해당 사용자에게 출연자 ε이 캐스팅된 영화 컨텐츠를 최우선적으로 추천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컨텐츠 제공 서버에 탑재할 수도 있다.
물론 가중치에 관한 상술한 2가지 예에서 “가중치 1”의 점수가 5점이고, “가중치 2”의 점수가 3점이고, “가중치 3”의 점수가 1점인 것과 같이 각 토너먼트 단계별로 부여되는 가중치의 점수 크기를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고, 가중치를 자연수가 아닌 0이나 음의 값을 포함하는 정수나 실수로서 연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예컨대 특정 사용자에게 “가중치 4” 단계에서 후보로 여러 차례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가중치 3” 단계로 선택받지 못한 후보 컨텐츠나 그 메타 데이터(들)에 대해서는 0이나 마이너스 가중치를 부여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가 해당 사용자의 혐오 지수로서 관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선호도가 파악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해당 사용자에게 파악된 선호도에 대응되는 컨텐츠 및/또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최종적으로 선택한 컨텐츠 또는 유사한 메타 데이터(예컨대 감성 정보)를 보유한 컨텐츠를 무상 혹은 할인 제공하거나, 이용 쿠폰 등을 보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의 블록도이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메타데이터 설정부(101), 후보 컨텐츠 제시부(102) 및 선호도 파악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컨텐츠 및/또는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의 각 기능부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 설정부(101)는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에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설정한다. 즉,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 다수개의 컨텐츠 각각을 특징지을 수 있는 여러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컨텐츠의 분위기, 장르, 출연배우, 제작 연도 등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컨텐츠와 연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분류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후보 컨텐츠 제시부(102)는 상기 설정된 메타 테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하나 이상 보유한 컨텐츠들을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이때 무작위로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사용자의 취향과 기호를 알 수 있도록 후보 컨텐츠를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보 컨텐츠 제시부(102)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 중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만을 달리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테고리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감성 정보, 장르 정보. 출연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설정되고, 다른 정보는 같고 감성 정보만이 다르도록 후보 컨텐츠를 선정하고, 그 중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후보 컨텐츠 선정이 완료되면 상기 후보 컨텐츠 제시부(102)는 특정 사용자가 상기 후보 콘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고르도록 제시할 수 있다. 이때 모든 후보 컨텐츠를 나열하고 그 중에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더 자발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를 드러내도록 게임의 형태를 차용하여 후보 컨텐츠를 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토너먼트 형식의 선택 방법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선호도 파악부(103)는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한다.
상기 선호도 파악부는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단계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토너먼트 방식으로 컨텐츠 선택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단계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의 예시적 방법으로 사용자의 취향 정보가 파악되면 컨텐츠 제공부(미도시)는 해당 사용자에게 파악된 취향에 대응되는 컨텐츠 및/또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최종적으로 선택한 컨텐츠 또는 유사한 메타 데이터(예컨대 감성 정보)를 보유한 컨텐츠를 무상 혹은 할인 제공하거나, 이용 쿠폰 등을 보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서버(100)나 사용자 단말은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컨텐츠 서버(100)나 사용자 단말은 또한 예컨대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예컨대 RS-232 포트와 같은 직렬 통신 장치 및/또는 예컨대 802.11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입출력 장치는 다른 입출력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 예컨대 키보드,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00)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서버(1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컨텐츠 제공 서버

Claims (15)

