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208A -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208A
KR20140024208A KR1020130076411A KR20130076411A KR20140024208A KR 20140024208 A KR20140024208 A KR 20140024208A KR 1020130076411 A KR1020130076411 A KR 1020130076411A KR 20130076411 A KR20130076411 A KR 20130076411A KR 20140024208 A KR20140024208 A KR 20140024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dcch
search space
terminal
space
downlink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PCT/KR2013/00702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27779A1/ko
Publication of KR2014002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은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중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송신하거나 또는 ePDCCH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es of controlling down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본 발명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실어야 할 정보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위한 새로운 ePDCCH가 제안되었으나, 이를 구현함에 있어 레가시 방식과의 조율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왔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ePDCCH를 수신하게 되는 단말이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블라인드 디코딩을 달리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새롭게 도입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인 ePDCCH를 통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을 위한 ePDCCH 혹은 레가시(legacy) PDCCH에 대한 모니터링 룰(monitoring rule)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은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중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송신하거나 또는 ePDCCH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은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중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송신되는 영역 또는 ePDCCH가 송신되는 영역을 블라인드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은 단말에게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중첩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송신하거나 또는 ePDCCH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을 제어하는 단말은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중첩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송신되는 영역 또는 ePDCCH가 송신되는 영역을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ePDCCH를 수신하게 되는 단말이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블라인드 디코딩을 달리 수행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두 개의 단말들의 검색공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구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구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구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구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구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통신 시스템 또는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100)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110, 112)와 단말들(120, 122)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 또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 또는 제 1 송수신 포인트라 함)과, 제 1 송수신 포인트(eNB, 110)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피코 셀(pico cell, 112, 이하 'RRH' 또는 제 2 송수신포인트라 함)일 수도 있다. 제1 송수신포인트(110)와 제 2 송수신포인트(112)는 동일한 셀 ID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셀 ID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110, 112)에서 단말(120)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0)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110, 112)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110, 1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110, 1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ePDCCH,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ePDCCH,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이때 아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단말(UE1)은 eNB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제2단말은 RRH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존의 LTE(or LTE-A) rel-8/9/10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DCI를 수신하기 위해서 PDCCH에 의존했다. 하지만, 레가시(legacy) PDCCH의 성능(performance)는 새롭게 도입되는 다양한 PDSCH 증대(enhancement)의 성능을 커버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성능 향상을 위해 새롭게 PDSCH 영역에 ePDCCH(enhanced PDCCH)가 도입되기로 결정되었다.
기존의 레가시 PDCCH의 경우, DL 서브프레임(Downlink subframe)의 앞의 1~3 OFDM 심볼(들)(symbol(s)) (시스템 대역폭이 10PRBs를 넘는 경우) 혹은 2~4 OFDM 심볼(들) (시스템 대역폭이 10 PRBs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를 통해 전송되었기 때문에 시스템 대역폭(bandwidth) 및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와 같은 다른 하향링크 물리 신호(physical signal) 혹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의 존재와 관계없이 모든 DL 서브프레임에서 전송이 보장되었다. 상기 PRB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을 의미한다. 하지만 ePDCCH의 경우 PDSCH 영역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특정 서브프레임에서는 ePDCCH에 대한 전송이 이루어질 수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3GPP LTE/LTE-A rel-8/9/10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DCI의 수신을 위해 모든 단말들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앞의 1~3 OFDM 심볼들(시스템 대역>10PRB들) 혹은 2~4 OFDM 심볼들(시스템 대역≤10 PRB들)를 통해 전송되는 PDCCH 영역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단말의 PDSCH 수신에 대한 충분한 처리 시간(processing time) 및 단말의 전력 절감(power saving)을 위해 모든 PDCCH 영역에서 모든 집합레벨(Aggregation Level, AL) 및 DCI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의 PDSCH/PUSCH 전송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DCI 포맷에 대해 각각의 AL별로 제한된 횟수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제한된 검색공간에서 수행하였다.
도 2는 두 개의 단말들의 검색공간들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임의의 LTE/LTE-A rel-8/9/10 단말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는 PDCCH의 해당 단말이 속한 셀 내의 모든 단말들에게 공통적으로 설정되는 공통 검색공간(Common Search Space, CSS) 영역과 단말 별로 고유하게 설정되는 단말-특정 검색공간(UE(Terminal)-specific Search Space, USS) 영역에서 AL(집합 레벨, Aggregation Level)에 따라 제한된 횟수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였다.
