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295A - 포장상자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포장상자 및 그 제작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295A
KR20140032295A KR1020120099008A KR20120099008A KR20140032295A KR 20140032295 A KR20140032295 A KR 20140032295A KR 1020120099008 A KR1020120099008 A KR 1020120099008A KR 20120099008 A KR20120099008 A KR 20120099008A KR 20140032295 A KR20140032295 A KR 20140032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support
bottom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동
Original Assignee
김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동 filed Critical 김현동
Priority to KR102012009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2295A/ko
Publication of KR20140032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 포장물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상자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판지에 접이부를 구비시켜 각 접이부를 접는 방식만으로 내부에 지지부가 구비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제작과정 및 제작단가 등을 줄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상자 및 그 제작방법{packing bo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 포장물의 흔들림 방지 및 진열기능을 동시에 갖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트 등에서 판매되는 와인이나 기타 유리병 등의 제품은 판매 시 단순히 비닐봉지 등에 담거나 별도의 포장상자에 수납된 상태로 구매자에게 인도된다.
하지만 비닐봉지에 담을 경우 이동과정에서 제품 간의 충돌 등으로 인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포장상자도 단순히 제품을 담기 위한 공간만이 형성되어 있을 뿐 제품의 흔들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는 제안되어 있지 않아 역시 제품의 파손 우려가 컸다.
또한 판매를 위해 제품을 진열할 때에도 해당 제품의 노출을 위해 낱개 상태로 진열한 상태에서 판매 시 포장상자 등에 다시 넣어 판매되기 때문에 제품을 재포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장상자에 투시창을 구비시키고 내부에 고정부재를 형성시킴에 따라 제품의 진열 및 흔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구조의 포장상자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포장상자는 모두 각 측벽과 고정부재가 조립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오래걸릴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제품의 포장과정이 오래걸려 제품의 생산효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더불어 조립방식이기 때문에 각 부품간의 치수 및 형상이 규격화되어야 하므로, 피 포장물의 개수나 형상이 변경될 경우 각 부품의 구조를 일일이 변경해야 하므로 그만큼 제작에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46148호 (2009.09.22.)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70422호 (2004.12.03.)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제품의 진열 및 포장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함과 동시에 제품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상자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구조를 간소화 하여 제작 및 포장과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를 손쉽게 변형 제작할 수 있는 포장상자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바닥판, 상기 제1바닥판에서 연장되어 세워져 있는 제1측면판, 상기 제1측면판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측면판과 대칭상태로 세워져 있는 제2측면판, 상기 제2측면판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측면판 위에 적층 되어 있는 제2바닥판, 그리고 상기 제2바닥판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측면판 내측에 세워져 있는 제1지지판 및 상기 제1지지판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측면판과 대칭상태로 세워져 있는 제2지지판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설치공이 형성된 구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판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바닥판 위에 적층되어 있는 제3바닥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측면판과 상기 제2바닥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제1체결공 및 상기 제1바닥판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체결공에 체결되어 있는 제1체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판에 형성되어 있는 체2체결공 및 상기 제3바닥판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체결공에 체결되어 있는 제2체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투시창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손잡이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공은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에 상호 연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판 상단과 상기 제2지지판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은 상기 연결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포장상자의 제작방법에 대한 실시예는,
상기 제1, 2지지판, 상기 제2바닥판, 상기 제1측면판, 상기 제2측면판, 상기 제1바닥판이 순차적으로 일렬 배열된 판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에 설치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간 경계지점을 절곡시켜 상기 제1지지판을 세우는 단계, 상기 제2지지판과 상기 제2바닥판 간 경계지점을 절곡시켜 상기 제2지지판을 세우는 단계, 상기 제2바닥판과 상기 제1측면판 간 경계지점을 절곡시켜 상기 제1측면판을 세우는 단계,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 간 경계지점을 절곡시켜 상기 제2측면판을 세우는 단계, 상기 제2측면판과 상기 제1바닥판 간 경계지점을 절곡시켜 상기 제1바닥판을 상기 제2바닥판 아래에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투시창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시창 형성단계는 상기 판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지지판을 세우는 단계 사이에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각 바닥판과 각 측면판 및 지지부가 모두 일체화된 상태로 단순 절곡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제작이 간편한 장점을 갖는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전개 사시도.
