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952A -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952A
KR20140018952A KR1020137028079A KR20137028079A KR20140018952A KR 20140018952 A KR20140018952 A KR 20140018952A KR 1020137028079 A KR1020137028079 A KR 1020137028079A KR 20137028079 A KR20137028079 A KR 20137028079A KR 20140018952 A KR20140018952 A KR 20140018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roximity switch
enclosure
magnet
bas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116B1 (ko
Inventor
그레고리 커티스 메리필드
로버트 린 라파운틴
브라이언 필립 페이트
마이클 존 시몬스
Original Assignee
제네럴 이큅먼트 앤드 매뉴팩처링 컴패니, 아이엔씨., 디/비/에이 탑웍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네럴 이큅먼트 앤드 매뉴팩처링 컴패니, 아이엔씨., 디/비/에이 탑웍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제네럴 이큅먼트 앤드 매뉴팩처링 컴패니, 아이엔씨., 디/비/에이 탑웍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40018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19/18Operating parts, e.g. turn knob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33Electrical or magnetic means using a permanent magnet, e.g. in combination with a reed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01H19/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73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actuated by relative movement between two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는 결합되어 내부 부피부를 형성하는 상부 인클로저와 바닥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샤프트 돌기는 상기 인클로저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폐쇄된 부피를 갖는 내부 보어는 샤프트 돌기 내에 형성되어 내부 부피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수직 샤프트의 제1 단부는 샤프트가 상부 및 바닥 인클로저에 대해 상대 회전되도록 내부 보어 내에 배치된다. 사마륨 코발트 타겟 자석은 샤프트에 결합되고, 해당 타겟 자석은 타겟 자석이 근접 스위치의 상부의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서 회전될 때 근접 스위치 내의 사마륨 코발트 구동 자석과 상호 작용한다. 해당 상호 작용은 스위치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또는 역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ENCLOSED PROXIMITY SWITCH ASSEMBLY}
본 발명은 총괄적으로 인클로저(enclosur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magnetic) 근접 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적 타겟을 포함하는 밀봉 인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리미트 스위치로도 알려진 자기 근접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위치 감지에 사용된다. 통상, 자기 근접 스위치 조립체는 타겟과 근접 스위치를 포함하는데, 근접 스위치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스위치 회로는 근접 스위치의 하우징에 내장된 영구 자석에 의해 제1 위치로 가압되는 레버와 같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근접 스위치는 예컨대, 상시 폐쇄 접점(normally closed contact)이 공통 접점과 접촉하는 제1 상태로 유지된다. 통상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타겟이 근접 스위치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통과될 때, 스위치 회로의 레버는 타겟 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에 의해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 예컨대 상시 개방 접점이 공통 접점과 접촉하는 제2 상태로 성향이 변화된다.
일부의 용례에서, 근접 스위치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타겟 자석과 하나 이상의 근접 스위치가 밀봉 인클로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자기 근접 스위치 조립체가 원자력 용례와 같은 위험한 환경에 사용될 때 보편적이다. 이러한 용례에서, 인클로저는 원자력 설비에서 봉쇄 사고 또는 냉각재 상실 사고(LOCA)시 생기는 고온 및 고압을 견디도록 의도된 것이다. 통상, 인클로저 내에 수직 배치된 샤프트는 타겟 자석이 샤프트에 의해 고정 근접 스위치에 대해 회전될 때 타겟 자석을 지지한다. 통상, 샤프트의 상부는 인클로저의 상부를 통해 연장되는 상부 구멍 내에 배치되는 밀봉된 상부 베어링 조립체에 결합되고, 샤프트의 바닥부는 인클로저의 바닥부를 통해 연장되는 바닥 구멍 내에 수용된다. 바닥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샤프트의 바닥부는 원자력 용례에 사용되는 제어 밸브의 회전 스템과 같은 밸브 요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스템의 회전은 밸브가 인클로저 내에 배치된 근접 스위치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타겟 자석을 회전시킴으로써 제어 밸브가 특정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 밸브의 회전 스템은 타겟 자석을 근접 스위치의 미리 정해진 범위 밖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어 밸브가 특정 위치로부터 이동되었음을 나타낸다.
자기 근접 스위치 조립체가 사용되는 위험한 환경에 기인하여, 인클로저는 고압 하의 고온 가스 또는 다른 오염물이 인클로저 내로 허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밀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측면에 따르면,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는 베이스 벽과 해당 베이스 벽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갖는 상부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벽과 복수의 측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부피부를 형성한다. 베이스 벽의 상부면으로부터는 샤프트 돌기가 상향 연장되고, 샤프트 돌기 내에는 내부 보어가 형성되고, 내부 보어는 제1 부피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내부 보어는 폐쇄된 부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근접 스위치 조립체는 베이스 벽과 해당 베이스 벽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갖는 바닥 인클로저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벽과 복수의 측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부피부를 형성한다. 베이스 벽 내에는 샤프트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 구멍은 베이스 벽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저는 제1 부피부와 제2 부피부가 협력하여 내부 부피부를 형성하도록 바닥 인클로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샤프트 구멍의 종축은 내부 보어의 종축과 정렬될 수 있다. 근접 스위치 조립체는 제1 단부, 해당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제1 중간부를 갖는 샤프트를 또한 포함하고, 샤프트의 제1 단부는 상부 인클로저의 샤프트 돌기에 형성된 내부 보어 내에 배치된다. 샤프트의 제1 중간부는 바닥 인클로저 내에 형성된 샤프트 구멍을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샤프트의 제2 단부는 내부 부피부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는 상부 인클로저와 바닥 인클로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다. 추가로, 근접 스위치 조립체는 샤프트의 제2 중간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타겟 지지부를 포함하고, 제2 중간부는 제1 중간부와 샤프트의 제1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타겟 지지부는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방사상 요소를 포함하고, 타겟 자석(58)은 타겟 지지부의 방사상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8-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스위치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를 포함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는, 샤프트가 제1 샤프트 위치에 있을 때 타겟 자석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의 상부로부터 소정 거리로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근접 스위치가 제1 상태에 있게 되도록, 내부 부피부 내에 배치되고 바닥 인클로저에 결합된다. 샤프트가 제2 샤프트 위치로 회전되면, 타겟 자석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근접 스위치가 제2 상태에 있게 되도록 한다. 제1 상태와 제2 상태 각각은 샤프트의 제2 단부에 결합되는 밸브 요소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의 외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의 상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3-3 단면선을 따라 취한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간결성을 위해 샤프트가 생략된 도 3의 샤프트 돌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의 샤프트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6-6 단면선을 따라 취한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의 측단면도이고;
도 7a는 간결성을 위해 상부 인클로저가 제거된 도 1의 실시예의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1의 실시예의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의 타겟 지지부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의 근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근접 스위치의 스위치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10a는 제1 상태에 있는 도 8의 근접 스위치의 개략도이고;
도 10b는 제2 상태에 있는 도 8의 근접 스위치의 개략도이고;
도 11a는 제1 샤프트 위치에 있는 근접 스위치와 타겟 자석의 상면도이고;
