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312A -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312A
KR20140030312A KR1020147001935A KR20147001935A KR20140030312A KR 20140030312 A KR20140030312 A KR 20140030312A KR 1020147001935 A KR1020147001935 A KR 1020147001935A KR 20147001935 A KR20147001935 A KR 20147001935A KR 20140030312 A KR20140030312 A KR 2014003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frequency
service data
timeslot
board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2933B1 (ko
Inventor
팅팅 겅
순칭 장
웨이 장
수궁 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먼저 분배하고;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채널 자원 블록이 모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면, 나머지 서비스 데이터를 타임슬롯의 순서에 따라 부 반송파 주파수에 분배하며,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서비스 데이터를 완전하게 분배하지 않으면, 이 단계를 건너뛰며; 서비스 데이터를 스케줄링한 후,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및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대해 에너지 절감 동작을 시작하여, 전력 증폭기의 정적 전력 소모를 종료할 수 있다. 방법 및 장치는 타임슬롯의 관점으로부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채널 자원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반송파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일부의 타임슬롯 내의 유휴 상태에 있게 될 확률을 높일 수 있고, 타임슬롯을 제어 입도로서 사용하여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에 대해 전력 턴오프 제어를 수행하며, 이에 의해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정적 전력 낭비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및 장치{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ARRIER FREQUENCY POWER AMPLIFIER RESOURCES}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년 이상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개발한 끝에, 네트워크상에서 수많은 장치가 운용되고 있고, 네트워크 규모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대규모 구성의 스테이션 유형의 비율이 더욱더 높아지고 있다. 기술개발과 함께, 다중반송파 기술이 이동통신의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및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ddress: WCDMA)에 폭넓게 적용되어 왔다.
종래의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요한 형태의 기지국 장치이며, 대체로 전력증폭기 유닛 및 무선 주파수 소형 신호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는데, 전력증폭기 유닛은 일반적으로 다중반송파 전력증폭기의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다중반송파 전력증폭기란 동일한 무선 시스템 또는 복수 형의 무선 시스템에서 복수의 반송파 주파수 대역을 지탱할 수 있는 전력증폭기를 말한다. 다중반송파 전력증폭기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포함한다: 에어 인터페이스 전송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복수의 반송파 간에 전력을 공유하게 되고; 전력증폭기의 최대 전송 전력의 한계 하에서, 일반적으로 말해, 반송파가 많아지면 각각의 반송파의 구성 가능한 최대 전송 전력이 낮아지며; 다중반송파 전력증폭기는 대체로 대역폭 전력증폭기의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는데, 즉 전력의 증폭을 큰 주파수 대역 상에서 실행할 수 있다.
다중반송파 전력증폭기에서, 전력증폭기 튜브는 안테나 공급기에 전력을 반송파 주파수로 해서 전송하는 주요 장치이며, 이 전력증폭기 튜브의 전력 소모는 정적 부분과 동적 부분을 포함한다. 전력증폭기의 비선형 특징의 한계로 인해, 전력을 전송하지 않더라도 이 전력증폭기에는 고정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전력증폭기는 선형 영역에서 동작하며 언제든 전력을 전송할 준비를 하고 있고, 이러한 전력 소모 부분을 정적 전력 소모라고 한다. 전력증폭기의 전력 소모는 전력 소모의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하는데, 즉 동적 전력 소모이다. 동적 전력 소모는 타임슬롯이 점유하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타임슬롯 상에 호출이 존재하면, 전력증폭기는 전력 전송을 수행해야 하고, 이때 정적 전력 소모와 관련해서 증가하는 부분이 동적 전력 소모이며, 반송파 주파수 출력 전력이 높을수록 동적 전력 소모도 높아지며; 호출이 존재하지 않으면, 전력증폭기의 동적 전력 소모는 0이며, 정적 전력 소모만이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7개의 타임슬롯에서 전력증폭기 튜브의 에너지 소모 상황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전력증폭기 튜브는 동작 상태의 타임슬롯에 있고, 에너지 소모는 동적 에너지 소모 및 정적 에너지 소모이고, 전력증폭기 튜브가 유휴 상태의 타임슬롯에 있을 때는, 전력증폭기 튜브는 여전히 정적 에너지 소모를 가지며, 즉 동적 전력 소모는 0이고, 전력증폭기가 턴오프 되어 정적 전력 소모를 종료하면, 전력증폭기의 전체 전력 소모는 0이다.
