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7840A - Support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external wall using double layer wale and truss combined strut - Google Patents

Support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external wall using double layer wale and truss combined str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840A
KR20140027840A KR1020120093950A KR20120093950A KR20140027840A KR 20140027840 A KR20140027840 A KR 20140027840A KR 1020120093950 A KR1020120093950 A KR 1020120093950A KR 20120093950 A KR20120093950 A KR 20120093950A KR 20140027840 A KR20140027840 A KR 20140027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wale
unit
type composite
tru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9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1048B1 (en
Inventor
임인식
최선영
이범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20093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048B1/en
Publication of KR2014002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8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0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structure of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using a double layer wale and a truss type complex strut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ructure which supports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by using a double layer wale and a truss type complex strut in a process for constructing basement floors of a building, and which is composed of a new structure and formed by a new method, The supporting structure of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using a double layer wale and a truss type complex str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extend vertical installation intervals of a conventional strut structure which is installed every 2.5m by increasing stiffness against earth pressure,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and significantly improving construction ability and workability; to allow various earth works to be performed with the supporting structure of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installed; and to remarkably reduce the installation and separation costs for temporary strut structures.

Description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EXTERNAL WALL USING DOUBLE LAYER WALE AND TRUSS COMBINED STRUT}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an underground outer wall using a double stranded wale band and a truss type composite strut.

본 발명은 띠장과 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하층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시스템과 구성방식으로 이루어진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하여 지하외벽을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structure of a basement wall using a welt and a stru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structure of a basement wall using a welt and a strut, and more particularly, Lt; / RTI >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층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종래로부터 여러 가지의 시공법이 알려져 있으며 이를 분류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이들을 지하구조물을 구축 시공하는 방향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순타(順打)공법과 역타(逆打)공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Generally, as a method of constructing a basement of a building,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known and there may be various ways of classifying them. However,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dire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It can be classified into public law and reverse law.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방식으로 건물의 지하층을 시공하는 경우, 굴착하고자 하는 부지의 외각에 흙막이 벽을 설치하고 상기 흙막이 벽을 띠장(wale)과 가설스트러트와 같은 지지단으로 지지하며 굴착을 진행해 나가는 스트러트 공법이 주로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스트러트 공법은 통상적으로 지하층 공사의 약70% 내지 80% 정도로 사용되어지는데, 상기 공법은 물량의 절감과 시공성 향상이 중요한 고려사항 중의 하나이다.
When a basement layer of a building is constructed in the conventional manner as described above, an earth retaining wall is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a site to be excavated, and the earth retaining wall is supported by a supporting end such as a wale and a temporary strut, Outgoing strut method is mainly used. This strut method is usually used at about 70% to 80% of the underground work, which is one of important considerations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and improve the workabilit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트러트 공법을 이용하여 지표면으로부터 지하 기초층까지 가설 스트러트가 설치되어지는 경우, 토압등의 하중분포를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2.5미터 내외의 상하간격으로 설치되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지하층의 층고가 높게 형성되어지는 경우에는 1층에 2개정도의 스트러트가 설치되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트러트 공법은 굴토작업시 장애물 층이 증가되고, 지하층 슬래브와 벽체를 구축하는 시공작업 시 효율성과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strut strut is installed from the ground surface to the underground foundation layer by using the strut method as described above, it is usually installed at an upper and lower distance of about 2.5 meters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distribution such as earth pressu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wo struts are provided in the first layer. Therefore, the conventional strut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obstacle layer is increased during the hoisting operation, and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the construction work for constructing the slab and wall of the basement are inferior.

