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123A - 소수성부틸기를 가진 나노 실리카 담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리파아제의 고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소수성부틸기를 가진 나노 실리카 담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리파아제의 고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123A
KR20140032123A KR1020120098579A KR20120098579A KR20140032123A KR 20140032123 A KR20140032123 A KR 20140032123A KR 1020120098579 A KR1020120098579 A KR 1020120098579A KR 20120098579 A KR20120098579 A KR 20120098579A KR 20140032123 A KR20140032123 A KR 20140032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yl
lipase
silane
support
functiona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천
최상용
백현동
이나경
엄수진
Original Assignee
(주)누리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누리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누리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2009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2123A/ko
Publication of KR2014003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C12N11/14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inorganic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16Hydrolases (3)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N9/18Carboxylic ester hydrolases (3.1.1)
    • C12N9/20Triglyceride splitting, e.g. by means of lip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촉매(biocatalyst)로 리파아제(lipase)를 30∼40nm의 나노 세공구조를 갖는 담체에 고정화하여 저트랜스지방의 제조 및 유지가공시 친환경공법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고정화 기술을 이용하여 실리카 담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규산알카리 수용액에 황산을 반응시켜 5℃∼30℃ 온도에서 pH3.0∼9.0 정도의 하이드로겔을 4시간에서 10시간정도에 걸쳐 형성 시킨 후 pH3.0∼10.0의 60℃∼80℃ 세척수로 수세하여 표면적 300∼800㎡/g, 세공크기 5∼10nm 실리카겔을 1차적으로 제조한 후 제조된 실리카겔을 150℃∼200℃의 압력용기를 사용하여 수열처리 공정을 거쳐 표면적 80∼200㎡/g, 세공크기 30∼40nm의 실리카 담체를 제조하고 제조된 실리카 담체에 소수성부틸기를 가진 실란을 코팅한 후 150℃ 건조기에서 건조함으로써 리파아제의 고정화에 효율적인 소수성기능기를 가진 나노 실리카 담체를 제조한다.
이렇게 화학적 공법을 바이오촉매를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공법으로 개선함으로써 유지가공시 폐수 발생이 감소하고 공정이 단순화되며 제품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 사용에 의해 제조원가의 절감을 가져온다.
[색인어]
나노 실리카 담체, 하이드로겔, 리파아제 고정화, 소수성부틸실란, 수열처리

Description

소수성부틸기를 가진 나노 실리카 담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리파아제의 고정화 방법{Production method of nano silica contain hydrophobic butyl functional group and application for immobilize of lipase}
저트랜스지방 제조 및 유지가공에 사용되는 생체촉매인 리파아제를 나노 실리카 담체에 부착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리조뮤코아 미헤이(Rhizomucor mihei), 써머마이세스 라누기노서스(Thermomyces lanuginosus), 캔디다 안타르티카 비(Candida antarctica B) 등의 유래의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리파아제(RML, TLL, CAL-B)의 고정화를 위한 소수성부틸기가 부착된 30∼40nm의 나노세공 구조를 갖는 실리카 담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파아제라는 효소는 생화학 반응에서 오일의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의 분해 및 분해된 지방산의 치환합성 등의 촉매작용을 하는 단백질을 일컫는데 이러한 리파아제를 경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회성으로 사용할게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다공성을 가진 담체에 고정화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써머마이세스 라누기노서스, 캔디다 안타르티카 비 유래의 리파아제를 유전자조작을 통하여 농축액 상태로 양산화 시킬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리파아제의 고정화를 위한 담체로는 이온교환수지용 폴리스타일렌 폴리머(Polystylene polymer),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제오라이트(Zeolite), 셀라이트(Celite), 글래스 비드(Glass bead), 칼슘-알지네이트(Ca-alginate), 키토산(Chitosan)등이 검토되어져 왔으나 아직까지 산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크게 미진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촉매담체의 경우 비표면적이 너무 크면 세공이 너무 작아지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세공이 너무 클 경우는 비표면적이 떨어져 단위면적당 효소의 담체내 담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30∼40nm의 나노세공과 80∼200㎡/g의 표면적을 갖는 실리카 담체에 소수성부틸기를 가진 실란화합물을 부착하고 여기에 리파아제를 고정화시켜 반복적으로 효소활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담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규산알카리 수용액에 황산을 반응시켜 5℃∼30℃ 온도에서 pH3.0∼9.0 정도의 하이드로겔을 4시간에서 10시간정도에 걸쳐 형성 시킨 후 pH3.0∼10.0의 60℃∼80℃ 세척수로 수세하여 표면적 300∼800㎡/g, 세공크기 5∼10nm 실리카겔을 1차적으로 제조한 후 제조된 실리카겔을 150℃∼200℃의 압력용기를 사용하여 수열처리 공정을 거쳐 표면적 80∼200㎡/g, 세공크기 30∼40nm의 실리카 담체를 제조하고 제조된 실리카 담체에 소수성부틸기를 가진 실란을 코팅한 후 150℃ 건조기에서 건조함으로써 리파아제의 고정화에 효율적인 소수성기능기를 가진 나노 실리카 담체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평균 표면적(surface area) 110㎡/g, 평균 세공크기(pore size) 35nm, 평균 입자크기(particle size) 0.25mm의 나노 실리카 담체를 제조하여 소수성활성기(hydrophobic functional group)로 부틸실란을 부착하고 써머마이세스 라누기노서스(Thermomyces lanuginosus) 및 리조뮤코아 미헤이(Rhizomucor miehei) 유래의 농축된 리파아제를 사용하여 고정화시킨 결과 시판되는 고정화된 TLL-IM 표준물질과 고정화된 RML-IM 표준물질 대비 각각 105%, 136%의 트리부틸린(Tributyrin) 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1은 규산알카리수용액으로부터 30∼40nm의 기공을 가진 실리카 담체의 제조공정.
