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596A - 자동 압착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압착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596A
KR20140024596A KR1020120090726A KR20120090726A KR20140024596A KR 20140024596 A KR20140024596 A KR 20140024596A KR 1020120090726 A KR1020120090726 A KR 1020120090726A KR 20120090726 A KR20120090726 A KR 20120090726A KR 20140024596 A KR20140024596 A KR 20140024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late
filter plate
plates
filte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521B1 (ko
Inventor
김영수
남옥지
Original Assignee
김영수
남옥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남옥지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20090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5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2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003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28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5/282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5/285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using inflat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0Feeding devices ;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B01D25/34Removal of the filter cakes by moving, e.g. rotating, the filter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압착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필터판 사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여과 필터를 설치하여 무한궤도를 따라 순환시킴은 물론 링크를 통해 의해 서로 연결된 필터판들의 이동이 균일하고 안정적이어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여과 필터에 부착된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판에 오폐수를 공급하는 유입구 및 필터링을 통해 깨끗해진 여과액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각각 필터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어서, 각 필터판 별로 독립적으로 오폐수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 공정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최적화된 개수의 필터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압착필터 장치{Automatic Filter Press}
본 발명은 공정액(오폐수 등)을 여과시키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필터판 사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여과 필터를 설치하여 무한궤도를 따라 순환시킴은 물론 링크를 통해 의해 서로 연결된 필터판들의 이동이 균일하고 안정적이어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여과 필터에 부착된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판에 공정액을 공급하는 유입구 및 필터링을 통해 깨끗해진 여과액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각각 필터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어서, 각 필터판 별로 독립적으로 공정액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 공정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최적화된 개수의 필터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착 여과 탈수기인 압착필터('필터 프레스'라고도 함)는 산업 또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즉, 공정액)로부터 슬러리(slurry)를 효과적으로 가압, 탈수시켜 저함수율을 갖는 케익 형태로 성형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폐수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리의 해양투기 및 매립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압착필터와 같은 고액분리 및 탈수장치의 제반 시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압착필터는 일반적으로 오폐수처리 시스템을 통과한 후 배출되는 슬러리를 가압 밀착된 필터판 사이로 유입시킴으로써, 필터판에 구비된 여과포(즉, 여과 필터)에 의해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여과를 마친 여과액은 외부로 배출되고, 여과포에 침착된 슬러지(sludge)는 가압 및 탈수 공정을 거쳐 케익 형태로 된 후 별도로 처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1과 같이 한국공개특허 제2002-82047호에서는 필터판마다 여과포가 부착 혹은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매 공정시 여과포를 각각 교체하는 작업이 어렵다는 이유로 필터판(80) 사이를 지그재그 순환하는 여과포(90)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매 공정이 끝나면 여과포(90)를 순환시켜 사용되지 않은 부분이 필터판(80) 사이에 오도록 함으로써 매번 여과포(90)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함은 물론, 여과포(90)에 부착된 슬러지의 제거 및 세척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일정 싸이클 이상 여과포(90)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슬러지 제거를 위해 필터판(80)들을 서로 이격시킬 때 각 필터판(80)들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300)에 의해 모든 필터판(80)을 잡아당기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모든 필터판(80)에 균일하게 힘이 전달되지 않고 필터판(80)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일부는 필터판(80)과 여과포(90)가 충분히 이격됨에 따라 여과포(90)와 필터판(80) 사이에서 압착됨에 따라 여과포(90)에 침착되어 있던 슬러지가 탈리되지만, 그 반대로 필터판(80)과 여과포(90)가 충분이 이격되지 않은 것은 슬러지의 탈리가 이루어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와이어(300)를 잡아당기는 최초의 힘은 압착판(34)이 뒤로 후퇴하면서 여과포(90)를 잡아당기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여과포(90)의 손상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여과포(90)에서 와이어(300)로 충분한 힘이 전달되지 못하므로 여과판(80) 사이의 간격이 충분하지 못하고 균일하지도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크래들(50)의 상부 일측에는 순환중인 여과포(90)를 세정액이나 공기로 세정하는 세정수단(12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세정수단(120)에 여과포(90)를 통과시켜 세정하면 세정시 발생한 오염물질이 그 하부로 낙하하여 다른 부분의 여과포(90)나 필터판(80)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도 2와 같이 압착필터들은 보통 한국등록특허 제801907호처럼 여과 공정시 서로 간에 압착 및 밀폐되는 여과판(즉, 필터판)(4)의 전면이나 후면에 다수의 공정액 공급공과 여과액 배출공을 구비하고, 그 상태에서 각 여과판(4)의 공정액 공급공들이 서로 연통되게 하였다.
