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818B1 - System for outputting sound - Google Patents

System for outputting 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818B1
KR101515818B1 KR1020140093605A KR20140093605A KR101515818B1 KR 101515818 B1 KR101515818 B1 KR 101515818B1 KR 1020140093605 A KR1020140093605 A KR 1020140093605A KR 20140093605 A KR20140093605 A KR 20140093605A KR 101515818 B1 KR101515818 B1 KR 101515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reproduced
divided part
motion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화예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화예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화예감
Priority to KR1020140093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8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8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10H1/26Selecting circuits for automatically producing a series of 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ed to a sound outputting system, comprising: multiple sensors installed in several locations in the movement section to detect movements; a DB that stores the digital music files; a sound outputting unit that outputs the digital music files as sounds; and a controller that uses the sound outputting unit to control to play one of multiple segmented parts of the time section of the digital music file stored in the DB according to the movement detected by the sensors, but plays the next segmented part to the currently played segmented part if movements are det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sensors before the currently played segmented part of the digital music file is finished. Thus, the sound outputting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play the music file while giving excitement for users since the next segment part is played when additional movement is detected while playing the segmented parts of the music file.

Description

음원 출력 시스템 {SYSTEM FOR OUTPUTTING SOUND}[0001] SYSTEM FOR OUTPUTING SOUND [0002]

본 발명은 음원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문화공간에서 도보 이동에 따른 움직임을 이용하여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재미적 요소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음원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ource outpu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source output system that provides a content with a fun factor by outputting a sound source using a movement according to walking movement in a cultural space.

근래에는 대중이 이용하는 공원, 의료시설, 유적지, 관광명소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문화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설이 마련되고 있다. 이러한 예로, 움직임이 감지된 장소에서 음악을 재생한다거나 텍스트를 출력하여 각종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콘텐츠는 행위에 대한 보상수단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In recent years, there are facilities for providing cultural contents regardless of places such as public parks, medical facilities, historical sites, and tourist attractions. In this case,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in which music is reproduced in a place where motion is detected or a variety of contents are provided by outputting text. Such a content may be provided as a compensation means for an action.

이러한 보상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는 재미적 요소를 가미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행위를 하고자 하는 욕구를 유발함에 따라 다이어트와 같은 건강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이용되거나, 어린이 놀이시설 등과 같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such compensation means can be added with an interesting factor, causing a user to desire to perform an action, thus being used in connection with a health program such as a diet, or being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a children's play facility .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2-0002823호(공개일 1992년05월01일, 음계가 발생케 된 미끄럼틀의 계단)에는 미끄럼틀의 계단을 밟으면 음계의 음향이 발성되게 하여 교육용 놀이시설로 활용함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2-0002823 (published May 1, 1992, on the slope of the slide where the scales were generated), the sound of the scales was voiced when the step of the slide was touched, and the application was used as an educational play facility have.

상기 선행기술에서 계단에 설치된 건반에서 입력이 발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되는 방식이다. 이처럼 움직임 감지에 따른 종래의 음향 출력방식에서는 움직임 및 가압에 따른 입력신호 발생시, 그에 대응하는 음향이 각각 동시에 출력되어 다수가 이용하는 경우, 음향은 멜로디를 형성하기보다는 난잡한 소음에 가깝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prior art, when an input is generated in a keyboard installed in a staircase, a corresponding sound is output. In the conventional sound output method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when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motion and pressure, corresponding sounds are simultaneously output, and when a plurality of sounds are used, the sound is close to a noise rather than a melody.

움직임 감지에 대응하여 완전한 곡을 재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소음에 가까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움직임에 따라 음향이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이용자가 인식하기 어려워 재미적인 요소를 가미한 콘텐츠 제공장치로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기 어려웠다.
However,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soun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tion, so that contents with interesting elements are provided It was difficult to perform functions as a devic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행위에 대한 보상수단으로 음원을 출력하는 방식을 통해 문화공간에서 재미적 요소를 제공하되, 동시에 다수가 이용하더라도 난잡한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음원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음원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esting element in a cultural space through a method of outputting a sound source as a compensation means for an action, and at the same time, And to provide a sound source output system capable of reproducing sound source contents.

또한, 이용자의 수가 많지 않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지연된 움직임에서도 파트별 음원을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음원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 source output system capable of sequentially reproducing sound sources for each part even in a delayed movement that may occur when the number of users is small.