해당 PDCCH 영역은 DCI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의 기본 단위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들로 나뉘어지고, 임의의 단말을 위한 PDCCH는 AL에 따라 각각 1,2,4,8 CCE(들)를 통해 전송되도록 정의되었다. 또한 임의의 단말은 송수신포인트 및 단말의 성능(capability)(예를 들어 단말과 송수신포인트 각각의 송수신 안테나 개수(number of Tx/Rx antennas)) 및 단말과 송수신포인트 간의 채널 상태에 따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되는 PDSCH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 TM) 및 PUSCH TM에 따라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해야 하는 TM 의존 DCI 포맷(예를 들어 하향링크에 대한 DCI 포맷 1/1B/1D/2/2A/2B/2C 및 상향링크에 대한 DCI 포맷 4)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임의의 단말은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자신의 C-RNTI, 슬롯 인덱스 및 AL의 함수로 결정되는 USS에서 설정된 TM 의존 DCI 포맷 및 fallback DCI 포맷(DCI 포맷 0/1A)에 대해 AL별로 정해진 횟수만큼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i=0,…,L-1이고, m'= m+M(L)nCI이고 nCI는 캐리어 지시 필드 값(carrier indicator field value)이고, m=0,…,M(L)-1이고, M(L)은 주어진 검색공간에서 모니터링할 PDCCH 후보들이 개수이다. L은 집합 레벨(aggregation level, AL)로 단말-특정 검색공간에서 1, 2, 4, 8이다.
Figure pat00002
이며, A=39,827, D=65,537,
Figure pat00003
로 ns는 무선프레임 내 슬롯넘버이다.
이에 따라 임의의 LTE/LTE-A rel-8/9/10 단말은 해당 단말을 위한 USS에서 해당 단말이 수신하도록 설정된 DCI 포맷에 대해 각각의 AL 1,2,4,8을 기반으로 6,6,2,2회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게 된다. 즉, PDSCH TM 의존 DCI 포맷과 fallback DCI 포맷에 대해 각각 16회씩 최대 32회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거나, 혹은 PUSCH TM 2로 설정된 단말의 경우 DCI 포맷 4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16회를 추가해서 최대 48회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3GPP LTE-A rel-11 시스템에서 새롭게 도입되는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단말은 EPDCCH 모니터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레거시(legacy) PDCCH USS가 아닌 설정된 EPDCCH의 USS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정의되었다. 이를 위해 해당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은 전술한 EPDCCH 모니터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설정과 함께 상위계층 RRC 시그널링(higher layer RRC signaling)을 통해 각각 P개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그룹(a group of P PRBs)(P는 1 이상 전 대역의 PRB들의 개수 이하의 자연수)으로 구성된 EPDCCH 셋들로 이루어진 K(≥1)개(단, K의 최대값은 2, 3, 4 및 6 중 하나의 값일 수 있음)의 EPDCCH 셋(들)을 해당 단말을 위한 EPDCCH USS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EPDCCH 셋 별로 분산형(distributed type) 혹은 집중형(localized type) 중 하나의 EPDCCH 타입이 설정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EPDCCH 전송 타입에 따라 EPDCCH 셋은 집중형(localized type)일 수 있으며, 또한 분산형(distributed type)일 수 있는데, 전술한 P는 집중형에서 1 또는 2n(n=1, 2, 3, 4, 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P는 분산형에서 2, 4, 8, 16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ePDCCH의 수신 설정 및 이를 제어하는 본 발명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새롭게 도입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인 ePDCCH를 통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을 위한 ePDCCH 혹은 레가시 PDCCH에 대한 모니터링 룰(monitoring rule)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LTE-A 시스템(예를 들어 rel-11 이상)에서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 채널 모니터링 및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특히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을 위한 ePDCCH 모니터링 방안 및 폴백 레가시(fallback legacy) PDCCH 모니터링 방안에 대한 룰을 제안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레가시 PDCCH는 모든 DL 서브프레임에서 통해 그 전송이 보장되었다. 하지만, ePDCCH의 경우 PDSCH영역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다른 하향링크 물리 채널 및 신호(e.g. PSS/SSS 및 PBCH)가 존재할 경우 해당 하향링크 물리 채널 및 신호가 전송되는 DL 서브프레임들 및 PRBs과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ePDCCH USS(UE-specific Search Space)가 중첩(overlap)될 경우, 해당 DL 서브프레임들 및 PRBs에서 해당 단말을 위한 ePDCCH 전송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ePDCCH USS가 다른 하향링크 물리 채널 및 신호와 overlap되는 경우의 해당 단말을 위한 DCI를 레가시 PDCCH를 통해 전송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본 발명은 USS에 대한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 방안에 대해 기술하며, CSS(Common Search Space)에 대한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 동작(blind decoding behavior)과는 무관함을 즉, CSS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이 어떻게 정의되더라도 본 발명의 USS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룰이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 또는 셀은 다양한 신호 송신 및 수신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모두 포괄한다.
실시예 1.