따라서, 최외각 공정액 공급공을 통해 슬러리가 투입되면 나머지 여과판(4)의 공정액 공급공으로 슬러리가 흘러들어가서 모든 여과판(4) 내부에 슬러리가 공급되고, 공급된 슬러리가 여과판(4)의 전면이나 후면에 부착된 여과포를 통과하여 분출되는 과정에서 여과가 이루어졌다. 여과를 마친 여과액은 여과액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특히 공정액 공급공을 여과판(4)의 전면이나 후면에 형성하고 여과판들을 서로 밀착시 각 공정액 공급공들이 연결되게 함으로써 여과 공정시 전면과 후면이 서로 밀착되는 복수개의 여과판들 모두에 슬러리를 공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여과 및 탈수 효과가 매우 떨어지고 불균일함은 물론, 공정 시간도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여과 공정시 모든 여과판(4)에 동시에 슬러리가 공급되기 때문인데, 어느 하나의 여과판(4)이 막히는 등의 이유로 성능이 저하되면 그 후방에 있는 나머지 여과판(4)에도 슬러리가 공급되지 못하고, 또한 모든 여과판(4)에 슬러리가 채워지지 않으면 압력이 부족하여 슬러리가 강한 힘으로 분출되지 않아서 여과포를 통과하면서 적절한 여과 공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복수개의 필터판 사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여과 필터를 설치하여 무한궤도를 따라 순환시킴은 물론 링크를 통해 의해 서로 연결된 필터판들의 이동이 균일하고 안정적이어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여과 필터에 부착된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판에 공정액을 공급하는 유입구 및 필터링을 통해 깨끗해진 여과액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각각 필터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어서, 각 필터판 별로 독립적으로 공정액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 공정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최적화된 개수의 필터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는 장치를 구성하는 몸체와; 복수개가 나란히 세워진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여과 공정을 위해 서로 간에 밀착시 이웃하는 것과 접촉되지 않는 측면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필터판과; 여과 공정시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 중 최외각에 배치된 필터판을 밀어 상기 필터판들이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들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정액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하는 여과 필터 및 상기 여과 필터를 무한궤도를 따라 순환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순환식 여과 필터부와; 상기 필터판의 유입구로 상기 슬러지가 혼합되어 있는 공정액을 공급하는 공정액 공급부; 및 상기 여과 필터에 의해 걸러진 여과액을 상기 필터판의 배출구를 통해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액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정액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정액은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판은 서로 분리된 제1판과 제2판이 한 세트로 이루어진 복식 필터판 또는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단식 필터판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복식 필터판의 경우 제1판의 측면에는 상기 유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제2판의 측면에는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식 필터판의 경우 상기 단식 필터판의 측면에 각각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식 필터판의 경우 상기 제1판의 전면에는 상기 유입구로 공급된 공정액이 상기 제1판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내부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홈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판의 후면에는 상기 여과액이 유입되며 상기 제2판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내부 유로를 통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식 필터판의 경우, 상기 단식 필터판의 전면에는 상기 유입구로 공급된 공정액이 상기 단식 필터판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내부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홈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는 상기 여과액이 유입되며 상기 단식 필터판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내부 유로를 통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는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간부 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받아 부풀어 오르는 공기 주머니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순환식 여과 필터부는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로울러와; 상기 구동 로울러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있는 종동 로울러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 중 홀수 번째 필터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지지 로울러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 중 짝수 번째 필터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 지지 로울러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 필터에 텐션을 가하는 텐션 로울러; 및 상기 구동 로울러와, 종동 로울러 및 텐션 로울러에 걸쳐져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 로울러들과 하부 지지 로울러들 사이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상기 여과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들은 서로 이웃한 필터판끼리 필터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 링크에는 일측 필터판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 및 타측 필터판의 측면에 결합되며 체결구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길이가 긴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 중 최전방에 배치된 필터판을 가압하며 가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가압 구동판 및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 중 최후방에 배치된 필터판을 지지하는 가압 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 구동판과 상기 최전방에 배치된 필터판은 구동판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 지지판과 최후방에 배치된 필터판은 지지판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판 링크와 지지판 링크에는 체결구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각각 상기 필터판의 이동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무한 궤도를 따라 순환하는 여과 필터에 고압 공기나 세척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사하는 세척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판의 하부에는 상기 여과 필터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긁어 제거하는 에지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복수개의 필터판 사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여과 필터를 설치하여 무한궤도를 따라 순환시킴은 물론 링크를 통해 의해 필터판들을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든 필터판의 이동이 균일하고 안정적이어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여과 필터에 부착된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부에 설치된 세척부를 통해 세정액이나 고압 공급를 분출함으로써 오염된 여과 필터를 세정함에 따라 장치의 타 구성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여과 필터를 세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판에 공정액을 공급하는 유입구 및 필터링을 통해 깨끗해진 여과액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각각 필터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각 필터판 별로 독립적으로 공정액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 공정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최적화된 개수의 필터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여과포 이송형 압착필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압착필터의 여과판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필터판 이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필터판 압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여과 필터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필터판 이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필터판 압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필터판을 나타낸 제1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필터판을 나타낸 제2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필터판을 나타낸 제3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필터판을 나타낸 제4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필터판을 나타낸 제5실시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에지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슬러지 제거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는 각종 오폐수나 슬러리(slurry)와 같은 여과 대상 목적물을 '공정액'이라 하고, 공정액에 포함되었다가 걸러지는 부유물 등을 '슬러지(sludge)'라 하며, 공정액에서 슬러지가 제거된 것을 '여과액'이라고 하나, 이러한 명칭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3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는 몸체(210)와, 그 측면에 유입구(IN)와 배출구(OUT)가 설치되어 있는 필터판(220)과, 필터판(220)을 가압하여 서로 간에 밀착시키는 가압부(230)와, 필터판(220)들 사이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된 여과 필터(241)를 구비한 순환식 여과 필터부(240)와, 유입구(IN)에 공정액을 공급하는 공정액 공급부(250) 및 배출구(OUT)에서 출수된 여과액을 배출시키는 여과액 배출부(260)를 포함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들 이외에 필터판(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여과 필터(241)에 침착되어 있는 슬러지(S)를 긁어 제거하는 에지 플레이트(246)와, 본 발명의 압착필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270) 및 몸체(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여과 필터(241)를 향해 고압 공기나 세척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사하는 세척부(2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21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각종 구성이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도 4a와 같이 몸체(210)에는 나란히 이격된 한 쌍의 측판(211)이 있고, 도 3c와 같이 각 측판(211)에는 일 예로 필터판(220)의 측면에 돌출된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슬라이딩 가이드(211a)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210)의 측판(211) 사이에 복수개의 필터판(220)들이 세워진 상태로 나란히 조립되고, 각 필터판(220)의 양측부가 슬라이딩 가이드(211a)에 조립되어 서로 밀착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3a와 같이 몸체(210)의 하부에는 작업 지지대(212)가 구비된다.
