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594A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ge effect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ge eff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594A
KR20140020594A KR1020120087541A KR20120087541A KR20140020594A KR 20140020594 A KR20140020594 A KR 20140020594A KR 1020120087541 A KR1020120087541 A KR 1020120087541A KR 20120087541 A KR20120087541 A KR 20120087541A KR 20140020594 A KR20140020594 A KR 20140020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stage effect
location information
lighting
effec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5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선민
Original Assignee
유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민 filed Critical 유선민
Priority to KR102012008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0594A/en
Publication of KR2014002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5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stage effect.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stage effect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ensor attached to a human body; analy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generate a light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area when the sensor enters the predetermined area;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automatically control a stage effect using location of an actor and a characteristic of background music and control the stage effect to flexibly respond to an incident such as a mistake of a person responsible for lighting or actor's breakaway from a moving line. [Reference numerals] (110)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ensor attached to a human body; (130) Analyze the location information; (150) Sensor enters the predetermined area ?; (170) Generate a light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area; (190) Control at least one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AA) Start; (BB) End

Description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GE EFFECT}Stage effect control device and metho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GE EFFECT}

본 발명은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기자의 위치 및 배경음악의 특징을 이용하여 무대 효과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tage effect using the position of the act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music.

일반적으로 공연의 진행은 무대 연출자가 주는 큐(cue)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무대 연출자는 조명과 음향, 공연자의 동작 등과 관련된 모든 큐의 내용을 포함한 전체 큐시트를 작성하고 관리한다. 특히 조명의 경우, 그 종류와 수가 많고 공연 중 이루어지는 변화와 타이밍 등이 복잡하여 무대 연출자 외에 지정된 복수의 인원이 역할을 분담하여 수행하기도 한다. 각 큐 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는 무대 효과의 변경은 조명의 대상이 되는 공연자의 위치 및 동선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계획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콘서트와 같은 경우 공연 중에 즉흥적으로 조명 효과가 연출되기도 한다.In general, performance is performed by cue signals from stage directors. The stage director creates and manages the entire cue sheet, including the contents of all the cues related to lighting, sound, and the performer's movem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ighting, many kinds and numbers are complicated, and changes and timings made during the performance are complicated, and a plurality of designated personnel other than the stage director may share the roles. The change in the stage effect made by each cue signal is usually planned in advance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and moving line of the performer to be illuminated, but in the case of a concert, the lighting effect is instantaneously produced during the performance.

조명 담당자는 메모리 과정을 통해 조명 제어용 콘솔에 각 장면별로 조명의 상태를 입력하고 저장한다. 이후 리허설 과정을 통해 공연자의 위치와 이동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보고 판단하여 수정한다. 이로부터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큐시트는 무대 연출자와 조명 담당자에게 전달되며, 조명 담당자는 이를 이용하여 매 공연마다 조명 장치의 제어를 진행한다.The lighting manager enters and saves the lighting status of each scene in the lighting control console through a memory process. After the rehearsal process, the location and movement status of the performer are comprehensively determined and judged. The cue sheet finally obtained from this is delivered to the stage director and lighting manager, and the lighting manager controls the lighting device for each performance.

조명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디머(dimmer)를 통하는 방법과 기계적인 셔터(shutter)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디머는 전압을 떨어뜨리거나 증가시켜 조명의 광량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There are two methods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through a dimmer and a method using a mechanical shutter. The dimmer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in the light by dropping or increasing the voltage.

조명 장치의 램프가 항상 일정한 빛을 출력하는 경우 디머를 이용하여 휘도 조절을 할 수 없으므로 모터를 사용하여 기계적인 방식으로 휘도를 조절하는데 이를 셔터 또는 디밍 셔터(dimming shutter)라 한다. 셔터는 카메라 내에서 필름의 프레임이 일정 시간 동안 노출되도록 조리개를 여닫는 장치로써, 셔터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If the lamp of the lighting device always outputs a constant light, the brightness can not be adjusted using the dimmer, so the brightness is controlled in a mechanical manner using a motor. This is called a shutter or a dimming shutter. The shutter is a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the aperture so that the frame of the film is expos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camera, and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device may be adjusted by using the shutter.