또한, 이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때, 음원의 재생을 중단하여 에너지 절감에 효율적인 음원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source output system which is efficient in energy saving by stopping the reproduction of a sound source when the user's motion is not detec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구간에 소정의 위치마다 설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 디지털 음원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디지털 음원을 소리로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로부터 움직임의 감지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음원의 시간적 구간에 따른 복수의 분할파트 중, 어느 하나의 분할파트를 상기 음원 출력부를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하되, 현재 재생되는 상기 디지털 음원의 분할파트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면,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분할파트를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이 종료된 후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까지의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에 대한 신호인 지연신호 발생을 확인하는 지연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연처리부에서 상기 지연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될 때, 최근 재생된 분할파트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분할파트를 재생하도록 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분할파트 중, 시작 파트를 상기 음원 출력부를 통해 재생하도록 하며;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이 종료되기 전에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 중, 여러개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움직임 중에 최초로 감지된 움직임을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 다음에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을 위한 신호인 재생신호로 이용하는 음원 출력 시스템으로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a moving section to detect movement; A database storing digital sound sources; A sound sour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digital sound source as a sou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o reproduce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any one of a plurality of divided parts according to a temporal section of the digital sound source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motion from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And a controller for playing a divided part corresponding to a next sequence of a currently played divided part when motion is detected from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before completion of the divided part of the sound source;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delay processing unit for confirming generation of a delay signal, which is a signal for a mo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from a time when a reproduction of a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ends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the delay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the delay signal has been generated, reproduces a divided part corresponding to the next sequence of the rec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an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a motion is detected from the above, a start part of the plurality of divided parts is reproduced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part; When a motion is detected from a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before the reproduction of a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is terminated, the motion detected first in the detected motion is used for reproduction of a divided part reproduced next to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And a sound source output system which uses the sound source signal as a reproduction signal which is a signal.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분할파트를 재생하는 경우,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와, 상기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분할파트를 연속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동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synchronous module for continuously reproducing a currently played divided part and a divided part corresponding to the next sequence of the currently played divided part, when the divided part corresponding to the next step is reproduced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이동 구간에는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에 대응하여 조명램프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램프를 상기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되는 지속시간만큼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urther, illumination lamp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are installed in the moving section,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illumination lamp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signal to be lit up for a duration of the reproduction of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음원 중, 상기 음원 출력부를 통해 재생할 상기 디지털 음원을 선택하고, 상기 음원 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는 상기 디지털 음원의 출력 방식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etting unit that selects the digital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and sets an output mod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out of the digital sound sources stored in the database Do.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는 계단의 각 층계에 설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nsing sensors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stairs.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음원의 분할된 파트를 재생하는 동안 추가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때, 현재 재생되는 파트의 다음 파트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므로, 사용자에게 재미를 주면서 음원을 연속하여 재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dditional motion occurs during playback of a divided part of a sound source, the next part of the currently played part is sequentially played back, so that the sound source can be continuously played have.

또한, 움직임 신호마다 각각의 음향이 출력되는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시 다발적인 음원출력으로 인한 소음적 환경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noise environment due to a simultaneous multiple sound source output that may occur in a device in which each sound is output for each motion signal.

또한, 음원의 분할된 파트를 재생하므로 음원 전체를 재생하는 경우보다 움직임 요구 횟수가 증가하므로 다수에게 재미적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Also, since the divided parts of the sound source are reproduced, the number of times of motion required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entire sound source is reproduced.

또한, 다음 파트의 재생은 추가적인 이용자의 감지에 따라 실시되므로, 감지빈도가 낮은 곳에서는 음원의 분할된 파트만 재생하고 대기상태로 전환되어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since the reproduction of the next part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additional user, only the divided part of the sound source is reproduced in the place where the detection frequency is low, and the energy is saved by switching to the standby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출력 시스템을 계단에 적용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절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출력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ound sourc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 sound sourc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tep,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sound source outpu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출력 시스템을 계단에 적용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출력 시스템(100)은 복수의 감지센서(110), 데이터베이스(140), 음원 출력부(15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ound sourc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 sound source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tep. 1 and 2, a sound source outpu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0, a database 140, a sound source output unit 150, a controller 130, .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출력 시스템(100)은 계단에 적용한 것을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2, a sound source outpu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s applied to a staircase.

