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346A -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346A
KR20140029346A KR1020130156951A KR20130156951A KR20140029346A KR 20140029346 A KR20140029346 A KR 20140029346A KR 1020130156951 A KR1020130156951 A KR 1020130156951A KR 20130156951 A KR20130156951 A KR 20130156951A KR 20140029346 A KR20140029346 A KR 20140029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liquid
ejector
hopper
vertic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0307B1 (ko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김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수 filed Critical 김덕수
Priority to KR1020130156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30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 B05B7/1431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comprising means for supplying an additional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81Spray pistol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 분말을 액체에 혼합하여 분사하는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1)상기 액체를 유입하여 고압으로 이송하는 고압 펌프와, (2)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 액체를 공급받는 이젝터와, (3) 상기 이젝터로 상기 황토 분말을 공급하는 호퍼와, (4)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이젝터로 황토 분말이 공급되는 도중(途中)에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의 액체를 공급하는 보조관과, (5)상기 이젝터에서 상기 황토 분말이 상기 액체에 혼합되어 생성된 황토 분말액체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Discharging System of Liquid Containing Powder}
본 발명은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황토 분말을 함유하는 물(또는 바닷물)을 분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다나 호소(湖沼, Lakes and Marshes)에 조류(藻類,algae; 녹조 및 갈조류 등)가 발생하게 되면 다량의 황토를 살포하여 조류를 제거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황토를 그대로 살포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살포 밀도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고 덩어리인 채로 살포되는 경우 또는 과다하게 살포되는 경우에 해저 생태계를 오히려 위협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곤 한다.
그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황토를 바닷물 또는 물에 혼합하여 적절한 밀도를 유지하게 하여 살포하는 기술이 사용된다. 2000년 4월 15일에 등록공고된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177414호에는, 믹서기통(33) 내에 황토와 바닷물(또는 물)을 넣고 회전 날개(35)를 회전시켜서 바닷물(또는 물)에 황토를 혼합시켜서 분사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믹서기통(교반기)은 그 크기가 거대하여 선박 등에 설치하기가 부담스러운 단점이 있으며, 황토를 물에 혼합하는 데에 시간도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반기를 사용하는 시스템보다 소형이면서도 황토가 골고루 섞이도록 하며, 유지 보수도 편리한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황토 분말을 액체에 혼합하여 분사하는 황토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1)상기 액체를 유입하여 고압으로 이송하는 고압 펌프와, (2)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 액체를 공급받는 이젝터와, (3)상기 이젝터로 상기 황토 분말을 공급하는 호퍼와, (4)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이젝터로 황토 분말이 공급되는 도중(途中)에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의 액체를 공급하는 보조관과, (5)상기 이젝터에서 상기 황토 분말이 상기 액체에 혼합되어 생성된 황토 분말액체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분사 장치는 (6)응집제가 저장되는 응집제 저장 탱크와, (7)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황토 분말과 상기 액체가 혼합되는 이젝터의 하류측과 상기 응집제 저장 탱크를 연결하여 응집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응집제 공급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호퍼 내부에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진동편; 및 상기 진동편 또는 상기 호퍼에 접촉하여 설치되고, 상기 진동편을 진동시키는 진동발생기를 포함하는 교반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호퍼와 상기 이젝터 사이에 구비되고, 볼밸브를 포함하는 수동조절밸브; 및 상기 호퍼와 상기 이젝터 사이에 상기 수동조절밸브와 인접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고압펌프, 상기 이젝터, 상기 호퍼, 상기 응집제 저장 탱크 및 상기 분사장치가 탑재되는 본선; 및 상기 본선의 저면에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로펠러를 구비하여, 분사된 분말 액체를 혼화시키는 자항(自航)식 종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상기 고압펌프, 상기 이젝터, 상기 호퍼, 상기 응집제 저장 탱크 및 상기 분사장치가 탑재되는 본선; 및 복수개의 플로터가 결합된 플로터 결합체와, 상기 플로터 결합체 저면에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로펠러를 구비한 플로터 종선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압펌프와 이젝터, 호퍼 및 응집제 저장 탱크가 탑재되는 본선; 및 상기 이젝터와 분말 액체 공급관으로 연결된 분사장치는 상기 자항식 종선 또는 상기 플로터 종선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자항식 종선 또는 상기 플로터 종선은 유입관을 통하여 상기 분사장치와 연결된 분말 액체 유입구와 공기의 흡입을 위한 공기 흡입공과 공기 흡입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벤츄리부를 갖는 포기(曝氣)형 벤츄리관; 및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혼화수단의 저면과 연결된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억지끼움되고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 패널; 상기 본체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 패널;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상부 패널을 탄성 지지하는 탄지 스프링; 및 상기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을 조여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분말(좀 더 구체적으로는 황토 분말)을 액체에 혼합하여 분사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므로, 분사 시스템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호퍼의 토출구를 분말이 막는 경우에도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의 도면 및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의 호퍼의 상면,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본선 및 혼화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의한 본선 및 혼화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의 제3실시예에 의한 본선 및 종선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의 혼화수단에 구비된 장착수단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펌프(10)와, 이젝터(20)와, 호퍼(30)와, 분사 장치(50)를 포함한다. 그리고 호퍼(30)로부터 이젝터(20)로 황토 분말이 공급되는 도중(途中)에, 고압 펌프(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보조관(65)과, 응집제(70)를 이젝터(20) 하류측에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관(75)을 포함한다.