일반적인 조명 장치와는 달리 콘솔을 이용해 조명 장치의 수평 회전인 팬(pan)과 수직 회전인 틸트(tilt)를 조절함으로써 빛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장치를 무빙 라이트라고 한다. 콘서트와 같은 공연의 경우 무빙 라이트를 비교적 많이 활용하는 편인데, 이러한 공연에서는 즉흥적인 상황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빙 라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를 위해서는 곡의 리듬과 박자, 내용과 분위기 등을 사전에 파악하는 등의 많은 준비가 있어야 한다. Unlike a general lighting device, a device that can freely change the direction of light by controlling a pan, which is a horizontal rotation of the lighting device, and a tilt, which is a vertical rotation, is called a moving light. In concerts such as concerts, moving lights are used a lot, because impromptu situations often occur. However, even when using moving ligh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ot of things, such as grasping the rhythm and beat, content and mood of the song in advance.

즉, 조명과 같은 무대 효과의 제어는 무대 연출자와 조명 담당자와의 완벽한 커뮤니케이션 없이는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무대 효과 제어는 시나리오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연기자 역시 미리 정해진 동선에 따라 움직여야만 한다. 따라서 공연 중 돌발 상황이 발생하면, 연기자의 동선과 무대 효과 장치가 능동적으로 연계되지 않아 유연한 대처가 이루어 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In other words, control of stage effects such as lighting is difficult to achieve without perf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stage director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e lighting. In addition, the stage effect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cenario, so the actor must also mov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movement. Therefore, if a sudden situation occurs during the performance, there is a problem that a flexible response cannot be achieved because the actor's movement and the stage effect device are not actively connected.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기자의 위치 및 배경음악의 특징을 이용하여 무대 효과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tage effect by using the position of the act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music.

또한 본 발명은 연기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대 효과를 제어함으로써, 조명 담당자의 실수나 연기자의 동선 이탈과 같은 돌발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무대 효과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ge effect control method that can flexibly cope with an unexpected situation such as a mistake of a person in charge of lighting or an actor's moving out of line by controlling a stage effect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an actor.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대 효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인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센서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진입하면 상기 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stage effect includes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ensor attached to a human body, and analy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correspond to the preset area when the sensor enters a preset area. Generating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또한 본 발명은 무대 효과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인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센서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진입하면 상기 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ensor attached to a human body, and analy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sensor corresponds to the preset area when the sensor enters a preset area;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light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기자의 위치 및 배경음악의 특징을 이용하여 무대 효과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tage effect by using the position of the act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music.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담당자의 실수나 연기자의 동선 이탈과 같은 돌발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처가능한 무대 효과의 제어가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age effect that can be flexibly handled in a sudden situation, such as a mistake of the person in charge of lighting or the movement of the a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 효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대 효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 효과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age effec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age effec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 효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 효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대 효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rst, a stage effec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stage effec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stage effec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대 효과 제어 장치는 인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100), 수신한 위치 정보를 분석한다(130). 예를 들어 공연 무대에 올라가는 각 연기자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를 몸에 부착한다. 따라서, 무대 효과 제어 장치는 각 연기자들의 인체에 부착된 센서로 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ensor attached to a human body (100) and analyze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130). For example, each performer who goes up the stage of performances attaches a sensor to his body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Therefore,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can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s attached to the human body of each actor.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본 발명의 무대 효과 제어 장치는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센서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50). 그리고 판단 결과, 센서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진입하면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17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 효과 제어 장치는 조명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제어한다(190). Upon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enters the preset area (15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sensor enters the preset area,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is generated (170). Next,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at least one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190).

여기서 기 설정된 영역은 조명과 같은 무대 효과 장치에 대응되도록 나누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 하다. 예를 들어, 무대 위 공간을 제1영역, 제2영역, 제3영역으로 구분한 경우, 무대는 제1영역을 비추기 위한 제1조명, 제2영역을 비추기 위한 제2조명, 제3영역을 비추기 위한 제3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무대 효과 제어 장치가 더 많은 수의 조명을 제어하고, 무대 위 공간을 더 많은 개수의 공간으로 분할한다면, 기 설정된 영역의 종류가 증가하는 것은 자명하다. The predetermined area is preferably divided to correspond to the stage effect device such as lighting. For example, if the space on the stage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the stage may include a first light to illuminate the first area and a second light and a third area to illuminate the second area. It may include a third light to illuminate. If the stage effect control device controls a larger number of lights and divides the space on the stage into a larger number of spaces, it is obvious that the kind of the preset area increases.

