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751A -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 Google Patents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751A
KR20140022751A KR1020137007156A KR20137007156A KR20140022751A KR 20140022751 A KR20140022751 A KR 20140022751A KR 1020137007156 A KR1020137007156 A KR 1020137007156A KR 20137007156 A KR20137007156 A KR 20137007156A KR 20140022751 A KR20140022751 A KR 20140022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intramedullary
measuring
bending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토 나르디니
아드리안 바움가르트너
우르스 휴리거
Original Assignee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신세스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40022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25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applying transverse screws or pins through intramedullary nails or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applying intramedullary nails or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3Apparatus for shaping or cutting osteosynthesis equipment by medical perso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681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00725Calibration or performance 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4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7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an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는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삽입을 위해 치수되고 형상지어진 프로브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는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까지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1 길이방향 요소 및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까지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2 길이방향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길이방향 축이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중앙 평면을 정의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말단부가 상호 결부되어 있다.
측정 요소는 상기 프로브가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삽입되어짐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굽힘에 대하여 상기 중앙 평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의 상대 축 변위를 측정한다.

Description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BENDING OF AN INTRAMEDULLARY NAIL}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10년 9월 24일자로 Reto Nardini, Adrian Baumgartner 및 Urs Hulliger가 출원한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Bending of an Intramedullary Nail"이라는 명칭의 미국가출원번호 제61/386,255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의 모든 내용은 거기에 덧붙여 여기에 참조로써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굽힘 변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는 골수강내 정을 통하여 연장되는 가로 잠금 구멍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골수강내 정의 삽관(cannulation)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장치를 설명한다.
골수강내 정(intramedullary nails)은 골절을 고정하기 위하여 뼈의 골수강(medullary canals) 내로 대게 삽입되어 진다. 그러한 골수강내 정은 골수강내 정을 통하여 연장되는 가로 잠금 구멍(transverse locking holes)을 관통하는 잠금 스크루(locking screws)에 의해 뼈에 대하여 고정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삽입 동안에 골수강내 정은 가로 잠금 구멍의 위치를 결정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종종 그것의 통상의 굴곡을 벗어나 굽혀진다. 조준 장치(aiming device)는 드릴 같은 수술 기구 및/또는 가로 잠금 구멍을 관통하는 잠금 스크루를 가이드하기 위해 이용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순수하게 기계적인 조준 장치는 예를 들어 정이 뼈 내에서 예상치못한 길로 굽혀지면 충분히 신뢰할 수 없다. 현존하는 해법은 가로 잠금 구멍의 실제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x-ray 이미지 또는 전자 추적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용이 감지가능한 물리적 수량을 지니는 측정 원칙에 기초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삽관(cannulation)과 가로 잠금 구멍(transverse locking holes)을 포함하는 골수강내 정(intramedullary nails)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까지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1 길이방향 요소 및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까지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2 길이방향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길이방향 축이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굽힘에 대하여 중앙 평면에서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의 상대 축 변위를 측정하는 측정 기구와 함께 중앙 평면을 정의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말단부가 함께 결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장치의 중앙 평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의 상대 변위를 측정한다. 이용되는 측정 원리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몇몇 이점은 상기 장치가 전자 기술을 요구하지 않고, 단순한 디자인과 저렴한 제조 원가를 구비하며, 이용하기 용이하다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삽입되어질 수 있고, 두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가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골수강내 정의 굽힘과 일치하도록 굽혀질 것이다. 상기 인접단부의 이러한 작은 하지만 상대적인 이동은 삽입되는 정의 변형을 정량화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장치는 잠금 구멍의 축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에서 상기 정의 굽힘을 측정한다. 상기 정의 어떠한 다른 가능한 변형은 무시해도 좋다.
상기 장치의 측정된 값은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시스템같은 다른 시스템에 전달되어질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잠금 이슈를 커버하는 네비게이션 솔루션을 위하여 제공한다. 측정값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어질 수 있고, 거기서 기계적 조준 장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측정값은 기계적 조준 장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이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골수강내 정과 관계된 어떠한 적용(예를 들어 대퇴골, 경골, 상박골 삽입용 골수강내 정)을 위하여도 이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전체적으로 합성 물질과 금속 중 하나 또는 모두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는 거리(x)>0 로, 바람직하게는 최소값이 0.1㎜인 거리(x)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값이 0.25㎜인 거리(x)로 그것들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직교하여 서로 이격되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길이방향 축들 사이 거리에 평행하게 측정된 높이와 상기 높이에 수직인 폭을 지닌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적을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높이에 대한 상기 폭의 비율은 최소 0.25, 바람직하게는 최소 0.3이다.
다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길이방향 축들 사이 거리에 평행하게 측정된 높이와 상기 높이에 수직인 폭을 지닌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적을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높이에 대한 상기 폭의 비율은 최대 0.8, 바람직하게는 최대 0.7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장치가 상기 장치의 중심 축을 따라 어떠한 평면에서도 굽혀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상기 장치는 그것의 형상을 상기 장치가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삽입되어질 때 공간적으로 굽은 골수강내 정의 형상에 적용할 수 있다.
