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728A - 태양광발전설비 - Google Patents

태양광발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728A
KR20140022728A KR1020130094537A KR20130094537A KR20140022728A KR 20140022728 A KR20140022728 A KR 20140022728A KR 1020130094537 A KR1020130094537 A KR 1020130094537A KR 20130094537 A KR20130094537 A KR 20130094537A KR 20140022728 A KR20140022728 A KR 20140022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generation
solar cell
cell module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5060B1 (ko
Inventor
최현범
김현국
Original Assignee
폰 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폰 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폰 시스템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2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 주변에 설치되어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된 커튼유닛과;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된 주변환경정보들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주변환경정보들을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환경정보들을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속센서로부터 측정된 풍속 값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커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커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설비에 의하면 태양광발전설비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고, 발전설비의 실시간 감시, 발전용량의 변화 등을 정확하게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설비는 관리자 및 현장근무자가 용이하게 발전설비의 정상 동작 유무 및 이상 유무를 판별하고, 이에 쉽게 대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발전설비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발전설비{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설비 및 발전설비가 설치된 대상지의 주변의 환경정보를 측정 및 감시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석유 등 화석에너지의 고갈 및 환경 오염 문제로 인해 이를 대체할 청정 에너지의 개발과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상기 청정에너지 중 대표적인 것이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에너지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는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청정에너지의 개발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친환경적 에너지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의 청정에너지 개발을 위한 태양광발전설비는 집광판에서 생산된 직류전기를 출력조절장치를 거쳐 축전지에 충전하거나 인버터에서 교류로 변환하여 수용가에 공급하는 설비라고 할 수 있다.
통상적인 태양광발전설비는 수요자에게 항상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모듈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 태양전지 어레이(array)와 전력 저장용 축전지(storage battery), 전력 조정기(power controller) 및 직류/교류 변환장치(inverter)등의 주변장치로 구성된다. 풍력 발전설비도 상기 태양 전지 어레이(array)를 제외하고, 즉 풍력발전 회전체로부터 전력을 생산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태양광발전설비와 유사한 주변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풍력 발전설비 또는 태양광발전설비는, 원격지에 설치된 발전설비의 각종 데이터를 수집, 분석 또는 모니터링 함에 있어서, 원격 터미널 유닛(Remote Terminal Unit; RTU)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기 원격 터미널 유닛(Remote Terminal Unit; RTU)은 인버터 등으로부터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발전 시스템이 포함하는 발전설비로부터 산출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상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기존의 원격 터미널 유닛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식은 첫째로 각각의 발전설비와의 통신을 위해 다수의 통신 칩이 발전설비에 소요되어야만 하고, 둘째로 RTU를 이용한 통신방식의 한계로 인해 다채널과의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지 못하고 순차적 통신을 수행할 수밖에 없었으며, 셋째로 상기 순차적 통신의 수행 중 하나의 발전설비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통신 응답 대기로 인해 딜레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에 의존한 통신방식을 취하고 있어 프로그램의 오류발생시 모든 채널과의 통신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원격지에 설치된 태양광발전설비 또는 풍력 발전설비의 각종 데이터를 수집, 분석, 저장하고 분석된 자료를 이용하여 설치된 발전설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의 상태에서 제어할 수 있고, 상기 RTU를 이용한 통신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하나 또는 소수의 통신 칩으로도 데이터의 수집 및 저장이 가능하며, 각종 발전설비와 다채널 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한 공통적인 유형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감시 또는 제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태양광발전설비의 경우 이를 감시 또는 모니터링 하기 위한 풍량, 온도, 습도 등 각종 센서 및 CCTV에 공급되는 전력을 태양광패널에서 발전된 전력 중의 일부로 대체하므로 흐린 날씨 등 기상악화에 따른 발전전력이 설정치 이하일 경우 또는 전력공급선 등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발전설비를 감시하기 위한 센서 및 CCTV에 전력을 공급할 수 없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광발전설비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설비의 안정성, 계측 및 제어의 정확도, 발전설비의 실시간 감시, 발전용량의 변화 등을 정확하게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설비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 및 현장근무자가 용이하게 발전설비의 정상 동작 유무 및 이상 유무를 판별하고, 이에 쉽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발전설비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설비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설비는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 주변에 설치되어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된 커튼유닛과;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된 주변환경정보들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주변환경정보들을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환경정보들을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속센서로부터 측정된 풍속 값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커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커튼유닛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커튼유닛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일 측에 설치되는 제1권취부와, 상기 제1권취부와 대향되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타 측에 설치되는 제2권취부 및 상기 제1권취부와 상기 제2권취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 커튼부재와, 상기 제1권취부와 상기 제2권취부 사이의 상기 커튼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커튼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바를 구비하며, 상기 제1권취부는 상기 커튼부재의 일 단을 권취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권취부는 상기 커튼부재의 타 단을 권취하도록 상기 제1롤러와 대향되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타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튼부재는 상기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를 폐쇄하거나 개방되게 한다.