도 11b는 제2 샤프트 위치에 있는 근접 스위치와 타겟 자석의 상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베이스 벽(14)과 해당 베이스 벽(14)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16)을 갖는 상부 인클로저(12)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벽(14)과 복수의 측벽(1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부피부(18)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벽(14)의 상부면(22)으로부터는 샤프트 돌기(20)가 상향 연장될 수 있고, 샤프트 돌기(20) 내에는 내부 보어(24)가 형성될 수 있고, 내부 보어(24)는 제1 부피부(18)의 일부를 형성한다. 내부 보어(24)는 폐쇄된 부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베이스 벽(30)과 해당 베이스 벽(30)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32)을 갖는 바닥 인클로저(28)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벽(30)과 복수의 측벽(3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부피부(34)를 형성한다. 베이스 벽(30) 내에는 샤프트 구멍(3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 구멍(36)은 베이스 벽(30)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저(12)는 제1 부피부(18)와 제2 부피부(34)가 협력하여 내부 부피부(38)를 형성하도록 바닥 인클로저(2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샤프트 구멍(36)의 종축(40)은 내부 보어(24)의 종축(42)과 정렬될 수 있다.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제1 단부(46), 해당 제1 단부(46)에 대향하는 제2 단부(48) 및 상기 제1 단부(46)와 제2 단부(48) 사이의 제1 중간부(50)를 갖는 샤프트(44)를 또한 포함하고, 샤프트의 제1 단부(46)는 상부 인클로저(12)의 샤프트 돌기(20)에 형성된 내부 보어(24) 내에 배치된다. 샤프트(44)의 제1 중간부(50)는 바닥 인클로저 내에 형성된 샤프트 구멍(36)을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샤프트의 제2 단부는 내부 부피부(38)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44)는 상부 인클로저(12)와 바닥 인클로저(28)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다. 추가로,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샤프트(44)의 제2 중간부(54)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타겟 지지부(52)를 포함하고, 제2 중간부(54)는 제1 중간부(50)와 샤프트(44)의 제1 단부(46) 사이에 배치된다. 타겟 지지부(52)는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방사상 요소(56)를 포함하고, 타겟 자석(58)은 타겟 지지부(52)의 방사상 요소(56)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8-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60)를 포함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는, 샤프트(44)가 제1 샤프트 위치(61)에 있을 때 타겟 자석(58)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60)의 상부(64)로부터 소정 거리로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근접 스위치(60)가 제1 상태(66)에 있게 되도록, 내부 부피부(38) 내에 배치되고 바닥 인클로저(28)에 결합된다. 샤프트(44)가 제2 샤프트 위치(63)로 회전되면, 타겟 자석(58)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60)의 상부(64)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근접 스위치가 제2 상태(70)에 있게 되도록 한다. 제1 상태(66)와 제2 상태(70) 각각은 샤프트(44)의 제2 단부(48)에 결합되는 밸브 요소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 2,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베이스 벽(14)을 포함할 수 있는 상부 인클로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저(12)의 베이스 벽(14)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으며, 베이스 벽(14)에 의해 형성된 평면은 실질적으로 수평일 수 있다. 여기 사용되는 바와 같이, "수평"이란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기준 좌표계의 X-Y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평면이거나 실질적으로 평행인 방향을 나타낸다. "수직"이란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기준 좌표계의 X-Y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즉, Z축 방향)을 나타낸다. 수평 배치된 베이스 벽(14) 대신에, 평면형 베이스 벽(14)은 X-Y 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도 1에 도시된 평면형 구성 대신에, 베이스 벽(14)은 특정 용례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벽(14)은 만곡된 단면 형태를 가지거나 이와 달리 굽은 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베이스 벽(14)은 부분적으로 만곡/굽은 면 형태로 되고 부분적으로 평면적일 수 있다. 추가로, 베이스 벽(14)은 수직으로 오프셋되어(도시 생략) 계단형 표면을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2, 3, 6을 다시 참조하면, 상부 인클로저(12)는 베이스 벽(14)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16)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하향 연장되는 측벽(16)은 베이스 벽(14)의 제1 외주 엣지(74)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7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벽(14)의 제2 외주 엣지(78)로부터는 제2 벽(76)이 연장될 수 있고, 제2 외주 엣지(78)는 제1 외주 엣지(74)로부터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벽(14)의 제3 외주 엣지(82)로부터는 제3 벽(80)이 연장될 수 있고, 제3 외주 엣지(82)는 제1 외주 엣지(74)와 제2 외주 엣지(78)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외주 엣지(82)에 반대인 베이스 벽(14)의 제4 외주 엣지(86)로부터는 제4 벽(84)이 연장될 수 있고, 제4 외주 엣지(86)는 제1 및 제2 외주 엣지(74, 78)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16) 각각은 도 1, 2,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벽(14)으로부터 멀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측벽 또는 모든 측벽(16)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 또는 방향, 예컨대 수직으로 베이스 벽(14)으로부터 멀리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16) 각각은 도 1-3에서 평면형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임의의 또는 모든 측벽(16)은 예컨대, 굽은 면 형태 또는 부분적으로 평면이거나 부분적으로 굽은 면 형태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측벽(16)은 도 1, 2, 3, 6에 도시된 것보다 많은(또는 적은)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16) 각각의 바닥부로부터는 상부 플랜지(88)가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부 플랜지(88)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접합형 구멍(90a)을 가질 수 있는데, 해당 접합형 구멍(90a)은 상부 인클로저(12)를 바닥 인클로저(28)에 결합시키는 볼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구성된 바와 같이, 베이스 벽(14)과 복수의 하향 연장되는 측벽(1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부피부(18)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 2, 3,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인클로저(12)는 베이스 벽(14)의 상부면(22)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샤프트 돌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돌기(20)는 외부면(90)을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외부면(90)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 또는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면(90)은 해당 외부면(90)이 원통형이도록 원형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부면(90)은 예컨대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샤프트 돌기(20)는 상부면(92)도 가질 수 있으며, 해당 상부면(92)은 평면형일 수 있다. 그러나, 상부면(92)은 예컨대 원추형 또는 반구형 등의 임의의 적절한 형태나 여러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부 측면(94)은 부분적으로 샤프트 돌기(20)의 내부 보어(24)를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 보어(24)는 샤프트(44)가 상부 인클로저(12)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샤프트(44)의 제1 단부(46)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내부 측면(94)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 또는 여러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측면(94)은 해당 내부 측면(94)이 원통형이도록 원형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원통형 내부 측면(94)은 종축(42)을 가질 수 있고, 원통형 내부 측면(94)은 샤프트(44)의 제1 단부(46)를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돌기(20)의 내부 보어(24)는 내부 상부면(96)에 의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상부면(96)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 또는 여러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상부면(96)은 원추형, 평면형 또는 반구형일 수 있다. 구성된 바와 같이, 내부 측면(94)과 내부 상부면(96)은 협력하여, 제1 부피부(18)의 일부를 형성하는 샤프트 돌기(2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 부피부[즉, 내부 보어(24)]를 형성한다. 내부 보어(24)는 상부 인클로저(12)와 유체 연통되지 않는 폐쇄 부피부이므로, 내부 보어(24)는 해당 내부 보어(24)와 상부 인클로저(12)의 외부 사이에 잠재적인 누출 경로를 제공하지 않고 샤프트(44)의 제1 단부(46)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미관통 보어를 형성한다.
