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676A - 정수기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676A
KR20140032676A KR1020120099257A KR20120099257A KR20140032676A KR 20140032676 A KR20140032676 A KR 20140032676A KR 1020120099257 A KR1020120099257 A KR 1020120099257A KR 20120099257 A KR20120099257 A KR 20120099257A KR 20140032676 A KR20140032676 A KR 20140032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r
test
inspection
uni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287B1 (ko
Inventor
설희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28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검사 방법 및 정수기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검사 방법은 정수기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정수기의 정상동작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정수기와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 사이에 무선통신을 형성하고, 상기 정수기의 동작을 감지하는 측정부를 상기 정수기에 연결하는 검사준비단계; 상기 정수기가 기 설정된 자가검사동작에 따라 동작하면, 상기 정수기가 생성한 내부신호를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받고, 상기 측정부가 상기 자가검사동작에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검사단계; 및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별하는 검사결과생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 {Apparatus for inspecting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inspecting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수기의 내부신호 및 정수기 검사 장치의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정수기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화된 음용수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 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공간에서 정수기의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자연수(이하, 정수되기 전 상태의 물을 '원수' 라 함)을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러 개의 필터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음용수를 제공한다.
상기 정수기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 및 밸브를 비롯하여, 히터, 냉각기, 얼음생성기, 필터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수, 냉수, 얼음, 정수를 공급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정수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접속불량, 부품불량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불량에 의하여 정수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정수기 내부에 형성된 내부 유로에 구멍이 있거나, 내부 유로간의 결속이 불량한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누수에 의하여 자원낭비, 사용상의 불편, 제품의 신뢰도 하락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온수밸브가 오동작하거나 히터로 공급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갑작스러운 온수의 공급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히터의 과열에 의한 화재발생 등으로 인한 인명, 재산상에 큰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출하 전에 불량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정수기 동작 검사를 수행하여, 불량인 제품은 출하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정수기의 내부신호 및 정수기 검사 장치의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정수기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검사 방법은, 정수기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정수기의 정상동작여부를 검사하는 정수기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정수기와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 사이에 무선통신을 형성하고, 상기 정수기의 동작을 감지하는 측정부를 상기 정수기에 연결하는 검사준비단계; 상기 정수기가 기 설정된 자가검사동작에 따라 동작하면, 상기 정수기가 생성한 내부신호를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받고, 상기 측정부가 상기 자가검사동작에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검사단계; 및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별하는 검사결과생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은, 근거리무선통신, RFID, 무선랜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사준비단계는,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에 연결된 프로브를 상기 정수기에 부착하여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와 상기 정수기 사이에 근거리무선통신을 형성하고,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에 연결된 측정부를 상기 정수기의 내부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사단계는, 상기 정수기가 수행하는 자가검사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정수기의 내부신호를 상기 프로브를 이용하여 전송받고, 상기 자가검사동작에 따라 상기 내부구성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상기 측정부를 이용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사결과생성단계는, 상기 내부신호 및 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검사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정수기가 상기 검사기준의 정상범위에 포함되면 정상으로 판별하고, 상기 정상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불량으로 판별하여 검사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검사 장치는, 정수기에 부착되어 상기 정수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형성하는 프로브; 상기 정수기의 내부구성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의 내부구성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측정부; 및 상기 프로브 및 측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자가 검사에 대응하는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검사결과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기 설정된 검사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가 상기 검사기준의 정상범위에 포함되면 정상으로 판별하고, 상기 정상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불량으로 판별하여 검사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는, 상기 내부신호, 측정신호 및 검사결과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정수기가 불량으로 판별되면, 시각 또는 청각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검사결과가 불량임을 인지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신호는, 상기 정수기 내부에 포함된 온도센서, 수위센서 및 동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정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구성은, 밸브, 히터, 냉각기 및 얼음생성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동작 검사 방법에 의하면, 정수기로부터 직접 전송받는 내부신호 및 상기 정수기에 대하여 외부에서 측정한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므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정수기에 대한 