도 2는 실리카 담체의 실라놀(Silanol) 모형도.
도 3은 소수성부틸기(butyl functional group)가 부착된 실리카 담체의 구조.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이 규산알카리 수용액에 황산을 반응시켜 pH3.0∼9.0, 온도는 5℃에서 30℃로 조절하여 겔반응을 시킨 후 60℃∼80℃, pH3.0∼10.0의 열수로 수세공정을 거쳐 1차적으로 5∼10nm 실리카겔 중합체를 만든 후 2차적으로 수열처리 공정(Hydrothermal treat)에서 압력과 온도를 조절하여 표면적 80∼200㎡/g, 세공크기(pore size) 30∼40nm, 입자크기 0.2∼0.3mm의 나노 실리카 담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세공을 가진 실리카 담체의 실라놀(Silanol)구조는 도 2와 같다.
상기 나노 실리카 담체에 리파아제를 고정화하기 위해서는 담체의 표면에 도 3과 같이 부틸작용기(butyl functional group)을 가진 실란(silane)화합물을 부착하여 활성화 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부틸실란의 유도체로는 트리에톡시옥시라닐부틸실란(Triethoxy[4-(2-oxiranyl)butyl]silane), 터시얼리부틸클로로디메틸실란(tert-butyl(chloro)dimetyl silane), N-(N-부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N-butyl)-3-aminopropyltrimethoxy silane), N-(N-부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N-(N-butyl)-3-aminopropyltriethoxy silane), 클로로-다이페닐-터시얼리부틸실란(chloro-diphenyl-tert-butyl silane), 터시얼리부틸디메틸클로로실란(tert-butyldimetylchloro silane) 등의 실란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나노 실리카 담체의 제조 및 부틸실란에 의한 활성기 부착조건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나노 실리카 담체 제조시 규산나트륨 알카리 수용액의 농도는 10∼30wt%이며 하이드로겔 형성을 위한 황산의 농도는 5∼10N이다. 반응은 상온에서 이루어지며 반응시간은 4시간에서 10시간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6시간 전후로 반응하여 겔의 입자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형성된 겔 속에는 나트륨 이온이나 칼슘이온, 황산이온이 존재하며 pH3.0∼10.0의 세척수를 사용하여 이온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일차적으로 중합된 5∼10nm의 실리카겔은 150℃∼200℃의 압력용기 내에서 수열처리 공정을 거쳐 표면적 80∼200㎡/g, 세공크기 30∼40nm가 되게 제어하였다.
세공크기 30∼40nm로 제어된 실리카겔 담체를 탈수하고 105℃ 건조기에서 수분함량 1% 미만되게 건조한다. 활성기를 부착하기 위하여 건조된 실리카 담체의 무게의 2%∼10%에 해당되는 부틸실란화합물에 적당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pH를 1.0∼7.0으로 조절한 후 실리카 담체에 부틸실란화합물의 농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혼합한다.
혼합된 실리카 담체를 130℃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0.5%∼1.0%되게 건조하여 부틸실란화합물이 강력하게 결착(fixation)되도록 하였다. 부틸실란화합이 결착된 실리카 담체를 80℃∼100℃의 열수를 사용하여 교반시키고 수회에 걸쳐 세척하여 결착이 안된 부틸실란화합물을 제거한다.