감지센서(110)는 이동 구간에 소정의 위치마다 설치되어 이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감지센서(110)를 통해 감지된 움직임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로 이용되는데, 본 발명에서 감지센서(110)는 계단의 각 층계의 측면에 설치되어 층계의 상부면에서 사용자에 의한 움직임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The detection sensor 11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moving section to detect movement of the user. The motion sensed by the sensing sensor 110 is used as a signal for reproducing a digital sound source stored in the database 14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sensor 110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each step of the step,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 motion of the user is generated.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를 예로 하지만,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 센서, 움직임에 따른 진동 센서와 같이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하중 센서 또는 진동 센서 등을 이용할 경우, 설치되는 감지센서(110)의 위치는 각 층계의 상부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처럼 감지센서(110)의 감지 방식에 따라 상이한 설치위치가 변경됨은 당연하다.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user is exemplified, but various sensors such as a load sensor for detecting a load of a user and a vibration sensor for a motion can be used. Here, when a load sensor or a vibration sensor is used, a different installation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method of the detection sensor 110, such that the installed position of the detection sensor 11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each floor system. Do.

데이터베이스(140)는 디지털 음원이 저장된다. 여기서 디지털 음원이라 함은 연주되는 악기의 소리, 노래, 불특정 대상에서 발생하는 소리 등을 전자 장치를 통해 재생할 수 있도록 처리되어 저장된 것을 의미한다.The database 140 stores a digital sound source. Here, the digital sound source refers to a sound source of a musical instrument to be played, a song, a sound generated from an unspecified object, and the like, processed and stored so as to be reproduced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음원 출력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장소에서 재생에 적합한 디지털 음원이 미리 저장되는데, 하나의 디지털 음원이 저장되거나 복수의 디지털 음원이 저장되어, 하나의 디지털 음원을 반복하여 재생하거나 복수의 디지털 음원을 재생의 대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database 140, a digital sound source suitable for reproduction is pre-stored in a place where the sound source output system 100 is applied. One digital sound source is stored or a plurality of digital sound sources are stored, and one digital sound source is repeatedly reproduced So that a plurality of digital sound sources can be used as targets for playback.

음원 출력부(15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을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소리로 출력하는 통상의 스테레오 장치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150 is a conventional stereo device that outputs a digital sound source stored in the database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부(130)는 복수의 감지센서(110)로부터 움직임의 감지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음원의 시간적 구간에 따른 복수의 분할파트 중, 어느 하나의 분할파트를 상기 음원 출력부(150)를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not shown)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divided parts according to the temporal section of the digital sound source stored in the database 140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motion from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0 150).

여기서 재생되는 디지털 음원에 대한 분할파트는 제어부(130)를 통해 제어되어 시간적 순서로 재생된다. 즉, 디지털 음원의 시작 파트를 우선 재생하고, 다음 분할파트를 순차적으로 재생하게 된다.The divided parts of the digital sound source reproduced here ar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and reproduced in a temporal order. That is, the start part of the digital sound source is reproduced first, and the next divided part is sequentially reproduced.

여기서, 제어부(130)는 다음 분할파트의 재생여부를 감지센서(110)로부터의 움직임 신호를 통해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재생되는 디지털 음원의 분할파트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11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면,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분할파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Here,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next divided part is reproduced through the mo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110. More specifically, if movement is detected from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0 before a divided part of a digital sound source currently being reproduced is completed, a divided part corresponding to the next sequence of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is reproduced .

그리고, 제어부(130)는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이 종료되기 전에 복수의 감지센서(110) 중, 복수의 감지센서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움직임 중에 최초로 감지된 움직임을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 다음에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을 위한 신호인 재생신호로 이용한다.When a motion is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0 among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0 before the reproduction of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is terminated, the controller 130 detects the first detected motion in the detected motion, And is used as a reproduction signal which is a signal for reproduction of a divided part reproduced next to the divided part.

예로, 디지털 음원의 시작 파트 또는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다음 순서의 분할파트에 대한 재생신호로 이용되는 감지센서(110)로부터의 움직임은 가장 먼저 감지된 움직임만을 재생신호로 이용하여 시간적 구간을 갖는 분할파트가 재생이 되는 동안 복수의 재생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한다.  For example, the movement from the detection sensor 110, which is used as a reproduction signal for a start part of a digital sound source or a next part of a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is used as a reproduction signal, Thereby preventing a plurality of reproduction signals from being generated while the divided parts are being reproduced.

