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085A - 노출 보정 기능을 갖는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노출 보정 기능을 갖는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085A
KR20140031085A KR1020130020702A KR20130020702A KR20140031085A KR 20140031085 A KR20140031085 A KR 20140031085A KR 1020130020702 A KR1020130020702 A KR 1020130020702A KR 20130020702 A KR20130020702 A KR 20130020702A KR 20140031085 A KR20140031085 A KR 20140031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alue
imaging
unit
ima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배
홍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US14/012,69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063288A1/en
Publication of KR2014003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28Control of working procedures; Failure detection; Spectral bandwidth calc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04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with determina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09Photoelectric exposure meters for determining the exposure time in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2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rrangements with two or more detectors, e.g. for sensitivity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촬상 장치와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의 역광 판단 방법, 노출 보정 방법, 및 촬상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제1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상부, 제1 영상을 처리하여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영상 처리부, 제1 방향과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제2 방향으로 측광을 하기 위한 측광부, 및 측광부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노출값으로 제1 촬상부가 촬영하도록 제1 촬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출 보정 기능을 갖는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Imaging apparatus providing exposure compensa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imaging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노출 보정 기능을 갖는 촬상 장치와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디지털 컨버젼스(digital convergence) 현상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디지털 컨버젼스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분야는 컴퓨터, 미디어, 및 통신 분야인데, 이러한 디지털 컨버젼스 제품의 대표적인 예가 '스마트 폰'이다. 스마트 폰에는 여러 가지 기능의 모듈들이 결합되고 있는데, 영상 촬영을 위한 촬상 장치도 그 중의 하나이다.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영상 통신을 지원하는 테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촬상 장치, 즉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촬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피사체를 포함하여 전체 영상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촬상 장치가 획득한 영상은 소정의 영상 처리 절차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로 인코딩되는데, 이를 위하여 촬상 장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로서 영상 처리 모듈을 구비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 모듈에서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다시 디코딩되어서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런데, 휘도, 색상 등과 같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에는 촬영 조건 등이 반영된다. 즉, 동일한 피사체라고 하더라도 촬영 조건이 다르면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다를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촬상 장치는 촬영 전에 자동으로 피사체의 상황을 포함한 주변 조건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촬영 조건이 설정되거나 및/또는 촬영자가 임의로 촬영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피사체가 특수한 상황이거나 또는 촬영자가 촬영 조건을 잘못 설정하는 경우 등에는, 촬영된 영상에서 피사체가 촬영자의 의도 또는 예상과는 다르게 표시되기도 한다.
이것의 대표적인 예가 역광 상황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이다. 역광 상황에서 이를 고려하지 않고 통상적인 측광 방법을 사용하여 측광을 하고 또한 그에 따라서 노출을 설정하여 촬영을 하면, 피사체의 휘도가 배경의 휘도보다 현저히 낮아 질 수가 있다. 또한, 역광 상황인 경우에 촬영자는 설정해야 하는 노출값을 정확하게 알기가 어렵다. 그 결과, 영상에서 피사체의 식별이 어렵거나 및/또는 촬영자가 원하는 피사체 이미지가 포함된 영상을 얻을 수가 없는데, 이러한 영상을 '노출 부족 영상'이라고 한다.
역광 상황에서 노출 부족 영상이 아닌 적정 노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선처리 및/또는 후처리를 통해 역광 보정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처리를 통한 역광 보정은 촬영 전에 미리 노출값을 보정하고 촬영을 하는 것이다. 반면, 후처리를 통한 역광 보정은 촬영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조작을 통해 사후적으로 적정 노출 영상에 가까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다. 선처리가 제대로 되면, 역광 보정을 위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후처리는 추가로 수행할 필요가 없지만, 두 가지 방법을 서로 보완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역광 상황에서 선처리를 통해 적정 노출 영상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 중의 한 가지 방법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측광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기준으로 노출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한 가지 방법은 촬상 장치가 측광하여 구한 노출값보다 과다 노출이 되도록 촬영자가 인위적으로 노출값을 보정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촬영자의 인위적인 조작이 필요하고 또한 역광 상황에서 사용할 노출값을 구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또 다른 한 가지 방법으로 피사체의 상황을 인식하고 이에 기초하여 노출값을 보정하는 소정의 알고리즘 예컨대, 상황-피사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에 의하면, 촬영자는 상황-피사체 인식 알고리즘의 사용 결과에 따라서 노출값을 변경하면서 적정 노출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도 결국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개입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촬상 장치가 역광 상황 자체(예컨대, 어느 정도의 역광인지 등)에 관하여 먼저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원하는 역광 보정 효과를 얻기가 어려울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09-0063827호,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역광 영상인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영상의 휘도 분포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 분포 극대값 영역을 검출하여 이에 기반하여 역광 영상인지를 판단하므로, 휘도 정보들의 분포를 가지고 극대값 영역을 구하는 복잡한 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한국공개특허에서는 역광 영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역광 보정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역광 상황인 경우에 노출값을 정확하게 설정하여 적정 노출로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와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의 역광 판단 방법, 노출 보정 방법, 및 촬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하게 역광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이에 기초하여 적정 노출로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와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의 역광 판단 방법, 노출 보정 방법, 및 촬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나 수동 노출 보정이 필요 없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후처리도 필요 없는 촬상 장치와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의 역광 판단 방법, 노출 보정 방법, 및 촬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몸체, 제1 방향으로 제1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부, 상기 제1 촬상부가 촬영한 제1 영상을 처리하여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영상 처리부, 상기 제1 방향과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제2 방향으로 측광을 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측광부, 및 상기 측광부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노출값으로 상기 제1 촬상부가 촬영하도록 상기 제1 촬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노출값으로 상기 제1 촬상부가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촬상부가 상기 측광부의 측광값을 상기 제1 촬상부의 측광값으로 간주하고 계산된 노출값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다음 각 영역의 영역 휘도 평균이 상기 제1 영상의 영상 휘도 평균보다 작은 제1 영역들 전체의 휘도 평균인 제1 휘도 평균과 상기 영상 휘도 평균보다 큰 제2 영역들 전체의 휘도 평균인 제2 휘도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휘도 평균에 대한 상기 제2 휘도 평균의 비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에 대한 상기 측광부의 측광값의 비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은 상기 제1 촬상부가 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을 위하여 상기 촬상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제2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은 상기 제1 영상을 이용하여 구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은 상기 제2 영상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구하기 위한 제1 조도 