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614A -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 - Google Patents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614A
KR20140032614A KR1020120099053A KR20120099053A KR20140032614A KR 20140032614 A KR20140032614 A KR 20140032614A KR 1020120099053 A KR1020120099053 A KR 1020120099053A KR 20120099053 A KR20120099053 A KR 20120099053A KR 20140032614 A KR20140032614 A KR 20140032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gloves
glove
main body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필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셀마이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셀마이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셀마이다스
Priority to KR1020120099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2614A/ko
Publication of KR2014003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9Protective gloves with thermal or fire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 부터 전해지는 고온의 열기가 착용자의 수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용 장갑을 제작함에 있어서, 수부가 삽입되는 장갑본체를 구조단열사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수부와 맞닿은 장갑본체의 내측과 외부 화기와 직접 맞닿는 장갑본체의 외측 부분에 각각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열기를 차단할 수 있고, 단일 원사로 효과적인 다층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편성물로 제작됨으로써 활동성이 부여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부가 삽입되는 장갑본체와, 장갑본체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된 날개사로 구성되되, 장갑본체는 직조사로 편직되고, 상기 직조사는 꼬임사와 꼬임사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 날개사로 구성되며, 상기 날개사는 난연섬유로 형성되고, 꼬임사는 P-arami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Work gloves with improved insulation and active}
본 발명은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 부터 전해지는 고온의 열기가 착용자의 수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용 장갑을 제작함에 있어서, 수부가 삽입되는 장갑본체를 구조단열사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수부와 맞닿은 장갑본체의 내측과 외부 화기와 직접 맞닿는 장갑본체의 외측 부분에 각각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열기를 차단할 수 있고, 단일 원사로 효과적인 다층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편성물로 제작됨으로써 활동성이 부여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 작업장 및 유리 가공 작업장 등과 같이 수작업으로 높은 온도의 제품을 다루고, 위험도가 높은 산업현장에서는 제품에서 발산되는 열이나 작업환경으로 부터 작업자의 수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열성과 단열성이 뛰어난 안전 장갑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작업용 단열 장갑은 그 구조와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대부분 내열성이 우수한 원사로 직조되어 외부의 화기로부터 장갑 및 신체를 보호하는 보호층과 열기가 신체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는 단열층의 다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부에 착용하여 고열 작업에 임하게 되면 외곽의 보호층으로써 화기에 의한 장갑 및 신체의 상해를 1차 방지하고, 내부의 단열층으로 온도 전달을 지연시켜 줌으로써 고온에서의 반복 작업을 진행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작업용 내열 장갑은 장갑의 사용 가능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두꺼운 보호층과 단열층으로 구성됨으로써 자유로운 수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작업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렇다고 수부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보호층 및 단열층을 얇게 형성할 수도 없었는데, 그 이유는 보호층 및 단열층을 얇게 형성하면 내열성이 저하되므로 고열과 고위험군의 작업을 할 수 없게 되고, 일반 장갑과의 차별을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의 작업용 내열 장갑은 보호층 및 단열층에 비하여 내열성도 그렇게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그렇다고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보호층과 단열층을 두껍게 형성할 수도 없었는데, 이는 보호층와 단열층을 두껍게 형성하면 수부의 움직임이 더욱 더 둔해져 작업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의 두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도록 내열성과 작업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작업용 내열 장갑에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수부가 삽입되는 장갑본체의 내부와 외부에 날개사가 노출되도록 편성물을 제작함으로써 장갑 내, 외부에 자연스럽게 면적대비 65~85%의 공기함유량을 가진 공기층이 형성되어 효과적으로 외부 화기의 열기를 차단할 수 있고, 구조단열사를 이용하여 제품을 구성함으로써 단일 원사의 사용으로 보호층과 단열층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장갑보다는 얇아지며, 환(고리 環)으로 이루어진 편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신축성이 부여되어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부가 