도3은 전체 공정도.
도4 내지 도9는 제작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10은 전단면도.
도11 및 도12는 손잡이공의 변형예를 나타낸 전개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13은 지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14는 체결편 및 체결공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포장상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바닥판(10)과 제1측면판(20), 제2측면판(30), 제2바닥판(40) 및 지지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작 전 최초 [도 2]와 같이 하나의 판지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판지의 일측단부(이하 제1테두리(1)라 함)에서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에는 제1접이부(A)가 수평 상태로 형성된다.
제1접이부(A)는 후술하는 제1바닥판(10)과 제1측면판(20) 간의 경계 및 접힘기능을 하는 것으로, 판지 표면 상에 임의의 라인형태로 그려지거나 살짝 접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판지 중 제1테두리(1)와 제1접이부(A) 사이 구간이 제1바닥판(10)이 된다.
이때 제1테두리(1)에는 포장상자의 형태 유지 및 개폐기능을 하는 체결편(12)이 돌출 형성되며, 체결편(12)은 포장상자의 크기 및 체결력 등을 고려하여 도면과 같이 2개 외에도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접이부(A)와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에는 제2접이부(B)가 제1접이부(A)와 수평상태로 형성된다.
제2접이부(B)는 후술할 제1측면판(20)과 제2측면판(30) 간 경계 및 접힘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접이부(A)처럼 판지 표면상에 그려지거나 살짝 접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제1접이부(A)와 제2접이부(B) 사이 구간이 추후 제1측면판(20)이 된다.
이때 제1테두리(1)와 제1접이부(A)간 거리보다 제1접이부(A)와 제2접이부(B)간 거리를 멀게 형성시킴에 따라 추후 제1측면판(20)이 제1바닥판(10)보다 넓은 면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제2접이부(B)와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에는 제3접이부(C)가 제2접이부(B)와 수평상태로 형성된다.
제3접이부(C)는 제2측면판(30)과 후술할 제2바닥판(40)간 경계 및 접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2접이부(A)(B)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며 제2접이부(B)와 제3접이부(C) 사이 구간이 추후 제2측면판(30)이 된다.
이때 제1접이부(A)와 제2접이부(B)간 거리와 제2접이부(B)와 제3접이부(C) 간 거리를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추후 제1측면판(20)과 제2측면판(30)이 동일한 면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제3접이부(C)와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에는 제4접이부(D)가 제3접이부(C)와 수평상태로 형성된다.
제4접이부(D)는 제2바닥판(40)과 후술할 제1지지판(50) 간 경계 및 접힘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 내지 제3접이부(A)(B)(C)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며 제3접이부(C)와 제4접이부(D) 사이 구간이 추후 제2바닥판(40)이 된다.
이때 판지의 제1테두리(1)와 제1접이부(A) 간 거리와 제3접이부(C)와 제4접이부(D) 간 거리를 동일하게 형성시킴에 따라 추후 제1바닥판(10)과 제2바닥판(40)이 동일한 면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제4접이부(D)와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에는 제5접이부(E)가 제4접이부(D)와 수평상태로 형성된다.
제5접이부(E)는 후술할 제1지지판(50)과 제2지지판(60)간 경계 및 접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내지 제4접이부(A)(B)(C)(D)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되며 제5접이부(E)와 제4접이부(D) 사이 구간이 추후 제1지지판(50)이 된다.
그리고 제5접이부(E)와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에는 제6접이부(F)가 제5접이부(E)와 수평상태로 형성된다.
제6접이부(F)는 제2지지판(60)과 후술하는 제3바닥판(70) 간의 경계 및 접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 내지 제5접이부(A)(B)(C)(D)(E)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며, 제5접이부(E)와 제6접이부(F) 사이 구간이 추후 제2지지판(60)이 된다.