고압 펌프(10)는 액체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200)를 고압으로 흡입하여 이젝터(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 "고압"은 어느 특정 압력 이상의 압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분사 시스템에서 액체를 이젝터(20)를 통과시켜서 호퍼(30)로부터 공급되는 황토 분말과 혼합하고, 이를 분사 장치(50)까지 공급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펌프의 작동 압력을 의미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인지 가능한 기계적 구성요소로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를 방해하지 않음이 명백하다.
액체 저장부(300)는 별도로 마련해도 무방하지만, 통상적으로는 바다나 호소(湖沼) 또는 강 등과 같은 자연 저장부를 의미한다. 액체(200)는 바닷물 내지 강물 등 이 사용될 수 있다. 고압 펌프(10)는 토출되는 액체의 압력이 흡입 액체의 압력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 특정 압력 범위로 제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젝터(20; Ejector)는 액체 혼합을 위한 기계 장치로서, A 방향으로 진입한 액체(200)는 이젝터(20) 내부의 노즐을 통과하면서 고속 유동을 하게 되고 그 때 이젝터(20) 내부의 혼합부 내의 압력이 떨어지며, 혼합부 내로는 호퍼(30)의 황토 분말(100)이 B 방향으로 공급되어 액체와 혼합되어 이젝터(20)를 나와 공급관(60)을 따라서 유동한다. 이젝터(20)내의 압력이 떨어져서 부압이 걸리므로 호퍼(30)의 황토 분말이 황토 분말 공급량 조절 장치(40; 후술함)를 거쳐서 용이하게 이젝터(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20)를 도 1의 하측 확대도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하측 확대도는 본 발명의 이젝터(20)를 나타낸 단면 확대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터(20)는 상기 액체 저장부(300)와 연결되어 고압 펌프(10)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4)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된 혼합부(22), 상기 유입구(24)와 연결되어 상기 혼합부(22)에 내장되는 공급노즐(21), 상기 혼합부(22)와 연결된 연결부(23) 및 이 연결부(23)로부터 분말 액체를 공급받아 배출하는 확산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이젝터(20)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액체의 속도와 압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호퍼(30)로부터 황토 분말(100)을 쉽게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이젝터의 공급노즐(21)은 전광후협, 즉 A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급노즐(21)을 통해 상기 액체가 혼합부(22) 안으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공급노즐(21)을 통과하는 액체는 갖고 있던 압력에너지를 속도에너지로 변환시켜 고속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부(22)내의 압력이 떨어져 매우 낮은 압력을 갖게 되고, 내부의 낮은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혼합부(22)와 연결된 공급관(41)(75)을 통하여 황토 분말 및 후술할 응집제가 공급된다.
공급노즐(21)을 통해 고속으로 분사되는 액체와 압력차로 인하여 공급되는 황토분말 및 응집제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혼합부(22)와 연결부(23)를 지나면서 에너지 전달 및 혼합이 이루어져 배출 압력까지 압축되고 확산부(25)를 통해 상기 분사장치와 연결된 분말 액체 공급관(55)으로 배출된다.
