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575A -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575A
KR20140032575A KR1020120098769A KR20120098769A KR20140032575A KR 20140032575 A KR20140032575 A KR 20140032575A KR 1020120098769 A KR1020120098769 A KR 1020120098769A KR 20120098769 A KR20120098769 A KR 20120098769A KR 20140032575 A KR20140032575 A KR 20140032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program information
education
object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복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2575A/ko
Publication of KR2014003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62Virtualis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 상기 추출된 객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을 제작하는 가상현실 제작부, 및 상기 제작된 가상현실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3차원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는 Linden Lab에서 개발하여 2003년 공개한 가상현실 서비스로서 가상현실상에 자신의 아바타를 만들어 현실과 같은 환경에서 자신이 하고 싶은 행위를 하는 서비스로 현실과 동일한 환경을 가진 사이버 공간에서 여러 가지 행위들이 일어난다.
이런, 세컨드 라이프에서 교육 역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실제 세컨드 라이프 상에 가상 대학교(Virtual University)를 구축하여 교육중인 곳들도 많이 존재하고 있다. 가트너는 2011년 말에는 인터넷 사용자의 80%가 세컨드 라이프와 같은 3차원 가상현실을 이용하게 될 것이며, 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모든 인터넷 유저가 2차원 환경에서 3차원 가상현실로 옮겨갈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세컨드 라이프 내에서 닷넷 관련 무료 강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하버드, MIT등의 대학들에서 사이버 캠퍼스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특히, 경영강좌에서 아바타가 실제로 세일즈 활동을 하게 하는 등 체험강좌에서 효과적이라고 하고 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은 시청각 자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교육자가 온라인 강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이미 구성되어있는 교육 컨텐츠에 수동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컨텐츠 제작 주체가 한정되어 있어 컨텐츠의 양적 질적으로 지속적인 향상이 어렵고 내용의 자유로운 선택 및 그 확장성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운영중인 강좌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상의 가상환경을 구축하여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공조냉동시스템 자동제어, 센서제어기술, 디지털 공학실습 등의 실습현장에 대한 가상환경을 구축하여 실습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러닝 과정 중 실습에 관한 부분은 온라인 강의에서 한계가 있었으나 가상환경 상에서 아바타를 이용하여 실습을 진행할 수 있어 학습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은 가상현실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 상기 추출된 객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을 제작하는 가상현실 제작부, 및 상기 제작된 가상현실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가상현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추출부는 사용자로부터 가상현실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선택된 가상현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는 상기 가상현실 내 상기 객체의 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상기 객체 간의 이벤트를 전달하는 함수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제작부는 상기 객체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함수를 통해 전달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내 상기 객체와 연관된 다른 객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제작부는 상기 가상현실 내 객체로 사용자가 추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시각 변화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내 다른 객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가상현실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객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작된 가상현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온라인 강의에서 부족했던 몰입감이나 사용자의 흥미 유발 및 실습 과목들에 대한 한계점등에 대해서 혼합현실(Mixed Reality) 기반 가상환경에서의 온라인 강의 시스템을 통하여 부족했던 부분들을 채워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실상에서 한정된 장소에서 한정된 장비들을 이용한 실습과정들을 시간, 공간에 제약 없이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위험하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교육 컨텐츠를 가상현실상에서 학습하고, 교육할 수 있도록 제공해줌으로써 시간, 공간, 비용에 보다 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상에서 아바타를 통한 조작과 실습 과정들을 임의의 시간에 여러 번 반복학습을 할 수 있어, 실습에 대한 이해도와 숙련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구성원들 간의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함으로써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기술을 기술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몰입감을 높여줄 수 있고, 게임처럼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에 재미를 촉발시켜 줄 수 있음으로써 학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교육용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에 대한 객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객체를 이용하여 교육용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교육용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한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대학교 캠퍼스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강의실 내부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100, 이하 '교육 시스템'이라 함)은 객체 추출부(110), 생성부(120), 데이터베이스(130), 가상현실 제작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컨드 라이프는 가상현실상에 자신의 아바타를 만들어 현실과 같은 3차원 환경에서 자신이 하고 싶은 행위를 하는 서비스로 현실과 동일한 환경을 가진 사이버공간에서 여러 가지 행위들이 일어난다. 이러한, 세컨드 라이프를 교육 시스템에 적용한 것이 본 발명의 교육 시스템(100)이다. 교육 시스템(100)은 다양한 교육 관련 강의를 가상현실로 만들어, 가상현실을 통해 실습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교육 관련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상현실에 포함된 객체를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객체 추출부(110)는 가상현실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한다. 일반적으로, 교육 시스템(100) 내 가상현실은 교과과목과 연관된 것일 수 있다. 교과과목은 특정 실험도구를 이용하여 실습을 많이 하는 과목이거나, 현장학습이 많은 과목일 수 있다.