따라서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지하층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지하외벽을 지지하는 종래의 구조 및 공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지하외벽 지지에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대두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for supporting a new type of underground outer wall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structur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the underground outer wall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layer of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러트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조립화시킴으로써 현장작업을 최소화하여 지하 현장에서 시행되는 각종의 작업이 순조롭고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시공효율성 증대에 따른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층띠장(wale)을 설치하고 상기 복층띠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구비한 새로운 방식의 지하외벽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plify and assemble a strut system so as to minimize field work, As a result, a truss-type composite strut is provided, which is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the cost of air shortening and cost reduction due to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efficiency by providing a multi-layer wal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ffectively supporting the multi-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는, 지하구조물 구축시 터파기 공사에 따라 조성되는 흙막이벽체(12)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띠장과, 상기 띠장이 흙막이벽체(12)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트러트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띠장은 제1,2단위띠장(21,22)이 평행하게 배치된 복층띠장(20)으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스트러트 구조체는 복층띠장(20)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the underground outer wall supporting structure using the multi-layer wale and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d a strut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band zone firmly adhered to the earth retaining wall body 12, wherein the band zone includes first and second unit wales 21 and 22, Layered wales 20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strut structure is composed of a truss composite strut 30 so as to simultaneously support the multi-layer wale 2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2단위띠장(21,22)의 간격은 지지하는 토압의 크기에 따라 탄력적으로 500mm 내지 1,500mm의 범위에서 조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사이에는 수직연결판(23)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nit wales 21 and 22 is adjusted in a range of 500 mm to 1,500 mm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earth pressure to be supported, A vertical connecting plate 23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unit wale 21 and the second unit wale 22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it wale 21 and the second unit wale 22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층띠장에는 스트러트 사이 구간 띠장의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거나 상기 복층띠장의 내력을 높이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할 수 있는 띠장보강재(60)을 포함하여 구성된 띠장보강재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띠장보강재(60)을 설치하기 위한 띠장보강재(20)의 측면에는 인장재정착구(61)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띠장보강재(60)의 중간 지점에는 보조브래킷(63)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layer wale includes a wale stiffener 60 that can be pre-stressed to increase the bearing force against the earth pressure of the inter-stratospheric band o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multi-layer band. A tensile material fixing port 61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wale stiffener 20 for installing the wale stiffener 60 and a middle portion of the wale stiffener 60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wale stiffener 60. [ And the auxiliary bracket 63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poi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지하층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스트러트 몸체부(40)와,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로 이루어지는 복층띠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러트 몸체부(40)의 단부에 설치되는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30 includes a strut body portion 40 installed across a basement layer, and a stratified body portion 40 composed of a first unit wale 21 and a second unit wale 22, And a truss type wale supporter (50) provided at an end of the strut body part (40) so as to effectively support the wel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는 전면 상단이 제1단위띠장(21)에 접하고 전면 하단이 제2단위띠장(22)에 접하는 수직재(51)와, 일단은 수직재(51)의 후면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트러트 몸체부(40)의 일단에 연결되는 상부 사재(52)와, 일단은 수직재(51)의 후면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트러트 몸체부(40)의 일단에 연결되는 하부 사재(53)에 의해 트러스형태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트러트 몸체부(40)와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의 연결부위에는 시공 중 변위에 대처하기 위하여 스크류잭(54)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ss-type wale band support 50 includes a vertical member 51 having a front upper end in contact with the first unit wale 21 and a lower front e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unit wale 22, The upper end of the strut body portion 4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5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rut body portion 40. The upper end of the strut body portion 40 The truss type body 40 and the truss type wrist support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ower thread member 53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russ type wrist strap 50. In order to cope with the displacement during installation, (54)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우측 단위스트러트(41)와 좌측 단위스트러트(42)의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한쌍의 단위 스트러트(30)의 우측 단위스트러트(41)와 좌측 단위스트러트(42)는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는 한쌍을 이룬 스트러트를 영구기둥 또는 포스트파일에 거치하기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횡방향 보강을 위해 필요한 위치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ss-type composite strut 30 is formed of a pair of a right unit strut 41 and a left unit strut 42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The unit struts 41 and the unit struts 42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 unit struts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trut attachment unit 70. In addition, the connector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a position required for lateral reinforcement as well as for fixing a twisted strut to a permanent post or post fi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외측관(71) 및 상기 