LTE 시스템에서는 DL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의 센터에 위치한 6PRBs를 통해 DL 서브프레임 0에서 단말을 위한 PSS/SSS 및 PBCH가 전송되며, DL 서브프레임 5에서 PSS/SSS에 대한 전송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PSS/SSS 및 PBCH가 전송되는 PRBs에 대해서는 ePDCCH 전송과 해당 PSS/SSS 및 PBCH 간의 충돌(collision)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해당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경우, DCI 수신 성능 열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DCI 모니터링 방안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DL 서브프레임 0와 5에서는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ePDCCH USS가 해당 PSS/SSS 및 PBCH가 전송되는 6 PRBs와 전체(fully) 혹은 부분적으로(partially) 중첩되는 모든 단말에 대해 ePDCCH 수신 설정과 관계없이 항상 레가시 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정의한다. 즉 임의의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경우,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ePDCCH USS 예를 들어, 분산 또는 로컬라이즈된 PRB 쌍들의 셋(distributed or localized PRB pairs sets)이 PSS/SSS 및 PBCH와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로 중첩되는 경우, 해당 단말은 항상 DL 서브프레임 0와 DL 서브프레임 5에서는 설정된 ePDCCH의 USS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fallback mode)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처럼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동작할 경우 해당 단말은 종래의 방식(예를 들어 rel-10)에서 정의된 레가시 PDCCH의 USS 설정 방안에 따라 레가시 PDCCH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하, 통신 시스템 또는 송수신 포인트의 일 실시예로 기지국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 기지국으로 설명한 것은 통신 시스템, 송수신 포인트, 셀(cell),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등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구현한 도면이다.
실시예 1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0 및 5에서 PSS/SSS 또는 PBCH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신호와 USS의 영역이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PSS/SSS 또는 PBCH가 포함되는 영역, 예를 들어 6 PRBs의 영역과 ePDCCH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된 단말의 USS가 중첩되는 경우 레가시 PDCCH 영역을 통해 해당 단말을 위한 USS를 재구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0/5의 경우에 상기 PSS/SSS 또는 PBCH가 전송되는 6 PRBs 영역과 중첩되어 ePDCCH USS가 설정된 단말은 해당 ePDCCH USS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legacy 폴백 모드로 돌아가 legacy PDCCH 영역에서 상기의 레가시 PDCCH에서의 검색 공간 설정 식에 의해 정의되는 legacy PDCCH USS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3의 단말(309)은 ePDCCH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된 단말, 즉 ePDCCH 단말을 의미한다.
기지국(301)은 하향링크의 전송 서브프레임이 0 또는 5이며 ePDCCH 단말(309)의 USS와 서브프레임의 PSS/SSS/PBCH 영역이 전부 또는 일부 중첩됨을 확인한다(S310). 상기 전부 또는 일부 중첩은 ePDCCH 단말(309)의 USS와 PSS/SSS/PBCH가 할당될 6PRB의 영역 전부 또는 일부가 겹치는 경우를 포함한다. 기지국(301)은 상기 ePDCCH 단말(309)에게 레가시 방식으로 PDCCH가 전송되도록 하향링크를 생성한다(S320). 그리고 기지국(301)은 상기 생성된 하향링크를 전송한다(S330). 단말(309)은 서브프레임 0 또는 5에서 USS 영역과 PSS/SSS/PBCH가 할당될 6PRB의 영역과 전부 또는 일부 중첩됨을 확인하고,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340).
실시예 2.
LTE의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임의의 ePDCCH 단말을 위해 설정된 ePDCCH의 USS가 DL 서브프레임 0,5에서 PSS/SSS 혹은 PBCH가 전송되는 6 PRBs와 전체적으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에는 중첩되는 PRB(s)를 제외한 나머지 PRBs에 해당하는 ePDCCH USS에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한다.
단, DL 시스템 대역폭이 10PRBs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DL system bandwidth ≤10 PRBs) 인 경우,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경우, DL 서브프레임 0와 DL 서브프레임 5에 대해서는 항상 상기의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DL 시스템 대역폭이 10PRBs보다 큰 경우(DL system bandwidth > 10 PRBs)인 경우,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경우, DL 서브프레임 0 및 DL 서브프레임 5에서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ePDCCH USS 중 N PRB(s) (N=1,2,3,4,5,6)가 PSS/SSS 및 PBCH가 전송되는 6 PRBs와 겹칠 경우에 대해서 상기의 N값에 따라 아래의 두 가지 블라인드 디코딩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i) N>M일 경우,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동작
ii) N≤M일 경우, 해당 N PRB(s)를 제외한 나머지 ePDCCH USS PRB(s) 영역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
여기서 M값은 1~6의 값으로서 UE 특이적(UE-specific) 혹은 셀 특이적(cell-specific)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설정되거나 혹은 스펙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구현한 도면이다.