센서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구하기 위한 제2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2 방향으로 제2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광부는 상기 제2 촬상부의 일 기능 모듈이거나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을 위하여 상기 촬상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조도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2 영상을 처리하여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촬상부와 상기 제2 촬상부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서 상기 제1 영상 처리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순차적으로 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촬상부가 상기 제2 영상을 처리하여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촬상부와 상기 제2 촬상부를 개별적으로 구동시켜서 상기 제1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부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 상기 제1 방향과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제2 방향으로 측광을 하기 위한 측광부, 및 상기 측광부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노출값으로 상기 촬상부가 촬영하도록 상기 촬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위한 노출 보정 방법은 (a) 상기 촬상 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방향과는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상기 촬상 장치의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상기 촬상 장치의 노출값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출값은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으로 간주하고 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c)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촬상 장치의 제1 방향으로 획득되는 제1 영상을 처리하여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제1 영상의 영상 휘도 평균을 구하는 단계, (a2) 상기 제1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다음 각 영역의 영역 휘도 평균이 상기 제1 영상의 영상 휘도 평균보다 작은 제1 영역들 전체의 휘도 평균인 제1 휘도 평균과 상기 영상 휘도 평균보다 큰 제2 영역들 전체의 휘도 평균인 제2 휘도 평균을 구하는 단계, 및 (a3) 상기 제1 휘도 평균 및 상기 제2 휘도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 (a3)에서는 상기 제1 휘도 평균에 대한 상기 제2 휘도 평균의 비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d)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에 대한 상기 측광부의 측광값의 비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은 동시에 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은 순차적으로 구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서로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촬상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으로서, (a) 상기 전자 기기로 촬영을 하고자 하는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노출값을 구하는 단계, 및 (c) 상기 노출값을 상기 제1 촬상부의 노출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촬영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으로 간주하고 상기 노출값을 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d)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영상을 획득하여 제1 이미지 데이터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e)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은 동시에 구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f) 상기 단계 (a) 이전에 역광 보정을 위한 사용자 환경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환경 설정은 상기 단계 (a) 내지 (c)를 자동으로 적용하여 상기 제1 촬상부를 통해 촬영하는 자동 설정과 상기 단계 (a) 내지 (c)를 적용하지 않고 상기 제1 촬상부를 통해 촬영을 하는 수동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환경 설정은 반자동 설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사용자 환경 설정이 상기 반자동 설정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계 (a)는 자동으로 적용하여 실행하고, 상기 단계 (b)는 노출값 보정을 적용할지를 질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c)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출값 보정을 적용하는 것을 지시하는 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피사체가 위치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측광을 하고 이를 이용하여 노출값을 설정하여 촬영을 함으로써, 촬영 환경의 광 조건이 특수한 상황, 특히 역광 상황에서 피사체가 식별되지 않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역광 상황인 경우에는 그 반대쪽의 반사광을 이용하여 측광을 하고 이를 이용하여 노출값을 설정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주변의 여건에 적합한 노출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측광부로 획득한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의 영상 휘도 평균과 이 영상 휘도 평균보다 작은 영역들의 영역 휘도 평균과 큰 영역들의 영역 휘도 평균 사이의 비를 이용하여 역광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광의 입사 방향이 중첩되지 않는 두 방향, 특히 서로 반대되는 두 방향으로 측광한 측광값의 비를 이용하여 역광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역광 판단의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또한 비교적 정확하게 역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광의 입사 방향이 중첩되지 않는 방향으로 측광한 측광값을 이용하여 노출을 보정하여 촬영하며 또한 이러한 것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역광 보정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나 수동 노출 보정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노출값을 보정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촬영된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후처리도 필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촬영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촬영 조건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 보정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 판단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영상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제1 영역들의 제1 휘도 평균과 제2 영역들의 제2 휘도 평균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광 판단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방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방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방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장 장치(100)는 이미지 센서(104)를 포함하는 촬상부(102), 측광부(106), 영상 처리부(108), 제어부(110), 디스플레이부(112), 및 저장부(114)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두 줄 화살표는 영상 신호 또는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한 줄 화살표는 영상 신호 이외의 각종 명령이나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예컨대, 측광값)의 흐름을 나타낸다(도 2 및 도 3도 동일함).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 물론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200, 300, 도 2 및 도 3 참조)는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등과 같이 영상 촬영이 주된 기능은 전자 기기일 수 있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촬상 장치(100, 200, 300)는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의 촬상 모듈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촬상 장치(100, 200, 300)의 디스플레이부(112, 212, 312, 도 2 및 도 3 참조)나 저장부(114, 214, 314, 도 2 및 도 3 참조)는 해당 전자 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예컨대, 스마트 폰의 전면 디스플레이)이나 저장 모듈(예컨대, 스마트 폰의 메모리)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촬상 장치(100, 200, 3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촬상 장치(100, 200, 300)는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되어 있는 모듈들의 일부만을 구비하거나 및/또는 그 동작을 위하여 필수적인 다른 모듈들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촬상부(102)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촬상부(102)는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시스템, 렌즈의 개구부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광학 시스템을 통해 광이 통과하도록 하거나 또는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셔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광학 시스템을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1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지 센서(104)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감도가 조정될 수 있거나 및/또는 촬영 환경에 따라서 ISO 감도가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촬상부(102)는 촬상 장치(100)를 기준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촬상부(102)는 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촬상 장치(100)의 일면, 예컨대, 전면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100)의 전면이 대향하는 방향이 변하면, 그에 따라서 촬상부(102)가 촬영하는 방향도 변한다. 하지만, 이것이 촬상부(102)가 촬영할 수 있는 방향이 촬상 장치(100)와의 관계에서 가변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촬상 장치(100)의 구현예에 따라서는 이 방향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스템과 이미지 센서(102) 등이 집합적으로 촬상 장치(102)에 대하여 그 위치나 방향이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촬상부(102)가 촬영하는 방향은 반드시 촬상 장치(100)의 전면이 대향하는 방향이 아닐 수도 있다.
