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826A -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826A
KR20140026826A KR1020120092507A KR20120092507A KR20140026826A KR 20140026826 A KR20140026826 A KR 20140026826A KR 1020120092507 A KR1020120092507 A KR 1020120092507A KR 20120092507 A KR20120092507 A KR 20120092507A KR 20140026826 A KR20140026826 A KR 20140026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ngine
dpf
doc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9120B1 (ko
Inventor
신용
김정구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2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1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전체 하중을 엔진 상부의 적절한 위치에 분산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레이아웃(layout) 설계에 대한 자유도를 증대시켜 엔진룸 내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 배기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엔진에 취부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디젤 산화 촉매(DOC)와 디젤 입자 필터(DPF)를 서로 독립적인 구조물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디젤 산화 촉매(DOC)를 엔진의 배기매니폴드 상부에서 엔진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디젤 입자 필터(DPF)를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디젤 산화 촉매(DOC)와 수직하게 배치하여 연결파이프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Fixing structure of Exhaust Gas After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로 대표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대부분은 디젤엔진(Diesel Engine)을 통해 주행동력 및 작업동력을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디젤엔진(Diesel Engine)은 경유 또는 중유를 연료로 압축, 점화에 의해 작동하는 왕복 운동형 내연기관으로서, 내구성이 우수한 반면 가솔린엔진과 비교하여 대기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질소산화물(NOx)과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의 배출이 심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각국에서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유럽이나 북미 등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Tier 4 수준의 환경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기술적으로 연료분사시기를 지연하고,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사용하여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저감하며, 입자상 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해 엔진의 연소성능을 개선하는 등의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기가스 오염물질을 최소화하고 대기환경 보존을 위한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로서, 디젤 산화 촉매(DOC; Diesel Oxidation Catalyst, 이하 ‘DOC’라 한다)와 디젤 입자 필터(DPF; Diesel Particulate Filter, 이하 ‘DPF’라 한다)를 결합시킨 형태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가 당업계에서 널리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52510호 참조)
도 1은 종래의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가 취부되는 엔진룸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엔진룸 내부를 차체의 후방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업용 작업차량인 트랙터의 엔진룸(10)은 상부로 개방이 가능한 본넷에 의해 내부의 엔진(12)이 보호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엔진(12)을 통해 발생된 동력은 엔진(12) 후방 쪽의 플라이휠 하우징(13)을 거쳐 트랜스미션(미도시)으로 전달되고, 상기 엔진(12)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가 엔진룸(10) 내에 취부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는 일측에 배기가스 유입구(210)가 구비되어 엔진(12)의 터보차저(15) 측에 직접 연결되고, 타측에는 머플러 파이프(미도시)와 연결되는 정화가스 배출구(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는 엔진(12)의 배기매니폴드(14) 상부에서 엔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고, 배기가스 유입구(21) 하부에 터보차저(15)가 위치되며, 배기가스 유입구(21)가 터보차저(15)와 플랜지관(16)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엔진(12) 구동시 배기가스가 배기매니폴드(14) 측으로 배출된 후 배기매니폴드(14) 측에 설치된 터보차저(15)로 유입되어 터빈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배기가스는 터보차저(15)에 연결된 플랜지관(16)을 통해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의 배기가스 유입구(21)로 공급된다. 그리고, 배기가스 유입구(21)를 통해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 내로 공급된 배기가스는 그 내부의 디젤산화촉매(DOC) 및 매연여과장치(DPF)를 거쳐서 정화된 후에 정화가스 배출구(22)를 통해 대기 중에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정화는 주로 질소 산화물(NOx)과 입자상 물질(PM; 매연을 포함한 다양한 입자상 유해물질)을 대상으로 하는데, 이러한 물질은 배기과정에서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DOC 또는 DPF에 의해 흡착됨으로써 정화처리된다.
이 중에서, 특히, DPF는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입자상 물질을 필터로 포집한 후 이것을 태우고(재생) 다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여 계속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매연을 80% 이상 저감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그 성능면에서 아주 우수한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DOC 및 DPF를 결합시킨 형태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는 부피가 크고 무거운 단점이 있어 기존의 농업용 작업차량에 탑재하여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야기된다.