상기 통신모듈에서 송출된 주변환경정보들을 수신하여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주변환경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독립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 및 저장하고, 상기 센싱부 및 상기 통신모듈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보조발전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센싱부에서 를 통해 전기신호로 수신된 환경정보들을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1광전변환부와, 상기 제1광신호변환부에서 변환된 광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전송로를 통해 전달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광신호변환부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센싱부를 통해 전기신호로 수신된 환경정보들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제1무선신호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무선신호변환부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무선신호변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설비는 풍속센서에서 측정된 풍속값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커튼유닛을 통해 태양전지모듈의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강풍에 의한 태양전지모듈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설비에 의하면 태양광발전설비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으며, 발전설비의 실시간 감시, 발전용량의 변화 등을 정확하게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설비는 관리자 및 현장근무자가 용이하게 발전설비의 정상 동작 유무 및 이상 유무를 판별하고, 이에 쉽게 대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발전설비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설비의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다른 태양광발전설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설비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발전설비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태양전지모듈(100)과; 상기 태양전지모듈(100) 주변에 설치되어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201)를 포함하는 센싱부(200)와;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된 커튼유닛(600)과; 센싱부(200)에서 측정된 주변환경정보(기상정보 등)들을 수신하는 수신부(310)와,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주변환경정보들을 처리하는 제어부(301)와, 제어부(301)에서 처리된 주변환경정보들을 송출하는 송신부(330)를 포함하는 통신모듈(300);을 구비한다.
태양전지모듈(10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고, 베이스 프레임(110)은 지지프레임(12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태양전지모듈(100)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센싱부(200)는 태양전지모듈(100)의 주변에 설치되어 주변의 풍속을 측정하여, 후술하는 통신모듈(300)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커튼유닛(600)은 강풍에 의해 태양전지모듈(100)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를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있다.
커튼유닛(600)은 태양전지모듈(100)의 일 측에 설치되는 제1권취부(610)와, 제1권취부(610)와 대향되는 태양전지모듈(100)의 타 측에 설치되는 제2권취부(620) 및 제1권취부(610)와 제2권취부(62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 커튼부재(630)와, 제1권취부(610)와 제2권취부(620) 사이에서 커튼부재(6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커튼부재(630)를 지지하는 지지바(650)를 구비한다.
제1권취부(610)는 커튼부재(630)의 일 단을 권취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롤러(611)와, 제1롤러(6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 측에 제1개구부(612a)가 마련된 제1하우징(612)과, 제1롤러(611)를 회전시키도록 제1하우징(612)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613)를 포함한다.
제2권취부(620)는 커튼부재(630)의 타 단을 권취하도록 제1롤러(611)와 대향되는 태양전지모듈(100)의 타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롤러(621)와, 제2롤러(62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제1하우징(612)의 제1개구부(612a)와 마주하는 일 측에 제2개구부가 마련된 제2하우징(622)과, 제2롤러(621)를 회전시키도록 제2하우징(622)에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623)를 포함한다.