통신 시스템에서는, 구성된 반송파의 수에 따라, 전력증폭기는 단일반송파 전력증폭기 및 다중반송파 전력증폭기로 분류될 수 있다. 단일반송파 전력증폭기는 전력증폭기가 하나의 반송파로만 구성되고, 다중반송파 전력증폭기는 하나의 전력증폭기가 2 이상의 반송파로 구성된다. 통신 시스템을 복수의 다중반송파 전력증폭기로 구성되면, 일반적으로, 전력증폭기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및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로 분할되고;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의 자원 블록 중 일부는 시스템의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고, 나머지 자원 블록은 서비스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의 자원 블록은 단지 서비스를 송신하는 데만 사용된다.
종래의 전력증폭기의 전력 제어 메커니즘을 보면, 호출이 없는 (타임슬롯과 같은) 시간 주기에서, 즉 전력증폭기의 프로세싱 자원 모듈 또는 채널 자원이 유휴 상태에 있고 동적 전력 소모가 0일 때, 전력증폭기는 이 시간 주기에서 턴오프 되고, 턴오프 된 후의 전력증폭기의 동적 전력 소모와 정적 전력 소모 모두가 0이다.
그렇지만, 종래의 전력증폭기에서는 타임슬롯 턴오프의 전력 제어 기술이 단일반송파에만 적용 가능하고, 다중반송파 전력증폭기에 있어서는, 전력증폭기의 모든 반송파가 특정한 타임슬롯에서 유휴 상태에 있을 때만, 전력증폭기가 타임슬롯 턴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다중반송파 전력증폭기는 복수의 반송파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모든 반송파가 소정의 특정한 타임슬롯에서 유휴 상태에 있을 확률은 단일반송파 장치에 비해 매우 낮으며, 이로 인해 다중반송파 전력증폭기의 턴오프의 효율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에너지 절감의 목표를 달성하기 곤란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타임슬롯의 위도에서 전력증폭기 자원의 분배를 수행하여,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가 동일한 타임슬롯에서 유휴 상태에 있을 확률을 높이며, 이에 의해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턴오프 시간 길이를 증가시키고 에너지 절감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반송파 주파수(multi-carrier frequency)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주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working carrier frequency)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완료한 후,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 -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 주파수 모두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및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를 완료한 후, 유휴 타임슬롯 내의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휴 타임슬롯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는 타임슬롯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working carrier frequency)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분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데이터 분배 유닛 및 에너지 절감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분배 유닛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절감 제어 유닛은,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를 완료한 후, 유휴 타임슬롯 내의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휴 타임슬롯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은 타임슬롯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수 개의 섹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섹터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는 복수의 반송파 주파수를 지탱하고 데이터 신호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는,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기지국은 타임슬롯의 관점으로부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채널 자원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반송파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일부의 타임슬롯 내의 유휴 상태에 있게 될 확률을 높일 수 있고, 타임슬롯을 제어 입도(control granularity)로서 사용하여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에 대해 전력 턴오프 제어를 수행하며, 이에 의해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정적 전력 낭비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력증폭기 튜브의 에너지 소모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에서 다중반송파 주파수 채널 자원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 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 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 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 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를 적용하는 기지국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 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 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기지국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은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타임슬롯의 관점으로부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채널 자원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반송파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일부의 타임슬롯 내의 유휴 상태에 있게 될 확률을 높일 수 있고, 타임슬롯을 제어 입도로서 사용하여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에 대해 전력 턴오프 제어를 수행하며, 이에 의해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정적 전력 낭비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은 GSM, WCDMA, LTE 및 UMTS와 같은 2G 또는 3G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이에 따라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채널 자원 블록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다중반송파 주파수 채널 자원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C는 제어 시그널링을 나타내고, T는 서비스 데이터를 나타내며, 숫자 0-7은 타임슬롯의 순서를 나타낸다.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및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포함하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주 반송파 주파수가 위치하는 동작 반송파 주파수 보드이고,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 중 일부 또는 모두는 시스템의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은 반송파 주파수가 사용될 수 없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인데, 즉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이 타임슬롯에서 턴오프 될 수 없다. 주 반송파 주파수의 다른 타임슬롯 및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부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며,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반송파 주파수가 모두 유휴이면,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유휴 타임슬롯에서 턴오프 될 수 있으므로,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정적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비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반송파 주파수는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며, 비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 보드이다.