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각 조명은 램프, 디머, 셔터, 램프의 회전을 위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대 효과 제어 장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디머 또는 셔터, 그리고 조명의 연결부를 제어함으로써 각 조명의 휘도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조명 장치로 무빙 라이트를 사용한다면, 무대 효과 제어 장치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팬과 틸트를 조절하여 조명의 휘도를 조절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무대 효과 제어 방법에 따르면, 무대 효과 제어 장치가 연기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자동으로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조명의 휘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연기자가 동선을 벗어나거나 돌발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조명과 같은 무대 효과 장치가 이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되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보다 자연스럽게 무대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Each of the lights corresponding to the preset area may include a lamp, a dimmer, a shutter, and a connection part for rotating the lamp.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may control the dimmer or shutter and the light connection part by using a control signal. You can adjust the brightness and direction. If a moving light is used as the lighting device,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tage effect control device will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by adjusting the pan and tilt. That is, according to the stage effect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may collect and analyz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erformer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refore, even if the performer moves out of the line or a sudden situation occurs, the stage effect apparatus such as lighting is automatically controlled correspondingly, so that the stage can be more naturally produced than in the prior art.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 효과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고(110),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다(130).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110)는 무대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이루어진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은 무대를 구성하기 위한 오디오 파일을 의미하며, 공연에서의 배경음악(BGM), 주제곡 등 공연에 사용되는 모든 음악 및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2,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t least one audio file 110 and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audio files 130. The step of storing at least one audio file 110 takes place before each step for controlling the stage effect. Here, the at least one audio file means an audio file for constituting the stage, and may include all music and images used in the performance, such as a background music (BGM) and a theme song in the performance.

다음으로, 무대 효과 제어 장치는 입력된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오디오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다(150). 오디오 파일은 파일의 각종 정보를 담고있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타데이터에는 파일의 명칭, 재생 시간, 장르, 템포 등과 같은 세부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무대 효과 제어 장치는 메타 데이터로부터 템포 및 장르 정보를 검출하며(170), 템포 및 장르 정보를 이용하여 음향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음향 제어 신호에 따라 음향을 조절한다(190). Next,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150 extracts metadata of an audio fil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lection signal (150). The audio file may include metadata containing various information of the file, and the metadata may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a file name, a playing time, a genre, and a tempo.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detects tempo and genre information from the meta data (170), generates a sound control signal using the tempo and genre information, and adjusts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190).

음향 제어 신호는 미리 저장된 신호일 수 있으며, 템포 및 장르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른 템포의 곡이 선택된 경우, 무대 효과 제어 장치는 메타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곡이 빠른 템포의 곡임을 검출할 수 있다. 빠른 템포에 대응되는 음향 제어 신호는 더 경쾌한 리듬으로 음악을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음향을 더 크게 조절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음악이 느린 템포에서 빠른 템포로 변경되면, 곡의 분위기를 더 잘 살릴 수 있는 음색과 리듬으로 음향이 조절될 수 있다. The sound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stored in advance and may include a control pattern corresponding to tempo and genr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song having a fast tempo is selected,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may detect that the selected song is a song having a fast tempo from the metadata. The sou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ast tempo may be a signal for controlling music to be converted to a lighter rhythm, or may be a signal for adjusting the sound louder. In this case, when the selected music is changed from a slow tempo to a fast tempo, the sound may be adjusted to a tone and a rhythm to better express the mood of the song.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템포 및 장르 정보를 이용하여 음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었으나, 이 밖에도 템포 및 장르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고, 불꽃놀이, 안개, 비누방울 등을 분사하는 무대 장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무대 효과 제어 방법에 의하면, 오디오 신호의 템포 및 장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음향, 특수 효과를 제어함으로써, 좀 더 세밀하게 무대 효과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oun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the tempo and genre information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lighting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using the tempo and genre information, and fireworks, fog, and soap bubbles may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stage device control signals that eject the back. Thus, according to the stage effect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sound and special effects automatically using the tempo and genre of the audio sig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age effect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 효과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대 효과 제어 장치는 위치 정보 수신부(310), 제어 신호 생성부(330), 제어부(350), 입력부(320), 데이터 추출부(340) 및 저장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information receiver 310, a control signal generator 330, a controller 350, an input unit 320, and a data extractor 340. And a storage 360.