세척이 완료된 부틸실란기를 가진 나노 실리카 담체를 130℃에서 수분함량이 0.5%∼1.0%되게 건조한 후 RML, TLL, CAL-B 등의 농축된 리파아제를 담체무게 대비 10%∼20% 범위 내에서 첨가하고 pH4.5∼7.0되게 조절하여 10℃∼30℃에서 교반하면서 2시간에서 24시간 고정화한다.
고형분 함량이 250g/인 규산나트륨 수용액 1L를 3L용기에 넣고 25℃,200rpm으로 교반하면서 5N의 황산용액을 연속정량펌프(Peristaltic pump)로 2시간에 걸쳐 천천히 투입하여 하이드로 겔(Hydrogel)을 형성시킨 후 2시간동안 정치시켜 최종 pH가 8.0되게 하였다.
80℃,pH8.0의 열수를 사용하여 5회 세척하여 최종적으로 pH가 7.5되게 하고 형성된 5nm∼10nm의 실리카겔을 탈수하여 수분함량이 1% 이하 되게 105℃로 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압력용기를 사용하여 180℃에서 80분간 수열처리공정을 거쳐 105℃에서 수분함량 1% 이하 되게 건조하여 평균 표면적(surface area) 110㎡/g, 평균 세공크기(pore size) 35nm, 평균 입자크기(particle size) 0.25mm의 나노 실리카 담체를 제조하였다.
부틸실란 각각 1.25g, 2.5g, 5.0g에 증류수 150ml을 섞어서 conc.HCl로 pH를 1.0 되게 조절한 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35nm의 기공을 갖는 실리카겔 50g에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부틸실란이 혼합된 실리카 담체를 130℃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1% 미만 되게 건조시켜 부틸실란을 결착시킨 후 80℃의 열수를 사용하여 300rpm으로 교반하고 세척하여 결착이 안된 부틸실란화합물을 제거하였으며 세척이 완료된 실리카 담체를 130℃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1% 미만 되게 건조하여 리파아제의 고정화에 사용하였다.
부틸실란이 각각 2.5%, 5%, 10% 부착된 실리카 담체 10g에 써머마이세스 라누기노서스(Thermomyces lanuginosus) 유래의 리파아제 농축액(TLL) 10ml와 증류수 30ml를 넣고 pH를 5.0으로 조정한 후 25℃, 250rpm으로 15시간 고정화한 후 고정화된 리파아제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리파아제의 활성도는 기질로 트리부틸린(Tributyrin)을 사용하여 기질이 분해되면서 생성된 부틸산(butyric acid)를 0.05N 가성소다(0.05N NaOH)로 중화시키는데 소모된 양으로 측정하였다.」
* 1 unit : 1분당 1μmol의 부틸산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리파아제의 양으로 정함.
- 계산식 -
Figure pat00001
부틸실란의 농도별 TLL 리파아제의 고정화 활성도는 표 1에서와 같아 적합한 부틸실란의 농도는 5∼10% 이었다.
<표 1> 부틸실란 농도별 고정화된 TLL의 활성도.
Figure pat00002
부틸실란이 각각 2.5%, 5%, 10% 부착된 실리카 담체 10g에 리조뮤코아 미헤이(Rhizomucor miehei) 유래의 리파아제 농축액(RML) 10ml와 증류수 30ml를 넣고 pH를 5.0으로 조정한 후 25℃, 250rpm으로 15시간 고정화한 후 고정화된 리파아제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부틸실란의 농도별 RML 리파아제의 고정화 활성도는 표 2에서와 같아 적합한 부틸실란의 농도는 5% 이었다.
<표 2> 부틸실란 농도별 고정화된 RML의 활성도.
Figure pat00003

Claims (6)

  1. 규산알카리 수용액과 황산을 이용하여 비표면적 80∼200㎡/g, 세공크기 30∼40nm, 입자크기 0.2∼0.3mm의 나노 실리카 겔을 제조하는 방법.
  2. 활성작용기로서 아래의 구조식을 가지며 트리에톡시옥시라닐부틸실란(Triethoxy[4-(2-oxiranyl)butyl]silane), 터시얼리부틸클로로디메틸실란(tert-butyl(chloro)dimetyl silane), N-(N-부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N-butyl)-3-aminopropyltrimethoxy silane), N-(N-부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N-(N-butyl)-3-aminopropyltriethoxy silane), 클로로-다이페닐-터시얼리부틸실란(chloro-diphenyl-tert-butyl silane), 터시얼리부틸디메틸클로로실란(tert-butyldimetylchloro silane) 을 사용하는 방법.
    - 아래 -
    Figure pat00004
  3. 제 2 항에 있어서 활성기가 실리카 담체 중량대비 2.5%∼10% 부착시키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부틸실란화합물을 부착시 반응pH를 1.0∼7.0으로 조절하는 방법.
