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185A -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185A
KR20140022185A KR1020120088416A KR20120088416A KR20140022185A KR 20140022185 A KR20140022185 A KR 20140022185A KR 1020120088416 A KR1020120088416 A KR 1020120088416A KR 20120088416 A KR20120088416 A KR 20120088416A KR 20140022185 A KR20140022185 A KR 20140022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liquid crystal
mode
crystal displa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929B1 (ko
Inventor
황정섭
방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92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 기기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휴대용 정보 기기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야외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정보 기기는 백 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부;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 잔량 검출부;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고,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과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가 저전력 휘도 모드 또는 일반 휘도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PORTABLE INFORM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화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tablet) 폰), 휴대용 컴퓨터(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타블렛(tablet) 컴퓨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정보 기기는 무선통신 기능 이외에 디지털 카메라, 화상 통신, TV 방송 프로그램 시청,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인터넷 접속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휴대용 정보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고, 영상 표시부는 백 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 표시부는 충전식 배터리 팩(Battery Pack)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과 백 라이트 유닛이 구동되어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은 휴대용 정보 기기에서 소비되는 전력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백 라이트 유닛의 소비 전력에 따라 휴대용 정보 기기의 사용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휴대용 정보 기기는 조도 센서(10)를 통해 검출된 주변 조도에 따라 제어부(20)가 백 라이트 유닛(40)을 구동시키는 백 라이트 구동부(30)를 제어함으로써 주변 조도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40)의 휘도(또는 밝기 레벨)를 자동적으로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정보 기기는 강한 조도(예를 들어, 10000lx 이상) 환경에서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야외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백 라이트 유닛(40)의 휘도를 최대 휘도로 높이기 때문에 백 라이트 유닛(40)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급격하게 감소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정보 기기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야외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용 정보 기기의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휴대용 정보 기기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야외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는 백 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부;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 잔량 검출부;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고,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과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가 저전력 휘도 모드 또는 일반 휘도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은 백 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단계;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과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를 저전력 휘도 모드 또는 일반 휘도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구동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저전력 휘도 모드 또는 일반 휘도 모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터리 잔량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가 저전력 휘도 모드와 일반 휘도 모드로 전환되도록 백 라이트 유닛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백 라이트 유닛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배터리 잔량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의 저전력 휘도 모드시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를 야외 시인성에 기초한 최소 인지 휘도로 전환함으로써 영상의 야외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백 라이트 유닛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정보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메모리에 저장된 최소 인지 휘도 범위를 도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저전력 휘도 모드의 사용자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일반 휘도 모드의 사용자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휴대용 정보 기기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저전력 휘도 모드의 사용자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휴대용 정보 기기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일반 휘도 모드의 사용자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는 영상 표시부(100), 배터리(200), 배터리 잔량 검출부(300), 제어부(400), 및 메모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 표시부(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휴대용 정보 기기에서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정보 기기가 전화 통화 모드인 경우, 영상 표시부(100)는 전화 통화와 관련된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표시한다. 이를 위해, 영상 표시부(100)는 액정 표시 패널(110), 패널 구동부(120), 백 라이트 유닛(130), 및 백 라이트 구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정 표시 패널(110)은 패널 구동부(12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 및 스캔 신호에 따라 액정을 구동하여 백 라이트 유닛(13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110)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향 합착된 상부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 패널(110)에 3차원 영상을 표시할 경우, 상기 액정 표시 패널(110)은 상부 기판 위에 배치된 무안경 방식의 입체용 광학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 구동부(12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신호 및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액정 표시 패널(110)에 공급한다. 이러한 패널 구동부(120)는 액정 표시 패널(110)의 하부 기판에 실장된 하나의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130)은 액정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백 라이트 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되는 백 라이트 구동 전원에 대응되는 휘도의 광을 액정 표시 패널(110)에 조사한다. 이러한 백 라이트 유닛(130)은 액정 표시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된 도광판(미도시),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미도시), 도광판 상에 배치되어 액정 표시 패널(110)에 조사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광학 시트, 및 도광판의 하부에 배치된 반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백 라이트 구동부(140)는 제어부(400)로부터 제공되는 디밍 신호(DIM)에 대응되는 백 라이트 구동 전원을 생성하여 백 라이트 유닛(130)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구동시킨다. 이때, 백 라이트 구동부(140)는 상기 디밍 신호(DIM)에 기초하여 일반 휘도 모드 또는 저전력 휘도 모드에 대응되는 백 라이트 구동 전원을 생성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 또는 액정 표시 패널(110)은 일반 휘도 모드 또는 저전력 휘도 모드로 구동된다.