이는 베르누이 정리를 통한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황토 분말의 공급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상기 액체 저장부에서 유입된 액체와의 혼합 효율을 높이며, 분사장치에 분말 액체를 도달시키기 위한 배출 압력을 보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터에 연결되어 응집제(70)를 이젝터(20) 하류측에 공급하는 응집제 저장 탱크와 응집제 공급관(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집제(70)를 이젝터(20) 하류 측에 공급하는 응집제 저장 탱크가 제공되는데, 이젝터(20)에서 황토 분말과 혼합되어 토출되는 액체에 응집제를 공급함으로써 바다나 호소(湖沼)나 호수 등에 발생한 조류나 녹조 등의 조류의 침전시간을 단축하여 침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응집제(70)로는 삼구화학이 판매하는 제품명 HiBPAHCS2020 또는 HiBPAHCS250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호퍼(30)는 황토 분말(100)을 저장하는 저장고의 역할을 하는데, 호퍼(30)와 이젝터(20) 사이에는 분말 공급량 조절 장치(40)가 제공된다. 분말은 분말 공급량 조절 장치(40)가 규정하는 양만큼 B 방향으로 이젝터(20)의 혼합부 내로 공급된다. 상기 분말은 황토 분말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적용하는 응용례에 따라서 황토 이외에도 다른 형태의 분말을 망라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30)는 교반수단이 더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운 황토입자는 상호 협착성질을 가지고 있어, 호퍼 아래부분 버틀넥(buttle neck)에서 황토가 터널같이 윗부분만 공중부양(Leviation)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젝터(20)의 진공압에 의한 흡입력이 충분치 않아 황토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입자가 매우 고운 황토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호퍼(30)에 진동발생기(31)를 구비하고, 호퍼 내부, 즉 버틀넥과 인접한 내부에는 판 형상의 진동편(32)을 더 구비하여 황토 분말의 교반수단으로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30) 또는 진동편(32)에 접촉하여 설치되는 진동발생기(31)에 의하여 발생한 진동은 상기 호퍼(30) 전체에 진동을 발생시켜 1차적으로 황토 분말의 상호 협착을 방지하고, 상기 진동편(32)에 전달되는 진동은 2차적으로 상술한 공중부양된 황토의 균형상태를 깨트려서 이젝터로의 분말 공급을 순조롭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호퍼(30)는 상기 진동발생기와 연결되고 상기 호퍼의 버틀넥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진동봉(도면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봉 역시 상술한 진동편과 같이 교반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하여, 이젝터(20)로의 원활한 분말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20)에서 발생하는 관내 압력 손실이 상당하기 때문에 분사 장치(50)에서의 분사 압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황토 분말 공급량 조절 장치(40)를 제공함으로써 이젝터(20)의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이젝터(20) 용량의 감소로 인해 압력 손실 역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황토 분말 공급량 조절 장치(40)는 내부에 전동 기어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있어서 이 기어 장치의 구동으로 호퍼(30)의 황토 분말을 이젝터(20)로 공급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간당 공급되는 황토 분말의 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동 기어 장치를 이용하는 황토 분말 공급량 조절 장치(40) 대신에 수동 조절 밸브를 두어서 황토 분말 공급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 수동 조절 밸브의 경우 완전하게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즉, 호퍼(30)의 출구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분사 시스템의 작동 중지 시에 액체가 호퍼(30)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분말 공급량 조절 장치(40)는 상기 수동 조절 밸브와 함께 슬라이딩 밸브(42)를 더 구비하여 이중 공급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도 1의 상측 확대도 참조).
우선, 상기 수동 조절 밸브를 여러 가지 밸브 중에서 중간막음이 가장 적어 흐름효율이 가장 좋은 볼밸브(41)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밸브(41)의 구조 상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즉, 분말 흐름에 대하여 흐름량(공급량)을 조정하기 쉽지 않고, 볼밸브(41)의 밸브 위치가 중간상태인 경우 이젝터(20)에서 물이 조금만 역류하더라도 막힘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볼밸브(41) 상부에 별도의 슬라이딩 밸브(42)를 추가하여 분말 공급량을 정량적으로 관리해주고, 볼밸브(41)는 상기 호퍼(30)의 개폐 즉, ON/OFF 만을 담당하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밸브(41) 및 슬라이딩 밸브(42)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가 용이하게 수득 가능하고 그 구성은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자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호퍼(30)는 분리 경계부(35)에서 착탈 가능하게 이젝터(2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 경계부(35)는 황토 분말 공급량 조절 장치(40)와 호퍼(30) 사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황토 분말 공급량 조절 장치(40)와 이젝터(20) 사이에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호퍼(30)는 분리 경계부(35)에서 볼트-너트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되거나, 나사선 결합 등의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그러한 착탈 가능한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체결 방식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호퍼(30)를 분리 경계선(35)에서 착탈 가능하게 제공하면, 황토 분말 공급 과정에서 황토 분말이 호퍼(30)의 토출구를 막는 경우에 호퍼(30)를 분리시켜서 토출구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액체 공급원(60)에서 이젝터(20) 상류측과 호퍼로부터 이젝터(20)로 황토 분말이 공급되는 도중(途中)에 액체(200)를 공급하는 보조관(65)이 제공된다.
