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627A -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 - Google Patents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627A
KR20140028627A KR1020120095242A KR20120095242A KR20140028627A KR 20140028627 A KR20140028627 A KR 20140028627A KR 1020120095242 A KR1020120095242 A KR 1020120095242A KR 20120095242 A KR20120095242 A KR 20120095242A KR 20140028627 A KR20140028627 A KR 20140028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command
tcs
server
administra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2988B1 (ko
Inventor
박인혁
한상길
곽범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9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9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셋탑 박스가 제공되며, TCS(Television Control System)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TCS 통신부, 셋탑 박스와 연결된 TV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TV 통신부, 및 TCS 서버로부터 TV의 전원 제어 명령을 받으면, TV의 전원을 제어하는 명령 실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SET TOP BOX, TELEVISION CONTROL SYSTEM SERVER AND TELEVIS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CU(Television Control Unit)의 하드웨어를 셋탑 박스의 소프트웨어로 변경하여 TCU 없이 셋탑 박스만으로도 TV의 제어가 가능한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에 관한 것이다.
TCU(Television Control Unit)란 TV의 리모컨을 이용하지 않고도, 일정 집단의 TV 설비를 원격으로 통합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내 방송, 학교 방송 등을 방송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에 모든 TV 설비를 켜거나 끄는 등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리모컨과는 다르다.
최근에는, 이러한 TCU를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2-0054400호에는 IP 망을 통해 방송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전원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셋탑 박스의 전원상태를 파악한 후, 전원 제어 명령으로 인해 온/오프 상태가 토글(Toggle)되지 않을 수 있는 서비스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셋탑 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TCU는 셋탑 박스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기기로서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즉, TCU가 설치되는 사내 방송, 전국 지점의 방송, 학교 방송 등의 목적의 특성상 적어도 수백대가 각 TV마다 셋탑 박스와 연계되어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셋탑 박스의 설치비 및 유지비와 더불어 TCU의 설치비 및 유지비까지 이중으로 소요되므로, 설치 및 구현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의 전원이 켜졌다고 하더라도, TV의 전원은 별도의 리모컨으로 켜야 하므로 방송을 보지 못하고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TV를 끌 때에도 마찬가지로 리모컨을 이용해야 하므로, 방송이 끝난 후에도 계속적으로 TV가 켜져 있으면 에너지가 낭비될 수 있다.
TCU라는 하드웨어를 제거하고 셋탑 박스에 TCU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대체함으로써, 적어도 수백대가 설치되는 TCU의 설치비 및 유지비와 TCU를 구동함으로 인한 에너지까지 절약할 수 있는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의 전원 제어 명령으로 TV의 전원까지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개별적으로 리모컨을 이용하여 TV를 켜거나 끄지 않고도 방송 등을 제시간에 시청할 수 있으며, 방송이 끝나면 셋탑 박스의 전원과 함께 TV도 함께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그린 환경 조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 또는 TV를 실시간으로 또는 스케줄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긴급한 메세지는 실시간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방송 일정은 스케줄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TV가 수신하고 있는 컨텐츠의 종류 및 TV의 온/오프 시간을 관리자에게 리포팅(Reporting)함으로써, 에너지 낭비 지점을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CS(Television Control System)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TCS 통신부, 셋탑 박스와 연결된 TV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TV 통신부, 및 TCS 서버로부터 상기 TV의 전원 제어 명령을 받으면, TV의 전원을 제어하는 명령 실행부를 포함하는 셋탑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셋탑 박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셋탑 박스 통신부, 관리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및 관리자 단말로부터 셋탑 박스와 연결된 TV의 전원 제어 명령을 받으면, 셋탑 박스로 TV의 전원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명령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인, TCS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셋탑 박스 또는 TV를 실시간으로 또는 스케줄에 따라 자동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 관리자 단말의 입력으로 셋탑 박스를 제어하고, 셋탑 박스로부터 입력되는 TV 및 셋탑 박스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는 TCS 서버, 및 TCS 서버를 통해 입력되는 관리자 단말의 제어에 따라 TV를 제어하는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TCS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TCU라는 하드웨어를 제거하고 셋탑 박스에 TCU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대체함으로써, 적어도 수백대가 설치되는 TCU의 설치비 및 유지비와 TCU를 구동함으로 인한 에너지까지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셋탑 