커튼부재(630)는 제1구동모터(613)와 상기 제2구동모터(623)의 작동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를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다수의 제2구동모터(623)과, 다수의 제2구동모터(623)들을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6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커튼부재(630)의 일 측 단부에는 제1롤러(611)가 결합되어 있고, 타 측 단부에는 와이어부재(640)가 결합되어 있다.
와이어부재(640)는 일 단이 커튼부재(63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다 단은 제2롤러(621)에 결합되어 있다.
지지바(650)는 제1하우징(612)과 제2하우징(622) 사이에 설치되어 커튼부재(630)가 펼쳐질 때, 커튼부재(630)의 하중에 의해 커튼부재(630)가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튼부재(630)의 하부를 지지한다. 지지바(650)는 제1하우징(612)과 제2하우징(622)의 제1개구부(612a)와 제2개구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통신모듈(300)은 센싱부(200)의 풍속센서(201)에서 측정된 풍속 값과 같은 주변환경정보들을 수신하는 수신부(310),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주변환경정보들을 처리 및 수신된 주변환경정보에 따라 커튼유닛(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1)와, 제어부(301)에서 처리된 환경정보들을 송출하는 송신부(330)를 포함한다.
제어부(301)는 풍속센서(201)에서 측정된 풍속 값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는 제2구동모터(623)를 제어하여 제2롤러(621)에 와이어부재(640)가 권취되게 한다. 즉, 제어부(301)의 제어에 따라 제2구동모터(623)가 회전되면서 와이어부재(640)가 제2롤러(621)에 권취되면 제1롤러(611)에 권취되어 있던 커튼부재(630)가 제1하우징(612)의 제1개구부(612a)를 통해 인출되면서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를 덮게 된다.
한편, 풍속센서(201)에서 측정된 풍속 값이 기준값 미만일 경우에는 제1구동모터(613)를 제어하여 제1롤러(611)에 커튼부재(630)가 권취되게 한다. 즉, 제어부(301)의 제어에 따라 제1구동모터(613)가 회전되면서 커튼부재(630)가 제1롤러(611)에 권취되면서 태양전지모듈(100)의 상부가 개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커튼유닛은 제1권취부와 제2권취부를 통해 커튼부재를 자동으로 펼치거나 권취하도록 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1권취부의 제1구동모터와 제2권취부는 생략된다. 다만, 상기와 같이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커튼부재를 펼쳐놓은 상태에서 조작자가 커튼부재를 제1롤러에 마는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롤러에 자동으로 말릴 수 있도록 태엽 스프링 또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설비는 통신모듈(300)에서 송출된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태양전지모듈(100) 주변의 환경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모니터링부(400)와; 태양전지모듈(100)과 독립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 및 저장하고, 센싱부(200) 및 통신모듈(30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보조발전부(500);를 더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전지모듈(100)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는 인버터(101)를 통해 전력계통시스템(102) 즉, 부하 측으로 공급된다.
센싱부(200)는 풍속센서뿐만 아니라 태양전지모듈(100)이 설치되는 대상지의 주변환경 기상정보 일 예로, 풍량, 온도, 습도, 강수량, 일조량을 측정하도록 풍량센서, 풍속센서(201), 온도센서(202), 습도센서(203), 강수량센서, 광센서(204) 또는 일조량 센서를 구비하며, 각 센서로부터 측정된 환경정보는 전기신호 형태로 후술하는 통신모듈(300)에 전달된다. 센싱부(200)은 외부인의 침입 여부를 감지하는 CCTV(2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200)는 통신모듈(3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통신모듈(300)은 센싱부(200)에서 측정한 환경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10)와, 수신부(310)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수신된 환경정보를 후술하는 모니터링부(400)로 송출하는 송신부(330)를 구비한다.