전술한 영상 표시부(100)는 액정 표시 패널(110) 상에 배치되거나 액정 표시 패널(110)의 내부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액정 표시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보면서 화면 터치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로서, 손가락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스타일러스(stylus), 터치 펜 등이 터치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40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위치 정보에 상응되는 정보(또는 기능)를 처리한다.
상기 배터리(200)는 충전식 배터리 팩(Battery Pack)으로서, 휴대용 정보 기기에 내장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수납된다. 이러한 배터리(200)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200)의 전원은 전원 공급 모듈(미도시)에 공급되고, 전원 공급 모듈은 배터리(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정보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해당하는 구성 요소들에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 잔량 검출부(300)는 설정된 소정 시간 주기로 배터리(200)에 충전된 배터리 전원의 잔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배터리 잔량(BR)을 제어부(400)에 제공한다. 이때, 배터리 잔량(BR)은 배터리(200)의 완충 상태인 100%를 기준으로 배터리(200)에 남아 있는 충전량(용량)의 비율이 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잔량 검출부(300)는 배터리(200)의 전압, 전류 및 저항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BR)을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배터리 잔량 검출 방법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어부(400)의 기능들 중 본 발명과 관련된 기능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영상 표시부(1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액정 표시 패널(11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배터리 잔량 검출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잔량(BR)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영상 표시부(100), 즉 액정 표시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야외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배터리(200)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배터리 잔량(BR)과 메모리(500)에 저장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영상 표시부(100), 즉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일반 휘도 모드 또는 저전력 휘도 모드로 전환되도록 백 라이트 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 이하일 경우, 액정 표시 패널(110)의 구동 모드를 저전력 휘도 모드로 설정하고,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야외 시인성에 기초하여 설정된 최소 인지 휘도 범위 중에서 선택된 최소 인지 휘도(MLset)로 전환되도록 백 라이트 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반면에, 제어부(400)는 상기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초과할 경우, 액정 표시 패널(110)의 구동 모드를 일반 휘도 모드로 설정하고,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상기 최소 인지 휘도 범위의 최대 휘도, 즉 저전력 휘도 모드의 최대 휘도 값보다 높은 어느 한 휘도 값으로 설정된 일반 휘도(NLset)로 전환되도록 백 라이트 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은 배터리(200)의 완충 상태인 100%를 기준으로 배터리(200)에 남아 있는 배터리 잔량이 20%로 고정되어 메모리(500)에 저장되거나,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의해 20% 내지 25% 범위 내에서 선택되어 메모리(5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수동 설정의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20% 내지 25% 범위 내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으로 설정하여 메모리(500)에 저장한다.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는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기준으로 50cd/m2 내지 180cd/m2 중에서 어느 하나의 휘도 값으로 설정되되,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의해 설정되어 메모리(500)에 저장된다. 이때, 사용자의 수동 설정의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50cd/m2 내지 180cd/m2 중에서 입력되는 어느 한 휘도 값을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으로 설정하여 메모리(500)에 저장한다.
전술한 제어부(400)는 배터리 잔량(BR)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을 저전력 휘도 모드 또는 일반 휘도 모드로 제어하여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또는 일반 휘도(NLset)로 전환시키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드 설정부(410) 및 디밍 신호 생성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 모드 설정부(410)는 배터리 잔량 검출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잔량(BR)과 메모리(500)에 저장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또는 제 2 논리 상태를 가지는 구동 모드 신호(MS)를 생성한다. 즉, 구동 모드 설정부(410)는 상기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 이하일 경우, 저전력 휘도 모드에 대응되는 제 1 논리 상태의 구동 모드 신호(MS)를 생성한다. 반면에, 구동 모드 설정부(410)는 상기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초과할 경우, 일반 휘도 모드에 대응되는 제 2 논리 상태의 구동 모드 신호(MS)를 생성한다.