도 1,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베이스 벽(30)을 포함할 수 있는 바닥 인클로저(28)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인클로저(28)의 베이스 벽(30)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평면형일 수 있으며, 베이스 벽(30)에 의해 형성된 평면은 상부 인클로저(12)의 베이스 벽(14)에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평행할 수 있다. 수평 배치된 베이스 벽(30) 대신에, 평면형 베이스 벽(30)은 X-Y 기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도 1에 도시된 평면형 구성 대신에, 베이스 벽(30)은 특정 용례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벽(30)은 만곡된 단면 형태를 가지거나 이와 달리 굽은 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베이스 벽(30)은 부분적으로 만곡/굽은 면 형태로 되고 부분적으로 평면적일 수 있다. 추가로, 베이스 벽(30)은 수직으로 오프셋되어(도시 생략) 계단형 표면을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2, 3, 6을 다시 참조하면, 바닥 인클로저(28)는 베이스 벽(30)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3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상향 연장되는 측벽(32)은 베이스 벽(30)의 제1 외주 엣지(96)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9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벽(30)의 제2 외주 엣지(100)로부터는 제2 벽(98)이 연장될 수 있고, 제2 외주 엣지(100)는 제1 외주 엣지(96)로부터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벽(30)의 제3 외주 엣지(104)로부터는 제3 벽(102)이 연장될 수 있고, 제3 외주 엣지(104)는 제1 외주 엣지(96)와 제2 외주 엣지(100)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외주 엣지(104)에 반대인 베이스 벽(30)의 제4 외주 엣지(108)로부터는 제4 벽(106)이 연장될 수 있고, 제4 외주 엣지(108)는 제1 및 제2 외주 엣지(96, 100)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32) 각각은 도 1,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벽(30)으로부터 멀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측벽 또는 모든 측벽(32)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 또는 방향, 예컨대 수직으로 베이스 벽(30)으로부터 멀리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32) 각각은 도 1, 3, 6에서 평면형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임의의 또는 모든 측벽(32)은 예컨대, 굽은 면 형태 또는 부분적으로 평면이거나 부분적으로 굽은 면 형태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측벽(32)은 도 1, 3, 6에 도시된 것보다 많은(또는 적은) 벽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된 바와 같이, 베이스 벽(30)과 복수의 하향 연장되는 측벽(3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부피부(34)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 3, 6을 참조하면, 바닥 인클로저(28)는 하나 이상의 측면 구멍(128)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측면 구멍(128)은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 구멍(128)은 예컨대 제4 벽(106)을 통하는 것처럼 복수의 측벽(32) 중 하나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측면 구멍(128)은 나사형 외부면을 갖는 장착구가 측면 구멍(128)을 체결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는 내부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구멍(128)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 구멍(128)은 원형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측면 구멍(128)은 하나 이상의 근접 스위치(60)를 외부 배치된 장비에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소정 길이의 도관의 장착구를 수용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 3, 6을 참조하면, 바닥 인클로저(28)는 베이스 벽(30)을 통해 배치된 샤프트 구멍(36)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구멍(36)은 샤프트(44)의 제1 중간부(50)를 수용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샤프트 구멍(36)은 베이스 벽(30)을 통해 연장되므로, 샤프트(44)가 샤프트 구멍(36)을 통해 배치되지 않은 경우, 제2 부피부(34)는 바닥 인클로저(28)의 외부와 유체 연통 상태가 된다. 샤프트 구멍(36)은 베이스 벽(30)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상부 보스(122)의 내부면(120)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샤프트 구멍(36)은 베이스 벽(30)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하부 보스(122)의 내부면(124)에 의해서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보스(122)의 내부면(120)과 하부 보스(122)의 내부면(124)은 샤프트 구멍(36)이 종축(40)을 갖는 원통부의 타원형 형태를 갖도록 각각 원통형일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저(12)가 아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바닥 인클로저(28)에 결합될 때, 내부 보어(24)의 종축(42)은 샤프트 구멍(28)의 종축(40)과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다시 도 1, 3,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측벽(32) 각각의 상부로부터 하부 플랜지(110)가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하부 플랜지(110)는 상부 플랜지(88)의 대응하는 결합면(114)을 결합시키는 결합면(112)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측벽(32) 각각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는 리세스 내에는 밀봉부(116)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밀봉부(116)는 상부 인클로저(12)가 바닥 인클로저(28)에 결합시 하부 플랜지(110)의 결합면(112)과 상부 플랜지(88)의 결합면(114) 사이의 누출 경로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게 적합하게 되어 있다. 밀봉부(116)는 내방사선 고온 실리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리세스 내의 밀봉부(116) 대신에, 임의의 밀봉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플랜지(110)의 결합면(112)과 상부 플랜지(88)의 결합면(114) 사이에 가스켓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저(12)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바닥 인클로저(28)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플랜지(110)는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접합형 구멍(90b)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접합형 구멍(90b)은 상부 플랜지(88)의 접합형 구멍(90a)과 동축으로 정렬됨으로써 각각의 쌍의 접합형 구멍(90a, 90b)은 상부 인클로저(12)를 바닥 인클로저(28)에 결합시키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볼트(118)를 수용할 수 있다. 볼트(118)는 나사형 바닥부를 가질 수 있고, 볼트(118)의 나사형 바닥부는 접합형 구멍(90a, 90b) 중 하나 또는 모두의 나사형 내부와 결합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립되면, 베이스 벽(30)과 복수의 하향 연장되는 측벽(3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부피부(3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 인클로저(12)가 바닥 인클로저(28)에 고정시, 제1 부피부(18)와 제2 부피부(34)는 내부 부피부(38)를 형성한다.