박스의 전원 제어 명령으로 TV의 전원까지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개별적으로 리모컨을 이용하여 TV를 켜거나 끄지 않고도 방송 등을 제시간에 시청할 수 있으며, 방송이 끝나면 셋탑 박스의 전원과 함께 TV도 함께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그린 환경 조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셋탑 박스 또는 TV를 실시간으로 또는 스케줄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긴급한 메세지는 실시간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방송 일정은 스케줄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TV가 수신하고 있는 컨텐츠의 종류 및 TV의 온/오프 시간을 관리자에게 리포팅(Reporting)함으로써, 에너지 낭비 지점을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CS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CS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셋탑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TCS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TCS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TV가 모바일 단말과 PC로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셋탑 박스의 부팅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CS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TCS(Television Control System, 1)는 관리자 단말(100), TCS 서버(300), 셋탑 박스(400), TV(500)를 포함한다. 이때, TCS(1)를 구성하는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TCS 서버(300)와 셋탑 박스(400)에 연결된다. 또한, TCS 서버(300)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100)과 셋탑 박스(4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된다. 네트워크(2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관리자 단말(100), TCS 서버(300), 셋탑 박스(400), TV(5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플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기업, 학교, 병원, 공공기관, 공항, 철도, 지하철, 은행 등의 방송국 운영자일 수 있고, 관리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셋탑 박스(400) 및 TV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00)은 관리자가 셋탑 박스(400)의 그룹인 클라이언트 그룹을 관리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이며, 그룹 관리, 스케줄 관리, 명령 관리 등의 명령 수행과 관련된 부분과 각종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관리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명령 수행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그룹의 개별 TV(500)에 대한 위치, 이름, 기능, 역할, 및 기타 관리가 필요한 각종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케줄에 따라 자동으로 명령이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즉각적인 명령어 수행도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메세지 전송을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클라이언트 그룹에 긴급 공지할 내용을 전달하고, 메세지 수신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관리 부분에서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그룹의 TV(500)에서 시청된 컨텐츠의 종류나 시청 시간 등, TV(500)의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통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CS 서버(300)는 예를 들어, 플랫폼에 구축된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TCS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10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셋탑 박스(400)로 출력하며, 셋탑 박스(400)의 피드백을 다시 관리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TCS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셋탑 박스(400)에 TCU(Television Control Unit) 기능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셋탑 박스(400)는 1 개의 관리자 단말(100) 당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셋탑 박스(400)는 예를 들어, 각 지역별, 부서별 등의 기준에 의하여 그룹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은행에 셋탑 박스(400)가 설치되는 경우, 전국에 위치한 모든 A 은행 지점마다 설치될 수 있고, 이때 관리자 단말(100) 1 개당 수백 내지 수천 개의 셋탑 박스(400)가 연결될 수 있다.
TV(500)는 셋탑 박스(400)에 1:1 내지 1:N으로 매칭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TCS 서버(300)의 제어 명령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셋탑 박스(400)로 전달되면, 셋탑 박스(400)는 TV(500)를 제어하게 되고, TV(5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 피드백 데이터는 셋탑 박스(400)을 통하여 TCS 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CS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TCS 서버(300)는 셋탑 박스 통신부(310), 단말 통신부(330), 명령 전달부(350) 및 데이터베이스(370)를 포함할 수 있다.
TCS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셋탑 박스(400)에 TCU 기능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프라는 통신사에 사내 방송을 위한 TV(500)가 전국적으로 2만대 설치되고, TCU와 셋탑 박스(400)가 같이 설치되었다고 가정하면, 초기 설비 비용은 TCU 1 대당 가격인 25만원 * 20000대 = 5,000,000,000원, 즉 50억이 초기 투자 비용으로 투입되고, 1 달에 TCU 한 대당 관리비는 5천원이므로, 매달 5천원 * 20000대 = 100,000,000원, 즉 1 억원의 유지료가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CS 서버(300)는 이러한 기존의 TCU를 제거하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셋탑 박스(400)로 데이터를 송신하여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초기 설치 비용도 전혀 들지 않게 된다.
