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690A -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690A
KR20140031690A KR1020120098317A KR20120098317A KR20140031690A KR 20140031690 A KR20140031690 A KR 20140031690A KR 1020120098317 A KR1020120098317 A KR 1020120098317A KR 20120098317 A KR20120098317 A KR 20120098317A KR 20140031690 A KR20140031690 A KR 20140031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th
volume
representative value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133B1 (ko
Inventor
권오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133B1/ko
Priority to US14/017,385 priority patent/US9516211B2/en
Priority to EP13183008.5A priority patent/EP2706746B1/en
Priority to CN201310401127.XA priority patent/CN103685912B/zh
Publication of KR2014003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04N2201/326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of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촬영 장치 및 그의 촬영 방법이 제공된다. 본 촬영 장치의 촬영 방법은 촬영 장치에 의해 현재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맵을 획득하고, 촬영 장치의 오토 포커싱 동작이 수행되면,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정보를 산출하며,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음량이 조절된 안내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뷰 파인더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영역에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thereof}
본 발명은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되는 영상의 뎁스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하는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사용자가 촬영 장치에 구비된 전자적 뷰 파인더(예를 들어, LCD 영상 등) 및 광학적 뷰 파인더를 확인하지 않고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타이머 촬영 및 셀프 촬영을 할 때에 디스플레이부를 확인하지 않고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특히, 셀프 촬영인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확인하지 않고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오토 포커싱(Auto Focus)이 수행된 영역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영역에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타이머 촬영 역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확인하지 않고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자신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촬영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촬영 안내 오디오를 들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술한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뷰 파인더를 확인하지 않고 영상을 촬영할 경우,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영역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뎁스 정보를 이용하여 음량이 조절된 안내 오디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뷰 파인더를 확인하지 않고 영상을 촬영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는 촬영 장치 및 촬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촬영 방법은,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현재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촬영 장치의 오토 포커싱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음량이 조절된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획득된 뎁스 맵과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블럭 데이터를 매칭하여 뎁스 블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뎁스 블럭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대표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복수의 뎁스 구간 중 상기 산출된 뎁스 대표값이 포함되는 뎁스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뎁스 구간에 매칭되는 음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뎁스 블럭 데이터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뎁스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의 최대 뎁스 대표값 및 최소 뎁스 대표값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최대 뎁스 대표값 및 최소 뎁스 대표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뎁스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복수의 뎁스 구간 중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대표값이 포함된 뎁스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뎁스 구간에 매칭되는 음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뎁스 구간 중 기설정된 개수의 뎁스 구간마다 상이한 음량이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영역의 뎁스 정보에 따라 음량이 조절된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장치가 타이머 촬영 모드에 진입한 경우, 상기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상기 안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장치에 구비된 복수 개의 렌즈를 통해 상기 뎁스 맵을 획득하거나, 상기 촬영 장치에 구비된 뎁스 센서에 상기 뎁스 맵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현재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맵(depth map)을 획득하는 뎁스 맵 획득부; 상기 촬영 장치의 오토 포커싱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안내 오디오의 음량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뎁스 맵과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블럭 데이터를 매칭하여 뎁스 블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뎁스 블럭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해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경우,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대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뎁스 구간 중 상기 산출된 뎁스 대표값이 포함되는 뎁스 구간을 결정하여, 상기 뎁스 구간에 매칭되는 음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뎁스 블럭 데이터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뎁스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의 최대 뎁스 대표값 및 최소 뎁스 대표값을 판단하고, 상기 최대 뎁스 대표값 및 최소 뎁스 대표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뎁스 구간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복수의 뎁스 구간 중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대표값이 포함된 뎁스 구간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뎁스 구간에 매칭되는 음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뎁스 구간 중 기설정된 개수의 뎁스 구간마다 상이한 음량이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영역의 뎁스 정보를 산출하여 음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장치가 타이머 촬영 모드에 진입한 경우, 상기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상기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뎁스 맵 획득부는, 상기 촬영 장치에 구비된 복수 개의 렌즈를 통해 상기 뎁스 맵을 획득하거나, 상기 촬영 장치에 구비된 뎁스 센서에 상기 뎁스 맵을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뷰 파인더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영역에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 촬영의 경우, 사용자가 멀어짐에 따라 음량이 큰 안내 오디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안내 오디오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현재 촬영하고 있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현재 촬영하고 있는 영상의 뎁스 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현재 촬영하고 있는 영상의 뎁스 블럭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뎁스 블럭 데이터에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뎁스 구간과 음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장치(100)는 촬영부(110), 뎁스 맵 획득부(120), 오디오 출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디지털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영상 촬영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촬영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촬영부(110)는 렌즈부(111)에 입사된 광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을 획득한다.