상부 인클로저(12)와 바닥 인클로저(28)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인클로저(12)와 바닥 인클로저(28)는 알루미늄 또는 316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인클로저(12, 28)는 주조나 가공과 같은 임의의 공정 또는 조합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부 인클로저(12)와 바닥 인클로저(28)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고, 해당 인클로저(12, 28)는 사출 성형 공정으로부터 성형될 수 있다.
도 3,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상부 인클로저(12)와 바닥 인클로저(28)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샤프트(44)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는 제1 단부(46)와 해당 제1 단부(46)에 대향하는 제2 단부(48)를 갖는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단부(46)는 원형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단부(46)의 원형 단면 형태의 직경은 상부 인클로저(12)의 샤프트 졸기(20)의 내부 보어(24)를 형성하는 내부 측면(94)의 원형 단면 형태의 직경보다 다소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샤프트의 제1 단부(46)는 폐쇄된 내부 보어(24)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샤프트(44)는 해당 샤프트(44)의 제1 단부(46)와 제2 단부(48) 사이에 배치된 제1 중간부(50)를 가질 수 있다. 제1 중간부(50)는 원형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중간부(50)의 원형 단면 형태의 직경은 제1 중간부(50)가 샤프트 구멍(28)을 통해 연장되고 해당 샤프트 구멍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샤프트 구멍(28)의 원형 단면 형태의 직경보다 다소 작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샤프트의 제2 단부(48)는 상부 인클로저(12)와 바닥 인클로저(28)에 의해 형성된 내부 부피부(38)의 외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샤프트(44)의 제2 단부(48)는 바닥 인클로저(28)의 베이스 벽(30)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하부 보스(126) 너머로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44)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 또는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샤프트(44)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단면 형태를 갖는 대략 원통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44)는 샤프트(44)의 제1 중간부(50) 내에 형성된 홈에 배치된 한 쌍의 스냅 링(130)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스냅 링(130)의 쌍 중 하나의 스냅 링은 상부 보스(122)의 말단에 인접하게 또는 해당 말단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스냅 링(130)의 쌍 중 두 번째 스냅 링은 하부 보스(126)의 말단에 인접하게나 접촉되게 배치됨으로써, 샤프트(44)가 바닥 인클로저(28)에 대해 상향 및/또는 하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샤프트(44)의 제1 중간부(50)의 외주 둘레로 연장되는 리세스 내에는 O-링과 같은 밀봉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밀봉부(132)는 샤프트(44)의 제1 중간부(50)와 내부면(120, 124) 사이의 누출 경로를 방지하도록 샤프트 구멍(28)을 형성하는 내부면(120, 124)을 밀봉 가능하게 결합시키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밀봉부(132)는 내방사선 고온 실리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타겟 지지부(52)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지지부(52)는 샤프트(44)의 제2 중간부(54)에 결합되는 베이스부(13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2 중간부(54)는 샤프트(44)의 제1 단부(46)와 제1 중간부(50)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34)는 해당 베이스부(134)의 상부로부터 바닥부로 연장되는 구멍(1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멍(136)은 샤프트(44)의 제2 중간부(54)를 수용한다. 베이스부(134)는 타겟 지지부(52)가 샤프트(44)와 함께 회전하도록 샤프트(44)에 고정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134)는 예컨대 고정 나사, 키-슬롯 또는 억지끼워맞춤 등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샤프트(44)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추가로, 타겟 지지부(52)의 하향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부(134)의 바닥부에 인접하게 샤프트(44)에 하나 이상의 스냅 링(도시 생략)이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34)는 샤프트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베이스부(134)가 샤프트(44)에 대해 수직으로 재배치될 수 있도록 샤프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134)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 또는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부(134)는 원형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거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134)는 타겟 지지부(52)가 샤프트(44)와 함께 회전시 베이스부(134)가 하나 이상의 근접 스위치(60)와 같이 내부 부피부 내에 제공된 어떤 요소와도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3, 7a, 7b를 참조하면, 타겟 지지부(52)는 베이스부(134)에 결합된 방사상 요소(56)도 포함할 수 있는데, 해당 방사상 요소(56)는 샤프트(44)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된다. 방사상 요소(56)는 주어진 용례에 적절한 임의의 형태 또는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사상 요소(56)는 베이스부(134)로부터 연장되는 외팔보형 돌기일 수 있고, 방사상 요소(56)는 직사각형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타겟 지지부(52)가 두 개 이상의 방사상 요소(56)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방사사 요소는 베이스부(134)로부터 연장되는 외팔보형 돌기일 수 있다. 각각의 방사상 요소(56)는 관통되는 타겟 구멍(138)을 포함할 수 있고, 타겟 구멍(138)의 종축은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타겟 구멍(138)은 타겟 자석(58)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타겟 자석(58)은 특정 용례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 자석(58)은 원통형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해당 원통부의 깊이는 타겟 자석(58)이 타겟 구멍(138) 내에서 수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방사상 요소(56)의 수직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타겟 자석(58)은 예컨대, 접착제 또는 자력에 의한 것처럼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타겟 구멍(138)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추가로, 타겟 구멍(138)은 타겟 자석(58)을 지지하기 위해 감소된 두께의 바닥부를 갖는 미관통 보어일 수 있다. 타겟 구멍(138)과 그 안에 배치된 타겟 자석(58)은 방사상 요소(56) 위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 구멍(138)은, 방사상 요소(56)가 근접 스위치(60) 위의 소정 위치로 회전시 타겟 자석(58)의 적어도 일부가 근접 스위치(60)의 상부(64) 위로 또는 그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방사상 요소(56)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타겟 구멍(138)은 타겟 자석(58)이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방식으로 근접 스위치(60)에 의해 감지될 수 있게 하는 방사상 요소(56)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타겟 자석(58)은 예컨대, 사마륨 코발트 자석과 같이, 특정 용례에 적절한 임의의 종류의 자석일 수 있다.