필터판(220)은 여과 필터(241)가 그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밀착 및 밀폐되고, 그 밀폐된 필터판(220) 사이로 공정액이 공급되면 공정액에 포함된 슬러지(S)가 여과 필터(241)에 의해 걸러지게 하는 것으로, 슬러지(S)는 필터판(220) 사이의 공간에 남겨지고 여과액만 외부로 유출되게 한다. 즉, 오폐수인 공정액의 기계적 압착 여과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를 위해, 필터판(220)은 복수개가 나란히 세워진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210)에 설치되며, 여과 공정을 위해 서로 간에 밀착시 이웃하는 것과 접촉되지 않는 측면에 유입구(IN)와 배출구(OUT)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필터판(220)은 종래 기술과 다르게 전면과 후면이 아닌 측면에 유입구(IN)와 배출구(OUT)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판(220)은 복식 필터판(220)과 단식 필터판(도 8 참조) 중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한데, 일 예로 복식 필터판(22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a와 같이 서로 분리된 제1판(220a)과 제2판(220b)이 한 세트를 구성하며, 상기 제1판(220a)과 제2판(220b)으로 이루어진 복식 필터판(220)들이 복수개 배열된다.
도 3a의 복식 필터판(220)은 도 6을 통해 좀더 상세히 알 수 있는데, 도 6의 (a)는 제1판(220a)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b)는 제2판(220b)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복식 필터판(220)을 사용하는 경우 일 예로 제1판(220a)의 측면에 유입구(IN)가 구비되고 제2판(220b)의 측면에 배출구(OUT)가 설치된다.
또한, 제1판(220a)의 판 몸체(221a) 내부에는 유입구(IN)로 공급된 공정액이 유동할 수 있는 제1 내부 유로(223a)가 있고, 전면에는 유입구(IN)로 공급된 공정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홈 형상의 공간부(222a)('챔버'라고도 함)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내부 유로(223a)는 공간부(222a)까지 연결된어 있다.
공간부(222a)까지 연결되는 제1 내부 유로(223a)는 그 개수, 형태, 위치 등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즉, 도 6에서는 제1 내부 유로(223a)가 3개의 유로를 통해 공간부(222a)에 연결되나, 그를 초과하는 개수의 유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형상 등에도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제2판(220b)의 판 몸체(221b) 내부에는 여과액이 유동할 수 있는 제2 내부 유로(223b)가 있고, 후면에는 여과액이 유입(혹은, 흡입)되는 흡입공(222b)이 복수개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내부 유로(223b)는 흡입공(222b)과 배출구(OUT)를 연결시킨다.
따라서, 도 3b와 같이 복수개의 복식 필터판(220)들이 서로 밀착됨으로써 서로 접하는 면이 밀폐되면, 일측 필터판(220)의 제1판(220a) 전면과 타측 필터판(220)의 제2판(220b) 후면은 서로 마주보게 접하고, 제1판(220a)의 전면과 제2판(220b)의 후면 사이에는 여과 필터(241)가 삽입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액의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공정액이 유입구(IN)와, 제1 내부 유로(223a) 및 공간부(222a)를 순차 통과한 후 제1판(220a)의 공간부(222a)로 배출되면, 공정액에 포함된 슬러지(S)는 여과 필터(241)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제1판(220a)의 공간부(222a)와 여과 필터(241) 사이에 쌓이고, 슬러지(S)가 제거된 여과액은 여과 필터(241)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여과 필터(241)를 통과한 여과액은 제2판(220b)의 흡입공(222b)으로 유입된 후 제2 내부 유로(223b)를 통해 배출구(OUT)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된 여과액은 여과액 배출부(260)를 통해 수집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일정시간 여과 공정이 마친 후에는 제1판(220a)과 여과 필터(241) 사이에 수집된 슬러지(S)도 제거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필터판(220)의 측면에 공정액이 유입되는 유입구(IN)과 여과액이 배출되는 배출구(OUT)를 설치함으로써, 모든 필터판(220)이 각각 독립적으로 공정액을 공급받아 독립적인 여과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필터판(220)의 측면에 유입구(IN)와 배출구(OUT)를 설치할 수만 있으면 그 구성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도 7과 같이 복식 필터판(310a, 310b)을 적용하되, 도 7의 (a)와 같이 제1판(310a)의 판 몸체(311a) 전면에 공간부(312a)를 구비하고, 2개의 유입구(IN)와 2개의 제1 내부 유로(313a)를 구비함으로써, 동시에 2개소에서 공정액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한다.
