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144A -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144A
KR20140021144A KR1020120086824A KR20120086824A KR20140021144A KR 20140021144 A KR20140021144 A KR 20140021144A KR 1020120086824 A KR1020120086824 A KR 1020120086824A KR 20120086824 A KR20120086824 A KR 20120086824A KR 20140021144 A KR20140021144 A KR 20140021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terminal
user
unit
vi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순
Original Assignee
박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순 filed Critical 박광순
Priority to KR1020120086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1144A/ko
Publication of KR2014002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8Trade or exchange of good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2Chanc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컨텐츠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저장하는 광고저장부와; 상기 광고저장부에 저장된 광고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사용자단말로부터 광고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광고의 재생시간 중 임의의 시점에 하나 이상의 객체를 삽입하는 객체삽입부와; 상기 객체삽입부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객체가 삽입된 광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광고재생부; 그리고 상기 광고재생부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한 광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광고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시청확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편리하게 사용자의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DVERTISEMENT RECEPTION}
본 발명은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 재생 중 임의의 객체를 삽입하여, 삽입된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따라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광고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광고를 열람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관심을 높여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광고를 보도록 하는 광고 중개 시스템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광고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스스로 광고를 찾아 보게 됨으로써, 유력 매체에 고가의 광고료를 지급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광고 모델을 채용한 경우, 보상을 받는 사용자가 실제로 광고를 시청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의 광고 시청 여부의 확인 없이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이 지급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이와 같은 경우, 광고주 입장에서는 광고효과 없이 광고료를 지급하게 되는 불합리를 겪게 된다.
또한 광고 제공자의 입장에서도, 광고 시청 여부의 확인 없이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을 사용자에게 지급하게 되면 광고효과에 대한 광고주의 신뢰를 얻을 수 없어, 광고 유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광고 시청 여부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는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들이 광고를 끝까지 시청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입장에서 이용이 편리한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3의 유료서비스 제공자에게 광고를 이용한 실질적인 무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은,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컨텐츠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저장하는 광고저장부와; 상기 광고저장부에 저장된 광고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사용자단말로부터 광고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광고의 재생시간 중 임의의 시점에 하나 이상의 객체를 삽입하는 객체삽입부와; 상기 객체삽입부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객체가 삽입된 광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광고재생부; 그리고 상기 광고재생부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한 광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광고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시청확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 방법은, 사용자단말로부터 광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광고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될 광고에 객체를 삽입하되, 광고의 재생시간 중 임의의 시점에 하나 이상의 객체를 삽입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객체가 삽입된 광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한 광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광고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광고 시청 여부를 정확히 판별함에 따라 정확한 광고료 산정이 가능함과 동시에 광고주의 신뢰를 얻어 광고 유치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이 광고를 끝까지 시청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광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장에서도 이용이 편리함에 따라, 광고 시청 여부 확인절차 상의 불편으로 인한 사용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의 유료서비스 제공자에게 광고를 이용한 실질적인 무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광고 열람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유료서비스를 무료서비스로 전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3자의 입장에서 고객 유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이 포함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제공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방법을 광고제공서버 입장에서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방법을 서비스제공서버 입장에서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방법을 제공받은 사용자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방법을 제공받은 사용자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이 포함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제공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이 포함되는 전체적인 망 구성을 살펴본다.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단말(100)에는 사용자단말(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여 지시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수단은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의 디스플레이 전면에 구비되는 터치패널 또는 사용자단말(100)에 설치된 마우스 등이 될 수 있다. 입력수단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단의 특정 좌표를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제공서버(200)가 구비된다. 광고제공서버(2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서버 또는 서버군이 될 수 있으며,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광고제공서버(2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단말(100)로 광고를 제공한다. 광고제공서버(200)는 광고주로부터 광고를 등록 받은 후, 등록된 광고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여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하면 사용자에게 수익을 지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광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광고는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컨텐츠로 구성되는 광고로서, 예를 들어 오디오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광고가 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제공서버(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서버(300)도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단말이나 다른 서버와 통신하는 컴퓨터로서, 사용자단말(100)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되, 광고제공서버(200)와는 그 운영주체가 상이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서버(300)는 예를 들어, 쇼핑 서비스, 컨텐츠 제공 서비스, 검색 서비스, 게임 서비스 등의 일반적인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때, 포인트나 적립금 등을 필요로 하는 유료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광고제공서버(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제공서버(200)는 광고저장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저장부(210)는 하나 이상의 광고주로부터 각종 광고를 등록 받고, 등록된 광고를 저장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동영상 컨텐츠로 구성된 광고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저장된 광고들은 후술할 광고재생부(230)를 통해 사용자단말(100)로 제공된다.
