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184A -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184A
KR20120067184A KR1020100128643A KR20100128643A KR20120067184A KR 20120067184 A KR20120067184 A KR 20120067184A KR 1020100128643 A KR1020100128643 A KR 1020100128643A KR 20100128643 A KR20100128643 A KR 20100128643A KR 20120067184 A KR20120067184 A KR 20120067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information
information
harmful
color
hazard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184A/ko
Priority to US13/300,226 priority patent/US20120155835A1/en
Publication of KR2012006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른 일부 구간에 대하여 유해 정도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유해 판단부; 및 상기 구간에 대한 상기 유해 판단 정보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유해도 맵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하여 유해 정도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간에 대한 상기 유해 판단 정보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harmfulness map}
본 발명은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유해 내용에 해당하는 부분과 무해 내용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 기반으로 표시한 유해도 맵을 생성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해 부분 및 유해 정도를 일목 요연하게 제공할 수 있고 유해 부분에 대한 관리 및 편집을 용이하게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무선 인터넷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또한, 인터넷을 이용하는 대상의 연령대가 점차 확대되고, 회사, 학교, 가정 등을 비롯해 다양한 방면에서 인터넷 정보의 이용 건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엄청난 양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가운데는 성적인 묘사나 폭력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유해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있으며,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무분별하게 확산되어 어린이나 청소년에게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종래에는 이를 막기 위해 유해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체를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일부를 삭제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으나, 유해성 정보 판단이 정확하지 못하여 무해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차단되거나 유해성 정보가 아닌 정보가 삭제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유해 내용에 해당하는 부분과 무해 내용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 기반으로 표시한 유해도 맵을 생성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해 부분 및 유해 정도를 일목 요연하게 제공할 수 있고 유해 부분에 대한 관리 및 편집을 용이하게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른 일부 구간에 대하여 유해 정도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유해 판단부; 및 상기 구간에 대한 상기 유해 판단 정보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유해도 맵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그래픽 정보는 빨강(R), 초록(G) 및 파랑(B)을 포함하는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하여 유해 정도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간에 대한 상기 유해 판단 정보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그래픽 정보는 빨강(R), 초록(G) 및 파랑(B)을 포함하는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유해 내용에 해당하는 부분과 무해 내용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 기반으로 표시한 유해도 맵을 생성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해 부분 및 유해 정도를 일목 요연하게 제공할 수 있고 유해 부분에 대한 관리 및 편집을 용이하게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된 2 단계 유해도 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그래픽 정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된 확률 기반 다단계 유해도 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map)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단에 멀티미디어 콘텐츠(multimedia contents)(10)가 시간적 순서로 펼쳐져 도시되어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10)는 재생 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간(11)으로 나뉘어 질 수 있으며, 왼쪽이 멀티미디어 콘텐츠(10)가 시작되는 구간이며 오른쪽이 끝나는 구간이다. 이와 같이 나누어진 구간은 유해도 맵 생성 장치(100)에 입력되고, 유해 정도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유해 판단 정보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100)의 유해도 맵(20)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래픽 정보는 색상 정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유해도 맵(20)은 일종의 색상 정보 바 형태의 맵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해도 맵(20)은 간단한 형태로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10)의 유해도 구성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100)는 유해 판단부(201) 및 유해도 맵 생성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유해도 맵 생성 장치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유해 판단부(201)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른 일부 구간에 대하여 유해 정도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유해 판단부(201)의 유해 정도를 판단하는 기술은 종래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으며, 유해 판단부(201)는 이러한 기술을 포함하는 유해성 판단 기술 모두를 이용하여 유해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유해 판단부(201)는 해당 구간의 유해 여부만을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해당 구간을 유해로 판단할 확률을 나타내는 유해 판단 확률에 대응하는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유해도 맵 생성부(202)는 상기 구간에 대한 상기 유해 판단 정보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해도 맵을 생성한다. 