물론, 가급적이면 그에 대응하는 제2판(310b)에도 2개소에서 동시에 여과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판 몸체(311b)의 후면에 흡입공(312b)을 구비하고, 2개의 배출구(OUT)와 2개의 제2 내부 유로(312b)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위에서는 유입구(IN)와 배출구(OUT)가 각각 2개씩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유입구(IN)는 3개 배출구(OUT)는 1개로 구성되는 등 유입구(IN)와 배출구(OUT)를 개수를 좀더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필터판(220)의 다른 예로서 상술한 복식 필터판(220) 이외에 단식 필터판도 사용될 수 있는데, 단식 필터판은 제1판(220a)과 제2판(220b)이 일체로 결합된 것으로 그 기능상 특별한 차이는 없으며, 이와 같이 일체로 이루어진 단식 필터판의 경우에는 당해 단식 필터판의 측면에 유입구(IN)와 배출구(OUT)가 각각 설치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식 필터판의 판 몸체(321) 전면에는 홈 형상의 공간부(322)를 형성하고, 후면에는 흡입공(323)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유입구(IN)와 배출구(OUT)를 하나씩 구비하며, 유입구(IN)는 제1 내부 유로(324)를 통해 공간부(322)에 연결되고, 배출구(OUT)는 제2 내부 유로(325)를 통해 흡입공(323)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물론, 도시는 생략되었지만, 이러한 단식 필터판의 경우에도 유입구(IN)와 배출구(OUT)를 각각 복수개 구비하거나, 유입구(IN)와 배출구(OUT) 중 어느 것은 1개만 구비하고 다른 것은 복수개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필터판(330)에 구비된 공간부(332) 내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받아 부풀어 오르는 공기 주머니(333)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주머니(333)는 공기 주입시 부풀어 올라 여과 필터(241)와 필터판(330) 사이에 쌓인 슬러지(S)를 더욱 압착하는 효과와 필터판(220)에 침착된 슬러지(S)가 잘 떨어지도록 여과 필터(241) 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슬러지(S)는 필터판(330)이 아닌 여과 필터(241)에만 침착되어 있다가 차후 제거되야 하는 것으로 여과 필터(241)에 침착된 슬러지(S)는 케익 상태로 압축 건조시킨 후 제거할 수 있지만, 필터판(330)에 침착된 잔여 슬러지(S)는 그 청소가 어렵기 때문이다.
예컨대, 복식 필터판(330)에 공기 주머니(333)를 설치하는 경우, 도 9의 (a)와 같이 제1판의 판 몸체(331)에는 공간부(332)가 소정 홈 형상으로 파여 있고, 상기 공간부(332)에는 공기 주머니(333)가 이탈 방지되도록 견고하게 설치(혹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공정액이 투입되는 유입구(IN)는 제1 내부 유로(334)를 통해 공간부(332)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주입구(IN_A)는 제3 내부 유로(335)를 통해 공기 주머니(333)에 연결되어 있다. 공기 주입구(IN_A)에 공급되는 공기는 제5 밸브(V5)를 통해 공급이 조절된다. 제5 밸브(V5) 자체는 공지된 다양한 타입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b)와 같이 제5 밸브(V5)를 개방하여 공기 주입구(IN_A)로 공기가 공급되면, 공기 주머니(333)가 부풀어 오르면서 제1판의 공간부(332)에 침착되어 있던 잔존 슬러지(S)를 밀어내어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 9의 (b)에는 도시 생략되어 있지만 슬러지(S)의 한 면은 여과 필터(241)에 침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유사하게 도 10과 같이 단식 필터판(340)에 공기 주머니(343)를 설치하는 경우, 공기 주머니(343)가 부풀어 오르기 전인 도 10의 (a) 및 공기 주머니(343)가 부풀어 오른 후인 도 10의 (b)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경우에도 판 몸체(341)의 전면에 형성된 공간부(342)에 공기 주머니(343)가 설치된다.
다만, 하나의 필터판(220)에 유입구(IN)와, 배출구(OUT) 및 공기 주입구(IN_A)가 모두 있는 경우, 공기 주입구(IN_A)는 유입구(IN)나 배출구(OUT)와 이격 설치되어 공기 주머니(343)에만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며, 이하 도 10의 다른 도면 부호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a로 다시 돌아가서 가압부(230)에 대해 설명하면, 가압부(230)는 여과 공정시 복수개의 필터판(220) 중 최외각에 배치된 필터판(220)을 밀어 필터판(220)들이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것으로, 가압 구동판(231)과, 가압 지지판(232) 및 가압 실린더(233)를 포함한다.
가압 구동판(231)은 복수개의 필터판(220)에 대한 최전방에 설치되고, 가압 지지판(232)은 복수개의 필터판(220)에 대한 최후방에 설치됨으로써, 가압 구동판(231)과 가압 지지판(232) 사이에 모든 필터판(220)들이 배치된다. 가압 실린더(233)의 실린더 로드는 가압 구동판(231)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압 지지판(232)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지지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컨트롤러(27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압 실린더(233)가 작동하면, 도 3b와 같이 가압 실린더(233)의 실린더 로드가 인출되면서 가압 구동판(231)이 최전방에 배치된 필터판(220)을 밀고, 그에 따라 모든 필터판(220)들이 서로 간에 밀착된다.
필터판(220)들의 전후면이 서로 밀착되면 그 사이(즉, 서로 접한 필터판의 전면과 후면 사이)가 밀폐되므로 그 내부로 공급된 공정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정액이 강한 압력으로 여과 필터(241)를 통과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압 구동판(231)과 최전방에 배치된 필터판(220)이 구동판 링크(L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가압 지지판(232)과 최후방에 배치된 필터판(220)은 지지판 링크(L2a, L2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필터판(220)들은 이웃한 필터판(220)끼리 필터 링크(L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필터 링크(L3)에는 일측 필터판(220)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 및 타측 필터판(220)의 측면에 결합되며 체결구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길이가 긴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a나 도3b와 같이 필터판(220)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회동하면서 각 필터판(220)들을 서로 연결하므로, 모든 필터판(220)들이 가압부(230)의 구동에 따라 유기적으로 움직인다.