또다시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골수강내 정의 굽힘 측정용 측정 요소는 기계적이고,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 중 하나의 이동에 의해 작동하는 지시부, 바람직하게는 바늘 및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 또는 고정 가능한 눈금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바늘은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핀에 의해 작동되며, 여기서 상기 눈금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마련된다. 상기 바늘의 회전 축은 상기 핀의 축으로부터 길이(L2)임에 반해 상기 바늘은 전체적으로 길이(L1)을 구비한다. 따라서, L2에 대한 L1의 비율 때문에 측정값의 증폭이 달성될 수 있고, 상기 장치의 이용자로 하여금 용이한 계측을 돕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의 측정 요소는 전기적이다.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 사이 변위는 예를 들어 두 금속 판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거나, 압전 크리스탈이 압축되는 것에서 텐션을 측정하거나, (예를 들어 코일, 상호 거리 등에 의해)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자석과 홀 센서에 의해 또는 그것들의 움직임에 따라 정밀한 마킹이 계산될 수 있는, 예를 들어 CNC-공작기계에 대한, 광학 계측용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다시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측정 요소는 유압식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변위는 유체가 눈금을 따라 확장되기 위해 힘을 받도록 유체를 포함하는 튜브를 압축함에 의해 측정되어질 수 있다.
여전히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측정 요소는 영점 조절 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예의 이점 중 하나는 상기 측정 요소가 변형되지 않은(즉, 뼈의 골수 강에 삽입 이전에)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상기 장치의 삽입에 대해 영점 위치로 셋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시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는 거리(x)>0 로 그것들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직교하여 서로 이격되어지고, 여기서 상기 거리(x)에 평행하게 측정된 상기 장치의 높이에 대한 상기 거리(x)의 비율은 최대 0.5, 바람직하게는 최대 0.25㎜ 이다.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굽힘 반경의 차이는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 사이 증가하는 거리(x)로 증가한다. 그러므로 증가하는 거리(x)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의 상대 축 변위는 상기 장치의 굽힘에 대하여 증가한다.
또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 사이에 마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거리(x)로 이격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는 상기 장치가 굽혀질 때 서로에 대하여 눌려지지 않는다.
또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골수강내 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상기 장치를 고정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상기 장치의 정의된 삽입 길이를 위해 제공되는 위치 요소를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는 그것들의 인접단부와 말단부 사이에서 그것들의 길이를 따라 서로 접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는 상기 장치의 완전한 변형이 결과적으로 상대 변위로 전달되도록 상기 장치의 굽힘에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장치의 길이는 대략 20㎝ 내지 65㎝ 사이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약 45㎝의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장치의 굽힘은 0°내지 ± 3°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 0°내지 ± 1°의 범위 내이다. 상기 측정 장치의, 그리고 각각의 상기 골수강내정의 팁에서, 이러한 굽힘 범위는 결과적으로 0 내지 20 ㎜의 범위 내에서, 전형적으로는 10 ㎜의 굴곡이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접단부에서 측정된 것처럼- 상기 상대 축 변위 결과는 대략 0.5㎜와 5㎜ 사이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키트는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은 장치와 삽관 및 가로 잠금 구멍을 지닌 골수강내 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골수강내 정 내에 잠금 스크루를 셋팅하기 위한 방법은 기계적 조준 장치를 삽관 및 가로 잠금 구멍을 구비하는 골수강내 정의 한쪽 끝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수강내 정의 인접단부에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되고, 상기 조준 장치는 상기 삽관과 정렬되는 보어홀을 구비한다. 그리고 나서 치유에 따른 장치는 상기 말단 잠금 가이드 장치에 상기 보어홀을 통하여 그리고 상기 골수강내 캐비티 내로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입 이전에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삽입된다. 상기 말단 잠금 가이드 장치에 가이드 보어는 상기 말단 잠금 가이드 장치에 마련된 조절 기구에 의해 상기 가로 잠금 구멍에 조절된다. 상기 측정 요소는 영점 위치로 셋팅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골수강내 정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조준 장치는 상기 골수강내 정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골수강내 정은 긴 뼈의 골수강내 캐비티로 삽입된다. 상기 기계적 조준 장치는 상기 골수강내 정에 탑재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삽입된다.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의 상대 축 변위는 상기 측정 요소로 측정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기계적 조준 장치는 상기 조준 장치의 조절 기구에 의해 측정된 상대 축 변위에 대하여 조절된다. 잠금 스크루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에 가이드 보어를 관통하여 상기 가로 잠금 구멍 내로 놓인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보어는 상기 말단 잠금 가이드 장치에서 상기 가이드 보어 내로 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말단 잠금 가이드 장치의 연장팔을 상기 볼트가 상기 골수강내 정에 가로 잠금 구멍에 동축이 될때까지 조절함에 의해 조절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몇몇 이점은 상기 장치가 전자 기술을 요구하지 않고, 단순한 디자인과 저렴한 제조 원가를 구비하며, 이용하기 용이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은 예시의 방법에 의해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장치의 실시 예의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들의 인접단부의 상대 축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요소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방향에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들의 