도 3, 7a,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바닥 인클로저(28)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근접 스위치(60)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스위치(60)는 주어진 용례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를 갖는 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40)은 평면형의 제1 측벽(142)과 해당 제1 측벽에 평행하면서 이격된 평면형의 제2 측벽(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42)과 제2 측벽(144) 사이에는 제1 측벽(142)의 제1 측방 엣지를 따라 평면형의 제3 측벽(146)이 수직으로 연장되고, 제1 측벽(142)과 제2 측벽(144) 사이로 제1 측벽(142)의 제2 측방 엣지를 따라 평면형의 제4 측벽(148)이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1 측벽(142), 제2 측벽(144), 제3 측벽(148) 및 제4 측벽(148)에 대해서 평면형 단부벽(148)이 수직으로 교차되며, 평면형 단부벽(148)은 근접 스위치(60)의 상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0)의 내부 부피부(152)는 개방 단부(150)를 통해 접근될 수 있다. 개방 단부(150)에 인접한 하우징(140)에는 한 쌍의 마운팅 플랜지(154a, 154b)가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면, 마운팅 플랜지(154a, 154b)는 각각 근접 스위치(60)의 하우징(140)을 바닥 인클로저(28)의 적절한 부분에 고정하는 볼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화된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도 8, 9를 참조하면, 근접 스위치(60)는 하우징(140)의 내부 부피부(152) 내에 배치된 스위치 조립체(156)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조립체는 베이스(158)를 포함하고, 베이스는 해당 베이스의 제1 부분 상에 형성된 고정단(fulcrum)(16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단(160)에는 레버(162)가 힌지 핀(164)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56) 내에 형성된 공동(168) 내에는 구동 자석(166)이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 자석(166)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동 자석(166)은 긴 구동 자석(166)이 해당 구동 자석(166)의 종축이 베이스(156)의 종축에 평행하도록 공동(168) 내에 수용될 수 있게 공동(168)의 높이, 폭 및 깊이에 근접하게 대응하는 높이, 폭 및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구동 자석(166)을 공동(168) 내의 소망의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한 쌍의 대향 배치된 측방 엣지를 따라 립(170)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구동 자석의 종축은 레버(162)가 힌지 핀(164)을 중심으로 균형을 이룰 때 레버(162)의 종축에 평행할 수 있다. 구동 자석(166)은 임의의 적절한 자성 재료 또는 조합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자석(166)은 사마륨 코발트 자석일 수 있다.
스위치 조립체(156)는 단부 캡(180)도 포함할 수 있는데, 단부 캡(180)을 통해서 복수의 핀(182)이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핀(182)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방식으로 스위치 조립체(156) 내의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부 캡(180)은 스위치 조립체(156)가 하우징(140) 내에 배치될 때 복수의 핀(182) 각각이 하우징(140)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각각의 핀(182)의 말단부가 하우징(140)의 개방 단부(150)로부터 돌출되도록 베이스(156)의 단부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단부 캡(180)은 해당 단부 캡(18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한편, 하우징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마운팅 샤프트(184)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스위치(60)는 하우징(140)의 내부 부피부(152) 내에 배치된 차폐부(172)도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172)는 제1 벽(174)과 한 쌍의 평행한 측방 벽(176, 178)을 포함할 수 있는데, 측방 벽은 각각 상기 벽들(174, 176, 178)이 하우징(140)의 내부 부피부(152) 내에 스위치 조립체(145)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1 벽(174)의 대향하는 측방 엣지로부터 연장된다.
근접 스위치(60)의 스위치 조립체(156)는 C형 무전압 접점(dry contact)과 같은 무전압 접점(즉, 초기에 전압원에 연결되지 않은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44)가 제1 샤프트 위치(61), 즉 타겟 자석(58)이 근접 스위치(60)의 상부(64)의 미리 정해진 범위(점선 영역(196)으로 예시됨) 밖에 있는 위치에 있을 때, 구동 자석(166)은 레버(162)(또는 레버(162)에 결합된 요소)에 대해, 레버(162)가 "상시 폐쇄" 접점(N/C)을 공통 접점(C)(도 10a에 개략적으로 도시됨)에 전기적으로 커플링하고 있으며, 이때 상시 폐쇄 접점(N/C)과 공통 접점(C) 각각은 단부 캡(180)을 통해 연장되는 대응하는 핀(18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있는, 제1 위치에 레버(162)를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강도의 자력을 인가할 수 있다. 공통 접점(C)이 상시 폐쇄 접점(N/C)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때, 근접 스위치(60)는 제1 상태(66)에 있다.
샤프트(44)는 제1 샤프트 위치(61)로부터 도 11b에 도시된 제2 샤프트 위치(63), 즉 타겟 자석(58)이 근접 스위치(60)의 상부(64)의 미리 정해진 범위(196) 내에 있는 제2 샤프트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샤프트 위치(63)에서, 레버(162)(또는 레버에 결합된 요소)와 타겟 자석(58)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은 레버(162)(또는 레버에 결합된 요소)와 구동 자석(166)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보다 강해진다. 따라서, 타겟 자석(58)과 레버(162)(또는 레버에 결합된 요소) 사이에 작용하는 큰 자력에 의해 레버(162)는 힌지 핀(164)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도 10b에 개략적으로 도시됨), 즉 레버(162)가 "상시 개방" 접점(N/O)을 공통 접점(C)과 전기적으로 커플링시키고, 이때 상기 개방 접점(N/O)은 단부 캡(180)을 통해 연장되는 대응하는 핀(18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있는 제2 위치로 피봇된다. 레버(162)가 제2 위치에 있으면, 근접 스위치(60)는 제2 상태(70)에 있다. 근접 스위치(60)는 타겟 자석(58)이 상부(64)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한, 제2 상태(70)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타겟 자석(58)이 미리 정해진 범위 밖으로 이동되면, 근접 스위치(60)는 제2 상태(70)로부터 제1 상태(66)로 성향을 바꾼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근접 스위치(60)는 타겟 자석(58)이 근접 스위치(60)의 상부(64)의 미리 정해진 범위(196) 내에 있을 때 제1 상태(66)로부터 제2 상태(70)로 성향을 바꾼다. 미리 정해진 범위(196)는 구동 자석(166)에 의해 발생된 자장의 크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타겟 자석(58)은 해당 타겟 자석(58)에 의해 발생된 자장 중 임의의 부분이 구동 자석(166)에 의해 발생된 자장의 임의의 부분과 교차될 때 미리 정해진 범위(196) 내에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타겟 자석(58)은 해당 타겟 자석(58)에 의해 발생된 자장 중 어떤 부분도 구동 자석(166)에 의해 발생된 자장의 일부에 교차되지 않을 때 미리 정해진 범위(196) 밖에 있을 수 있다. 당업자는 미리 정해진 범위(196)가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범위(196)의 크기와 형태, 예컨대, 구동 자석(166)과 타겟 자석(58)을 분리하는 수직 거리는 물론, 구동 자석(166)과 타겟 자석(58)의 상대 크기, 두께, 및/또는 강도는 여러 요인으로부터 기인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들 변수 중 하나 이상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미리 정해진 범위(196)의 크기는 원하는 크기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 자석(58)은 해당 타겟 자석(58)의 임의의 부분이 타겟 지지부(52) 위의 지점으로부터 샤프트(44)의 종축을 따라 관찰시 근접 스위치(60)의 상부(64)의 임의의 부분과 교차될 때 미리 정해진 범위(196) 내에 있을 수 있다. 당업자는 단일의 극 대신에, 예컨대 쌍극, 쌍투(double throw) 구성과 같이 전술한 쌍투 구성 또는 다른 구성도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약술된 바와 같이, 구동 자석(166)과 타겟 자석(58) 모두는 사마륨 코발트 자석일 수 있다. 사마륨 코발트 자석은 종래의 자석에 비해 비교적 큰 강도-면적 비율을 제공한다. 