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584A - 광학계 - Google Patents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584A
KR20140023584A KR1020120089620A KR20120089620A KR20140023584A KR 20140023584 A KR20140023584 A KR 20140023584A KR 1020120089620 A KR1020120089620 A KR 1020120089620A KR 20120089620 A KR20120089620 A KR 20120089620A KR 20140023584 A KR20140023584 A KR 2014002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ffractive
optical system
diffrac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원
송진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3584A/ko
Publication of KR2014002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4Diffraction gratin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ne or more further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or other diffraction grat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회절면을 포함하는 회절 렌즈와, 회절면에 대향되는 중앙면 및 중앙면으로부터 평평하게 연장되는 외곽면을 포함하는 결합 렌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계에서 수광 소자에 잡광이 맺히지 않는다.

Description

광학계{OPTICAL SYSTEM}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모듈의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고화소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카메라 모듈에 오토포커싱(Auto Focusing; AF), 광학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구성 부품들의 정밀도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에 내장되는 광학계의 성능 향상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 때 광학계는 다수개의 렌즈들과 수광 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렌즈들과 수광 소자는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광이 렌즈들을 통과하여, 수광 소자에 맺힌다. 이를 통해, 수광 소자에 영상이 결상된다.
그런데, 상기한 광학계에서, 수광 소자에 잡광이 맺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잡광은 영상의 가장자리에서 플레어(flare)를 형성하여, 수광 소자에서 영상을 흐릿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잡광을 제거하기 위한 광학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수광 소자에 잡광이 맺히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광학계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는, 회절면을 포함하는 회절 렌즈와, 상기 회절면에 대향되는 중앙면 및 상기 중앙면으로부터 평평하게 연장되는 외곽면을 포함하는 결합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에 있어서, 상기 회절 렌즈는, 상기 회절면으로부터 평평하게 연장되며, 상기 외곽면에 밀착되는 체결면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에 있어서, 상기 중앙면의 직경은, 상기 회절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회절면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는, 수광 소자에 잡광이 맺히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영상의 가장자리에서 플레어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수광 소자에서 영상이 보다 선명할 수 있다. 아울러, 수광 소자에서 노이즈(noise)의 발생이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학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렌즈 결합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렌즈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렌즈 결합 구조에 따른 잡광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반적인 렌즈 결합 구조에 따른 노이즈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결합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학계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학계(100)는 렌즈부(101), 필터(160) 및 수광 소자(170)를 포함한다. 이 때 렌즈부(101), 필터(160) 및 수광 소자(170)는 물체 측(object side)으로부터 상 측(image side)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피사체에 대응하는 광이 렌즈부(101)와 필터(160)를 통과하여, 수광 소자(170)에 맺힌다. 이를 통해, 수광 소자(170)에 피사체의 영상이 결상된다.
렌즈부(101)는 제 1 렌즈(110), 조리개(115), 제 2 렌즈(120), 제 3 렌즈(130), 제 4 렌즈(140) 및 제 5 렌즈(150)를 포함한다. 이 때 제 1 렌즈(110), 조리개(115), 제 2 렌즈(120), 제 3 렌즈(130), 제 4 렌즈(140) 및 제 5 렌즈(150)는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피사체에 대응하는 광이 제 1 렌즈(110), 조리개(115), 제 2 렌즈(120), 제 3 렌즈(130), 제 4 렌즈(140) 및 제 5 렌즈(1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여기서, 제 1 렌즈(110), 제 2 렌즈(120) 및 제 3 렌즈(130)는 양(+)의 굴절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4 렌즈(140)와 제 5 렌즈(150)는 음(-)의 굴절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렌즈(110), 제 2 렌즈(120), 제 3 렌즈(130), 제 4 렌즈(140) 및 제 5 렌즈(15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렌즈(110)는 제 1 물체 측 면(R1)과 제 1 상 측 면(R2)을 포함한다. 이 때 제 1 물체 측 면(R1)은 물체 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상 측 면(R2)은 물체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물체 측 면(R1) 또는 제 1 상 측 면(R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비구면일 수 있다. 게다가, 제 1 렌즈(110)는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조리개(115)는 광 수렴면(R3)을 포함한다. 광 수렴면(R3)은 제 1 렌즈(110)를 통과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수렴한다.