디밍 신호 생성부(420)는 구동 모드 설정부(41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모드 신호(MS)에 기초하여 메모리(500)에 저장된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 또는 일반 휘도(NLset) 값에 대응되는 디밍 신호(DIM)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밍 신호(DIM)를 전술한 영상 표시부(100), 즉 백 라이트 구동부(140)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디밍 신호 생성부(420)는 구동 모드 설정부(410)로부터 제 1 논리 상태의 구동 모드 신호(MS)가 공급될 경우,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 1 듀티 비(Duty Ratio)를 가지는 저전력 디밍 신호(DIM)를 생성한다. 반면에, 디밍 신호 생성부(420)는 구동 모드 설정부(410)로부터 제 2 논리 상태의 구동 모드 신호(MS)가 공급될 경우,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상기 일반 휘도(NLset)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 2 듀티 비를 가지는 일반 디밍 신호(DIM)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백 라이트 구동부(140)는 상기 디밍 신호 생성부(420)로부터 공급되는 디밍 신호(DIM)에 대응되는 백 라이트 구동 전원을 생성하여 백 라이트 유닛(130)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전술한 최소 인지 휘도(MLset) 또는 일반 휘도(NLset)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상기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 이하일 경우,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로 전환되도록 백 라이트 유닛(130)의 휘도를 제어함으로써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야외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백 라이트 유닛(13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켜 배터리(200)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상기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초과할 경우,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상기 일반 휘도(NLset)로 전환되도록 백 라이트 유닛(130)의 휘도를 제어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는 배터리 잔량(BR)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을 저전력 휘도 모드와 일반 휘도 모드로 구분하고, 배터리 잔량(BR)이 기준 배터리 잔량(BRref) 이하일 경우 백 라이트 유닛(130)을 저전력 휘도 모드로 구동시킴으로써 영상의 야외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백 라이트 유닛(13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켜 배터리(200)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메모리에 저장된 최소 인지 휘도 범위를 도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최소 인지 휘도(MLset)는 주변(또는 야외) 조도 10000lx 이상의 조건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사용자들의 시인성 인지 실험을 통해 도출된다.
상기 시인성 인지 실험은 0% 내지 100%의 평균 영상 레벨(APL) 중에서 임의의 평균 영상 레벨(APL)을 가지는 복수의 영상들에 대한 실험자들의 최소 인지 휘도 값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10%의 평균 영상 레벨(APL)을 가지는 영상이 표시되는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0 내지 300cd/m2까지 단계적으로 조절하면서 영상에 대한 실험자들의 시인성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0%의 평균 영상 레벨(APL)을 가지는 영상에 대한 최소 인지 휘도는 180cd/m2 정도로 도출된다. 이러한 방식의 실험에 의하면, 주변(또는 야외) 조도 10000lx 이상의 조건에서 0% 내지 100%의 평균 영상 레벨(APL)을 가지는 영상들에 대한 최소 인지 휘도는 50cd/m2 내지 180cd/m2의 범위로 도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저전력 휘도 모드의 사용자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일반 휘도 모드의 사용자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술한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정보 기기의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화면(101)을 영상 표시부(10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화면(101)은 저전력 휘도 모드의 사용자 수동 설정을 위한 제 1 모드 선택 박스(101a), 일반 휘도 모드의 사용자 수동 설정을 위한 제 2 모드 선택 박스(10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화면(101)에서 제 1 모드 선택 박스(101a)를 터치할 경우, 제어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력 휘도 모드의 휘도를 수동 설정하기 위한 저전력 휘도 모드 설정 화면(102)을 영상 표시부(100)에 표시하고, 저전력 휘도 모드 설정 화면(102)을 이용한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기준 배터리 잔량(BRref)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을 메모리(500)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저전력 휘도 모드 설정 화면(102)은 기준 배터리 잔량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 배터리 잔량 수동 설정 바(102a1)와 기준 배터리 잔량 수동 설정 박스(102a2), 최소 인지 휘도 값을 설정하기 위한 최소 인지 휘도 수동 설정 바(102b1)와 최소 인지 휘도 수동 설정 박스(102b2), 저장 버튼(102c), 및 취소 버튼(102d)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준 배터리 잔량 수동 설정 바(102a1)는 사용자가 상기 기준 배터리 잔량(BRref) 값을 20% 내지 25% 범위 내에서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준 배터리 잔량 수동 설정 바(102a1)의 초기 설정 값(Default value)은 20%일 수 있다.
기준 배터리 잔량 수동 설정 박스(102a2)는 사용자가 상기 기준 배터리 잔량(BRref) 값을 20% 내지 25% 범위 내에서 키패드 또는 키패드 터치를 통해 숫자 형태로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기준 배터리 잔량 수동 설정 바(102a1)와 기준 배터리 잔량 수동 설정 박스(102a2)는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배터리 잔량 수동 설정 바(102a1)의 드래그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이 기준 배터리 잔량 수동 설정 박스(102a2)에 숫자 형태로 표시된다.