측광부(106)는 소정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의 양, 즉 광속(luminance flux)을 측정한다. 측광부(106)가 광량을 측정하는 방향은 고정되거나 또는 가변될 수 있다. 측광부(106)는 소정 방향으로의 광량 또는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일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 측정이 가능한 이미지 센서(207, 307) 및/또는 촬상부(206, 306)가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측광값을 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측광부(106)는 특히 촬상부(102)가 촬영을 하는 방향과는 광이 입사되는 방향이 겹치지 않는 방향으로 밝기 또는 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방향'이란 양 방향 각각으로 입사하는 광이 서로 직접적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되는 방향(예컨대, 촬상부(102)가 촬상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는 경우에, '입사광이 겹치지 않는 방향'은 촬상 장치(100)의 상면, 하면, 좌우 측면, 또는 후면이 대향하는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촬상부(102)로 직접 입사하는 광은 측광부(106)로는 직접 입사하지 않으며, 반대로 측광부(106)로 직접 입사하는 광은 촬상부(102)로는 직접 입사하지 않는다.
종래 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102)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 경우에, 촬상부(102)를 통해 측광을 하거나 또는 촬상부(102)가 향하는 방향으로 측광을 하고 이에 기초하여 촬상부(102)의 노출값을 설정하여 촬영하면, 촬상부(102)쪽으로 직접 입사되는 광으로 인하여 영상에서 피사체는 어둡게 표시되어 식별이 어려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촬상부(102)와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방향으로 측광을 하고 이에 기초하여 촬상부(102)의 노출값을 설정하여 촬영하면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광부(106)는 촬상부(102)가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측광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촬상부(102)가 촬상 장치(100)의 전면이 대향하는 방향(즉, 촬상 장치(100)의 앞쪽 방향)으로 촬영을 한다면, 측광부(106)는 촬상 장치(100)의 후면이 대향하는 방향(즉, 촬상 장치(100)의 뒤쪽 방향)으로 측광을 할 수 있다. 이것은 촬상부(102)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 경우에, 그 반대쪽, 즉 태양광이 촬상 장치(100)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물체에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광을 측정함으로써 촬상부(102)의 노출값을 계산하는데 이용하기 위해서이다(도 4 참조). 통상적으로 이러한 반사광은 촬상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는 주변 환경의 밝기(조도)를 가장 적절하게 반영한다. 따라서 촬상부(102)가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측광하는 측광부(106)가 구한 측광값을 이용하여 촬상부(102)의 노출값을 설정하여 촬영하면, 피사체의 식별이 어려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시점의 촬영 조건에 최적화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08)는 촬상부(102)가 획득한 영상,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104)가 생성한 영상의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처리부(108)가 생성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종류나 포맷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는 영상의 픽셀별 휘도 정보와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데이터는 영상의 픽셀별 RGB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영상 처리부(108)가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는 휘도 정보 또는 그와 유사한 정보로서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들 각각의 밝기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10)가 촬상부(102)의 촬영 조건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촬상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의 관리, 처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촬상부(102)가 촬영을 하기 위한 동작(예컨대, 초점 계산, 얼굴 인식 등과 같이 자동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되어 있는 다양한 기능들)과 측광부(106)가 측광을 하기 위한 동작의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촬상 장치(100) 내에 설치되거나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기능 모듈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의 제어 및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촬상 장치(100)의 입력 모듈(도시하지 않음)이나 센서 모듈(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되는 시각적, 청각적, 기계적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고, 입력 신호에 대한 처리 결과(예컨대, 촬영을 위한 미리보기 영상이나 촬영된 영상) 및/또는 제어부(110)에 의한 제반 실행 결과를 시각적 신호 등으로 출력하도록 출력 모듈,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측광부(106)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노출값으로 촬상부(102)가 촬영하도록 촬상부(1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10)는 촬상부(102)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 경우에만 촬상부(102)가 측광부(106)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촬영하도록 촬상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0)는 측광부(106)가 측광을 하도록 구동 신호를 보내고 또한 그 결과로 측광부(106)로부터 측광값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110)는 역광 상황인 경우에만 측광부(106)를 구동시키거나 및/또는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측광부(106)를 구동시킬 수 있다.
측광부(106)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촬상부(102)의 촬영을 위한 노출값을 계산하는 기능은 제어부(110)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촬상부(102)와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방향으로 측광을 한 측광부(106)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촬상부(102)의 노출값을 계산하는 것이 요구될 뿐, 노출값을 어떤 구성 요소가 계산하는지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로부터 측광값을 전달받은 촬상부(102)가 이 측광값을 이용하여 노출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측광값은 제어부(110)를 통해 측광부(106)로부터 촬상부(102)로 전달되거나 또는 측광부(106)로부터 직접 촬상부(102)로 전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촬상부(102)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촬상부(102)가 획득한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촬상부(102)가 촬영을 하는 방향의 측광값과 측광부(106)가 측광한 측광값을 이용하여 역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알고리즘에 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촬상 장치(100)는 촬상부(102)가 촬영을 하는 방향으로의 측광을 위하여 별도의 측광부, 예컨대 조도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거나 및/또는 촬상부(102)가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촬상부(102)의 이미지 센서(104)를 이용하여 촬상부(102)가 촬영을 하는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구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2)는 촬상부(102)가 획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12)는 영상 처리부(108)가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촬상부(102)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바로 표시할 수도 있다(예컨대, 촬영할 화면에 대한 '미리 보기' 등의 경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2)의 동작은 제어부(11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촬상부(102)의 촬영 조건이 역광 상황인 경우에 측광부(106)가 구한 측광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노출값으로 촬상부(102)가 획득한 영상이 미리 보기로서 디스플레이부(112)에 표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14)는 영상 처리부(108)가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저장부(114)는 역광 촬영과 관련된 사용자 환경 설정 정보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저장부(114)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환경 설정 정보(이것은 사용자가 촬영 전에 미리 설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에 따라서 촬상부(102)를 통한 촬영시에 역광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저장부(114)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환경 설정 정보에 따라서 역광 상황인 경우에 측광부(106)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설정된 노출값으로 촬상부(102)가 자동으로 촬영을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촬상부(102)가 촬영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환경 설정 정보에 따른 제어부(110)의 제어 동작에 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상 장치(200)는 제1 이미지 센서(204)를 포함하는 제1 촬상부(202), 제2 이미지 센서(207)를 포함하는 제2 촬상부(206), 영상 처리부(208), 제어부(210), 디스플레이부(212), 및 저장부(214)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촬상 장치(200)는 두 개의 촬상부(202, 206)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하나의 촬상부(102)와 측광부(106)를 포함하는 도 1의 촬상 장치(100)와 차이가 있다. 