이러한 높은 강도-면적 비율은 근접 스위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성향을 바꿀 때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고 보다 능동적인 스냅 동작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근접 스위치(60)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바닥 인클로저(28)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 지지판(186)이 바닥 인클로저(28)의 베이스 벽(3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판(186)은 접착제 또는 기계적 커플링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베이스 벽(3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판(186)은 근접 스위치(60)의 하우징(140)을 지지판(186)에 고정하기 위해 마운팅 플랜지(154a, 154b)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볼트와 마운팅 샤프트(184)를 수용하기에 적합화된 미리 형성된 구멍(188)을 가질 수 있다. 구멍(188)은 예컨대, 타겟 자석(58)이 근접 스위치(60)의 상부(6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게 하는 위치와 같이 지지판(186) 내의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두 개 이상의 근접 스위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86)에 제2 근접 스위치(60')가 역시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근접 스위치(60')는 전술한 제1 근접 스위치(60)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근접 스위치(60')는 바닥 인클로저(28)의 지지판(186) 상의 임의의 바람직한 위치(또는 임의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근접 스위치(60)는 하우징(140)의 종축이 샤프트(44)의 종축에 평행하고 하우징(140)의 종축이 상기 제1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샤프트(44)의 종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근접 스위치(60)와 제2 근접 스위치(60')는 수평 기준선이 샤프트(44), 제1 근접 스위치(60) 및 제2 근접 스위치(60')의 종축을 통과하도록 샤프트(44)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44)의 종축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다른 방식의 경우, 샤프트(44)의 종축으로부터 제1 근접 스위치(60)의 종축까지 연장되는 제1 수평선 세그먼트와 샤프트(44)의 종축으로부터 제2 근접 스위치(60')의 종축까지 연장되는 제2 수평선 세그먼트 간의 각도는 약 180°이다.
3개의 근접 스위치가 사용되는 경우, 3개의 근접 스위치도 샤프트(44)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샤프트(44)의 종축으로부터 제1 근접 스위치(60)의 종축까지 연장되는 제1 수평선 세그먼트와 샤프트(44)의 종축으로부터 제2 근접 스위치(60')의 종축까지 연장되는 제2 수평선 세그먼트 간의 각도는 약 120°이다. 추가로, 샤프트(44)의 종축으로부터 제2 근접 스위치(60')의 종축까지 연장되는 제2 수평선 세그먼트와 샤프트(44)의 종축으로부터 제3 근접 스위치(60")의 종축까지 연장되는 제3 수평선 세그먼트 간의 각도는 약 120°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하나 이상의 단자 스트립(19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자 스트립(190)은 해당 하나 이상의 단자 스트립(190)이 샤프트(44)에 대한 타겟 지지부(52)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서 지지판(186)에 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자 스트립(190)은 지지판(186)에 직접 결합되거나, 지지판(186) 또는 직립 브라켓(191)과 같이 바닥 인클로저(28)의 임의의 부분에 고정된 커플링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단자 스트립(190)은 마운팅 체결구가 통과될 수 있는 관형 스탠드오프(standoff)를 사용하는 세라믹 절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성은 설치면과 단지 스트립(190) 사이에 공기 간극을 제공함으로써 단자 스트립(190)과 설치면 간의 열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각각의 단자 스트립(190)은 근접 스위치(60)의 복수의 핀(182) 중 임의의 핀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서(도시 생략)를 각각 수용하기에 적합화될 수 있다. 단자 스트립(190)은 또한 바닥 인클로저(28)의 측면 구멍(128)을 통해 연장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수용하기에 적합화될 수 있으며, 측면 구멍(128)을 통해 연장되는 이들 와이어는 컨트롤러 또는 진단 기구와 같은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에 연결되기에 적합화될 수 있다. 단지 스트립(190)은 근접 스위치(60)의 핀(182)에 결합된 와이어 중 하나를 당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측면 구멍(128)을 통해 연장되는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커플링시키도록 동작한다. 전술한 구성 대신에 또는 전술한 구성에 추가로, 단자 스트립(190)을 통해 임의의 구성이나 조합 또는 와이어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공급 와이어는 근접 스위치(60)의 핀(18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 와이어에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 내에는 임의의 적절한 단자 스트립(190)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자 스트립(190)은 내방사선 고온 단자 스트립일 수 있다. 이러한 단자 스트립(190)은 라이톤(Ryton) 또는 유사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단자 스트립(190)은 부식에 저항하는 금속성 내부 성분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자 스트립(190)에는 송신 기기(도시 생략)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송신 기기는 제어 밸브의 밸브 요소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근접 스위치(60)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컨트롤러와 같은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작동시,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원자력 용례에 사용되는 제어 밸브의 회전 스템과 같은 밸브 요소(도시 생략)에 결합될 수 있다.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칼라(collar) 또는 다른 종류의 어댑터와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밸브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로, 바닥 인클로저(28)는 예컨대, 바닥 인클로저(28)의 바닥면 상에 배치된 구멍(194) 내로 연장되는 볼트에 의해 밸브의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밸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샤프트(44)가 제1 샤프트 위치(61), 즉 근접 스위치(60)가 제1 상태(66)에 있도록 타겟 자석(58)이 근접 스위치(60)의 상부(64)의 미리 정해진 범위 밖에 있는, 제1 샤프트 위치에 있도록 보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밸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샤프트(44)는 근접 스위치(60)가 제2 상태(70)로 이동하도록 타겟 자석(58)이 근접 스위치(60)의 상부(64)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제2 샤프트 위치(63)로 회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근접 스위치(60)는 타겟 자석(58)이 상부(64)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한, 제2 상태(70)에 유지된다. 타겟 자석(58)이 미리 정해진 범위 밖으로 이동시, 근접 스위치(60)는 제2 상태(70)로부터 제1 상태(66)로 성향이 바뀐다. 당업자는 샤프트(44)가 제2 샤프트 위치(63), 즉 근접 스위치(60)가 제2 상태(70)에 있도록 타겟 자석(58)이 근접 스위치(60)의 상부(64)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제2 샤프트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그리고 샤프트(44)가 제1 샤프트 위치(61)로 회전됨으로써, 샤프트(44)에 결합된 제어 요소가 회전되거나 이와 달리 변위될 때, 근접 스위치가 제1 상태(66)로 이동되게 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당업자는 도 10a, 10b에 도시된 상시 개방 접점과 상기 폐쇄 접점은 그 역할을 스위칭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추가의 근접 스위치(60)가 사용되면, 타겟 자석(58)(또는 타겟 지지부(52)에 결합된 추가의 타겟 자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의 근접 스위치(60)의 성향을 제1 상태(66)로부터 제2 상태(70)로(또한 역으로) 바꿀 수 있다. 단지 스트립(190)에 연결된 와이어에 연결되는 컨트롤러(또는 다른 기구)는 제어 밸브의 밸브 요소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근접 스위치(60)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추가의 특징부, 예컨대 상부 인클로저(12) 또는 바닥 인클로저(28)의 외부에 배치된 자기적 인터로크 표시기(도시 생략)와 같은 특징부를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에 합체할 수 있다. 