또한, 구동판 링크(L1)와 지지판 링크(L2a, L2b)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각각 상기 필터판(220)의 이동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가압 지지판(232)을 이용해 모든 필터판(220)들이 균일한 간격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즉,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압착판(34)이 여과포(90)를 잡아당기면, 그 여과포(90)를 통해 모든 필터판(70)들이 당겨지고, 또한 필터판(70)끼리는 와이어(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여과포(90)의 파손 우려는 물론, 필터판(70)의 이격 거리가 균일하지 못하여 여과포(90)에 침착된 슬러지(S)의 제거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음에 비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다음, 순환식 여과 필터부(240)는 종래기술처럼 각 필터판(220)의 크기에 맞게 절단된 여과 필터(미도시)('여과포' 라고도 함)를 필터판(220)에 각각 부착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할 경우, 필터판(220)에 부착된 슬러지(S)를 제거하기 위해 매번 단위의 여과 필터(미도시)를 탈부착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순환식 여과 필터부(240)는 이웃하는 복수개의 필터판(220)들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공정액에 포함된 슬러지(S)를 걸러내는 여과 필터(241) 및 상기 여과 필터(241)를 무한궤도를 따라 순환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식 여과 필터부(240)의 구동부는 구동 로울러(242)와, 종동 로울러(243)와, 상부 지지 로울러(244)와, 하부 지지 로울러(245)와 및 텐션 로울러(T)를 포함한다. 여과 필터(241)는 상부 지지 로울러(244)들과 하부 지지 로울러(245)들 사이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한다.
구동 로울러(242)는 일 예로 몸체(2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 모터(M)에 의해 회전되고, 종동 로울러(243)는 상기 구동 로울러(242)에 나란하게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구동 로울러(242)와 종동 로울러(243)는 필터판(220)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서 필터판(220) 사이에 여과 필터(241)가 공급되게 한다.
또한, 상부 지지 로울러(244)는 복수개의 필터판(220) 중 홀수 번째 필터판(2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하부 지지 로울러(245)는 복수개의 필터판(220) 중 짝수 번째 필터판(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일측부터 타측까지 상부 지지 로울러(244)와 하부 지지 로울러(245)가 번갈아가며 배치된다.
또한, 여과 필터(241)는 구동 로울러(242) 및 종동 로울러(243)에 걸쳐져 설치되며, 상부 지지 로울러(244)들과 하부 지지 로울러(245)들 사이를 지그재그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며,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 로울러(T)에 의해 여과 필터(241)에 적절한 장력을 가한다.
또한, 나란히 배치된 상부 지지 로울러(244)들끼리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 링크(244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하부 지지 로울러(245)들끼리는 하부 링크(245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부 링크(244a)와 하부 링크(245a)는 각각 단부에 회동공이 있는 2개의 프레임이 힌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회동공에 각 롤러(244, 245)의 축 등을 끼워 연결하면 필터판(220)이 서로 밀착되거나 멀어지는 등 필터판(220)의 간격에 따라 상부 링크(244a)가 회동하면서 'ㅡ'자 형상으로 펴지거나(멀어진 경우), 혹은 'V'자 형상으로 굽혀지면서(가까워진 경우) 필터판(220) 끼리의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하게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순환식 여과 필터(241)에 의하면 필터판(220)들을 이격시킨 상태에서 구동 로울러(242)로 여과 필터(241)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슬러지(S)가 침착되어 있지 않은 깨끗한 부분의 여과 필터(241)가 필터판(220) 사이에 재배치되므로 바로 다음번의 여과 공정을 연속하여 시작할 수 있게 한다.
여과 필터(241)가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과정에서 필터판(220) 사이에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여과 필터(241)에 침착된 슬러지(S)는 이하에서 설명할 에지 플레이트(246)에 의해 박리되어 하측으로 낙하하고, 세척부(280)에 의해 고압 공기나 세척수에 의해 청소되므로, 그 부분을 재사용하게 된다.
공정액 공급부(250)는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판(220)의 유입구(IN)로 슬러지(S)가 혼합되어 있는 공정액을 공급하는 것으로, 공급 파이프(251)와, 일단은 상기 공급 파이프(251)에 연결되고 타단은 필터판(220)의 유입구(IN)에 연결된 공급 호스(252) 및 상기 공급 파이프(251)와 공급 호스(252)를 연결시키는 연결 플랜지(252a)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판(220)이 밀착된 상태에서 공급 파이프(251)에서 공급된 공정액이 공급 호스(252)를 통해 필터판(220)의 유입구(IN)로 전달되고, 필터판(220)의 유입구(IN)로 공급된 공정액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과가 이루어진다. 여과를 통해 슬러지(S)가 제거되고 깨끗해진 여과액은 여과액 배출부(2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급 파이프(251)에 연결된 공급 호스(252)의 개수가 필터판(220)의 개수와 동일하고, 각 공급 호스(252)는 필터판(220)의 유입구(IN)에 각각 연결되므로, 공정액 공급부(250)를 통해 공급되는 공정액이 복수개의 필터판(220)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된다.