최소 인지 휘도 수동 설정 바(102b1)는 사용자가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을 50cd/m2 내지 180cd/m2 범위 내에서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최소 인지 휘도 수동 설정 바(102b1)의 초기 설정 값은 50일 수 있다.
최소 인지 휘도 수동 설정 박스(102b2)는 사용자가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을 50cd/m2 내지 180cd/m2 범위 내에서 키패드 또는 키패드 터치를 통해 숫자 형태로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최소 인지 휘도 수동 설정 바(102b1)와 최소 인지 휘도 수동 설정 박스(102b2)는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인지 휘도 수동 설정 바(102b1)의 드래그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가 최소 인지 휘도 수동 설정 박스(102b2)에 숫자 형태로 표시된다.
저장 버튼(102c)은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따른 상기 기준 배터리 잔량(BRref)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을 메모리(500)에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취소 버튼(102d)은 사용자의 수동 설정을 취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만약, 사용자가 저전력 휘도 모드 설정 화면(102)에서 상기 기준 배터리 잔량(BRref)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을 설정하지 않거나, 취소 버튼(102d)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기준 배터리 잔량(BRref)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 각각은 메모리(500)에 저장된 이전 값으로 설정되거나, 초기 설정 값(Default value)으로 설정된다.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화면(101)에서 제 2 모드 선택 박스(101b)를 터치할 경우, 제어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휘도 모드의 휘도를 수동 설정하기 위한 일반 휘도 모드 설정 화면(103)을 영상 표시부(100)에 표시하고, 일반 휘도 모드 설정 화면(103)을 이용한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일반 휘도(NLset) 값을 메모리(500)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일반 휘도 모드 설정 화면(103)은 전술한 일반 휘도(NLset) 값을 설정하기 위한 일반 휘도 수동 설정 바(103a1)와 일반 휘도 수동 설정 박스(103a2), 저장 버튼(103b), 및 취소 버튼(103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 휘도 수동 설정 바(103a1)는 사용자가 저전력 휘도 모드의 최대 휘도 값보다 높은 휘도 값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의 최대 휘도(Max) 값까지의 휘도 값 중에서 어느 한 휘도 값을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반 휘도(NLset) 값은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의해181cd/m2 내지 400cd/m2 중에서 어느 한 휘도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휘도 수동 설정 바(103a1)의 초기 설정 값(Default value)은 181cd/m2 내지 400cd/m2 범위 중 어느 한 휘도가 될 수 있다.
저장 버튼(103b)은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따른 상기 일반 휘도(NLset) 값을 메모리(500)에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취소 버튼(103c)은 사용자의 수동 설정을 취소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만약, 사용자가 일반 휘도 모드 설정 화면(103)에서 상기 일반 휘도(NLset) 값을 설정하지 않거나, 취소 버튼(103c)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일반 휘도(NLset) 값은 메모리(500)에 저장된 이전 값으로 설정되거나, 초기 설정 값(Default value)으로 설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도 2 및 도 3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400)는 전술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수동 설정에 따라 설정되는 상기 기준 배터리 잔량(BRref)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정보를 메모리(500)에 저장한다(S1).
그런 다음, 제어부(400)는 배터리(200)의 배터리 잔량(BR)이 검출되도록 전술한 배터리 잔량 검출부(30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배터리 잔량 검출부(300)는 배터리(200)의 배터리 잔량(BR)을 검출하여 제어부(400)에 제공한다(S2).
그런 다음, 제어부(400)는 상기 배터리 잔량 검출부(300)에 의해 검출된 배터리 잔량(BR)과 메모리(500)에 저장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비교한다(S3).
만약,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 이하일 경우(S3의 "Yes"), 제어부(400)는 메모리(500)에 저장된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에 기초하여 저전력 디밍 신호(DIM)를 생성하고, 생성된 저전력 디밍 신호(DIM)를 백 라이트 구동부(14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백 라이트 구동부(140)는 상기 저전력 디밍 신호(DIM)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을 저전력 휘도 모드로 구동시킴으로써 영상 표시부(100), 즉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로 전환시킨다(S4).
한편,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초과할 경우(S3의 "No"), 제어부(400)는 메모리(500)에 저장된 일반 휘도(NLset) 값에 기초하여 일반 디밍 신호(DIM)를 생성하고, 생성된 일반 디밍 신호(DIM)를 백 라이트 구동부(14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백 라이트 구동부(140)는 상기 일반 디밍 신호(DIM)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을 일반 휘도 모드로 구동시킴으로써 영상 표시부(100), 즉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상기 일반 휘도(NLset)로 전환시킨다(S5).
