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449A -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449A
KR20140018449A KR1020120076171A KR20120076171A KR20140018449A KR 20140018449 A KR20140018449 A KR 20140018449A KR 1020120076171 A KR1020120076171 A KR 1020120076171A KR 20120076171 A KR20120076171 A KR 20120076171A KR 20140018449 A KR20140018449 A KR 20140018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graphical user
sub
application
gu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치득
권영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8449A/ko
Publication of KR2014001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할하여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분산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stributed graphical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할하여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분산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Mouse)의 발명과 함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이하 GUI라 한다)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최초의 GUI 컴퓨터라 불리는 제록스사(Xerox)의 알토(Alto)라는 컴퓨터는 마우스, 그래픽 윈도우, 네트워크 기능과 이를 지원하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를 가졌으며, 이것이 더욱 발전되어 개발된 최초의 상용 시스템인 스타(Star)라는 컴퓨터에는 더블 클릭 및 다중 윈도우 등이 적용되었다.
스타의 출시 이후, 애플(Apple)사는 리사(Lisa)라는 컴퓨터를 개발하였는데, 메뉴 바, 풀다운 메뉴 등이 처음으로 사용된 리사는 상업적으로도 성공하여 일반인들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 리사의 출현으로 현재 존재하는 GUI의 모든 것이 사실상 완성되었으며, 애플사는 이후 매킨토시(Macintosh)로 불리는 컴퓨터를 통해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마이크로 소프트(Microsoft)사는 매킨토시의 응용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하였는데, 이 때 습득한 기술을 바탕으로 자체 운영 체제인 윈도우 1.0을 개발하였다. 초기의 윈도우(Windows) 1.0은 소프트웨어 툴킷에 지나지 않았으나, 점차 발전되어 현재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는 운영 체제가 되었다.
윈도우의 보급 및 인터넷의 등장으로 GUI는 더욱 발전하였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UI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특히, 초창기에 단순히 통화의 기능만을 갖추고 있던 휴대폰은 현재 문자뿐만 아니라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송수신할 수도 있게 되었으며, 운영체계를 구비하여 다양한 연산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폰도 등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화면의 터치를 통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일반적인 데스크탑에서 구현하지 못하는 GUI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춘 다양한 장치들이 출시되면서 서로 동일한 또는 상이한 복수의 장치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GUI를 제공할 수 있는데, 해당 장치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수단만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GUI 중 일부만을 확인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A, B, C의 GUI를 모두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화면을 전환해 가면서 순차적으로 각 GUI를 확인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할하여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분산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미국등록특허 7,667,668호
본 발명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할하여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분산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추출하는 GUI 관리부 및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할하여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분산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관리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GUI 관리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분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분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동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분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가 서브 디바이스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서브 디바이스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시스템(100)은 메인 디바이스(1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메인 디바이스(110) 및 서브 디바이스(120)는 운영 체계(Operating System)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즉, 운영 체계의 제어 동작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할 수 있는 장치로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폰 등이 메인 디바이스(110) 또는 서브 디바이스(1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메인 디바이스(110) 및 서브 디바이스(120)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내장된 일체형일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PC와 같이 모니터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내장하고 있지 않을 수 잇는 것이다.
그러나, 운영 체계의 제어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는 장치라면 본 발명의 메인 디바이스(110) 또는 서브 디바이스(1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의 출력을 수반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여기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정지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하 GUI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메인 디바이스(110) 및 서브 디바이스(120)는 서로간에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것을 가정한다. 여기서, 메인 디바이스(110)와 서브 디바이스(120) 서로간의 통신 방식은 무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유선일 수도 있다. 또한, 일부의 디바이스간에는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일부의 디바이스간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최소한 메인 디바이스(110)로 결정된 장치는 서브 디바이스(120)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디바이스(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서 메인 디바이스(110)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최초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메인 디바이스(110)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사용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가 어떠한 디바이스에 의하여 실행되면 해당 디바이스가 메인 디바이스(110)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메인 디바이스(110)가 결정된 이후에 다른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더라도 이후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110)가 되지 않고 서브 디바이스(120)가 된다.