실시예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다중반송파 주파수(multi-carrier frequency)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working carrier frequency)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단계 102: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완료한 후,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며, 여기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계 103: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고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을 때의 타임슬롯 내에서, 반송파 주파수가 위치하는 동작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101에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primary carrier frequency board) 상에 있으면서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부 반송파 주파수(secondary carrier frequency)를 말한다.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이다. 타임슬롯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주 반송파 주파수는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므로, 타임슬롯에서, 모든 부 반송파 주파수조차도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지 않는) 유휴 상태에 있으며, 주 반송파 주파수는 턴오프 될 수 없다.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있어서,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는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므로, 모든 타임슬롯은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속하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 역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이다.
전술한 성능 분석 방법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에 있고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부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유효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적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이것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에서, 부 반송파 주파수가 타임슬롯에 있든지 간에 관계없이,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없기 때문이며, 그러므로 타임슬롯 내의 비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및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포함하는)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에서 모든 반송파 주파수를 유휴 상태로 가질 확률을 높일 수 있고, 이에 의해 타임슬롯 턴오프의 에너지 절감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102에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도면에서 원 안에 1로 표시된 단계에 대응함)를 완료한 후,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란,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 및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에 있으면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말한다.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 및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의 특정한 순서는,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분배하는 단계(도면에서 원 안에 2로 표시된 단계에 대응함)를 완료한 후,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도면에서 원 안에 3으로 표시된 단계에 대응함)이 될 수 있다.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프로세싱 능력이 서비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데 필요한 능력보다 크면, 즉 서비스 데이터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 자원을 점유하지 않으면,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시간 주기의 모든 타임슬롯에서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정적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한다.
또한, 단계 102에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타임슬롯의 위도에서 분배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3개의 반송파 주파수 및 8개의 타임슬롯(0-7)을 가진다.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할 때, 서비스 데이터는 제1 타임슬롯(예를 들어, 0)에 대응하는 3개의 반송파 주파수에 분배되고, 서비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1 타임슬롯이 포화된 후의 다음 타임슬롯에 분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 데이터가 모두 분배될 때까지 서비스가 분배된다.
단계 103에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고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는 타임슬롯에서, 반송파 주파수가 위치하는 동작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되는데, 즉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서, 특정한 타임슬롯 내의 반송파 주파수 보드(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및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포함함)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고 유휴 상태에 있으면, 반송파 주파수는 타임슬롯에서 턴오프 되어,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동작 상태에 있도록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정적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에서는, 타임슬롯의 관점으로부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채널 자원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반송파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일부의 타임슬롯 내의 유휴 상태에 있게 될 확률을 높일 수 있고, 타임슬롯을 제어 입도로서 사용하여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에 대해 전력 턴오프 제어를 수행하며, 이에 의해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정적 전력 낭비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며,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그리고
단계 202: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를 완료한 후, 유휴 타임슬롯 내의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며, 여기서 상기 유휴 타임슬롯이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은 타임슬롯을 말한다.
단계 201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특정한 단계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지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따라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될 수 있거나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의 2가지 상황이 있다.
첫 번째 상황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이며, 이 경우에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대해 에너지 절감 제어가 수행되지 않으며, 특정한 요건에 따라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201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특정한 단계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a: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주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다.
단계 302a: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주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완료한 후,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다.
실제의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의 시나리오에서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턴오프 될 수 없는데, 예를 들어, 커버리지를 확보하기 위해,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의 주 반송파 주파수는 총 전력으로 전송을 계속 수행해야 하거나,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의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은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턴오프 될 수 없고, 그러므로 무선 채널의 변경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와 기지국 간의 거리, 사용자의 실시간 채널 상태, 및 본 서비스의 서비스 요건의 품질(QoS)과 같은 인자에 따라, 반송파 주파수 채널 자원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단계 201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두 번째 상황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을 가지는 상황이다.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이란, 특정한 타임슬롯에서, 모든 반송파 주파수가 유휴 상태일 때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또는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을 말한다. 대조적으로,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이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면, 이 타임슬롯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다른 반송파 주파수가 유휴 상태인지에 관계없이, 턴오프 동작이 수행될 수 없으며, 타임슬롯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반송파 주파수 보드(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이다.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는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고, 이에 따라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을 갖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을 가질 때, 단계 201에서의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b: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다.