  5. 제 1 항∼제 3 항의 실리카 담체에 써머마이세스 라누기노서스 (Thermomyces lanuginosus : TLL) 및 리조뮤코아 미헤이(Rhizomucor miehei : RML) 유래의 리파아제를 고정화시키는 방법.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농축된 리파아제(TLL, RML)을 담체무게 대비 10∼20% 범위내에서 첨가하고 pH를 4.5∼7.0으로 조절하는 방법.
KR1020120098579A 2012-09-06 2012-09-06 소수성부틸기를 가진 나노 실리카 담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리파아제의 고정화 방법 KR20140032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579A KR20140032123A (ko) 2012-09-06 2012-09-06 소수성부틸기를 가진 나노 실리카 담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리파아제의 고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579A KR20140032123A (ko) 2012-09-06 2012-09-06 소수성부틸기를 가진 나노 실리카 담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리파아제의 고정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123A true KR20140032123A (ko) 2014-03-14

Family

ID=5064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579A KR20140032123A (ko) 2012-09-06 2012-09-06 소수성부틸기를 가진 나노 실리카 담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리파아제의 고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21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1374A (zh) * 2020-01-22 2020-05-19 黎明化工研究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改性硅溶胶及其制备方法和在全水基发泡聚氨酯喷涂泡沫中的应用
CN112126350A (zh) * 2020-08-04 2020-12-25 广州大学 可重复粘合和可回收的超双疏复合涂层及其制备和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1374A (zh) * 2020-01-22 2020-05-19 黎明化工研究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改性硅溶胶及其制备方法和在全水基发泡聚氨酯喷涂泡沫中的应用
CN111171374B (zh) * 2020-01-22 2022-05-24 黎明化工研究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改性硅溶胶及其制备方法和在全水基发泡聚氨酯喷涂泡沫中的应用
CN112126350A (zh) * 2020-08-04 2020-12-25 广州大学 可重复粘合和可回收的超双疏复合涂层及其制备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smail et al. Lipase immobilization with support materials, prepara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resent and future aspects
Kharrat et al. Immobilization of Rhizopus oryzae lipase on silica aerogels by adsorption: Comparison with the free enzyme
Chong et al. Functionalized nanoporous silicas for the immobilization of penicillin acylase
Mihailović et al. Immobilization of lipase on epoxy-activated Purolite® A109 and its post-immobilization stabilization
Arsenault et al. Laccase‐based CLEAs: chitosan as a novel cross‐linking agent
Abdulla et al. Characterization of cross linked Burkholderia cepacia lipase in alginate and κ-carrageenan hybrid matrix
Bai et al. Covalent immobilization of triacylglycerol lipase onto functionalized novel mesoporous silica supports
Prabhu et al. Immobilization of carbonic anhydrase enriched microorganism on biopolymer based materials
Zhao et al. Co-immobilization of glucose oxidase and catalase in silica inverse opals for glucose removal from commercial isomaltooligosaccharide
US20120196337A1 (en) Heterogenous enzymatic catalyst, preparation method, and use
Cazaban et al. Lipase immobilization on siliceous supports: application to synthetic reactions
Song et al. Preparation of a flowerlike nanobiocatalyst system via biomimetic mineralization of cobalt phosphate with enzyme
Zhang et al. Progress and perspective of enzyme immobilization on zeolite crystal materials
CN101235368A (zh) 固定化酶生物催化剂的制备方法
CN106582810A (zh) 一种石墨烯固定酶催化剂的制备方法
Gao et al. Aldehyde-functionalized mesostructured cellular foams prepared by copolymerization method for immobilization of penicillin G acylase
Karagoz et al. Purification and immobilization of engineered glucose dehydrogenase: a new approach to producing gluconic acid from breadwaste
Fan et al. Enhancement of enzymatic activity using microfabricated poly (ε-caprolactone)/silica hybrid microspheres with hierarchically porous architecture
KR20140032123A (ko) 소수성부틸기를 가진 나노 실리카 담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리파아제의 고정화 방법
Onoja et al. Robust magnetized oil palm leaves ash nanosilica composite as lipase support: Immobilization protocol and efficacy study
Guimarães et al. Stabilization of immobilized lipases by treatment with metallic phosphate salts
Guncheva et al. Novel nanostructured tin dioxide as promising carrier for Candida rugosa lipase
WO2012085206A1 (en) Method for covalent immobilization of enzymes on functionalized solid polymeric supports
El-Kady et al. Effect of different TiO2 morphologies on the activity of immobilized lipase for biodiesel production
Amirkhani et al. Optimization of biodiesel production using immobilized Candida rugosa lipase on magnetic Fe3O4-silica aerog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