복수의 테스트를 하나의 정수기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단축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및 정수기 검사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및 정수기 검사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검사 장치(100)는, 프로브(110), 측정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무선통신부(150) 및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200)는, 메인제어장치(210), 무선통신부(220), 필터부(230), 구동부(240) 및 센서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200) 및 정수기 검사 장치(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검사 장치(100)는, 무선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0)의 메인제어장치(210)와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기법으로는 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랜 및 블루투스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특히,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근거리무선통신은 자기장 유도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Ecma 340, ISO/IEC 18092 표준을 따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거리무선통신의 경우, 10cm 내외의 가까운 거리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특히, 근거리무선통신기법을 정수기 검사 장치(100)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와 10cm 내외로 근접한 정수기(200)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므로, 검사 중인 다른 정수기나 검사 대기중인 정수기와 데이터가 혼선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는, 프로브(110)를 상기 정수기(200)에 부착하여 상기 정수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200)의 내부에는 무선통신부(220) 및 무선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브(110)를 상기 정수기(200)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프로브(110)와 무선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10cm 이내로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브(110)는 상기 정수기(200)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정수기(200)의 메인제어장치(210)가 가지는 정보, 즉 내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종래의 정수기 검사 장치는 상기 정수기(200)와의 통신을 수행하지 않았으므로, 상기 정수기(200)의 내부신호를 취득할 수 없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0)의 동작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검사 장치(100)는, 상기 정수기(200)와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정수기(200)의 내부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0)에 대한 동작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는 측정부(12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정수기(200)의 동작을 직접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에 대한 동작검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는, 상기 정수기(200)의 내부신호 및 상기 측정부(120)가 측정한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0)의 동작을 검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120)는 정수기(200)의 내부구성 중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내부구성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구성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내부구성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120)는 별도의 연결선(P)을 구비하여 상기 내부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부(120)는 전압계 및 전류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측정부(120)는 연결선(P)를 구동부(240)에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240) 동작시에 상기 구동부(24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정수기(200)내의 물리적인 구성을 직접 움직이게 하는 구성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정수기 내부유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생성된 얼음이 수용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셀렉터바, 얼음의 낙하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회전하는 아이스 트레이 등이 상기 구동부(240)에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측정부(120)에서 측정한 측정신호는 제어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프로브(110) 및 측정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0)의 자가 검사에 대응하는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검사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200)와 정수기 검사 장치(100) 사이에 무선통신이 형성되고, 측정부(1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정수기(200)가 자가 검사를 수행하면, 상기 정수기의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가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기(200)는 기 설정된 검사방법 및 검사순서에 따라 상기 자가 검사를 수행하므로,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는 상기 자가 검사의 순서에 따라 검사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200)의 자가 검사는 시스템 테스트, 온도센서 테스트, 동작센서 테스트, 구동부 테스트 및 제빙 동작 테스트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의 순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순서에 따라 자가 검사가 수행될 수 있으며 별도의 테스트가 더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시스템 테스트는, 상기 정수기(200)의 메인제어장치(2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버전, 모드, 사양, 메모리 데이터 등을 확인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제어장치(210)에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의 버전, 모드, 사양, 메모리 데이터 등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에서 상기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저장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200)의 동작에 대한 제어는 상기 메인제어장치(21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므로, 상기 메인제어장치(21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면 상기 정수기(200)는 제대로 동작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메인제어장치(21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온도센서 테스트는, 상기 정수기(200)의 내부에 포함된 센서부(250)의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값을 확인하여, 상기 온도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값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200) 내부에는 온도센서가 다수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값은 상기 정수기(200)의 메인제어장치(210)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는,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값을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받은 