즉, 복수의 감지센서(110) 중, 재생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분할파트에 대한 재생신호를 발생시키는 대상은, 분할파트 재생을 위한 감지구간에서 최초로 움직임이 감지된 감지센서(110)가 된다. That is, among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0, an object for generating a reproduction signal for one of the divided parts to be reproduced becomes the detection sensor 110 in which the motion is detec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detection interval for reproducing the divided part.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디지털 음원의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특정 시점에서 움직임 감지신호를 감지하여 추가적인 감지신호가 있을 경우에만 순차적인 다음 분할파트를 출력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디지털 음원의 분할된 파트를 재생하는 방식으로도 디지털 음원 전체의 완전한 재생이 가능하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detected at a specific time point of a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of the digital sound source and the next divided part can be sequentially output only when there is an additional detection signal, The entire digital sound source can be completely reproduced.

그리고, 추가적인 이용자가 없는 상태에서 디지털 음원의 출력을 중단하고 움직임 감지 대기상태로 전환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sence of an additional user, the output of the digital sound source is interrupted and the state is switched to the motion detection standby state, so tha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에 이어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분할파트를 재생하는 경우,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와,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분할파트를 연속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동기모듈(131)을 포함한다.Meanwhile, in the case where a divided part corresponding to the next sequence is reproduced, the control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ivided part currently being reproduced and the divided part corresponding to the next sequence of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And a synchronization module 131 for continuously reproducing the data.

동기모듈(131)은 다음 분할파트의 재생신호가 입력되더라도 현재 재생되는 파트와 중복되어 동시에 재생되지 않도록 한다. 즉, 재생되는 분할파트가 완료된 직후에 다음 분할파트가 출력되도록, 재생되고 있는 분할파트의 끝과, 다음 분할파트의 시작을 동기시켜 두 분할파트가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한다.The synchronous module 131 prevents the simultaneous reproduction of the part being reproduced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reproduction signal of the next divided part is inputted. That is, the end of the divided part being reproduced and the start of the next divided part are synchronized so that the next divided part is outputted immediately after the divided part to be reproduced is completed, so that the two divided parts are continuously reproduc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지연처리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연처리부(132)는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이 종료된 후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까지의 복수의 감지센서(110)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에 대한 신호인 지연신호 발생을 확인한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delay processing unit 132. The delay processing unit 132 confirms the generation of a delay signal, which is a signal for a mo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0 from the end of the reproduction of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지연처리부(132)는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이 종료되더라도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복수의 감지센서(11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움직임 신호가 감지될 때, 최근 재생된 분할파트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분할파트를 재생하도록 한다. When a motion signal is detected from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0 before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even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reproduced divided part is finished, To be reproduced.

예컨데, 이용자가 빠른 움직임으로 이동하거나, 이용자가 다수인 공간에서는 재생되고 있는 분할파트의 재생이 완료되기 전에 다음 분할파트의 재생에 이용하는 움직임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두 분할파트의 연속재생이 가능하다. For example, since it is common to detect a motion signal used for reproduction of the next divided part before the user moves fast or the reproduction of the reproduced divided part is completed in a space in which the user has a large number, This is possible.

하지만, 다수의 이용자가 없는 장소에서 천천히 이동하는 경우,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이 완료되기 전에, 다음 분할파트에 대한 재생신호를 발생하는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고, 분할파트 재생이 완료된 직후에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user moves slowly in a place where there are not many users, the movement for generating the reproduction signal for the next divided part does not appear before the reproduction of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is completed, Sometimes it is visible.

특히, 본 발명은 움직임에 따른 디지털 음원의 분할파트가 재생되는 방식이므로, 재생되는 분할파트가 종료되는 시기에 맞춰 움직임을 보이는 패턴을 보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움직임이 재생 종료 후에 나타나므로 지연신호를 적용하지 않으면 디지털 음원의 시작 파트를 반복하게 된다. Particularly,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in which a divided part of a digital sound source is reproduced according to a motion, it is possible to show a pattern showing a movement in accordance with a timing at which a divided part to be reproduced ends. In this case, If you do not apply, the start part of the digital sound source is repeated.