또한 광고제공서버(200)는 객체삽입부(220)를 포함한다. 객체삽입부(220)는 광고저장부(210)에 저장된 광고 중 사용자단말(100)로 제공될 광고에 객체를 삽입하여 광고재생부(23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광고에 삽입되는 객체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스틸컷 이미지 객체, 오디오 객체, 비디오 객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객체삽입부(220)는 객체가 삽입될 광고의 종류에 따라 삽입되는 객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와 비디오 컨텐츠가 모두 포함된 동영상 광고에 대해서는 삽입되는 객체가 스틸컷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오디오 컨텐츠만을 포함하는 오디오 광고에 대해서는 삽입되는 객체가 오디오 객체가 된다.
이때 예를 들어 스틸컷 이미지로 구성되는 객체는, 임의의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또는 임의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인증코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객체는 일정시간 동안의 임의의 소리가 될 수 있으며, 임의의 문자열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객체삽입부(220)는 이와 같은 객체를 광고 내에 삽입하는데, 예를 들어 스틸컷 이미지로 구성된 객체를 광고 컨텐츠가 재생되는 영역의 일부 영역에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표시되도록 삽입할 수 있다. 이때 광고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 객체가 삽입되는 위치와, 광고가 재생되는 시간에 대해 객체가 삽입되는 시점은 무작위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는 광고의 우측 상단에 삽입될 수도 있고, 좌측 하단에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객체는 광고가 재생되기 시작하고 바로 표시되도록 삽입될 수도 있고, 광고의 재생이 종료되기 직전에 표시되도록 삽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객체삽입부(220)는 객체가 삽입되는 위치와 시점을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객체가 표시되는 시점은 광고의 전체 재생시간에 기초하여 객체삽입부(220)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객체삽입부(220)는 삽입되는 객체의 수를 무작위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는 최대 3개 삽입될 수 있고, 객체삽입부(220)는 삽입되는 객체의 수를 1 내지 3 개 중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되는 객체의 수를 매번 달리하는 경우,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객체가 몇 번 표시될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미 삽입된 객체를 확인하였다고 하더라도 또 다른 객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고 화면에서 눈을 뗄 수 없게 된다. 또는 오디오 광고에서 이미 한번 오디오 객체가 출력되어 그에 대해 사용자가 인터랙션을 행한 후라고 하더라도 또 다른 오디오 객체가 출력될 수 있기 때문에 오디오 광고에 계속 귀를 기울이게 된다.
또한 객체삽입부(220)는 재생될 광고의 재생시간을 미리 확인 한 후, 그에 대응하는 수의 객체를 삽입하거나, 재생될 광고의 시청으로 인하여 지급될 보상의 가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수의 객체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광고가 1분 30초 동안 재생되고 또 다른 광고는 3분 동안 재생되는 경우, 객체삽입부(220)는 더 긴 광고에 대해 더 많은 수의 객체를 삽입하여 긴 시간 동안의 집중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삽입되는 객체의 수의 상한선을 미리 정하여, 광고 내용에 대한 이해를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수의 객체만이 삽입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객체삽입부(220)가 광고에 객체를 삽입하면, 광고재생부(230)가 객체가 삽입된 광고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여 재생되도록 한다. 광고재생부(230)는 사용자에게 객체가 삽입된 광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광고재생부(230)가 광고를 사용자단말(100)에 제공하는 동안에 시청확인부(240)가 사용자의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한다.