단계 302b: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완료한 후,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이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이고,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일부의 타임슬롯, 예를 들어, 처음 4개의 타임슬롯은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고,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4개의 타임슬롯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이다. 그러므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다른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분배되고, 이에 의해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다른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동작 반송파 주파수 채널이 유휴 상태에 있게 될 확률이 높아진다.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특정한 스케줄링 순서는, 제1 단계는 도 7의 원 안에 1로 표시된 단계에 대응하는 것이고, 여기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있고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며; 제2 단계는 도 7의 원 안에 2로 표시된 단계에 대응하는 것이고, 여기에서 나머지 서비스 데이터는, 타임슬롯의 순서에 따라, 반송파 주파수, 및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있고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다른 반송파 주파수에 분배되며; 그런 다음 도면의 원 안에 3으로 표시된 단계에 대응해서, 타임슬롯의 순서에 따라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의 나머지를 분배한다.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된 후, 이하의 상황이 존재한다: 첫 번째 상황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이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는 유휴 타임슬롯을 가지고 있으면,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유휴 타임슬롯에서 턴오프 되지 않으며, 즉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서비스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이 서비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데 필요한 능력보다 크고, 이 경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이 유휴 타임슬롯을 가지는 상황이 존재하며; 두 번째 상황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모든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면,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다른 타임슬롯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되며, 즉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부 반송파 주파수가고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서비스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이 서비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데 필요한 능력보다 크면,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모든 타임슬롯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될 수 있으며; 세 번째 상황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프로세싱 능력이 서비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데 필요한 능력보다 크면, 서비스 데이터는 전체적으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분배되고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턴오프 된다.
단계 201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가 완료된 후,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다.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부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에서는, 타임슬롯의 관점으로부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채널 자원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반송파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일부의 타임슬롯 내의 유휴 상태에 있게 될 확률을 높일 수 있고, 타임슬롯을 제어 입도로서 사용하여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에 대해 전력 턴오프 제어를 수행하며, 이에 의해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정적 전력 낭비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실시예 1에 대응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데이터 분배 유닛 및 에너지 절감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데이터 분배 유닛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에 있으면서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부 반송파 주파수가다.
상기 데이터 분배 유닛이,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 및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에 있으면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 및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이고,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이다.
상기 에너지 절감 제어 유닛은,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가 완료된 후,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고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은 타임슬롯 내에서, 반송파 주파수가 위치하는 동작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는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각각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이에 따라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지 않을 확률이 분명하게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 데이터 분배 방법에 따라 서비스 데이터 분배를 수행하면,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의 프로세싱 또는 부하 능력이 서비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데 필요한 능력보다 크는 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에서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지 않는 상황이 당연히 발생하며, 이에 의해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 턴오프의 에너지 절감 효율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실시예 4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는 실시예 2에 대응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데이터 분배 유닛 및 에너지 절감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데이터 분배 유닛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에너지 절감 제어 유닛은,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를 완료한 후, 유휴 타임슬롯 내의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유휴 타임슬롯이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은 타임슬롯을 말한다.
상기 데이터 분배 유닛이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 및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이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다른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이다.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를 완료한 후, 상기 데이터 분배 유닛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에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은 유휴 타임슬롯이 존재하면, 유휴 타임슬롯 내의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분배 유닛이,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모든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면,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다른 타임슬롯에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된다.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프로세싱 능력이 서비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데 필요한 능력보다 크면, 서비스 데이터는 전체적으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분배되고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턴오프 된다.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의 제1 데이터 분배 유닛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다른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먼저 분배하고,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다른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먼저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타임슬롯의 순서에 따라,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주 반송파 주파수 및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다른 반송파 주파수에 나머지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에너지 제어 절감 모듈은 먼저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각각의 타임슬롯을 횡단하고,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중 유휴 타임슬롯 내의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며; 그런 다음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각각의 타임슬롯을 횡단하고, 유휴 타임슬롯 내의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며, 이에 의해 전력증폭기 자원의 합리적인 분배를 통해 타임슬롯 턴오프의 에너지 절감 효율성을 높인다.