이 보조관(65)을 통해 액체(200)가 호퍼(30)와 이젝터(20) 사이에 공급되기 때문에 호퍼(30)과 이젝터(20) 사이에서 황토 분말(100)이 공급되다가 관로를 막아 버리는 클로깅(clogg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관(65)은 상술한 벤츄리 효과를 이용한 이젝터(20)를 통하여 황토 분말(100)의 클로깅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생략 가능하다.
이젝터(20)에서 황토 분말(100)과 혼합되어 토출된 황토 분말 액체는 공급관(55)을 따라서 분사 장치(5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황토 분말 액체라 함은 액체와 황토 분말이 혼합된 혼합물로서, 분말이 액체에 완전히 용해 또는 완전히 용해되지 않은 상태라도 액체와 함께 분말이 같이 분사되어 조류 제거가 가능한 정도의 혼합을 모두 포함한다.
분사 장치(50)에는 제어기(51)와 조작부(53)가 연결되는데, 조작부(53)를 통해 분사 속도, 방향, 분사량 등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조작 명령에 따라서 제어기(51)가 분사 장치(50)를 제어하여 황토 분말 액체를 원하는 대로 분사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황토를 수면 위에 살포할 경우, 황토의 비중이 물보다 높아서 수직으로 가라 앉아 바닥에 침전된다. 따라서 황토의 조류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황토분말이 가능한 수중에 체류하는 시간을 길게 하고, 혼화(혼합 및 섞임)를 일으켜 조류와 흡착이 잘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은 상술한 고압펌프(10), 호퍼(30), 이젝터(20) 및 분사장치(50) 등의 구성부분을 본선에 구비하고, 분사한 분말 액체(황토)의 혼화를 보조할 수 있는 별도의 혼화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분사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화수단은 복수개의 플로터(3A)를 결합하여 부유력을 확보하고 프로펠러(57) 등을 장착하여 자항(自航)이 가능한 플로터종선(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종선(3)은 복수개의 플로터(3A)가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서는 8개의 플로터가 상호 결합하여 정방형의 형태를 갖는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플로터종선(3)을 형성하는 플로터(3A)의 수와 형태는 본 명세서에 의하여 구속받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플로터종선(3)은 복수개의 플로터(3A)가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지므로 플로터(3A) 상호간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각각의 플로터를 강제 구속시킬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플로터 자체에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상호 결합되어 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터종선(3)은 자체 결합수단을 통하여 결합한 형태를 보여주는 실시예로서, 상기 플로터(3A)는 일측면에 수나사 역할을 하는 결합돌기(3a)와 타측면에 상기 결합돌기(3a)가 결합하는 결합홈(3b)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서 도시된 플로터종선(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실시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로터(3A) 상호간의 결합하여 고정되고 부유력을 확보할 수 있으면 그 형태를 구속받지 않는다. 또한 도 3에서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으로 구성되는 결합수단을 상기 플로터(3A)에 각각 하나씩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복수개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상기 플로터(3A)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플로터종선(3)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터종선(3)은 자항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분말 액체를 혼화시키기 위한 프로펠러(57)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터종선(3)의 저면에 구비되는 프로펠러(57)는 종래의 소형 선박과 달리 저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류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플로터종선(3)의 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프로펠러(57)를 통하여 깊은 수심에서 와류(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펠러(57)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는 표현은 와류를 통하여 분말 액체를 혼화시켜 조류 제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수심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분말 액체를 분사하는 해당 지역의 수심에 따라 그 깊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당업자라면 그 수심을 충분히 예측하여 상기 플로터종선(3)의 저면과 플로펠러 사이의 최적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로터종선(3)과 프로펠러(57)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펠러(57)는 플로터종선(3)의 저면과 수심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펠러(57)의 크기나 수에도 제한이 없으며, 이 또한 당업자가 분말 액체를 혼화시켜 조류 제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적당한 크기나 수를 정하여 상기 프로펠러(57)를 형성토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선에 탑재된 상기 분사장치(50)에 의하여 분사된 분말 액체는 수면에서 침전하여 조류 제거 작용을 일으키는데, 플로터종선(3)의 프로펠러(57)에 의하여 수중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통해 분말 액체가 분사 대상 지역(바다 또는 호소)의 해수 또는 담수 등과 혼화되어 수중 체류 시간이 증가함으로써 조류 제거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시스템은 제3실시예로써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화수단을 선박 형태의 자항식 종선(2)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선(2)은 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로 만들어지고, 길이가 1~2M 내외의 초소형 무인선박으로 프로펠러(57)를 통하여 이동방향과 속도를 조정한다.