모니터링부(400)는 송신부(330)에서 송출된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발전시설의 상태 및 주변 환경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각 센서로부터 측정된 환경정보를 수치로 표시하고, CCTV(205)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모니터링부(400)는 휴대가능한 단말기, 또는 관리실 또는 관제실 등의 일정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모니터링부(400)는 커튼유닛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외이지만, 상술한 일 예와 같이 커튼유닛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풍속이 기준값 이상일 때,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경고음을 송출하는 알람부를 더 구비하여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센싱부(200)는 태양전지모듈(100)의 발전량을 측정하여 모니터링부(400)로 측정된 발전량을 모니터링부(400)로 송신할 수 있는 발전량검출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모듈(300)은 발전량검출센서를 통해 측정된 발전량 정보를 토대로 태양전지모듈(1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고장판단부와, 고장판단부에서 태양전지모듈(100)이 고장상태로 판정될 때 모니터링부(400)로 이벤트 신호를 송신하여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벤트송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고장판단부는 발전량검출부에서 측정된 발전량 정보에 의해 태양전지모듈(1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거나, 일조량 센서에 의해 검출된 일조량 정도에 따라 평균 발전되는 발전량을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검출된 일사량에 대비하여 발전량이 현저하게 작으면 해당 태양전지모듈(100)이 고장이라 판단한다.
통신모듈(300)은 상기 센싱부(200)를 통해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수신된 환경정보들을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1광신호변환부(320)와, 제1광신호변환부(320)에서 변환된 광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로(340)를 구비한다. 모니터링부(400)에는 전송로(340)를 통해 전달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광신호변환부(410)를 구비한다.
제1광신호변환부(320)를 통해 전기적 신호형태로 측정된 환경정보를 광신호로 변환하고, 전송로(340)를 통해 광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에서 통신 딜레이 또는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신호의 세기 감소 등의 문제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다르게 통신모듈(300)은 센싱부(200)를 통해 전기신호로 수신된 환경정보들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제1무선신호변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모니터링부(400)는 제1무선신호변환부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무선신호변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니터링부(400)는 무선통신 가능한 휴대단말을 적용함으로써 관리자가 관리실 또는 관제실로부터 벗어나더라도 통신모듈(300)로부터 송출된 정보를 어디서나 용이하게 받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조발전부(500)는 태양전지모듈(100)이 고장상태이거나, 일조량이 매우 적어 발전시설의 주변환경정보 발전시설 상태 및 외부인 침입상태를 감시하는 센싱부(200) 및 센싱부(200)에서 측정된 정보를 모니터링부(400)로 송신하는 통신모듈(300)에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여 센싱부(200) 및 통신모듈(300)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전지모듈(100)로부터 독립되어 독립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 저장 및 통신모듈(300)에 공급한다.
보조발전부(500)는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전지판,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는 인버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태양전지모듈(100)의 일 측에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발전설비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태양전지모듈
200 : 센싱부
300 : 통신모듈
310 : 수신부
330 : 송신부
400 : 모니터링부
500 : 보조발전부
600 : 커튼유닛
610 : 제1권취부
620 : 제2권취부
630 : 커튼부재
640 : 와이어

Claims (5)

  1.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 주변에 설치되어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와;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된 커튼유닛과;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된 주변환경정보들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주변환경정보들을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환경정보들을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속센서로부터 측정된 풍속 값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커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커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유닛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일 측에 설치되는 제1권취부와, 상기 제1권취부와 대향되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타 측에 설치되는 제2권취부 및 상기 제1권취부와 상기 제2권취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 커튼부재와, 상기 제1권취부와 상기 제2권취부 사이의 상기 커튼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커튼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바를 구비하며,
    상기 제1권취부는 상기 커튼부재의 일 단을 권취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권취부는 상기 커튼부재의 타 단을 권취하도록 상기 제1롤러와 대향되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타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튼부재는 상기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상부를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에서 송출된 주변환경정보들을 수신하여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주변환경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태양전지모듈과 독립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 및 저장하고, 상기 센싱부 및 상기 통신모듈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보조발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센싱부에서 를 통해 전기신호로 수신된 환경정보들을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1광전변환부와, 상기 제1광신호변환부에서 변환된 광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전송로를 통해 전달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광신호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센싱부를 통해 전기신호로 수신된 환경정보들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제1무선신호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무선신호변환부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무선신호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발전설비.