메인 디바이스(110)가 결정되면 메인 디바이스(110)는 자신이 메인 디바이스(110)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배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자신이 서브 디바이스(120)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디바이스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최초의 디바이스가 자신인지 여부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디바이스는 우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어떠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요청 메시지를 배포하고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수신된 메시지를 참조하여 자신들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리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다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요청 메시지를 배포한 디바이스는 자신이 메인 디바이스(110)임을 인식하게 되고,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자신들이 서브 디바이스(120)임을 인식하게 된다.
한편,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다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요청 메시지를 배포한 디바이스는 자신이 서브 디바이스(120)임을 인식하게 된다.
메인 디바이스(110) 및 서브 디바이스(120)의 결정 과정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어떠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요청 메시지가 송신되는 것만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기 이전에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디바이스는 자신이 최초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임을 인식하고 메인 디바이스(110)로 동작하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들은 응답 메시지의 송신 없이 서브 디바이스(120)로 동작하는 것이다.
또한, 메인 디바이스(110)의 역할은 사용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 A 및 디바이스 B에서 실행된 경우, 실행된 디바이스의 순서와 무관하게 어떠한 디바이스를 메인 디바이스로 설정할 것인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명령은 디바이스 A 및 디바이스 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또 다른 디바이스 C를 통하여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만일 디바이스 A 및 디바이스 B를 통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디바이스 A를 통하여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메인 디바이스(110)로 결정된 디바이스 A는 자신이 메인 디바이스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배포할 수 있고, 이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 B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이후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는 경우 종료 메시지를 배포한다. 이에 따라, 서브 디바이스들(120)은 자신들의 서브 디바이스(120)의 역할이 종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후에 어떠한 디바이스라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해당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110)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디바이스(110)가 결정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이상과 같은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한 하나의 디바이스가 무조건 적으로 메인 디바이스(1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가 각각 매칭되어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은 하나의 디바이스가 메인 디바이스(110)의 역할을 수행하고 나머지 디바이스가 서브 디바이스(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메인 디바이스(110)가 존재할 수도 있다.
각 디바이스에는 복수의 어플리케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디바이스 A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 a가 실행되는 경우 디바이스 A는 어플리케이션 a에 대한 메인 디바이스(110)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디바이스 B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 b가 실행되는 경우 디바이스 B는 어플리케이션 b에 대한 메인 디바이스(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러한 경우 디바이스 A는 어플리케이션 a에 대해서는 메인 디바이스(110)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어플리케이션 b에 대해서는 서브 디바이스(120)의 역할을 수행하고, 디바이스 B는 어플리케이션 b에 대해서는 메인 디바이스(110)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어플리케이션 a에 대해서는 서브 디바이스(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은 GUI의 출력을 수반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일단 GUI는 메인 디바이스(110)에서 출력되지만 일부 또는 전체가 서브 디바이스(120)로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제공되는 GUI가 A, B, C, D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자.
4개의 서브 디바이스(120)에게 A, B, C, D 부분이 각각 분배될 수 있으며, 특정 서브 디바이스(120)에게 A, B, C, D 부분이 모두 분배될 수도 있다.
이 때, 메인 디바이스(110)는 A, B, C, D 부분을 모두 디스플레이한 상태로 GUI를 분배할 수 있으며, 일부만을 디스플레이한 상태로 GUI를 분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디바이스(110)는 A, B 부분만을 디스플레이한 상태로 C, D 부분을 분배할 수 있으며, A, B 부분만을 디스플레이한 상태로 A, B, C, D 부분을 분배할 수 있다.
GUI의 분배는 사전에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사용자 명령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사전에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GUI가 분배되어 배포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GUI가 분배될 수 있는 것이다.