시청확인부(240)가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객체삽입부(220)가 광고 내에 삽입한 객체에 대한 사용자단말(100)로부터의 인터랙션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의 인터랙션은 객체삽입부(220)가 광고에 삽입한 객체가 광고 재생 중 출력(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거나 오디오 출력)될 때, 사용자단말(100)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시청확인부(240)는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객체가 표시되었을 때, 객체가 표시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응시간 범위 내에, 객체가 표시된 좌표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좌표 영역(반응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거나 마우스 클릭이 감지되면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객체가 표시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입력이 감지되거나, 객체가 표시된 위치로부터 일정 범위를 넘어선 좌표에서의 입력이 감지되면 시청확인부(240)는 표시된 객체에 대한 인터랙션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청확인부(240)는 오디오 광고에 삽입된 오디오 객체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응시간 내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미리 설정된 영역을 클릭 또는 터치하거나 정해진 키를 입력하면 오디오 객체에 대한 인터랙션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시청확인부(240)는 광고에 삽입된 객체에 대하여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인터랙션이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시청확인부(240)는 광고에 복수의 객체가 삽입된 경우, 각각의 객체에 대하여 사용자단말(100)에서 인터랙션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모든 객체에 대해 인터랙션이 감지된 경우에만 사용자가 해당 광고를 시청한 것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시청확인부(240)는 객체삽입부(230)가 광고에 삽입한 객체가 문자열을 포함하는 객체인 경우에도, 문자열이 표시된 위치와 시점 또는 문자열이 오디오 출력된 시점에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한 것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문자열을 포함하는 객체에 대하여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광고재생부(230)의 광고 재생이 완료된 이후에 객체에 포함된 문자열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출력된 문자열과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객체에 대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게 반응하여 인터랙션을 발생시키면 광고를 시청한 것으로 확인하되, 그렇지 못한 경우에도 객체에 포함된 문자열의 입력 기회를 다시 한번 부여하여 광고 시청 여부를 이중으로 확인함으로써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사용자가 객체를 눈이나 귀로 확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즉각적인 반응을 취하지 못한 경우 광고 시청 사실을 확인 받기 위한 것이다.
또는 시청확인부(240)는 복수의 동일한 객체가 서로 다른 시점에 삽입된 광고에 대해서는 각각의 객체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매번 인터랙션을 받되, 모든 객체에 대해 인터랙션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바로 광고 시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지 않고, 광고의 재생이 완료된 이후에 출력된 객체의 수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별 형상의 객체가 동영상 광고에 3회 표시되었으나, 각각의 객체가 표시될 때 사용자가 즉각적인 인터랙션의 입력에 실패하였다면, 광고 재생이 종료된 후 별 형상의 객체가 총 몇 회 표시되었는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사용자의 광고 시청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중으로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광고 시청 도중에 객체에 대한 인터랙션을 수행하거나 광고 시청 완료 후에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받을 수 있도록 하여, 광고 시청 확인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단말(100)에 터치패널이나 마우스 등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도 광고 시청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광고제공서버(200)에는 선택적으로 보상지급부(2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시청확인부(240)가 사용자단말(100)에서의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하면, 보상지급부(250)는 광고 시청이 확인된 사용자단말(100)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250). 미리 정해진 보상은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계좌로 광고 수수료를 입금해주거나, 사이버머니를 지급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광고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나 상품, 컨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어떤 형태의 보상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광고 시청에 대해 제3의 서비스에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광고제공서버(200)에는 서드파티연동부(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드파티연동부(260)는 서비스제공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내에서 광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광고의 시청 및 시청 확인에 따른 보상 지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서비스제공서버(300)와 직접 통신하거나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서비스제공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내에 광고를 제공하고 광고 시청 확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광고제공서버(200)와 연동하여 광고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30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비스제공서버(300)는 광고제공부(310)를 포함한다. 광고제공부(310)는 서비스제공서버(300)가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는 웹페이지나, 사용자단말(100)에서 구동하되 서비스제공서버(30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응용프로그램 내에서 광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광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고제공부(310)는 직접 광고제공서버(200)와 통신하여 객체가 삽입된 광고의 컨텐츠를 광고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다시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광고제공부(310)는 서비스제공서버(300)가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는 서비스 내에서, 광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광고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광고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0)이 광고제공부(310)로부터 이와 같은 광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광고제공서버(200)의 해당 위치로 광고 제공 요청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광고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광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임의의 광고에 대한 URL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단말(100)이 