그런 다음, 전술한 상기 S2 단계 내지 상기 S5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은 배터리 잔량(BR)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을 저전력 휘도 모드와 일반 휘도 모드로 구분하고, 배터리 잔량(BR)이 기준 배터리 잔량(BRref) 이하일 경우 백 라이트 유닛(130)을 저전력 휘도 모드로 구동시킴으로써 영상의 야외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백 라이트 유닛(13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켜 배터리(200)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휴대용 정보 기기에서 조도 검출부가 추가로 구비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조도 검출부(600)는 휴대용 정보 기기가 위치한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주변 조도(PB)를 제어부(400)에 제공한다. 이러한 조도 검출부(600)는 포토 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 또는 광도전 소자 등의 광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배터리 잔량(BR)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을 저전력 휘도 모드 또는 일반 휘도 모드로 구동시킴과 더불어 조도 검출부(600)로부터 제공되는 주변 조도(PB)에 따라 영상 표시부(100), 즉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전술한 일반 휘도(NLset) 범위 또는/및 최소 인지 휘도(MLset) 범위 내에서 자동 조절되도록 백 라이트 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상기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 이하일 경우,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저전력 휘도 모드로 전환함과 더불어 저전력 휘도 모드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주변 조도(PB)에 따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범위 내에서 자동적으로 조절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주변 조도(PB)에 매칭되도록 최소 인지 휘도(MLset) 범위를 복수의 저전력 휘도 단계로 분할하고, 검출된 주변 조도(PB)에 매칭되는 저전력 휘도 단계의 휘도 값에 기초한 듀티 비를 가지는 저전력 디밍 신호(DIM)를 생성하여 백 라이트 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 이하인 저전력 휘도 모드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는 주변 조도(PB)에 따라 50cd/m2 내지 180cd/m2 범위 내에서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부(400)는 상기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초과한 경우,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일반 휘도 모드로 전환함과 더불어 일반 휘도 모드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주변 조도(PB)에 따라 상기 일반 휘도(NLset) 범위 내에서 자동적으로 조절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주변 조도(PB)에 매칭되도록 일반 휘도(NLset) 범위를 복수의 일반 휘도 단계로 분할하고, 검출된 주변 조도(PB)에 매칭되는 일반 휘도 단계의 휘도 값에 기초한 듀티 비를 가지는 일반 디밍 신호(DIM)를 생성하여 백 라이트 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초과하는 일반 휘도 모드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는 주변 조도(PB)에 따라 상기 일반 휘도(NLset) 범위, 예를 들어, 181cd/m2 내지 400cd/m2 범위 내에서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휴대용 정보 기기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저전력 휘도 모드의 사용자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휴대용 정보 기기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일반 휘도 모드의 사용자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화면(101)에서 제 1 모드 선택 박스(101a)를 터치할 경우, 제어부(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력 휘도 모드의 휘도를 설정하기 위한 저전력 휘도 모드 설정 화면(202)을 영상 표시부(100)에 표시한다.
저전력 휘도 모드 설정 화면(202)은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 배터리 잔량 수동 설정 바(102a1)와 기준 배터리 잔량 수동 설정 박스(102a2),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을 수동 설정하기 위한 최소 인지 휘도 수동 설정 바(102b1)와 최소 인지 휘도 수동 설정 박스(102b2), 저장 버튼(102c), 취소 버튼(102d), 및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최소 인지 휘도 자동 설정 박스(102e)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저전력 휘도 모드 설정 화면(202)은 상기 최소 인지 휘도 자동 설정 박스(102e)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에 도시된 저전력 휘도 모드 설정 화면(102)과 동일하므로, 상기 최소 인지 휘도 자동 설정 박스(102e)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최소 인지 휘도 자동 설정 박스(102e)는 저전력 휘도 모드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주변 조도(PB)에 따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범위, 즉 50cd/m2 내지 180cd/m2 범위 내에서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상기 최소 인지 휘도 자동 설정 박스(102e)를 선택할 경우, 배터리 잔량(BR)에 따른 저전력 휘도 모드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주변 조도(PB)에 따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범위 내에서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범위의 휘도 값에 기초하여 저전력 디밍 신호(DIM)의 듀티 비를 조절함으로써 백 라이트 유닛(130)의 휘도를 주변 조도(PB)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반면에,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상기 최소 인지 휘도 자동 설정 박스(102e)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배터리 잔량(BR)에 따른 저전력 휘도 모드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주변 조도에 상관없이 전술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저전력 휘도 모드로 전환되도록 저전력 디밍 신호(DIM)를 생성하여 백 라이트 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화면(101)에서 제 2 모드 선택 박스(101b)를 터치할 경우, 제어부(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휘도 모드의 휘도를 설정하기 위한 일반 휘도 모드 설정 화면(203)을 영상 표시부(100)에 표시한다.