이때 제5접이부(E)와 제6접이부(F)간 거리와 제4접이부(D)와 제5접이부(E) 간 거리를 동일하게 형성시켜 추후 제1지지판(50)과 제2지지판(60)이 동일한 높이로 대칭구조로 세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6접이부(F)와 판지의 타측테두리(이하 제2테두리(2)라 함) 사이 구간이 제3바닥판(70)이 된다.
이때 제1테두리(1)와 제1접이부(A) 간 거리와 제6접이부(F)와 제2테두리부(2)간 거리를 동일하게 형성시켜 추후 제1바닥판(10)과 제3바닥판(70)이 동일한 면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전개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상자를 제작하는 방법은 [도 3]과 같이 이렇게 각 접이부(A)(B)(C)(D)(E)(F)들이 형성된 구조의 판지를 준비하는 단계를 거친 후 각 접이부들을 순차적으로 접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 전에 판지에 설치공(82)과 체결공(84)과 투시공(86) 및 손잡이공(88)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이 과정은 가공될 체결공(84)과 투시공(86) 및 손잡이공(88) 테두리 모양을 따라 커팅날(미도시)이 배열된 가공판(미도시)을 판지 위에 위치시킨 후 프레스 등으로 가압함에 따라, 판지 상에 커팅날 배열과 동일한 모양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 일명 '톰슨가공'을 통해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방식 외에 레이저 커팅이나 수작업을 통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판지 중 제1지지판(50)과 제5접이부(E) 및 제2지지판(60) 상에는 피 포장물 고정을 위한 설치공(82)이 하나로 통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설치공(82)은 추후 끼워질 피 포장물의 개수에 맞게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며, 제1지지판(50)과 제2지지판(60) 중 각 설치공(82) 사이에는 추후 피 포장물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편(52)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3접이부(C) 상에는 추후 완성된 포장상자의 개폐기능 및 형태유지 기능을 위한 체결공(84)이 형성된다. 참고로 체결공(84)은 구멍형태가 아닌 단순 절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체결공(84)이 두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포장상자의 크기 및 체결력을 고려하여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측면판(20)과 제2측면판(30)에는 추후 수용된 피 포장물(1000)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하기 위한 투시공(86)이 형성된다.
이때 투시공(86)은 피 포장물의 개수, 즉 설치공(82)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설치공(82)과 동일선상에 형성됨에 따라 포장상태에서 설치공(82)에 끼워진 피 포장물이 정확히 투시공(86)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측면판(20)과 제2측면판(30)에는 손잡이공(88)이 제2접이부(B)를 기준으로 대칭지점에 형성된다.
참고로 설치공(82)은 피 포장물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데, 반면에 만약 외부노출이 필요 없는 피 포장물일 경우 투시창(86)은 생략될 수 있으며, 손잡이구조 없이도 충분히 손쉽게 운반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면 손잡이공(88)도 생략될 수 있다.
이렇게 지지부에 설치공을 형성시키는 단계가 완료되면, [도 4]와 같이 제6접이부(F), 즉 제3바닥판(70)과 제2지지판(60)간 경계지점을 접어 제3바닥판(70)을 세우는 단계를 진행한다.
그 후 [도 5]와 같이 제5접이부(E), 즉 제2지지판(60)과 제1지지판(50) 간 경계지점을 접어 제2지지판(60)을 세우는 단계(S400)를 진행하는데, 이렇게 제2지지판(60)이 세워지는 과정에서 그전에 세워져 있던 제3바닥판(70)도 함께 회동된다.
제2지지판(60)이 세워지면 [도 6]과 같이 제4접이부(D), 즉 제1지지판(50)과 제2바닥판(40) 간 경계지점을 접어 제1지지판(50)을 세우는 단계(S500)를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도 미리 세워져 있던 제3바닥판(70)과 제2지지판(60)이 함께 회동됨에 따라 제3바닥판(70)이 제2바닥판(40) 상에 적층된다.
이로 인해 제3바닥판(70) 일측단부로부터 제2지지판(60)이 연장되어 사선방향으로 세워지며, 제1지지판(50)이 제5접이부(E)를 기준으로 제2지지판(40) 과 대칭상태로 세워짐에 따라 상단부가 뾰쪽한 형태의 지지부(100)가 완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00)의 내부, 즉 제1, 2지지판(50)(60)과 제3바닥판(70) 사이에는 피 포장물이 수용될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지지부(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상부에 걸친 구간에는 설치공(82)이 수용공간(S)관 연통된 구조로 형성된다.