특히, 이러한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는 입자상 물질의 확실한 연소 제거나 충분한 촉매활성을 얻기 위해서 소정온도 이상의 배기온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특성상 엔진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설치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엔진룸 내에 설치하는 것이 필연적인데, 기존의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룸 구조는 아주 협소하여 설치공간을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농업용 작업차량이 대부분 고마력 엔진을 탑재하기 때문에 주행진동이 심하게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면 배기가스 후처리장치가 진동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정화기능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고, 심할 경우에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가 주행 중 고정위치를 벗어나 주변구조물, 특히 엔진에 충돌함으로써, 심각한 고장 및 사고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디젤 산화 촉매(DOC)와 디젤 입자 필터(DPF)를 서로 독립적인 구조물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디젤 산화 촉매를 엔진의 배기매니폴드 상부에서 엔진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디젤 입자 필터를 상기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디젤 산화 촉매와 수직하게 배치하여 연결파이프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하중을 한 곳에 편중됨 없이 엔진 상부에 적절히 분산시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다양한 레이아웃(layout) 설계를 통해 엔진룸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에 있어서 디젤 산화 촉매와 디젤 입자 필터를 상호 연결해주는 연결파이프를 플렉시블(flexible)한 유연성 재질의 파이프로 채용함으로써, 엔진 구동시 디젤 산화 촉매를 거쳐 디젤 입자 필터로 전달되는 진동을 상기 플렉시블한 연결파이프를 통해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디젤 입자 필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젤 입자 필터를 엔진 후방측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엔진 구동시 진동으로 인한 디젤 입자 필터의 처짐 및 진동 충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 배기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엔진에 취부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디젤 산화 촉매(DOC)와 디젤 입자 필터(DPF)를 서로 독립적인 구조물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디젤 산화 촉매(DOC)를 엔진의 배기매니폴드 상부에서 엔진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디젤 입자 필터(DPF)를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디젤 산화 촉매(DOC)와 수직하게 배치하여, 연결파이프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디젤 산화 촉매(DOC)와 상기 디젤 입자 필터(DPF)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젤 산화 촉매(DOC)의 배기가스 유입구는 배기매니폴드와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파이프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상기 디젤 입자 필터(DPF)를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브라켓과; 상기 디젤 입자 필터(DPF)를 상기 하우징 브라켓의 일측에 고정하는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디젤 산화 촉매(DOC)와 디젤 입자 필터(DPF)를 서로 독립된 구조물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디젤 산화 촉매를 엔진의 배기매니폴드 상부에서 엔진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디젤 입자 필터를 상기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디젤 산화 촉매와 수직하게 배치하여 연결파이프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하중을 한 곳에 편중됨 없이 엔진 상부에 적절히 분산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다양한 레이아웃(layout) 설계를 통해 엔진룸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작은 크기를 갖는 2개의 독립된 소형 구조물(DOC, DPF)로 분리하여 엔진의 배기매니폴드 상부 및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의 여유공간상에 각각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엔진룸 폭 방향 여유공간이 작은 중형 트랙터용 엔진룸 내부에도 본 발명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에 있어서, 고온의 열원부인 디젤 입자 필터(DPF)를 엔진의 후방측에 위치된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엔진이 고온의 열원부에 근접하여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온의 열에 의한 엔진의 성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디젤 산화 촉매(DOC)와 디젤 입자 필터(DPF)를 상호 연결해주는 연결파이프를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파이프로 채용함으로써, 엔진 구동시 디젤 산화 촉매를 거쳐 디젤 입자 필터로 전달되는 진동을 상기 플렉시블한 연결파이프를 통해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디젤 입자 필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젤 입자 필터를 엔진 후방측에 위치한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엔진 구동에 따른 진동 발생시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디젤 입자 필터의 처짐 및 진동 충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수명 및 정화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 시 터보차저 측에 연결된 디젤 산화 촉매와 고정부재 측에 연결된 디젤 입자 필터를 분리하여 엔진으로부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고, 아울러, 엔진 케이스를 가공하거나 기존의 엔진룸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고정부재를 추가 설치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엔진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가 취부되는 엔진룸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엔진룸 내부를 차체의 후방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을 Y-Z 평면 방향으로 바라본 정면도.