제 2 렌즈(120)는 제 2 물체 측 면(R4)과 제 2 상 측 면(R5)을 포함한다. 이 때 제 2 물체 측 면(R4)은 상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상 측 면(R5)은 상 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또한 제 2 물체 측 면(R4) 또는 제 2 상 측 면(R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비구면일 수 있다. 게다가, 제 2 렌즈(120)는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3 렌즈(130)는 제 3 물체 측 면(R6)과 제 3 상 측 면(R7)을 포함한다. 이 때 제 3 물체 측 면(R6)은 상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상 측 면(R7)은 물체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또한 제 3 물체 측 면(R6) 또는 제 3 상 측 면(R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비구면일 수 있다. 게다가, 제 3 렌즈(130)는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4 렌즈(140)는 제 4 물체 측 면(R8)과 제 4 상 측 면(R9)을 포함한다. 이 때 제 4 물체 측 면(R8)은 상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4 상 측 면(R9)은 상 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또한 제 4 물체 측 면(R8) 또는 제 4 상 측 면(R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비구면일 수 있다. 게다가, 제 4 렌즈(140)는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5 렌즈(150)는 제 5 물체 측 면(R10)과 제 5 상 측 면(R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5 렌즈(150)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포함한다. 이 때 변곡점은 제 5 물체 측 면(R10) 또는 제 5 상 측 면(R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160)는 저주파 대역을 통과시킨다. 그리고 필터(160)는 고주파 대역을 차단한다. 이 때 필터(160)는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은 반사시켜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필터(160)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160)는, 광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수광 소자(17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160)는 입사면(R12)과 출사면(R13)을 포함한다. 즉 가시광선과 함께 적외선이 입사면(R12)으로 입사되고, 가시광선이 출사면(R13)에서 출사된다.
수광 소자(170)는 상 면(R14)을 포함한다. 이 때 상 면(R14)에, 렌즈부(101)에 의해 광이 맺힘으로써, 영상이 결상된다. 그리고 수광 소자(170)는 상 면(R14)으로부터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수광 소자(170)는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수광 소자(170)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일 수 있다.
이 때 광학계(100)는 콤팩트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광학계(100)는 65 도(°) 이상의 광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물체 측 면(R1)으로부터 상 면(R14)까지의 거리가 광학계(100)의 전체 거리에 해당한다. 또한 초점 거리가 제 1 물체 측 면(R1)으로부터 상 면(R14) 사이에서 조절된다. 즉 초점 거리가 조리개(11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학계(100)에서, 렌즈부(101)는 회절 현상을 이용하여 수광 소자(170)에 영상을 결상시킨다. 즉 렌즈(110, 120, 130, 140, 15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절 광학 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s; DOE)로 구현된다. 그리고 렌즈(110, 120, 130, 140, 15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광을 회절시킨다. 여기서, 렌즈(110, 120, 130, 140, 15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체 측 면(R1, R4, R6, R8, R10) 또는 상 측 면(R2, R5, R7, R9, R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광을 회절시킬 수 있다. 그리고 렌즈(110, 120, 130, 140, 150)들은 상호 결합된다. 하기에서, 렌즈(110, 120, 130, 140, 150)들 중 광을 회절시키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절 렌즈라 칭하고, 회절 렌즈에 결합되는 다른 하나를 결합 렌즈라 칭한다.
도 2 및 도 3은 일반적인 렌즈 결합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그리고 도 4는 일반적인 렌즈 결합 구조에 따른 잡광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일반적인 렌즈 결합 구조에 따른 노이즈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렌즈 결합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렌즈 결합 구조에서, 회절 렌즈(210)와 결합 렌즈(220)가 상호 결합된다. 이 때 회절 렌즈(210)가 상대적으로 물체 측에 배치되고, 결합 렌즈(220)가 상대적으로 상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렌즈(210)는 회절면(221)과 체결면(223)을 포함한다. 이 때 회절 렌즈(210)에서, 회절면(221)과 체결면(223)은 상 측에 배치된다.
