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113A -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113A
KR20140025113A KR1020120091319A KR20120091319A KR20140025113A KR 20140025113 A KR20140025113 A KR 20140025113A KR 1020120091319 A KR1020120091319 A KR 1020120091319A KR 20120091319 A KR20120091319 A KR 20120091319A KR 20140025113 A KR20140025113 A KR 20140025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ful
content
unit area
analysis
bas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9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5113A/ko
Priority to US13/933,069 priority patent/US20140058993A1/en
Publication of KR20140025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2Knowledge representation; Symbol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6Computer malware detection or handling, e.g. anti-virus arrangements
    • G06F21/566Dynamic detection, i.e. detection performed at run-time, e.g. emulation, suspicious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25Just-in-time application of countermeasures, e.g., on-the-fly decryption, just-in-time obfuscation or de-obfus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의 모든 영역에 대해 유해 판단을 하지 않고, 유해 부분을 가진 컨텐츠가 재생될 경우, 유해 부분이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재생이 지속되는 컨텐츠 재생 특성을 이용해 컨텐츠의 일부 영역만 유해 판단하여 유해 컨텐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및 방법{High speed deci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bjectionable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분석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컨텐츠 유해 여부에 대한 고속 판단을 위해서는 해쉬 기반의 판단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는 알려진 유해 컨텐츠에 대해 해쉬값을 구해 이를 DB화 하고, 컨텐츠 유해 여부를 분석할 컨텐츠에 대해 해쉬값을 구해 이 해쉬값을 미리 DB화된 해쉬값과 비교하여 유해한 컨텐츠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해쉬값이 미리 DB에 구현된 유해 컨텐츠의 판단에는 매우 빠른 속도를 보이지만, 새로운 유해 컨텐츠 즉, DB로 구현되지 않은 유해 컨텐츠에 대해서는 판단할 수 없는 치명적이 단점이 있으며, 매일 새로운 컨텐츠가 홍수처럼 쏟아지는 현재의 컨텐츠 서비스 환경에서는 해쉬 기반의 판단만으로는 부족한 면이 많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출원인 및 발명자에 의해 선출원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0667호(2012. 07. 03)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특성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유해성 판단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유해 부분을 가진 컨텐츠가 재생될 경우, 유해 부분이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재생이 지속되는 컨텐츠 재생 특성을 이용해 컨텐츠에 대해 기본단위 구간별로 지역적 유해성을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컨텐츠 재생 특성을 이용한 컨텐츠 유해 판단 기술을 이용해 보다 효과적으로 컨텐츠 유해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0667호(2012. 07. 03)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유해 부분을 가진 컨텐츠가 재생될 경우, 유해 부분이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재생이 지속되는 컨텐츠 재생 특성을 이용해 유해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현재 기본단위 영역이 유해하다 판단된 경우에는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하고, 유해하지 않다 판단된 경우에는 특정수의 기본단위 영역만큼 쉬프트한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하여 컨텐츠에 대한 유해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의 모든 영역에 대해 유해 판단을 하지 않고, 유해 부분을 가진 컨텐츠가 재생될 경우, 유해 부분이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재생이 지속되는 컨텐츠 재생 특성을 이용해 컨텐츠의 일부 영역만 유해 판단하여 유해 컨텐츠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유해 컨텐츠에 대한 고속 판단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는 컨텐츠를 기본단위 영역으로 나눈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다 판단된 경우의 다음 분석단위 영역 결정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지 않다 판단된 경우의 다음 분석단위 영역 결정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잔여된 기본단위 영역 개수가 특정수 미만이어서 다음 기본단위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분석단위 영역 결정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방법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100)는 단위 영역 유해 분석부(110)와, 분석단위 영역 결정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위 영역 유해 분석부(11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기본단위 영역들 중에서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된 기본단위 영역에 대한 유해 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분석단위 영역에 대한 유해 여부를 판단한다.
도 2 는 컨텐츠를 기본단위 영역으로 나눈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컨텐츠 파일 크기가 40초이고, 컨텐츠를 구성하는 기본단위를 1초로 정의했다면, 해당 컨텐츠는 40개의 기본단위 영역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단위 영역 유해 분석부(110)가 미리 정의된 유해 패턴 데이터와, 분석단위 영역 데이터를 비교함에 의해 분석단위 영역에 대한 유해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미리 정의된 유해 패턴 데이터가 바이러스 패턴 데이터, 해킹 패턴 데이터 등일 수 있다.
