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651A -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651A
KR20140032651A KR1020120099165A KR20120099165A KR20140032651A KR 20140032651 A KR20140032651 A KR 20140032651A KR 1020120099165 A KR1020120099165 A KR 1020120099165A KR 20120099165 A KR20120099165 A KR 20120099165A KR 20140032651 A KR20140032651 A KR 2014003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motion
content
emotional
emotio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연화
김건년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9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2651A/ko
Publication of KR2014003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Abstract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은, 생체 센서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표정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고, 감정 상태에 따라 감정 향상을 위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피드백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감정 제어와 감성 정화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도움 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 디바이스{Method for Emotion Feedback Service and Smart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성 피드백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 등을 수집하여 감정을 파악하고 파악한 감정에 기반하여 감성 피드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여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미 많은 알고리즘들에 대한 검증까지 이루어진 상태이다.
하지만, 휴머니즘의 관점에서,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람의 감정을 평온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특히, 부정적인 감정에 있는 사람의 정신 건강을 위해, 기분 전환 등에 의한 감정 향상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서비스에 대한 연구와 개발은 미약한 실정이다.
또한, 이와 같은 서비스 제공은 즉시성을 가지고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져야 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 등을 이용하여 파악한 사용자의 감정을 기초로, 감정 향상을 위한 컨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하기 위한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은, 생체 센서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표정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표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감정 상태에 따라, 감정 향상을 위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악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표정 외에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더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감정 수치가, 부정적인(negative) 감정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만, 상기 감정 향상을 위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정 향상을 위한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사진, 음악, 동영상, 애니메이션 또는 상기 감정 향상을 위한 호흡법, 음식추천, 식이요법 또는 운동요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반영된 아바타를 생성하여, 다른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른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체센서들은, 악세서리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생체 센서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터치스크린;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집된 생체 정보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표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감정 상태에 따라 감정 향상을 위한 컨텐츠를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피드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감정에 따라 감정 향상을 위한 컨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피드백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감정 제어와 감성 정화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도움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감성 피드백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감성 피드백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감성 피드백 시스템은, 생체 센서들(100-1, 100-2, ... , 100-n)과 모바일 기기(200)가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생체 센서들(100-1, 100-2, ... , 100-n)은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부위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생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들이다. 생성되는 생체 정보로 체온, 혈압, 맥파, 심박수, 피부 전도도, 뇌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생체 센서들(100-1, 100-2, ... , 100-n)은 반지, 팔지, 목걸이, 귀걸이 등의 악세서리 타입으로 구현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는, 카메라(210), 통신부(220), 스피커(230), 프로세서(240), 저장부(250), 마이크(260) 및 터치 스크린(270)을 포함한다.
카메라(210)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표정이 담긴 영상을 생성하고, 마이크(260)는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다.
통신부(220)는 이동통신 외에 생체 센서들(100-1, 100-2, ... , 100-n)과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220)는 생체 센서들(100-1, 100-2, ... , 100-n)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들을 수집하여 프로세서(240)로 전달한다.
스피커(230)는 오디오 출력을 위한 수단이고, 터치 스크린(270)은 비디오 출력을 위한 수단이다. 터치 스크린(270)은 터치를 통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데에도 이용된다.
저장부(250)는 모바일 기기(200)로 감성 피드백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감성 피드백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후술할 도 3에 도시된 알고리즘이 프로그램화된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저장부(250)에는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데, 컨텐츠에는 사진, 음악,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이 포함된다.
저장부(25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일부는 사용자의 감정 향상(제어/정화)을 위한 컨텐츠들로 지정된다. 지정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컨텐츠의 속성 중 장르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에는 감정 향상(제어/정화)을 위한 음식추천(예를 들면, 스트레스 해소나 감정 정화에 좋은 음식추천), 식이요법, 호흡법이나 운동요법을 담고 있는 컨텐츠도 포함된다.
프로세서(240)는 통신부(220)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들,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표정 및 마이크(26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한다.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파악된 감정 상태에 따라 감정 향상(제어/정화)을 위한 컨텐츠를 터치 스크린(270)을 통해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데, 이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통신부(220)는 생체 센서들(100-1, 100-2, ... , 100-n)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들을 수집한다(S310). S310단계에서 수집된 생체 정보들은 프로세서(240)로 전달된다.
카메라(210)가 사용자를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면, 프로세서(240)는 카메라(210)가 생성한 영상에서 사용자의 표정을 인식한다(S320).
또한, 프로세서(240)는 마이크(26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분리하여 인식한다(S330).
이후, 프로세서(240)는 S310단계에서 수집된 생체 정보들, S320단계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표정 및 S330단계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한다(S340).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S340단계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좋은 상태인지 아니면 나쁜 상태인지 판단한다(S350).
S350단계에서의 상태 판단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감정 수치를 산출하여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정 수치가 긍정적인(positive)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좋은 상태(기쁨, 즐거움, 평온, 행복 등)로 판단한다. 반면, 감정 수치가 부정적인(negative)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프로세서(240)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쁜 상태(슬픔, 노여움, 놀람 등)로 판단한다.
S250단계에서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나쁜 상태로 판단되면(S350-Y), 프로세서(240)는 감정 향상(제어/정화)을 위한 컨텐츠를 터치 스크린(270)과 스피커(230)를 통해 사용자에게 피드백한다(S360).
S360단계에서 감정 향상(제어/정화)을 위해 사용자에게 피드백되는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사진, 음악,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이다. 사용자는 자신이 부정적인 감정에서 기분 전환을 위한 컨텐츠들을 미리 지정할 수 있으며, S360단계에서는 이 컨텐츠들이 피드백되도록 구현가능하다.
S360단계에서의 피드백은 팝-업 형태나 추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는 컨텐츠를 바로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형태의 피드백이고, 후자는 컨텐츠 목록을 제시하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재생시킬 것을 권유하는 형태의 피드백이다.
한편, 피드백되는 컨텐츠는 호흡법(명상법)이나 운동요법 등이 담겨진 컨텐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S340단계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반영된 아바타를 생성하여, 다른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사용자는 사용자의 연인일 수 있다.
이에,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기분 전환용 컨텐츠와 메세지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200)에 전송하면, 모바일 기기(200)가 수신된 컨텐츠와 메세지를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지금까지,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생체 센서들(100-1, 100-2, ... , 100-n)과 모바일 기기(200)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양자 간의 연결은 유선으로도 구현가능하다.
그리고, 위 실시예에서 언급한 반지, 팔지, 목걸이, 귀걸이는 악세서리에 대한 예들로, 이외의 다른 타입의 악세서리로 생체 센서를 구현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기기를 언급하였는데, 이는 다른 종류의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 PC, 스마트 TV 등)나 전자 기기로 대체 가능하다. 스마트 TV의 경우 감성 피드백 서비스로 TV 채널 전환/제시가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1, 100-2, ... , 100-n : 생체 센서
200 : 모바일 기기 210 : 카메라
220 : 통신부 230 : 스피커
240 : 프로세서 250 : 저장부
260 : 마이크 270 : 터치 스크린