예컨대, 교육 시스템(100)은 실제 수업이 진행되는 것처럼 정해진 시간에 가상환경 내에 구축된 강의실에 학습자들이 모여 강의가 진행되는 방식(아바타를 이용)으로 30분 분량의 이론위주의 강의로 교수가 준비한 매체들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강의. 슬라이드나 동영상,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강의하는 가상현실을 제작할 수 있다.
또는, 교육 시스템(100)은 임의의 시간에 학습자들이 접속하여 교수가 미리 구축해놓은 교육 매체들을 이용하여 개인별 학습을 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사이버교육처럼 제공되는 매체들을 이용하여 각자 수준에 맞는, 진도에 맞는 학습을 하는 방식의 가상현실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가상현실은 실시간 강의에서 이루어지는 과정과 같이 30분 단위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분량으로 교수가 슬라이드, 동영상,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구축해둔 공간에 학습자가 들어와 해당 강의를 선택하여 학습하는 방식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e-러닝 시스템과 유사하나, 학습매체들이 가상환경에 구축되어 제공됨에 따라 몰입감이 높아질 수 있다.
교육 시스템(100)은 가상환경에서 실습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아바타를 이용하여 가상환경에서 실습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실습에 필요한 장비나 도구들을 실습실이라는 가상의 공간을 만들고 그 실습실 안에 구성해두고, 학습자가 접속하여 해당 실습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의 가상현실을 제작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은 실시간 강의처럼 교수가 정해진 시간에 실습과정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며 실습을 할 수 있고, 상시 학습처럼 임의의 시간에 학습자가 접속하여 실습과정을 반복 학습할 수 있다.
교육 시스템(100)은 학습자들이 임의로 스터디 그룹을 구성하여 학습하고, 학습자들 서로 학습에 도움을 주는 방식의 가상현실을 제작할 수도 있다. 가상현실은 스터디 그룹들의 학습을 도와주기 위한 스터디 룸이라는 가상의 공간을 구성하여 두고, 학습자들 중 스터디 그룹을 구성을 원하는 학습자들끼리 그룹을 구성하여 정해진 시간에 스터디 룸에서 음성채팅이나, 텍스트 채팅, 슬라이드나 비디오 자료들을 통해 서로간의 학습을 도와줄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가상현실은 상기 교과과목과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하나 이상의 가상현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가상현실이 디지털공학실습과 관련된 강의실인 경우,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 강의실에 필요한 책상, 의자, 오실로스코프, 기타 실습 장비들을 객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객체 추출부(110)는 교과과목을 수강하는 사용자로부터 가상현실을 선택받고, 선택된 가상현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생성부(120)는 상기 추출된 객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한다.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가상현실 내 상기 객체들을 배치하는 위치나, 객체 간의 연관관계를 프로그램 언어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프로그램 언어는 자바 스크립트, C언어, PHP 등 다양한 프로그램 언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생성부(120)는 상기 가상현실 내 상기 객체의 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상기 객체 간의 이벤트를 전달하는 함수를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객체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다른 객체에도 변화를 줄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나 컴퓨터에 포함된 부품들이 객체로 표현될 경우, 각각의 객체들에 의한 프로그램 정보가 작성이 되어 있어 하나의 부품을 누를 경우 다른 부품들은 따로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그래서, 하나의 부품을 누르더라도 일관성 있게 첫 부품부터 마지막 부품까지 차례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생성부(120)는 프로그램 정보를 작성할 시에 하나의 객체에서 다른 객체로 이동이나, 위치변화 등의 이벤트를 전달해 줄 수 있는 함수를 포함시킬 수 있다.
가상현실 제작부(140)는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을 제작한다. 가상현실 제작부(140)는 상기 객체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함수를 통해 전달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내 상기 객체와 연관된 다른 객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예컨대, 가상현실 제작부(140)는 가상현실 내 제1 객체가 이동이나, 위치 변화하면, 상기 제1 객체와 연관된 제2 객체에 대해서도 상기 변화된 제1 객체에 맞춰 변화를 줄 수 있다.