실시예 2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0 및 5에서 PSS/SSS 또는 PBCH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신호와 USS의 영역이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PSS/SSS 또는 PBCH가 전송되는 다운 링크 서브프레임 0 및 5의 가운데 6 PRBs의 영역과 ePDCCH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된 단말의 USS가 일부만 중첩되는 경우 USS의 크기에 따라 레가시 PDCCH를 통해 DCI를 전송할 것인지, 혹은 해당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ePDCCH 영역을 통해 DCI를 전송할 것인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0/5의 경우에 상기 영역과 일부 중첩되는 USS를 가지는 단말은 ePDCCH의 USS 영역의 크기에 따라 ePDCCH USS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의 단말(409)은 ePDCCH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된 단말, 즉 ePDCCH 단말을 의미한다.
기지국(401)은 하향링크의 전송 서브프레임이 0 또는 5이며 ePDCCH 단말(409)의 USS와 서브프레임의 PSS/SSS/PBCH 영역이 일부 중첩됨을 확인한다(S410). 중첩되는 USS 영역의 PRB는 N PRB가 된다. 이 경우 S420 또는 S450의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먼저 S420 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인 S420~S440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부 중첩은 ePDCCH 단말(409)의 USS와 PSS/SSS/PBCH가 할당될 6PRB의 영역 일부가 겹치는 경우를 포함한다. 기지국(401)은 i) 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이 10 PRB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또는 ii) 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이 10 PRB보다 크지만 ePDCCH 단말의 USS의 중첩되는 N PRB가 미리 설정된 기준(M)보다 큰 경우 ePDCCH 단말에게 레가시 방식으로 PDCCH 전송되도록 하향링크를 생성한다(S420). 기지국(401)은 상기 생성된 하향링크를 전송한다(S430). 단말(409)은 S410 및 S420의 상황에서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440). 한편, S450 내지 S470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401)은 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이 10 PRB보다 크며 ePDCCH 단말의 USS에서 중첩되는 N PRB가 미리 설정된 기준(M)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ePDCCH 단말에게 상기 N PRB를 제외한 나머지 ePDCCH USS에서 ePDCCH가 전송되도록 하향링크를 생성한다(S450). 기지국(401)은 상기 생성된 하향링크를 전송한다(S460). 단말(409)은 S410 및 S450의 상황에서 N PRB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ePDCCH USS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470). 상기 기준이 되는 M의 값은 1 내지 6 PRB를 중심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이 값은 UE 특이적 또는 셀 특이적으로 단말에게 상위 계층 시그널링으로 제공되거나, 미리 특정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 3.
시스템 대역폭과 관계없이,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ePDCCH USS가 N PRB(s) (N=1,2,3,4,5,6)가 PSS/SSS 및 PBCH가 전송되는 6 PRBs와 겹칠 경우에 대해서 상기의 N값에 따라 아래의 두 가지 블라인드 디코딩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i) N>M일 경우,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동작
ii) N≤M일 경우, 해당 N PRB(s)를 제외한 나머지 ePDCCH USS PRB(s) 영역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
여기서 M값은 1~6의 값으로서 UE 특이적(UE-specific) 혹은 셀 특이적(cell-specific)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되거나 혹은 스펙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구현한 도면이다.
실시예 3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0 및 5에서 PSS/SSS 또는 PBCH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신호와 USS의 영역이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PSS/SSS 또는 PBCH가 포함되는 영역, 예를 들어 6PRB의 영역과 ePDCCH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된 단말의 USS가 중첩되는 경우 USS의 크기에 따라 레가시 PDCCH를 통해 DCI를 전송할 것인지, 혹은 해당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ePDCCH 영역을 통해 DCI를 전송할 것인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0/5의 경우에 상기 영역과 중첩되는 USS를 가지는 단말은 ePDCCH의 USS 영역의 크기에 따라 ePDCCH USS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의 단말(509)은 ePDCCH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된 단말, 즉 ePDCCH 단말을 의미한다.