이하, 도 1의 촬상 장치(1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2의 촬상 장치(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도 2의 촬상 장치(200)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사항은 각 구성 요소의 본질적인 특성상 적용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도 1의 촬상 장치(100)와 관련하여 설명한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촬상부(202, 206)는 각각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 및 제2 촬상부(202, 206)는 기본적으로 도 1의 촬상부(10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촬상부(202, 206)는 각각 촬상 장치(200)와 관련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데, 제1 촬상부(202)가 촬영하는 방향과 제2 촬상부(206)가 촬영하는 방향은 광의 입사 방향이 서로 겹치지 않는 방향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촬상부(202)가 촬영하는 방향과 제2 촬상부(206)가 촬영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상부(202)는 촬상 장치(200)의 전면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촬영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촬상부(202)는 촬상 장치(200)의 후면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촬영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촬상부(202, 206) 중에서 어느 하나의 촬상부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는 경우에, 나머지 하나의 촬상부는 도 1의 측광부(106, 도 1 참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상부(202)로 촬영을 하는 경우에 제2 촬상부(206)는 측광값을 구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반대의 경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촬상부(202)나 제2 촬상부(206)는 측광을 위한 기능 모듈(예컨대, 조도 센서)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측광 모듈의 구성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측광 모듈은 통상의 촬상부의 구성에 추가적으로 구비된 기능 모듈일 수도 있지만,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204, 207)를 이용하여 측광값을 구하거나 또는 제1 또는 제2 촬상부(202, 206)가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영상 처리부(108)가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광값을 구하는 것도 이러한 측광 모듈의 동작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촬상부(202, 206)가 측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촬상 장치(200)가 제1 및 제2 촬상부(202, 206)와는 별개의 측광부(예컨대, 조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록 촬상 장치(200)가 두 개의 촬상부(202, 206)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조도 센서(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촬상부(202, 206)와는 별개의 측광 모듈을 이용하여 측광값을 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측광 모듈의 기능 및 동작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측광부(106)의 기능 및 동작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에, 촬상 장치(200)는 두 개의 촬상부(202, 206)에 대응하도록 두 개의 측광 모듈을 반드시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하나만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촬상 장치(200)는 두 개의 촬상부(202, 206)를 구비하고 있지만 영상 처리부(208)는 하나만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 두 개의 촬상부(202, 206)가 현실적으로 동시에 동작을 하여 영상을 촬영하거나 및/또는 측광을 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두 개의 촬상부(202, 206)가 하나씩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상부(202)를 통해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어부(210)는 제1 촬상부(202)의 촬영 조건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하거나 및/또는 제1 촬상부(202)의 노출값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만 제2 촬상부(206)가 측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제어부(210)는 제1 촬상부(202)의 동작을 중지시킨 다음에 제2 촬상부(206)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촬상 장치(300)는 제1 이미지 센서(304)를 포함하는 제1 촬상부(302), 제2 이미지 센서(307)를 포함하는 제2 촬상부(306), 제1 영상 처리부(308), 제2 영상 처리부(309), 제어부(310), 디스플레이부(312), 및 저장부(314)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촬상 장치(300)는, 도 2의 촬상 장치(200)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촬상부(302, 306)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하나의 촬상부(102)와 측광부(106)를 포함하는 도 1의 촬상 장치(100)와 차이가 있다. 다만, 도 3의 촬상 장치(300)는 두 개의 촬상부(302, 306) 각각과 접속되는 두 개의 영상 처리부(308, 309)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2의 촬상 장치(200)와 차이가 있다. 이하, 도 2의 촬상 장치(2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3의 촬상 장치(300)에 관하여 설명하며, 도 3의 촬상 장치(300)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사항은 도 2의 촬상 장치(200)와 관련하여 전술한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촬상 장치(300)는 두 개의 촬상부(302, 306)에 대응하여 두 개의 영상 처리부(308, 309)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촬상부(302)는 제1 영상 처리부(308)와 접속되어 있으며, 제2 촬상부(302)는 제2 영상 처리부(309)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영상 처리부(308)는 제1 촬상부(302)가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2 영상 처리부(309)는 제2 촬상부(306)가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촬상부(302, 306)는 동시에 동작을 하여 영상을 촬영하거나 및/또는 측광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촬상부(302)는 영상을 촬영하고 이와 동시에 제2 촬상부(306)는 측광을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10)는 두 개의 촬상부(302, 306)가 동시에 또는 하나씩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상부(302)를 통해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어부(310)는 제1 촬상부(302)의 촬영 조건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하거나 및/또는 제1 촬상부(302)의 노출값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 제2 촬상부(306)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동작시켜서 측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촬영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촬영 조건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4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촬상 장치(100, 200, 300)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서 촬상부(102) 또는 제1 촬상부(202, 302, 이하, 집합적으로 '제1 면 촬상부(102, 202, 303)'라 한다)와 측광부(106) 또는 제2 촬상부(206, 306, 이하, 집합적으로 '제2 면 측광부(106, 206, 306)'라 한다)의 배치되는 모습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와 제2 면 측광부(106, 206, 306)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라는 것은 자명하다. 촬상부(102)와 측광부(106) 또는 제1 촬상부(202, 302)와 제2 촬상부(206, 306)는 각각 서로의 광의 입사 방향이 중첩되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면, 도시된 것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전자 기기는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를 모두 구비하는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컴퓨터일 수 있지만,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상 장치(100, 200, 300) 또는 전자 기기는 전면(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의 촬영 조건이 역광 상황인 경우이다. 역광 상황이란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후방에 광원이 배치되어 있는 상황을 가리킨다. 역광 상황에서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은 전면(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로 입사되지 않지만 광원으로부터의 직사광이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로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역광 상황에서는 제2 면 측광부(106, 206, 306)로 광원으로부터의 직사광은 입사되지 않지만, 광원에 대하여 촬상 장치(100, 200, 300) 또는 전자 기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물체(도 4에서 반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은 후면(또는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면 측광부(106, 206, 306)로 입사될 수 있다. 물론, 제2 면 측광부(106, 206, 306)의 배치(예컨대, 전면이나 후면이 아닌 전자 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따라서는 광원에 대하여 촬상 장치(100, 200, 300) 또는 전자 기기의 측면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물체로부터의 반사광이 제2 면 측광부(106, 206, 306)로 입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는 제2 면 측광부(106, 206, 306)가 측정한 측광값(예컨대, 조도)을 이용하여 계산된 노출값으로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촬상 장치(100, 200, 300)의 제어부(108, 208, 308, 도 1 내지 도 3 참조)는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의 촬영 조건이 역광 상황인 경우에,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의 촬영에 제2 면 측광부(106, 206, 306)의 측광값을 활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2 면 측광부(106, 206, 306)는 순광에 해당하는 반사체로부터의 반사광으로 측광을 하므로, 촬상 장치(100, 200, 300)의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는 그 주변의 촬영 상황(특히, 광원의 종류나 위치에 따른 주변의 밝기)에 적합한 노출로 촬영을 할 수 있다.