외측관(71)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내측관(7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의 외측관(71)은 복수개의 외측 볼트공(7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외측관(71)이 삽입되는 내측관(72)은 상기 외측 볼트공(73)의 직경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내측 볼트공(74)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t mounting connector 70 comprises an outer tube 71 and an inner tube 72 slidably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71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Wherein an outer tube 71 of the strut mounting body 7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uter bolt holes 73 and an inner tube 72 into which the outer tube 71 is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71, And a plurality of inner bolt holes 74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outer bolt hole 73 are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의 외측관(71)의 일측 단부에는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래킷(71a)이 돌출 형성되어지며, 상기 내측관(72)의 일측단부에는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래킷(72a)이 돌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위스트러트(41,4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클램프(77)가 추가로 포함되어지며, 상기 클램프(77)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연결브래킷(71a,72a)과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통공부가 구비된 고리모양 연결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nular connecting bracket 71a is protruded at one end of the outer tube 71 of the strut mounting connector 70, And a connecting bracket 72a having an annular shape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unit strut 41 and 42. A clamp 77 is further inclu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struts 41 and 42, 77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ng brackets 71a, 72a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connecting brackets 71a, 72a.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as it does not mean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must include all such effects or merely include such effects.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Further,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also be present in the middle,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는 토압에 대하여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에 2.5m 정도마다 설치해야 했던 종래의 스트러트 구조체의 상하방향 설치간격을 늘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비가 절감되고 시공성 및 작업성이 매우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가 설치된 상태에서 각종 토공사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가설 스트러트 구조의 설치 및 해체비용이 크게 감소한다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underground outer wall supporting structure using the multi-layer wale band and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earth pressu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vertical installation spacing of the conventional strut structure,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workability and work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Further,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earthworks more safely and easily with the underground outer wall supporting structure using the multi-layer wale band and truss type composite str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nd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cost of the hypothetical strut structure is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가 설치된 모습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의 확대모습
도 4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의 측면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의 분해 사시도
Fig. 1 is a view showing an underground outer wall supporting structure using a multi-layer wale and a truss type composite str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layer wale band and a truss type composite str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a multi-layered b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truss composite str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rut mount connec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가 설치된 모습을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의 확대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는 본 명세서에서는 ATS(Advanced Temporary Strut) 구조로 약칭되어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underground outer wall supporting structure using a multi-layer wale band and a truss type composite strut is install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stranded wale and a truss type composite str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underground outer wall supporting structure using the multi-layer wale and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bbreviated as ATS (Advanced Temporary Strut) structure in this specification.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층 구축시 터파기 공사가 수행되어지는데, 이에 앞서 엄지말뚝(10)을 일정한 간격으로 항타작업에 의해 지중에 박게 된다. 터파기 작업이 진행되면서 엄지말뚝(10) 사이에 토류판(11)을 순차적으로 끼움으로써 흙막이벽체(12)가 만들어지게 되며, 상기 흙막이벽체(12)가 횡방향 토압에 의해 내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띠장(wale) 및 스트러트 구조체가 설치되어진다.
Generally,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s carried out by the digging work. Before this, the thumb pile (10) is put into the ground by the piling work at regular intervals. The earth retaining wall 12 is formed by sequentially inserting the earth plate 11 between the thumb piles 10 while the earth moving operation is progressing and the earth retaining wall 12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inward by the lateral earth pressure wale and a strut structure are installed.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ATS 구조)에 있어서, 흙막이벽체(12)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띠장 및 스트러트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복층띠장(wale, 20) 및 상기 복층띠장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가 사용되어진다.
In the underground outer wall supporting structure (ATS structure) using the multi-layer wale band and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e band and the strut used for supporting the earth retaining wall body 12 are And a truss type composite strut 30 capable of supporting the multi-layered wales at the same time is used.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20)은 흙막이벽체(12)를 따라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지며, 터파기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계속하여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복층띠장(20)은 상기 흙막이벽체(12)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토압을 유효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다음에서 설명하게 되는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에 의해서 지지되어진다.