자기적 인터로크 표시기는 근접 스위치(60)가 제1 상태(66) 또는 제2 상태(70)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자기적 인터로크 표시기는 상부 인클로저(12) 내의 노브를 사용하는 기계적 포스트 설계를 가질 수 있거나, 타겟 자석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구동되는 비마찰식 자기 부유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장착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의 실시예들은 원자력 용례와 같이 위험한 환경에 사용되는 국한된 환경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원자력 설비에서 봉쇄 사고 또는 냉각재 상실 사고(LOCA) 중에 생기는 온도와 압력을 견디도록 의도된 것이고,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방폭형 인클로저일 수 있다. 이러한 수준의 보호는 부분적으로는 샤프트 구멍(또는 다른 진입점)에 기인한 상부 인클로저(12)를 통한 잠재적인 누출 경로의 제거에 기인하는데, 이는 샤프트 돌기(20)의 내부 보어의 경우 상부 인클로저(12)의 외부와 유체 연통되지 않는 밀폐형 부피부이기 때문이다. 다른 누출 경로는 내방사선 고압 실리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밀봉부(116, 132)와 같은 밀봉부에 의해 방지된다. 단자 스트립(190)으로부터(또는 하나 이상의 근접 스위치(60)로부터 직접) 바닥 인클로저(28)의 측면 구멍(128)을 통해 연장되는 와이어는 잠재적인 누출 경로를 더욱 방지하기 위해 측면 구멍에 밀봉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내방사선 도관(도시 생략)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전술한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다른 구성 성분은 물론, 근접 스위치(60)의 갯수와 레이아웃을 원하는 용례에 대해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변형하여야 할 때 전체 조립체를 교환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모듈형 설계를 또한 제공한다. 추가로, 당업자는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에 원자력 접속 박스가 필요치 않으며,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10)는 종래의 스위치 인클로저보다 적은 배관을 필요로 함으로써 더욱 비용을 줄이고 설치에 노동력이 덜 필요함을 인식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가 전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서는 여전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변형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4)

  1.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로서:
    베이스 벽과 해당 베이스 벽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갖는 상부 인클로저로서, 상기 베이스 벽과 복수의 측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부피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벽의 상부면으로부터는 샤프트 돌기가 상향 연장되고, 상기 샤프트 돌기 내에는 내부 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보어는 상기 제1 부피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 보어는 폐쇄된 부피부를 형성하는, 상부 인클로저와;
    베이스 벽과 해당 베이스 벽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을 갖는 바닥 인클로저로서, 상기 베이스 벽과 복수의 측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부피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벽 내에는 샤프트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구멍은 상기 베이스 벽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바닥 인클로저에는 상기 제1 부피부와 상기 제2 부피부가 협력하여 내부 부피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샤프트 구멍의 종축이 상기 내부 보어의 종축과 정렬되도록 상기 상부 인클로저가 결합되는, 바닥 인클로저와;
    제1 단부, 해당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제1 중간부를 갖는 샤프트로서, 해당 샤프트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상부 인클로저의 상기 샤프트 돌기에 형성된 상기 내부 보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1 중간부는 상기 바닥 인클로저 내에 형성된 상기 샤프트 구멍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내부 부피부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상부 인클로저와 상기 바닥 인클로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제2 중간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타겟 지지부로서, 상기 제2 중간부는 상기 제1 중간부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1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타겟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방사상 요소를 포함하는, 타겟 지지부와;
    상기 타겟 지지부의 상기 방사상 요소에 결합된 타겟 자석과;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로서, 상기 샤프트가 제1 샤프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타겟 자석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의 상부로부터 소정 거리로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상기 근접 스위치가 제1 상태에 있게 되고, 상기 샤프트가 제2 샤프트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타겟 자석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근접 스위치가 제2 상태에 있게 되도록, 내부 부피부 내에 배치되고 바닥 인클로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 각각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2 단부에 결합되는 밸브 요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1 단부는 원통형이고, 원통형의 내부 측면은 상기 샤프트 돌기의 상기 내부 보어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3.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돌기의 외부면은 원통형 형태인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4.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제1 샤프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타겟 자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의 상기 상부의 미리 정해진 범위 밖에 있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2 샤프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타겟 자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접 스위치의 상기 상부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5.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위치에서, 상기 근접 스위치 내에 피봇 가능하게 배치된 레버에 대해, 상기 근접 스위치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도록 상기 레버를 제1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동 자석에 의해 자력이 인가되는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6.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 위치에서, 상기 타겟 자석과 상기 레버 간의 자력은 상기 구동 자석과 상기 레버 간의 자력보다 크고, 그에 따라 상기 레버는 상기 근접 스위치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도록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피봇되는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7.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자석은 사마륨 코발트 자석이고, 상기 구동 자석은 사마륨 코발트 자석인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8.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인클로저에는 두 개의 근접 스위치가 고정 결합된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9.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근접 스위치는 수평 기준선이 상기 샤프트의 종축과 상기 두 개의 근접 스위치의 종축을 통과하도록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대칭 배치된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10.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클로저는 상기 바닥 인클로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11.