인접단부의 상대 축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요소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바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눈금을 지닌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골수의 캐비티로 삽입된 골수강내 정을 지닌 대퇴골(femur)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골수강내 정을 지닌 대퇴골, 골수강내 정에 부착된 가이드 장치 및 도 1 및 도 2에 따른 장치의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확장 팔의 관절 위에 상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상세 C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동일한 구성요소가 동일한 참조번호로 언급되어 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이해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골절의 치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뼈의 골수강(medullary canal) 내로 삽입되어지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골수강내 정 내 삽입물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두 길이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1)는 측정 요소(30)를 통하여 골수강내 정(intramedullary nail)(40)의 굽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골수강내 정(40)의 삽관(cannulation)(41) 내에 삽입물을 위하여 치수되고 형상되어진 프로브(probe)(5)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 요소(30)에 의해 측정된 굽힘 정도는 조준 장치(50)의 조준 구멍(55)이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가로잠금구멍(42)과 알맞게 정렬되도록 조준 장치(50)를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5)는 제1 길이방향 축(11)을 따라 말단부(12)로부터 인접단부(13)까지 연장하는 제1 길이방향 요소 및 제2 길이방향 축(21)을 따라 말단부(22)로부터 인접단부(23)까지 연장하는 제2 길이방향 요소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의 말단부(12, 22)는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축(11, 21)이 서로 평행하며, 상기 프로브(5)의 중앙 평면(7)을 정의하도록 서로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브(5)의 중심 평면(8)은 상기 중앙 평면(7)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의 제1 및 제2 길이방향 축(11, 21)으로부터 대체로 등거리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 사이에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10)의 말단부(12)는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20)의 말단부(22)와 전체로 형성되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프로브(5)는 단일 개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는 각각 내부면(14, 24)을 구비하고, 이들은 서로 마주하며, 대체로 평면이다.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의 내부면(14, 24) 사이에는 단지 얇은 슬롯(6)이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는 서로 상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는 각각 측면으로 평평한 반원 단면을 구비할 수 있고, 각각 곡선 반경 바깥쪽 표면과 대체로 평평한 측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의 측면으로 평평한 반원 단면때문에, 상기 프로브(5)의 굽힘 강성은 상기 중앙 평면(7)과 중심 평면(8) 모두에서 상기 프로브(5)의 굽힘을 허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프로브(5)는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41) 내로 그것의 삽입으로 상기 공간적으로 굽은 골수강내 정(40)에 그것의 형태를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5)는 제1 길이방향 요소(10)의 곡선 반경 바깥쪽 표면으로부터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곡선 반경 바깥쪽 표면까지 중앙 평면(7)에서 측정된 직경(DM)을 구비하고, 이것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5)가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41) 내로 미끄러지며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41)의 내경(dc)에 상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는 각각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예를 들어 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골수강내 정(40)에서 굽은 곳들이 상기 프로브(5)에 옮겨지도록 상기 프로브(5)가 삽관(41) 내에 삽입을 위해 치수되고 형상되어지는 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의 단면은 다양한 형상 중 하나를 채택할 수도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브(5)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방향으로 굽혀지면,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10)의 제1 길이방향 축(11)은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20)의 제2 길이방향 축(21)의 굽은 반경 보다 작은 굽은 반경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축(11, 21)의 다른 굽은 반경은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13, 23)를 각각 서로에 대하여 옮겨지도록 야기시킨다. 상기 프로브(5)는 도 1에서 도면 평면과 일치하는 상기 중앙 평면(7)에서 상기 프로브(5)의 굽힘 정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요소(30)는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의 인접단부(13, 23)에 부착되고, 상기 프로브(5)가 굽혀지면,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의 인접단부(13, 23)의 상대 변위를 측정하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요소(30)는 완전히 기계적이고, 바늘(31)과 눈금(32)을 포함한다.
상기 바늘(31)은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20)의 인접단부(23)에서 인접면에 고정되고, 대체로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20)의 제2 길이방향 축(21)에 평행한 상기 인접단부(23)로부터 인접하게 연장된 고정 다리 및 상기 고정 다리의 인접단부에 대체로 수직인, 상기 중앙 평면(7)에 직교하여 연장된 지시 다리를 포함하여 형상된 후크(hook)일 수 있다.
상기 눈금(32)은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10)의 인접 단부(13)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33)의 표면에 정렬되어질 수 있다. 상기 눈금(32)을 포함하는 상기 표면은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10)의 내부면(14)과 동일 평면 또는 상기 내부면(14)에 평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하여, 상기 눈금(32)은 상기 중앙 평면(7)을 따라 또는 거기에 평행하게 상기 인접 단부(13)로부터 인접하게 연장된다.