The multi-layer wale ban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earth retaining wall 12, and is continuous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terra vigor striations progress. Each of the multi-layer wales 20 is supported by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30 to be tightly adhered to the earth retaining wall 12 to effectively transmit the earth pressur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2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20)은 소정의 상하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진 2단(이중열)로 구성되고 있다. 즉 흙막이벽체(12)를 따라서 횡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복층띠장(20)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을 포함함으로써 2열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의 간격은 500mm 내지 1,500mm의 범위에서 선택되어질 수도 있지만, 1,000mm의 상하간격이 사용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Hereinafter, the multi-layer wale ban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multi-layer wale ban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stages (double heat)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vertical interval. That is, the multi-layer wale band 20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earth retaining wall 12 includes the first unit wale 21 and the second unit wale 22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Loses.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unit wale 21 and the second unit wale 22 may be selected in the range of 500 mm to 1,500 mm,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unit wale 21 and the second unit wale 22 is 1,000 mm.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사이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수직연결판(23)이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The first unit wale 21 and the second unit wale 22 may be spaced between the first unit wale 21 and the second unit wale 22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unit wale 21 and the second unit wale 22 can be maintained constant. The vertical connecting plate 23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복층띠장의 적어도 1곳 이상에는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한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할 수 있는 인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띠장보강재(60)가 조립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모두에 띠장보강재가 설치될 수도 있지만, 설계조건에 따라서 제1단위띠장(21) 또는 제2단위띠장(22) 중 어느 하나에만 띠장보강재가 설치되어질 수도 있다. 띠장보강재는 볼트접합 등으로 단위띠장에 고정 설치된다. 띠장보강재가 부착된 복층띠장(20)은 자체로 트러스효과, 띠장보강재의 인장재에 장력을 가하는 경우는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효과로 띠장 구간의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le stiffener 60 including a tensile material capable of pre-stressing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earth pressure may be assembled and installed at least at one or more places of the multi- have. 3, the wale stiffener may be installed on both the first unit wale 21 and the second unit wale 22. However,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the first unit wale 21 or the second unit wale 22 The wale stiffener may be provided only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ings 22. The wale stiffener is fixed to the unit wale by bolting or the like.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tensile material of the wale stiffener itself, the multi-layer wale 20 with the wale stiffener can increase its bearing capacity against the earth pressure by the pre-stressing effec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지하층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스트러트 몸체부(40)와,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러트 몸체부(40)의 단부에 설치되는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의 간격에 준하는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갖는다. 스트러트 몸체부(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H형강 또는 원형관과 같은 다른 재료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ut body portion 40 installed across a basement layer and a strut body portion 40 extending from the strut 30 to effectively support the first unit wale 21 and the second unit wale 22, And a truss type wand support 50 provided at an end of the body portion 40. 4, the truss type wale support 50 has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unit wale 21 and the second unit wale 22. Although it is preferred that the strut body portion 40 be formed as a square tube as shown, it does not exclude the use of other materials such as H-shaped steel or circular tube to the extent that the same purpose and function can be achie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는 삼각형의 트러스 구조를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즉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는 전면 상단이 제1단위띠장(21)에 접하고 전면 하단이 제2단위띠장(22)에 접하는 수직재(51)와, 일단은 수직재(51)의 후면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트러트 몸체부(40)의 일단에 연결되는 상부 사재(52)와, 일단은 수직재(51)의 후면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트러트 몸체부(40)의 일단에 연결되는 하부 사재(53)로 이루어진다. 또한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와 스트러트 몸체부(40)의 연결부위에는 시공 중 흙막이 변위에 대처하기 위하여 스크류잭(54)이 설치될 수도 있지만, 역시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스크류잭(54)이 없이 커넥터를 이용한 접합구조가 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uss type wale support 50 has a triangular truss structure. That is, the truss type wand support 50 includes a vertical member 51 whose front e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unit wand 21 and whose lower front end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unit wand 22 and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ear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51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rut body portion 4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5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rut body portion 40, ). In addition, a screw jack 54 may be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russ type wale support 50 and the strut body 40 to cope with the earth retaining displacement during construction. However, It may be a joint structure using a connector without a screw jack 54. [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우측 단위스트러트(41)와 좌측 단위스트러트(42)의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지면에 박혀 있는 영구기둥 또는 포스트파일과 같은 지주(13)를 사이에 두고 지주(13)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우측 단위스트러트(41)과 좌측 단위스트러트(42)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30 is formed of a pair of the right side unit strut 41 and the left side unit strut 42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2,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30 includes a right side unit strut (not shown)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lumn 13 with a column 13, such as a permanent column or a post file, 41 and the left unit strut 42,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and stability of the system.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된 스트러트에 의해서 지하층 공사작업이 방해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이 최대로 향상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각층 바닥면으로부터 2미터 높이에 설치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높이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height of 2 meters from the floor surface of each floor so that workability can be maximized by preventing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work from being disturbed by the installed strut But it is not intended to exclude the use of other heights within the scope of achieving the same purpose and func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의 우측 단위스트러트(41)와 좌측 단위스트러트(42)는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질 수도 있다. 즉 우측 단위스트러트(41)과 좌측 단위스트러트(42)은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흙막이벽체(12)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일단은 우측 단위스트러트(41)에 체결되고, 타측은 좌측 단위스트러트(42)에 체결되며 중간 부위는 지주(13)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는 보설치브래킷(70a)에 의해 지지된다.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스트러트 몸체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보설치브래킷(70a)의 형태는 지주(13)의 형상 및 특성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자명하다.