위치 정보 수신부(310)는 인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공연 무대에 올라가는 각 연기자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를 몸에 부착한다. 따라서, 무대 효과 제어 장치는 각 연기자들의 인체에 부착된 센서로 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31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ensor attached to the human body. For example, each performer on the stage of performances attaches a sensor to the body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Therefore,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can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ors attached to the human body of each actor.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 신호 생성부(330)는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센서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 센서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진입하면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Upon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30 analyz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has entered the preset are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sensor enters the preset area, a light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is generated.

그리고 제어부(350)는 조명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제어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영역은 조명과 같은 무대 효과 장치에 대응되도록 나누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 하다. 예를 들어, 무대 위 공간을 제1영역, 제2영역, 제3영역으로 구분한 경우, 무대는 제1영역을 비추기 위한 제1조명, 제2영역을 비추기 위한 제2조명, 제3영역을 비추기 위한 제3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무대 효과 제어 장치가 더 많은 수의 조명을 제어하고, 무대 위 공간을 더 많은 개수의 공간으로 분할한다면, 기 설정된 영역의 종류가 증가하는 것은 자명하다. The controller 350 controls at least one light corresponding to the light control signal. The predetermined area is preferably divided to correspond to the stage effect device such as lighting. For example, if the space on the stage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the stage may include a first light to illuminate the first area and a second light and a third area to illuminate the second area. It may include a third light to illuminate. If the stage effect control device controls a larger number of lights and divides the space on the stage into a larger number of spaces, it is obvious that the kind of the preset area increases.

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각 조명은 램프, 디머, 셔터, 램프의 회전을 위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디머 또는 셔터, 그리고 조명의 연결부를 제어함으로써 각 조명의 휘도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조명 장치로 무빙 라이트를 사용한다면, 제어부(35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팬과 틸트를 조절하여 조명의 휘도를 조절할 것이다. Each of the lights corresponding to the preset area may include a lamp, a dimmer, a shutter, and a connection part for rotating the lamp, an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each dimmer or shutter and the light connection by using a control signal. You can adjust the brightness and direction. If the moving light is used as the lighting device,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350 ma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by adjusting the pan and tilt.

입력부(320)는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다.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은 저장부(360)에 저장되어 있으며,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오디오 파일은 데이터 추출부(340)에서 처리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은 무대를 구성하기 위한 오디오 파일을 의미하며, 공연에서의 배경음악(BGM), 주제곡 등 공연에 사용되는 모든 음악 및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320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audio files. At least one audio file is stored in the storage 360, and when a selection signal is input, the audio fil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lection signal is processed by the data extraction unit 340. Here, the at least one audio file means an audio file for constituting the stage, and may include all music and images used in the performance, such as a background music (BGM) and a theme song in the performance.

데이터 추출부(340)는 입력된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오디오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메타 데이터로부터 템포 및 장르 정보를 검출한다. The data extractor 340 extracts metadata of the audio fil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lection signal. Then, the tempo and genre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meta data.

제어부(350)는 데이터 추출부(340)에서 추출된 템포 및 장르 정보를 이용하여 음향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음향 제어 신호에 따라 음향을 조절한다. The controller 350 generates a sound control signal using the tempo and genr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data extractor 340 and adjusts the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음향 제어 신호는 미리 저장된 신호일 수 있으며, 템포 및 장르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른 템포의 곡이 선택된 경우, 무대 효과 제어 장치는 메타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곡이 빠른 템포의 곡임을 검출할 수 있다. 빠른 템포에 대응되는 음향 제어 신호는 더 경쾌한 리듬으로 음악을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음향을 더 크게 조절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음악이 느린 템포에서 빠른 템포로 변경되면, 곡의 분위기를 더 잘 살릴 수 있는 음색과 리듬으로 음향이 조절될 수 있다. The sound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stored in advance and may include a control pattern corresponding to tempo and genr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song having a fast tempo is selected, the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may detect that the selected song is a song having a fast tempo from the metadata. The soun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ast tempo may be a signal for controlling music to be converted to a lighter rhythm, or may be a signal for adjusting the sound louder. In this case, when the selected music is changed from a slow tempo to a fast tempo, the sound may be adjusted to a tone and a rhythm to better express the mood of the song.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템포 및 장르 정보를 이용하여 음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었으나, 이 밖에도 템포 및 장르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고, 불꽃놀이, 안개, 비누방울 등을 분사하는 무대 장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oun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the tempo and genre information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lighting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using the tempo and genre information, and fireworks, fog, and soap bubbles may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stage device control signals that eject the back.