제1 부분은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10)의 말단부(12) 방향으로 순서가 증가하도록 제공되는 0 부터 +3까지 마킹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은 반대 방향으로 제공되는 0 부터 -3까지 마킹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화살표 B로지시된 것처럼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10)를 상기 중심 평면(8)의 동일한 측에 있는 곡률 중심으로 상기 프로브(5)가 상기 도면 평면에서 굽혀지면, 상기 바늘(31)이 0 부터 +3까지 마킹된 제1부분에서 상기 눈금(32)에 대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10)의 굽은 반경은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굽은 반경보다 작다.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20)를 상기 중심 평면(8)의 동일한 측에 있는 곡률 중심으로 상기 프로브(5)가 상기 도면 평면에서 굽혀지면,상기 바늘(31)이 0 부터 -3까지 마킹된 제2부분에서 상기 눈금(32)에 대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10)의 굽은 반경은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20)의 굽은 반경보다 크다. 상기 마킹들은 특히 -3 부터 +3 까지의 범위로 설명되었지만, 예를 들면 범위에서 다양한 수치 마킹, 심볼 마킹 등 상기 마킹들이 다양한 형태 중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조준 장치의 조준 구멍(55)이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가로잠금구멍(42)과 정렬되도록 상기 측정 요소(30)에 의해 얻어진 측정치는 상기 조준 장치(50)를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조준 장치(50)는 조절 기구(56)에 의해 조절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측정 요소(30)의 눈금(32)은 반드시 미터법으로 스케일되어지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로부터 말단 잠금 가이드 장치(50)의 조절 기구(56)까지 측정 값의 이전을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 장치(56)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눈금(32)의 마킹에 대응하는 눈금 분할을 구비하는 눈금(60)을 지닌 지시 요소(5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요소(30)의 구경 측정, 상기 조준 장치(50)의 조절 기구(56)의 대응 지시 요소(59), 상기 측정 요소(30)의 눈금(32)은 상기 말단 잠금 가이드 장치(50)의 조절 장치(56)를 전진하게 하기 위해 측정 값을 특별한 각도로 변환할 필요 없이 상기 조준 장치(50)의 단순 조절을 고려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1')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와 대체로 유사하지만, 각각 서로 거리(x)만큼 이격된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를 포함하는 프로브(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 사이의 거리(x)는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의 굽은 반경 사이의 차이를 증가한다. 상기 장치(1)와 유사하게,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의 제1 및 제2 길이방향 축(11', 21')은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가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축(11', 21')에 서로 수직으로 떨어져 이격되도록 대체로 평행하다. 상기 거리(x)는 상기 프로브(5')의 직경(DM')의 약 30%정도일 수 있다.특정 각도로의 상기 프로브(5')의 굽힘에 제1 및 제2 길이방향 축(11', 21')의 굽은 반경의 큰 차이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의 인접단부(13', 23')의 보다 큰 상대 축 변위는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바늘(31)은 포인팅 팁이 눈금(32')을 지닌 플레이트(33')의 표면에 가까워지도록 움직여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를 상기 중앙 평면(7)에서 상기 프로브(5')의 굽힘 때문에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스페이서(15')가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의 내부면(14, 24) 사이에 정렬된다. 그것에 의해, 복수의 스페이서(15')는 상기 각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 중 하나에 부착되거나, 이들 중 하나와 통합적으로 또는 이들 중 하나와 교대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뼈의 골수 공간(medullary canal)내로 삽입되어지는 골수강내 정(40)의 굽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10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상기 장치(100)는 앞서 설명된 상기 장치(1)과 대체로 유사하고, 각각의 말단부(112, 122)와 측정 요소에서 서로 부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를 포함하는 프로브(105)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100)는 측정된 굽힘 정도가 상기 조준 장치(50)를 조절하는 데 이용될 수 있도록,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용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100)는 상기 측정요소(30)가 상기 장치(1)와 다르게 형성되고, 게다가 상기 프로브(105)가 삽입되는 곳에서,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41) 내로 상기 프로브(105)의 삽입 길이를 정의하며, 상기 장치(100)가 상기 골수강내 정(40)에 대하여 회전식으로 고정되도록 허용하는 위치 요소(positioning element)(109)를 포함하는 것에서 상기 장치(1)와 다르다.
상기 장치(1)과 유사하게,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 120)는 어떤 또는 다양한 단면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의 각각의 단면은 반원일 수 있다. 그 대신에,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는 반경 바깥쪽 표면과 대체로 원형의 커브를 따라 연장되고, 대체로 평평한 측표면을 포함하는 제1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는 각각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예를 들면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하게 상기 측정 요소(30)는 바늘(31)과 플레이트(33)에 정렬된 눈금(32)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측정 요소(30)는 상기 각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의 제1 및 제2 길이방향 축을 따르는 방향에서 상기 바늘(31)에 대하여 상기 눈금(32)의 영점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영점 셋팅 기구(3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늘(31)과 상기 눈금(32)을 포함하는 플레이트(33)는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110)의 인접단부(13)와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120)의 인접단부(23) 각각에 고정되거나, 함께 전체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베이스 부재(136, 137)에 탑재되어, 상기 프로브(105)가 굽혀졌을 때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의 인접단부(113, 123) 사이에 이동과 대체로 유사한 거리로 서로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가 옮겨진다.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부재(136, 137) 각각은 일반적으로 한 쌍의 측면 다리(168, 169)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의 인접단부(113, 123)에 끝단부로부터 상기 중앙 평면(107)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U자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늘(131)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136)와 선회 연결될 수 있는 제1 단부(172)로부터 제2 지시단부(173)까지 연장된다. 상기 바늘(131)은 제1핀(161)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136)에 고정되도록 상기 바늘(131)의 제1 단부에 구멍(164)과 상기 제1 베이스 부재(136)를 관통하는 대응구멍을 통과하는 제1핀(161)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136)의 측면 다리(168) 사이에 상기 제1 베이스 부재(136)와 연결된다. 상기 바늘(131)의 제2단부(171)는 상기 제2 베이스 부재(137)를 옆으로 지나 연장된다. 상기 제1핀(161)의 축이 상기 장치(100)의 중앙 평면(107)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상기 제1핀(161)의 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131)은 상기 바늘(131)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중심축(165)을 따라 길게 그리고 그것을 통하여 연장된 긴 개구(163)를 포함한다. 제2핀(162)은 상기 제2 베이스 부재(137)에 부착되고, 상기 제1핀(61)의 축에 평행한 제2핀(62)의 축을 지니며, 상기 긴 개구(163)를 관통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의 인접단부(113, 123)의 상대적 축 이동으로,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부재(136, 137)와 상기 제1 및 제2 핀(161, 162)은 서로에 대하여 동일하게 옮겨진다. 그러므로 상기 바늘(31)은 상기 제1핀(161)에 대하여 회전되고, 상기 바늘(31)의 팁은 상기 눈금(32)에 대하여 이동한다. 상기 제1 및 제2핀(161, 162)이 서로로부터 L2길이로 위치됨에 반하여 상기 바늘(131)은 L1길이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핀(161, 162)의 축 사이 L2길이에 대한 상기 바늘(131)의 L1길이의 비율 때문에, 상기 바늘(131)의 제2 단부(173)에 바늘 팁은 측정 값이 증폭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의 인접단부(113, 123)의 축 변위보다 큰 범위에서 이동한다.