  1.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에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메타 테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하나 이상 보유한 컨텐츠들을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하는 컨텐츠 서버; 및
    상기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수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에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설정하는 메타 데이터 설정부;
    상기 설정된 메타 테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하나 이상 보유한 컨텐츠들을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후보 컨텐츠 제시부; 및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하는 선호도 파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컨텐츠 제시부는 후보 컨텐츠를 토너먼트 방식으로 반복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제시하고,
    상기 선호도 파악부는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단계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파악부는 각 토너먼트 단계에서 선택된 후보 컨텐츠에 상기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지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가중치의 총합 순으로 상기 후보 컨텐츠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파악부는 전체 토너먼트 단계에서 상기 후보 컨텐츠에 설정된 메타 데이터 각각이 선택된 횟수에 상기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지정된 가중치를 곱한 값의 총합 순으로 상기 후보 컨텐츠에 설정된 메타 데이터 각각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분류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후보 컨텐츠 제시부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 중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만을 달리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버.
  7. 컨텐츠 서버가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에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서버가 상기 설정된 메타 테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하나 이상 보유한 컨텐츠들을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서버가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단말이 상기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수단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공된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택 정보를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 및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8.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에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메타 테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하나 이상 보유한 컨텐츠들을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특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후보 컨텐츠 중에서 선호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시된 후보 컨텐츠를 토너먼트 방식으로 반복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제시하는 단계이고,
    상기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는,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각 단계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는, 각 토너먼트 단계에서 선택된 후보 컨텐츠에 상기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지정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가중치의 총합 순으로 상기 후보 컨텐츠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를 파악하는 단계는, 전체 토너먼트 단계에서 상기 후보 컨텐츠에 설정된 메타 데이터 각각이 선택된 횟수에 상기 각 토너먼트 단계마다 지정된 가중치를 곱한 값의 총합 순으로 상기 후보 컨텐츠에 설정된 메타 데이터 각각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다수 개의 동영상 컨텐츠 각각의 특징을 분류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다수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 중 특정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만을 달리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감성 정보, 장르 정보. 출연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성 정보만을 달리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후보 컨텐츠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20099278A 2012-09-07 2012-09-07 메타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452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278A KR101452414B1 (ko) 2012-09-07 2012-09-07 메타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278A KR101452414B1 (ko) 2012-09-07 2012-09-07 메타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84A true KR20140032684A (ko) 2014-03-17
KR101452414B1 KR101452414B1 (ko) 2014-10-23

Family

ID=5064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278A KR101452414B1 (ko) 2012-09-07 2012-09-07 메타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4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863B1 (ko) * 2021-10-01 2021-12-24 주식회사 빛글림 컨텐츠 제공을 위한 스트리밍 영상의 감성 분류 방법
KR102419619B1 (ko) * 2021-12-01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적성 유형 및 진로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08B1 (ko) * 2007-11-06 2012-05-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다중 추천 학습 방법
KR20100053135A (ko) * 2008-11-12 2010-05-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컨텐츠 추천 방법
KR101181553B1 (ko) * 2010-10-26 2012-09-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비디오 클립 제작과 공유를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863B1 (ko) * 2021-10-01 2021-12-24 주식회사 빛글림 컨텐츠 제공을 위한 스트리밍 영상의 감성 분류 방법
KR102419619B1 (ko) * 2021-12-01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적성 유형 및 진로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414B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7229B2 (en)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US11218777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bullet screen
US9430532B2 (en) Media content rankings for discovery of novel content
JP6364424B2 (ja) メディアアセットに関するコンテクスト上関係する情報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70070779A1 (e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highlight image of video content
CN109478142B (zh) 呈现为预测的用户活动定制的用户界面的方法、系统和介质
CN107430630A (zh) 用于聚集和呈现与特定视频游戏相关的内容的方法、系统和介质
US20150172787A1 (en) Customized movie trailers
US20160034970A1 (en) User-generated quick recommendations in a media recommendation system
US9652659B2 (en) Mobile device, image reproducing de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about image captured by image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50132074A (ko) 콘텐트를 구성하는 방법
US93257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5114892A1 (ja) コンテンツの配信システム、配信プログラム及び配信方法
WO2022247220A9 (zh) 界面处理方法及装置
CN115455280A (zh) 一种推荐列表确定方法和服务器
KR102057455B1 (ko) 추천 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9015607B2 (en) Virtual spa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52414B1 (ko) 메타 정보를 활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US20230254542A1 (en) Methods and systems facilitating adjustment of multiple variables via a content guidance application
US20150170035A1 (en) Real time personalization and categorization of entities
JP660460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40032687A (ko) 선호도를 반영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465853B1 (ko) 인터랙티브 비디오에서 비디오 경로의 분류 및 카테고리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08276669A (ja) 機器動作設定装置
US20190384827A1 (en) Item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item recommen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