상기 자항식 종선(2)은 상술한 플로터종선(3)과 같이, 프로펠러(57)를 저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술한 플로터종선(3)을 대체하여 분말 액체의 수중 체류 시간을 증가 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초소형 선박으로 구성되는 자항식 종선(2)을 구비함으로써, 혼화수단으로 종선의 조종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조류 제거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자항식 종선(2)은 상기 플로터종선(3)과 같이, 프로펠러(57)를 저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술한 종선을 대체하여 분말 액체의 수중 체류 시간을 증가 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자항식 종선(2)의 구성이나 기능은 상기 플로터종선(3)과 대동소이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한다.
상기 플로터종선(3) 및 자항식 종선(2)은 전원 및 조정용 전선(도면 미도시)을 본선 혹은 뭍으로 연결하여 조정하게 하고, 전선이 물에 뜰 수 있도록 플로터를 일정간격으로 전선에 부착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은 상기 플로터종선(3) 및 자항식 종선(2)에 상기 분사장치(50)를 탑재하여 조류 제거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은 상술한 고압펌프(10), 호퍼(30) 및 이젝터(20)(도1 참고)를 본선(1)에 탑재하고, 상기 분사 장치(50)를 플로터종선(3) 또는 종선(2)에 탑재시킬 수 있다. 도 5에서는 종선에 분사장치(50)를 구비한 제4실시예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플로터종선(3)의 플로터 결합부를 제외한 공간 즉, 플로터 결합을 통하여 부유력을 확보할 수 있는 상태에서, 플로터종선(3)의 한 개 또는 일부 플로터를 해제하여 형성되는 해제공간(3B)에 도 5에 도시된 상기 분사장치(50)를 탑재할 수 있다.
상술한 고압펌프(10), 호퍼(30), 및 이젝터(20) 등을 배에 탑재할 경우 최소한의 일정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본선은 그 크기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심이 얕거나 큰 본선이 접근할 수 없는 연안 등에서 조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터종선(3) 및 종선(2)에 탑재된 분사장치(50)를 통해 분말 액체를 분산시켜 본선의 접근이 어려운 대상 지역의 조류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분말 액체를 공중 살포하는 대신, 이젝터(20)로부터 상기 플로터종선(3)이나 자항식 종선(2)까지 직접 공급관(55)으로 연결하고, 분사장치(50)를 상기 플로터종선(3) 또는 종선(2)의 저면에 구비하여, 프로펠러(57) 앞부분에서 직접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상기 플로터종선(3) 또는 자항식 종선(2)에 탑재된 분사 장치(50)는 수중에 잠긴 포기(曝氣)형 벤츄리관(50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의 상측 단면도는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은 상술한 분말과 액체의 혼합물을 수중 분사하는데, 이때 분말 액체와 공기가 2차 혼합되어 조류 제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분말 액체와 공기의 혼합을 위하여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58)을 통하여 분사장치(50)와 연결된 분말 액체 유입구와, 공기의 흡입을 위한 공기 흡입공(52) 및 공기 흡입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벤츄리부(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흡입공(52)은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의 내부와 관통되어 연결된다. 상기 공기 흡입공(52)은 외부의 공기를 상기 벤츄리부(59)의 흡입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유입될 수도 있고,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강제로 공기를 유입 받을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공(52)에는 자연적으로 또는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에어튜브가 형성된다(도면미도시).
상기 흡입공(52)은 그 형성 방향이 상기 벤츄리부(59)의 중심을 향하지 아니하고 일측으로 편심된 방향을 향한다. 이는 흡입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벤츄리부(59)에서 자연스럽게 선회하여 상기 분말 액체와의 혼합이 더욱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흡입공(52)의 편심방향은 지구 자전에 따른 전향력의 영향을 받아 유입된 공기의 선회 운동이 보다 활발하도록 우측으로 편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공기와 분말 액체의 혼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은 증폭부재를 내장할 수 있다. 상기 증폭부재는 분말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나선형 모양의 나선부(도면 미도시)로 이루어짐으로써, 분말 액체 유입 시 와류(소용돌이)를 형성하게 한다. 상기 나선부는 전향력의 영향이 더해져 유입되는 분말 액체의 회전력을 높이도록 오른쪽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으로 유입된 분말 액체가 와류를 일으키면 상기 공기 흡입공(52)을 통해 외기가 보다 강력하게 흡입될 수 있고, 또한 벤츄리부(59)에 유입된 공기는 분말 액체와 보다 강력하게 부딪혀 잘게 부서져 혼합되고, 혼합된 공기는 와류에 의해 분말 액체 내에서 요동쳐 분말 액체와의 접촉면적(접촉횟수)를 늘려 혼합이 더욱 잘 이루어져 분말 액체 배출 후 조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리하여 공기 흡입공(52)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미립화되어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을 통과하는 분말 액체에 골고루 섞여, 보다 많은 양의 미립화된 공기가 분말 액체에 혼합되고, 분말 액체에 오랫동안 머물게 되어 분말 액체의 용존 산소량을 높여 분말 액체에 함유된 황토와 함께 조류 제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을 자항식 종선(2) 또는 플로토종선(3)의 프로펠러(57) 전면에 구비함으로써, 후방으로 분사되는 분말 액체가 프로펠러(57)에 의하여 분산되어 조류 제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1차적으로 나선형 증폭부재로 인하여 와류를 형성하며 분사되는 분말 액체는 2차적으로 상기 프로펠러(57)의 회전에 의하여 와류가 증폭하여 종선의 후방으로 뻗어나갈 수 있다.