상기 눈금(132)은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의 긴 축(111, 121)에 가로질러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플레이트(133)의 표면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눈금(132)을 포함하는 플레이트(133)의 표면은 상기 중앙 평면(107)에 평행하다. 상기 눈금(132)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의 실시 예의 눈금(132)에 대하여 위에 설명된 마킹과 대체로 유사하게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33)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136)에서 내부 나사산과 대응되어 맞물리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두 스크루(166)에 의해 거기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33)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136)에 부착된다. 상기 플레이트(133)는 스크루(166)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136)에 상기 플레이트(133)를 고정하도록 관통하는 것을 통하여 두 긴 구멍(16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멍(167)은 상기 플레이트(133)가 상기 프로브(105)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의 길이방향 축(111, 12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장축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늘(131)에 대하여 눈금의 영점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루(66)는 상기 바늘(132)의 제2 단부(173)이 상기 눈금(132)의 영점위치를 가리킬 때까지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의 제1 및 제2 길이방향 축(111, 121)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132)가 상기 바늘(131)에 대하여 이동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완화되어질 수 있다. 요구되는 것처럼 영점 위치가 이루어지면, 상기 스크루(166)는 상기 프로브(105)와 상기 바늘(131)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133)를 고정하도록 잠길 수 있다.
상기 장치(100)의 위치 기구(109)는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의 인접단부(111, 121)를 둘러싸는 슬리브(170)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170)는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10, 120) 위로 슬라이드 이동되어질 수 있고, 핀(171)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 중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핀(171)은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준 장치(50)의 보어홀(54)의 내부면을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그루브(172)에 맞물리도록 상기 슬리브(170)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조준장치(50)는 요구되는 회전 위치에서 상기 골수강내 정(40)에 부착되고, 상기 장치(100)는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41)에 상기 보어홀(54)을 통하여 삽입되어지면, 상기 그루브(172)에 맞물리는 핀(17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수강내 정(40)에 대하여 상기 장치(100)의 정의되는 회전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41) 내로 상기 프로브(105)의 정의되는 삽입 길이를 제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에 대하여 참조로 설명된 것처럼 상기 위치 요소(109)가 앞서 설명된 것처럼 상기 장치(1, 1') 중 어느 것이라도 포함되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상기 골수강내 정(40)과 조준 장치(50)는 특히 상기 장치(1)에 대하여 참조로 설명되었지만, 상기 골수강내 정(40)과 상기 조준장치(50)는 상기 장치(1')과 상기 장치(100)와 함께 유사하게 이용되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장치(1, 1', 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골(femur)(3)의 골수 캐비티(medullary cavity)내로 삽입되어지는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굽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골수강내 정(40)은 인접단부(43)로부터 말단부(44)까지 길이방향 축(44)을 따라 연장되고, 직경(dc)로 그것의 길이 부분을 따라 상기 인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삽관(41)과 그것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말단 가로 잠금 구멍(42)을 포함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대퇴골(3)의 골수 캐비티 내로 삽입되는 조준 장치(50)를 지닌 골수강내 정(40)과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에 삽입되는 장치(1)를 도시한다. 상기 조준장치(50)는 그곳의 인접단부에 보어홀(54)이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41)과 정렬되도록, 회전으로 정의되는 위치에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인접단부(43)에 고정된다. 상기 안내장치(50)는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길이방향 축(44)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것의 말단부(53)에 가이드 슬리브(52)를 포함하는 연장팔(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52)는 상기 길이방향 축(44)에 대하여 가로질러 상기 슬리브(52)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55)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52)는 말단 잠금 스크루가 삽입되어질 수 있는 곳으로 대퇴골(3)의 말단부위에 구멍을 파기 위해 가로잠금구멍(42)의 축에 동축으로 드릴 비트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잠금 구멍(42)과 정렬되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팔(51)은 상기 슬리브(52)가 상기 팔(51)의 남은 부분에 대하여 회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팔(51)의 남은 부분에 대하여 길이방향 이동가능 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장팔(51)은 회전축(57)을 지닌 탈착 잠금 가능한 관절(73) 및 상기 슬리브(52)가, 그리고 그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 구멍(55)이, 상기 팔(51)의 남은 부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연장팔(51)의 각도를 지시하는 지시 요소(59)를 구비하는 조절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시 요소(59)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요소(30)의 눈금(32)의 눈금 표시와 대응되는 눈금 표시를 구비하는 눈금(60)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연장팔(51)은 상기 슬리브(52)가 상기 팔(51)의 남은 부분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망원경식으로(telescopically) 형성된다. 상기 대퇴골(3)의 골수 캐비티 내로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입 후에 상기 프로브(5)가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41) 내로 삽입되면, 상기 프로브(5)는 상기 프로브(5)의 굽힘 변형이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굽힘변형과 대응되도록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41)의 형상에 축방향으로 적응한다. 상기 장치(1)의 프로브(5)는 상기 가이드 장치(50)에 보어홀(54)을 통하여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41) 내로 삽입된다. 상기 말단 잠금 가이드 장치(50)의 조절 기구(56)의 지시 수단(59)의 눈금(60)은 상기 장치(1)의 눈금(32)에 스케일 부문(예를 들어 마킹)에서 대응된다. 상기 장치(100)는 상기 골수강내 정에 유사하게 삽입되어질 수 있지만, 또한 상기 정(40)과 상기 위치 기구(109)에 의해 상기 조준 장치(50)에 대하여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슬리브(170)의 외부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된 핀(171)은 상기 보어홀(54)의 내부면을 따라 상기 그루브(172) 내로 압입된다.
