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940A - 청력테스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청력테스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940A
KR20140030940A KR1020120097734A KR20120097734A KR20140030940A KR 20140030940 A KR20140030940 A KR 20140030940A KR 1020120097734 A KR1020120097734 A KR 1020120097734A KR 20120097734 A KR20120097734 A KR 20120097734A KR 20140030940 A KR20140030940 A KR 20140030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test
hearing
hearing loss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022B1 (ko
Inventor
범재룡
김희윤
Original Assignee
(주)다하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하미랩 filed Critical (주)다하미랩
Priority to KR1020120097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0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61B5/748Selection of a region of interest, e.g. using a graphics tab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손쉽게 청력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테스트용 주파수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1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단계; 제1 난청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음량을 높여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2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단계; 제2 난청 주파수 대역들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3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 및 난청 해소 요건을 난청 보정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난청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오디오 신호를 보정한 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장치는 테스트용 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 테스트용 주파수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테스트용 주파수의 출력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난청 주파수 대역을 판단하고 그 난청 주파수 대역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주파수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주파수를 보정한 후 오디오 출력부로 출력하는 주파수 보정부; 및 난청 보정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보정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난청을 조기에 자가 진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한 통화나 오디오 감상시 간편하게 난청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력테스트 방법과 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HEARING TEST AND FOR COMPENSATION HEARING LOSS}
본 발명은 청력테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쉽게 청력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난청이란 외이, 고막, 종이 등 소리를 전달해주는 기관의 장애로 인하여 음파의 전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난청은 주로 질병이나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퇴행성 난청’이나 직업상 오랫동안 소음환경에서 일하는 사람에게 발생하는 ‘소음성 난청’이 있다. 따라서 과거에는 난청으로 인해 불편을 겪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특히 ‘소음성 난청’의 경우 불가피하게 소음환경에 노출되는 음악가, 군인, 굴착기 사용자, 공장 노동자, 이비인후과나 치과 의사 등으로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문명의 발달로 ‘소음성 난청’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수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늘고 있다. 이는 현대 사회에 접어들면서 난청을 유발할 수 있는 전자기기(예컨대, TV, 컴퓨터 등)의 사용이 늘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등 휴대기기가 보편화됨으로써 이어폰이나 소형 헤드폰을 이용하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에는 직업병에 국한되었던 ‘소음성 난청’환자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크게 늘고 있다.
이러한 난청은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지만 초기에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편화된 손쉽게 청력을 테스트할 수 있고 그 테스트 결과에 따라 난청 보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청력 테스트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테스트용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1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제1 테스트 단계; 상기 제1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된 주파수들 각각에 대하여 음량을 높여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2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제2 테스트 단계; 및 상기 제2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된 주파수들 각각에 대하여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3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제3 테스트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테스트 단계는 음성 대역 및 사운드 대역 중 어느 대역에 대한 테스트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음성 대역 및 사운드 대역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설정된 테스트용 주파수들 중 상기 결정 결과에 대응되는 테스트용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테스트용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1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제1 테스트 단계; 상기 제1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된 주파수들 각각에 대하여 음량을 높여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2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제2 테스트 단계; 상기 제2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된 주파수들 각각에 대하여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3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제3 테스트 단계; 상기 제2 및 제3 테스트 단계에서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 및 난청 해소 요건을 난청 보정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난청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오디오 신호를 보정한 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보정된 오디오 신호 출력 단계는 상기 난청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샘플 사운드를 보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된 샘플 사운드와 보정전 샘플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오디오 신호의 보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테스트용 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 상기 테스트용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테스트용 주파수의 출력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의거하여 난청 주파수 대역을 판단하고 그 난청 주파수 대역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주파수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주파수를 보정한 후 상기 오디오 출력부로 출력하는 주파수 보정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보정에 의해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 및 그 난청 해소 요건을 전달받아 저장/관리하는 보정 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청력 테스트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리포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리포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력 테스트 방법을 스마트 폰에 적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청력을 테스트할 수 있다. 따라서 난청을 조기에 자가 진단할 수 있으며, 심각한 난청으로 판단될 경우 이를 인식시켜 줌으로써 치료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력 테스트 결과에 의거하여 난청 주파수를 보정함으로써 해당 스마트 폰을 이용한 통화나 오디오 감상시 또는 장치와 관련된 마이크로 입력되는 외부환경의 소리를 들을 때, 간편하게 난청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청력테스트 방법과 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은 스마트 폰의 적용과는 별개로 전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적용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들에게도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처리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준 테스트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륨업 테스트(volume up test)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층 테스트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별 보정정보 생성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표준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그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표준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볼륨업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그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볼륨업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심층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그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심층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보정된 사운드와 보정전 사운드를 비교 체험하고자 하는 경우 그에 대한 안내문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난청 주파수 보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문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청력 테스트를 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도록 하는 안내문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100)는 주파수 생성부(110), 주파수 보정부(120), 오디오 출력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140), 제어부(150), 리포트 생성부(160), 표시부(170), 난청 주파수 저장부(180) 및 보정 정보 저장부(190)를 포함한다.