후, 상기 온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온도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수기(200)에 대한 검사를 상온(약 25도)에서 수행하고 있음에 불구하고, 상기 전송받은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0도이거나 80도인 경우에는 상기 온도센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동작센서 테스트는, 상기 정수기의 구동부(240)의 동작에 대응하여 센싱값을 생성하는 센서부(250)의 동작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240)를 동작시킨 후 상기 동작센서의 센싱값을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정수기(200)의 자가 검사에 의하여 설정된 검사동작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기 정수기(200)에 포함된 얼음생성부의 구성은 아이스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얼음생성부가 얼음을 생성한 후 얼음을 탈빙할 때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하기 위한 모터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확인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동작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동작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정수기(200)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구동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확인신호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메인제어장치(210)가 상기 확인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로 전송하면,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동부 테스트는, 상기 압축기, 셀렉터바, 아이스 트레이, 밸브 등의 정수기(200)의 구동부(2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120)를 상기 구동부(240)에 연결한 후, 상기 구동부(240)를 동작하여 상기 측정부(120)에서 측정한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부(240)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120)가 측정하는 측정신호는 상기 구동부(240)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240)의 동작은, 상기 정수기(200)에 설정된 자가 검사의 시퀀스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가 상기 정수기(2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구동부(240)를 동작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수기(200)에 포함된 정수밸브에 상기 측정부(120)를 연결하고, 상기 정수밸브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밸브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정수밸브가 개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정수기(200)가 상기 정수밸브를 개방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는 상기 측정부(130)의 측정신호와 함께 상기 정수기(20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정수밸브의 동작에 대한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정수기(200)에 포함될 수 있는 얼음생성부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빙 동작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얼음생성부의 냉각기 및 탈빙히터를 동작시킨 후, 상기 얼음생성부에 포함된 제빙 온도센서의 센싱값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상기 얼음생성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빙 온도센서의 센싱값은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얼음생성부는 아이스 트레이에 수용된 정수를 냉각기를 이용하여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시킨 후, 탈빙히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상기 냉각기에서 탈착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기가 냉각온도로 냉각시간 동안 유지하고, 이후 탈빙히터가 상기 냉각기를 탈빙온도까지 가열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상기 얼음생성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빙 온도센서의 센싱값의 시간에 따른 추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빙 온도센서의 센싱값을 전송받은 후, 상기 제빙 온도센서의 센싱값이 상기 냉각온도로 상기 냉각시간동안 유지되고, 이후 탈빙온도로 가열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얼음생성부의 동작을 검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정수기(200)의 자가검사에 따라 상기 정수기(200)가 생성하는 프로그램 정보, 온도센서 및 동작센서의 센싱값 등의 내부 신호와, 상기 측정부(120)가 측정한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검사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기 설정된 검사기준을 비교하여,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가 상기 검사기준의 정상범위에 포함되면 정상으로 판별하고, 상기 정상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불량으로 판별하는 방식으로 상기 검사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테스트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이후 전체 테스트 결과를 통합하여 정수기(200)에 대한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판별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내부신호, 측정신호 및 검사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Ray Tube) 등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상기 내부신호, 측정신호 및 검사결과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테스트에 대한 개별적인 검사 결과 및 전체 검사결과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각각의 테스트 별 진행상황을 표시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 등의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테스트를 위한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 및 정수기(200)에 대한 설정을 저장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경고등이나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하여, 시각 또는 청각으로 통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정수기(200)의 검사결과가 불량임을 인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에는 입력부(16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0)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0)의 자가 검사 및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와 함께 입력부(160)로서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200)의 자가검사와 관련한 정수기 검사 장치(100)의 동작을 설정하거나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은, 검사준비단계(S10), 자가검사단계(S20) 및 결과판별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 동작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검사준비단계(S10)는, 정수기와 정수기 검사 장치 사이에 무선통신을 형성하고, 상기 정수기의 동작을 감지하는 측정부를 상기 정수기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근거리무선통신, RFID, 무선랜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정수기 동작 검사에 있어서는 앞서 살핀바와 같이, 근거리무선통신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의 측정부를 상기 정수기에 연결하여, 이후 상기 측정부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정수기의 밸브, 압축기, 히터 등 상기 정수기의 내부구성에 연결될 수 있다.