삽입되는 장갑본체와, 장갑본체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된 날개사로 구성되되, 장갑본체는 직조사로 편직되고, 상기 직조사는 꼬임사와 꼬임사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 날개사로 구성되며, 상기 날개사는 난연섬유로 형성되고, 꼬임사는 P-arami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조단열사를 사용하여 보호층과 단열층을 효과적으로 동시에 부여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장갑에 비하여 장갑 본체를 얇게 형성하게 되고, 편성물을 사용하여(장갑본체의 내측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신축성이 부여됨으로써 수부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져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장갑본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외부 열기의 차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장갑본체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꼬임사를 이용하여 편성물을 구성함으로써 장갑의 밀도와 두께를 증가시켜 외부화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장갑의 파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섬유를 날개사로 사용함에 따라 장갑 내, 외부에 자연스럽게 면적대비 65~85%의 공기함유량을 가진 공기층이 형성되어 효과적인 단열 성능을 부여할 수 있고, 동시에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써 수부의 움직임이 유연해짐에 따라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조사를 나타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직조사 및 작업용 내열장갑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용 내열장갑을 나타낸 예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조사를 나타낸 예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직조사와 작업용 내열장갑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용 내열장갑을 나타낸 예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 부터 전달되는 고온의 열기가 착용자의 수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100)을 제작함에 있어서 수부가 삽입되는 장갑본체(1)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날개사(2)가 노출되도록 편직하여 제작함으로써 외부의 열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100)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장갑본체(1)는 착용자의 수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직조사(3)로써 편직되고, 상기 직조사(3)는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꼬임사(4)와 상기 꼬임사(4)에 의해 결합되고, 다수 가닥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기립되도록 형성된 날개사(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사(2)는 난연섬유 재질로 형성되고, 꼬임사(4)는 P-aramid 섬유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난연섬유라 함은 주로 고분자 물질의 발염 및 무염 연소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내화처리제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도포되어 형성된 재질을 말하는 것으로 내열성이 아주 뛰어나고, 강성이 매우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P-aramid 섬유는 합성폴리아라미드를 폴리머로 하여 제조된 섬유를 말하는 것으로, 고유의 강도 및 내열성이 뛰어남에 따라 내열, 안전복, 방탄복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100)과는 대조되게 종래에 사용되었던 내열성을 부여하여 열기의 내부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진 내열장갑은 대부분 난연사를 이용하여 평직(씨실과 날실을 한 올씩 엇바꾸어 짜는 방법)으로 제직(실을 재료로 하여 천을 짬)한 후 여러 겹을 겹친 다음에 봉제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내열장갑의 내부에 침투되는 열기의 침투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장갑본체(1)의 내부에 솜이나 다른 기타 충진물을 삽입하여 장갑본체(1)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여 단열(보호)층을 형성하기도 하였고, 장갑본체(1)의 손바닥 혹은 전체에 내열성이 우수한 보호(단열)층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내열장갑은 사용 가능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호층과 단열층이 두껍고 조밀하게 형성됨에 따라 자유로운 수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착용자의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처럼 제한된 수부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장갑본체(1)를 비롯한 보호층과 단열층을 얇게 형성하여 내열장갑을 제작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단열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됨으로써 일반 장갑과의 별다른 차이점을 구현할 수 있게 되어 내열성 및 단열성이 저하됨으로써 고열과 고위험군의 작업을 할 수 없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장갑본체(1)의 보호층과 단열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내열장갑을 제작하게 되면 수부의 움직임이 더욱 더 둔해져서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보호층과 두꺼운 단열층에 비하여 내열성 및 단열성이 그다지 뛰어나지 못한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수부가 삽입되는 장갑본체(1)를 구조단열사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날개사(2)로 인한 단열층과 꼬임사(4)로 인한 보호층이 효과적으로 부여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폐단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장갑본체(1)가 