전술한 무대 효과 제어 방법에서의 각 단계는 도면에 도시된 순서에 반드시 종속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각 단계의 선후는 변경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전술한 무대 효과 제어 장치의 각 기능 블록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분된 것이므로, 기능 블록의 명칭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Note that each step in the above-described stage effect control method is not necessarily dependent on the order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changed after each step if necessary. In addition, since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above-described stage effect control apparatus are divided for ease of description, they are not limited by the names of the functional blocks.

Claims (4)

인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센서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진입하면 상기 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대 효과 제어 방법.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ensor attached to the human body;
Analy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area when the sensor enters a preset area;
Controlling at least one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Stage effect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오디오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타 데이터로부터 템포 및 장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템포 및 장르 정보를 이용하여 음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음향 제어 신호에 따라 음향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대 효과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oring at least one audio file;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audio files;
Extracting metadata of an audio fi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signal;
Detecting tempo and genre information from the metadata;
Generating a sound control signal using the tempo and genre information;
Adjusting a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Stage effect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인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센서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진입하면 상기 기 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대 효과 제어 방법.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ensor attached to the human body;
A control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analyz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et area when the sensor enters the preset area;
A control unit controlling at least one light corresponding to the light control signal;
Stage effect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오디오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로부터 템포 및 장르 정보를 검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템포 및 장르 정보를 이용하여 음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상기 음향 제어 신호에 따라 음향을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대 효과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audio file;
An input unit to receive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audio files;
A data extracting unit extracting metadata of an audio fi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signal and detecting tempo and genre information from the metadata;
A control signa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 acoustic control signal using the tempo and genre information;
A controller for adjusting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control signal;
Stage effect control device comprising a.
KR1020120087541A 2012-08-10 2012-08-1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ge effect KR201400205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541A KR20140020594A (en) 2012-08-10 2012-08-1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ge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541A KR20140020594A (en) 2012-08-10 2012-08-1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ge eff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594A true KR20140020594A (en) 2014-02-19

Family

ID=5026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541A KR20140020594A (en) 2012-08-10 2012-08-1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ge eff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059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78B1 (en) * 2015-12-14 2016-09-07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Simulation system for performance directing apparatus
KR101687189B1 (en) 2016-10-31 2016-12-16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ance direc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78B1 (en) * 2015-12-14 2016-09-07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Simulation system for performance directing apparatus
KR101687189B1 (en) 2016-10-31 2016-12-16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ance direc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8094B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reating an atmosphere suited to social setting and mood in an environment
EP383976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usic feature file and coordinated light show
JP5772111B2 (en) Display control device
JP2011503779A (en) Lighting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ic identification of lighting effects available for home entertainment systems
KR101317240B1 (en) Automatic control appratus for smart light using stage
KR201400205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ge effect
TWI559299B (en) Singing visual effect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ingiing visual effect
US201402667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visual media elements using music input
KR101809617B1 (en) My-concert system
JP6986036B2 (en) Content playback program, content playback method and content playback system
JP6691607B2 (en) Lighting control device
JP2017010326A (en) Image data generation device and content reproduction device
US20190212971A1 (en) Acoustic apparatus control operation input device and acoustic apparatus control operation input program
WO2016072699A1 (en) Internet of things (iot)-based smart audio device
WO2016123007A1 (en)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KR200394184Y1 (en) Lighting apparatus
JP52566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8066115A1 (en) Lighting control device
WO2023274700A1 (en)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based on media content and a method thereof
JP6768005B2 (en) Lighting control device, lighting control method and lighting control program
JP2014235301A (en) Command input discrimination system using gesture
KR101515818B1 (en) System for outputting sound
EP4054297A2 (en) Image display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light emission control method
KR100681516B1 (en) Karaoke system having function for rising a congratulatory atmosphere
JP6691608B2 (en) Lighting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