실시예로, 가상현실 제작부(140)는 상기 가상현실 내 객체로 '사용자'가 추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시각 변화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내 다른 객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이 교육과 연관된 가상현실이기 때문에, 교육을 받는 학습자인 사용자 중심으로 가상현실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현실 제작부(140)는 사용자를 아바타로 하여, 아바타가 상기 가상현실 내 위치변화에 따른 시각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내 객체들에 변화를 줄 수 있다.
표시부(150)는 상기 제작된 가상현실을 표시한다. 표시부(150)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제작된 가상현실을 표시할 수 있도록, 웹페이지 화면에 또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상기 가상현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교육 시스템은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Smart Vision Inspector) 시스템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할 수 있다.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은 비전 센서(Vision Sensor)를 이용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물체의 표면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처리와 분석을 통하여 표면상의 결함을 종류별로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LCD관련 부품 시장에서 결함검사기로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시스템이다.
상기 교육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을 가상현실로 제작하기 위해서, 상기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객체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은 2개의 그룹으로 광학계를 구성하여, 이송중인 필름 상, 하에서 순차적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상 하면의 불량을 놓치지 않는 방식을 취하였다. 각 그룹은 라인 스캔 카메라와 화이트 LED 조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육 시스템은 상기 라인 스캔 카메라와 상기 화이트 LED 조명을 객체로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교육 시스템은 제1 그룹에 포함된 라인 스캔 카메라와 화이트 LED 조명을 이용하여 요철형 얼룩 (Nori Dakon), 선형 불량 (SEPA Kiz), 점형 불량 (SEPA Kiz)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제2 그룹에 포함된 라인 스캔 카메라와 화이트 LED 조명을 이용하여 요철형 얼룩 (Haka), 선형 얼룩 불량 (SPV 주름), 선형 불량 (SPV Kiz, Uki), 점형 불량 (SPV 이물, SPV 기포) 등의 결함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교육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을 제작함으로써, 화면에 상기 제작된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에 대한 가상현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교육용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에 대한 객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교육 시스템은 도 2에서 제작된 가상현실과, 원래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육용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교육 시스템은 라인 스캔 카메라에 포함된 부품들을 객체로서 추출할 수 있다(310). 상기 교육 시스템은 오른쪽과 같은 렌즈 부분과 아래의 박스 모양 같은 모듈 부분의 조립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라인 스캔 카메라를 완성시킬 수 있다(320). 예컨대, 상기 교육 시스템은 상기 라인 스캔 카메라의 부품들을 조립하기 위하여 Scratch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모션(motion), 제어, 개수에 대한 소스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소스들이 프로그램 정보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육 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를 객체로서 추출하여, 컨베이어 벨트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330). 또한, 상기 교육 시스템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동되는 물체와 화이트 LED 조명에 대해서도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객체를 이용하여 교육용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교육 시스템은 도 3에서 각 객체(라인 스캔 카메라, 컨베이어 벨트, 화이트 LED 조명)들에 대해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교육용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교육 시스템은 상기 라인 스캔 카메라와 상기 화이트 LED 조명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컨베이어 벨트에서 물체가 이동됨에 따른 움직임들을 다른 객체들에게 변화를 주어, 가상현실을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교육용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한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교육 시스템은 상기 교육용 스마트 비전 인스펙터 시스템을 배우는 학습자인 사용자(50)를 중심으로, 상기 사용자의 시각 변화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내 다른 객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도 6은 대학교 캠퍼스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교육 시스템은 대학교 캠퍼스를 가상현실로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대학교 캠퍼스에 포함된 실습실, 강의실 등을 객체로서 추출하고, 각 추출된 객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그램 정보는 사용자(6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실습실이나 강의실의 모습이 변화하는 것을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육 시스템은 사용자가 대학교 캠퍼스를 걷는 등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60)와 연관된 다른 객체들(실습실, 강의실)도 같이 변화를 주는 가상현실을 제작할 수 있다.
도 7은 강의실 내부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대학교 캠퍼스를 걷는 중, 강의실에 들어간 경우, 강의실 내부에 대한 가상현실을 제작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교육 시스템은 강의실 내부에 포함된 칠판, 창문, 의자, 책상 등의 객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들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과 마찬가지로, 상기 교육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강의실 내부를 이동하는 등의 변화에 따라 칠판, 의자, 책상의 다른 객체들의 모습이나 개수에 변화를 주는 가상현실을 제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단계 S10에서,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가상현실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한다. 상기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구현하고자 하는 가상현실이 디지털공학실습과 관련된 강의실인 경우, 상기 강의실에 필요한 책상, 의자, 오실로스코프, 기타 실습 장비들을 객체로서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20에서, 상기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상기 추출된 객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한다.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가상현실 내 상기 객체들을 배치하는 위치나, 객체 간의 연관관계를 프로그램 언어로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상기 가상현실 내 상기 객체의 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상기 객체 간의 이벤트를 전달하는 함수를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객체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다른 객체에도 변화를 줄 수 있다.