초소형의 플로터종선(3) 또는 자항식 종선(2)을 이용함으로써, 연안이나, 큰 본선(1)이 접근할 수 없는 곳에 접근성을 높이고 포기형 벤츄리관(50A)과 프로펠러(57)의 회전으로 인하여 넓게 분산되는 분말 액체를 통해 조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하고 높은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포기형 벤츄리관(50A)과 상기 플로터종선(3) 또는 종선(2)과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장착수단(5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수단(54)은 플로터종선(3) 또는 종선(2)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과 결합된다.
상기 장착수단(54)은 상기 플로터종선(3) 또는 종선(2)의 저면과 연결된 본체(500)와 이 본체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과 결합하는 상부패널(555) 및 하부패널(5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종선(2)의 측단면도와 종선(2)의 하측에서 바라본 저면도 및 도 6에서 상기 종선(2)과 장착수단(54) 및 포기형 벤츄리관(50A)의 결합관계를 보다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는 종선(2)에 장착수단(54)을 구비하여 포기형 벤츄리관(50A)을 장착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종선(2)외에 상기 플로터종선(3) 또는 상기 혼화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모든 균등(均等)물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5에서는 상기 장착수단(54)을 통하여 양측에 포기형 벤츄리관(50A)을 두 개 장착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을 간편하게 탈착 가능하게 하고, 포기형 벤츄리관(50A) 장착 시 진동이 있는 상황에서도 볼트의 탈락, 분실 위험 없이 빠르고 정확하게 장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장착수단(54)을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장착수단은 본체(500)와, 상기 본체(500) 중간에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하부패널(530)과 상기 본체(500)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패널(555)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패널(530)과 상부패널(555)은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을 감싸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착수단(54)은 상기 본체(500)에 내장되며 상기 상부패널(555)을 탄성 지지하는 탄지스프링(590)과 상기 하부패널(530)과 상부패널(555)을 조여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패널(530)은 상기 본체(500)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며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의 본체(500) 외면의 약 반을 접촉하여 감싸도록 하부로 오목한 반원부(53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500) 내부에 배치되는 내측에는 슬릿 타입의 구속부(533)와 통공 형태를 갖는 너트부(535)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패널(555)은 일측이 상기 본체(500)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며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의 본체(500) 외면의 약 반을 접촉하여 감싸도록 상부로 오목한 오목부(551)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5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패널(530)과 고정볼트(570)로 체결되는 브라켓부(553)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부는 상부 누름부(554), 하부 피가압부(555),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하는 안내부(556)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누름부(554)에는 상기 고정볼트(570)가 관통 결합되는 나사공(55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570)의 헤드(571)에는 하부에 공회전부(573)와, 상기 공회전부(573) 하부에 구비되며 공회전부(573) 보다 나선 직경이 더 큰 나사부(575)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상부 누름부(554)의 나사공(557)에 고정볼트(570)의 나사부(575)가 완전히 결합하여, 하강하면 상기 고정볼트(570)는 공회전부(573)가 나사공(557)과 접하여 헛돌게 되고, 나사부(575)는 하부패널(530)의 너트부(535)에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결합 이후 상기 고정볼트(570)의 나사부(575)를 상기 하부패널(530)의 너트부(535)로부터 해제하여도, 상기 고정볼트(575)는 상기 상부패널(555)에 구비된 누름부(554)의 나사공(557)으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고정볼트(570)를 조임 또는 풀림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50A)을 상기 장착수단(54)으로부터 탈착할 때 고정볼트(57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브라켓부(553)의 안내부(556)는 상기 하부패널(530)의 구속부(533)에 결합되어 상부패널(555)의 승하강을 안내한다. 그리고 이 안내부(556)는 상부 누름부(554) 및 피가압부(555) 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본체(500)에 하부패널(530) 및 상부패널(555)을 조립시킨 이후에 상부패널(555)이 하부패널(530)에서 비의도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브라켓부(553)의 하부 피가압부(555)가 하부패널(530)에 걸려 상부 패널과 하부패널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브라켓부(553)의 피가압부(555) 하부면 중앙에는 프레스 가공 방식 등으로 형성되는 딤플(558)이 형성되는데, 상기 딤플(558)은 탄지스프링(590) 상단부에 결합되어 정확하게 탄지스프링(590)의 탄성이 전달된다.