검사단계(S20)에서는, 상기 정수기가 기 설정된 검사동작에 따라 동작하면, 상기 정수기가 생성한 내부신호를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받고, 상기 측정부가 상기 자가검사동작에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수기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시스템 테스트, 온도센서 테스트, 동작센서 테스트 및 구동부 테스트를 포함하는 자가검사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가 상기 자가검사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정수기의 센서부는 상기 자가검사동작에 대응하여 측정값을 생성하고, 상기 측정값들은 상기 정수기의 메인제어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들은 상기 정수기의 내부신호로서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내부구성에 연결된 측정부는, 상기 자가검사동작에 따라 상기 내부구성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사단계(S20)에서는,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가 상기 정수기의 자가검사에 의하여 생성된 내부 신호 및 측정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결과판별단계(S30)는, 상기 자가검사단계(S20)에서 생성된 정수기의 내부신호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에 대한 검사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내부신호는 상기 정수기가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온도센서 및 동작센서의 센싱값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과판별단계(S30)는,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기 설정된 검사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정수기가 상기 검사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한 후, 상기 정수기의 동작이 정상인지 아니면 불량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가 상기 검사기준에서 설정한 정상범위에 포함되면 정상으로 판별하고, 상기 정상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불량으로 판별하는 방식으로 상기 검사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테스트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정상 또는 불량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이후 전체 테스트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정수기에 대한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부신호, 측정신호 및 검사결과는 LCD, LED, CRT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의 각각의 테스트 별 진행상황 등에 대하여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정수기 검사 장치 110: 프로브
120: 측정부 130: 제어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무선통신부
160: 입력부
200: 정수기 210: 메인제어장치
220: 무선통신부 230: 필터부
240: 구동부 250: 센서부
S10: 검사준비단계 S20: 검사단계
S30: 결과판별단계

Claims (11)

  1. 정수기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정수기의 정상동작여부를 검사하는 정수기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와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 사이에 무선통신을 형성하고, 상기 정수기의 동작을 감지하는 측정부를 상기 정수기에 연결하는 검사준비단계;
    상기 정수기가 기 설정된 자가검사동작에 따라 동작하면, 상기 정수기가 생성한 내부신호를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받고, 상기 측정부가 상기 자가검사동작에 대응하는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검사단계; 및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별하는 검사결과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 동작 검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은
    근거리무선통신, RFID, 무선랜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정수기 동작 검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준비단계는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에 연결된 프로브를 상기 정수기에 부착하여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와 상기 정수기 사이에 근거리무선통신을 형성하고, 상기 정수기 검사 장치에 연결된 측정부를 상기 정수기의 내부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하는 정수기 동작 검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단계는
    상기 정수기가 수행하는 자가검사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정수기의 내부신호를 상기 프로브를 이용하여 전송받고, 상기 자가검사동작에 따라 상기 내부구성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상기 측정부를 이용하여 입력받는 정수기 동작 검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결과생성단계는
    상기 내부신호 및 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검사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정수기가 상기 검사기준의 정상범위에 포함되면 정상으로 판별하고, 상기 정상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불량으로 판별하여 검사결과를 생성하는 정수기 동작 검사 방법.
  6. 정수기에 부착되어 상기 정수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형성하는 프로브;
    상기 정수기의 내부구성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기의 내부구성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신호를 생성하는 측정부; 및
    상기 프로브 및 측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자가 검사에 대응하는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검사결과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검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를 기 설정된 검사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내부신호 및 측정신호가 상기 검사기준의 정상범위에 포함되면 정상으로 판별하고, 상기 정상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불량으로 판별하여 검사결과를 생성하는 정수기 검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신호, 측정신호 및 검사결과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검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정수기가 불량으로 판별되면, 시각 또는 청각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검사결과가 불량임을 인지하도록 표시하는 정수기 검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신호는
    상기 정수기 내부에 포함된 온도센서, 수위센서 및 동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정값인 정수기 검사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구성은
    밸브, 히터, 냉각기 및 얼음생성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수기 검사 장치.