노출이란 촬상 장치(102, 202, 302)가 수용하여 감지하는 빛의 양을 가리킨다. 노출은 일반적으로 촬상 장치(102, 202, 302)의 조리개의 열림 정도, 셔터 스피드, 및 이미지 센서의 ISO 감도 설정 등을 조합하여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상 장치(100, 200, 300)의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가 측정된 측광값에 기초하여 노출값을 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 보정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노출 보정 방법은 도 4의 촬영 환경에서 도 1 내지 도 3의 촬상 장치(100, 200, 300) 또는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노출을 노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노출 보정 방법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하며,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제1 방향으로 촬영을 준비한다(S401). 여기서, '촬상 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제1 방향'이란 촬상 장치(100, 200, 300) 또는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가 대향하는 방향으로서, 피사체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촬영 준비'는 사용자가 제1 방향으로 촬영을 하기로 하고 이를 위한 소정의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방향으로 촬상 장치의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가 향하도록 하여 미리 보기용 영상을 획득하는 행위는 촬영 준비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한다(S402). 여기서,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이란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의 촬영 조건이 역광 상황이 되도록 촬상 장치(100, 200, 300) 또는 전자 기기가 배치되어 있는 상황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이 촬상 장치(100, 200, 300)의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를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후방에서 같은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의 촬영 조건이 역광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 200, 300)의 제어부(110, 210, 310)는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의 촬영 조건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제어부(110, 210, 310)는 기존의 공지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의 촬영 조건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 210, 310)는 전술한 한국공개특허 제2009-0063827호에 제시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역광 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10, 210, 310)는 도 6의 흐롬도에 도시되어 있는 역광 판단 방법이나 도 8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는 역광 판단 방법을 이용하여 역광 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광 판단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광 판단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역광 판단 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촬상부가 획득한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역광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이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를 통해 획득한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를 통해 획득한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501).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08, 208, 308, 도 1 내지 도 3 참조)는 제1 면 촬상부(102, 202, 302)가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소정 포맷의 픽셀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501에서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의 휘도 평균을 구한다(S502). 휘도 평균은 픽셀별 휘도를 모두 합산하여 전체 픽셀수로 나누어서 하거나 또는 영상을 소정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한 다음 블록별로 평균 휘도를 구하고 또한 이를 합산하여 블록 개수로 나누어서 구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단계 S503과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후자의 방법이 더욱 효율적일 수 있지만 이것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여기에만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에, 블록의 크기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영상 처리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매크로블록(가로 및 세로가 모두 16픽셀) 단위가 사용되거나 또는 그것의 배수가 되는 블록 단위 또는 1/2이나 1/4 등의 크기를 갖는 블록 단위가 사용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크기의 블록이 사용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영상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제1 영역들의 제1 휘도 평균과 제2 영역들의 제2 휘도 평균을 구한다(S503). 여기서, '제1 영역'이란 해당 영역의 영역 휘도 평균이 단계 S502에서 구한 영상 휘도 평균보다 작은 영역을 가리키고, '제2 영역'이란 해당 영역의 영역 휘도 평균이 단계 S502에서 구한 영상 휘도 평균보다 큰 영역을 가리킨다. 따라서, 제1 휘도 평균은 제1 영역들 각각의 영역 휘도 평균을 더하여 이에 속하는 영역들의 개수로 나눈 값이고, 제2 휘도 평균은 제2 영역들 각각의 영역 휘도 평균을 더하여 이에 속하는 영역들의 개수로 나눈 값이다. 만일, 단계 S502에서 영상을 소정 크기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휘도 평균을 계산한 경우에는, 본 단계의 영역은 단계 S502에서의 블록과 같은 개념이 될 수는 있지만,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영상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제1 영역들의 제1 휘도 평균과 제2 영역들의 제2 휘도 평균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영상에 표시되어 있는 태양 모양의 기호는 광원을 가리키며, 사람 모양의 도형은 피사체를 가리킨다.