즉, 본 발명은 공정액을 공급하는 유입구(IN)와 여과액이 배출되는 배출구(OUT)가 각각 필터판(22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그와 동시에 공정액이 복수개의 공급 호스(252)를 통해 각 필터판(220)에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물론, 공급 호스(252)에 각각 밸브(미도시)를 설치하여 공급 호스(252)별로 공정액의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필터판(220) 특성이 저하되더라도 다른 필터판(220)의 성능에 영향이 없으므로 전체로서 높은 성능을 유지함은 물론 공정 시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각 공급 호스(252)에 밸브를 설치하여 공정액의 공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면 여과 공정에 사용될 필터판(220)을 선택할 수도 있게 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유입구(IN)나 배출구(OUT)가 필터판(220)의 전면이나 후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필터판(220)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공정액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최외측에서 공급된 공정액이 모든 필터판(220)을 순차적으로 채워나가는 방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필터판(220)에 이상 발생시 전체에 영향을 미쳤음에 비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여과액 배출부(260)는 여과 필터(241)에 의해 걸러진 여과액을 필터판(220)의 배출구(OUT)를 통해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파이프(261)와, 일단은 배출 파이프(261)에 연결되고 타단은 필터판(220)의 배출구(OUT)에 연결된 배출 호스(262) 및 배출 파이프(261)와 배출 호스(262)를 연결시키는 연결 플랜지(262a)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액이 필터판(220)에 의해 여과됨으로써 깨끗해진 여과액이 필터판(220)의 배출구(OUT)를 통해 배출 호스(262)로 전달되고, 배출 호스(262)로 배출된 여과액은 배출 파이프(261)에 수집된 후 외부로 배출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여과액에 2차 처리하여 유해물질을 더욱 완벽히 제거한 후 방류할 수도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을 생략한 세척부(280)는 몸체(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무한 궤도를 따라 순환하는 여과 필터(241)를 향해 고압 공기나 세척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사함으로써, 여과 필터(241)를 깨끗이 세척한다.
여과 필터(241)에 침착된 슬러지(S)는 필터판(220)들을 이격시킨 상태에서 여과 필터(241)를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시킴에 따라 하방으로 낙하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여과 필터(241)에는 잔여 슬러지(S)나 각종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세척부(280)로 세척하는 것이다.
이에,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280)는 구동 로울러(242)가 설치된 몸체(21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 로울러(242)에 의해 회수 중인 여과 필터(241)에 고압 공기나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함으로써 그 세척한 부분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세척부(280)가 여과 필터(241)나 필터판(220)에 비해 하측에 설치되고, 그와 동시에 최외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세척수로 오염된 여과 필터(241)를 청소하고 난 후 흘러내리는 오염수 혹은 고압 공기에 의해 불려나간 미세 오염물질 등에 의해 여과 필터(241)의 다른 부분이나 필터판(22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에지 플레이트(246)(edge plate)는 필터판(220)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여과 필터(241)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S)를 긁어 제거하는 것으로, 일종의 스크래퍼(scraper) 역할을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 플레이트(246)는 일 실시예로서 하부 지지 로울러(245)의 중심축에 고정되고, 하부 지지 로울러(245)의 하측으로 약간 이격 설치되며, 여과 필터(241)에 나란히 설치된다.
따라서, 여과 필터(241)가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시 하부 지지 로울러(245)와 에지 플레이트(246) 사이를 통과하면 에지 플레이트(246)가 여과 필터(241)에 침착된 슬러지(S)를 긁어낸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30)에 의해 필터판(22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고, 그 상태에서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필터(241)를 회전시키면 여과 필터(241)가 하부 지지 로울러(245)를 전환점(turning point)으로 하여 방향 전환되므로 그것만으로도 슬러지(S)가 박리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에지 플레이트(246)를 더 구비하면 여과 필터(241)에 부착된 슬러지(S)를 더욱 확실하게 박리하여, 그 박리된 슬러지(S)가 하부로 낙하 배출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상과 같이 공정액을 공급하거나, 여과액을 배출하거나, 혹은 공기 주머니(333)나 슬러지(S)의 건조 등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용도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복수개의 밸브가 이들 유체의 유동을 단속할 필요가 있다.
이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는 제1 밸브(V1) 내지 제5 밸브(V5)를 포함한다. 다만, 유체의 공급을 단속하는 밸브 구조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이고, 또한 몸체(210)의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각 밸브의 기능을 설명한다.
제1 밸브(V1)는 공정액 공급부(250)의 공급 파이프(251)에 설치되어 필터판(220)에 공급되는 공정액의 공급을 조절하고, 제2 밸브(V2)는 여과액 배출부(260)의 배출 파이프(261)에 설치되어 필터판(220)에서 여과된 여과액의 배출을 조절한다.
제3 밸브(V3)는 제1 밸브(V1)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것으로, 제1 밸브(V1)를 닫아 공정액의 공급은 중단하고 대신 건조용 고압 공기를 공급한다. 고압 공기는 공정액과 같은 경로를 따라 유동된 후 여과 필터(241)에 침착된 슬러지(S)에 분사된다. 슬러지(S)에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함수율을 더욱 낮추기 위함이다.
제4 밸브(V4)는 제3 밸브(V3)를 개방시켜 공급한 고압의 공기가 공급 파이프(251) 등에 잔존함에 따라 다음 여과 공정에서 공정액의 공급이 방해받지 않도록 내부 공기를 방출(vent)하여 압력을 해제한다.