일반 휘도 모드 설정 화면(203)은 전술한 일반 휘도(NLset) 값을 설정하기 위한 일반 휘도 수동 설정 바(103a1)와 일반 휘도 수동 설정 박스(103a2), 저장 버튼(103b), 취소 버튼(103c), 및 일반 휘도 자동 설정 박스(10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일반 휘도 모드 설정 화면(203)은 상기 일반 휘도 자동 설정 박스(103d)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7에 도시된 일반 휘도 모드 설정 화면(103)과 동일하므로, 상기 일반 휘도 자동 설정 박스(103d)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일반 휘도 자동 설정 박스(103d)는 일반 휘도 모드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주변 조도(PB)에 따라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시의 최대 휘도 값보다 높은 휘도 값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의 최대 휘도(Max) 값까지로 설정되는 일반 휘도 범위(NLset) 내에서 자동 조절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상기 일반 휘도 자동 설정 박스(103d)를 선택할 경우, 배터리 잔량(BR)에 따른 일반 휘도 모드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주변 조도(PB)에 따라 상기 일반 휘도(NLset) 범위, 예를 들어, 181cd/m2 내지 400cd/m2 범위 내에서 자동 조절되도록 상기 일반 휘도(NLset) 범위의 휘도 값에 기초하여 일반 디밍 신호(DIM)의 듀티 비를 조절함으로써 백 라이트 유닛(130)의 휘도를 주변 조도(PB)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반면에,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상기 일반 휘도 자동 설정 박스(103d)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배터리 잔량(BR)에 따른 일반 휘도 모드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가 주변 조도(PB)에 상관없이 전술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같이 일반 휘도 모드로 전환되도록 일반 디밍 신호(DIM)를 생성하여 백 라이트 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도 9와 결부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400)는 전술한 도 5,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밝기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설정하여 메모리(500)에 저장하고,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을 수동 설정하거나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의 자동 조절 여부를 메모리(500)에 저장하며, 상기 일반 휘도(NLset) 값을 수동 설정하거나 상기 일반 휘도(NLset) 값의 자동 조절 여부를 메모리(500)에 저장한다(S1).
그런 다음, 제어부(400)는 배터리(200)의 배터리 잔량(BR)이 검출되도록 전술한 배터리 잔량 검출부(30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배터리 잔량 검출부(300)는 배터리(200)의 배터리 잔량(BR)을 검출하여 제어부(400)에 제공한다(S2).
그런 다음, 제어부(400)는 상기 배터리 잔량 검출부(300)에 의해 검출된 배터리 잔량(BR)과 메모리(500)에 저장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비교한다(S3).
만약,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 이하일 경우(S3의 "Yes"), 제어부(400)는 메모리(50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정보로부터 저전력 휘도 모드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주변 조도에 따라 자동 조절하도록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S4).
상기 S4 단계에서, 저전력 휘도 모드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주변 조도에 따라 자동 조절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면(S4의 "Yes"), 제어부(140)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주변 조도(PB)가 검출되도록 전술한 조도 검출부(60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조도 검출부(600)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주변 조도(PB)를 검출하여 제어부(400)에 제공한다(S5).
그런 다음, 제어부(400)는 저전력 휘도 모드에서 조도 검출부(600)로부터 제공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즉 50cd/m2 내지 180cd/m2 범위 내에서 자동 조절한다(S6).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범위에 기초하여 주변 조도에 따라 저전력 디밍 신호(DIM)의 듀티 비를 조절하여 백 라이트 구동부(14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백 라이트 구동부(140)는 주변 조도에 대응되는 듀티 비를 가지는 저전력 디밍 신호(DIM)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을 구동시킴으로써 백 라이트 유닛(130)의 휘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영상 표시부(100), 즉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는 주변 조도에 따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 범위 내에서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한편, 상기 S4 단계에서, 저전력 휘도 모드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주변 조도에 따라 자동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되었다면(S4의 "No"),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의해 설정되어 메모리(500)에 저장된 최소 인지 휘도(MLset) 값에 기초하여 저전력 디밍 신호(DIM)를 생성하고, 생성된 저전력 디밍 신호(DIM)를 백 라이트 구동부(14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백 라이트 구동부(140)는 상기 저전력 디밍 신호(DIM)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을 저전력 휘도 모드로 구동시킴으로써 영상 표시부(100), 즉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상기 최소 인지 휘도(MLset)로 전환시킨다(S7).