이 때, 상기 그래픽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구간들의 유해도 정보를 알아보기 쉽게 표시한 것이며,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래픽 정보는 빨강(R; Red), 초록(G; Green) 및 파랑(B; Blue)을 포함하는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유해도 맵 생성부(202)는 상기 구간이 유해하면 제1 색상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구간이 무해하면 상기 제1 색상 정보와 상이한 제2 색상 정보로 표시하여 상기 유해도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구간들은 제1 색상 정보는 빨강으로 표시하고 제2 색상 정보는 초록으로 표시하였으나, 색상 정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색상 정보는 주황으로 표시하고 제2 색상 정보는 파랑으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만일 유해 판단부(201)에서 생성된 유해 판단 정보가 해당 구간의 유해 여부만을 판단한 것이라면, 유해도 맵 생성부(202)는 유해한 것으로 판단된 구간에 대해 제1 색상 정보, 무해한 것으로 판단된 구간에 대해 상기 제1 색상 정보와 상이한 제2 색상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해도 맵 생성부(202)에서 생성된 유해도 맵은 2 단계 유해도 맵이 될 것이다. 이 때,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구간들에 대하여 유해 여부를 알기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만일 유해 판단부(201)에서 생성된 유해 판단 정보가 해당 구간을 유해로 판단할 확률을 나타내는 유해 판단 확률에 대응하는 것이라면, 유해도 맵 생성부(202)는 유해 판단 확률이 높은 구간에 대해서는 채도가 높은 제1 색상 정보로 표시하고 유해 판단 확률(50% 부근)이 애매한 구간에 대해서는 흰색에 가까운 색으로 표시하며, 유해 판단 확률이 낮은 구간에 대해서는 채도가 높은 제2 색상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해도 맵 생성부(202)에서 생성된 유해도 맵은 확률 기반 다단계 유해도 맵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유해 판단 확률에 따라 그래픽 정보를 다양하게 표시하면 유해도 맵에서 채도가 낮은 부분 즉, 유해 판단 확률이 애매한 부분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다시 판단해 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된 2 단계 유해도 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에서 유해 판단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하여 유해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유해도 맵 생성부는 유해한 것으로 판단된 구간에 대해 제1 색상 정보, 무해한 것으로 판단된 구간에 대해 제2 색상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유해도 맵은 2 단계 유해도 맵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실시예의 유해도 맵 생성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2 단계 유해도 맵을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멀티미디어 콘텐츠(10)는 10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진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의 유해도 맵(20)에서 유해 구간은 R=255, G=0, B=0 즉, 빨강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로 표시되고, 유해하지 않은 무해 구간은 R=0, G=255, B=0 즉, 초록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의 유해도 맵(20)을 참조하면, 빨강으로 표시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가운데 부분과 끝 부분이 유해한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통해 적절한 필터링 및 관리 서비스를 적용할 수도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그래픽 정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에서 유해 판단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에 대응하는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유해도 맵 생성부는 유해 판단 확률이 높은 구간에 대해서는 채도가 높은 제1 색상 정보로 표시하고 유해 판단 확률(50% 부근)이 애매한 구간에 대해서는 흰색에 가까운 색으로 표시하며, 유해 판단 확률이 낮은 구간에 대해서는 채도가 높은 제2 색상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유해도 맵 생성부는 상기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이 p라 할 때, 상기 p가 50% < p < 100%인 경우, 상기 제1 색상 정보와 색상은 동일하나 상기 p가 작아지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제1 색상 정보보다 채도가 낮아지는 제3 색상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p가 0% < p < 50%인 경우, 상기 제2 색상 정보와 색상은 동일하나 상기 p가 커지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제2 색상 정보보다 채도가 낮아지는 제4 색상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유해도 맵은 확률 기반 다단계 유해도 맵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4는 이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그래픽 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확률 기반 다단계 유해도 맵에서는 유해, 무해 판단을 확률 기반으로 결정한다. 즉, 유해 판단 확률을 'p'라고 하였을 경우, 50% 이상의 p로 판단될 경우, 유해 부분으로 판정할 수 있고, 판단된 확률 정보도 같이 표현해 줄 수 있다. 이 때 확률 표현은 해당 색상의 채도로 표현한다. 즉, 무해와 유해의 절반 부분을 흰색(R=G=B=255)으로 하고, 유해 판단 확률이 높아질수록 G와 B를 조절하여 R의 채도를 점점 강하게 한다. 반대로 무해 판단 확률이 높아질수록, R과 B를 조절하여 G의 채도를 점점 강하게 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진한 색상 부분의 판단 결과는 신뢰하고, 옅은 색상 부분의 판단 결과는 재검사 등을 통해 2단계 기반 판단에서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50)이 100%이면 즉, 상기 구간이 유해 콘텐츠(40)이면 R=255, G=0, B=0(401) 즉, 빨강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50)이 0%이면 즉, 상기 구간이 무해 콘텐츠(30)이면 R=0, G=255, B=0(402) 즉, 초록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50)이 50%이면 R=G=B=255(403)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유해 판단 확률(50)을 p 라고 하면, 상기 p(50)가 50% < p < 100%인 경우,