Nex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ht side unit strut 41 and the left side unit strut 42 of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trut mounting connecting member 70. That is, the right unit strut 41 and the left unit strut 42 can be supported at right angles to the earth retaining wall 12 in a state where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trut retaining link 70. As shown in FIG. 4, the strut attachment member 70 is fastened to the right unit strut 41,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left unit strut 42,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trut 13 And is supported by a beam mounting bracket 70a which is fixedly proj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strut attachment members 70 may be provid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body portion 40. On the other hand, it is obvious that the shape of the beam mounting bracket 70a can be various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lumn 13.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한쌍을 이룬 스트러트를 영구기둥 또는 포스트파일에 거치하기 위한 목적뿐 아니라, 횡방향 보강을 위해 필요한 위치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meantime, the strut fastening connecto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a position necessary for lateral reinforcement as well as for mounting a pair of struts to a permanent column or a post fi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선택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외측관(71)과, 외측관(71)의 내부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내측관(72) 및 외측관(71)에 마련된 복수개의 외측 볼트공(73)을 통해 체결되어 내측관(72)의 외측벽을 압박하거나, 또는 상기 외측볼트공(73)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내측관(72)에 마련된 내측 볼트공(74)에 체결되는 고정볼트(75)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볼트공(74)은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고정볼트(75)를 어느 곳에 결합시키는가에 따라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t mount 70 may optionally be adjustable in length. 5, the strut mounting connecto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tube 71, an inner tube 72 slidably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71, The inner bolt 73 is fastened through a plurality of outer bolt holes 73 provided in the inner pipe 72 and presses the outer wall of the inner pipe 72 or the inner bolt 73 provided in the inner pipe 72, And a fixing bolt 75 that is fastened to the hole 74. A plurality of inner bolt holes 74 are arranged in a line, and the length of the strut mounting connector 70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where the fixing bolt 75 is coupled.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관(71)과 버팀보(41)의 연결은 일측 단위스트러트(41)의 외주면에 끼워져 볼트(76)로써 체결되는 것이 선호되며, 디귿(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클램프(77)에 의해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관(71)의 일측 단부에는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래킷(71a)이 돌출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외측관(71)과 같은 방식으로 내측관(72) 또한 타측 단위스트러트(42)에 연결되어지는데, 역시 내측관(72)의 일측단부로부터도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래킷(72a)이 돌출 형성되어진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outer tube 71 and the strut bracket 41 is preferably fit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strut 41 and fastened with the bolt 76, And is connected by a pair of clamps 77 in the form of a pair. To this end, a ring-shaped connecting bracket 71a is protruded from one end of the outer tube 71. [ The inner tube 72 is also connected to the other unit strut 42 in the same manner as the outer tube 71. The annular connecting bracket 72a is also protruded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72 .

