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024A -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024A
KR20140026024A KR1020120092911A KR20120092911A KR20140026024A KR 20140026024 A KR20140026024 A KR 20140026024A KR 1020120092911 A KR1020120092911 A KR 1020120092911A KR 20120092911 A KR20120092911 A KR 20120092911A KR 20140026024 A KR20140026024 A KR 20140026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ircuit
unit
supply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120092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6024A/ko
Publication of KR2014002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IR 수신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의 회로에 있어서, 회로 본체의 전단 인입부에 설치되며, AC 전원공급부(200)로부터 AC 전원을 입력받아 DC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AC 전원공급부(200)와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LINE)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스위칭 동작을 하기 위한 릴레이부(120), 릴레이부(120)에 대하여 접속선(LINE)의 단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130), 리모콘 수신 기능을 가지며 IR 수신시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하여 제어부(130)로 하여금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IR 수신부(140), 및 제어부(130)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부(150)로 이루어지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Circuit for the home appliances capable of blocking the standby power}
본 발명은 대기 전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가전제품에 구비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R 수신을 통한 원격조종이 필요한 TV와 같은 가전제품에 있어서 IR 수신에 필요한 대기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교류(AC)를 직류(DC)로 전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SMPS)에 대한 전력 부하를 제거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가전제품들은 IR 수신을 통한 원격조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전제품들은 대기전력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있다. 예를 들면, TV는 1W 미만, 가정용 비디오폰은 5W 미만으로 설계되고 있다. TV의 경우 종래의 회로설계에 의하면 TV 내부의 CPU의 기본 동작만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리모콘 수신을 위한 IR 수신기 정도만 동작되도록 평상시에 다른 부분의 전원을 차단하여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고 리모콘 수신 신호가 들어오면 TV가 동작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리모콘 수신기나 CPU의 기본 동작에 필요한 전력소모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가 계속하여 동작되고 있다. 그러나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이를 통한 전원공급이 조금이라도 이루어지는 경우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자체에 대한 부하전력 소모도 함께 발생되는 바, 이에 따른 전력소모도 국가적인 차원에서 큰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리모콘 수신을 위하여 가전제품의 회로 본체 내부로 전달되는 전류의 인입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소모를 차단할 수 있으면서 제품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콘 수신을 위하여 가전제품의 회로 본체 내부로 전달되는 전류의 인입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소모를 완전히 차단하면서 제품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IR 수신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의 회로에 있어서, 회로 본체의 전단 인입부에 설치되며, AC 전원공급부(200)로부터 AC 전원을 입력받아 DC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AC 전원공급부(200)와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LINE)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스위칭 동작을 하기 위한 릴레이부(120), 릴레이부(120)에 대하여 접속선(LINE)의 단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130), 리모콘 수신 기능을 가지며 IR 수신시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하여 제어부(130)로 하여금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IR 수신부(140), 및 제어부(130)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부(150)로 이루어지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가 제공된다.
여기서, 보조전원부(150)는 IR 수신부(140)에 입력되는 IR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130)가 릴레이부(120)로 하여금 접속선(LINE)을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충전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전원부(150)는 AC 전원공급부(200)로부터 인입되는 전류를 충전하여 제어부(130)로 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전원부(150)는 정류를 위한 다이오드 브리지와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전원부(150)에 대한 충전 전원은 제어부(130)에 의하여 출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시에만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는 AC 전원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전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릴레이부(120)는 릴레이 소자 또는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릴레이부(120)가 AC 전원공급부(200)와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LINE)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릴레이부(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이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저전력 소모의 CPU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R 수신부(140)는 적외선 수신 기능을 가지며 가전제품 전체 회로에 대한 구동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수신부로서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조전원부(150)에 대한 충전 전원은 항상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130)에 의하여 출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시에만 공급되기 때문에 평상시, 즉 대기전원시에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의 구동이 정지되어 IR 수신부(140)의 대기 동작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전력소모의 부하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가 회로 본체의 인입부의 최선단부에 구비되어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와 관계없이 대기전력 콘트롤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IR 수신부(140)와 제어부(130)의 구동을 위한 전원공급이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를 경유하지 않고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에 대한 대기의 부하 전력소모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는 회로 본체의 전단 인입부에 설치되며 AC 전원공급부(200)로부터 AC 전원을 입력받아 DC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AC 전원공급부(200)와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LINE)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스위칭 동작을 하기 위한 릴레이부(120), 릴레이부(120)에 대하여 접속선(LINE)의 단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130), 리모콘 수신 기능을 가지며, IR 수신시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하여 제어부(130)로 하여금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IR 수신부(140), 및 제어부(130)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부(1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AC 전원공급부(200)는 통상적으로 가정으로 공급되는 220V의 교류 전원으로 이루어진다.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는 AC 전원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전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이루어진다.
한편, 릴레이 소자로 이루어진 릴레이부(120)가 AC 전원공급부(200)와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LINE)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접속되어, AC 전원공급부(200)와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사이의 전원 공급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릴레이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신호를 받아 AC 전원공급부(200)와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사이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릴레이부(120)는 릴레이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스위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위칭 제어소자로 이루어져도 좋다.
제어부(130)는 릴레이부(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이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저전력 소모의 CPU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130)는 IR 수신부(140)에 접속되어 IR 수신 신호의 입력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IR 수신부(140)는 적외선 수신 기능을 가지며 가전제품 전체 회로에 대한 구동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수신부로서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전원부(150)는 제어부(130)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로서 AC 전원공급부(200)로부터 인입되는 미세한 전류를 충전하여 제어부(130)로 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조전원부(150)에 충전되는 전원은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에 대한 부하전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제어부(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대기 전력에 따른 전력소모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보조전원부(150)는 IR 수신부(140)에 입력되는 IR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130)가 릴레이부(120)로 하여금 접속선(LINE)을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충전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보조전원부(150)는 브리지 다이오드와 충전을 위한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조전원부(150)에 대한 충전 전원은 항상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130)에 의하여 출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시에만 공급되기 때문에 평상시, 즉 대기전원시에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의 구동이 정지되어 IR 수신부(140)의 대기 동작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전력소모의 부하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다.
110: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
120: 릴레이부
130: 제어부
140: IR 수신부
150: 보조전원부
LINE: 접속선