그러나, 지연처리부(132)를 이용할 경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감지되는 움직임을 다음 분할파트의 재생신호로 이용하여 딜레이된 움직임에서도 순차적인 분할파트의 재생이 가능하다. However, when the delay processing unit 132 is used,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reproduce a divided part even in a delayed motion by using a motion sensed before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s a reproduction signal of a next divided part.

만약, 지연처리부(132)에서 지연신호의 감지구간으로 이용되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복수의 감지센서(11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디지털 음원의 시작 파트를 재생하도록 한다. If a delay is detected from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0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used as a delay period of the delay signal has elapsed in the delay processing unit 132, Play the part.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절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출력 시스템(100)은 이동 구간에 복수의 감지센서(110)에 대응하여 조명램프(120)가 각각 설치된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and 3, the sound source outpu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illumination lamps 12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0 in the movement interval.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에 적용한 음원 출력 시스템(100)에서, 조명램프(120)는 계단의 각 층계 내부에 설치되고, 조명램프(120)의 광이 계단으로 노출되도록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의 덮개(121)로 마무리 된다. As shown, in the sound source output system 100 applied to the stairs, the illumination lamp 120 is installed in each step of the stairs, and the material of the material capable of passing light such that the light of the illumination lamp 120 is exposed to the stairs And the cover 121 is finished.

조명 램프는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어할 수 있는데, 일례로, 분할파트의 재생신호를 발생시킨 감지센서(110)에 대응하는 조명램프(120)를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지속시간만큼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llumination lamp 120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ensor 110 generating the reproduction signal of the divided part is turned on for the reproduction duration time of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재생되는 분할파트에 대한 재생신호가 어느 부분에서 발생된 것인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at which part the reproduction signal for the divided parts to be reproduced is generat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 중, 음원 출력부(150)를 통해 재생할 디지털 음원을 선택하고 상기 음원 출력부(150)를 통해 재생되는 디지털 음원의 출력 방식을 설정하는 설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digital sound sources stored in the database 140, a setting unit for selecting a digital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150 and setting an output method of the digital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150 (160).

즉, 설정부는 음원을 출력을 위한 재생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데 재생 옵션으로는, 디지털 음원에서 분할되는 구간의 길이, 지연처리부(132)에서 지연신호로 적용할 수있는 경과시간, 조명램프(120)의 동작 형태, 음원 출력부(150)의 출력조절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at is, the setting unit may set a playback option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The playback options include a length of a section divided in the digital sound source, an elapsed time applicable as a delay signal in the delay processing unit 132, An operation mode of the sound output unit 150, an output control of the sound output unit 150,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음원 출력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ound source output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출력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자세하게는 도 4는 재생되는 분할파트가 종료되기 전에 다음 분할파트에 대한 감지신호를 감지하여 재생되는 분할파트를 제어하는 순서도이고, 도 5는 재생되는 분할파트가 종료되더라도 지연신호를 다음 분할파트에 대한 재생신호로 이용하는 경우의 순서도로서, 지연신호의 이용 유무에 차이가 있다.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sound source outpu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controlling a divided part to be reproduced by detecting a detection signal for a next divided part before the divided part to be reproduced is finished. The use of the delay signal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case of using the delay signal as the reproduction signal.

먼저, 도 4와 같이 지연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면, 감지센서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S410)를 갖는다. 복수의 감지센서(11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최초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재생될 음원으로 설정된 디지털 음원의 시작 파트를 재생(S420)하게 된다. 다음으로 재생되는 분할파트가 완료되기 전에,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다음 분할파트의 재생여부를 결정하도록 복수의 감지센서(110)로부터 추가 움직임이 감지되는 지를 판단(S430)한다. First, a case in which a delay signal is not used as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In operation S410, a motion is detected from a detection sensor. When a first movement is detect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0, the start part of the digital sound source set as the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is reproduced (S420). In step S430, it is determined whether additional motion is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0 so as to determine whether to reproduce the next divided part of the divided part to be reproduced before the next divided part to be reproduced is completed.

여기서, 추가적인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에 대해서 재생이 완료(S460)되고, 시작파트의 재생을 위해 감지센서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S410)로 다시 돌아간다.Here, if additional motion is not detected, the reproduction is completed for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S460),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S410 for detecting the mo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 for the reproduction of the start part.