도 5는 도 3을 X-Z 평면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을 Y-Z 평면 방향을 향해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을 X-Z 평면 방향을 향해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는 트랙터의 엔진룸(미도시)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일산화 탄소(CO) 및 탄화수소(HC)를 제거하는 디젤 산화 촉매(DOC; Diesel Oxidation Catalyst, 이하 'DOC' 라고 한다)(210)와,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M; 매연을 포함한 다양한 입자상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디젤 입자 필터(DPF; Diesel Particulate Filter, 이하 'DPF' 라고 한다)(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DOC(210)와 DPF(220)는 서로 독립적인 구조물 형태로 분리 구성되어 연결파이프(230)를 통해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의 DOC(210)는 엔진(120)의 배기매니폴드(노란색 커버로 감싸진 부분)(140) 상부에서 엔진(120)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DPF(220)는 엔진(120)의 일측에 위치한 플라이휠 하우징(130)의 상부에서 상기 DOC(210)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DOC(210)는 DPF(220)보다 높은 상부측 위치상에 수직으로 배치되는데, 이들 DOC(210)와 DPF(220)는 수직으로 다수 회 절곡된 형태를 갖는 연결파이프(230)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파이프(230)는 자유롭게 굽힘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된 연결파이프(230)는 엔진(12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DOC(210)를 거쳐 DPF(220)로 곧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DOC(2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상기 연결파이프(230)에서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충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엔진(120) 주변의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연결파이프(230)를 자유롭게 변형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파이프(230)의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고온의 열이 외부로 쉽게 발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파이프(230)의 외부를 적절한 절연수단을 통해 절연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DOC(210)의 하부 일측에는 배기가스 유입구(212)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212)는 하부의 배기매니폴드(140)측과 직결된 터보차저(150)와 상하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터보차저(Turbo Charger)(150)는 엔진(120)의 배기매니폴드(140)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내부의 터빈 휠을 회전시키고, 이와 동일 축에 연결된 컴프레셔 휠을 회전시켜 유입공기를 강제로 압축하여 연소실로 밀어 넣어 엔진의 출력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DPF(220)는 엔진(120) 후방측 위치된 플라이휠 하우징(130) 상부에 2개의 브라켓(250)(260)을 통해 고정 및 지지된다. 참고로, 엔진(120)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 4의 경우에서 보게 되면, 좌측이 엔진(120)의 전방 쪽이 되고, 우측이 엔진(120)의 후방 쪽이 된다.
상기 DPF(220)를 플라이휠 하우징(130)의 상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로서,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130)의 상단측에 고정되는 하우징 브라켓(250)과, 상기 DPF(220)를 상기 하우징 브라켓(250)의 일측에 마운팅하는 마운팅 브라켓(26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브라켓(250)은 "ㄷ"자 형태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하우징 브라켓(250)은 플라이휠 하우징(13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의 양쪽 측면부를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130)의 양 측면부에 볼트 체결하여 결합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260)은 "ㄱ"자 형태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그의 한쪽 단부는 플라이휠 하우징(130)의 상단에 고정된 하우징 브라켓(250)의 일 측면부에 볼트 체결되고, 그의 다른 쪽 단부는 DPF(220)의 저면부에 볼트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ㄱ"자 구조의 마운팅 브라켓(260) 내측 절곡부에는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리브(2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DPF(220)는 상기 2개의 브라켓(250)(260)을 통해 플라이휠 하우징(130)의 상단부에 견고한 구조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 시 상기 터보차저(150) 측에 연결된 DOC(210)와 상기 마운팅 브라켓(260) 측에 연결된 DPF(220)를 분리하여 엔진(120)으로부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엔진(120) 구동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배기매니폴드(140) 측과 연결된 터보차저(15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터보차저(150)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후 상기 터보차저(150)와 연결된 DOC(210)의 배기가스 유입구(212)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입되어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 내부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 내부로 공급된 배기가스는 DOC(210)와 및 DPF(220)를 거쳐서 정화된 후 대기 중으로 최종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를 구성하는 DOC(210)와 DPF(220)를 서로 독립된 구조물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DOC(210)를 엔진(120)의 배기매니폴드(140) 상부에서 엔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DPF(220)를 엔진(120)의 플라이휠 하우징(130)의 상부에서 상기 DOC(210)와 수직하게 배치하여, 연결파이프(230)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의 하중을 한 곳에 집중됨 없이 엔진(120) 상부의 적절한 위치에 분산시켜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엔진룸 내부에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의 레이아웃(layout)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엔진룸 내부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의 DOC(210)와 DPF(220)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파이프(230)를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파이프로 구성함에 따라, 엔진(120) 구동시 상기 DOC(210)로부터 DPF(220)로 전달되는 진동을 상기 연결파이프(230)에서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DPF(220)가 진동에 의해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의 DPF(220)를 엔진(120) 후방측의 플라이휠 하우징(130) 상부에 고정된 브라켓(250)(260)을 통해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라켓(250)(260)을 통해 상기 DPF(220)의 처짐 및 진동 충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필요 시 상기 터보차저(150) 측에 연결된 DOC(210)와 상기 마운팅 브라켓(260) 측에 연결된 DPF(220)를 분리하여 엔진(120)으로부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20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120 : 엔진 130 : 플라이휠 하우징