GUI 분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9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이하, GUI 제공 장치라 한다)(200)는 전술한 메인 디바이스(110) 또는 서브 디바이스(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GUI 제공 장치(200)에는 메인 디바이스(110) 및 서브 디바이스(120)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특정 구성요소는 디바이스의 역할에 따른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 GUI 제공 장치(200)가 주로 메인 디바이스(110)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정된 역할에 따라 서브 디바이스(120)일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GUI 제공 장치(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제어부(230), 메시지 생성부(240), GUI 관리부(250) 및 렌더링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렌더링부(260)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부(220)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컨텐츠에 대한 GUI를 제공하는데, 렌더링부(260)는 이를 렌더링하여 2차원의 화면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네트워크상에서 수신되는 컨텐츠가 전환되는 경우 렌더링부(260)는 전환된 컨텐츠에 대한 GUI를 렌더링하게 된다. 여기서, 컨텐츠 전환 명령은 서브 디바이스(120)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렌더링부(260)는 서브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환하여 렌더링할 수 있다.
렌더링부(260)에 의하여 출력된 결과는 디스플레이 수단(미도시)으로 전달되고, 디스플레이 수단은 전달받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GUI 관리부(250)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120)에게 제공할 일부 또는 전체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원거리 네트워크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은 근거리에서 서로 인접하여 존재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디바이스는 자신이 네트워크에 참여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디바이스들은 서로간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각 디바이스들은 다른 디바이스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디바이스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이 서브 디바이스(120)를 등록하는 과정에 해당하는데, 등록된 서브 디바이스(120)의 리스트는 저장부(2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디바이스(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별로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A에 매칭되어 등록된 서브 디바이스의 리스트 a와 어플리케이션 B에 매칭되어 등록된 서브 디바이스의 리스트 b가 별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서브 디바이스(1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등록될 수도 있다.
GUI 관리부(2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120) 각각의 렌더링 능력, 사전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명령을 참조하여 렌더링부(260)에 의하여 렌더링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추출 조건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인데 서브 디바이스(120)의 렌더링 능력은 서브 디바이스(120) 각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해상도, 화면 크기, 서브 디바이스(120) 각각의 운영 체계 종류, 그래픽 처리 능력 및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브 디바이스(1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화면 크기가 작은 경우 작은 크기의 그림만을 해당 서브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서브 디바이스(120)의 데이터 전송률 및 그래픽 처리 능력이 뛰어난 경우 동영상을 해상 서브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되는 추출 조건으로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추출되는 부분 및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서브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GUI 제공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된 GUI 중 일부를 선택하고, 서브 디바이스 리스트에서 선택된 일부 GUI를 디스플레이 할 특정 서브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전 설정 정보는 이전의 추출 작업 결과를 학습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특정 서브 디바이스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고, 특정 서브 디바이스는 GUI의 오른쪽 부분만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 것과 같은 추출 조건이 저장될 수 있는데, 이렇게 저장된 정보가 사전 설정 정보인 것이다. 따라서, 메인 디바이스(110)는 저장된 사전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GUI의 해당 부분을 대응하는 서브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메시지 생성부(240)는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할 메시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시지 생성부(240)는 사전에 설정된 형식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각 디바이스의 제어부(230)는 수신된 메시지를 파싱하여 필요한 내용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메인 디바이스(110) 및 서브 디바이스(120)는 상호간에 제어 명령을 송수신하는데, 메시지 생성부(240)는 제어 명령이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가 메시지 생성부(240)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어떠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응답 메시지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메시지는 단순히 제어 명령뿐만 아니라 GUI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메인 디바이스(110)는 GUI의 일부 또는 전체를 서브 디바이스(120)로 송신할 수 있는데, 메시지 생성부(240)는 GUI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메시지 생성부(240)에 의하여 생성된 메시지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송신된다. 즉, 통신부(210)는 GUI 관리부(250)에 의하여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120)로 송신하는데, 이 때 메시지의 형태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신부(210)는 렌더링부(260)에 의하여 렌더링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은 GUI 제공 장치(2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는 반면 분리형일 수도 있는 것인데, 통신부(210)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렌더링된 GUI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GUI 제공 장치(200)가 서브 디바이스(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210)는 메인 디바이스(110)로부터 GUI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데, 메시지는 제어부(230)에 의하여 파싱된 이후에 통신부(2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통신부(210)는 다른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인접한 디스플레이 수단과의 통신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통신부(210)는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과의 통신을 위한 수단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디바이스는 GUI 관리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각 디바이스의 GUI 관리부(250)가 상호간에 통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GUI 관리부(250)의 판단에 의하여 메시지가 생성되고 메시지의 내용이 처리되는 것이다.