그 후 [도 7]과 같이 제3접이부(C), 즉 제2바닥판(40)과 제2측면판(30) 간 경계지점을 접어 제2측면판(30)을 세우는 단계를 진행하는데, 이로 인해 제6접이부(F)와 제3접이부(C)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에서 제2측면판(30)이 제2지지판(60) 외측에 세워진다.
그리고 [도 8]와 같이 제2접이부(B), 즉 제2측면판(30)과 제1측면판(20) 간 경계지점을 접어 제1측면판(20)을 세우는 단계를 진행하는데, 이로 인해 제4접이부(D)와 제1접이부(A)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에서 제1측면판(20)이 제1지지판(50) 외측에 세워진다.
그 뒤 [도 9]와 같이 제1접이부(A), 즉 제1측면판(20)과 제1바닥판(10)간 경계지점을 접어 제1바닥판(10)을 제2바닥판(40) 아래에 적층시키는 단계를 진행한 뒤 체결편(12)을 체결공(84)에 끼워넣어 체결시킴에 따라 모든 과정이 완료된다.
[도 1]과 [도 9] 및 [도10]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 완성된 포장상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상자는 제1바닥판(10)이 지면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제1바닥판(10) 일측단부로부터 제1측면판(20)이 연장된 상태로 세워지고 제1측면판(20) 상단부로부터 제2측면판(30)이 연장되어 제2접이부(B)를 기준으로 제1측면판(20)과 대칭상태로 세워지며 제2측면판(30) 하단으로부터 제2바닥판(40)이 연장되어 제1바닥판(10) 위에 적층된다.
그리고 제2바닥판(40) 일측단부로부터 제1지지판(50)이 연장되어 제1측면판(20) 내측에 세워지고 제1지지판(50) 상단부로부터 제2지지판(60)이 연장되어 제5접이부(E)를 기준으로 제1지지판(50)과 대칭상태로 세워지며, 제1지지판(50)과 제2지지판(60)에 설치공(82)이 형성된 구조의 지지부(1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1측면판(20)과 제2측면판(30)이 지지부(100)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제2지지판(60)의 하단부로부터 제3바닥판(70)이 연장되어 제2바닥판(40) 위에 적층되며 이 상태에서 제1바닥판(10)의 체결편(12)이 제3접이부(C)의 체결공(84)에 끼워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3바닥판(70)과 지지부(100), 제1측면판(20), 제2측면판(30) 및 제1바닥판(10)을 두루마리 형태로 돌려 감는 방식만으로 내부에 지지부(10)가 구비된 구조가 구현되기 때문에, 각 판재를 별도로 제작한 후 조립해야 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손쉽게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포장상자는 [도 10]과 같이 피 포장물(1000)을 지지부(100)의 각 설치공(82)에 끼워넣으면, 피 포장물 양측면에 각 지지편(52)이 접촉되어 지지하기 때문에 흔들림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1, 2측면판(20) (30)에 형성된 투시창(86)에 의해 외부에서 내부의 피 포장물(1000)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포장 상태로 진열이 가능하다.