그런 다음, 전술한 상기 S2 단계 내지 상기 S7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다른 한편,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BR)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BRref)을 초과하는 경우(S3의 "No"), 제어부(400)는 메모리(50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밝기 설정 정보로부터 일반 휘도 모드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주변 조도에 따라 자동 조절하도록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S8).
상기 S8 단계에서, 일반 휘도 모드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주변 조도에 따라 자동 조절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면(S8의 "Yes"), 제어부(140)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주변 조도(PB)가 검출되도록 전술한 조도 검출부(60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조도 검출부(600)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주변 조도(PB)를 검출하여 제어부(400)에 제공한다(S9).
그런 다음, 제어부(400)는 일반 휘도 모드에서 조도 검출부(600)로부터 제공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상기 일반 휘도(NLset) 범위, 예를 들어 181cd/m2 내지 400cd/m2 범위 내에서 자동 조절한다(S10).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일반 휘도(NLset) 범위에 기초하여 주변 조도에 따라 일반 디밍 신호(DIM)의 듀티 비를 조절하여 백 라이트 구동부(14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백 라이트 구동부(140)는 주변 조도에 대응되는 듀티 비를 가지는 일반 디밍 신호(DIM)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을 구동시킴으로써 백 라이트 유닛(130)의 휘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영상 표시부(100), 즉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는 주변 조도에 따라 상기 일반 휘도(NLset) 범위 내에서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한편, 상기 S8 단계에서, 일반 휘도 모드에서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주변 조도에 따라 자동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되었다면(S8의 "No"),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수동 설정에 의해 설정되어 메모리(500)에 저장된 일반 휘도(NLset) 값에 기초하여 일반 디밍 신호(DIM)를 생성하고, 생성된 일반 디밍 신호(DIM)를 백 라이트 구동부(14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백 라이트 구동부(140)는 상기 일반 디밍 신호(DIM)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을 일반 휘도 모드로 구동시킴으로써 영상 표시부(100), 즉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상기 일반 휘도(NLset)로 전환시킨다(S11).
그런 다음, 전술한 상기 S2 단계 내지 상기 S11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은 배터리 잔량(BR)에 따라 백 라이트 유닛(130)을 저전력 휘도 모드와 일반 휘도 모드로 구동시킴과 더불어 저전력 휘도 모드 및/또는 일반 휘도 모드시 주변 조도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영상의 야외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영상 표시부 110: 액정 표시 패널
120: 패널 구동부 130: 백 라이트 유닛
140: 백 라이트 구동부 200: 배터리
300: 배터리 잔량 검출부 400: 제어부
410: 구동 모드 설정부 420: 디밍 신호 생성부
500: 메모리 600: 조도 검출부

Claims (14)

  1. 백 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부;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 잔량 검출부;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고,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과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가 저전력 휘도 모드 또는 일반 휘도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배터리 잔량은 상기 배터리의 완충 상태인 100%를 기준으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20% 내지 25%의 범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 이하일 경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가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가 상기 일반 휘도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는 50cd/m2 내지 180cd/m2 중에서 어느 한 휘도 값으로 설정된 최소 인지 휘도로 전환되고,
    상기 일반 휘도 모드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는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의 최대 휘도보다 높은 어느 한 휘도 값으로 설정된 일반 휘도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기기의 주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와 상기 일반 휘도 모드 중 적어도 한 모드에서 상기 주변 조도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주변 조도에 따라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가 50cd/m2 내지 180cd/m2의 범위 내에서 상기 주변 조도에 따라 조절되도록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휘도 모드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가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의 최대 휘도보다 높은 휘도 값에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최대 휘도 값까지로 설정되는 일반 휘도 범위 내에서 상기 주변 조도에 따라 조절되도록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8. 백 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단계;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과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를 저전력 휘도 모드 또는 일반 휘도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구동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저전력 휘도 모드 또는 일반 휘도 모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배터리 잔량은 상기 배터리의 완충 상태인 100%를 기준으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20% 내지 25%의 범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 이하일 경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는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검출된 배터리 잔량이 설정된 기준 배터리 잔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는 상기 일반 휘도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는 50cd/m2 내지 180cd/m2 중 어느 한 휘도 값으로 설정된 최소 인지 휘도로 전환되고,
    상기 일반 휘도 모드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는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의 최대 휘도보다 높은 어느 한 휘도 값으로 설정된 일반 휘도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보 기기의 주변 조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와 상기 일반 휘도 모드 중 적어도 한 모드에서 상기 검출된 주변 조도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는 50cd/m2 내지 180cd/m2의 범위 내에서 상기 주변 조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휘도 모드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휘도는 상기 저전력 휘도 모드의 최대 휘도보다 높은 휘도 값에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최대 휘도 값까지로 설정되는 일반 휘도 범위 내에서 상기 주변 조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