기지국(501)은 하향링크의 전송 서브프레임이 0 또는 5이며 ePDCCH 단말(509)의 USS와 서브프레임의 PSS/SSS/PBCH 영역이 중첩됨을 확인한다(S510). 중첩되는 USS 영역의 PRB는 N PRB가 된다. 이 경우 S520 또는 S550의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먼저 S520 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인 S520~S540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첩은 ePDCCH 단말(509)의 USS와 PSS/SSS/PBCH가 할당될 6PRB의 영역이 겹치는 경우를 포함한다. 기지국(501)은 ePDCCH 단말의 USS에서 중첩되는 N PRB가 미리 설정된 기준(M)보다 큰 경우 ePDCCH 단말에게 레가시 방식으로 PDCCH 전송되도록 하향링크를 생성한다(S520). 기지국(501)은 상기 생성된 하향링크를 전송한다(S530). 단말(509)은 S510 및 S520의 상황에서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540). 한편, S550 내지 S570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501)은 ePDCCH 단말의 USS에서 중첩되는 N PRB가 미리 설정된 기준(M)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ePDCCH 단말에게 상기 N PRB를 제외한 나머지 ePDCCH USS에서 ePDCCH가 전송되도록 하향링크를 생성한다(S550). 기지국(501)은 상기 생성된 하향링크를 전송한다(S560). 단말(509)은 S510 및 S550의 상황에서 N PRB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ePDCCH USS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570). 상기 기준이 되는 M의 값은 1 내지 6 PRB를 중심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이 값은 UE 특이적 또는 셀 특이적으로 단말에게 상위 계층 시그널링으로 제공되거나, 미리 특정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 4.
LTE의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임의의 ePDCCH 단말을 위해 설정된 ePDCCH의 USS가 DL 서브프레임 0,5에서 PSS/SSS 혹은 PBCH가 전송되는 6 PRBs와 전체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에는 중첩되는 PRB(s)를 제외한 나머지 PRBs에 해당하는 ePDCCH USS에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한다.
단, DL 시스템 대역폭이 10PRBs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경우, DL 서브프레임 0와 DL 서브프레임 5에 대해서는 항상 상기의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DL 시스템 대역폭이 10PRBs보다 큰 경우,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ePDCCH USS가 N PRB(s) (N=1,2,3,4,5,6)가 PSS/SSS 및 PBCH가 전송되는 6 PRBs와 겹칠 경우에 대해서 상기의 N값에 따라 아래의 두 가지 블라인드 디코딩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i) N/W>R일 경우,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동작
ii) N/W≤R일 경우, 해당 N PRB(s)를 제외한 나머지 ePDCCH USS PRB(s) 영역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
여기서 W는 해당 ePDCCH 단말을 위해 ePDCCH USS로 설정된 전체 PRBs 세트(들)의 PRBs들의 수(number of PRBs)이며, R(0<R<1)을 만족하는 문턱(threshold)값으로서 UE 특이적 혹은 셀 특이적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되거나 혹은 스펙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구현한 도면이다.
실시예 4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0 및 5에서 PSS/SSS 또는 PBCH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신호와 USS의 영역이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PSS/SSS 또는 PBCH가 포함되는 영역, 예를 들어 6PRB의 영역과 ePDCCH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된 단말의 USS가 일부만 중첩되는 경우(fully 중첩되지 않는 경우) USS의 크기의 비율에 따라 레가시 방식으로 PDCCH를 전송하거나 또는 ePDCCH 방식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0/5의 경우에 상기 영역과 일부 중첩되는 USS를 가지는 단말은 ePDCCH의 USS 영역의 크기의 비율에 따라 ePDCCH USS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의 단말(609)은 ePDCCH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된 단말, 즉 ePDCCH 단말을 의미한다.
기지국(601)은 하향링크의 전송 서브프레임이 0 또는 5이며 ePDCCH 단말(609)의 USS와 서브프레임의 PSS/SSS/PBCH 영역이 일부 중첩됨을 확인한다(S610). 중첩되는 USS 영역의 PRB는 N PRB가 된다. 이 경우 S620 또는 S650의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먼저 S620 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인 S620~S640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부 중첩은 ePDCCH 단말(609)의 USS와 PSS/SSS/PBCH가 할당될 6PRB의 영역 일부가 겹치는 경우를 포함한다. 기지국(601)은 i) 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이 10 PRB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또는 ii) 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이 10 PRB보다 크지만 ePDCCH 단말의 USS의 중첩되는 N PRB 및 ePDCCH 단말의 USS로 설정된 전체 PRB의 수인 W를 기준으로, 즉 N PRB와 W PRB의 비율인 N/W가 미리 설정된 기준(R)보다 큰 경우 ePDCCH 단말에게 레가시 방식으로 PDCCH 전송되도록 하향링크를 생성한다(S620). 기지국(601)은 상기 생성된 하향링크를 전송한다(S630). 단말(609)은 S610 및 S620의 상황에서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640). 한편, S650 내지 S670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601)은 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이 10 PRB보다 크며 ePDCCH 단말의 USS의 중첩되는 N PRB 및 ePDCCH 단말의 USS로 설정된 전체 PRB의 수인 W를 기준으로, 즉 N PRB와 W PRB의 비율인 N/W가 미리 설정된 기준(R)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ePDCCH 단말에게 상기 N PRB를 제외한 나머지 ePDCCH USS에서 ePDCCH가 전송되도록 하향링크를 생성한다(S650). 기지국(601)은 상기 생성된 하향링크를 전송한다(S660). 단말(609)은 S610 및 S650의 상황에서 N PRB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ePDCCH USS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670). 상기 기준이 되는 R의 값은 0과 1 사이(0 < R < 1)로 산출될 수 있으며, 이 값은 UE 특이적 또는 셀 특이적으로 단말에게 상위 계층 시그널링으로 제공되거나, 미리 특정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 5.