GUI 관리부(250)는 운영 체계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GUI 관리부(250)를 제어하는 운영 체계와 다른 디바이스의 운영 체계가 상이한 경우 GUI 관리부(250)간의 메시지 포맷이 달라져 메시지 송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통신부(210)는 TCP/IP를 통하여 제어 명령 또는 GUI가 포함된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GUI 관리부(250)를 제어하는 운영 체계와 다른 디바이스의 운영 체계가 동일한 경우 통신부(210)는 RCP(Remote Procedure Call)을 통하여 제어 명령 또는 GUI가 포함된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메시지 생성부(240)에 의하여 생성된 메시지 또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220)는 다른 디바이스의 렌더링 능력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전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를 파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을 추출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거나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GUI를 추출하여 GUI 관리부(250)로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23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메시지 생성부(240), GUI 관리부(250) 및 렌더링부(260) 전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관리부(250)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GUI 관리부(313, 323)가 어플리케이션(312, 322)에 포함되어 어플리케이션(312, 322)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위하여 메인 디바이스(310) 및 서브 디바이스(3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312, 322)은 각각 운영 체계(311, 321)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으로서 GUI 관리부(313, 3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GUI 관리부(313, 323)가 어플리케이션(312, 322)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GUI를 송수신할 수 없게 된다.
또한, GUI 관리부(313, 323)가 어플리케이션(312, 322)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312, 322)이 실행 중이지 않는 경우 해당 GUI 관리부(313, 323)는 다른 디바이스의 GUI 관리부(313, 323)와 통신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은 각 디바이스(310, 320)에서 실행 중인 하나의 어플리케이션(312, 322)에 포함된 GUI 관리부(313, 323)간에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GUI 관리부간에 동시에 통신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GUI 관리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메인 디바이스(410)의 GUI 관리부(413)가 운영 체계(411)에 포함되어 운영 체계(411)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경우 GUI 관리부(413)는 어플리케이션(412)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각 어플리케이션(412)별로 GUI 관리부(413)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GUI 관리부(413)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412)에 의하여 제공되는 GUI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서브 디바이스(420)의 GUI 관리부(423)가 어플리케이션(422)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서브 디바이스(420)의 GUI 관리부(423)도 메인 디바이스(410)의 GUI 관리부(413)와 마찬가지로 운영 체계(421)에 의한 직접 제어를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분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메인 디바이스(110)는 다양한 컨텐츠가 조합된 GUI(500)를 출력할 수 있다.
화면은 메인 컨텐츠가 재생 중인 부분(510)과 또 다른 컨텐츠의 목록인 컨텐츠 리스트(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메인 컨텐츠의 크기를 확장하여 전체 화면 크기로 전환하는 경우 메인 디바이스(110)의 디스플레이 수단은 해당 컨텐츠(515)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하고,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GUI(525)는 서브 디바이스(120)로 전달되어 서브 디바이스(120)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기 이전에는 서브 디바이스(120)는 어떠한 것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있다가 전체 화면으로의 전환이 수행되면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GUI(525)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여기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GUI(525)가 추출되는 것은 서브 디바이스(120)의 렌더링 능력 또는 사전 설정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된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서브 디바이스(120)에 의하여 출력된 컨텐츠 리스트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메인 디바이스(110)는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즉, 어떠한 컨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재생 중에 서브 디바이스(120)로부터 다른 컨텐츠에 대한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메인 디바이스(110)는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전체 화면을 재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인 디바이스(110)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특정 웹 사이트에 접속하였다고 가정하자.