그리고 도 7은 영상이 MㅧN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지는 경우이다. 다만, 도면에는 영상이 총 20개(5ㅧ4개)의 블록(영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단지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현실적으로 영상은 이보다 훨씬 많은 개수의 블록(영역)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M과 N은 각각 10이상의 정수일 수 있지만, 논리적으로는 M과 N은 각각 2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L'로 표시된 블록(영역)은 해당 블록의 블록 휘도 평균이 영상 휘도 평균보다 작은 제1 영역이 해당되고, 'H'로 표시된 블록(영역)은 해당 블록의 블록 휘도 평균이 영상 휘도 평균보다 큰 제2 영역에 해당된다. 따라서, 제1 휘도 평균은 'L'로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의 휘도 평균이 되고, 제2 휘도 평균은 'H'로 표시되어 있는 블록들의 휘도 평균이 된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제1 휘도 평균에 대한 제2 휘도 평균의 비가 소정의 임계치(Th1)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504).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계 S504와 같이, 제1 휘도 평균과 제2 휘도 평균의 비를 반영한 소정의 판단식을 이용하여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단계 S504의 판단식은 제1 휘도 평균과 제2 휘도 평균의 비를 구하는 일례에 불과하며, 단계 S504는 제1 휘도 평균과 제2 휘도 평균의 비를 구하는 다른 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판단식은 제2 휘도 평균에 대한 제1 휘도 평균의 비가 되거나 또는 제1 및 제2 휘도 평균이 변수로 포함되어 있는 소정의 함수식일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 S504에서 임계치(Th1)의 구체적인 값은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임계치(Th1)는 실제 역광 상황인 여러 가지 영상 샘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임계치(Th1)는 2일 수 있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다만, '제1 휘도 평균에 대한 제2 휘도 평균의 비가 소정의 임계치(Th1) 이상'이라는 것은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들의 상대적인 밝기 차이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단계 S504의 판단식은 역광 상황을 판단하는데 보다 합리적인 조건식이라고 할 수 있다. 단계 S504의 판단 결과, 제1 휘도 평균에 대한 제2 휘도 평균의 비가 소정의 임계치(Th1) 이상이면 역광 상황으로 판단하지만(S506), 제1 휘도 평균에 대한 제2 휘도 평균의 비가 소정의 임계치(Th1) 미만이면 역광이 아닌 것, 즉 비역광 상황으로 판단한다(S507).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광 판단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역광 판단 방법은 광의 입사 방향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두 개의 방향으로 각각 측광을 하여 역광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광의 입사 방향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두 개의 방향은 피사체가 위치하고 있는 제1 방향과 이 제1 방향과 광의 입사 방향이 중첩되지 않는 제2 방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광의 입사 방향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측광을 하여 제1 및 제2 측광값을 구한다(S601). 제1 및 제2 측광값은 조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하거나 및/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광부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또는 측광부에서 획득한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측광값은 동시에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순차적으로 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촬상 장치(200)에서는 제1 측광부(202)가 획득한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측광값을 구한 다음 제2 측광부(206)가 획득한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측광값을 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측광값에 대한 제2 측광값의 비가 소정의 임계치(Th2)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60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계 S602와 같이, 제1 측광값과 제2 측광값의 비를 반영한 소정의 판단식을 이용하여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단계 S602의 판단식은 제1 측광값과 제2 측광값의 비를 구하는 일례에 불과하며, 단계 S602는 제1 측광값과 제2 측광값의 비를 구하는 다른 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판단식은 제2 측광값에 대한 제1 측광값의 비가 되거나 또는 제1 및 제2 측광값이 변수로 포함되어 있는 소정의 함수식일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 S602에서도,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S504에서와 마찬가지로, 임계치(Th2)의 구체적인 값은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임계치(Th2)는 여러 가지 경우의 실제 역광 상황에서 광원 쪽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함으로써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임계치(Th2)는 2일 수 있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다만, '제1 측광값에 대한 제2 측광값의 비가 소정의 임계치(Th2) 이상'이라는 것은 광원쪽 방향의 밝기(광원으로부터 수신되는 직사광의 밝기)와 그 반대쪽 방향의 밝기(반사체에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광의 밝기)의 밝기 차이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단계 S602의 판단식도 역광 상황을 판단하는데 보다 합리적인 조건식이라고 할 수 있다. 단계 S506의 판단 결과, 제1 측광값에 대한 제2 측광값의 비가 소정의 임계치(Th2) 이상이면 역광 상황으로 판단하지만(S603), 제1 측광값에 대한 제2 측광값의 비가 소정의 임계치(Th2) 미만이면 역광이 아닌 것, 즉 비역광 상황으로 판단한다(S604).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402의 판단 결과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방향과는 광의 입사 방향이 중첩되지 않는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제1 방향으로의 노출값을 계산할 수 있다(S403). 일례로,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는 것을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제2 방향으로의 측광은 촬상 장치(100, 200, 300)에 구비되어 있는 측광부(106) 또는 촬상부(206, 306)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것도 전술한 바와 같다. 반면, 단계 S402의 판단 결과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기존의 방법대로 노출값을 계산한다(S404). 예를 들어, 단계 S404에서는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제1 방향으로의 노출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출 보정 방법에서는 촬영을 하고자 하는 촬상부의 촬영 조건이 역광 상황인 경우에는, 촬영을 하고자 하는 방향과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방향(예컨대, 반대 방향)으로 측광을 하고 이 측광값을 이용하여 촬상부의 노출값을 설정한다. 통상적으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측광을 하면 광원이 있는 방향의 측광값이 다른 방향보다 높게 나온다. 그리고 광원이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은 반사체에 의한 반사광의 밝기를 측정하므로, 피사체가 있는 주변의 환경 조건을 더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출 보정 방법을 이용하여 노출값을 설정하여 촬영을 하면, 영상에서 피사체가 보다 뚜렷하게 표시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촬상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의 촬상 장치 또는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촬상 방법으로서, 도 6의 역광 판단 방법이 적용되거나 또는 도 8의 역광 판단 방법이 적용되는 촬상 방법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도 6의 역광 판단 방법이 적용되는 촬상 방법일 수 있으며, 도 10은 도 8의 역광 판단 방법이 적용되는 촬상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은 사용자 환경 설정에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방법을 적응적으로 적용하여 촬영을 하는 촬상 방법일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방법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하는데, 이것은 단지 불필요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여기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사항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방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촬상 방법은 도 6의 역광 판단 방법이 적용되는 촬상 방법으로서, 도 1 내지 도 3의 촬상 장치(100, 200, 300) 또는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1 방향의 촬상부(102, 202, 302)를 통해 제1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S701). 제1 이미지 데이터는 제1 방향의 촬상부(102, 202, 302)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처리부(108, 208, 308)가 생성하는 영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역광 여부를 판단한다(S702). 본 단계는 촬상부(102, 202, 302)의 촬상 조건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본 단계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역광 판단 방법에 따라서 역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702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단계 S703에서 분기하는 방향이 결정된다.