또한 피 포장물의 무게가 집중되는 바닥이 제1 내지 제3바닥판(10)(40)(70)에 의해 적층된 구조이기 때문에 그만큼 무게의 지탱력이 높아지게 되므로, 전체를 종이로 제작하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반면 그만큼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그리고 만약 피 포장물의 종류가 다양할 경우 단순히 제1 내지 제6접이부(A)(B)(C)(D)(E)(F)간 간격만을 조절하면 자연스럽게 각 바닥판(10)(40)(70)과 각 측면판(20)(30) 및 지지부(100)의 크기가 조절되기 때문에, 각 피 포장물에 맞는 다양한 크기의 포장상자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피 포장물의 포장방법을 설명하면 제4접이부(D)를 접어 지지부(100)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피 포장물(1000)을 설치공(82)에 끼워 넣은 후 제1측면판(20)과 제2측편판(30)을 접어 피 포장물(1000)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피 포장물(1000)을 꺼낼 때에는 이와 반대 과정, 즉 단순히 제1, 제2측면판(20)(30)을 걷어낸 후 피 포장물을 설치공(82)으로부터 빼내면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포장상자 내부에 피 포장물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100)를 구비시키되 기존 조립방식과 달리 단순 접이방식으로 제작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제작이 간편해 짐은 물론 제작단가도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전개도로 제2접이부(B) 양측에 제7접이부(G)와 제8접이부(H)를 형성시키고 제7, 8접이부(G)(H)와 제2접이부(B) 사이 구간에 손잡이공(88)을 형성시킨 구조이다.
이 경우 운반자의 손이 포장상자 내부 공간에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피 포장물과의 불필요한 접촉이 방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도 13]은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제1지지판(50)과 제2지지판(60) 사이에 연결판(55)을 형성시킴에 따라 지지부가 삼각뿔 형태가 아닌 사각박스 형태로 구현되고 설치공(82)이 연결판(5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4]와 같이 제4접이부(D)에 제2체결공(84)을 형성시키고 제3바닥판(70)단부, 즉 제2테두리(2)에 제2체결편(12)을 구비시켜 제2체결편(12)이 제2체결공(84)에 끼워지도록 함에 따라 제3바닥판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 되지 않았지만 체결공(84)도 제3접이부(C)외에 제2측면판(30) 하부나 제2바닥판(40) 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편(12)과 체결공(84) 을 형성시키지 않고 단순히 접착제나 테이프 등으로 제1바닥판(10)을 제2바닥판(40)에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제1바닥판(10)과 제2바닥판(40) 사이에 벨크로테이프나 양면테이프 또는 스냅단추와 같은 체결부재를 구비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만약 제1, 2바닥판(10)(40)의 적층구조만으로 충분한 무게지탱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제3바닥판(70)을 생략하고 제2지지판(40) 하단을 제2측면판(30)에 결합시켜 고정시키는 구조로도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테두리 A : 제1접이부
10 : 제1바닥판 12 : 체결편
B : 제2접이부 20 : 제1측면판
C : 제3접이부 30 : 제2측면판
D : 제4접이부 40 : 제2바닥판
E :제5접이부 50 : 제1지지판
52 : 지지편 F : 제6접이부
60 : 제2지지판 70 : 제3바닥판
82 : 설치공 84 : 체결공
86 : 투시창 88 : 손잡이공
100 : 지지부
1000 : 피 포장물 G : 제7접이부
H : 제8접이부 55 : 연결판

Claims (10)

  1. 제1바닥판,
    상기 제1바닥판에서 연장되어 세워져 있는 제1측면판,
    상기 제1측면판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측면판과 대칭상태로 세워져 있는 제2측면판,
    상기 제2측면판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측면판 위에 적층 되어 있는 제2바닥판, 그리고
    상기 제2바닥판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측면판 내측에 세워져 있는 제1지지판 및 상기 제1지지판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측면판과 대칭상태로 세워져 있는 제2지지판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설치공이 형성되어 있는 포장상자.
  2. 제1항에서,
    상기 제2지지판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바닥판 위에 적층되어 있는 제3바닥판을 더 포함하는 포장상자.
  3. 제1항에서,
    상기 제2측면판과 상기 제2바닥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제1체결공 및 상기 제1바닥판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체결공에 체결되어 있는 제1체결편을 더 포함하는 포장상자.
  4. 제2항에서,
    상기 제1지지판에 형성되어 있는 체2체결공 및 상기 제3바닥판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체결공에 체결되어 있는 제2체결판을 더 포함하는 포장상자.
  5. 제1항에서,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포장상자.
  6. 제1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 또는 제1측면판과 제2측면판 사이 에는 손잡이공이 형성되어 있는 포장상자.
  7. 제1항에서,
    상기 설치공은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 상에 통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포장상자.
  8.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판 상단과 상기 제2지지판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은 상기 연결판에 형성되어 있는 포장상자.
