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194A -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194A
KR20140026194A KR1020120093292A KR20120093292A KR20140026194A KR 20140026194 A KR20140026194 A KR 20140026194A KR 1020120093292 A KR1020120093292 A KR 1020120093292A KR 20120093292 A KR20120093292 A KR 20120093292A KR 20140026194 A KR20140026194 A KR 20140026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nformation
payment
payment information
delive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315B1 (ko
Inventor
고재우
위태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315B1/ko
Priority to PCT/KR2013/007583 priority patent/WO2014030966A1/en
Priority to CN201380044507.0A priority patent/CN104584044A/zh
Priority to EP13181581.3A priority patent/EP2701113A3/en
Priority to EP18179942.0A priority patent/EP3413256A1/en
Priority to US14/010,045 priority patent/US9639405B2/en
Publication of KR2014002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1Interprogram communication via adapters, e.g. between incompatible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1Access to banking information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게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상기 결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변환하여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LEM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게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 및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PC나 PDA, 스마트 폰, PMP, MP3 플레이어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가 보급되고 있으며, 각 디바이스에는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디바이스에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내의 각종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바이스가 디바이스에 설치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를 디바이스에 설치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제 정보와 연관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상기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게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된 결제 정보와 연관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상기 결제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팝업 창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사용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결제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칼렌더 애플리케이션, 가계부 애플리케이션,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실행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수신된 결제 정보와 연관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상기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결제 정보와 연관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결정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상기 결제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팝업 창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전달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사용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전달 정보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변환된 전달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칼렌더 애플리케이션, 가계부 애플리케이션,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상기 제 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POS 단말(2000)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를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 정보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애플리케이션, 전달 정보,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 및 데이터의 타입를 나타내는 전달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애플리케이션에서 전달 정보가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애플리케이션,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전달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은 디바이스(1000) 및 POS 단말(20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POS 단말(200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근접함에 따라 POS 단말(20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제 정보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결제와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물품의 명칭, 서비스의 명칭, 결제 날짜, 결제 시간, 판매자 정보, 서비스 제공자 정보 및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약 정보는, 예를 들어, 영화 또는 연극과 같은 공연의 관람 예약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POS 단말(20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모바일 지갑과 같이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POS 단말(2000)로부터 결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POS 단말(2000)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바이스(1000)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결제 정보를 제공할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매칭된 애플리케이션 및 수신된 결제 정보에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 정보는 결제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이며, 전달 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가 이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변환된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디바이스(1000)가 POS 단말(20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는 별도의 서버(미도시)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결제 정보 이외의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거나 서버(미도시)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결제 정보 이외의 다양한 정보는, 예를 들어, 위치 정보, 시간 정보, 경로 정보, 교통 정보, 및 사용자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랩톱,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서 디바이스(10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디바이스(10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단계 S200에서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1000)에 설치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디바이스(1000)는 실행된 제 1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결제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디바이스(10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결제와 관련된 결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라면, 디바이스(1000)는 위치 정보, 경로 정보 및 교통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디바이스(10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가 결제 정보인 경우에, 결제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은, 가계부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애플리케이션, 및 칼렌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가 위치 정보인 경우에,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지도 애플리케이션, 지하철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 및 버스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획득된 정보에 매칭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중인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매칭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매칭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디바이스(10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제공한다. 전달 정보는 획득된 정보 중에서 제 2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될 수 있는 정보이며, 획득된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획득한 정보가 물품의 명칭, 서비스의 명칭, 결제 날짜, 결제 시간, 판매자 정보, 서비스 제공자 정보, 예약 정보,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매칭되는 전달 정보는, 물품의 명칭, 서비스의 명칭, 및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전달 정보를 입력 값으로 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전달 정보의 형식을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이용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고, 형식이 변환된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 또는 별도의 서버(미도시)로부터 미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이용 가능한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코덱 정보, 파일의 확장자명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종류의 TTS(Text to Speech) 기술 및 STT(Speech to Text) 기술이 데이터의 변환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동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캡쳐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전달 정보를 서버(미도시)에게 제공하고, 서버(미도시)에 의해 형식이 변환된 전달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전달 정보,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 가능한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정보를 서버(미도시)에게 제공하고, 서버(미도시)에게 전달 정보의 변환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전달 정보의 형식을 변환하는 서버(미도시)는, 예를 들어, SNS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 콘텐츠 제공 서버,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POS 단말(2000)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를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이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POS 단말(20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디바이스(10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모바일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310에서 