단계 S703에서 촬상부(102, 202, 302)의 촬상 조건이 역광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전술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출 보정 방법이 적용되지 않고, 단계 S701에서 획득한 제1 이미지 데이터가 그대로 촬영된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가 된다. 반면, 단계 S703에서 촬상부(102, 202, 302)의 촬상 조건이 역광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술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출 보정 방법이 적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703에서 촬상부(102, 202, 302)의 촬상 조건이 역광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방향과 광의 입사 방향이 중첩되지 않는 제2 방향으로 측광을 한다(S704). 단계 S704의 측광은 측광부(106) 또는 제2 촬상부(202, 302)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704의 측광이 단계 S701 내지 S703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단계 S701에서 촬상부(102, 202, 302)가 영상을 획득하는 것과 동시에 측광부(106) 또는 제2 촬상부(202, 302)가 측광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단계 S703에서 역광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704는 건너 뛰고 바로 단계 S705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계속해서, 단계 S704에서 구한 측광값을 이용하여 촬상부(102, 202, 302)가 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할 노출값을 구하고 이를 촬상부(102, 202, 302)의 노출값으로 설정한다(S705). 단계 S705는 제어부(110, 210, 310)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촬상부(102, 202, 302)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때, 제어부(110, 210, 310) 또는 촬상부(102, 202, 302)는 단계 S705에서 구한 측광값을 그대로 촬상부(102, 202, 302)의 측광값으로 간주하고 노출값을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상부(102, 202, 302)가 노출값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자체적으로 구한, 즉 제1 방향으로 측정한 측광값에 단계 S705에서 구한 측광값이 반영되는 형태로 노출값이 결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 S705에서 설정된 노출값으로 촬상부(102, 202, 302)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며, 영상 처리부(108, 208, 308)는 이 영상을 처리하여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706). 설정된 노출값으로 촬상부(102, 202, 302)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경우에 노출값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조리개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셔터 스피드를 조정하거나 또는 ISO 감도를 조정하거나 또는 전술한 세 가지 방법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여 적용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방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촬상 방법은 도 8의 역광 판단 방법이 적용되는 촬상 방법으로서, 도 1 내지 도 3의 촬상 장치(100, 200, 300) 또는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광의 입사 방향이 중첩되지 않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측광을 수행한다(S801). 제1 방향으로의 측광은 촬상부(102, 202, 302)가 수행하고, 제2 방향으로의 측광은 측광부(106) 또는 제2 촬상부(206, 306)가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제1 방향으로 측광하여 구한 제1 측광값과 제2 방향으로 측광하여 구한 제2 측광값을 이용하여 역광 여부를 판단한다(S802). 본 단계는 촬상부(102, 202, 302)의 촬상 조건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본 단계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역광 판단 방법에 따라서 역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802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단계 S803에서 분기하는 방향이 결정된다.
단계 S803에서 촬상부(102, 202, 302)의 촬상 조건이 역광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술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출 보정 방법이 적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803에서 촬상부(102, 202, 302)의 촬상 조건이 역광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801에서 구한 제2 측광값을 이용하여 촬상부(102, 202, 302)가 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할 노출값을 구하고 이를 촬상부(102, 202, 302)의 노출값으로 설정한다(S804). 단계 S804는 제어부(110, 210, 310)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촬상부(102, 202, 302)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때, 제어부(110, 210, 310) 또는 촬상부(102, 202, 302)는 단계 S801에서 구한 측광값을 그대로 촬상부(102, 202, 302)의 측광값으로 간주하고 노출값을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상부(102, 202, 302)가 노출값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제1 측광값에 제2 측광값이 반영되는 형태로 노출값이 결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 S804에서 설정된 노출값으로 촬상부(102, 202, 302)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며, 영상 처리부(108, 208, 308)는 이 영상을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805). 설정된 노출값으로 촬상부(102, 202, 302)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경우에 노출값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조리개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셔터 스피드를 조정하거나 또는 ISO 감도를 조정하거나 또는 전술한 세 가지 방법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여 적용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촬상부(102, 202, 302)의 촬상 조건이 역광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기존의 방법대로 노출값을 설정하고 촬영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803에서 촬상부(102, 202, 302)의 촬상 조건이 역광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801에서 구한 제1 측광값을 이용하여 촬상부(102, 202, 302)가 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할 노출값을 구하고 이를 촬상부(102, 202, 302)의 노출값으로 설정한다(S806). 단계 S806는 촬상부(102, 202, 302)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806에서 설정된 노출값으로 촬상부(102, 202, 302)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며, 영상 처리부(108, 208, 308)는 이 영상을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807). 설정된 노출값으로 촬상부(102, 202, 302)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경우에 노출값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촬상 방법은 촬상 장치 또는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사용자 환경 설정에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출 보정 방법을 적응적으로 적용하여 촬영을 하는 일 구현예에 해당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촬상 방법에서는 사용자 환경 설정에 따라서 역광 판단 및/또는 역광 보정이 적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촬상 장치로 촬영을 하기 이전에 사용자 환경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역광 보정을 자동적으로 적용(이하, '자동 모드'라 한다)할지 또는 역광 보정을 전혀 적용하지 않을지(이하, '수동 모드'라 한다)를 미리 결정하거나 또는 역광 여부 판단만을 작동으로 적용하고 노출값 보정을 수행할지는 사용자가 선택할지(이하, '반자동 모드'라 한다)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촬상 장치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전자 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실행시킨다(S901). 단계 S901의 결과에 따라서 카메라가 동작을 시작하게 되면, 촬상 장치는 역광 보정을 위한 사용자 환경 설정을 확인한다(S902). 이러한 사용자 환경 설정의 확인은 촬상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환경 설정은 촬상 장치 또는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미리 특정한 모드(예컨대, 자동 모드, 수동 모드, 또는 반자동 모드)설정하여 저장을 해 두거나 또는 초기값으로 특정한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 S902에서의 확인 결과, 사용자 환경 설정에 역광 보정 적용 기능이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역광 판단 및 노출값 보정을 항상 적용하여 촬영을 한다(S903). 단계 S903에서 역광 판단을 하는 과정은 도 6 또는 도 8의 역광 보정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903에서 노출값 보정을 하는 과정은 도 4의 노출값 보정 방법이 적용되거나 또는 도 9 또는 도 10의 촬상 방법에 포함되어 있는 노출값 보정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반면, 단계 S902에서의 확인 결과, 사용자 환경 설정에 역광 보정 적용 기능이 수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역광 판단 및 노출값 보정을 적용하지 않고 촬영을 할 수 있다(S909).