회절면(221)은 회절 렌즈(210)에서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 때 회절면(221)은 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회절면(221)은 물체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또는 회절면(221)은 비구면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절면(221)은 광을 회절시킨다.
체결면(223)은 회절면(221)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체결면(223)은 회절면(221)을 둘러쌀 수 있다. 이 때 체결면(223)은 회절면(221)으로부터 연장된다.
결합 렌즈(220)는 중앙면(221)과 외곽면(223)을 포함한다. 이 때 결합 렌즈(220)에서, 중앙면(221)과 외곽면(223)은 물체 측에 배치된다.
중앙면(221)은 결합 렌즈(220)에서 중앙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중앙면(221)은 회절면(211)에 대향된다. 이 때 중앙면(221)은 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중앙면(221)은 상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또는 중앙면(221)은 비구면일 수 있다. 또한 중앙면(221)으로, 회절면(211)에서 회절된 광이 입사된다.
외곽면(223)은 중앙면(221)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외곽면(223)은 중앙면(221)을 둘러쌀 수 있다. 이 때 외곽면(223)은 중앙면(221)으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외곽면(223)은 단차(225)를 형성하며, 연장된다. 그리고 외곽면(223)은 체결면(213)에 체결된다. 여기서, 외곽면(223)이 단차(225)를 형성함에 따라, 체결면(213)과 외곽면(223) 사이에 공간(230)이 형성된다.
도 3은 일반적인 렌즈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렌즈 결합 구조에서, 회절 렌즈(210)와 결합 렌즈(220)가 상호 결합된다. 이 때 회절 렌즈(210)가 상대적으로 상 측에 배치되고, 결합 렌즈(220)가 상대적으로 물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렌즈(210)는 회절면(211)과 체결면(213)을 포함한다. 이 때 회절 렌즈(210)에서, 회절면(211)과 체결면(213)은 물체 측에 배치된다.
회절면(211)은 회절 렌즈(210)에서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 때 회절면(211)은 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회절면(211)은 상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또는 회절면(211)은 비구면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절면(211)은 광을 회절시킨다.
체결면(213)은 회절면(211)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체결면(213)은 회절면(211)을 둘러쌀 수 있다. 이 때 체결면(213)은 회절면(211)으로부터 연장된다.
결합 렌즈(220)는 중앙면(221)과 외곽면(223)을 포함한다. 이 때 결합 렌즈(220)에서, 중앙면(221)과 외곽면(223)은 상 측에 배치된다.
중앙면(221)은 결합 렌즈(220)에서 중앙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중앙면(221)은 회절면(211)에 대향된다. 이 때 중앙면(221)은 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중앙면(221)은 물체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또는 중앙면(221)은 비구면일 수 있다. 또한 중앙면(221)은 회절면(211)을 향하여 광을 출사한다.
외곽면(223)은 중앙면(221)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외곽면(223)은 중앙면(221)을 둘러쌀 수 있다. 이 때 외곽면(223)은 중앙면(221)으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외곽면(223)은 단차(225)를 형성하며, 연장된다. 그리고 외곽면(223)은 체결면(213)에 밀착된다. 여기서, 외곽면(223)이 단차(225)를 형성함에 따라, 체결면(213)과 외곽면(223) 사이에 공간(23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렌즈 결합 구조가 광학계(100)에 적용된다. 이 때 외곽면(223)이 단차(225)를 형성함에 따라, 회절면(211)에서 회절된 광이 체결면(213)과 외곽면(223) 사이의 공간(230)에 잔류된다. 이로 인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 소자(170)의 상 면(R14)에 1 차 광 뿐만 아니라, 0 차 또는 2 차 광과 같은 잡광이 맺힌다. 이러한 잡광은 영상의 가장자리에서 플레어를 형성하여, 영상을 흐릿하게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 소자(170)에서 1 차 광을 중심으로, 0 차 또는 2 차 광이 노이즈로 발생된다. 여기서, 1 차 광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0 차 또는 2 차 광의 강도도 높아진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결합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결합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렌즈 결합 구조에서, 회절 렌즈(310)와 결합 렌즈(320)가 상호 결합된다. 이 때 회절 렌즈(310)가 상대적으로 물체 측에 배치되고, 결합 렌즈(320)가 상대적으로 상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렌즈(310)는 회절면(311)과 체결면(313)을 포함한다. 이 때 회절 렌즈(310)에서, 회절면(311)과 체결면(313)은 상 측에 배치된다.