디바이스(1000)는 POS 단말(2000)에 근접함에 따라, POS 단말(20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는 별도의 서버(미도시)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제 정보는, 예를 들어, 물품의 명칭, 서비스의 명칭, 결제 날짜, 결제 시간, 판매자 정보, 서비스 제공자 정보 및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디바이스(1000)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는 외부 기기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단계 S32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제 정보와 관련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디바이스(1000)는 결제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수신된 결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은, 결제 정보를 이용하는 가계부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애플리케이션 및 칼렌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결제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애플리케이션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매칭할 수 있으며, 매칭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S330에서 디바이스(10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S3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제 정보로부터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하고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의 종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이라면,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결제 정보 중에서 가계부의 작성에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구매 물품, 결제 금액, 구매 날짜, 구매 시간,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칼렌더에 기록되는 일정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구매 물품 정보 및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SNS 애플리케이션이라면, SNS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구매 물품 정보, 구매 날짜 정보, 구매 시간 정보 및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30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이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결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하고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한다. 단계 S302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304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이 목록을 표시한다.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은 별도의 팝업창을 통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 빈도에 따라 정렬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306에서 디바이스(10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08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단계 S322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한다. 단계 S322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가계부 애플리케이션, 칼렌더 애플리케이션 및 SNS 애플리케이션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324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확인한다. 디바이스(1000)는 수신된 결제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에 매칭된 전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이라면,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구매 물품, 결제 금액, 구매 날짜, 구매 시간,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구매 물품 정보 및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SNS 애플리케이션이라면, SNS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구매 물품 정보, 구매 날짜 정보, 구매 시간 정보 및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26에서 디바이스(10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결제 정보에 포함된 전달 정보의 종류에 따라 추출된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를 추천할 수 있으며, 추천된 애플리케이션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정보가 구매 물품 정보, 구매 날짜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구매 물품 정보, 구매 날짜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이용하는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및 SNS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결제 정보가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디바이스(1000)는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은 별도의 팝업창을 통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계 S328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 정보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이용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변환된 전달 정보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입력 값이 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 정보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단계 S332에서 디바이스(1000)는 실행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결제 정보로부터 추출한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이라면, 디바이스(1000)는 구매 물품, 결제 금액, 구매 날짜, 구매 시간,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결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디바이스(1000)는 구매 물품 정보 및 예약 정보를 결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SNS 애플리케이션이라면, 디바이스(1000)는 구매 물품 정보, 구매 날짜 정보, 구매 시간 정보 및 예약 정보를 결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종류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이라면, 디바이스(1000)는 사진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결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디바이스(1000)는 사진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결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SNS 애플리케이션이라면, 디바이스(1000)는 동영상 데이터, 사진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결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334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한다.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이용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정보를 미리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 또는 별도의 서버(미도시)로부터 미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이용 가능한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코덱 정보, 파일의 확장자명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종류의 TTS(Text to Speech) 기술 및 STT(Speech to Text) 기술이 데이터의 변환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동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캡쳐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전달 정보를 서버(미도시)에게 제공하고, 서버(미도시)에 의해 형식이 변환된 전달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전달 정보,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 가능한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정보를 서버(미도시)에게 제공하고, 서버(미도시)에게 전달 정보의 변환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전달 정보의 형식을 변환하는 서버(미도시)는, 예를 들어, SNS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 콘텐츠 제공 서버,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336에서 디바이스(1000)는 변환된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한다.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변환된 전달 정보를 입력 값으로 이용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애플리케이션, 전달 정보,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700에서 디바이스(10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결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결제 내역에 관한 정보 또는 영수증 파일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별도의 팝업 창을 통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결제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디바이스(10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결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별도의 팝업 창을 통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디바이스(1000)는 전달 정보를 설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전달 정보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전달 정보의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의 명칭, 서비스의 명칭, 결제 날짜, 결제 시간, 판매자 정보, 서비스 제공자 정보, 예약 정보,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이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물품의 명칭 및 예약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목록을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에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전달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전달 정보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전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 및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내는 전달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 정보 테이블은 제 1 애플리케이션 필드(80), 제 2 애플리케이션 필드(82), 전달 정보 필드(84) 및 데이터 타입 필드(8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 필드(80)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이 기록되며, 제 2 애플리케이션 필드(82)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 필드(80)에는 “모바일 지갑”이 기록되고, 제 2 애플리케이션 필드(82)에는 “가계부”, “칼렌더” 및 “SNS”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이력을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한 정보를 이용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1000)가 생성하는 정보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1000)가 생성하는 정보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전달 정보 필드(84)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될 전달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전달 정보 필드(84)에는 결제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이면, 전달 정보 필드(84)에는 구매 물품, 결제 금액, 구매 날짜, 구매 시간, 판매자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0)가 POS 단말(2000) 또는 서버(미도시)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결제 정보 중 구매 물품, 결제 금액, 구매 날짜, 구매 시간, 판매자 정보를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타입 필드(86)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데이터의 타입이 기록될 수 있다. 