꼬임사(4)와 날개사(2)로 구성된 직조사(3)로 편직됨에 따라 장갑본체(1)에 보호층과 단열층을 효과적으로 동시에 부여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장갑에 비하여 장갑 본체를 얇게 형성하게 되고, 편성물을 사용하여(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신축성이 부여되며, 장갑본체(1)의 내부와 외부에 날개사(2)가 노출됨으로써 수부와 맞닿은 장갑본체(1)의 내측과 외부 화기와 직접 맞닿은 장갑본체(1)의 외측 부분에 각각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단열층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열기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장갑본체(1)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꼬임사(4)를 이용하여 편성물을 구성함으로써 장갑의 밀도와 두께가 증가되어 외부화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장갑의 파기를 방지할 수 있는 보호층을 구성하게 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폐단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단열사를 사용하여 보호층과 단열층을 효과적으로 동시에 부여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장갑에 비하여 장갑본체(1)를 얇게 형성하게 되고 편성물을 사용하여(장갑본체(1)의 내측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신축성이 부여됨으로써 수부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져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장갑본체(1)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외부 열기의 차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장갑본체(1)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꼬임사(4)를 이용하여 편성물을 구성함으로써 장갑의 밀도와 두께를 증가시켜 외부화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장갑의 파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연섬유를 날개사(2)로 사용함에 따라 장갑 내, 외부에 자연스럽게 면적대비 65~85%의 공기함유량을 가진 공기층이 형성되어 효과적인 단열 성능을 부여할 수 있고, 동시에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써 수부의 움직임이 유연해짐에 따라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 : 장갑본체 2 : 날개사
3 : 직조사 4 : 꼬임사
100 :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

Claims (4)

  1. 수부가 삽입되는 장갑본체(1)와, 장갑본체(1)의 내부와 외부에 형성된 직조사(3)로 구성되되, 상기 직조사(3)는 꼬임사(4)의 외주면에 다수가닥의 날개사(2)가 일정간격으로 기립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
  2. 제 1항에 있어서, 장갑본체(1)는 직조사(3)로 편직되고, 상기 직조사(3)는 꼬임사(4)와 꼬임사(4)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 날개사(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
  3. 제 2항에 있어서, 날개사(2)의 내부와 외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
  4. 제 2항에 있어서, 날개사(2)는 난연섬유로 형성되고, 꼬임사(4)는 P-aramid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
KR1020120099053A 2012-09-07 2012-09-07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 KR20140032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053A KR20140032614A (ko) 2012-09-07 2012-09-07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053A KR20140032614A (ko) 2012-09-07 2012-09-07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14A true KR20140032614A (ko) 2014-03-17

Family

ID=5064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053A KR20140032614A (ko) 2012-09-07 2012-09-07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26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53460A1 (ja) 積層耐熱防護衣
US20080299854A1 (en) Flame Resistant Spacer Fabric
US9655393B2 (en) Layered structural fire glove
CN102499501A (zh) 耐腐蚀耐高温隔热复合防护服面料
CN102482812A (zh) 三层织物和由此成形的热防护元件及其构造方法
JP2011511175A (ja) 耐切創性、耐油性及び耐燃性手袋及びそのための方法
AU2012352078A1 (en) Structural fire glove
EP2689055B1 (en) Multilayer fabric for flame and thermal protection
EP2738293A1 (en) Multilayer woven fabric with electrical protection characteristics
CN103264550A (zh) 一种消防服面料
WO2015066688A2 (en) Heat resistant outershell fabric
JP2018164967A (ja) 作業ロボット用耐熱性保護カバー
CN206856146U (zh) 一种防电弧面料以及带有该面料的防电弧t恤
KR101164785B1 (ko) 내열성과 내절단성을 동시에 갖는 작업용 내열 장갑
KR20140032614A (ko) 단열성과 활동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장갑
KR101287377B1 (ko) 보온성이 향상된 내절단성 장갑
JP2010255124A (ja) 耐熱性防護服
KR101888899B1 (ko) 방검복을 위한 복합 원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115251A (ja) 耐熱手袋
CN218257166U (zh) 一种阻燃迷彩织带
JP2007092209A (ja) 耐熱性布帛及びそれからなる耐熱性防護服
CN109159512A (zh) 一种隔热型防护服
CN215152754U (zh) 一种综合型循环涂覆高低频辐射防护服面料
CN209794779U (zh) 一种准三维碳纤维轴向布缝制的复合材料基层
CN209552628U (zh) 一种新型耐老化耐磨型纺织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