주파수 생성부(110)는 주파수를 생성한다. 특히, 주파수 생성부(110)는 청력 테스트를 위해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생성부(110)는 좌/우 각각 6개씩(예컨대, 250Hz, 500Hz, 1KHz, 2KHz, 4KHz,8KHz) 12개의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파수 생성부(110)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파수 보정부(120)는 주파수를 보정한다. 특히, 주파수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주파수를 보정한 후 이를 오디오 출력부(13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주파수 보정부(120)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100)가 볼륨업 테스트를 수행 중일 경우 주파수 보정부(120)는 주파수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주파수의 음량을 높혀서 출력하고, 본 발명의 장치(100)가 심층 테스트를 수행 중일 경우 주파수 보정부(120)는 주파수의 대역폭을 넓혀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30)는 해당 장치(100)를 통해 출력되는 각종 오디오를 출력한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30)는 주파수 생성부(110) 또는 주파수 보정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테스트용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100)가 표준 테스트를 수행 중일 경우 오디오 출력부(130)는 주파수 생성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주파수를 출력하고, 본 발명의 장치(100)가 볼륨업 테스트 또는 심층 테스트를 수행 중일 경우 오디오 출력부(130)는 주파수 보정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주파수를 출력한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130)는 본 발명의 장치(100)가 청력 테스트 중이 아닌 경우 일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되, 사용자가 난청 주파수에 대한 보정을 선택한 경우 보정 정보 저장부(190)에 저장된 난청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일반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별 테스트 결과에 의해 생성된 상기 '난청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주파수별로 음량을 자동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30)는 사용자가 보정전 사운드와 보정후 사운드를 비교 체험한 후 난청 주파수에 대한 보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샘플 사운드에 대하여 보정된 사운드와, 보정전 사운드를 번갈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14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테스트용 주파수의 출력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한다. 즉 테스트용 주파수를 감지한 사용자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140)는 키패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용 주파수를 감지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의 일정 영역을 터치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해당 주파수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제어부(150)는 해당 주파수가 난청 주파수가 아닌 것을 확인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1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장치(10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주파수 생성부(110), 주파수 보정부(120), 오디오 출력부(130), 리포트 생성부(160), 난청 주파수 저장부(180) 및 보정 정보 저장부(19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본 발명의 장치(100)가 사용자의 청력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에 따라 난청 주파수 보정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응답에 의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난청 주파수 대역을 판단하고 그 난청 주파수 대역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한다. 즉, 특정 테스트용 주파수에 대하여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그 주파수를 난청 주파수 저장부(180)에 저장하고, 그 주파수를 보정하도록 주파수 보정부(120)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난청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1차적으로 음량을 높여 출력하도록 하고, 2차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키도록 주파수 보정부(12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음성 대역에 대한 테스트용 주파수 및 사운드 대역에 대한 테스트용 주파수를 사전에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1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주파수 생성부(11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음성 대역 및 사운드 대역 중 어느 대역에 대한 테스트를 할 것인지를 결정한 후 주파수 생성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대역에 대응하는 테스트용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난청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보정된 샘플 사운드와 보정전 샘플 사운드를 생성하여 오디오 출력부(130)로 전달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일반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리포트 생성부(160)는 청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각 단계별 테스트의 결과 보고서를 생성한다. 특히 리포트 생성부(160)는 그래프 형태의 결과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포트 생성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한다.
표시부(170)는 리포트 생성부(160)에서 생성된 리포트를 표시한다.
난청 주파수 저장부(180)는 각 단계별 테스트 수행 결과 난청 주파수로 판단되는 주파수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50)의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제공한다.