KR1020130094537A 2012-08-13 2013-08-09 태양광발전설비 KR101475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8307 2012-08-13
KR1020120088307 2012-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728A true KR20140022728A (ko) 2014-02-25
KR101475060B1 KR101475060B1 (ko) 2014-12-23

Family

ID=5026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537A KR101475060B1 (ko) 2012-08-13 2013-08-09 태양광발전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0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9529A (zh) * 2018-05-23 2018-08-21 柴丽云 一种高使用寿命太阳能板
KR102008968B1 (ko) * 2019-03-20 2019-08-08 (주)다인그룹이엔씨 공동주택 지붕 설치용 태양광모듈장치
KR102074673B1 (ko) * 2019-04-12 2020-02-07 보타리에너지 주식회사 유연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폴더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20089091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옥외 시설물의 차광막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751B1 (ko) * 2020-05-25 2020-10-20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차광막 개폐장치
KR102656475B1 (ko) * 2022-04-07 2024-04-09 박영수 태양광발전을 위한 방음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6509A (ja) * 1995-05-15 1996-11-29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装置の受光面保護装置
KR101295529B1 (ko) * 2011-11-11 2013-08-12 박동균 태양전지판의 고장진단 원격감시 시스템
KR101160674B1 (ko) * 2012-02-21 2012-06-28 제일기술개발주식회사 커버패널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9529A (zh) * 2018-05-23 2018-08-21 柴丽云 一种高使用寿命太阳能板
KR102008968B1 (ko) * 2019-03-20 2019-08-08 (주)다인그룹이엔씨 공동주택 지붕 설치용 태양광모듈장치
KR102074673B1 (ko) * 2019-04-12 2020-02-07 보타리에너지 주식회사 유연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폴더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20089091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옥외 시설물의 차광막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060B1 (ko) 201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060B1 (ko) 태양광발전설비
US9520826B2 (en) Solar cell module efficacy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erefor
KR10091289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원격 자가진단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시스템
KR101942806B1 (ko) 현장 고장 진단이 가능한 이동형 태양광 발전설비 고장 진단시스템
KR20190057974A (ko) 태양광 발전 관리 시스템
KR101593962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태양전지모듈 보호방법 및 그 보호장치
CN203323790U (zh) 传感器采集控制系统
KR101114240B1 (ko) 멀티 존 인버터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10763270A (zh) 一种基于多种信息采集的输电线路塔杆工作状况监测系统
KR101669340B1 (ko) 복수 태양광 모듈을 평가하기 위한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016372A (ko) 로봇을 이용하여 태양 전지 패널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9495B1 (ko) 태양광 발전장치용 모니터링 장치
KR101598205B1 (ko)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을 위한 온도검출 기능을 가지는 정션박스, 상기 정션박스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93638A (ko) 태양광 발전소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태양광 발전소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83857A (ko) 낙뢰감지센서를 이용한 전력 자동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563213U (zh) 一种变电站太阳能远程监控装置
KR102068014B1 (ko) 이기종 채널 통신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10130219A (ko) 태양광 발전 원격감시 시스템 및 태양광 발전 원격감시 방법
KR20160106395A (ko) 태양광 모듈 자가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95120B1 (ko) 변압기에 연결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누전감시장치 셋업방법
KR20210026665A (ko) 서버
KR102521645B1 (ko) 태양광 발전소 모니터링 방법
KR102521644B1 (ko) 태양광 발전소 모니터링 시스템
TWI788513B (zh) 太陽能模組
KR20130026107A (ko) 풍력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