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클로저는 상기 복수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 외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인클로저는 상기 복수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 외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12.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클로저의 상기 플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형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인클로저의 상기 플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형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인클로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합형 구멍은 상기 바닥 인클로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합형 구멍과 축방향으로 정렬된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13.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클로저를 상기 바닥 인클로저에 결합하도록 상기 정렬된 접합형 구멍들 내에 볼트가 배치된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14.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지지부는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2 중간부에 결합된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상 요소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외팔보형 돌기인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KR1020137028079A 2011-04-28 2012-04-25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KR101942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80342P 2011-04-28 2011-04-28
US61/480,342 2011-04-28
PCT/US2012/034919 WO2012148970A1 (en) 2011-04-28 2012-04-25 Enclosed proximity switch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952A true KR20140018952A (ko) 2014-02-13
KR101942116B1 KR101942116B1 (ko) 2019-01-24

Family

ID=4608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079A KR101942116B1 (ko) 2011-04-28 2012-04-25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593241B2 (ko)
EP (1) EP2702600B1 (ko)
JP (1) JP2014513402A (ko)
KR (1) KR101942116B1 (ko)
CN (2) CN102760610B (ko)
AR (1) AR090016A1 (ko)
AU (1) AU2012249869B2 (ko)
BR (1) BR112013027679A2 (ko)
CA (1) CA2834048A1 (ko)
RU (1) RU2013151661A (ko)
WO (1) WO20121489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417A (ko) * 2017-01-05 2019-08-19 제네럴 이큅먼트 앤드 매뉴팩처링 컴패니, 아이엔씨., 디/비/에이 탑웍스, 아이엔씨. 스위치 어댑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0610B (zh) * 2011-04-28 2016-08-31 通用设备和制造公司 封装的接近开关组件
CN203367140U (zh) 2011-12-28 2013-12-25 通用设备和制造公司 目标支架和外壳
US20140062579A1 (en) * 2012-08-29 2014-03-06 Bruce Rigsby Apparatus for fluid control device monitoring
CN103062490B (zh) * 2013-01-25 2014-10-22 北京通宇泰克科技有限公司 角度式磁力导电球阀门开关
US9355800B2 (en) 2013-09-13 2016-05-3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agnetic control devices for enclosures
US9664536B2 (en) * 2014-02-14 2017-05-30 General Equipment And Manufacturing Company Calibration mechanism for proximity switch
US10666251B2 (en) * 2018-02-14 2020-05-26 General Equipment And Manufacturing Company, Inc. Target magnet mechanism for proximity switch
CN108766803A (zh) * 2018-08-02 2018-11-06 上海飞力勋铖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结构的防水行程开关
FR3104839B1 (fr) * 2019-12-16 2022-06-24 Legrand France Appareillage comprenant un bloc de finition amovib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2703A (en) * 1957-08-26 1960-04-12 Hughes Aircraft Co Miniature switch mechanism
FR2166721A6 (ko) * 1972-01-05 1973-08-17 Rhone Poulenc Sa
JPH064941A (ja) * 1992-06-18 1994-01-14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JPH0617969A (ja) * 1992-03-20 1994-01-25 Bray Internatl Inc バルブ位置監視装置
WO2008117344A1 (ja) * 2007-02-26 2008-10-02 Tomoe Technical Research Company Ltd. 弁開度検出装置
WO2009022264A1 (en) * 2007-08-10 2009-02-19 Soldo S.R.L. Socio Unico Signal actuation device for switches and relative method of real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3720A (en) * 1954-04-20 1957-08-20 Mason Charles Francis High speed rotary switching apparatus
DE1515681A1 (de) * 1965-09-14 1969-11-20 Platte & Co Elektrischer Schnappschalter
US3489971A (en) * 1967-10-06 1970-01-13 Gen Electric Magnetically actuated limit switch
US4225837A (en) * 1978-12-28 1980-09-30 General Equipment & Mfg. Co., Inc. Armature for a proximity switch
JPS62184722A (ja) * 1986-02-08 1987-08-13 中根 明夫 遅延作動機能付スイツチ
US6650211B2 (en) * 2001-05-25 2003-11-18 Asco Controls, Lp Valve position switch
CN102760610B (zh) * 2011-04-28 2016-08-31 通用设备和制造公司 封装的接近开关组件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2703A (en) * 1957-08-26 1960-04-12 Hughes Aircraft Co Miniature switch mechanism
FR2166721A6 (ko) * 1972-01-05 1973-08-17 Rhone Poulenc Sa
JPH0617969A (ja) * 1992-03-20 1994-01-25 Bray Internatl Inc バルブ位置監視装置
JPH064941A (ja) * 1992-06-18 1994-01-14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WO2008117344A1 (ja) * 2007-02-26 2008-10-02 Tomoe Technical Research Company Ltd. 弁開度検出装置
WO2009022264A1 (en) * 2007-08-10 2009-02-19 Soldo S.R.L. Socio Unico Signal actuation device for switches and relative method of realiz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417A (ko) * 2017-01-05 2019-08-19 제네럴 이큅먼트 앤드 매뉴팩처링 컴패니, 아이엔씨., 디/비/에이 탑웍스, 아이엔씨. 스위치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116B1 (ko) 2019-01-24
CN102760610A (zh) 2012-10-31
US20130021123A1 (en) 2013-01-24
CN102760610B (zh) 2016-08-31
EP2702600B1 (en) 2015-03-04
CN202259008U (zh) 2012-05-30
JP2014513402A (ja) 2014-05-29
WO2012148970A1 (en) 2012-11-01
CA2834048A1 (en) 2012-11-01
EP2702600A1 (en) 2014-03-05
AR090016A1 (es) 2014-10-15
RU2013151661A (ru) 2015-06-10
US8593241B2 (en) 2013-11-26
AU2012249869A1 (en) 2013-11-07
BR112013027679A2 (pt) 2016-12-27
AU2012249869B2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116B1 (ko) 밀폐형 근접 스위치 조립체
EP3623770B1 (en) Electrical process control sensor assemblies
KR20140117372A (ko) 쌍극 쌍투 근접 스위치
CN102498536A (zh) 可调节的磁性目标
CN102405506A (zh) 磁触发的接近开关
US1000333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closed proximity switch assembly
CN204267833U (zh) 阀标靶组件及控制阀组件
US20140261794A1 (en) Quick disconnect connector assembly
EP3566243B1 (en) Switch adapter
CN218564399U (zh) 一种集成式多轴磁性流体密封装置
CN208111300U (zh) 密封防漏反馈式限位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