상기 골수강내 정(40) 내로 잠금 스크루를 끼워넣기 위한 방법은 조준장치(50) 및/또는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한쪽 끝에 기계적 조준 장치(50)를 탑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측정 요소(30)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아직 뼈 내로 삽입되어지지 않는다. 상기 골수강내 정(40)은 삽관(41)과 가로 잠금구멍(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준 장치(50)는 상기 말단부(44)에 가장 가까운 잠금 구멍(42)에 가이드 장치를 위한 정(40)의 인접단부(43)에 부착된 말단 조준 장치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조준장치(50)는 상기 골수강내 정(40)을 따라 어떤 잠금 구멍에도 가이드 장치를 위해 이용되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조준 장치(50)는 상기 조준장치(50)의 인접 보어홀(54)이 상기 삽관(41)과 정렬되도록 상기 골수강내 정(40)에 부착된다. 그 다음에 상기 장치(1)의 프로브(5)는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41) 내로 상기 조준장치(50)에 보어홀(54)을 통하여 삽입되어질 수 있다. 상기 조준 장치(52)의 가이드 슬리브(52), 그리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보어(55)는 상기 가로 잠금구멍(42)을 정렬하기 위해 조절되어질 수 있다. 상기 조준 장치(50)에 정렬된 조절 기구(56)는 조절되어 그 위에 눈금 표시가 상기 측정 요소(30)의 눈금(32)에 도시된 눈금 표시와 일치된다. 상기 조절은 망원경식(telescopable) 연장팔(51)의 길이 조절 및/또는 상기 관절(73)의 회전축(57)에 대하여 상기 연장팔(51)의 각도 조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상기 가이드 구멍(55)에 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가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가로 잠금 구멍(42)의 축(45)과 동축이 될 때까지 상기 말단 잠금 가이드 장치(50)의 연장팔(51)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어질 수 있다.
상기 조준 장치(50)의 연장팔(51)이 상기 가이드 보어(55)가 상기 가로잠금구멍(42)과 정렬되도록 조절되면, 상기 장치(1)의 측정 요소(30)와 상기 조절 기구(56)의 지시요소(59)는 영점 위치로 놓인다. 그리고 나서 상기 장치(1)는 상기 골수강내 정(40)으로부터 제거되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치(50)는 또한 상기 골수강내 정(40)으로부터 제거되어질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골수강내 정(40)은 예를 들면 대퇴골(30)같은 긴 뼈의 골수 캐비티 내로 삽입되어질 수 있다. 한번 삽입되어지면, 상기 조준 장치(50)는 조절 절차에 관해 위에 설명된 동일한 회전 위치에서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인접단부 및 말단부(43, 44) 중 하나에 탑재된다. 상기 장치(1)는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삽관(41) 내로 삽입된다.
상기 삽관(41) 내로의 상기 장치(1)의 삽입은 상기 측정 요소(3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10, 20)의 인접단부(13, 23)의 회전축 변위를 측정함에 의해 뼈로의 상기 정(40)의 삽입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굽힘 정도를 측정한다. 상기 조준 장치(50)는 상기 측정 요소(30)에 의해 측정된 변위를 이용하여 조절되어질 수 있다. 상기 조준 장치(50)의 조절 기구(56)는 그리고 나서 상기 측정 요소(30)의 눈금(32)에 지시된 측정에 대응되도록 조절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절 단계는 상기 관절(73)의 조절에 의한 상기 연장팔(51)의 각도 조절을 포함한다. 상기 망원경식 연장팔(51)의 길이 조절은 단지 조절 절차동안 이용된다. 상기 프로브(5)가 도 1에서 화살표 B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10)처럼 상기 중심평면(8)의 같은 측면에 위치된 곡률중심을 지닌 도면 평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굽혀지면,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10)의 굽힘 반경은 상기 바늘(31)이 상기 눈금(32)에 대하여 0부터 +3까지 표시된 제1부분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20)의 굽힙 반경보다 더 작다. 반대로 상기 프로브(5)가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20)처럼 상기 중심평면(8)의 같은 측면에 위치된 곡률중심을 지닌 도면 평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굽혀지면,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10)의 굽힘 반경은 상기 바늘(31)이 상기 눈금(32)에 대하여 0부터 -3까지 표시된 제2부분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20)의 굽힙 반경보다 더 크다. 상기 장치(10)의 눈금(32)은 상기 조준 장치(50)의 조절기구(56)의 지시 수단(59)의 눈금(60)처럼 대체로 동일한 눈금 분할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측정치는 상기 장치(1)의 눈금(32)으로부터 상기 말단 잠금 가이드 장치(50)의 조절 기구(56)로 단순하게 전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보어(55)가 상기 잠금 구멍(42)과 정렬되도록 상기 연장팔(51)이 적절히 조절되어지면, 드릴 같은 도구 또는 다른 기구는 거기를 통하여 삽입되어질 수 있다. 대응홀이 상기 대퇴골(3)에 파지면, 상기 잠금 스크루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52)의 가이드 보어(55)를 통하여, 상기 대퇴골(3)에 대응홀로, 그리고 상기 골수강내 정(40)의 잠금구멍(42)으로 상기 대퇴골(3)에 대하여 상기 골수강내 정(40)을 고정하기 위해 삽입되어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 및 장점들이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형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범위는 명세서에 설명된 과정, 기계, 제조, 구성물질, 수단, 방법 및 단계들의 특정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어서는 안 된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여기에 설명된 상응하는 실시 예들과 같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는 현재 존재하거나 후에 개발되려는 과정, 기계, 제조, 구성물질, 수단, 방법 및 단계들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광범위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중 일부는 위에서 설명되었으며, 나머지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1, 1', 100 장치
5, 105 프로브(probe)
6 얇은 슬롯(thin slot)
7, 107 중앙 평면(middle plane)
8 중심 평면(central plane)
10, 10', 110 제1 길이방향 요소
11, 11, 111' 제1 길이방향 축
12, 112 말단부
13, 13' 인접단부
14 내부면
15' 스페이서
20, 20', 120 제2 길이방향 요소
21, 21, 121' 제2 길이방향 축
22, 122 말단부
23, 23' 인접단부
24 내부면
30 측정요소
31, 131 바늘
32, 132 눈금
33, 133 플레이트
35 영점 셋팅 기구(zero setting mechanism)
40 골수강내 정(intramedullary nail)
41 삽관(cannulation)
42 가로잠금구멍(transverse locking hole)
50 조준 장치(aiming device)
51 연장팔(extension arm)
52 가이드 슬리브
53 말단부
54 보어홀(borehole)
55 조준 구멍(aiming bore)
56 조절 기구(adjusting mechanism)
59 지시 요소(indicating element)
60 눈금
73 탈착 잠금 가능한 관절(releasably lockable articulation)
109 위치 요소(positioning element)
136 제1 베이스 부재
137 제2 베이스 부재
161 제1핀
162 제2핀
163 긴 개구(elongated opening)
164 구멍(bore hole)