셋탑 박스 통신부(310)는 셋탑 박스(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셋탑 박스 통신부(310)는 셋탑 박스(400)와 TCS 서버(30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셋탑 박스(4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셋탑 박스 통신부(310)는 TCP/UDP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셋탑 박스 통신부(310)는 TCS 서버(300)의 명령을 클라이언트인 셋탑 박스(400)로 전달함과 동시에, 수행된 결과를 피드백 받거나, 클라이언트의 상태인 셋탑 박스(400)의 상태 정보 또는 TV(500)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셋탑 박스 통신부(310)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명령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TCP 방식으로 통신을 할 수 있고, 짧은 시간에 대량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UDP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TV(500)의 상태 정보는 TV(500)에서 어떠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지, TV(500)가 켜져 있는지 또는 꺼져 있는지의 여부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셋탑 박스(400)의 상태 정보는 업데이트가 된 정도는 얼마인지, 스케줄 정보는 제대로 실행하고 있는지, 메세지나 컨텐츠는 제대로 디스플레이하고 있는지, 고장나지는 않았는지의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단말 통신부(330)는 관리자 단말(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330)는 관리자 단말(100)에서 입력된 스케줄 정보나 실시간으로 전달해야 할 메세지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셋탑 박스(400)로부터 전달된 셋탑 박스(400) 또는 TV(500)의 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통신부(330)는 TCS 서버(300)에서 셋탑 박스(400) 또는 TV(500)의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때의 연결 통로가 될 수 있다.
명령 전달부(350)는 관리자 단말(100)로부터 셋탑 박스(400)와 연결된 TV(500)의 전원 제어 명령을 받으면, 셋탑 박스(400)로 TV(500)의 전원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명령 전달부(350)는 관리자 단말(100)로부터 셋탑 박스(400)의 전원 제어 명령을 받으면, 셋탑 박스(400)로 셋탑 박스(400) 및 TV(500)의 전원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셋탑 박스(400)는 온(ON) 상태이고, TV(500)는 오프(OFF) 상태이고, 전원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경우, TV(500) 만을 온(ON) 시킬 수도 있고, 셋탑 박스(400)와 TV(500) 모두 오프 상태인 경우, 셋탑 박스(400)를 켜는 신호가 입력되면 TV(500)를 리모컨 등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TV(500)는 셋탑 박스(400)와 함께 켜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레라는 전화국에 사내 방송을 위한 TV(500)가 전국적으로 2만대 설치되고, 방송이 끝난 후에도 1시간 동안 계속 켜져있는 경우, 0.25KWh * 20000대 * 643.90원/KWh = 3,219,500원이라는 지출이 발생하며, 1 년으로 계산하였을 때, 2,044,382,500원, 즉 약 20억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은 1,825,000KWh 가 낭비되므로, 엄청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TCS 서버(300)의 명령 전달부(350)를 통하여 셋탑 박스(400)는 물론 TV(500)까지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TV(500)가 계속 켜져있음으로 인해 낭비될 수 있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명령 전달부(350)는 24 시간 동작하면서 데이터베이스(370)의 내용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클라이언트인 셋탑 박스(400)에 정해진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다수의 클라이언트 그룹인 셋탑 박스(400) 그룹에게 단시간에 효율적인 명령 전달을 위해 멀티 스레드(Multi-Thread) 형태로 다수의 배치(Batch)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400)가 복수개 구비되고, 셋탑 박스(400)가 그룹별로 TCS 서버(300)에서 관리된다고 하면, 명령 전달부(350)는 관리자 단말(100)로부터 셋탑 박스(400)로 전달되는 명령을 멀티 스레드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70)는 셋탑 박스(400)의 단말 정보 및 셋탑 박스(400)의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400)가 켜져 있는지 꺼져 있는지의 여부, TV(500)에서는 어떠한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지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명령 전달부(350)로부터 셋탑 박스(400)로 전달된 명령에 대한 피드백도 저장할 수 있어 고장 여부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70)는 관리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 정보는 예를 들어, 몇 시부터 몇 시까지는 A 라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그 다음에는 B 라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과 같이 방송 일정에 따라 미리 정해놓은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송실 직원이 사내 아침 방송을 송신하기 위하여 일찍 출근할 필요도 없고, 다른 업무를 동시에 병행할 수 있으므로 