한편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위스트러트(41,4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한쌍의 클램프(77)는 디귿(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재가 상하에서 결합되어 볼트(76)로써 체결되어지며, 양쪽 측면에는 상기 연결브래킷(71a,72a)와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통공부가 구비된 고리모양 연결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클램프(미도시됨)는 분리된 형태가 아니라 단면이 입구(口)자 형태의 일체형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램프는 상기 단위스트러트(41,42)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를 이용하면 스트러트를 현장에서 영구기둥 또는 포스트파일 모두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lamps 77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it struts 41 and 42 is formed by a member having a diagonal shape, And it is preferable that annular connecting portions having a through hol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rackets 71a and 72a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connecting brackets 71a and 72a. However, Is not excluded. For example, the clamp (not shown) may not be in a separate form, but may be integral with the mouth in the form of a mouth. In this case, the clamp will be fitted to the unit struts 41 and 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so, by using the strut attachmen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t can be carried out by using permanent posts or post files in the fiel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는,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는 복층띠장(20)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가 감당할 수 있는 토압의 크기가 크게 증가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띠장 및 버팀보의 상하간격(H)을 넓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스트러트 구조체의 설치개수를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지하층의 층고가 높은 경우에도 굴착현장이 극도로 복잡해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러트 구조체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는 지하구조물에 대한 흙막이벽체를 지지하는 가설 구조물로 상정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The underground wall supporting structure using the multi-layer wale band and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layer wale 20 and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30, which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pper and lower intervals H of the wrist strap and the strut can be wid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fore, since the number of installed strut structures can be greatly reduc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xtremely complicated excavation site even when the height of the underground layer is high. Furthermore,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stru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costs can be greatly reduced. Meanwhile, the underground outer wall supporting structure using the multi-layer wale and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umed to be a temporary structure supporting the earth retaining wall to the underground structur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s and effec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cation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claims.

10 : 엄지말뚝 11 : 토류판
12 : 흙막이벽체 13 : 지주
20 : 복층띠장 21,22 : 제1단위띠장, 제2단위띠장
23 : 수직연결판 30 : 스트러트 구조체
40 : 스트러트 몸체부 41,42 : 우측, 좌측단위스트러트
50 : 트러스형 띠장지지대 51 : 수직재
52 : 상부 사재 53 : 하부 사재
54 : 스크류잭 60 : 띠장보강재
61 : 인장재정착구 62,62 : 보강판재
63 : 보조브래킷 70 :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
70a : 보설치브래킷 71 : 외측관
72 : 내측관 75 : 고정볼트
10: Thumb pile 11:
12: retaining wall 13: holding
20: a multi-layer wale 21, 22: a first unit wale, a second unit wale
23: vertical connecting plate 30: strut structure
40: strut body portions 41, 42: right and left unit struts
50: truss type wale support 51: vertical member
52: upper workpiece 53: lower workpiece
54: screw jack 60: wale stiffener
61: tensile material fixture 62,62: reinforcement plate
63: auxiliary bracket 70: strut mounting bracket
70a: beam installation bracket 71: outer tube
72: Inner tube 75: Fixing bolt

Claims (15)

지하구조물 구축시 터파기 공사에 따라 조성되는 흙막이벽체(12)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띠장과, 상기 띠장이 흙막이벽체(12)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트러트 구조체를 포함하는 띠장과 스트러트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띠장은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평행하게 이격되어진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을 포함하는 복층띠장(20)으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스트러트 구조체는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을 동시에 지지하는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
A wale band for horizontally supporting the earth retaining wall body 12 formed according to the earthquake-grounding work in the construction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nd a wale band including a strut structure for keeping the band zone firmly adhered to the earth retaining wall body 12, In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trut,
The band is composed of a multi-layer wale band 20 including a first unit wale 21 and a second unit wale 22 that are spaced apart in parall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trut structure is formed of a truss-type composite strut 30, which simultaneously supports the first unit length 21 and the second unit length 22, and the basement outer wall supporting structure using the double layer length and truss type composite stru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의 간격은 500mm 내지 1,500mm의 범위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unit wale (21) and the second unit wale (22) is selected in a range of 500 mm to 1,500 mm. Support 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사이에는 수직연결판(23)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According to claim 2, Between the first unit length 21 and the second unit length 22 so as to keep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unit length 21 and the second unit length 22 between Underground wall support structure using a multi-layered strip and truss type composite strut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connecting plate 23 is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 중 적어도 1곳 이상에는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띠장보강재가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2. The multi-layered strip and truss ty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strips 21 and 22 is provided with a strip reinforcing material to increase