Claims (7)

  1. 생체 센서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표정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표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감정 상태에 따라, 감정 향상을 위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악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표정 외에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더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감정 수치가, 부정적인(negative) 감정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만, 상기 감정 향상을 위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향상을 위한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사진, 음악, 동영상, 애니메이션 또는 상기 감정 향상을 위한 호흡법, 음식추천, 식이요법 또는 운동요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반영된 아바타를 생성하여, 다른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른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센서들은,
    악세서리 타입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7. 생체 센서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집된 생체 정보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표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감정 상태에 따라 감정 향상을 위한 컨텐츠를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피드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20099165A 2012-09-07 2012-09-07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KR20140032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165A KR20140032651A (ko) 2012-09-07 2012-09-07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165A KR20140032651A (ko) 2012-09-07 2012-09-07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51A true KR20140032651A (ko) 2014-03-17

Family

ID=5064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165A KR20140032651A (ko) 2012-09-07 2012-09-07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265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834A (ko) * 2016-01-21 2017-07-31 트런그램 지알트룰 셰르파 마음 상태를 결정하고 피험자에게 감각기관을 통한 대응책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KR20180066415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비슬터 개인 맞춤형 감성 서비스 시스템
WO2018222028A1 (en) * 2017-06-01 2018-12-06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 A system and a method to determine and control emotional state of a vehicle operator
KR20190023625A (ko) * 2017-08-29 2019-03-08 노승보 스마트 미러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장치
KR20200062894A (ko) * 2018-11-27 2020-06-04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스마트 의류용 전도성 편직물 및 상기 전도성 편직물에 의하여 센싱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스트레스 지수를 낮추기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KR102187210B1 (ko) * 2020-06-22 2020-12-04 주식회사 플랙스 영상 일기를 이용한 심리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834A (ko) * 2016-01-21 2017-07-31 트런그램 지알트룰 셰르파 마음 상태를 결정하고 피험자에게 감각기관을 통한 대응책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KR20180066415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비슬터 개인 맞춤형 감성 서비스 시스템
WO2018222028A1 (en) * 2017-06-01 2018-12-06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 A system and a method to determine and control emotional state of a vehicle operator
KR20190023625A (ko) * 2017-08-29 2019-03-08 노승보 스마트 미러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장치
KR20200062894A (ko) * 2018-11-27 2020-06-04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스마트 의류용 전도성 편직물 및 상기 전도성 편직물에 의하여 센싱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스트레스 지수를 낮추기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KR102187210B1 (ko) * 2020-06-22 2020-12-04 주식회사 플랙스 영상 일기를 이용한 심리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WO2021261887A1 (ko) * 2020-06-22 2021-12-30 주식회사 플랙스 영상 일기를 이용한 심리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38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patients
CN101286196B (zh) 图像存储处理装置和方法、图像搜索装置和方法
US202002935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48168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30245396A1 (en) Mental state analysis using wearable-camera devices
Krakovsky Artificial (emotional) intelligence
KR20140032651A (ko) 감성 피드백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JP2020039029A (ja)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US20200275875A1 (en) Method for deriving and storing emotional conditions of humans
JP202011319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hoi et al. PPGface: Like what you are watching? Earphones can" feel" your facial expressions
US20160136384A1 (en) System, method and kit for reminiscence therapy for people with dementia
JP2016177483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4026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presenting life moment information for subjects with cognitive impairment
Aleksic et al. State of the art of audio-and video-based solutions for AAL
US112271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464423B1 (ko) 인터랙션 모니터링 시스템, 이를 이용하는 육아 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인터랙션 모니터링 방법
WO201904413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28521A (ko) 아기 주변 영역을 이용한 아기의 감정 상태 증강 방법
KR20150109993A (ko) 사용자의 선호 감정 패턴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764099A (zh) 基于人工智能的心理状态分析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6977463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181080A1 (ja) 傾向判定装置、反射体付き表示装置、傾向表示システム装置、傾向判定方法、表示処理方法、傾向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im et al. Mediating individual affective experience through the emotional photo frame
KR20200028519A (ko) 아기의 감정 상태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