단계 S30에서, 상기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을 제작한다. 상기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상기 객체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함수를 통해 전달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내 상기 객체와 연관된 다른 객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단계 S40에서, 상기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상기 제작된 가상현실을 표시한다.
실시예로, 상기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은 상기 가상현실 내 객체로 '사용자'가 추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시각 변화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내 다른 객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110: 객체 추출부
120: 생성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가상현실 제작부
150: 표시부

Claims (10)

  1. 가상현실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
    상기 추출된 객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을 제작하는 가상현실 제작부; 및
    상기 제작된 가상현실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상현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체 추출부는,
    사용자로부터 가상현실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선택된 가상현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가상현실 내 상기 객체의 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상기 객체 간의 이벤트를 전달하는 함수를 포함시키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제작부는,
    상기 객체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함수를 통해 전달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내 상기 객체와 연관된 다른 객체에 변화를 주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제작부는,
    상기 가상현실 내 객체로 사용자가 추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시각 변화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내 다른 객체에 변화를 주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6. 가상현실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객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작된 가상현실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상현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가상현실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가상현실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선택된 가상현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객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내 상기 객체의 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프로그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프로그램 정보에 상기 객체 간의 이벤트를 전달하는 함수를 포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가상현실을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함수를 통해 전달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내 상기 객체와 연관된 다른 객체에 변화를 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가상현실을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내 객체로 사용자가 추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시각 변화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내 다른 객체에 변화를 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방법.
KR1020120098769A 2012-09-06 2012-09-06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2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769A KR20140032575A (ko) 2012-09-06 2012-09-06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769A KR20140032575A (ko) 2012-09-06 2012-09-06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575A true KR20140032575A (ko) 2014-03-17

Family

ID=5064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769A KR20140032575A (ko) 2012-09-06 2012-09-06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25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362A (ko)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디지포레 혼합현실 내 몰입적 체험교육 제공을 위한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351298B1 (ko) * 2021-04-25 2022-01-17 주식회사 헤이아이엠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온택트형 옴니버스식 학습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362A (ko)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디지포레 혼합현실 내 몰입적 체험교육 제공을 위한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351298B1 (ko) * 2021-04-25 2022-01-17 주식회사 헤이아이엠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온택트형 옴니버스식 학습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cca et al. Mobile augmented reality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ortelance et al. Code and Tell: Assessing young children's learning of computational thinking using peer video interviews with ScratchJr
Bacca Acosta et al. Mobile augmented reality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Martin-Gutierrez et al. Improving strategy of self-learning in engineering: laboratories with augmented reality
Lau et al. Recent development in multimedia e-learning technologies
Sannikov et al. Interactiv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3D visualization
Nguyen et al. Web-based virtual reality development in classroom: From learner's perspectives
Salvador-Herranz et al. Manipulating virtual objects with your hands: A case study on applying desktop augmented reality at the primary school
Jumani et al.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for education
Aldosemani et al. Second life to support multicultural literacy: Pre-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Çolak et al. A review o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n engineering education
Kamińska et al. Virtual reality as a tool in mechatronics education
Kim et al. Virtual reality as a standard i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curriculum
KR20200012272A (ko) 이러닝을 통한 스마트 교육 시스템
KR20140032575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 및 방법
Staneva et al. Integration multimedia and virtual reality in the online teaching of fine Arts
Sagayam et al. Augmented reality-based solar system for e-magazine with 3-D audio effect
Jaafar et al. Integration of claymation technology as a learning media for preschool studies
Wibawa Digital Storytelling for Early Childhood Creativity: Diffusion of Innovation" 3-D Coloring Quiver Applic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Prasad et al. Integration of innovative technologies and affective teaching & learning in programming courses
Potter Primary education in a digital age
Ansyah UTILIZ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IN MADRASAH
Richard et al. The Impact of Virtual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on a Self-Guided Online Course in Oral English for Undergraduates
Daineko et al. Development of Electronic Educational Resources for Physics with Elements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Šašinka et al. Holistic Approach to Collaborative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in Education: eDIVE Design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