인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70)는 클라이언트인 셋탑 박스(400)의 그룹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스케줄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명령 및 시간이 관리하며, 클라이언트 그룹의 현재 상태와 상태 통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클라이언트 그룹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셋탑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셋탑 박스(400)는 TCS 통신부(410), TV 통신부(430), 명령 실행부(450) 및 상태 전달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셋탑 박스(400)는 TCU의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초기에 TCS 통신부(410)를 통하여 프로그래밍이 실시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래밍된 파일은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일 수 있고, 해당 프로그램이 동작하면서 TCS 서버(300)에서 전달된 명령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셋탑 박스(400)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벤트, 예를 들어, TV(500)의 온/오프, 컨텐츠 변경 등의 이벤트를 TCP/UDP 방식을 병행하고, TCS 서버(300)로 TCS 통신부(41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TCS 통신부(410)는 TCS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TCP/IP 통신 방식인 TCP/UDP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TCS 통신부(410)는 TCS 서버(300)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수신하고, 셋탑 박스(400) 내에서 입력된 명령이 제대로 처리가 되었는지의 여부와 셋탑 박스(400)의 상태 정보 및 TV(500)의 상태 정보를 TCS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TV 통신부(430)는 셋탑 박스(400)와 연결된 TV(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TV 통신부(430)는 HDMI(High Definition Mutlimedia Interface)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HDMI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여러가지 복잡한 케이블을 셋탑 박스(400)와 TV(500) 간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1 가지의 선으로 더욱 더 선명한 화질과 좋은 음질을 구현할 수 있다.
명령 실행부(450)는 TCS 서버(300)로부터 TV(500)의 전원 제어 명령을 받으면, TV(50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명령 실행부(450)는 TCS 서버(300)로부터 셋탑 박스(400)의 전원 제어 명령을 받으면, 셋탑 박스(400) 및 TV(50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명령 실행부(450)는 TCS 서버(300)로부터 메세지 디스플레이 명령을 받으면, TV(500)에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메세지 수신 현황 등을 피드백으로 TCS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실시간 또는 스케줄에 따라 송수신될 수 있다. 또한, 명령 실행부(450)는 TCS 서버(300)로부터 스케줄에 따른 컨텐츠 디스플레이 명령을 받으면, TV(500)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셋탑 박스(400)는 TV(500)의 온/오프 명령을 전달받고, TV(500)가 오프/온 상태이면 명령을 실행하고, TV(500)가 온/오프 상태이면 명령을 무효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500)가 켜져 있는데, 다시 켜라는 명령을 받은 경우, 명령을 무효화할 수 있고, TV(500)가 꺼져 있는데, 켜라는 명령을 받은 경우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명령 실행부(450)의 입력과 리모컨의 입력은 그 순위를 동등하게 두어, 마지막 입력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중요한 메세지나 방송의 경우에는 명령 실행부(450)의 입력을 리모컨의 입력보다 우선하게 설정하여, 중요한 메세지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도중에는 리모컨을 조작하더라도 해당 리모컨의 입력은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태 전달부(470)는 TV(500) 및 셋탑 박스(400)의 상태를 TCS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셋탑 박스(400)는 셋탑 박스(400) 자체의 진단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증상이 발생한 경우, TCS 서버(300)로 전송하여 조속한 조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TCS 서버(300)에서는 TV(500) 및 셋탑 박스(400)의 상태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관리자 단말(100)로 해당 상태를 전달함으로써, 고장이 발생된 지점을 신속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TCS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본원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TCS 서버(300)는 셋탑 박스(400)로 TCU의 기능을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프로그래밍하면서 초기화한다(S4000).
관리자 단말(100)은 TCU 기능이 프로그래밍된 셋탑 박스(400)의 정보와 해당 셋탑 박스(400)를 설치한 고객의 정보를 입력한다(S4100). 이때, 관리자 단말(100)은 셋탑 박스(400)가 복수개인 경우, 예를 들면, 지역별, 거점별, 부서별 등으로 나누어 그룹화한다(S4100).