Figure pat00001
(404)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제3 색상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p(50)가 0% < p < 50%인 경우,
Figure pat00002
(405)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제4 색상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된 확률 기반 다단계 유해도 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와 같은 그래픽 정보 구성을 이용하여 생성된 유해도 맵이 도시된다. 도 5에서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100)를 통해 판단된 유해 판단 확률(50)을 기반으로 유해도 맵(20)을 구성한다. 유해도 맵 생성 장치(100)에서 판단한 유해 판단 확률(50)이 도 5와 같을 때, 유해도 맵(20)은 하단과 같이 구성된다. 실제로 유해 판단 확률(50)이 아주 높거나(유해) 혹은 아주 낮을 경우(무해), 유해도 맵을 구성하는 색상 정보도 해당 정보의 색상이 높은 채도를 가지고 표시된다. 하지만, 유해 판단 확률(50)이 애매한 경우(50% 주변)에는 해당 색상 정보의 색상의 채도가 낮아 사용자는 이 부분에 대한 판단을 다시 고려할 수 있게 된다. 즉, 확률 기반 다단계 유해도 맵은 2단계 기반 유해도 맵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 조치를 하여 판단 오류에 따른 잘못된 처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유해도 맵 생성 방법은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각 단계는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변경,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방법이 시작되면, 먼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눈다(S601). 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유해도를 판정할 구간으로 나누는 것이다. 구간을 나누는 기준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하여 유해 정도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한다(S602). 이 때,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하여 유해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에 대응하는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도 있다.
유해 판단 정보가 생성되면(S602), 상기 구간에 대한 상기 유해 판단 정보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해도 맵을 생성한다(S603). 이 때, 상기 그래픽 정보는 빨강(R), 초록(G) 및 파랑(B)을 포함하는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도 맵 생성 장치와 유사하게 유해도 맵 생성 과정이 진행되므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2에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에서도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순서도의 각 단계들은 모든 단계가 필수 단계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단계가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전술한 유해도 맵 생성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Claims (20)

  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른 일부 구간에 대하여 유해 정도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유해 판단부; 및
    상기 구간에 대한 상기 유해 판단 정보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유해도 맵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정보는 빨강(R), 초록(G) 및 파랑(B)을 포함하는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해 판단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하여 유해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해도 맵 생성부는,
    상기 구간이 유해하면 제1 색상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구간이 무해하면 상기 제1 색상 정보와 상이한 제2 색상 정보로 표시하여 상기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상 정보는 R=255, G=0, B=0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이고, 상기 제2 색상 정보는 R=0, G=255, B=0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해 판단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시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에 대응하는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해도 맵 생성부는,
    상기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이 100%이면 제1 색상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이 0%이면 상기 제1 색상 정보와 상이한 제2 색상 정보로 표시하며, 상기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이 50%이면 흰색으로 표시하여 상기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상 정보는 R=255, G=0, B=0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이고, 상기 제2 색상 정보는 R=0, G=255, B=0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이며, 상기 흰색은 R=G=B=255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해도 맵 생성부는,
    상기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이 p라 할 때,
    상기 p가 50% < p < 100%인 경우, 상기 제1 색상 정보와 색상은 동일하나 상기 p가 작아지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제1 색상 정보보다 채도가 낮아지는 제3 색상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p가 0% < p < 50%인 경우, 상기 제2 색상 정보와 색상은 동일하나 상기 p가 커지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제2 색상 정보보다 채도가 낮아지는 제4 색상 정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색상 정보는
    Figure pat00003
    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이고, 상기 제4 색상 정보는
    Figure pat00004
    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장치.