해당 URL로 광고 요청을 하도록 하는 명령문의 집합이 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의 웹브라우저에 의해 실행되는 스크립트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립트는 서비스제공서버(300)가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는 화면의 일부 영역에 광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광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고제공부(310)는 광고제공서버(200)와 직접 통신하지 않더라도 광고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단말(100)에 제공하여, 사용자단말(100)이 직접 광고제공서버(200)에 요청함으로써 광고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재생부(230)가 서비스제공서버(300)가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일부 영역에 객체가 삽입된 광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광고가 재생되는 동안에 광고제공서버(200)의 시청확인부(240)가 사용자단말(100)의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하여 서비스제공서버(300)의 확인결과수신부(320)로 광고 시청 확인 결과를 송부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서버(300)는 확인결과수신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확인결과수신부(320)는 광고제공서버(200)의 시청확인부(240)로부터 직접 또는 시청확인부(240)로부터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간접적으로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시청확인부(240)는 서비스제공서버(300)가 제공하는 서비스 경로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어 사용자단말(100)로 광고를 제공한 경우, 광고 재생이 완료되면 광고 시청 여부 확인 결과와 광고를 제공한 사용자단말(100)의 식별자(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에 포함된 통신장치 시리얼 번호, MAC Address, 이동통신단말의 경우 이동통신전화번호 등)를 서비스제공서버(300)로 전달하고, 서비스제공서버(300)는 이를 통해 사용자단말(100)에서의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광고제공서버(200)의 시청확인부(240)가 광고 시청 여부의 확인 결과를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하고, 이를 전송 받은 사용자단말(100)이 확인 결과를 서비스제공서버(300)로 전달함으로써 서비스제공서버(300)의 확인결과수신부(320)가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보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제공서버(300)가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는 웹페이지 또는 서비스제공서버(300)와 연동하는 응용프로그램에는 광고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광고 시청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문이 미리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제공부(330)는 확인결과수신부(320)가 확인한 광고 시청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제공여부를 결정하여 사용자단말(100)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부(330)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부(330)는 예를 들어, 유료로 제공하던 서비스를 광고 시청 결과에 따라 무료로 전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등을 유료로 진행하되, 광고 시청이 확인되면 무료로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서비스제공부(330)는 광고 시청이 확인되면 사이버머니 등의 포인트를 적립하고 서비스제공서버(300)가 운영하는 서비스 내에서 적립된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시청 확인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방법을 광고제공서버 입장에서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방법을 서비스제공서버 입장에서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방법을 제공받은 사용자단말의 화면 예시도,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방법을 제공받은 사용자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제공서버(200)가 사용자단말(100)로부터 광고 요청을 수신한다(S100). 사용자단말(100)에서는 광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광고 요청을 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제공서버(300)의 서비스 이용 중 서비스제공서버(300)가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한 광고 요청 메시지를 통해 광고 요청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광고제공서버(200)의 객체삽입부(220)는 재생 요청된 광고에 객체를 삽입한다(S110). 이때 삽입되는 객체의 종류는 재생될 광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삽입되는 객체의 수, 위치, 삽입시점은 모두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재생부(230)는 사용자단말(100)로 객체가 삽입된 광고를 제공하여 사용자단말(100)에서 광고가 재생되도록 한다(S120).
이와 함께, 시청확인부(240)는 광고가 재생되는 동안에 사용자단말(10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객체에 대한 인터랙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S130). S130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이미지 객체가 동영상 광고에 삽입된 경우, 이미지 객체가 표시될 때 해당 영역에 이미지 객체가 사라지기 전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객체에 대한 인터랙션이 정상적으로 감지되면, 시청확인부(240)는 사용자단말(100)에서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한 것으로 확인한다(S140). 그에 따라 광고 시청에 대응하는 보상을 지급하거나, 서비스제공서버(300)로 광고 시청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이 통보되도록 한다.
그러나 S130단계에서 객체에 대한 인터랙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광고 시청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한다(S150). 그에 따라 광고 시청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지 않는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S150단계 이후에, 다시 한번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광고에 삽입된 객체가 문자열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문자열을 입력하도록 하여 입력된 문자열이 광고에 삽입된 객체에 포함된 문자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복수의 객체를 표시한 후 표시된 객체의 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쳐 광고 시청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고 시청이 확인된 경우, 그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거나 서비스제공서버(300)로 광고 시청 여부 확인 결과를 통보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제공서버(300)에서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임의의 서비스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S200), 광고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광고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한다(S210).
그에 따라 사용자단말(100)에서 광고제공서버(200)로부터 광고를 제공받아 광고가 재생되고 광고 시청 확인 절차가 진행된다.
그 후 확인결과수신부(320)에서 광고 시청이 확인되면(S220), 광고 시청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하고(S230),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으로서 S200단계에서 요청된 서비스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한다(S240).