분할파트 재생중 추가적인 움직임이 감지되면, 재생중인 분할파트에 이어지는 다음 분할파트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440)로 진행된다. 여기에서의 판단은 제어부(130)에서 실시되며, 다음 분할파트가 있는 경우, 다음 분할파트를 연속하여 재생(S450)하게 된다.If additional motion is detected during playback of the divided par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40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next divided part following the divided part being played back. Here, the determination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30, and if there is a next divided part, the next divided part is continuously played back (S450).

여기서, 연속 재생을 위해서는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끝과 다음 분할파트의 시작을 동기함으로써 연속적인 디지털 음원의 분할파트 출력이 실시된다. Here, in order to perform continuous reproduction, the divided part output of the continuous digital sound source is performed by synchronizing the end of the divided part to be reproduced and the start of the next divided part.

만약, 다음 분할파트가 존재하지 않을 때,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을 완료(S460)하고, 감지센서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단계(S410)으로 되돌아 가서, 상술한 도 4의 과정을 순환하며 디질털 음원을 재생하게 된다.If there is no next divided part, the reproduction of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is completed (S460),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10 for detecting the mo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process of FIG. 4 described above is repeated And reproduces the sound source of the digital sound.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지연처리에 따른 디지털 음원 출력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재생지연을 판단하는 단계(S550)와 다음 분할파트의 재생 단계(S580)에서 상이함이 있다. Next, a digital sound source output process according to the delay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er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production delay (S550) and the reproduction step of the next divided part (S58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연처리부(132)가 구성되지 않을 때, 분할파트 재생중 추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S530)에서 다음 분할파트에 대한 재생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재생은 완료되고 후속적인 움직임 감지는 디지털 음원의 시작 파트 재생을 위한 신호로 이용되지만, 재생지연을 판단하는 단계(S550)에서는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움직임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시작 파트 재생을 위한 감지센서로부터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S510)로 진행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delay processing unit 132 is not configured and the reproduction signal for the next divided part is not generated in the step of detecting additional motion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divided part (S530), the reproduction is completed and the subsequent motion detection Is used as a signal for reproducing the starting part of the digital sound source. However,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production delay (S55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motion signal is generated before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f no signal is generated ,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10 of detecting a mo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 for starting part reproduction.

만약 재생지연에 대한 신호가 발생했을 경우, 다음 분할파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S570)하여 다음 분할파트가 존재하면 다음 분할파트를 재생(S590)한다. If a signal for a reproduction delay occur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next divided part (S570), and if there is a next divided part, the next divided part is reproduced (S590).

여기서, 다음 파트 연속 재생 단계(S580)과, 다음 파트 재생 단계(S590)는 재생되는 분할파트가 동기되어 재생되는지에 차이가 있다. Here, there is a difference in whether the divided parts to be reproduced are reproduced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in the next part continuous reproducing step (S580) and the next part reproducing step (S590).

즉 재생지연에 따라 다음 분할파트를 재생하는 경우에서는, 재생되는 분할파트가 종료되더라도 소정의 시간동안 다음 파트를 위한 움직임이 감지되면, 최근 재생 종료된 분할파트의 다음 순서의 분할파트를 재생되게 한다.
That is, in the case of reproducing the next divided part in accordance with the reproduction delay, even if the divided part to be reproduced is finished, if the movement for the next par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Although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s and spirit of the invention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음원 출력 시스템 110 : 감지센서
120 : 조명램프 130 : 제어부
131 : 동기모듈 132 : 지연처리부
140: 데이터베이스 150 : 음원 출력부
160 : 설정부
100: sound source output system 110: detection sensor
120: illumination lamp 130:
131: Synchronization module 132: Delay processor
140: Database 150: Sound source output section
160: Setting section

Claims (8)