뎁스 맵 획득부(12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뎁스 맵(depth map)을 획득한다. 이때, 뎁스 맵 획득부(120)는 촬영 장치(100)가 복수 개의 촬영부(110)를 가지는 스테레오 카메라인 경우, 복수 개의 촬영부(110)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영상으로부터 뎁스 맵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뎁스 맵 획득부(120)는 뎁스 센서를 이용하여 뎁스 맵을 획득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를 출력한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결정된 음량에 따라 안내 오디오(예를 들어, 비프음)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촬영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오토 포커싱 동작이 수행되면,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안내 오디오의 음량을 결정하며, 결정된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촬영이 수행되면, 제어부(140)는 뎁스 맵 획득부(120)를 통해 획득된 뎁스 맵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블럭 데이터를 매칭하여 뎁스 블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오토 포커싱 동작이 수행되면, 제어부(140)는 뎁스 블럭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대표값(예를 들어, 평균값, 최빈값 등)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복수의 뎁스 구간 중 산출된 뎁스 대표값이 포함되는 뎁스 구간을 결정하고, 뎁스 구간에 매칭되는 음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뎁스 구간은 뎁스 블럭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뎁스 대표값 중 최대값 및 최소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결정된 음량에 따라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촬영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가 뷰 파인더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안내 오디오의 음량을 통해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상대적인 거리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셀프 촬영이나 타이머 촬영 시에도 자신이 원하는 영역에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장치(100)는 촬영부(110), 뎁스 맵 획득부(120), 오디오 출력부(130),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입력부(160)를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을 촬영한다. 특히, 촬영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11), 이미지 센서(113) 및 이미지 처리부(115)를 포함한다.
렌즈부(111)는 피사체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는 줌렌즈,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 및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포함하며, 외부 피사체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한다.
이미지 센서(113)는 렌즈부(111)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이미지 처리부(115)에 전송한다. 특히, 이미지 센서(113)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이미지 센서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3)는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13)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ADC를 포함한다.
이미지 처리부(115)는 제어부(1400)의 제어에 의해, 이미지 센서(11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한다. 이때, 이미지 처리부(115)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처리 작업(예를 들어, AF(Auto Focusing), AWB(Auto White Balancing), AE(Auto Exposure))를 수행할 수 있다.
뎁스 맵 획득부(12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뎁스 맵을 획득한다. 여기서, 뎁스 맵이라 함은 촬영된 영상에 대한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거리에 따라 상이한 그레이 레벨(gray level)(예를 들어, 0~255 계조)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뎁스 맵은 촬영 장치(100)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는 피사체는 밝게 표현될 수 있으며, 먼 거리에 있는 피사체는 어둡게 표현될 수 있다.
특히, 촬영 장치(100)가 스테레오 카메라인 경우, 뎁스 맵 획득부(120)는 복수의 촬영부(11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뎁스 맵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에 뎁스 센서(미도시)가 구비된 경우, 뎁스 맵 획득부(120)는 뎁스 센서를 이용하여 뎁스 맵을 획득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결정된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예를 들어, 비프음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이미지 처리부(115)에 의해 신호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촬영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촬영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셔터 및 촬영 장치(100)의 모드 및 설정 변경을 위한 터치 스크린, 버튼, 다이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60)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촬영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촬영 장치(100)의 오토 포커싱 동작이 수행되면, 제어부(140)는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안내 오디오의 음량을 결정하며, 결정된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부(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이 수행되면, 제어부(140)는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300)을 획득한다.