회절면(311)은 회절 렌즈(310)에서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 때 회절면(311)은 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회절면(311)은 물체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또는 회절면(311)은 비구면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절면(311)은 광을 회절시킨다.
체결면(313)은 회절면(311)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체결면(313)은 회절면(311)을 둘러쌀 수 있다. 이 때 체결면(313)은 회절면(311)으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체결면(313)은 회절면(311)으로부터 평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면(313)은 평면일 수 있다. 즉 체결면(33)은 비구면일 수 있다.
결합 렌즈(320)는 중앙면(321)과 외곽면(323)을 포함한다. 이 때 결합 렌즈(320)에서, 중앙면(321)과 외곽면(323)은 물체 측에 배치된다.
중앙면(321)은 결합 렌즈(320)에서 중앙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중앙면(321)은 회절면(311)에 대향된다. 이 때 중앙면(321)은 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중앙면(321)은 상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또는 중앙면(321)은 비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중앙면(321)의 직경은 회절면(311)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중앙면(321)의 직경은 회절면(311)의 직경 보다 클 수도 있다. 또한 중앙면(321)으로, 회절면(311)에서 회절된 광이 입사된다.
외곽면(323)은 중앙면(321)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외곽면(323)은 중앙면(321)을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외곽면(323)은 체결면(313)에 대향된다. 이 때 외곽면(323)은 중앙면(321)으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외곽면(323)은 중앙면(321)으로부터 평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외곽면(323)은 평면일 수 있다. 즉 외곽면(323)은 비구면일 수 있다. 게다가, 외곽면(323)은 체결면(313)에 체결된다. 이 때 외곽면(323)은 체결면(313)에 밀착된다. 여기서, 외곽면(323)은 체결면(313)에 접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렌즈 결합 구조에서, 회절 렌즈(310)와 결합 렌즈(320)가 상호 결합된다. 이 때 회절 렌즈(310)가 상대적으로 상 측에 배치되고, 결합 렌즈(320)가 상대적으로 물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렌즈(310)는 회절면(311)과 체결면(313)을 포함한다. 이 때 회절 렌즈(310)에서, 회절면(311)과 체결면(313)은 물체 측에 배치된다.
회절면(311)은 회절 렌즈(310)에서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 때 회절면(311)은 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회절면(311)은 상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또는 회절면(311)은 비구면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절면(311)은 광을 회절시킨다.
체결면(313)은 회절면(311)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체결면(313)은 회절면(311)을 둘러쌀 수 있다. 이 때 체결면(313)은 회절면(311)으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체결면(313)은 회절면(311)으로부터 평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면(313)은 평면일 수 있다. 즉 체결면(313)은 비구면일 수 있다.
결합 렌즈(320)는 중앙면(321)과 외곽면(323)을 포함한다. 이 때 결합 렌즈(320)에서, 중앙면(321)과 외곽면(323)은 물체 측에 배치된다.
중앙면(321)은 결합 렌즈(320)에서 중앙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중앙면(321)은 회절면(311)에 대향된다. 이 때 중앙면(321)은 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중앙면(321)은 물체 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또는 중앙면(321)은 비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중앙면(321)의 직경은 회절면(311)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중앙면(321)의 직경은 회절면(311)의 직경 보다 클 수도 있다. 또한 중앙면(321)으로, 회절면(311)에서 회절된 광이 입사된다.