단위 영역 유해 분석부(110)는 유해 분석을 시작할 시작 기본단위부터 분석단위 영역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되는 분석단위 영역들에 대한 유해 여부를 판단한다.
분석단위 영역 결정부(120)는 단위 영역 유해 분석부(110)에 의해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다 판단된 경우에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하고, 유해하지 않다 판단된 경우에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수의 기본단위 영역만큼 쉬프트한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한다.
한편, 분석단위 영역 결정부(120)가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다 판단되어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시,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컨텐츠를 구성하는 마지막 기본단위 영역이어서 다음 기본단위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분석단위 영역 결정을 종료한다.
한편, 분석단위 영역 결정부(120)가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지 않다 판단되어 특정수의 기본단위 영역만큼 쉬프트한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시, 잔여된 기본단위 영역 개수가 특정수 미만이어서 다음 기본단위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분석단위 영역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100)가 시작위치 결정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작위치 결정부(130)는 유해 분석을 맨 처음 시작하는 시작 기본단위를 결정한다.
예컨대, 시작위치 결정부(130)가 컨텐츠를 구성하는 기본단위 영역들 중 첫번째 기본단위 영역을 유해 분석을 맨 처음 시작하는 시작 기본단위로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면, 단위 영역 유해 분석부(110)는 시작위치 결정부(130)에 의해 결정된 시작 기본단위부터 분석단위 영역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되는 분석단위 영역들에 대한 유해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100)가 기본단위 영역수 계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본단위 영역수 계산부(140)는 컨텐츠를 기본단위 영역 크기로 나누어, 해당 컨텐츠가 몇 개의 기본단위 영역으로 구성되는지 기본단위 영역수를 계산한다. 예컨대, 기본단위 영역수 계산부(140)에 의해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가 기본단위 영역 크기로 나누어 기본단위 영역수가 계산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100)가 유해비율 계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해비율 계산부(150)는 기본단위 영역수 계산부(140)에 의해 계산된 컨텐츠의 기본단위 영역수와, 단위 영역 유해 분석부(110)에 의해 유해하다 판단된 분석단위 영역수를 비교하여 유해비율을 계산한다.
예컨대, 기본단위 영역수 계산부(140)에 의해 계산된 컨텐츠의 기본단위 영역수가 40개이고, 단위 영역 유해 분석부(110)에 의해 유해하다 판단된 분석단위 영역수가 12개라면, 유해비율 계산부(150)에 의해 계산되는 유해비율이 (12 / 40) * 100% = 30%이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100)가 컨텐츠 유해 판단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유해 판단부(160)는 유해비율 계산부(150)에 의해 계산된 유해비율이 임계치 이상일 경우, 해당 컨텐츠를 유해 컨텐츠로 판단한다.
만일, 임계치가 30%이고, 유해비율 계산부(150)에 의해 계산된 유해비율이 50%라면, 컨텐츠 유해 판단부(160)는 해당 컨텐츠를 유해 컨텐츠로 판단한다. 한편, 임계치가 30%이고, 유해비율 계산부(150)에 의해 계산된 유해비율이 10%라면, 컨텐츠 유해 판단부(160)는 해당 컨텐츠를 유해하지 않은 컨텐츠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컨텐츠의 모든 영역에 대해 유해 판단을 하지 않고, 유해 부분을 가진 컨텐츠가 재생될 경우, 유해 부분이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재생이 지속되는 컨텐츠 재생 특성을 이용해 컨텐츠의 일부 영역만 유해 판단하여 유해 컨텐츠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유해 컨텐츠에 대한 고속 판단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의 유해 컨텐츠 판단 동작을 도 6 을 참조하여 알아본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방법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기본단위 영역수 계산단계(610)에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컨텐츠를 기본단위 영역 크기로 나누어, 해당 컨텐츠가 몇 개의 기본단위 영역으로 구성되는지 기본단위 영역수를 계산한다.
그 다음, 시작위치 결정단계(620)에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유해 분석을 맨 처음 시작하는 시작 기본단위를 결정한다. 이 때, 시작위치 결정단계(620)에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컨텐츠를 구성하는 기본단위 영역들 중 첫번째 기본단위 영역을 유해 분석을 맨 처음 시작하는 시작 기본단위로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 다음, 단위 영역 유해 분석단계(630)에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결정된 시작 기본단위부터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된 기본단위 영역에 대한 유해 분석을 수행하여 각 분석단위 영역에 대한 유해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단위 영역 유해 분석단계(630)에서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미리 정의된 유해 패턴 데이터와, 분석단위 영역 데이터를 비교함에 의해 분석단위 영역에 대한 유해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미리 정의된 유해 패턴 데이터가 바이러스 패턴 데이터, 해킹 패턴 데이터 등일 수 있다.