제5 밸브(V5)는 필터판(220)의 공기 주머니(333)에 공기를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제5 밸브(V5)를 개방하여 필터판(220)의 공간부(222a)에 설치된 공기 주머니(333)에 공기가 공급되면 공기 주머니(333)가 부풀어 오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러지(S)의 압착 및 박리 등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압착필터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여과 공정이 끝나면 가압부(230)의 가압 실린더(233)가 작동하여 가압 구동판(231)을 잡아당기면 필터판(220) 역시 잡아당겨 지면서 링크(L3)를 통해 연결된 모든 필터판(220)들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다.
다음, 도 3a와 같이 모든 필터판(220)들이 이격된 상태에서 구동 로울러(242)를 작동시키면 여과 필터(241)가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과정에서 슬러지(S)가 박리된다. 이때, 에지 플레이트(246)에 의해 슬러지(S)를 긁어 더욱 확실하게 여과 필터(241)에서 슬러지(S)가 떨어져 나간다. 또한, 세척부(280) 등에 의해 깨끗이 세척도 이루어진다.
다음, 여과 필터(241)가 회전함에 따라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부분의 여과 필터(241)가 필터판(220) 사이에 배치되면, 그 상태에서 가압부(230)의 가압 실린더(233)가 작동하여 여과 필터(241)를 사이에 두고 모든 필터판(220)들을 서로 밀착시킨다. 필터판(220)들이 서로 밀착되면 그 필터판(220) 사이가 밀폐된다.
다음, 도 3b와 같이 필터판(220) 사이가 밀폐되면 제1 밸브(V1)를 개방시켜 공정액 공급부(250)를 통해 필터판(220)에 공정액을 공급한다. 즉, 필터판(220)의 유입구(IN)로 공정액을 공급함으로써 필터판(220)의 전면에 있는 공간부(222a)를 통해 배출되게 한다.
다음, 공간부(222a)를 통해 배출된 공정액이 여과 필터(24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슬러지(S)는 통과하지 못하고 비교적 깨끗한 여과액만 통과하게 되며, 여과액은 이웃한 필터판(220)의 흡입공(222b)으로 흘러들어간다.
다음, 이웃한 필터판(220)의 흡입공(222b)으로 흘러들어간 여과액은 배출구(OUT)를 통해 배출 파이프(261)로 수집된 후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제2 밸브(V2)는 열려 있어서 여과액을 배출할 수 있다.
다음, 이상과 같은 여과 공정을 일정 시간 동안 진행 후, 제1 밸브(V1)를 닫아 공정액의 공급은 중단하고 제3 밸브(V3)를 열어서 고압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필터판(220)과 여과 필터(241) 사이에 쌓인 슬러지(S)를 건조시켜 슬러지(S)의 함수율을 낮춘다.
다음, 제5 밸브(V5)를 열어 필터판(220)의 공간부(222a)에 설치된 공기 주머니(333)에 공기를 불어넣어 공기 주머니(333)가 부풀어 오르게 한다. 이에 따라 공기 주머니(333)가 슬러지(S)를 밀어내므로 슬러지(S)는 필터판(220)으로부터 박리된다.
다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2의 (a) 및 (b)처럼 가압부(230)의 가압 실린더(233)가 작동하여 가압 구동판(231)을 잡아당기면 필터판(220) 역시 잡아당겨지면서 링크(L3)를 통해 연결된 모든 필터판(220)들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고 슬러지(S)가 낙하하며 공정이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10: 몸체 220: 필터판
230: 가압부 240: 순환식 여과 필터부
241: 여과 필터 250: 공정액 공급부
260: 여과액 배출부 270: 컨트롤러
280: 세척부 IN: 유입구
OUT: 배출구 S: 슬러지
L1: 구동판 링크 L2a, L2b: 지지판 링크
L3: 필터 링크

Claims (12)

  1. 장치를 구성하는 몸체(210)와;
    복수개가 나란히 세워진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210)에 설치되며, 여과 공정을 위해 서로 간에 밀착시 이웃하는 것과 접촉되지 않는 측면에 유입구(IN)와 배출구(OUT)가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필터판(220)과;
    여과 공정시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220) 중 최외각에 배치된 필터판(220)을 밀어 상기 필터판(220)들이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230)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220)들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정액에 포함된 슬러지(S)를 여과하는 여과 필터(241) 및 상기 여과 필터(241)를 무한궤도를 따라 순환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 순환식 여과 필터부(240)와;
    상기 필터판(220)의 유입구(IN)로 상기 슬러지(S)가 혼합되어 있는 공정액을 공급하는 공정액 공급부(250); 및
    상기 여과 필터(241)에 의해 걸러진 여과액을 상기 필터판(220)의 배출구(OUT)를 통해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액 배출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액 공급부(250)를 통해 공급되는 공정액은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220)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판(220)은 서로 분리된 제1판(220a)과 제2판(220b)이 한 세트로 이루어진 복식 필터판(220) 또는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단식 필터판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복식 필터판(220)의 경우 제1판(220a)의 측면에는 상기 유입구(IN)가 구비되어 있고 제2판(220b)의 측면에는 배출구(OUT)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식 필터판의 경우 상기 단식 필터판의 측면에 각각 상기 유입구(IN)와 배출구(OUT)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식 필터판(220)의 경우,
    상기 제1판(220a)의 전면에는 상기 유입구(IN)로 공급된 공정액이 상기 제1판(220a)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내부 유로(223a)를 통해 배출되는 홈 형상의 공간부(222a)가 형성되어 있고, 제2판(220b)의 후면에는 상기 여과액이 유입되며 상기 제2판(220b)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내부 유로(223b)를 통해 상기 배출구(OUT)에 연결된 흡입공(22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식 필터판의 경우,
    상기 단식 필터판의 전면에는 상기 유입구(IN)로 공급된 공정액이 상기 단식 필터판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내부 유로(223a)를 통해 배출되는 홈 형상의 공간부(222a)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는 상기 여과액이 유입되며 상기 단식 필터판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내부 유로(223b)를 통해 상기 배출구(OUT)에 연결된 흡입공(222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IN)와 배출구(OUT)는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222a) 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받아 부풀어 오르는 공기 주머니(333)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식 여과 필터부(240)는
    상기 몸체(210)에 설치되며 구동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로울러(242)와;