관리자 단말(100)에 입력된 데이터들은 TCS 서버(300)로 전달되는 정보 업데이트가 실시된다(S4210). TCS 서버(300)는 고객 정보와 셋탑 박스(400)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4210).
관리자 단말(100)은 실시간으로 각 셋탑 박스(400)에 연결된 TV(500)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컨텐츠나 메세지, 또는 스케줄에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을 입력받는데(S4400), 이 역시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정보가 업데이트된다(S4410).
TCS 서버(300)는 실시간으로 전달해야 하는 명령은 즉시 전송하고, 스케줄에 따라 실시되어야 할 명령은 스케줄에 맞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4420). 이에 따라, 셋탑 박스(400)는 전송된 명령에 따라 셋탑 박스(400) 자체 또는 TV(500)까지도 제어할 수 있다(S4500).
셋탑 박스(400)는 TV(500)로 명령을 전송하고, TV(50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4600).
해당 명령을 TCS 서버(300)로부터 받은 셋탑 박스(400)는 명령 수행 결과나 셋탑 박스(400) 및 TV(500)의 상태를 TCS 서버(300)로 피드백하기 위하여 업데이트하고(S4700), TCS 서버(300)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4710).
TCS 서버(300)는 피드백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관리자 단말(100)의 요구가 있을 때에 업데이트하게 되는데(S4720), TCS 서버(300)에서 설정된 기준에 따라, 고장과 같은 긴급한 메세지의 경우는 즉시, TV(500)나 셋탑 박스(400)의 관리를 위한 정보는 일정 주기로 리포팅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00)에서는 TCS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피드백인 상태 정보를 리포팅을 위해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800).
상술한 단계들(S4000~S48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000~S48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TCS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은 복수개의 셋탑 박스를 관리할 수 있고, 각 지점으로 클라이언트인 셋탑 박스를 분류하고 그룹화할 수 있으며, 이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그룹화된 지점은 각각 다른 스케줄을 부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날씨 관련 방송인 경우, 각 지역마다 날씨가 다를 수 있으므로, 각 지점마다 스케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점은 화창하고, 제 2 지점은 간헐적으로 소나기가 내리며, 제 3 지점은 폭우가 쏟아진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제 1 지점과 제 2 지점과 제 3 지점은 시간에 따라 재생되어야 컨텐츠가 달라지거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셋탑 박스 그룹별로 관리자 단말은 스케줄을 다르게 짤 수 있고, 각각의 다른 스케줄에 맞게 셋탑 박스 및 TV가 구동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볼 수 있고, 지정된 장소의 지정된 관리자 단말 뿐만 아니라, 원격에서도 TV와 셋탑 박스의 전원과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셋탑 박스에는 ID가 부여되어 있으며, 그룹이 각각 나누어진 것을 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TV와 셋탑 박스를 수동으로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도시된다. 현재 TV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수동 제어로 그룹별 TV 상태와 시청중인 채널 번호를 파악하고, TV의 온/오프 또는 TV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켜지면 사내 방송인 853번으로 바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즉, TV의 상태 제어 박스를 통해 TV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고, TV의 위치 제어 박스를 통해 TV의 채널까지 변경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실시간으로 긴급한 메세지를 전달하거나 속보 등 방송할 컨텐츠가 갑자기 발생했을 경우, 실시간으로 명령을 전달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TV와 셋탑 박스를 자동으로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도시된다. 제목과 기간 반복일 실행 시간 그룹 등을 선택하고, 해당 스케줄이 실행될 때 TV의 온/오프, TV의 채널까지 모두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내 방송이 아침 8시 30분에 시작한다고 하면, 해당 스케줄 제어에서 TV의 상태 제어를 ON, TV의 위치 제어를 사내 방송 번호인 853번으로 설정해놓는 경우, 8 시 30 분이 되면, 셋탑 박스와 TV가 모두 OFF 상태라고 할지라도 모두 온 상태로 변경될 수 있고, 사내 방송을 보기 위하여 853번으로 리모컨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바로 853번으로 맞춰져 켜질 수 있다.