그러나 S220단계에서 광고 시청에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광고 시청 실패 메시지를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하고(S250),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때 서비스제공서버(300)를 통해 특정 광고가 사용자단말(100)에서 시청되면, 광고제공서버(200)는 시청된 광고의 광고단가의 적어도 일부를 서비스제공서버(300)로 지급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광고 시청 확인 방법을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제공서버(200)는 광고 재생 시작 전에 광고에 삽입된 객체에 대한 인터랙션을 유도하는 안내문을 제공할 수도 있다.
광고가 재생되는 동안에는 광고의 종료시점을 사용자가 예측할 수 있도록 광고 영역(A) 주변에 프로그레시브바(P)가 함께 표시되어 전체 재생시간에 대한 현재 재생 시점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가 재생되는 특정 시점에, 광고 영역(A) 내부의 일측에는 삽입된 객체(O)가 표시된다. 객체(O)는 일정시간, 예를 들어 1초 동안 표시될 수 있다. 그 동안에 객체(O)에 대한 사용자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객체(O)에 대한 인터랙션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표시된 객체(O)에 대해 정상적인 인터랙션이 발생되면, 광고 재생 완료 후에 광고 시청이 정상적으로 확인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무료로 사용자단말(100)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방송사 홈페이지에서 라디오 프로그램 “푸른밤”의 무료 듣기를 선택하면 프로그램 무료 듣기가 제공되기 전에 먼저 광고가 재생되고, 재생된 광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인터랙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광고를 시청한 것으로 확인되면, 원하던 무료 듣기 서비스가 진행된다.
이때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별 형태의 객체가 총 3회에 걸쳐 표시되었으나, 사용자가 객체에 대한 터치 입력을 모두 입력하지 못한 경우, 광고 재생 완료 후에 별 형태의 객체가 표시된 횟수를 숫자로 입력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절차로서 광고 시청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는 도 7a 내지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열이 포함된 객체가 광고에 삽입되도록 하는 경우, 광고 재생 중 객체가 표시되도록 하되, 객체가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가 객체를 터치하지 못하면, 광고 재생 완료 후에 표시된 객체에 포함된 문자열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여 광고 시청을 확인할 수도 있다. 물론 도7b에서 사용자가 문자열이 포함된 객체를 정확히 터치한 경우에는 도 7c와 같이 문자열을 다시 입력 받지 않고 바로 보상이 지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시청 확인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컨텐츠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저장하는 광고저장부와;
    상기 광고저장부에 저장된 광고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사용자단말로부터 광고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광고의 재생시간 중 임의의 시점에 하나 이상의 객체를 삽입하는 객체삽입부와;
    상기 객체삽입부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객체가 삽입된 광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광고재생부; 그리고
    상기 광고재생부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한 광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광고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시청확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고제공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제공서버는,
    상기 시청확인부가 판단한 광고 시청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을 지급하는 보상지급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제공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광고 제공 요청의 발생 경로를 감지하여 발생 경로가 미리 약속된 서드파티서버인 경우, 상기 시청확인부가 판단한 광고 시청 여부를 상기 서드파티서버로 제공하는 서드파티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제공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제공부에 저장되는 광고는 동영상 광고이고, 상기 객체삽입부가 광고에 삽입하는 객체는 이미지 객체이며,
    상기 객체삽입부는,
    삽입되는 객체의 수, 객체가 광고 내에 삽입되는 시점, 그리고 광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객체가 삽입되는 위치를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선택하여 객체를 삽입하는, 광고제공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의 객체가 삽입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의 반응영역 내에서, 객체가 광고 내에 삽입되는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내의 반응시간 동안에 발생된 터치 입력 또는 마우스 클릭인, 광고제공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확인부는,
    광고에 삽입된 복수의 객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광고가 시청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는, 광고제공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확인부는,
    광고에 삽입된 복수의 객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광고 재생 완료 후에 상기 사용자단말로 광고에 삽입된 객체의 수를 질의하고, 질의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광고에 삽입된 객체의 수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광고가 시청된 것으로 확인하는, 광고제공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제공부에 저장되는 광고는 동영상 광고이고, 상기 객체삽입부가 광고에 삽입하는 객체는 임의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이미지 객체이며,
    상기 객체삽입부는,
    객체에 포함되는 문자열, 객체가 광고 내에 삽입되는 시점, 그리고 광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객체가 삽입되는 위치를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선택하여 객체를 삽입하며,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의 객체가 삽입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인 반응영역 내에서, 객체가 광고 내에 삽입되는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내의 반응시간 동안에 발생된 터치 입력 또는 마우스 클릭인, 광고제공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확인부는,
    광고에 삽입된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이 감지되지 않으면, 광고 재생 완료 후에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광고에 삽입된 객체에 포함된 문자열을 입력받고, 입력된 문자열이 재생된 광고에 삽입된 객체에 포함된 문자열과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광고가 시청된 것으로 확인하는, 광고제공서버.