시스템 대역폭과 관계없이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ePDCCH USS가 N PRB(s) (N=1,2,3,4,5,6)가 PSS/SSS 및 PBCH가 전송되는 6 PRBs와 겹칠 경우에 대해서 상기의 N값에 따라 아래의 두 가지 블라인드 디코딩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i) N/W>R일 경우,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동작
ii) N/W≤R일 경우, 해당 N PRB(s)를 제외한 나머지 ePDCCH USS PRB(s) 영역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
여기서 W는 해당 ePDCCH 단말을 위해 ePDCCH USS로 설정된 전체 PRBs 세트(들)의 PRBs들의 수이며, R(0<R<1)을 만족하는 문턱(threshold)값으로서 UE 특이적 혹은 셀 특이적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되거나 혹은 스펙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구현한 도면이다.
실시예 5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0 및 5에서 PSS/SSS 또는 PBCH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신호와 USS의 영역이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PSS/SSS 또는 PBCH가 포함되는 영역, 예를 들어 6PRB의 영역과 ePDCCH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된 단말의 USS가 중첩되는 경우 USS의 크기의 비율에 따라 레가시 방식으로 PDCCH를 전송하거나 또는 ePDCCH 방식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0/5의 경우에 상기 영역과 중첩되는 USS를 가지는 단말은 ePDCCH의 USS 영역의 크기의 비율에 따라 ePDCCH USS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의 단말(709)은 ePDCCH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된 단말, 즉 ePDCCH 단말을 의미한다.
기지국(601)은 하향링크의 전송 서브프레임이 0 또는 5이며 ePDCCH 단말(609)의 USS와 서브프레임의 PSS/SSS/PBCH 영역이 일부 중첩됨을 확인한다(S710). 중첩되는 USS 영역의 PRB는 N PRB가 된다. 이 경우 S720 또는 S750의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먼저 S720 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인 S720~S740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중첩은 ePDCCH 단말(709)의 USS와 PSS/SSS/PBCH가 할당될 6PRB의 영역이 겹치는 경우를 포함한다. 기지국(701)은 상기 ePDCCH 단말의 USS의 중첩되는 N PRB 및 ePDCCH 단말의 USS로 설정된 전체 PRB의 수인 W를 기준으로, 즉 N PRB와 W PRB의 비율인 N/W가 미리 설정된 기준(R)보다 큰 경우 ePDCCH 단말에게 레가시 방식으로 PDCCH 전송되도록 하향링크를 생성한다(S720). 기지국(701)은 상기 생성된 하향링크를 전송한다(S730). 단말(709)은 S710 및 S720의 상황에서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740). 한편, S750 내지 S770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701)은 ePDCCH 단말의 USS의 중첩되는 N PRB 및 ePDCCH 단말의 USS로 설정된 전체 PRB의 수인 W를 기준으로, 즉 N PRB와 W PRB의 비율인 N/W가 미리 설정된 기준(R)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ePDCCH 단말에게 상기 N PRB를 제외한 나머지 ePDCCH USS에서 ePDCCH가 전송되도록 하향링크를 생성한다(S750). 기지국(701)은 상기 생성된 하향링크를 전송한다(S760). 단말(709)은 S710 및 S750의 상황에서 N PRB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ePDCCH USS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770). 상기 기준이 되는 R의 값은 0과 1 사이(0 < R < 1)로 산출될 수 있으며, 이 값은 UE 특이적 또는 셀 특이적으로 단말에게 상위 계층 시그널링으로 제공되거나, 미리 특정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DCI 수신을 제어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체 과정은 ePDCCH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USS)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 또는 PBCH의 중첩을 확인하는 단계(S810)와 상기 확인 결과(S815)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송신하거나(S820) 또는 상기 단말에게 ePDCCH를 송신하는(S830) 단계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3과 같은 실시예1에 적용할 경우,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전송될 서브프레임의 넘버가 0 또는 5인 것을 확인하여, 상기 단말에게 PDCCH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3, 5(도 5 및 도 7)에서 PDCCH를 송신하는 경우는 상기 확인하는 단계가 상기 검색 공간의 크기와 상기 동기신호 또는 PBCH가 중첩하는 공간의 크기인 N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중첩하는 검색 공간과 상기 검색 공간으로 설정된 전체 공간의 크기 W의 비율인 N/W를 산출하여, 상기 N 또는 상기 N/W가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큰 값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단말에게 PDCCH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 3, 5(도 5 및 도 7)에서 ePDCCH 송신하는 경우는 상기 상기 확인하는 단계가 상기 검색 공간의 크기와 상기 동기신호 또는 PBCH가 중첩하는 크기인 N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중첩하는 검색 공간과 상기 검색 공간으로 설정된 전체 공간의 크기 W의 비율인 N/W를 산출하여, 상기 N 또는 상기 N/W가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중첩하는 공간을 제외한 검색 공간에서 상기 단말에게 ePDCCH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 2, 4의 구현에서는 상기 실시예 3, 5에 더하여 다운링크 대역폭을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가 확인하는 단계에 더 포함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체 과정은 단말이 ePDCCH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USS)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 또는 PBCH의 중첩을 확인하는 단계(S910)와 상기 확인 결과(S915)에 따라 상기 단말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영역에서 PDCCH 수신을 위해 레가시 PDCCH 폴백 모드로 블라인드 디코딩하거나(S820) 또는 상기 단말이 ePDCCH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영역에서 ePDCCH를 수신을 위해 ePDCCH USS에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S830) 단계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3과 같은 실시예1에 적용할 경우,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전송될 서브프레임의 넘버가 0 또는 5인 것을 확인하여, 상기 단말은 상기 PDCCH가 송신되는 영역에서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3, 5(도 5 및 도 7)에서 PDCCH를 송신하는 경우는 상기 확인하는 단계가 상기 검색 공간의 크기와 상기 동기신호 또는 PBCH가 중첩하는 공간의 크기인 N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중첩하는 검색 공간과 상기 검색 공간으로 설정된 전체 공간의 크기 W의 비율인 N/W를 산출하여, 상기 N 또는 상기 N/W가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큰 값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PDCCH가 송신되는 영역에서 블라인드 디코딩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 3, 5(도 5 및 도 7)에서 ePDCCH 송신하는 경우는 상기 상기 확인하는 단계가 상기 검색 공간의 크기와 상기 동기신호 또는 PBCH가 중첩하는 크기인 N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중첩하는 검색 공간과 상기 검색 공간으로 설정된 전체 공간의 크기 W의 비율인 N/W를 산출하여, 상기 N 또는 상기 N/W가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중첩하는 공간을 제외한 검색 공간에서 상기 단말은 ePDCCH 수신을 위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4의 구현에서는 상기 실시예 3, 5에 더하여 다운링크 대역폭을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가 확인하는 단계에 더 포함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은 제어부(1010)과 송신부(1020), 수신부(1030)을 포함한다.