    상기 구동 로울러(242)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있는 종동 로울러(243)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220) 중 홀수 번째 필터판(2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지지 로울러(244)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220) 중 짝수 번째 필터판(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 지지 로울러(245)와;
    상기 몸체(2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여과 필터(241)에 텐션을 가하는 텐션 로울러(T); 및
    상기 구동 로울러(242)와, 종동 로울러(243) 및 텐션 로울러(T)에 걸쳐져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 로울러(244)들과 하부 지지 로울러(245)들 사이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상기 여과 필터(2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220)들은 서로 이웃한 필터판(220)끼리 필터 링크(L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 링크(L3)에는 일측 필터판(220)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 및 타측 필터판(220)의 측면에 결합되며 체결구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길이가 긴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30)는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220) 중 최전방에 배치된 필터판(220)을 가압하며 가압 실린더(233)에 의해 작동하는 가압 구동판(231) 및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220) 중 최후방에 배치된 필터판(220)을 지지하는 가압 지지판(232)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 구동판(231)과 상기 최전방에 배치된 필터판(220)은 구동판 링크(L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 지지판(232)과 최후방에 배치된 필터판(220)은 지지판 링크(L2a, L2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 링크(L1)와 지지판 링크(L2a, L2b)에는 체결구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각각 상기 필터판(220)의 이동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의 하부에는 상기 무한 궤도를 따라 순환하는 여과 필터(241)에 고압 공기나 세척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사하는 세척부(28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판(220)의 하부에는 상기 여과 필터(241)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S)를 긁어 제거하는 에지 플레이트(24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압착필터 장치.
KR1020120090726A 2012-08-20 2012-08-20 자동 압착필터 장치 KR101407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726A KR101407521B1 (ko) 2012-08-20 2012-08-20 자동 압착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726A KR101407521B1 (ko) 2012-08-20 2012-08-20 자동 압착필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596A true KR20140024596A (ko) 2014-03-03
KR101407521B1 KR101407521B1 (ko) 2014-06-27

Family

ID=5064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726A KR101407521B1 (ko) 2012-08-20 2012-08-20 자동 압착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5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0546A (zh) * 2016-10-20 2017-02-15 广西金邦泰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水循环的高效箱式压滤机
KR20190026242A (ko) 2017-09-04 2019-03-1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압착필터 장치
KR102519149B1 (ko) * 2022-06-03 2023-04-06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여과포 순환 필터프레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2170Y1 (ko) * 1980-03-12 1981-11-30 중앙개발주식회사 전자동식 압착 탈수기
JP2012096208A (ja) * 2010-11-05 2012-05-24 Kubota Corp 原液の供給装置及びフィルタプレス脱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0546A (zh) * 2016-10-20 2017-02-15 广西金邦泰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水循环的高效箱式压滤机
KR20190026242A (ko) 2017-09-04 2019-03-1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압착필터 장치
KR102519149B1 (ko) * 2022-06-03 2023-04-06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여과포 순환 필터프레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521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647B1 (ko) 초음파 세척 기능을 갖춘 다단형 자동 압착 여과기
KR101669643B1 (ko) 필터 프레스
US7998354B2 (en) Filter press with improved plate assembly and method of filtering
EP2692403B1 (en) Scraper device for discharging filter cake on filter plate of pressure filter
US83669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olid-liquid-separation of material mixtures and suspensions
JP3727210B2 (ja) 濾過装置
KR20170098063A (ko) 폐기슬러지 탈수장치
KR101407521B1 (ko) 자동 압착필터 장치
KR100870708B1 (ko) 여과포 상하반전 이동식 필터프레스
US20030024869A1 (en) Belt filter press with improved belt washer assembly
FI78843C (fi) Foerfarande foer rengoering av filtertyget i ett kammarfilter samt kammarfilter enligt foerfarandet.
KR101407522B1 (ko) 필터판
AU2003210587A1 (en) Hot-gas pressure-filter apparatus
EP1476240A2 (en) Hot-gas pressure-filter apparatus
KR101113228B1 (ko) 회전식 여과포를 갖는 필터프레스
KR20020082047A (ko) 필터프레스
KR100412635B1 (ko) 폐기슬러지탈수장치
KR101906987B1 (ko) 필터 프레스의 케이크 박리 장치 및 방법
JP6670800B2 (ja) 真空濾過装置
KR102379522B1 (ko) 협잡물 분리 성능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JP6971336B2 (ja) 真空濾過方法
KR100916338B1 (ko) 폐기슬러지탈수장치
KR20030051989A (ko) 스트립 그라인딩라인 탈지설비의 탈지액탱크 내의 스와프제거장치
KR100257025B1 (ko) 슬럿지 탈수 처리장치
JP3809650B2 (ja) 清澄ろ過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