  10.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제공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광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광고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될 광고에 객체를 삽입하되, 광고의 재생시간 중 임의의 시점에 하나 이상의 객체를 삽입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객체가 삽입된 광고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여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한 광고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여 광고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시청 확인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청 확인방법은,
    상기 광고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광고가 시청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광고 시청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시청 확인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광고에 삽입되는 객체는 이미지 객체이고,
    삽입되는 객체의 수, 객체가 광고 내에 삽입되는 시점, 그리고 광고가 표시되는 영역 내에 객체가 삽입되는 위치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선택되는, 광고 시청 확인방법.
KR1020120086824A 2012-08-08 2012-08-08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1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824A KR20140021144A (ko) 2012-08-08 2012-08-08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824A KR20140021144A (ko) 2012-08-08 2012-08-08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44A true KR20140021144A (ko) 2014-02-20

Family

ID=5026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824A KR20140021144A (ko) 2012-08-08 2012-08-08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114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516B1 (ko) 2015-04-15 2016-01-21 남경아 지능형 인증 광고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인증 광고 결제 방법
WO2018126288A1 (en) * 2016-12-30 2018-07-05 Social Media Broadcaster, LLC Video-content-distribution platform integrated with advertisement and reward collection mechanisms
US10681401B2 (en) 2018-09-04 2020-06-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presentation of an advertisement inserted in a video stream
KR20220034268A (ko) 2020-09-10 2022-03-18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홍채 인식을 통해 광고의 실제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30061286A (ko) 2021-10-28 2023-05-08 (주)파트프라임 컨텐츠 적응 기반 수강 체크 기능이 구비된 동영상 강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516B1 (ko) 2015-04-15 2016-01-21 남경아 지능형 인증 광고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인증 광고 결제 방법
WO2018126288A1 (en) * 2016-12-30 2018-07-05 Social Media Broadcaster, LLC Video-content-distribution platform integrated with advertisement and reward collection mechanisms
CN110214451A (zh) * 2016-12-30 2019-09-06 社交媒体广播公司 与广告和奖励收集机制整合的视频内容分发平台
CN110214451B (zh) * 2016-12-30 2022-06-03 社交媒体广播公司 与广告和奖励收集机制整合的视频内容分发平台
US10681401B2 (en) 2018-09-04 2020-06-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presentation of an advertisement inserted in a video stream
KR20220034268A (ko) 2020-09-10 2022-03-18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홍채 인식을 통해 광고의 실제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30061286A (ko) 2021-10-28 2023-05-08 (주)파트프라임 컨텐츠 적응 기반 수강 체크 기능이 구비된 동영상 강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7666B2 (en) Device, method an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for presenting advertising related to emotional context of received content
US98243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commerce transactions
CN106408340B (zh) 病毒联合交互式产品系统及其方法
US9626694B2 (en)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argeted content based on locally stored user data
US85440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sumer advertisements
US9769414B2 (en) Automatic media asset update over an online social network
US20190147497A1 (en) Viral marke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distributing advertisement costs for each marketer by analyzing behavior of content receiver, and method therefor
US20120173383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buddy-lock for obtaining media assets that are consumed or recommended
US9294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merchant advertisements
US105062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erce events
US200802886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associated data related to primary media data via email
WO20160856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n-intrusive advertising content to set-top boxes
US20130238426A1 (en) Providing advertisements via multiple devices
KR20140021144A (ko) 광고 시청 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37663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electing advertisements based on media profiles and advertisement profiles
US98306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 marketing
US115871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s including advertising content
WO2016184288A1 (zh) 一种广告投放方法、装置及系统
Ohmata et al. Companion Screen Architecture for Bridging TV Experiences and Life Activities
US105590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ercializing avatars
KR101561586B1 (ko) 이중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2885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based ordering of on-demand digital content
US200801782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33050A1 (en) Methods for providing previews and systems thereof
JP2012029050A (ja) 携帯通信端末、テレビ受信機、携帯通信端末制御サーバ、eコマースシステム、eコマース方法及びeコマース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