bearing capacity against earth pressure. Underground wall support structure using composite stru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보강재는 볼트접합 등으로 단위띠장에 고정 설치되어지며, 상기 띠장보강재의 단부는 인장재를 긴장한 후 고정할 수 있는 인장재정착구로 구성되고, 중간 지점에는 보조브래킷(63)이 추가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trip reinforcement is fixed to the unit strip by bolt joints, etc., the end of the strip reinforcement is composed of a tension repositioning opening that can be fixed after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the intermediate bracket 63 in the middle point Underground wall support structure using multi-layered strip and truss type composite stru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지하층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스트러트 몸체부(40)와, 제1단위띠장(21)과 제2단위띠장(22)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러트 몸체부(40)의 단부에 설치되는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truss-type composite strut 30 is to support the strut body portion 40, the first unit length 21 and the second unit length 22 is installed across the basement layer at the same time Underground wall support structure using a multi-layered stripe and a truss-type composite stru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truss-shaped band supporter 50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trut body portion 4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는 전면 상단이 제1단위띠장(21)에 접하고 전면 하단이 제2단위띠장(22)에 접하는 수직재(51)와, 일단은 수직재(51)의 후면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버팀보(40)의 일단에 연결되는 상부 사재(52)와, 일단은 수직재(51)의 후면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버팀보(40)의 일단에 연결되는 하부 사재(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According to claim 6, The truss-shaped band support 50 is a vertical member 51, the front upper end in contact with the first unit length 21, the front lower e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unit length 22, and one end is a vertical member 51 )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race 4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vertical material 5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race 40 Underground wall support structure using a multi-layered strip and truss type composite struts, comprising 5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러트 몸체부(40)와 트러스형 띠장지지대(50)의 연결부위에는 스크류잭(54)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7. The basement outer wall using the multi-layered strip and truss type composite strut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screw jack 54 is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trut body portion 40 and the truss type strip support 50. Support structur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우측 단위스트러트(41)와 좌측 단위스트러트(42)의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7. The multi-layer strip and trus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30 comprises a pair of the right unit strut 41 and the left unit strut 42 which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Underground Wall Support Structure Using Type Composite Stru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는 각층 바닥면으로부터 2미터 높이에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7. The structure of claim 6, wherein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30 is installed at a height of 2 meters from the bottom of each lay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30)의 우측 단위스트러트(41)와 좌측 단위스트러트(42)는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10. The multi-layer strip of claim 9, wherein the right unit strut 41 and the left unit strut 42 of the truss type composite strut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trut mounting connector 70. Underground wall support structure using truss type composite stru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외측관(71) 및 상기 외측관(71)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내측관(7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1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trut mounting connector 7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tube 71 and the inner tube 72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71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Underground wall support structure using multi-layered strip and truss type composite stru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의 외측관(71)은 복수개의 외측 볼트공(7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외측관(71)이 삽입되는 내측관(72)은 상기 외측 볼트공(73)의 직경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내측 볼트공(74)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13. The outer tube 71 of the strut mounting connector 7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uter bolt holes 73, and the inner tube 72 into which the outer tube 71 is inserted is formed. Underground wall support structure using a multi-layered strip and truss type composite strut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ner bolt holes 74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outer bolt holes 7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러트 거치용 연결체(70)의 외측관(71)의 일측 단부에는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래킷(71a)이 돌출 형성되어지며, 상기 내측관(72)의 일측단부로에는 고리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래킷(72a)이 돌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one end of the outer tube 71 of the strut mounting connector 70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ring-shaped connecting bracket (71a), one side end of the inner tube (72) Underground wall support structure using a multi-layered strip and truss type composite strut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shaped connecting bracket 72a is formed to protrude. 제 14 항에 있어서, 단위스트러트(41,42)의 외주면에 상하로 끼워지며 디귿(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클램프(77)가 추가로 포함되어지며, 상기 클램프(77)의 양쪽 측면에는 상기 연결브래킷(71a,72a)와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통공부가 구비된 고리모양 연결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띠장과 트러스형 복합스트러트를 이용한 지하외벽 지지구조15. The apparatus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clamps 77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nit struts 41 and 42 and formed in the form of a dent. Underground wall support structure using a multi-layered strip and truss type composite struts, characterized in that a ring-shaped connecting portion having a through-hole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brackets 71a and 72a.