그리고, 뎁스 맵 획득부(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뎁스 맵이 획득되면, 제어부(140)는 획득된 뎁스 맵과 촬영되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블럭 데이터를 매칭하여 뎁스 블럭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되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블럭 데이터(400)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뎁스 맵 획득부(120)에 의해 획득된 뎁스 맵(500)을 매칭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뎁스 블럭 데이터(600)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뎁스 블럭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해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경우, 제어부(140)는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대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뎁스 블럭 데이터(700)에서 복수의 피사체 영역(710 내지 770) 중 제6 피사체 영역(760)에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경우, 제어부(140)는 제6 피사체 영역(760)에 대한 뎁스 대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뎁스 대표값은 제6 피사체 영역(760)에 포함된 뎁스값의 평균값, 뎁스값의 최빈값 또는 뎁스값의 중간값 중 하나일 수 있다.
뎁스 대표값이 산출되면, 제어부(140)는 복수의 뎁스 구간 중 산출된 뎁스 대표값이 포함되는 뎁스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장치(100)는 뎁스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뎁스 구간을 기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뎁스값이 0부터 255까지 존재하는 경우, 뎁스값이 0부터 16이면 제1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17부터 33이면 제2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34부터 50이면 제3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51부터 67이면 제4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68부터 84이면 제5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85부터 101이면 제6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102부터 118이면 제7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119부터 135이면 제8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136부터 152이면 제9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153부터 169이면 제10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170부터 186이면 제11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187부터 203이면 제12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204부터 220이면 제13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221부터 237이면 제14 뎁스 구간에 속하며, 뎁스값이 238부터 255이면 제15 뎁스 구간에 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제6 피사체 영역(760)의 뎁스 대표값이 52인 경우, 제어부(140)는 제6 피사체 영역(760)이 제4 뎁스 구간임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뎁스값을 기준으로 뎁스 구간이 미리 나누어져 있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으로 뎁스 구간을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뎁스 블럭 데이터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뎁스 대표값을 산출하여, 촬영된 영상의 최대 뎁스 대표값 및 최소 뎁스 대표값을 판단하고, 최대 뎁스 대표값 및 최소 뎁스 대표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뎁스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뎁스 블럭 데이터 중 최대 뎁스 대표값이 200이고, 최소 뎁스 대표값이 50이 경우, 뎁스 구간은 50을 시작으로 1구간이 10인 15개의 뎁스 구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뎁스 구간을 15개로 나누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숫자로 뎁스 구간을 나눌 수 있다.
뎁스 구간이 결정되면, 제어부(140)는 뎁스 구간에 매칭되는 음량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장치(100)는 뎁스 구간과 음량을 서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뎁스 구간이 높을수록 음량이 높아지도록 뎁스 구간과 음량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피사체에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경우, 작은 음량의 안내 오디오가 출력되며, 먼 곡에 위치하는 피사체에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경우, 큰 음량의 안내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뎁스 구간과 음량이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뎁스 구간과 음량이 서로 일대일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뎁스 구간 각각에 음량이 매칭된 경우, 제6 피사체 영역(76)의 뎁스 구간이 제4 뎁스 구간이면, 제어부(140)는 제6 피사체 영역(760)에 대한 음량을 제4 음량으로 매칭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뎁스 구간 중 기설정된 개수의 뎁스 구간마다 상이한 음량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뎁스 구간 내지 제3 뎁스 구간은 제1 음량과 매칭되며, 제4 뎁스 구간 내지 제6 뎁스 구간은 제2 음량과 매칭되며, 제7 뎁스 구간 내지 제9 뎁스 구간은 제3 음량과 매칭되며, 제10 뎁스 구간 내지 제12 뎁스 구간은 제4 음량과 매칭되며, 제13 뎁스 구간 내지 제15 뎁스 구간은 제5 음량과 매칭된 경우, 제6 피사체 영역(760)의 뎁스 구간이 제4 뎁스 구간이면, 제어부(140)는 제6 피사체 영역(760)에 대한 음량을 제2 음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음량이 결정된 경우, 제어부(140)는 결정된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6 피사체 영역(760)에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경우, 제어부(140)는 이용하여 제2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이 변경된 경우, 제어부(140)는 변경된 영역의 뎁스 정보를 산출하여 음량을 결정하며, 결정된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사람이 포함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셀프 촬영 시,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이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출력되는 안내 오디오의 음량을 통해 복수의 사람 중 어느 사람에게 초점이 맞춰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가 타이머 촬영 모드에 진입한 경우, 제어부(140)는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람이 뷰 파인더를 확인하지 않고 촬영하는 타이머 촬영 모드의 경우, 사용자는 안내 오디오의 음량을 통해 초점이 어느 영역에 잡혔는지 여부 및 촬영 장치(100)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촬영 장치(100)의 촬영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촬영 장치(100)는 영상 촬영을 수행한다(S910).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300)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장치(10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뎁스 맵을 획득한다(S920). 