이 때, 재생 중인 컨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면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가 서브 디바이스(120)에서 출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 명령이 메인 디바이스(110)로 전달되고, 메인 디바이스(110)는 선택 명령을 다시 웹 사이트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웹 사이트는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송신하고, 메인 디바이스(110)는 컨텐츠를 전환하여 재생하게 된다.
또한,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송신하면서 웹 사이트는 동영상 컨텐츠의 리스트를 갱신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갱신된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한 메인 디바이스(110)는 이를 서브 디바이스(120)로 전달하고, 서브 디바이스(120)는 갱신된 컨텐츠 리스트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분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메인 디바이스(110)는 논문과 같은 문서에 대한 GUI(600)를 출력할 수 있다.
화면은 텍스트인 부분과 그림인 부분(6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문서를 계속해서 읽어 나가기 위하여 화면을 스크롤하는 경우 메인 디바이스(110)는 스크롤된 화면(620)을 출력하고 그림에 대한 GUI(615)는 서브 디바이스(120)로 전달되어 서브 디바이스(120)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화면 스크롤 이전에는 서브 디바이스(120)는 어떠한 것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있다가 화면 스크롤이 수행되면 그림에 대한 GUI(615)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그림에 대한 GUI(615)가 추출되는 것은 전술한 자동 또는 수동 방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도 6은 자동으로 추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화면에 그림(610)이 포함되어 있다가 화면 스크롤 동작에 의하여 대부분이 사라지게 된 경우 그림에 대한 GUI(615)가 추출되거나, 사전 설정에 의하여 해당 그림이 등록되어 있고 화면 스크롤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등록된 그림에 대한 GUI(615)가 추출되는 것이다.
한편, 복수의 그림이 화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그림이 추출되어 복수의 서브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으며, 복수의 그림이 분할되어 복수의 서브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도 있다.
이 때, 서브 디바이스의 렌더링 능력에 따라 송신 대상인 그림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의 크기가 큰 경우 화면 크기가 큰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 서브 디바이스로 해당 GUI가 송신될 수 있으며, 그림의 파일 크기가 큰 경우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는 서브 디바이스로 해당 GUI가 송신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동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분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마찬가지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메인 디바이스(110)는 논문과 같은 문서에 대한 GUI(700)를 출력하고, 화면은 텍스트인 부분과 그림인 부분(7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서브 디바이스(1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부분(710)과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서브 디바이스(120)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일단 사용자는 화면에서 추출할 부분(710)을 선택할 수 있으며 현재 인식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120)의 아이콘 리스트(730) 중 하나(731)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한 이후에 화면을 스크롤하게 되면 해당 부분에 대한 GUI(715)가 해당 서브 디바이스(120)에 의하여 출력된다.
또한, 스크롤 동작이 없더라도 GUI 부분(710)의 선택과 서브 디바이스(120)의 선택이 완료된 시점에 GUI(715)가 송신되고, 이를 수신한 서브 디바이스(120)는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가 서브 디바이스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메시지 생성부(24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서브 디바이스(120)로 송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디바이스(120)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 GUI(800)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GUI(800)를 생성하고 이를 서브 디바이스(120)로 송신하는 것이다.