166 스크루
167 구멍
168 측면 다리(lateral leg)
171 핀
172 그루브
172 제1 단부
173 제2 지시 단부
179 슬리브

Claims (20)

  1.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삽입을 위해 치수되고 형상지어고,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까지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1 길이방향 요소 및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까지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2 길이방향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길이방향 축이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중앙 평면을 정의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말단부가 상호 결부되어 있는 프로브; 및
    상기 프로브가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삽입되어짐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굽힘에 대하여 상기 중앙 평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의 상대 축 변위를 측정하는 측정요소;를 포함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의 외곽은, 상기 프로브가 상기 삽관을 가로지를 때, 상기 프로브가 상기 정의 굽힘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굽혀지도록 배치되는 곳의 내부에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관의 내부 윤곽에 대체로 맞추기 위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는 거리(x)≥0.1㎜ 및 거리(x)≥0.25㎜ 중 하나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는 상기 길이방향 축 사이 거리에 평행하게 측정된 높이 및 상기 높이에 직교하는 폭을 지닌 상기 길이방향 축과 직교하는 단면적을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높이에 대한 상기 폭의 비율은 적어도 0.25와 0.3 중 하나 그리고 많아야 0.7 과 0.8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요소는 기계적이고,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 중 하나와 연결된 바늘 및 수술상황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된 눈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핀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눈금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요소는 전자 변위 측정 요소 및 유압 요소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요소는 영점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는 그것들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거리(x)>0 로 수직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거리(x)에 평행하게 측정된 상기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의 높이에 대한 상기 거리(x)의 비율은 많아야 0.25 및 0.5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수강내 정에 대하여 상기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의 회전 위치를 정의하고,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상기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의 정의된 삽입 길이를 제공하는 위치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는 그것들의 길이를 따라, 각각의 인접단부와 말단부 사이에서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의 길이는 약 20㎝부터 약 65㎝까지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의 굽힘은 0° 내지 ± 3°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의 굽힘은 0° 내지 ± 1°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16.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삽입을 위해 치수되고 형상지어지고,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까지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1 길이방향 요소 및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까지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2 길이방향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길이방향 축이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중앙 평면을 정의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말단부가 상호 결부되어 있는 프로브; 및 상기 프로브가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삽입되어짐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굽힘에 대하여 상기 중앙 평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의 상대 축 변위를 측정하는 측정요소;를 포함하는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및
    상기 제1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의 측정된 상대 축 변위와 일치되도록 조절가능한 연장팔을 포함하는 조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준 장치가 조절되었을때 상기 골수강내 정의 가로 잠금 구멍과 정렬되는 가이드 보어를 포함하는 시스템.
  17. 프로브는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까지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1 길이방향 요소 및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까지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2 길이방향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길이방향 축이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중앙 평면을 정의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말단부가 상호 결부되어 있으며, 장치의 상기 프로브를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가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굽힘에 대해 측정 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길이방향 요소의 인접단부의 상대 축 변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골수강내 정 내에 잠금 스크루를 셋팅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뼈 속으로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입 이전에 상기 골수강내 정의 삽관 내로 상기 장치를 삽입함에 의해 상기 장치를 눈금을 검정하는 단계 및 변형되지 않은 구성에서 상기 골수강내 정의 굽힘에 일치되도록 영점 위치로 상기 측정 요소를 셋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골수강내 정 내에 잠금 스크루를 셋팅하기 위한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요소에 의해 측정된 상기 상대 축 변위에 일치되도록 상기 조준 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골수강내 정 내에 잠금 스크루를 셋팅하기 위한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눈금을 검정하는 단계는 상기 변형되지 않은 골수강내 정의 가로 잠금 구멍과 가이드 보어가 정렬되도록 조준 장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골수강내 정 내에 잠금 스크루를 셋팅하기 위한 방법.