예를 들어, 촬영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300)의 뎁스 맵으로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뎁스 맵(500)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장치(100)가 스테레오 카메라인 경우, 촬영 장치(100)는 복수의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뎁스 맵을 획득할 수 있으며, 뎁스 센서를 이용하여 뎁스 맵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장치(100)는 오토 포커싱을 수행한다(S930). 이때, 촬영 장치(1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럭 데이터(400)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뎁스 맵(500)을 매칭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뎁스 블럭 데이터(600)를 생성한 경우, 촬영 장치(100)는 뎁스 블럭 데이터(600)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장치(100)는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정보를 산출한다(S940). 구체적으로, 촬영 장치(100)는 뎁스 블럭 데이터(600) 중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대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뎁스 대표값은 뎁스값의 평균값, 뎁스값의 최빈값 및 뎁스값의 중간값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장치(100)는 뎁스 대표값이 포함된 뎁스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장치(100)는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음량을 조절한다(S950). 구체적으로, 촬영 장치(100)는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으로부터 산출된 뎁스 구간에 대응되도록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뎁스 구간과 음량은 일 대 일로 매칭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뎁스 구간 중 기설정된 개수의 뎁스 구간마다 상이한 음량이 매칭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장치(100)는 조절된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를 출력한다(S960).
상술한 바와 같은 촬영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뷰 파인더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영역에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 촬영의 경우, 사용자가 멀어짐에 따라 음량이 큰 안내 오디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안내 오디오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촬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촬영부 120: 뎁스 맵 획득부
130: 오디오 출력부 140: 제어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입력부

Claims (18)

  1. 촬영 장치의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에 의해 현재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맵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촬영 장치의 오토 포커싱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음량이 조절된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뎁스 맵과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블럭 데이터를 매칭하여 뎁스 블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뎁스 블럭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대표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복수의 뎁스 구간 중 상기 산출된 뎁스 대표값이 포함되는 뎁스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뎁스 구간에 매칭되는 음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뎁스 블럭 데이터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뎁스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의 최대 뎁스 대표값 및 최소 뎁스 대표값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최대 뎁스 대표값 및 최소 뎁스 대표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뎁스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복수의 뎁스 구간 중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대표값이 포함된 뎁스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뎁스 구간에 매칭되는 음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뎁스 구간 중 기설정된 개수의 뎁스 구간마다 상이한 음량이 매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영역의 뎁스 정보에 따라 음량이 조절된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장치가 타이머 촬영 모드에 진입한 경우, 상기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상기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장치에 구비된 복수 개의 렌즈를 통해 상기 뎁스 맵을 획득하거나, 상기 촬영 장치에 구비된 뎁스 센서에 상기 뎁스 맵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10. 촬영 장치에 있어서,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현재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뎁스 맵(depth map)을 획득하는 뎁스 맵 획득부;
    상기 촬영 장치의 오토 포커싱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안내 오디오의 음량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음량을 가지는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뎁스 맵과 상기 촬영되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블럭 데이터를 매칭하여 뎁스 블럭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뎁스 블럭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해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경우,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대표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뎁스 구간 중 상기 산출된 뎁스 대표값이 포함되는 뎁스 구간을 결정하여, 상기 뎁스 구간에 매칭되는 음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뎁스 블럭 데이터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뎁스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의 최대 뎁스 대표값 및 최소 뎁스 대표값을 판단하고, 상기 최대 뎁스 대표값 및 최소 뎁스 대표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뎁스 구간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복수의 뎁스 구간 중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의 뎁스 대표값이 포함된 뎁스 구간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뎁스 구간에 매칭되는 음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뎁스 구간 중 기설정된 개수의 뎁스 구간마다 상이한 음량이 매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토 포커싱이 수행된 영역이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영역의 뎁스 정보를 산출하여 음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장치가 타이머 촬영 모드에 진입한 경우, 상기 산출된 뎁스 정보에 따라 상기 안내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뎁스 맵 획득부는,