외곽면(323)은 중앙면(321)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외곽면(323)은 중앙면(321)을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외곽면(323)은 체결면(313)에 대향된다. 이 때 외곽면(323)은 중앙면(321)으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외곽면(323)은 중앙면(321)으로부터 평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외곽면(323)은 평면일 수 있다. 즉 외곽면(323)은 비구면일 수 있다. 게다가, 외곽면(323)은 체결면(313)에 체결된다. 이 때 외곽면(323)은 체결면(313)에 밀착된다. 여기서, 외곽면(323)은 체결면(313)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렌즈 결합 구조가 광학계(1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체결면(313)과 외곽면(323)이 밀착됨에 따라, 체결면(313)과 외곽면(32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수광 소자(170)의 상 면(R14)에 1 차 광이 맺힐 뿐, 0 차 또는 2 차 광과 같은 잡광이 맺히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영상의 가장자리에서 플레어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수광 소자(170)에서 영상이 보다 선명할 수 있다. 아울러, 수광 소자(170)에서 노이즈의 발생이 억제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회절면을 포함하는 회절 렌즈와,
    상기 회절면에 대향되는 중앙면 및 상기 중앙면으로부터 평평하게 연장되는 외곽면을 포함하는 결합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렌즈는,
    상기 회절면으로부터 평평하게 연장되며, 상기 외곽면에 밀착되는 체결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면의 직경은,
    상기 회절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회절면의 직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면은,
    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렌즈는,
    물체 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렌즈는,
    상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면은,
    상기 물체 측으로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면은,
    상기 상 측으로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렌즈는,
    상 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렌즈는,
    물체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면은,
    상기 상 측으로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면은,
    상기 물체 측으로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계.

KR1020120089620A 2012-08-16 2012-08-16 광학계 KR20140023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620A KR20140023584A (ko) 2012-08-16 2012-08-16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620A KR20140023584A (ko) 2012-08-16 2012-08-16 광학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584A true KR20140023584A (ko) 2014-02-27

Family

ID=5026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620A KR20140023584A (ko) 2012-08-16 2012-08-16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358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8212B2 (ko) * 1985-04-23 1991-10-25 Kubota Kk
US20040208109A1 (en) * 2003-04-21 2004-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bjective optical system for correcting aberration and optical head employing the same
KR20070015774A (ko) * 2005-08-01 2007-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결상 렌즈
KR20120018573A (ko) * 2010-08-23 2012-03-05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광학계
KR20120024172A (ko) * 2010-09-06 2012-03-14 주식회사 나노베이스 분광계용 광학계 및 이를 적용한 분광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8212B2 (ko) * 1985-04-23 1991-10-25 Kubota Kk
US20040208109A1 (en) * 2003-04-21 2004-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bjective optical system for correcting aberration and optical head employing the same
KR20070015774A (ko) * 2005-08-01 2007-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결상 렌즈
KR20120018573A (ko) * 2010-08-23 2012-03-05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광학계
KR20120024172A (ko) * 2010-09-06 2012-03-14 주식회사 나노베이스 분광계용 광학계 및 이를 적용한 분광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068212호(2000.07.24.)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0194B (zh) 光學系統
KR101652849B1 (ko) 렌즈 모듈
KR101956704B1 (ko) 촬상 광학계
JP5559272B2 (ja) 光学系
KR200492211Y1 (ko) 근적외선 이미징 렌즈
US9507129B2 (en) Apparatus comprising a compact catadioptric telescope
KR20170016714A (ko) 촬상렌즈
US20150370043A1 (en) Mini wide-angle lens module
KR101606974B1 (ko) 렌즈 모듈
KR102232422B1 (ko) 렌즈 모듈
WO2006098919A3 (en) Micromirror array lens with focal length gradient
KR20170043277A (ko) 촬상 광학계
KR20130003455A (ko) 촬상 렌즈
TWI606254B (zh) 光學系統
KR20190128900A (ko) 이미지 센서용 장파장 적외선 카메라 렌즈 및 그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
US10018328B2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image surveillance device thereof
RU2630194C1 (ru) Светосильный объектив
RU2645912C1 (ru) Светосильный объектив
JP6295613B2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KR102041698B1 (ko) 촬상 광학계
KR102439910B1 (ko) 촬상 광학계
KR20140023584A (ko) 광학계
KR20120079665A (ko) 카메라 플래시 발광소자용 렌즈
KR101235579B1 (ko) 적외선 현미경 렌즈모듈
KR101554130B1 (ko) 고해상도 광시야각 원적외선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