한편, 분석단위 영역 결정단계(640)에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단위 영역 유해 분석단계(630)에 의해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다 판단된 경우에는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하고, 유해하지 않다 판단된 경우에는 특정수의 기본단위 영역만큼 쉬프트한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한다.
이 때, 분석단위 영역 결정단계(640)에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다 판단되어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시,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컨텐츠를 구성하는 마지막 기본단위 영역이어서 다음 기본단위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분석단위 영역 결정을 종료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분석단위 영역 결정단계(640)에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지 않다 판단되어 특정수의 기본단위 영역만큼 쉬프트한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시, 잔여된 기본단위 영역 개수가 특정수 미만이어서 다음 기본단위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현재 분석단위 영역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다 판단된 경우, 유해비율 계산단계(650)에서 기본단위 영역수 계산단계(610)에 의해 계산된 컨텐츠의 기본단위 영역수와, 단위 영역 유해 분석단계(630)에 의해 유해하다 판단된 분석단위 영역수를 비교하여 유해비율을 계산한다.
그리고, 컨텐츠 유해 판단단계(660)에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유해비율 계산단계(650)에 의해 계산된 유해비율이 임계치 이상일 경우, 해당 컨텐츠를 유해 컨텐츠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컨텐츠의 모든 영역에 대해 유해 판단을 하지 않고, 유해 부분을 가진 컨텐츠가 재생될 경우, 유해 부분이 어느 정도 시간 동안 재생이 지속되는 컨텐츠 재생 특성을 이용해 컨텐츠의 일부 영역만 유해 판단하여 유해 컨텐츠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유해 컨텐츠에 대한 고속 판단이 가능하여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컨텐츠 유해 판단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110 : 단위 영역 유해 분석부
120 : 분석단위 영역 결정부 130 : 시작위치 결정부
140 : 기본단위 영역수 계산부 150 : 유해비율 계산부
160 : 컨텐츠 유해 판단부

Claims (12)

  1. 컨텐츠를 구성하는 기본단위 영역들 중에서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된 기본단위 영역에 대한 유해 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분석단위 영역에 대한 유해 여부를 판단하는 단위 영역 유해 분석부와;
    단위 영역 유해 분석부에 의해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다 판단된 경우에는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하고, 유해하지 않다 판단된 경우에는 특정수의 기본단위 영역만큼 쉬프트한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하는 분석단위 영역 결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분석단위 영역 결정부가: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다 판단되어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시,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컨텐츠를 구성하는 마지막 기본단위 영역이어서 다음 기본단위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분석단위 영역 결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분석단위 영역 결정부가: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지 않다 판단되어 특정수의 기본단위 영역만큼 쉬프트한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시, 잔여된 기본단위 영역 개수가 특정수 미만이어서 다음 기본단위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현재 분석단위 영역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유해 분석을 맨 처음 시작하는 시작 기본단위를 결정하는 시작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시작위치 결정부가:
    컨텐츠를 구성하는 기본단위 영역들 중 첫번째 기본단위 영역을 유해 분석을 맨 처음 시작하는 시작 기본단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컨텐츠를 기본단위 영역 크기로 나누어, 해당 컨텐츠가 몇 개의 기본단위 영역으로 구성되는지 기본단위 영역수를 계산하는 기본단위 영역수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기본단위 영역수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컨텐츠의 기본단위 영역수와, 단위 영역 유해 분석부에 의해 유해하다 판단된 분석단위 영역수를 비교하여 유해비율을 계산하는 유해비율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유해비율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유해비율이 임계치 이상일 경우, 해당 컨텐츠를 유해 컨텐츠로 판단하는 컨텐츠 유해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9.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컨텐츠를 기본단위 영역 크기로 나누어, 해당 컨텐츠가 몇 개의 기본단위 영역으로 구성되는지 기본단위 영역수를 계산하는 기본단위 영역수 계산단계와;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유해 분석을 맨 처음 시작하는 시작 기본단위를 결정하는 시작위치 결정단계와;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결정된 시작 기본단위부터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된 기본단위 영역에 대한 유해 분석을 수행하여 각 분석단위 영역에 대한 유해 여부를 판단하는 단위 영역 유해 분석단계와;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다 판단된 경우에는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하고, 유해하지 않다 판단된 경우에는 특정수의 기본단위 영역만큼 쉬프트한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하는 분석단위 영역 결정단계와;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다 판단된 경우, 컨텐츠의 기본단위 영역수와, 유해하다 판단된 분석단위 영역수를 비교하여 유해비율을 계산하는 유해비율 계산단계와;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계산된 유해비율이 임계치 이상일 경우, 해당 컨텐츠를 유해 컨텐츠로 판단하는 컨텐츠 유해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분석단위 영역 결정단계에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다 판단되어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시,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컨텐츠를 구성하는 마지막 기본단위 영역이어서 다음 기본단위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분석단위 영역 결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분석단위 영역 결정단계에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현재 분석단위 영역이 유해하지 않다 판단되어 특정수의 기본단위 영역만큼 쉬프트한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시, 잔여된 기본단위 영역 개수가 특정수 미만이어서 다음 기본단위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현재 분석단위 영역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기본단위 영역을 다음 분석단위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시작위치 결정단계에서: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가 컨텐츠를 구성하는 기본단위 영역들 중 첫번째 기본단위 영역을 유해 분석을 맨 처음 시작하는 시작 기본단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방법.