보정 정보 저장부(190)는 보정 정보를 저장한다. 만약 본 발명의 장치(100)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청력 테스트를 수행한 경우 그 사용자별로 보정 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보정 정보’는 초기 테스트시 사용자의 응답이 없어서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되었던 주파수들 중 주파수 보정부(120)의 보정을 거치면서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 및 그 난청 해소 요건을 말하는 것으로서, 음량을 높여 출력함으로써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의 경우 그 주파수 대역과 그 때의 음량 크기가 보정 정보가 되고,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킴으로써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의 경우 그 주파수 대역과 그 때의 주파수 대역 변경 정보가 보정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100)는 스마트 폰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출력부(130)는 스마트 폰의 오디오 출력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140)는 스마트 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표시부(170)는 스마트 폰의 표시부를 공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5에는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100)가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그 처리 과정에 따른 스마트폰 화면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1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경우 그 처리 과정에 대한 흐름도들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처리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제어부(150)는 표준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100). 즉 주파수 생성부(110)에서 미리 설정된 테스트용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면, 제어부(150)는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들을 제1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한 후 난청 주파수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이어서 제어부(150)는 상기 제1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된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볼륨업 테스트(S200)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난청 주파수 저장부(180)로부터 제1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독출한 후 그들 각각에 대하여 음량을 높여서 출력하도록 주파수 보정부(120) 및 오디오 출력부(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2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한 후 난청 주파수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제2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된 주파수들 각각에 대하여 심층 테스트(S300)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난청 주파수 저장부(180)로부터 제2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독출한 후 그들 각각에 대하여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주파수 보정부(120) 및 오디오 출력부(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3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한 후 난청 주파수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이 때 심층 테스트 후에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이 검출된다면 제어부(150)는 해당 사용자의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전문의와 상담할 것을 권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볼륨업 테스트(S200) 및 심층 테스트(S300) 결과에 의거하여 사용자별 보정 정보를 생성한다(S400). 즉, 제어부(150)는 볼륨업 테스트(S200) 및 심층 테스트(S300) 결과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그 주파수 대역 및 난청 해소 요건을 보정정보 저장부(190)에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저장된 난청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오디오 신호를 보정 후 출력한다(미도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준 테스트 과정(S100)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100)는 주파수 생성부(110)를 통해 생성된 테스트용 주파수를 출력한다(S110). 이 때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음성 대역 및 사운드 대역 중 어느 대역에 대한 테스트를 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음성 대역 및 사운드 대역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설정된 테스트용 주파수들 중 상기 결정 결과에 대응되는 테스트용 주파수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에는 이와 같이 테스트를 위한 대역을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의 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은 음성 대역 검사 선택영역(D)과, 사운드 대역 검사 선택영역(E)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과정(S110)에서 테스트용 주파수를 출력한 제어부(150)는 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S120). 만약, 응답이 없는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주파수를 1차 난청 주파수로 등록한다(S130). 즉, 상기 응답이 없는 주파수를 난청 주파수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주파수 출력 횟수’를 카운트하여(S140)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S150) 상기 일련의 과정들(S110 내지 S130)을 반복 수행하고, 상기 주파수 출력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S150) 표준 테스트 결과 리포트를 작성(S160)한 후 상기 표준 테스트 과정을 종료한다. 이 때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는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준 테스트를 위해 주파수 생성부(110)는 좌/우 각각 6개씩 총 12개의 테스트용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예시된 표준 테스트와 관련된 스마트폰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표준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그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표준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은 출력되는 주파수가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화면에 이를 표시하고, 화면 중앙에 현재 주파수가 전체 주파수 중 몇 번째 주파수인지를 나타낸다(A). 도 7의 예에서 사용자는 화면 하단 중앙의 ‘다음’부분을 터치함으로써 현재 출력되는 주파수를 감지했음을 나타낸다. 도 7의 예에서 본 발명의 장치(100)는 현재 출력되는 주파수가 좌측 이어폰으로 출력되는지 우측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지를 화면에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화면에 이를 나타내지 않고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면 하단에 ‘좌측’과 ‘우측’을 나타내는 터치 영역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들리는 쪽의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좌측 및 우측을 구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준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해당 스마트 폰은 그래프 중앙에 각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선(점선)을 표시하고, 그 선 아래에 흰색 마크(mark)가 표시된 주파수 대역의 경우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판단한다. 도 8의 예에서 상기 표준 테스트 결과 해당 사용자는 3개의 주파수 대역(500Hz, 1KHz, 4KHz)에 대하여 난청 상태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륨업 테스트 과정(S200)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볼륨업 테스트를 위해, 제어부(150)는 난청 주파수 저장부(180)로부터 볼륨업 테스트 대상이 되는 주파수(도 3의 예에서, 1차 난청 주파수로 등록한 주파수)를 선택한 후(S210) 볼륨업하여 출력한다(S220).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주파수 보정부(120) 및 오디오 출력부(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S230). 만약, 응답이 없는 경우 제어부(150)는 볼륨업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일련의 과정들(S220 내지 S250)을 반복 수행한다. 이 때 미리 설정된 횟수는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볼륨업 테스트는 1차 난청 주파수로 등록된 각각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3단계’에 걸쳐 주파수를 높여 가며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설정된 횟수가 '3'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설정된 횟수는 기기의 성능이나 다른 동작 조건에 의해 가감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된 횟수는 '2' 이상 '10' 이하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볼륨업 테스트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다단계에 걸쳐 주파수를 높여가며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단계’에 걸친 볼륨업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주파수를 2차 난청 주파수로 등록한다(S260).