반대로, 저녁 8 시 30 분에 사내 방송이 끝난다고 가정하면, TV 와 셋탑 박스를 별도의 리모컨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저녁 8 시 30 분이면 자동으로 OFF 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TV가 모바일 단말과 PC로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TV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에서도 모바일 방송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어플리케이션(App)을 제공하여 (a)와 같은 편성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편성표를 클릭하면 (b)와 같이 해당 시간에 맞게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PC에서도 PC 방송을 이용할 수 있다. 즉, (a)와 같은 TV와 동일한 관리자 단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b)와 같이 TV, 모바일 단말, PC 방송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PC에 적용될 경우에는 푸시/풀(Push/Pull) 방식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서버 푸시 방식의 경우에는, 메세지 서버가 스케줄에 맞게 사용자에게 직접 메세지를 전송하는 방식일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풀 방식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설치된 프로그램이 주기적으로 메세지를 요청하고 메세지를 가져오는 방식일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셋탑 박스의 부팅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는 기존의 방식으로, 셋탑 박스가 부팅되면, 기본 메인 화면이 도시되고, 메인 화면에서 다시 메뉴를 선택하여 사내 방송을 하고 있는 곳을 찾아가야 한다.
하지만, (b)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식은 셋탑 박스가 부팅되면 해당 메뉴를 찾아갈 필요없이 바로 목적 메뉴 화면에 맞게 켜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관리자 단말은 셋탑 박스 또는 TV를 실시간으로 또는 스케줄에 따라 자동 실행되도록 제어한다(S9100).
TCS 서버는 관리자 단말의 입력으로 셋탑 박스를 제어하고, 셋탑 박스로부터 입력되는 TV 및 셋탑 박스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자 단말로 전달한다(S9200).
셋탑 박스는 TCS 서버를 통해 입력되는 관리자 단말의 제어에 따라 TV를 제어한다(S9300).
도 9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셋탑 박스에 있어서,
    TCS(Television Control System)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TCS 통신부;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TV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TV 통신부; 및
    상기 TCS 서버로부터 상기 TV의 전원 제어 명령을 받으면, 상기 TV의 전원을 제어하는 명령 실행부
    를 포함하는 셋탑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실행부는 상기 TCS 서버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의 전원 제어 명령을 받으면, 상기 셋탑 박스 및 TV의 전원을 제어하는 것인, 셋탑 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실행부는 상기 TCS 서버로부터 메세지 디스플레이 명령을 받으면, 상기 TV에 상기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셋탑 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실행부는 상기 TCS 서버로부터 스케줄에 따른 컨텐츠 디스플레이 명령을 받으면, 상기 TV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셋탑 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V 및 셋탑 박스의 상태를 상기 TCS 서버로 전달하는 상태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셋탑 박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CS 통신부는 TCP/UDP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상기 TV 통신부는 HDMI(High Definition Mutlimedia Interface)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인, 셋탑 박스.
  7. TCS(Television Control System) 서버에 있어서,
    셋탑 박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셋탑 박스 통신부;
    관리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TV의 전원 제어 명령을 받으면,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TV의 전원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명령 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인, TCS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전달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의 전원 제어 명령을 받으면,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셋탑 박스 및 상기 TV의 전원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인, TCS 서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셋탑 박스는 그룹별로 상기 TCS 서버가 관리하고,
    상기 명령 전달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로 전달되는 명령을 멀티 스레드(Multi-Thread)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인, TCS 서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셋탑 박스는 그룹별로 상기 TCS 서버가 관리하고,
    상기 명령 전달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로 전달되는 명령을 다중 스레드(Multiple Thread) 방식으로 복수개의 배치(Batch)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전달하는 것인, TCS 서버.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의 단말 정보 및 상기 셋탑 박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인, TCS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 통신부는 상기 셋탑 박스의 상태 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TV의 상태 정보 및 셋탑 박스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TV의 상태 정보 및 셋탑 박스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인, TCS 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로 상기 TV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셋탑 박스의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인, TCS 서버.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TV의 전원 제어 명령인 온/오프 명령을 전달받고, 상기 TV가 오프/온 상태이면 명령을 실행하고, 상기 TV가 온/오프 상태이면 명령을 무효화하는 것인, TCS 서버.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셋탑 박스 또는 TV에서 실시간으로 실행되는 명령 및 스케줄에 따라 자동 실행되는 명령을 입력가능한 것인, TCS 서버.