Claims (10)

  1. IR 수신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의 회로에 있어서,
    회로 본체의 전단 인입부에 설치되며, AC 전원공급부(200)로부터 AC 전원을 입력받아 DC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AC 전원공급부(200)와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LINE)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스위칭 동작을 하기 위한 릴레이부(120);
    릴레이부(120)에 대하여 접속선(LINE)의 단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130);
    리모콘 수신 기능을 가지며 IR 수신시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하여 제어부(130)로 하여금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IR 수신부(140); 및
    제어부(130)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부(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전원부(150)는 IR 수신부(140)에 입력되는 IR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130)가 릴레이부(120)로 하여금 접속선(LINE)을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충전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보조전원부(150)는 AC 전원공급부(200)로부터 인입되는 전류를 충전하여 제어부(130)로 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보조전원부(150)는 정류를 위한 다이오드 브리지와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전원부(150)에 대한 충전 전원은 제어부(130)에 의하여 출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시에만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는 AC 전원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전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릴레이부(120)는 릴레이 소자 또는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릴레이부(120)가 AC 전원공급부(200)와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부(110)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선(LINE)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릴레이부(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이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저전력 소모의 CPU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IR 수신부(140)는 적외선 수신 기능을 가지며 가전제품 전체 회로에 대한 구동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수신부로서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KR1020120092911A 2012-08-24 2012-08-24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KR20140026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911A KR20140026024A (ko) 2012-08-24 2012-08-24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911A KR20140026024A (ko) 2012-08-24 2012-08-24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024A true KR20140026024A (ko) 2014-03-05

Family

ID=5064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911A KR20140026024A (ko) 2012-08-24 2012-08-24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60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731B1 (ko) * 2020-02-24 2021-08-1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731B1 (ko) * 2020-02-24 2021-08-1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474B1 (ko)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KR101494822B1 (ko)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US20160273792A1 (en) Low-power consumption standby circuit devic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TW201407914A (zh) 電子裝置及其電源控制方法
KR101671482B1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EP1223752A2 (en) Automatic mains switch device
KR20140026024A (ko)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가지는 가전제품에 대한 회로
KR101123735B1 (ko)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CN110308686B (zh) 电器设备控制器及其驱动方法、电器设备
US20090008228A1 (en) Power saving device for power source
KR101657228B1 (ko) 에어컨디셔너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CN104600511A (zh) 一种基于微处理器的红外线遥控信号解码方式的电源连接装置
JP2012222991A (ja) 電源回路
CN202795223U (zh) 一种消除可红外遥控开关电器电源待机功耗的控制电路
US10396591B2 (en) Standby control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laying apparatus
KR20130074428A (ko) 자가발전 기능을 갖는 리모콘 중계장치
KR102367297B1 (ko) 대기 전력 차단 기능을 지닌 전기 기기
KR101617518B1 (ko) 절전형 분전반
JP2010010755A (ja) テレビ放送信号伝送システム、電源装置及び信号処理装置
KR102221815B1 (ko) 리모콘 및 스마트폰으로 제어 가능한 조명 스위치
CN101997427B (zh) 具光感应控制的电源系统及其控制方法
JP6488053B1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6066566B2 (ja) 直流給電システム用の家電製品、制御手段、dc/dcコンバータ、並びにac/dcコンバータ
EP2933899B1 (en)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22853B1 (ko) 세척장치 및 그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