단계 S902에서의 확인 결과, 사용자 환경 설정에 역광 보정 적용 기능이 반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역광 판단 과정은 자동적으로 수행하지만 역광 상황인 경우에 노출값 보정을 적용할지는 사용자 확인 후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역광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노출값 보정을 하는 것은 사용자의 명시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한다(S904). 그리고 단계 S904에서 역광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역광 보정을 실행할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질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또는 역광 보정 실행 메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905). 반면, 단계 S904에서 역광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노출값을 새롭게 설정하지 않고 그대로 촬영을 한다(S908). 계속해서, 사용자가 단계 S905에서 표시된 질의나 메뉴를 이용하여 역광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선택하는지 또는 역광 보정을 실행하라는 명령을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S906). 단계 S906에서의 판단 결과, 역광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역광 보정을 실행하라는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노출값을 새롭게 설정하여 촬영을 한다(S907). 반면, 사용자가 역광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역광 보정을 실행하라는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지 않으면, 노출값을 새롭게 설정하지 않고 그대로 촬영을 한다(S908).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만 특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200, 300 : 촬상 장치
102, 202, 302, 206, 306 : 촬상부
104, 204, 304, 207, 307 : 이미지 센서
106 : 측광부
108, 208, 308, 309 : 영상 처리부
110, 210, 310 : 제어부
112, 212, 312 : 디스플레이부
114, 214, 314 : 저장부

Claims (32)

  1. 몸체;
    제1 방향으로 제1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부;
    상기 제1 촬상부가 촬영한 제1 영상을 처리하여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영상 처리부;
    상기 제1 방향과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제2 방향으로 측광을 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측광부; 및
    상기 측광부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노출값으로 상기 제1 촬상부가 촬영하도록 상기 제1 촬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노출값으로 상기 제1 촬상부가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촬상부가 상기 측광부의 측광값을 상기 제1 촬상부의 측광값으로 간주하고 계산된 노출값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다음 각 영역의 영역 휘도 평균이 상기 제1 영상의 영상 휘도 평균보다 작은 제1 영역들 전체의 휘도 평균인 제1 휘도 평균과 상기 영상 휘도 평균보다 큰 제2 영역들 전체의 휘도 평균인 제2 휘도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휘도 평균에 대한 상기 제2 휘도 평균의 비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에 대한 상기 측광부의 측광값의 비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영 환경이 역광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은 상기 제1 촬상부가 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을 위하여 상기 촬상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제2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은 상기 제1 영상을 이용하여 구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은 상기 제2 영상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구하기 위한 제1 조도 센서;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구하기 위한 제2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제2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광부는 상기 제2 촬상부의 일 기능 모듈이거나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을 위하여 상기 촬상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조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2 영상을 처리하여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촬상부와 상기 제2 촬상부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서 상기 제1 영상 처리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순차적으로 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상부가 상기 제2 영상을 처리하여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촬상부와 상기 제2 촬상부를 개별적으로 구동시켜서 상기 제1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부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제1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
    상기 제1 방향과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제2 방향으로 측광을 하기 위한 측광부;및
    상기 측광부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노출값으로 상기 촬상부가 촬영하도록 상기 촬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16. 촬상 장치를 위한 노출 보정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촬상 장치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방향과는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상기 촬상 장치의 노출값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출 보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보정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값은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으로 간주하고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보정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c)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촬상 장치의 제1 방향으로 획득되는 제1 영상을 처리하여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보정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제1 영상의 영상 휘도 평균을 구하는 단계;
    (a2) 상기 제1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다음 각 영역의 영역 휘도 평균이 상기 제1 영상의 영상 휘도 평균보다 작은 제1 영역들 전체의 휘도 평균인 제1 휘도 평균과 상기 영상 휘도 평균보다 큰 제2 영역들 전체의 휘도 평균인 제2 휘도 평균을 구하는 단계; 및
    (a3) 상기 제1 휘도 평균 및 상기 제2 휘도 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보정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3)에서는 상기 제1 휘도 평균에 대한 상기 제2 휘도 평균의 비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보정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d)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보정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에 대한 상기 측광부의 측광값의 비가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보정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은 동시에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보정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은 순차적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보정 방법.
  26. 서로 광의 입사 방향이 겹치지 않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촬상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자 기기로 촬영을 하고자 하는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노출값을 구하는 단계; 및
    (c) 상기 노출값을 상기 제1 촬상부의 노출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촬영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으로 간주하고 상기 노출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d)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영상을 획득하여 제1 이미지 데이터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e) 상기 단계 (a) 이전에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방향이 역광 방향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측광값과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측광값은 동시에 구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f) 상기 단계 (a) 이전에 역광 보정을 위한 사용자 환경 설정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환경 설정은 상기 단계 (a) 내지 (c)를 자동으로 적용하여 상기 제1 촬상부를 통해 촬영하는 자동 설정과 상기 단계 (a) 내지 (c)를 적용하지 않고 상기 제1 촬상부를 통해 촬영을 하는 수동 설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환경 설정은 반자동 설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사용자 환경 설정이 상기 반자동 설정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계 (a)는 자동으로 적용하여 실행하고,
    상기 단계 (b)는 노출값 보정을 적용할지를 질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c)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출값 보정을 적용하는 것을 지시하는 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KR1020130020702A 2012-08-30 2013-02-26 노출 보정 기능을 갖는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140031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12,691 US20140063288A1 (en) 2012-08-30 2013-08-28 Imaging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providing exposure compens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90 2012-08-30
KR20120095890 2012-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085A true KR20140031085A (ko) 2014-03-12

Family

ID=5064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702A KR20140031085A (ko) 2012-08-30 2013-02-26 노출 보정 기능을 갖는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10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668A1 (ko) * 2014-08-11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668A1 (ko) * 2014-08-11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48519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设备
EP3480783B1 (en) Image-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KR102565513B1 (ko) 다중 기술 심도 맵 취득 및 융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6512810B2 (ja) 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20140063288A1 (en) Imaging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providing exposure compensation
CN107846556B (zh) 成像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08616689B (zh) 基于人像的高动态范围图像获取方法、装置及设备
KR20150019710A (ko)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3595921B (zh) 摄像装置
US902505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337446B (zh) 基于双摄像头的高动态范围图像获取方法、装置及设备
KR20110090087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WO2019105254A1 (zh) 背景虚化处理方法、装置及设备
EP3249462B1 (en) Flash unit and emitted light amount control method
WO2020034739A1 (zh) 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8107705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JP4360318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CN108289170B (zh) 能够检测计量区域的拍照装置、方法及计算机可读介质
JP2011085699A (ja) 表示装置
JP2012163679A (ja) 撮像装置、ストロボ制御方法およびストロボ制御プログラム
KR20140031085A (ko) 노출 보정 기능을 갖는 촬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JP2013162188A (ja) パノラマ撮影機能付きカメラ
JP2022171438A (ja) 露光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25463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1589493B1 (ko) 플래시를 이용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