제어부(10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DCI 수신 방안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기지국의 구성으로 제어부(1010)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ePDCCH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 또는 PBCH의 중첩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PDCCH를 송신하거나 또는 ePDCCH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1020)를 제어한다. 제어부(1010) 및 송신부(1020)의 동작은 도 3 내지 도 8을 따른다. 도 10의 구성은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해당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부(1130) 및 제어부(1110), 송신부(1120)를 포함한다.
수신부(113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DCI 수신 방안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12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단말의 구성으로 제어부(1110)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ePDCCH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 또는 PBCH의 중첩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PDCCH가 송신되는 영역 또는 ePDCCH가 송신되는 영역을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상기 수신부(1130)를 제어한다. 제어부(1110) 및 수신부(1130)의 동작은 도 3 내지 도 7 및 도 9를 따른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통신 시스템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중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송신하거나 또는 ePDCCH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전송될 서브프레임의 넘버가 0 또는 5인 것을 확인하는 단계이며,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게 PDCCH를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공간의 크기와 상기 동기신호 또는 PBCH가 중첩하는 공간의 크기인 N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중첩하는 검색 공간과 상기 검색 공간으로 설정된 전체 공간의 크기 W의 비율인 N/W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N 또는 상기 N/W가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큰 값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게 PDCCH를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공간의 크기와 상기 동기신호 또는 PBCH가 중첩하는 크기인 N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중첩하는 검색 공간과 상기 검색 공간으로 설정된 전체 공간의 크기 W의 비율인 N/W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N 또는 상기 N/W가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중첩하는 공간을 제외한 검색 공간에서 상기 단말에게 ePDCCH를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대역폭을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중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송신되는 영역 또는 ePDCCH가 송신되는 영역을 블라인드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전송될 서브프레임의 넘버가 0 또는 5인 것을 확인하는 단계이며,
    상기 블라인드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PDCCH가 송신되는 영역에서 블라인드 디코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공간의 크기와 상기 동기신호 또는 PBCH가 중첩하는 공간의 크기인 N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중첩하는 검색 공간과 상기 검색 공간으로 설정된 전체 공간의 크기 W의 비율인 N/W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N 또는 상기 N/W가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큰 값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PDCCH가 송신되는 영역에서 블라인드 디코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공간의 크기와 상기 동기신호 또는 PBCH가 중첩하는 크기인 N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중첩하는 검색 공간과 상기 검색 공간으로 설정된 전체 공간의 크기 W의 비율인 N/W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N 또는 상기 N/W가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디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중첩하는 공간을 제외한 검색 공간에서 ePDCCH 수신을 위하여 블라인드 디코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대역폭을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단말에게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중첩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송신하거나 또는 ePDCCH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전송될 서브프레임의 넘버가 0 또는 5인 것을 확인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단말에게 PDCCH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공간의 크기와 상기 동기신호 또는 PBCH가 중첩하는 공간의 크기인 N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중첩하는 검색 공간과 상기 검색 공간으로 설정된 전체 공간의 크기 W의 비율인 N/W를 산출하여 상기 N 또는 상기 N/W가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큰 값임을 확인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단말에게 PDCCH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공간의 크기와 상기 동기신호 또는 PBCH가 중첩하는 크기인 N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중첩하는 검색 공간과 상기 검색 공간으로 설정된 전체 공간의 크기 W의 비율인 N/W를 산출하여, 상기 N 또는 상기 N/W가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임을 확인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중첩하는 공간을 제외한 검색 공간에서 상기 단말에게 ePDCCH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운링크 대역폭을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6.