    상기 촬영 장치에 구비된 복수 개의 렌즈를 통해 상기 뎁스 맵을 획득하거나, 상기 촬영 장치에 구비된 뎁스 센서에 상기 뎁스 맵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KR1020120098317A 2012-09-05 2012-09-05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KR101890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317A KR101890133B1 (ko) 2012-09-05 2012-09-05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US14/017,385 US9516211B2 (en) 2012-09-05 2013-09-04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photographing image thereof
EP13183008.5A EP2706746B1 (en) 2012-09-05 2013-09-04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photographing image thereof
CN201310401127.XA CN103685912B (zh) 2012-09-05 2013-09-05 拍摄设备及其拍摄图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317A KR101890133B1 (ko) 2012-09-05 2012-09-05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690A true KR20140031690A (ko) 2014-03-13
KR101890133B1 KR101890133B1 (ko) 2018-09-28

Family

ID=4911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317A KR101890133B1 (ko) 2012-09-05 2012-09-05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16211B2 (ko)
EP (1) EP2706746B1 (ko)
KR (1) KR101890133B1 (ko)
CN (1) CN1036859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192A (ko) * 2014-05-02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촬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1162A (zh) * 2015-12-29 2016-05-25 太仓美宅姬娱乐传媒有限公司 一种摄影设备的摄像方法
CN108932116A (zh) * 2017-05-24 2018-12-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音量的调节方法及装置
CN115134513A (zh) * 2021-03-29 2022-09-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拍摄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3113A (ja) * 2003-11-08 2005-06-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ズーム制御とリンクされた音量制御
US20090167930A1 (en) * 2007-12-27 2009-07-02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with fast camera auto focus
US20100080448A1 (en) * 2007-04-03 2010-04-01 Wa James Tam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difying depth maps
JP2012015651A (ja) * 2010-06-29 2012-01-19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6889A (ja) * 2003-06-30 2005-01-27 Toshiba Corp 電子カメラ
US8970680B2 (en) * 2006-08-01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Real-time capturing and generating stereo images and videos with a monoscopic low power mobile device
US8615140B2 (en) * 2011-11-18 2013-12-24 Canon Kabushiki Kaisha Compression of image data in accordance with depth information of pixels
US9959634B2 (en) * 2012-03-13 2018-05-01 Google Ll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depth data associated with an obje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3113A (ja) * 2003-11-08 2005-06-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ズーム制御とリンクされた音量制御
US20100080448A1 (en) * 2007-04-03 2010-04-01 Wa James Tam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difying depth maps
US20090167930A1 (en) * 2007-12-27 2009-07-02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with fast camera auto focus
JP2012015651A (ja) * 2010-06-29 2012-01-19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192A (ko) * 2014-05-02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촬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85912B (zh) 2018-04-17
EP2706746A3 (en) 2016-10-05
CN103685912A (zh) 2014-03-26
EP2706746B1 (en) 2020-11-04
EP2706746A2 (en) 2014-03-12
US9516211B2 (en) 2016-12-06
KR101890133B1 (ko) 2018-09-28
US20140063327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2810B2 (ja) 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1051178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pickup apparatus
JP6267502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89932B1 (ko) 촬영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촬영 방법
KR102059598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48543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W201400964A (zh) 用於影像處理的成像系統及其方法
JP6472183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752667B2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128090A1 (en) Image photographing device and image photographing method thereof
KR20120119794A (ko) 특수 효과들을 사용한 촬영 방법 및 장치
JP638325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120025341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189055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90133B1 (ko)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KR20130052372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6862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US8571404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execute the method
EP2597863A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46856B1 (ko) 렌즈 특성 기반의 촬영 모드 제시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촬영 장치.
US8537266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93026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time-lapse moving image, moving image gen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9095594A (ja) 焦点検出装置及び方法、及び撮像装置
JP2014140214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2018008420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