상기 탄지스프링(590)의 비가압 상태에서의 길이는 설치 상태에서 본체(500)의 바닥에서 하부패널(530)의 하면까지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고정볼트(570)의 나사부(575)가 하부패널(530)의 너트부(535)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도 탄지스프링(590)은 브라켓부(553)의 피가압부(555)를 탄성 지지하여 피가압부(555) 상면이 하부패널(530)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탄지스프링(59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부패널(555)의 브라켓부(553) 이탈을 방지하여, 포기형 벤츄리관과 상기 플로터종선 또는 종선과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포기형 벤츄리관 교체 시 고정볼트 등이 이탈되지 않아 사용자가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은 연결호스와 종선(2)이 상호 상대적으로 원활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부분에 스위트 조인트를 부착하여 종선(2)의 조정성과 이동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종선(2)은 무선조종기를 더 구비하여 상술한 유선 조정 방식이 아닌 무선 조정 방식으로 유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분말 액체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호퍼(30)를 통해 이젝터(20)에 공급하는 혼합대상체를 황토 분말을 토대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분말은 황토뿐만 아니라 활성탄 등 호소에 발생한 조류 제거에 효과가 있는 모든 혼합대상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혼합대상체를 분말로 지칭해 액체와 혼합하여 분사함으로써 조류 제거 등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으나, 이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분말 형태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상기 황토 등의 분말 재료는 당업자의 선택, 또는 경우에 따라 분말이 아닌 겔(gel ; 마요네즈, 녹말 등과 같은 반고체상태의 재료)상태의 혼합대상체를 상기 호퍼(30)를 통해 상기 이젝터(20)에 공급하여 액체와 혼합 후 분사장치(50)를 이용하여 분사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류제거에 큰 효과를 갖는 유용미생물균 등은 겔 상태로 조성하여 액체와 혼합 후 분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겔 상태의 유용미생물균 등과 분말 형태의 황토 등을 1차 혼합하거나 황토 등에 유용미생물균을 배양한 후 겔 상태로 상기 호퍼(30)를 통해 상기 이젝터(20)에 공급하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겔 상태의 혼합대상체를 사용할 경우 혼합대상체의 특성에 따라 이젝터에 혼합대상체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상기 흡입조절장치(40) 또는 상기 호퍼(30)에 밸브 형식이 아닌 스크류식 주입장치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겔 또는 겔과 혼합된 혼합대상체뿐만 아니라 자중에 의하거나 또는 상기 이젝터의 벤츄리 효과에 의해서도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종류의 여러 형태의 재료를 본 발명의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분사할 수 있으므로, 상기 호퍼에는 상술한 스크류식 주입장치 뿐만 아니라, 분사 재료(즉 혼합대상체)에 따라 당업자가 선택하여 강제 주입 또는 공급이 가능한 종래의 공급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 : 본선 2 : 자항식 종선
10 : 고압 펌프 20 : 이젝터
21 : 공급노즐 22 : 혼합부
23 : 증압부
30 : 호퍼 31 : 진동발생장치
40 : 분말 공급량 조절 장치
41 : 볼밸브 42 : 슬라이딩밸브
50 : 분사장치 50A : 포기형 벤츄리관
54 : 장착수단
70 : 응집제
100 : 분말 200 : 액체
300 : 액체 저장부

Claims (9)

  1. 분말을 액체에 혼합하여 분사하는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유입하여 고압으로 이송하는 고압 펌프;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 액체를 공급받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로 상기 분말을 공급하는 호퍼;
    상기 이젝터에서 상기 분말이 상기 액체에 혼합되어 생성된 분말 액체를 공급받이 분사하는 분사 장치; 및
    상기 호퍼에 접촉하여 설치되고, 상기 진동편을 진동시키는 진동발생기
    를 포함하는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응집제가 저장되는 응집제 저장 탱크; 및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황토 분말과 상기 액체가 혼합되는 이젝터의 하류측과 상기 응집제 저장 탱크를 연결하여 응집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응집제 공급관
    을 더 포함하는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내부에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진동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발생기는 상기 진동편에 접촉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와 상기 이젝터 사이에 구비되고, 볼밸브를 포함하는 수동조절밸브; 및
    상기 호퍼와 상기 이젝터 사이에 상기 수동조절밸브와 인접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 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펌프, 상기 이젝터, 상기 호퍼, 상기 응집제 저장 탱크 및 상기 분사장치가 탑재되는 본선; 및