KR1020137007156A 2010-09-24 2011-09-19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KR20140022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625510P 2010-09-24 2010-09-24
US61/386,255 2010-09-24
PCT/US2011/052137 WO2012040100A2 (en) 2010-09-24 2011-09-19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bending of an intramedullary na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751A true KR20140022751A (ko) 2014-02-25

Family

ID=4467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156A KR20140022751A (ko) 2010-09-24 2011-09-19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84428B2 (ko)
EP (1) EP2618751A2 (ko)
JP (1) JP2013537838A (ko)
KR (1) KR20140022751A (ko)
CN (1) CN103068320A (ko)
BR (1) BR112013001702A2 (ko)
CA (1) CA2804642A1 (ko)
WO (1) WO201204010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3345A1 (en) * 2009-10-06 2012-10-04 University Of Massachusetts Device and method to measure bone healing
WO2013163212A1 (en) * 2012-04-24 2013-10-31 Vector Sight Inc. Measurement and resulting compensation of intramedullary nail deformation
US8721644B1 (en) * 2013-03-08 2014-05-13 Ta-Lun Tan Intramedullary apparatus and methods of treating bone fracture using the same
US20140276000A1 (en) * 2013-03-15 2014-09-18 Vector Sight Inc. Laser Tracking of Surgical Instruments and Implants
US9060786B2 (en) 2013-08-15 2015-06-23 Biomet Manufacturing, Llc X-ray based cut block positioning jig
JP6687595B2 (ja) * 2014-07-15 2020-04-22 オーティ メディツィンテヒニ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長骨に髄内釘を固定する位置決め装置
GB2544501B (en) * 2015-11-18 2017-12-13 Grampian Health Board Variable curve jig for an intramedullary nail
US10004609B2 (en) * 2016-09-23 2018-06-26 Warsaw Orthopedic, In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US10695109B2 (en) * 2017-12-13 2020-06-30 DePuy Synthes Products, Inc. Intramedullary nail with cannulation access ho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9938A (en) * 1962-03-05 1966-03-15 Detroit Edison Co Clearance measuring probe
JPS5424357U (ko) * 1977-07-20 1979-02-17
FR2559376A1 (fr) * 1984-02-10 1985-08-16 Hourlier Francois Dispositif de visee des orifices de verrouillage de clous chirurgicaux
GB8729061D0 (en) 1987-12-12 1988-01-27 British Petroleum Co Plc Gauge
DE3843869A1 (de) 1988-12-24 1990-06-28 Deere & Co Kraftsensor zur bestimmung von zug- und druckkraeften
EP1593350B1 (de) * 2004-05-05 2007-06-13 BrainLAB AG Marknagel-Tracking
EP1924211B1 (en) * 2005-08-23 2019-12-18 Smith & Nephew, Inc. Telemetric orthopaedic implant
US8685034B2 (en) * 2006-08-10 2014-04-01 Stryker Trauma Gmbh Distal targeting device
US8814868B2 (en) * 2007-02-28 2014-08-26 Smith & Nephew, Inc. Instrumented orthopaedic implant for identifying a landmark
DE102008063844B4 (de) * 2008-12-19 2014-11-06 Berufsgenossenschaftliches Unfallkrankenhaus Hamburg Messvorrichtung zur Bestimmung einer Biegung eines länglichen internen Osteosynthese-Fixateu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01702A2 (pt) 2016-05-24
WO2012040100A2 (en) 2012-03-29
EP2618751A2 (en) 2013-07-31
WO2012040100A3 (en) 2012-05-18
CN103068320A (zh) 2013-04-24
JP2013537838A (ja) 2013-10-07
WO2012040100A4 (en) 2012-06-21
CA2804642A1 (en) 2012-03-29
US20120239039A1 (en) 2012-09-20
US8784428B2 (en) 201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2751A (ko) 골수강내 정의 굽힘 정도 측정용 장치
US20210153881A1 (en) Procedure for repairing foot injury
US77272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an intramedullary nail
EP3134012B1 (en) Aiming device for distal locking of interamedullary nails
US201202777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a foot in ankle arthrodesis
US20060224161A1 (en) Depth gauge apparatus and methods
US10219872B2 (en) Retrograde reamer depth tube gage
CA2659419A1 (en) Distal targeting device
EP3583905A1 (en) Percutaneous targeting device
WO20100883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extramedullary location of the mechanical axis of a femur
US20130281884A1 (en) Measurement and resulting compensation of intramedullary nail deformation
US20120330191A1 (en) Intramedullary Rod Tracking
US103424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knee movement
CN209018922U (zh) 一种膝关节前后叉韧带修复定位瞄准装置
US20140088594A1 (en) Instrument for locating distal screw holes in intramedullary nails
CN213640863U (zh) 一种下胫腓间隙测量杆
CN117898815A (zh) 一种骨科用万向穿针导向器
KR20160096660A (ko) 골의 표적화된 드릴링을 위한 조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