  1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하여 유해 정도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간에 대한 상기 유해 판단 정보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그래픽 정보로 표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정보는 빨강(R), 초록(G) 및 파랑(B)을 포함하는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하여 유해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간이 유해하면 제1 색상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구간이 무해하면 상기 제1 색상 정보와 상이한 제2 색상 정보로 표시하여 상기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상 정보는 R=255, G=0, B=0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이고, 상기 제2 색상 정보는 R=0, G=255, B=0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구간 중 일부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에 대응하는 유해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이 100%이면 제1 색상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이 0%이면 상기 제1 색상 정보와 상이한 제2 색상 정보로 표시하며, 상기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이 50%이면 흰색으로 표시하여 상기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상 정보는 R=255, G=0, B=0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이고, 상기 제2 색상 정보는 R=0, G=255, B=0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이며, 상기 흰색은 R=G=B=255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유해도 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구간에 대한 유해 판단 확률이 p라 할 때,
    상기 p가 50% < p < 100%인 경우, 상기 제1 색상 정보와 색상은 동일하나 상기 p가 작아지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제1 색상 정보보다 채도가 낮아지는 제3 색상 정보로 표시하고, 상기 p가 0% < p < 50%인 경우, 상기 제2 색상 정보와 색상은 동일하나 상기 p가 커지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제2 색상 정보보다 채도가 낮아지는 제4 색상 정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3 색상 정보는
    Figure pat00005
    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이고, 상기 제4 색상 정보는
    Figure pat00006
    으로 색상을 조합한 색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도 맵 생성 방법.
KR1020100128643A 2010-12-15 2010-12-15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20067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643A KR20120067184A (ko) 2010-12-15 2010-12-15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
US13/300,226 US20120155835A1 (en) 2010-12-15 2011-11-18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harmfulness ma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643A KR20120067184A (ko) 2010-12-15 2010-12-15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184A true KR20120067184A (ko) 2012-06-25

Family

ID=4623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643A KR20120067184A (ko) 2010-12-15 2010-12-15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55835A1 (ko)
KR (1) KR2012006718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113A (ko) * 2012-08-21 2014-03-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해 컨텐츠 고속 판단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8693B1 (en) * 1997-09-30 2002-08-20 Sony Corporation Modular broadcast receiver system and memo
US6408128B1 (en) * 1998-11-12 2002-06-18 Max Abecassis Replaying with supplementary information a segment of a video
US8327401B2 (en) * 2009-07-28 2012-12-04 Eldon Technology Limited Alteration of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based on ratings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5835A1 (en)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12093T3 (es) Dispositivo de generación de datos, método de generación de datos, programa de generación de datos y medio de grabación
US20170091317A1 (en) Location correlation between query script and data flow
CN107562467A (zh) 页面渲染方法、装置及设备
JP5651773B2 (ja) 文字表示方法及び装置
CN105407323B (zh) 一种监控视频的分屏方法及装置
ATE392829T1 (de) Farbsimuliersystem zum haarfärben
CN103235719B (zh) 建立网站的方法和装置
CN105955754B (zh) 一种用户界面文字显示方法及装置
US9813762B2 (en) Creating hash values indicative of differences in images
CN106022010A (zh) 一种文件展示方法及装置
KR20120067184A (ko) 유해도 맵 생성 장치 및 방법
CN106507079A (zh) 一种色彩还原方法和装置
Xu et al. Gamut mapping based image enhancement algorithm for color deficiencies
US9600905B2 (en) Color-scheme determination device, color-scheme determination method, and color-scheme determination program
Park et al. Refined CIECAM02 for bright surround conditions
US20190080156A1 (en) Ensuring a desired distribution of images in a multimedia document utilizing facial signatures
CN104703034A (zh) 一种视频播放进度的显示方法及装置
CN107092622A (zh) 一种评论信息的展示方法及装置
Maass et al. Depth cue of occlusion information as criterion for the quality of annotation placement in perspective views
Uyanik et al. Interfacing real-time ozone information
Sokal et al. High-quality AR lipstick simulation via image filtering techniques
Daigle (Post) Production: Classifications and Infrastructures of Digital Visual Effects
KR20200039169A (ko) 멀티 뎁스 이미지 표시 장치 및 방법
CN103049303B (zh) 一种swf文件解析方法及装置
US20180218520A1 (en) Circular Visual Re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