데이터 타입 필드(86)에는 동영상, 사진, text, 음성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타입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이면, 데이터 타입 필드(86)에는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이 이용 가능한 데이터 타입인 “사진”, 및 “text”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타입 필드(86)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코덱 정보 및 파일의 확장자명이 기록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애플리케이션에서 전달 정보가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 1 디바이스(1000)가 POS 단말(20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면, 디바이스(1000)는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 정보(예를 들어, 물품명, 결제 날짜 및 결제 금액)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전달 정보를 이용하여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하고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전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2/5/3”, “영화 A”, 및 “8,000원”이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기록되고 표시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 1 디바이스(1000)가 POS 단말(20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면, 디바이스(1000)는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 정보(예를 들어, 물품명, 예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전달 정보를 이용하여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하고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전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단위의 일정표의 “5/5” 필드에 “영화 A, XX 극장, 18:00”가 기록되고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 1 디바이스(1000)가 POS 단말(20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면, 디바이스(1000)는 SN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SNS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 정보(예를 들어, 영화명, 영화 포스터 이미지, 예약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SNS 애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전달 정보를 이용하여 SNS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하고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전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애플리케이션의 채팅창에 “5/5 18:00에 상영하는 영화 A를 예매함”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애플리케이션,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전달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은 결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1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결제 내역에 관한 정보 또는 영수증 파일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모바일 지갑” 및 “가계부”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모바일 지갑”을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12(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은, POS 단말(200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및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매칭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가계부”, “칼렌더” 및 “SNS”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칼렌더”를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12(c)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전달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달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데이터 목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목록은 선택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이용 가능한 데이터의 목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선택된 경우에, 전달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물품명”, “예약 정보”, 및 “결제 날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한 전달 정보로서, “물품명”, 및 “예약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애플리케이션 결정부(1100),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00), 정보 획득부(1300), 전달 정보 결정부(1400), 전달 정보 변환부(1500), 정보 제공부(1600), DB(1700), 송수신부(1800) 및 제어부(1900)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결정부(11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애플리케이션 결정부(1100)는 디바이스(1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결정부(1100)는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결정부(1100)는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결정부(1100)는 결제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확인된 애플리케이션 중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결정부(1100)는 확인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목록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결정부(1100)는 결제 정보에 포함된 전달 정보의 종류에 따라 확인된 애플리케이션 중 일부를 추천할 수 있으며, 추천된 애플리케이션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정보가 구매 물품 정보, 구매 날짜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구매 물품 정보, 구매 날짜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이용하는 가계부 어플리케이션 및 SNS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결제 정보가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디바이스(1000)는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은 별도의 팝업창을 통하여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후술할 정보 획득부(1300)가 POS 단말(2000) 또는 서버(미도시)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00)는 결제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00)는 결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13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결제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정보 획득부(13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결제와 관련된 결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가 POS 단말(2000)에 근접함에 따라, 정보 획득부(1300)는 POS 단말(20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정보 획득부(1300)는 별도의 서버(미도시)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제 정보는, 예를 들어, 물품의 명칭, 서비스의 명칭, 결제 날짜, 결제 시간, 판매자 정보, 서비스 제공자 정보 및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정보 결정부(14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전달 정보를 결정한다. 전달 정보 결정부(14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전달 정보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전달 정보 결정부(14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전달 정보의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의 명칭, 서비스의 명칭, 결제 날짜, 결제 시간, 판매자 정보, 서비스 제공자 정보, 예약 정보,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이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물품의 명칭 및 예약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목록을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에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전달 정보 결정부(140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전달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달 정보 결정부(14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되는 전달 정보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전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전달 정보 변환부(15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한다. 전달 정보 변환부(1500)는 추출된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이용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 정보 변환부(15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정보를 미리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 정보 변환부(15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 또는 별도의 서버(미도시)로부터 미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이용 가능한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코덱 정보, 파일의 확장자명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달 정보 변환부(1500)는 데이터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종류의 TTS(Text to Speech) 기술 및 STT(Speech to Text) 기술이 데이터의 변환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동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캡쳐하여 정지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달 정보 변환부(1500)는 전달 정보를 서버(미도시)에게 제공하고, 서버(미도시)에 의해 형식이 변환된 전달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달 정보 변환부(1500)는 전달 정보,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값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 가능한 데이터의 형식에 관한 정보를 서버(미도시)에게 제공하고, 서버(미도시)에게 전달 정보의 변환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전달 정보의 형식을 변환하는 서버(미도시)는, 예를 들어, SNS (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 콘텐츠 제공 서버, 쇼핑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정보 제공부(16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 제공부(1600)는 변환된 전달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다.