140 : 배기매니폴드 150 : 터보차저
200 :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210 : 디젤 산화 촉매(DOC)
212 : 배기가스 유입구 220 : 디젤 입자 필터(DPF)
230 : 연결파이프 250 : 하우징 브라켓
260 : 마운팅 브라켓 262 : 리브

Claims (6)

  1.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 배기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엔진에 취부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디젤 산화 촉매(DOC)와 디젤 입자 필터(DPF)를 서로 독립적인 구조물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디젤 산화 촉매(DOC)를 엔진의 배기매니폴드 상부에서 엔진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디젤 입자 필터(DPF)를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디젤 산화 촉매(DOC)와 수직하게 배치하여, 연결파이프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젤 산화 촉매(DOC)와 상기 디젤 입자 필터(DPF)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수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젤 산화 촉매(DOC)의 배기가스 유입구는 배기매니폴드와 수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젤 입자 필터(DPF)를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플라이휠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브라켓과;
    상기 디젤 입자 필터(DPF)를 상기 하우징 브라켓의 일측에 고정하는 마운팅 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KR1020120092507A 2012-08-23 2012-08-23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KR10143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507A KR101439120B1 (ko) 2012-08-23 2012-08-23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507A KR101439120B1 (ko) 2012-08-23 2012-08-23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826A true KR20140026826A (ko) 2014-03-06
KR101439120B1 KR101439120B1 (ko) 2014-09-11

Family

ID=5064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507A KR101439120B1 (ko) 2012-08-23 2012-08-23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1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623A1 (ko) * 2014-06-09 2015-12-1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차량
KR20180059878A (ko) * 2016-02-19 2018-06-05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장치
CN109209571A (zh) * 2018-11-16 2019-01-1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后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1085B2 (ja) * 2007-08-01 2012-08-1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101324B2 (ja) 2008-02-07 2012-12-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NOx低減装置の配設構造
KR20110000286U (ko) * 2009-07-03 2011-01-11 대동공업주식회사 다목적 운반차량의 배기장치
KR20110104298A (ko) * 2010-03-16 2011-09-22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출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623A1 (ko) * 2014-06-09 2015-12-1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차량
KR20180059878A (ko) * 2016-02-19 2018-06-05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장치
CN109209571A (zh) * 2018-11-16 2019-01-1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后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120B1 (ko)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182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US8141535B2 (en) Exhaust system device with mounting bracket
US8887493B2 (en) Fitting portion structure of device for post-processing exhaust gas in agricultural operation vehicle
US9453326B2 (en) Work machine
US8739918B2 (en) Exhaust systems for vehicles
JP5653585B2 (ja) エンジン装置
KR20110058806A (ko) 엔진 장치
KR101439120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KR101458803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JP2005320907A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2013189980A (ja) エンジン装置
WO2010101018A1 (ja) エンジン装置
KR101969969B1 (ko) 콤바인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CN108116226B (zh) 具有声学部件布置在后桥总成之前的排放线路的机动车辆
JP2013160145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101260764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
KR20170135566A (ko) 콤바인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배치구조
KR101260775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
KR20140014477A (ko) 콤바인
KR20140012260A (ko) 산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취부구조
JP5909098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20120052511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
JP5989155B2 (ja) エンジン装置
JP5872301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20110104298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출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