서브 디바이스(120)는 현재 최상위에서 활성화 중인 어플리케이션(810)과 나머지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820)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최상위에서 활성화시킬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 명령이 메인 디바이스(110)로 송신되는데, 리스트(800)가 제공된 서브 디바이스(120)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메인 디바이스(110)의 렌더링부(260)는 수신된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최상위 레이어로 활성화한다.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최상위 레이어로 활성화됨에 따라 화면상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GUI 중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GUI가 최상위 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이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서브 디바이스(1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GUI를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중 일부는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는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GUI가 별도의 서브 디바이스(1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가 보다 편리함을 느낄 수도 있는데, 도 9는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특수 문자에 대한 GUI(900)가 서브 디바이스(12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 특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창은 특정 문자가 선택된 이후에 화면상에서 사라지는데, 일반적인 문서 작업과 특수 문자 입력을 번갈아 가면서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이는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특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GUI(900)가 서브 디바이스(12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문서 작업과 특수 문자 선택을 용이하게 번갈아 가면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 메시지 생성부
250: GUI 관리부 260: 렌더링부

Claims (22)

  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일부 또는 전체를 추출하는 GUI 관리부; 및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UI 관리부는 운영 체계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추출 작업을 수행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체계와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운영 체계가 상이한 경우, 상기 통신부는 TCP/IP를 통하여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송신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체계와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운영 체계가 동일한 경우, 상기 통신부는 RPC(Remote Procedure Call)를 통하여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송신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UI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 각각의 렌더링 능력, 사전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명령을 참조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추출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능력은 상기 서브 디바이스 각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해상도, 화면 크기, 상기 서브 디바이스 각각의 운영 체계 종류, 그래픽 처리 능력 및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추출되는 부분 및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환하여 렌더링하는 렌더링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가 제공된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최상위 레이어로 활성화하는 렌더링부를 더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전에 설정된 형식에 따른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1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일부 또는 전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운영 체계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추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운영 체계와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운영 체계가 상이한 경우, TCP/IP를 통하여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운영 체계와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운영 체계가 동일한 경우 RPC(Remote Procedure Call)를 통하여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 각각의 렌더링 능력, 사전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명령을 참조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능력은 상기 서브 디바이스 각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해상도, 화면 크기, 상기 서브 디바이스 각각의 운영 체계 종류, 그래픽 처리 능력 및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추출되는 부분 및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환하여 렌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 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가 제공된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최상위 레이어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전에 설정된 형식에 따른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20076171A 2012-07-12 2012-07-12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18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71A KR20140018449A (ko) 2012-07-12 2012-07-12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71A KR20140018449A (ko) 2012-07-12 2012-07-12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449A true KR20140018449A (ko) 2014-02-13

Family

ID=5026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171A KR20140018449A (ko) 2012-07-12 2012-07-12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84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2165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relating annotation data to an application window
US93845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mote drawing commands
US91914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events at a server to a remote device
KR20180125422A (ko) 하나 이상의 확장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KR101733115B1 (ko) 원격 스크린내 콘텐츠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002687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rolling a remote application
KR100952122B1 (ko) 다자간 전자회의 시스템에 있어서 공유화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3530096A (zh) 远程控制方法、远程控制设备和显示设备
CN101751286A (zh) 直觉化档案传输方法
CN113810746B (zh) 一种显示设备及图片分享方法
EP2429188A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ntent display system
JP6272331B2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接続された少なくとも2台の端末装置間でリモートプレゼンテーションをするための方法
US20180284956A1 (en) Fragmentation and messaging across web applications
KR102136474B1 (ko) 가상 세션에서의 클라이언트 측 키보드 레이아웃과 서버 측 키보드 레이아웃의 동기화
CN111104020B (zh) 用户界面设置方法、存储介质及显示设备
CN112799576B (zh) 一种虚拟鼠标移动的方法及显示设备
CN112463750B (zh) 一种文件同步方法及显示设备
CN111984167B (zh) 一种快捷命名的方法及显示设备
CN112199560B (zh) 一种设置项的搜索方法及显示设备
CN111787115B (zh) 服务器、显示设备和文件传输方法
KR20140018449A (ko) 분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14007128A (zh) 一种显示设备及配网方法
CN111782606A (zh) 显示设备、服务器和文件管理方法
CN112199612B (zh) 一种书签添加和合并的方法及显示设备
CN115185414B (zh) 显示设备及光标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