DB(1700)는 디바이스(1000)가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POS 단말(200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기 위한 각종의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부(18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POS 단말(200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기 위한 각종의 정보를 POS 단말(2000) 또는 서버(미도시)와 송수신한다.
제어부(1900)는 디바이스(10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디바이스(1000)가 제 1 애플리케이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POS 단말(2000)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결정부(1100),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00), 정보 획득부(1300), 전달 정보 결정부(1400), 전달 정보 변환부(1500), 정보 제공부(1600), DB(1700), 및 송수신부(180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게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가능하도록 상기 결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변환하여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될 전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달 정보의 형식을 변환하는 것인, 결제 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전달 정보를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서버에 의해 형식이 변환된 전달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것인, 결제 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결제 정보와 연관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것인, 결제 정보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상기 결제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인 것인, 결제 정보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것인, 결제 정보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팝업 창을 통하여 출력되는 것인, 결제 정보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칼렌더 애플리케이션, 가계부 애플리케이션,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결제 정보 제공 방법.
  9.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실행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수신된 결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상기 결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변환하는 전달 정보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정보 변환부는, 상기 결제 정보로부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할 전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달 정보의 형식을 변환하는 것인,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정보 변환부는, 상기 추출된 전달 정보를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서버에 의해 형식이 변환된 전달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디바이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결제 정보와 연관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결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결정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것인,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는 상기 결제 정보 중에서 선택된 정보인 것인,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전달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것인,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팝업 창을 통하여 출력되는 것인, 디바이스.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칼렌더 애플리케이션, 가계부 애플리케이션,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17.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게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변환하여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 제공 방법.
  18.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9. 제 17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93292A 2012-08-24 2012-08-24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11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292A KR101911315B1 (ko) 2012-08-24 2012-08-24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3/007583 WO2014030966A1 (en) 2012-08-24 2013-08-2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lement information
CN201380044507.0A CN104584044A (zh) 2012-08-24 2013-08-23 用于提供结算信息的系统和方法
EP13181581.3A EP2701113A3 (en) 2012-08-24 2013-08-2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lement information
EP18179942.0A EP3413256A1 (en) 2012-08-24 2013-08-2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lement information
US14/010,045 US9639405B2 (en) 2012-08-24 2013-08-26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lemen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292A KR101911315B1 (ko) 2012-08-24 2012-08-24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194A true KR20140026194A (ko) 2014-03-05
KR101911315B1 KR101911315B1 (ko) 2018-10-24

Family

ID=4908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292A KR101911315B1 (ko) 2012-08-24 2012-08-24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39405B2 (ko)
EP (2) EP2701113A3 (ko)
KR (1) KR101911315B1 (ko)
CN (1) CN104584044A (ko)
WO (1) WO20140309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009B1 (ko) * 2022-01-10 2022-11-11 정유빈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 공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9774B1 (en) 2017-11-20 2024-05-21 Wells Fargo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igital trusted data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0590B1 (en) * 1998-03-30 2002-04-09 Orac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pplication program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view
US6847384B1 (en) * 1998-05-14 2005-01-25 Autodesk, Inc. Translating objects between software applications which employ different data formats