KR1020120091319A 2012-08-21 2012-08-21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40025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19A KR20140025113A (ko) 2012-08-21 2012-08-21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및 방법
US13/933,069 US20140058993A1 (en) 2012-08-21 2013-07-01 High-speed deci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mful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19A KR20140025113A (ko) 2012-08-21 2012-08-21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113A true KR20140025113A (ko) 2014-03-04

Family

ID=5014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319A KR20140025113A (ko) 2012-08-21 2012-08-21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58993A1 (ko)
KR (1) KR201400251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921A1 (ko) 2019-10-31 2021-05-06 김민석 인공지능 기반의 유해 컨텐츠 차단 장치
KR102465368B1 (ko) * 2021-11-16 2022-11-11 김민석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9713B1 (en) * 2008-07-11 2012-06-26 The Directv Group, Inc. Television advertisement monitoring system
EP2494484A4 (en) * 2009-10-31 2016-05-18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IDENTIFICATION OF POOR CODES
US8484740B2 (en) * 2010-09-08 2013-07-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ioritizing malicious website detection
KR20120067184A (ko) * 2010-12-15 2012-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
CN102567304B (zh) * 2010-12-24 2014-02-26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一种网络不良信息的过滤方法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921A1 (ko) 2019-10-31 2021-05-06 김민석 인공지능 기반의 유해 컨텐츠 차단 장치
KR20210051725A (ko) 2019-10-31 2021-05-10 김민석 인공지능 기반의 유해 컨텐츠 차단 장치
KR102465368B1 (ko) * 2021-11-16 2022-11-11 김민석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58993A1 (en)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19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ltering objectionable content
US936978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one or more advertisement breaks in a media content stream
WO2019006939A1 (zh) 弹幕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6658226B (zh) 一种播放方法及装置
CN102348049B (zh) 检测视频片断切点位置的方法及装置
US200702018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back videos at speeds adapted to content
US114385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ideo contents automatically technical field
JP2009520275A5 (ko)
JP2011504034A5 (ko)
RU2646532C2 (ru) Способ представления цифрового мультимедийного контента и устройство
FI3852377T3 (fi) Menetelmiä ja järjestelmiä mediaresurssien täydentämiseksi pikahakutoistotoimintojen aikana
US20130347109A1 (en) Techniques for Detecting Program Modifications
CN103810106A (zh) 一种测试界面流畅度的方法和装置
US8872969B1 (en) Dynamic relative adjustment of a color parameter of at least a portion of a video frame/image and/or a color parameter of at least a portion of a subtitle associated therewith prior to rendering thereof on a display unit
KR20200059303A (ko) 타임스탬프 전이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CN106027893A (zh) 控制Live Photo生成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9194955B (zh) 一种场景切换检测方法及系统
CN105657446B (zh) 一种视频中贴片广告的检测方法和装置
CN104469487A (zh) 一种场景切换点的检测方法及装置
KR20140025113A (ko)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및 방법
CN110099239B (zh) 视频标记方法、视频溯源方法、视频处理装置及存储介质
CN104822087B (zh) 一种视频段的处理方法及装置
US8014606B2 (en) Image discrimination apparatus
EP34447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ing up process, and storage medium
RU2019131467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меры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сти, связанной с аудиопоток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