만약 상기 과정(S230)에서 사용자가 응답을 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주파수의 볼륨업 정보를 저장한다(S270). 이는 볼륨업에 의해 해당 주파수의 난청이 해소된 것을 의미하므로 추후에 그 볼륨업 정보를 해당 주파수의 난청 보정 정보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 과정들(S210 내지 S270)은 도 3의 예에서 등록한 모든 1차 난청 주파수에 대하여 처리가 끝날 때까지(S280)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모든 1차 난청 주파수에 대하여 처리가 끝나면 제어부(150)는 볼륨업 테스트 결과 리포트를 작성(S290)한 후 볼륨업 테스트 과정을 종료한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에 예시된 볼륨업 테스트와 관련된 스마트폰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볼륨업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그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볼륨업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은 1차 난청 주파수를 볼륨업하면서 해당 주파수의 수직선상에 블록(B)을 표시함으로써 볼륨업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볼륨업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해당 스마트 폰은 그래프 중앙에 각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선(점선)을 표시하고, 그 선 아래에 흰색 마트(mark)가 표시된 주파수 대역의 경우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판단한다. 도 10의 예에서 상기 볼륨업 테스트 결과 해당 사용자는 1개의 주파수 대역(4KHz)에 대하여 난청 상태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볼륨업을 통해 2개의 주파수 대역(500Hz, 1KHz)에 대한 난청을 해소했음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층 테스트 과정(S300)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심층 테스트를 위해, 제어부(150)는 난청 주파수 저장부(180)로부터 심층 테스트 대상이 되는 주파수(도 4의 예에서, 2차 난청 주파수로 등록한 주파수)를 선택한 후(S310) 그 주파수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한다(S320). 즉, 해당주파수에 기준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만큼(예컨대, -10Hz, +10Hz) 그 주파수의 대역폭을 넓힌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 가운시안 분포 곡선특성에 맞도록 증폭 처리 출력한다. 단, 미리 설정하는 범위에 대해서는 그 범위값을 변경시킬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주파수 보정부(120) 및 오디오 출력부(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여부를 확인한다(S330). 만약, 응답이 없는 경우 제어부(150)는 주파수 변경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일련의 과정들(S320 내지 S350)을 반복 수행한다. 이 때 미리 설정된 횟수는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심층 테스트는 2차 난청 주파수로 등록된 각각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에 대하여 ‘2번’에 걸쳐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켜 가며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번’에 걸친 주파수 대역 변경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주파수를 3차 난청 주파수로 등록한다(S360). 또한 이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사용자의 난청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전문의와 상담할 것을 권유할 수 있다. 즉 알람이나 경고 메시지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난청 상태의 심각성을 알릴 수 있다.