US6775359B1 (en) * 1999-12-28 2004-08-10 Comverse Ltd. Voice reply to incoming e-mail messages, via e-mail
US20050182617A1 (en) 2004-02-17 2005-08-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utomated actions on recognized text strings in a computer-generated document
KR20050106597A (ko) * 2004-05-06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금융거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101077710B1 (ko) * 2004-09-20 2011-10-27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가계부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한가계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838162A (zh) * 2005-03-21 2006-09-27 吕理志 记帐系统
US20060271634A1 (en) * 2005-05-25 2006-11-30 England Laurence E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processing a message with dispatchers
CN101253486A (zh) * 2005-08-31 2008-08-27 富士通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和程序
KR100682719B1 (ko) * 2005-09-05 2007-02-1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가계부 연동서비스 방법
KR100782734B1 (ko) 2006-05-24 2007-12-0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보안 감시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US7805403B2 (en) * 2007-01-07 2010-09-28 Apple Inc. Synchronization methods and systems
KR20090025936A (ko) * 2007-09-07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일정 관리방법
CN102160061B (zh) * 2008-08-20 2014-04-09 X卡控股有限公司 安全智能卡系统
US20100082445A1 (en) * 2008-09-30 2010-04-01 Apple Inc. Smart menu options
JP2010124319A (ja) * 2008-11-20 2010-06-03 Sony Corp イベントカレンダー表示装置、イベントカレンダー表示方法、イベントカレンダー表示プログラム及びイベント情報抽出装置
CN101833817B (zh) * 2009-03-11 2014-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非接触电子支付中实现应用选择的方法及终端
KR101081944B1 (ko) 2009-10-19 2011-11-09 김선대 스마트카드와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CN102129607A (zh) * 2010-01-20 2011-07-20 朱浩 一种利用手机进行个人财务管理的方法
US20110191160A1 (en) * 2010-01-29 2011-08-0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obile payment device for conducting transactions associated with a merchant offer program
US20110202864A1 (en) * 2010-02-15 2011-08-18 Hirsch Michael B Apparatus and methods of receiving and acting on user-entered information
US20120131645A1 (en) * 2010-11-18 2012-05-24 Harm Michael W User Scriptable Server Initiated User Interface Creation
US20150172393A1 (en) * 2011-07-29 2015-06-18 Google Inc. Temporal Location Sharing
US20130144738A1 (en) * 2011-12-01 2013-06-06 Spenzi, Inc. Gifting and Sharing Using SMS Messages for Shared Coupon/Gift-Card Auto-Redemption and Multi-Source Payment from Buyer's Mobile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009B1 (ko) * 2022-01-10 2022-11-11 정유빈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 공유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3132425A1 (en) * 2022-01-10 2023-07-13 Jung Yubi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13256A1 (en) 2018-12-12
EP2701113A2 (en) 2014-02-26
KR101911315B1 (ko) 2018-10-24
CN104584044A (zh) 2015-04-29
WO2014030966A1 (en) 2014-02-27
US20140059565A1 (en) 2014-02-27
US9639405B2 (en) 2017-05-02
EP2701113A3 (en)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89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ing services
TWI556181B (zh) 用於由無線通訊賦能的促銷與商業交易的方法、行動運算裝置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US20160019553A1 (en) Information interaction in a smart service platform
US10452233B2 (en) Information interactive platform, system and method
EP2860683A1 (en) User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system comprising same, and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thereof
US20170372387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ush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CN108550055B (zh) 基于地理位置的广告信息推送方法及系统
JP2020013409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JP2020013407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US20230007061A1 (en)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in timeline area, object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CN111415178A (zh) 用户权益信息提供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20013406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JP2020013408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US201600267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recommending exchanging of digital assets
Ho et al. Leveraging NFC and LBS technologies to improve user experiences
KR20140026194A (ko)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0593A (ko) 전화번호와 연관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140033672A (ko)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30033501A (ko) 모바일 멤버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58922B1 (ko) 문자 기반 상담 서비스의 가맹점 검색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8960810B (zh) 卡片写入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30142225A (ko) 엔에프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쿠폰 제공방법
KR20160069176A (ko)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316827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a Linked Dispatch System
KR20140047211A (ko) 사용자별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