실시예 5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5는 기지국을 제공하며, 기지국은 수 개의 섹터를 포함하며, 각각의 섹터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를 포함하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는 복수의 반송파 주파수를 지탱하고 데이터 신호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는,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섹터의 수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이할 수 있으며, 쉽게 설명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의 섹터의 수는 3이다.
기지국 내에서 상이한 섹터에 있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는, 상이한 타임슬롯의 순서에 따라,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동작 반송파 주파수 자원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며, 예를 들어, 상이한 섹터의 유사한 서비스 데이터가 상이한 타임슬롯에서 송신되는 것으로 배열함으로써, 상호 간섭으로 인한 영향을 송신 품질에 주지 않도록 한다. 이 방법에서, 상이한 셀의 유사한 데이터 장치는 상이한 타임슬롯 내에서 프로세싱되며, 상이한 섹터에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의 채널 횡단 순서는 동적으로 그리고 무작위로 조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장 집중된 타임슬롯 수로 해서 섹터의 서비스를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섹터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전체적인 GSM 시스템의 간섭을 평균화하며, 네트워크 성능 및 에너지 절감에 대해 더 나은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원리 및 실행에 대해 도해하였으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방법 및 핵심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동시에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에 따른 특정한 실행 및 애플리케이션 범위에 대해 변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관점으로부터, 명세서의 내용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으로 파악해서는 안 된다.

Claims (28)

  1. 다중반송파 주파수(multi-carrier frequency)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working carrier frequency)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완료한 후,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primary carrier frequency board) 상에 있으면서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부 반송파 주파수(secondary carrier frequency)인,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secondary carrier frequency board)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 및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에 있으면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 및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완료한 후,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이며,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인,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가 완료된 후,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고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어떠한 서비스 데이터도 분배되지 않을 때의 타임슬롯 내에서,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위치하는 상기 동작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7.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 -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 주파수 모두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및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를 완료한 후, 유휴 타임슬롯 내의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유휴 타임슬롯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은 타임슬롯인,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완료한 후,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를 완료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이며,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다른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인,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프로세싱 능력이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데 필요한 능력보다 크면,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모두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분배되고,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턴오프 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를 완료한 후,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에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은 유휴 타임슬롯이 존재하면, 상기 유휴 타임슬롯 내에서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모든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면,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다른 타임슬롯에서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방법.
  13.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working carrier frequency)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 분배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에 있으면서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부 반송파 주파수인,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배 유닛이,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 및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 상에 있으면서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 및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이며,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인,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
  18.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가 완료된 후,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고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은 타임슬롯 내에서,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위치하는 상기 동작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너지 절감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
  19.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분배 유닛; 및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를 완료한 후, 유휴 타임슬롯 내의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휴 타임슬롯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은 타임슬롯인, 에너지 절감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배 유닛이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 및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타임슬롯 내의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이며,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주 반송파 주파수의 다른 타임슬롯은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인,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프로세싱 능력이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데 필요한 능력보다 크면, 상기 서비스 데이터는 모두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분배되고,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는 턴오프 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를 완료한 후, 상기 데이터 분배 유닛은,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에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은 유휴 타임슬롯이 존재하면, 상기 유휴 타임슬롯 내의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배 유닛이,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부 반송파 주파수에 모든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면,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될 수 있는 다른 타임슬롯에서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가 턴오프 되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에너지 절감 제어 장치.
  25. 수 개의 섹터를 포함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각각의 섹터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는 복수의 반송파 주파수를 지탱하고 데이터 신호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는,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없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지국.
  26. 제25항에 있어서,
    섹터가 상이한 상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는, 상이한 타임슬롯의 순서에 따라,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는 타임슬롯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기지국.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각각의 섹터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가 완료된 후, 반송파 주파수가 턴오프 될 수 있고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은 타임슬롯 내에서, 상기 반송파 주파수가 위치하는 상기 동작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에너지 절감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28. 수 개의 섹터를 포함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각각의 섹터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는 복수의 반송파 주파수를 지탱하고 데이터 신호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섹터는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장치는,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고, 상기 주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하나의 타임슬롯 내의 모든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 다른 타임슬롯 내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를 분배하는 과정; 및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분배를 완료한 후, 유휴 타임슬롯 내의 부 반송파 주파수 보드를 턴오프 하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유휴 타임슬롯은, 반송파 주파수 보드의 모든 반송파 주파수에 서비스 데이터가 분배되지 않은 타임슬롯인, 기지국.