만약 상기 과정(S330)에서 사용자가 응답을 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해당 주파수의 주파수 대역 변경 정보를 저장한다(S370). 이는 주파수 대역 변경에 의해 해당 주파수의 난청이 해소된 것을 의미하므로 추후에 그 주파수 대역 변경 정보를 해당 주파수의 난청 보정 정보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 과정들(S310 내지 S370)은 도 4의 예에서 등록한 모든 2차 난청 주파수에 대하여 처리가 끝날 때까지(S380)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모든 2차 난청 주파수에 대하여 처리가 끝나면 제어부(150)는 심층 테스트 결과 리포트를 작성(S390)한 후 심층 테스트 과정을 종료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5에 예시된 심층 테스트와 관련된 스마트폰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심층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그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심층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은 2차 난청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면서 해당 주파수의 수직선상에 주파수 대역 변경 상태(C)를 표시함으로써 주파수 대역 변경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2를 참조하면, 심층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해당 스마트 폰은 그래프 중앙에 각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선(점선)을 표시하고, 그 선 아래에 흰색 마트(mark)가 표시된 주파수 대역의 경우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판단한다. 도 12의 예에서 상기 심층 테스트 결과 해당 사용자는 1개의 주파수 대역(4KHz)에 대하여 여전히 난청 상태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주파수 대역 변경을 통해 난청을 해소한 주파수가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즉 사용자는 4KHz의 주파수에 대해서는 볼륨업을 통해서도, 주파수 대역 변경을 통해서도 난청이 해소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별 보정정보 생성 과정(S400)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별 보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샘플 사운드를 보정한다(S410).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도 4의 과정(S270)에서 저장한 볼륨업 정보 및 도 5의 과정(S370)에서 저장한 주파수 대역 변경 정보를 이용한다. 즉 볼륨업 테스트 및 심층 테스트를 거치면서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및 그 해소 요건(예컨대, 음량 크기, 주파수 대역 정보)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샘플 사운드를 보정한다.
보정된 샘플 사운드와 보정전 샘플 사운드에 대한 비교 체험을 위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그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보정된 샘플 사운드 또는 보정전 샘플 사운드를 출력한다(S420 내지 S440). 상기 비교 체험 과정은 사용자가 종료를 선택할 때까지(S450) 반복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보정된 사운드와 보정전 사운드를 비교 체험하고자 하는 경우 그에 대한 안내문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비교 체험 안내를 위한 화면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오디오 신호의 보정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비교 체험 과정을 거친 사용자가 보정 사운드를 선택하면(S460) 제어부는 상기 보정 정보를 보정정보 저장부(190)에 저장한다(S470). 이는 추후에 해당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오디오 감상을 할 경우 난청 보정을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난청 주파수 보정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문을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4의 화면 예에서 사용자가 ‘동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난청 보정 정보가 해당 사용자의 보정 정보로 등록되고, 추후 오디오 출력시 그 난청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주파수가 사전에 보정된 후 출력될 것이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청력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테스트용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1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제1 테스트 단계;
    상기 제1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된 주파수들 각각에 대하여 음량을 높여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2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제2 테스트 단계; 및
    상기 제2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된 주파수들 각각에 대하여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3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제3 테스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테스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단계는
    좌/우 각각 6개씩의 테스트용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테스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단계는
    음성 대역 및 사운드 대역 중 어느 대역에 대한 테스트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음성 대역 및 사운드 대역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설정된 테스트용 주파수들 중 상기 결정 결과에 대응되는 테스트용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테스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스트 단계는
    상기 제1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된 주파수들 각각에 대하여 음량을 다단계에 걸쳐 높여 가며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테스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테스트 단계는
    상기 제2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된 주파수들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만큼 주파수 대역을 넓혀가며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테스트 방법.
  6. 미리 설정된 테스트용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1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제1 테스트 단계;
    상기 제1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된 주파수들 각각에 대하여 음량을 높여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2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제2 테스트 단계;
    상기 제2 난청 주파수 대역으로 검출된 주파수들 각각에 대하여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켜 출력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여부에 의거하여 제3 난청 주파수 대역들을 검출하는 제3 테스트 단계;
    상기 제2 및 제3 테스트 단계에서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 및 난청 해소 요건을 난청 보정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난청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오디오 신호를 보정한 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청 보정 정보는
    상기 제2 테스트 단계에서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과 그 때의 음량 크기; 및
    상기 제3 테스트 단계에서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과 그 때의 주파수 대역 변경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오디오 신호 출력 단계는
    상기 난청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샘플 사운드를 보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된 샘플 사운드와 보정전 샘플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오디오 신호의 보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9. 테스트용 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
    상기 테스트용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상기 테스트용 주파수의 출력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의거하여 난청 주파수 대역을 판단하고 그 난청 주파수 대역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주파수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주파수를 보정한 후 상기 오디오 출력부로 출력하는 주파수 보정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보정에 의해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 및 그 난청 해소 요건을 전달받아 저장/관리하는 보정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청력 테스트 결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리포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리포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청 주파수 대역을 보정하기 위해 1차적으로 음량을 높여 출력하도록 하고, 2차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음성 대역 및 사운드 대역 중 어느 대역에 대한 테스트를 할 것인지를 결정한 후 서로 다르게 설정된 테스트용 주파수 중 상기 결정된 대역에 대응하는 테스트용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상기 주파수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정보 저장부는
    음량을 높여 출력함으로써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과 그 때의 음량 크기; 및
    주파수 대역을 변경시킴으로써 난청이 해소된 주파수 대역과 그 때의 주파수 대역 변경 정보를 난청 보정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
    상기 보정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난청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일반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청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보정된 샘플 사운드와 보정전 샘플 사운드를 생성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일반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테스트 및 난청 보정 서비스 장치.