  9. 상기 제1항의 포장상자를 제작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1바닥판과, 상기 제1, 2측면판, 상기 제2바닥판, 상기 제1, 2지지판이 순차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판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에 설치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간 경계지점을 절곡시켜 상기 제1지지판을 세우는 단계,
    상기 제2지지판과 상기 제2바닥판 간 경계지점을 절곡시켜 상기 제2지지판을 세우는 단계,
    상기 제2바닥판과 상기 제1측면판 간 경계지점을 절곡시켜 상기 제1측면판을 세우는 단계,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 간 경계지점을 절곡시켜 상기 제2측면판을 세우는 단계,
    상기 제2측면판과 상기 제1바닥판 간 경계지점을 절곡시켜 상기 제1바닥판을 상기 제2바닥판 아래에 적층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장상자 제작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투시창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시창 형성단계는 상기 판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지지판을 세우는 단계 사이에 실시되는 포장상자 제작방법.
KR1020120099008A 2012-09-06 2012-09-06 포장상자 및 그 제작방법 KR20140032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008A KR20140032295A (ko) 2012-09-06 2012-09-06 포장상자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008A KR20140032295A (ko) 2012-09-06 2012-09-06 포장상자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95A true KR20140032295A (ko) 2014-03-14

Family

ID=5064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008A KR20140032295A (ko) 2012-09-06 2012-09-06 포장상자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22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4065A (zh) * 2018-06-27 2018-09-28 河南科技大学 一种红酒杯包装用缓冲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5087U (ko) * 1974-09-28 1976-04-02
JPS55131989U (ko) * 1979-03-15 1980-09-18
JPS55139069U (ko) * 1979-03-26 1980-10-03
JPS5941251U (ja) * 1982-09-06 1984-03-16 西野 達司 物品収納ケ−ス
JPH0345870U (ko) * 1989-09-12 1991-04-26
KR200328341Y1 (ko) * 2003-05-28 2003-09-29 조증호 상품 포장용 세트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5087U (ko) * 1974-09-28 1976-04-02
JPS55131989U (ko) * 1979-03-15 1980-09-18
JPS55139069U (ko) * 1979-03-26 1980-10-03
JPS5941251U (ja) * 1982-09-06 1984-03-16 西野 達司 物品収納ケ−ス
JPH0345870U (ko) * 1989-09-12 1991-04-26
KR200328341Y1 (ko) * 2003-05-28 2003-09-29 조증호 상품 포장용 세트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4065A (zh) * 2018-06-27 2018-09-28 河南科技大学 一种红酒杯包装用缓冲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8040B2 (en) Blanks and methods for forming a shelf-ready display container
EP2838803B1 (en) Packaging system
US20230071401A1 (en) Corrugated hutch
US9994356B2 (en) Blanks and methods for forming a shelf-ready display container
US8261909B2 (en) Display package for a plurality of products
US8887984B2 (en) Tray for supporting containers and a blank for making the same
MX2014011303A (es) Bandeja de exhibicion.
CN204624082U (zh) 包装盒
CN106455809A (zh) 用于纸板塔状展示装置的模块化结构
EP3030496B1 (en) Rigid container
KR100835836B1 (ko) 적층이 용이한 선물용 포장상자
KR101268418B1 (ko)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KR20140032295A (ko) 포장상자 및 그 제작방법
KR200470084Y1 (ko)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포장상자
KR101735939B1 (ko) 포장용 상자
CN201088352Y (zh) 一种纸质展示货架
CN217673821U (zh) 一种纸盒
CN214493681U (zh) 一种饮料运输展示包装盒及其盒坯
CN208856167U (zh) 集展示、外卖和外送功能于一体的多联装饮品包装
CN216443989U (zh) 一种开启升降式呈现展示纸盒
CN103922036B (zh) 一种缓冲包装
CN109693853B (zh) 对开式红酒包装盒
CN213414492U (zh) 展示用纸盒裁片及展示用纸盒
CN203593273U (zh) 一种斜底式承载酸奶杯的纸盒
RU2314979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хранени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демонстрации предме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