KR20120093950A 2012-08-27 2012-08-27 Support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external wall using double layer wale and truss combined strut KR1014910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3950A KR101491048B1 (en) 2012-08-27 2012-08-27 Support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external wall using double layer wale and truss combined str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3950A KR101491048B1 (en) 2012-08-27 2012-08-27 Support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external wall using double layer wale and truss combined str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840A true KR20140027840A (en) 2014-03-07
KR101491048B1 KR101491048B1 (en) 2015-02-10

Family

ID=5064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93950A KR101491048B1 (en) 2012-08-27 2012-08-27 Support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external wall using double layer wale and truss combined str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04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4403A (en) * 2017-06-09 2018-12-27 ヒロセ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Jack cover
CN110528542A (en) * 2018-05-24 2019-12-03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Assembled cofferdam structure
CN115162374A (en) * 2022-07-12 2022-10-11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Multilayer sliding surface landslide support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2508B2 (en) * 1993-12-28 1998-12-09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retaining method
KR100915099B1 (en) * 2006-07-06 2009-09-02 박윤희 Structure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of earth with arch material and method constructing the arch structure
KR100812338B1 (en) * 2006-09-11 2008-03-11 김일 Temporary prestress system for transmit prestress to land side protection wall
KR101026583B1 (en) * 2011-01-17 2011-04-04 최현규 A wale system for supporting earth retaining wal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4403A (en) * 2017-06-09 2018-12-27 ヒロセ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Jack cover
CN110528542A (en) * 2018-05-24 2019-12-03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Assembled cofferdam structure
CN115162374A (en) * 2022-07-12 2022-10-11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Multilayer sliding surface landslide supporting structure
CN115162374B (en) * 2022-07-12 2023-09-26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Multi-layer sliding surface landslide suppor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048B1 (en)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028B1 (en) Earth retaining structure having beam
KR101329440B1 (en) Steel pipe strut having an enclosure connector
KR100991208B1 (en) Prestress composite wale for earth retaining scaffolding and this construction technique
KR101308575B1 (en) Integral segment of steel strip and steel strut
KR101212653B1 (en) Connector for multi-row steel stru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92529B1 (en) A fabrication type lattice girder
KR100908321B1 (en) Prestress composition wale construction method for sheathing work
KR100916546B1 (en) Underground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922534B1 (en) Composite type steel temporary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91048B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external wall using double layer wale and truss combined strut
KR20110122310A (en) Construction method for basement structure without temporary structure
KR101955852B1 (en) Struts and support for wall shoring structure
KR20140069845A (en) Retaining wall using diagonal reinforcement member
KR101135384B1 (en) Earth retaining structure having ring beam
KR101528248B1 (en) Tetragonal lattice girders and reinforce method for cutting surface of tunnel using the same
KR102039928B1 (en) Arched Wale Structure with Improved Load-bearing Capacity and Rigidity
KR101664668B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earth retaining wall
KR102171986B1 (en) Steel pipe strut assembly
KR20120126927A (en) A double Raker system of an underground temporary structure
KR102076081B1 (en) Strut Connector Assembly
CN109944333A (en) A kind of conne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oblique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oblique steel frame beam
KR100904397B1 (en) A method for installing land-side protection wall
JP5489940B2 (en) Working scaffold structure in shaft, construction method of working scaffold structure, and scaffold mounting structure
KR20120001813U (en) - CONNECTOR STRUCTURE WITH A L-Shaped HOOK FOR CONNECTING STRUT TO STRIP
CN217378928U (en) Concrete squatting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