    상기 본선의 저면에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로펠러를 구비하여, 분사된 분말 액체를 혼화시키는 자항(自航)식 종선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펌프, 상기 이젝터, 상기 호퍼, 상기 응집제 저장 탱크 및 상기 분사장치가 탑재되는 본선; 및
    복수개의 플로터가 결합된 플로터 결합체와, 상기 플로터 결합체 저면에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로펠러를 구비한 플로터 종선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펌프와 이젝터, 호퍼 및 응집제 저장 탱크가 탑재되는 본선; 및
    상기 이젝터와 분말 액체 공급관으로 연결된 분사장치는 상기 자항식 종선 또는 상기 플로터 종선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항식 종선 또는 상기 플로터 종선은
    유입관을 통하여 상기 분사장치와 연결된 분말 액체 유입구와 공기의 흡입을 위한 공기 흡입공과 공기 흡입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벤츄리부를 갖는 포기(曝氣)형 벤츄리관; 및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혼화수단의 저면과 연결된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억지끼움되고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 패널;
    상기 본체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 패널;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상부 패널을 탄성 지지하는 탄지 스프링; 및
    상기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을 조여 상기 포기형 벤츄리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KR1020130156951A 2013-12-17 2013-12-17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KR101460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951A KR101460307B1 (ko) 2013-12-17 2013-12-17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951A KR101460307B1 (ko) 2013-12-17 2013-12-17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671A Division KR20130073805A (ko) 2011-12-23 2012-08-30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346A true KR20140029346A (ko) 2014-03-10
KR101460307B1 KR101460307B1 (ko) 2014-11-13

Family

ID=5064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951A KR101460307B1 (ko) 2013-12-17 2013-12-17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093B1 (ko) * 2014-04-28 2014-12-04 주식회사 동국알앤에스 구상 세라믹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17B1 (ko) * 2021-04-23 2022-03-18 (주)한신테크 분말형 응집제 이송장치 및 이송용 이젝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427B1 (ko) * 1999-10-15 2001-06-01 주대성 조류 및 부유물질 제거 장치
KR20040057094A (ko) * 2002-12-24 2004-07-02 주식회사 로템 분말용해 시스템
KR100781994B1 (ko) * 2006-10-27 2007-12-06 김영량 금속소재 부품의 도료 코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093B1 (ko) * 2014-04-28 2014-12-04 주식회사 동국알앤에스 구상 세라믹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307B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2286B2 (ja) 微細気泡発生器及びそれを備えた微細気泡発生装置
EP3130395B1 (en) Loop flow bubble-generating nozzle
US8939436B2 (en) Microbubble-generating apparatus
CN202490711U (zh) 旋流型文丘里射流曝气喷嘴
KR101484663B1 (ko) 액체저장탱크의 슬러지 침전방지, 교반 및 미세폭기 장치
KR101235366B1 (ko) 극미세 버블 함유 농업용수의 공급장치
US11103838B2 (en) Jet injection device
JP7042484B2 (ja) 餌放出機
KR101460307B1 (ko)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CN201981065U (zh) 微纳米射流曝气机
JP2016107169A (ja) 自走式水質浄化装置
CN106458289A (zh) 使用空气润滑系统以减少船舶上的船底附生物
KR20130073805A (ko) 분말 액체 분사 시스템
CN202492409U (zh) 一种文丘里式辐射状射流曝气器
WO2008068828A1 (ja) アスピレータおよび混合装置および混合方法
JP2009254951A (ja) 外気導入機能を有した微細泡発生装置
US20210185952A1 (en) Hydroponic nutrient solution aeration device
JP2002166151A (ja) 微細気泡供給方法および微細気泡供給装置
KR101544414B1 (ko) 수중과 대기에서 사용이 가능한 기포 공급장치 및 기포 공급방법
CN102107952A (zh) 水底水平流造流增氧装置
KR200486839Y1 (ko) 양어장용 산소 공급장치
KR101000779B1 (ko) 산소수 발생장치
CN102388788A (zh) 地下滴灌系统注气装置
WO2002002216A1 (fr) Procede et dispositif d'alimentation de petites bulles
JPH0463121A (ja) 粉体と水との混和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