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단말-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과 서브프레임의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중첩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송신되는 영역 또는 ePDCCH가 송신되는 영역을 블라인드 디코딩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전송될 서브프레임의 넘버가 0 또는 5인 것을 확인하며, 상기 PDCCH가 송신되는 영역에서 블라인드 디코딩 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단말.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공간의 크기와 상기 동기신호 또는 PBCH가 중첩하는 공간의 크기인 N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중첩하는 검색 공간과 상기 검색 공간으로 설정된 전체 공간의 크기 W의 비율인 N/W를 산출하여 상기 N 또는 상기 N/W가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큰 값임을 산출하여,
    상기 PDCCH가 송신되는 영역에서 블라인드 디코딩 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단말.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공간의 크기와 상기 동기신호 또는 PBCH가 중첩하는 크기인 N을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중첩하는 검색 공간과 상기 검색 공간으로 설정된 전체 공간의 크기 W의 비율인 N/W를 산출하여 상기 N 또는 상기 N/W가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임을 산출하여, 상기 중첩하는 공간을 제외한 검색 공간에서 ePDCCH의 수신을 위하여 블라인드 디코딩 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단말.
  20.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운링크 대역폭을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30076411A 2012-08-16 2013-07-01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24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7026 WO2014027779A1 (ko) 2012-08-16 2013-08-05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9300 2012-08-16
KR1020120089300 2012-08-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208A true KR20140024208A (ko) 2014-02-28

Family

ID=5026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411A KR20140024208A (ko) 2012-08-16 2013-07-01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24208A (ko)
WO (1) WO20140277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78A1 (ko) * 2017-07-17 2019-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저전력 소모를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복호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2259B (zh) * 2015-08-12 2019-08-20 Lg电子株式会社 接收或发送信号的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309B1 (ko) * 2007-09-28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EP2334133B1 (en) * 2008-09-29 2016-09-14 Sun Patent Trust Cce + number allo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device
CN102783064B (zh) * 2010-03-11 2016-07-06 Lg电子株式会社 控制信道分配方法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78A1 (ko) * 2017-07-17 2019-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저전력 소모를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복호 방법 및 장치
KR20190008666A (ko) * 2017-07-17 2019-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저전력 소모를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복호 방법 및 장치
US11206101B2 (en) 2017-07-17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wnlink control channel decoding method and device for low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7779A1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2039A1 (en) Terminal,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1919636B1 (ko)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9712278B2 (en) Adjusting blind decoding of downlink control channel
KR101904572B1 (ko) 단말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채널 자원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619400B1 (ko)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RU2735954C1 (ru)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EP3668211A1 (en)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1401534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a downlink subframe in a tdd mode
KR20160091491A (ko) Mtc 단말의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 수신 기법 및 장치
EP3534561B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KR101615855B1 (ko) 하향링크 제어채널에서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651441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US20160057737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CN107888333B (zh) 经由用于覆盖扩展的上行链路信道收发数据的方法及其装置
CN111670593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8163431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40024208A (ko)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85195B1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60135013A (ko) Mtc 단말을 위한 상향 링크 물리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56450A (ko)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31793A (ko)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513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04847A (ko) 확장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그 전송단, 확장 제어 정보의 수신 방법, 및 그 단말
KR2013007813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80036886A (ko) 상향 링크 harq 동작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