KR1020120088416A 2012-08-13 2012-08-13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989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16A KR101989929B1 (ko) 2012-08-13 2012-08-13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16A KR101989929B1 (ko) 2012-08-13 2012-08-13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185A true KR20140022185A (ko) 2014-02-24
KR101989929B1 KR101989929B1 (ko) 2019-09-30

Family

ID=5026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416A KR101989929B1 (ko) 2012-08-13 2012-08-13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9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573A1 (en) * 2015-05-28 2016-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power managing method thereof
WO2021231703A1 (en) * 2020-05-13 2021-11-1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rtable power source with low power display
WO2022140571A1 (en) * 2020-12-22 2022-06-3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Lighting device with state of charge based control
CN116471728A (zh) * 2023-04-26 2023-07-21 惠州市盛微电子有限公司 一种便携式应急储能电源应急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0304A (ja) * 1996-02-23 1997-09-05 Nec Corp 液晶バックライト駆動回路
KR19990036446A (ko) * 1997-10-20 1999-05-25 아끼구사 나오유끼 표시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JP3164601B2 (ja) * 1990-06-25 2001-05-0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機器およびその輝度制御方法
JP2008065185A (ja) * 2006-09-08 2008-03-21 Sharp Corp 表示コントローラ、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20080073957A (ko) * 2007-02-07 2008-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구동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601B2 (ja) * 1990-06-25 2001-05-0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機器およびその輝度制御方法
JPH09230304A (ja) * 1996-02-23 1997-09-05 Nec Corp 液晶バックライト駆動回路
KR19990036446A (ko) * 1997-10-20 1999-05-25 아끼구사 나오유끼 표시 제어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JP2008065185A (ja) * 2006-09-08 2008-03-21 Sharp Corp 表示コントローラ、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20080073957A (ko) * 2007-02-07 2008-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구동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573A1 (en) * 2015-05-28 2016-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power managing method thereof
WO2021231703A1 (en) * 2020-05-13 2021-11-1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rtable power source with low power display
EP4150734A4 (en) * 2020-05-13 2024-05-2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PORTABLE POWER SOURCE WITH LOW ENERGY DISPLAY
WO2022140571A1 (en) * 2020-12-22 2022-06-3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Lighting device with state of charge based control
US11672068B2 (en) 2020-12-22 2023-06-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Lighting device with state of charge based control
CN116471728A (zh) * 2023-04-26 2023-07-21 惠州市盛微电子有限公司 一种便携式应急储能电源应急方法及系统
CN116471728B (zh) * 2023-04-26 2023-10-31 惠州市盛微电子有限公司 一种便携式应急储能电源应急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929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7017B1 (en) Dynamic brightness range for portable computer displays based on ambient conditions
US8493371B2 (en) Dynamic brightness range for portable computer displays based on ambient conditions
US8704803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display device
US20100164857A1 (en) Displaying device, terminal of displaying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12765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989929B1 (ko) 휴대용 정보 기기 및 이의 전력 제어 방법
JP2005148735A (ja) 表示装置
US8334866B2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compon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n LCD backlit by LEDs
US20120044196A1 (en)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9495915B1 (en) Display adjustments using a light sensor
US20210158747A1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input/output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JP6602880B2 (ja) 内容表示方法及び装置
US99794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providing charge
JP2023052567A (ja) 表示パネル
KR101676723B1 (ko) 광원 구동 방법,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481666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130321481A1 (en) Self-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adaptive display control method and adaptive adjusting circuit
KR201300667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536889B2 (en) Display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KR20120053655A (ko)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503028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CN109155120A (zh) 图像显示设备
US20210050500A1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input/output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JP2018503139A (ja) 内容表示方法及び装置
US11610877B2 (en) Functional panel, display device, input/output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