KR1020147001935A 2011-07-13 2011-07-13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72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1/077104 WO2012159327A1 (zh) 2011-07-13 2011-07-13 多载频功放资源的控制方法以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312A true KR20140030312A (ko) 2014-03-11
KR101572933B1 KR101572933B1 (ko) 2015-11-30

Family

ID=4721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935A KR101572933B1 (ko) 2011-07-13 2011-07-13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016643A1 (ko)
EP (1) EP2665311B1 (ko)
KR (1) KR101572933B1 (ko)
CN (1) CN103339991B (ko)
BR (1) BR112014000761A2 (ko)
RU (1) RU2576390C2 (ko)
WO (1) WO2012159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3712B (zh) * 2013-12-24 2017-06-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载频配置的方法、装置及系统
TWI616016B (zh) * 2017-06-30 2018-02-21 廣隆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具玻璃態石墨碳極板之複合鉛碳蓄電池
CN114665915B (zh) * 2020-12-23 2023-04-07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射频通道管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CN112867130B (zh) * 2020-12-29 2023-02-28 京信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载波静默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411870B (zh) * 2021-06-15 2022-05-17 深圳国人无线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cpri协议的节能控制方法及基站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7696A (ja) * 1996-09-30 1998-04-24 Sanyo Electric Co Ltd マルチキャリア通信方法及び装置
US20040047309A1 (en) * 2002-09-09 2004-03-11 Kai Barnes Method and base station for power control in TDMA radio system
US7423992B2 (en) * 2003-04-16 2008-09-09 Sony Corporation Time slot and carrier frequency allocation in a network
CN103731924B (zh) * 2005-01-18 2017-03-01 夏普株式会社 发送装置以及接收装置
US8693407B2 (en) * 2006-09-11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keep-alive bits transmission
US8583137B2 (en) * 2008-05-16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overage adjustment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KR101642513B1 (ko) * 2008-09-05 201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480929B1 (ko) * 2010-02-12 2015-01-12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중 사이트 간의 데이터 분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5311B1 (en) 2015-09-09
CN103339991B (zh) 2016-08-10
RU2014105287A (ru) 2015-08-20
CN103339991A (zh) 2013-10-02
US20130016643A1 (en) 2013-01-17
BR112014000761A2 (pt) 2017-02-14
EP2665311A1 (en) 2013-11-20
EP2665311A4 (en) 2014-08-27
RU2576390C2 (ru) 2016-03-10
KR101572933B1 (ko) 2015-11-30
WO2012159327A1 (zh)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1276B2 (en) Method for power saving in a base station
US11601932B2 (en) Information sending and receiving methods and devices
US9717048B2 (en) Methods for generating network energy saving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702307B (zh) 用户设备状态配置的系统和方法
US20210152296A1 (en) Configuration for duplication transmission and duplic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JP2011120298A (ja) 無線通信局
CN112804739A (zh) 一种基站节能方法、装置、设备及系统、存储介质
US11452036B2 (en) Indication information sending method, ind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device
EP3220695B1 (en) Power amplifier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190100239A (ko)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572933B1 (ko)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및 장치
TW202019212A (zh) 使用者設備功耗特性和訊務自適應之方法及使用者設備
KR20120115352A (ko) 반송파 활성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30422166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conservation of base st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30064157A1 (en) Energy-saving base station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TW202021395A (zh) 功率設定檔自適應方法及使用者設備
Divya et al. An improved spectral efficiency of WiMAX using 802.16 G based technology
CN114270946B (zh) 功率控制方法、装置及设备
CN101946537A (zh) 一种下行信号的分扇区处理方法及基站
CN103945353A (zh) 信令发送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3781183B (zh) 一种下行资源的调度方法及装置
US105424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at a base station through dynamic configuration of antenna structures
RU243434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е
Liu Investigation on the baseband energy saving in LTE
JP572469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運用方法及び制御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