  16. TCS(Television Control System)에 있어서,
    셋탑 박스 또는 TV를 실시간으로 또는 스케줄에 따라 자동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
    상기 관리자 단말의 입력으로 상기 셋탑 박스를 제어하고,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TV 및 셋탑 박스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는 TCS 서버; 및
    상기 TCS 서버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관리자 단말의 제어에 따라 TV를 제어하는 셋탑 박스
    를 포함하는 TCS.
KR1020120095242A 2012-08-29 2012-08-29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 KR10150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242A KR101502988B1 (ko) 2012-08-29 2012-08-29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242A KR101502988B1 (ko) 2012-08-29 2012-08-29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627A true KR20140028627A (ko) 2014-03-10
KR101502988B1 KR101502988B1 (ko) 2015-03-16

Family

ID=5064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242A KR101502988B1 (ko) 2012-08-29 2012-08-29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242A (ko) * 2015-02-03 2022-12-06 박홍철 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인터넷 개인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구현하는 스마트 원격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126A (ko) * 2003-11-13 2005-05-18 나눔정보통신(주)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송출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19094A (ko) * 2007-08-20 2009-02-25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 맞춤형 모닝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30076B1 (ko) * 2008-10-30 2012-03-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Iptv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66429B1 (ko) * 2008-10-30 2010-06-28 포인스정보통신(주) 디지털셋탑박스를 이용한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242A (ko) * 2015-02-03 2022-12-06 박홍철 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인터넷 개인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구현하는 스마트 원격제어 방법
KR20220165217A (ko) * 2015-02-03 2022-12-14 박홍철 Iot 및 cloud 네트웍 환경에서 인터넷 광고제공을 위한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원격제어 시스템
KR20220166217A (ko) * 2015-02-03 2022-12-16 박홍철 클라우드 네트웍 환경에서 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data 전송경로 설정 방법
KR20230026365A (ko) * 2015-02-03 2023-02-24 박홍철 Cloud 네트웍 환경에서 인터넷 서비스 전송을 위한 데이터 제공 시스템
KR20230028328A (ko) * 2015-02-03 2023-02-28 박홍철 CLOUD 네트웍 환경에서 인터넷 서비스 전송을 위한 Flexible Address 방식 데이터 제공 시스템
KR20230033010A (ko) * 2015-02-03 2023-03-07 박홍철 CLOUD 네트웍 환경에서 인터넷 서비스 전송을 위한 Fixed Address 방식 데이터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988B1 (ko)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8022B2 (en) Multimedia queue services
US85222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ternate content scheduling on mobile devices
US8104056B2 (en) Video service blackout events
CA2856842C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US9378638B2 (en) Emergency alert system using management controller in network
JP5827896B2 (ja) Mpegストリームスイッチングのためのダイナミックアプリケーション挿入
CN1531809B (zh) 数据分布
US8799943B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manifest manipulation
US20060059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a content distribution
CN104346198B (zh) 信息处理装置、服务器装置、信息处理方法和存储设备
CN102469368A (zh) 电视机远程控制的方法及电视机
CN104410917A (zh) 一种有线互动电视跨域视频业务对接系统的实现方法
KR20180107854A (ko) Tv 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 방송알림서비스의 제공방법
KR101502988B1 (ko) 셋탑 박스, tcs 서버 및 tcs
CN102083001B (zh) 一种多媒体信息发布系统、方法及设备
US20130019269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data to a mobile electronic device
CA2875845C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manifest manipulation
CN102096574B (zh) 一种多窗口拼接显示方法
CN101710970A (zh) 一种用户端推荐节目的实现方法和装置
CN112449247B (zh) 一种数据刷新方法及显示设备
KR20090041655A (ko) 다중분할화면 영상 자동전환 시스템
KR102045358B1 (ko) 미디어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4661105A (zh) 一种电视终端交互方法和装置
US20090165063A1 (en) Method for centrally distributing screensaver video to protect display devices
CN103391460B (zh) 一种机顶盒信息投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