이동 구간에 소정의 위치마다 설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
디지털 음원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디지털 음원을 소리로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로부터 움직임의 감지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음원의 시간적 구간에 따른 복수의 분할파트 중, 어느 하나의 분할파트를 상기 음원 출력부를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하되, 현재 재생되는 상기 디지털 음원의 분할파트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면,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분할파트를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이 종료된 후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까지의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움직임에 대한 신호인 지연신호 발생을 확인하는 지연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연처리부에서 상기 지연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될 때, 최근 재생된 분할파트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분할파트를 재생하도록 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분할파트 중, 시작 파트를 상기 음원 출력부를 통해 재생하도록 하며;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이 종료되기 전에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 중, 여러개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움직임 중에 최초로 감지된 움직임을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 다음에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을 위한 신호인 재생신호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출력 시스템.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movement section to detect movement;
A database storing digital sound sources;
A sound sour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digital sound source as a sou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o reproduce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any one of a plurality of divided parts according to a temporal section of the digital sound source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motion from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And a controller for playing a divided part corresponding to a next sequence of a currently played divided part when motion is detected from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before completion of the divided part of the sound source;
The control unit
And a delay processing unit for confirming generation of a delay signal, which is a signal for a mo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from the end of the reproduction of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the delay processing unit determines that the delay signal has been generated, reproduces a divided part corresponding to the next sequence of the rec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an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a motion is detected from the above, a start part of the plurality of divided parts is reproduced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part;
When a motion is detected from a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before the reproduction of a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is terminated, the motion detected first in the detected motion is used for reproduction of a divided part reproduced next to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Signal as a reproduction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분할파트를 재생하는 경우,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와, 상기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분할파트를 연속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동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출력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a synchronization module for continuously reproducing a divided part currently being reproduced and a divided part corresponding to the next sequence of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when the divided part corresponding to the next sequence is reproduced, Outpu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구간에는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에 대응하여 조명램프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램프를 상기 현재 재생되는 분할파트의 재생되는 지속시간만큼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출력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llumination lamp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is installed in the moving section;
The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illumination lamp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signal to be lit up for a duration of the reproduction of the currently reproduced divided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음원 중, 상기 음원 출력부를 통해 재생할 상기 디지털 음원을 선택하고, 상기 음원 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는 상기 디지털 음원의 출력 방식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출력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Further comprising a setting unit for selecting the digital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and setting an output mode of the digital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out of the digital sound sources stored in the databas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는
계단의 각 층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출력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Wherein the sound source output system is installed in each floor of the stairs.
KR1020140093605A 2014-07-23 2014-07-23 System for outputting sound KR1015158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605A KR101515818B1 (en) 2014-07-23 2014-07-23 System for outputting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605A KR101515818B1 (en) 2014-07-23 2014-07-23 System for outputting s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818B1 true KR101515818B1 (en) 2015-05-04

Family

ID=5339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605A KR101515818B1 (en) 2014-07-23 2014-07-23 System for outputting s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8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285B1 (en) * 2016-08-19 2018-08-02 김영호 System and method for smart stai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652B1 (en) * 2006-09-21 2007-12-05 (주)엘케이전자 Sensor lamp operation method
KR20080023000A (en) * 2006-09-08 2008-03-12 김용교 Sound installation system for playground
JP4243862B2 (en) * 2004-10-26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Content utilization apparatus and content utiliz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3862B2 (en) * 2004-10-26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Content utilization apparatus and content utilization method
KR20080023000A (en) * 2006-09-08 2008-03-12 김용교 Sound installation system for playground
KR100781652B1 (en) * 2006-09-21 2007-12-05 (주)엘케이전자 Sensor lamp opera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285B1 (en) * 2016-08-19 2018-08-02 김영호 System and method for smart st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14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music videos synchronized with an audio track
US106814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omposite videos
WO2017025040A1 (en) Picture switching method and picture switching device during picture video playing
US8702509B2 (en) Game system,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computer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used thereof
US104680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08113120A1 (en) File creation process, file format and file playback apparatus enabling advanced audio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capabilities
EP3268876B1 (en) Media content system for enhancing rest
CN106128437B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08090633A (en) Motion data creation device, motion data creation method and motion data creation program
CN105787027A (en) Audio file playing method and terminal
US20160303344A1 (en) Children's product with synchronized sound and non-sound output
JP2012220582A (en) Music playback device, music playback method, program, and data creation device
JP2008204640A (en) Lighting apparatus
CN105637579A (en) Technique for reproducing waveform by switching between plurality of sets of waveform data
KR101150614B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ance game
KR101515818B1 (en) System for outputting sound
JPWO2006003848A1 (en) Music information calculation apparatus and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US201601397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udio/video presentations
US20160370981A1 (en) Editing device and method for edit and preview of light control pattern
CN103854686A (en) Audio player and playing method thereof
US20150364122A1 (en) Music Note Indicating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Piano,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Piano
JP6986036B2 (en) Content playback program, content playback method and content playback system
TWI585614B (en) Composite beat effect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posite beat effect
JP2009015105A (en) Performance terminal
CN103440137B (en) A kind of simultaneous display plays an instrument the DAB player method of position and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