KR1020120099257A 2012-09-07 2012-09-07 정수기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 KR102054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257A KR102054287B1 (ko) 2012-09-07 2012-09-07 정수기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257A KR102054287B1 (ko) 2012-09-07 2012-09-07 정수기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76A true KR20140032676A (ko) 2014-03-17
KR102054287B1 KR102054287B1 (ko) 2019-12-10

Family

ID=5064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257A KR102054287B1 (ko) 2012-09-07 2012-09-07 정수기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3225A (zh) * 2018-10-24 2019-01-04 广东点球电子科技有限公司 净水机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4851A (ja) * 2001-12-04 2003-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浄水器管理方法
KR20040056596A (ko) * 2002-12-24 2004-07-01 주식회사 비에스텍 수질검사 기능을 갖는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KR20090000057A (ko) * 2006-12-21 2009-01-07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정수기의 동작상태 및 관리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정수기 및 정보 제공 방법
KR100887584B1 (ko) * 2008-06-20 2009-03-10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통신망을 이용한 정수기 통합 관리시스템
KR20110051058A (ko) * 2009-11-09 2011-05-17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정수기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4851A (ja) * 2001-12-04 2003-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浄水器管理方法
KR20040056596A (ko) * 2002-12-24 2004-07-01 주식회사 비에스텍 수질검사 기능을 갖는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KR20090000057A (ko) * 2006-12-21 2009-01-07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정수기의 동작상태 및 관리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정수기 및 정보 제공 방법
KR100887584B1 (ko) * 2008-06-20 2009-03-10 주식회사 스쿨환경산업 통신망을 이용한 정수기 통합 관리시스템
KR20110051058A (ko) * 2009-11-09 2011-05-17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정수기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3225A (zh) * 2018-10-24 2019-01-04 广东点球电子科技有限公司 净水机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287B1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2685B1 (en) Diagnosis control method for an air conditioner
CN102750896B (zh) 一种led显示屏状态检测装置及检测方法
GB2554267A (en) Refrigerant leak detection system
JP2016513228A (ja) スマート弁
CN108954670B (zh) 一种空调器的故障预判方法、控制系统及空调器
JP2018513497A (ja) ワイヤレス機器構成によるプロセス計装
CN105607581A (zh) 家用电器的控制部件的自检方法
KR20160019460A (ko) 압력 조절기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2022033984A (ja) バスでフィールドデバイスに給電してフィールドデバイスと通信する携帯型フィールド保守ツール
CN109073262A (zh) 空气调和机
US10107849B2 (en) Diagnostic system for a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diagnosing a home appliance
KR102054287B1 (ko) 정수기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
CN108168731A (zh) 一种检测装置、方法及测试工装
US11505013B2 (en) Electronic control module for a tire inflation system
KR102051674B1 (ko) 자가검사동작을 수행하는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검사 방법
KR20080007194A (ko) 다수 소화기의 상태 확인 장치
JP4867738B2 (ja) ガス器具監視装置
CN205375780U (zh) 公路隧道线型火灾探测器性能检测系统
CN111720751B (zh) 水路的异常检测方法与装置
KR20090019302A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배관 탐색 장치
KR100734490B1 (ko) 운전모드별로 차등화된 에러 검지 방법
KR200441867Y1 (ko) 디지털 센서 멀티 테스터 장치
JP2012013283A (ja) 空気調和機
TWM448675U (zh) 複合式閥門測試機之控制裝置
CN110187503B (zh) 用于查找特定测量仪器的测量仪器识别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