KR1020120097734A 2012-09-04 2012-09-04 청력테스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442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734A KR101442022B1 (ko) 2012-09-04 2012-09-04 청력테스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734A KR101442022B1 (ko) 2012-09-04 2012-09-04 청력테스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940A true KR20140030940A (ko) 2014-03-12
KR101442022B1 KR101442022B1 (ko) 2014-09-25

Family

ID=5064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734A KR101442022B1 (ko) 2012-09-04 2012-09-04 청력테스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0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893B1 (ko) * 2019-05-29 2020-02-11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적증폭을 위한 보청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N110933581A (zh) * 2018-09-20 2020-03-27 奥迪康有限公司 听力损失等级计算
KR20220089043A (ko) * 2020-12-21 2022-06-28 (주)프로젝트레인보우 청지각능력 훈련 방법
WO2023085859A1 (ko) * 2020-11-11 2023-05-19 올리브유니온(주) 보청 이어폰을 이용한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5348Y2 (ja) * 1992-08-31 1997-11-19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簡易聴力検査機能を有するインピーダンスオージオメータ
KR100345371B1 (ko) * 1999-07-02 2002-07-26 심계원 인터넷을 이용한 청력검사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수록한 기록매체
KR100633122B1 (ko) * 2004-06-18 2006-10-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보청 기능 구현 방법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3581A (zh) * 2018-09-20 2020-03-27 奥迪康有限公司 听力损失等级计算
KR102069893B1 (ko) * 2019-05-29 2020-02-11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적증폭을 위한 보청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23085859A1 (ko) * 2020-11-11 2023-05-19 올리브유니온(주) 보청 이어폰을 이용한 청각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89043A (ko) * 2020-12-21 2022-06-28 (주)프로젝트레인보우 청지각능력 훈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022B1 (ko)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223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201502089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tting hearing aids, for training individuals in hearing with hearing aids and/or for diagnostic hearing tests of individuals wearing hearing aids
KR101442022B1 (ko) 청력테스트 결과에 따른 난청 보정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JP6633681B2 (ja) スマートヘッドフォン装置のパーソナライズ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20230502A1 (en) Hearing aid fitting device
US10008997B2 (en) Filter generator, filter generation method, and filter generation program
US20220201404A1 (en) Self-fit hearing instruments with self-reported measures of hearing loss and listening
KR101659410B1 (ko) 개인사용 스마트기기와 이어폰 조합의 사운드최적화 장치 및 방법
US201901414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audiometric test and calibrating a hearing aid
CN114071308A (zh) 耳机自适应调音方法、装置、耳机及可读存储介质
CN111466919A (zh) 一种听力检测方法及终端、存储介质
US20150194154A1 (en)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and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US9723417B2 (en) Apparatus for inputting audiogram using touch input
JP2017069762A (ja) 補聴器システム、補聴器及びプログラム
WO2021026126A1 (en) User interface for dynamically adjusting settings of hearing instruments
KR101051036B1 (ko) 사용자 개개인의 청력에 맞추어 오디오 기기의 음질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74599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204226B2 (en) Method for adjusting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n arrangement for adjusting a hearing device
CN114554379A (zh) 助听器验配方法、装置、充电盒和计算机可读介质
JP5289529B2 (ja) 電子機器、音響信号の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mford Considerations in real-ear measurement: Points to Ponder
JP5714076B2 (ja) 聴覚的顕著性評価装置、聴覚的顕著性評価方法、プログラム
CN111050261A (zh) 听力补偿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623677A (zh) 仿真听力校正的设备与仿真听力校正的方法
KR20120091698A (ko) 청력 검사 방법 및 그에 따른 청력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