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959A -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959A
KR20140017959A KR1020120084999A KR20120084999A KR20140017959A KR 20140017959 A KR20140017959 A KR 20140017959A KR 1020120084999 A KR1020120084999 A KR 1020120084999A KR 20120084999 A KR20120084999 A KR 20120084999A KR 20140017959 A KR20140017959 A KR 20140017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ser
cartoon
mobile messenger
messeng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희
Original Assignee
(주)지둘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둘소프트 filed Critical (주)지둘소프트
Priority to KR102012008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7959A/ko
Publication of KR20140017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캐릭터를 입력받는 단계; (2)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는 단계; (3) 상기 입력받은 표정을 반영한 제1 사용자의 캐릭터 및 상기 메시지가 적용된 말풍선을 포함하는 카툰 형태의 구획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는 단계; 및 (5) 상기 입력받은 표정을 반영한 제2 사용자의 캐릭터 및 상기 메시지가 적용된 말풍선을 상기 구획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의 메시지 입력에 따라 상기 단계 (2) 내지 단계 (5)를 반복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카툰 형태로 상기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스마트 기기인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에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표정을 반영한 사용자의 캐릭터 및 메시지가 적용된 말풍선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카툰 형태로 대화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표정이 캐릭터에 반영되기 때문에 대화를 진행하는 사용자의 기분이나 감정 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고, 캐릭터의 말풍선에 메시지를 적용하기 때문에 기분 또는 감정과 메시지를 일체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릭터 또는 배경을 사용자가 직접 전송하여 입력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으로 카툰을 생성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캐릭터의 표정을 입력하거나 배경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독특한 표정 및 배경을 입력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캐릭터 및 표정을 통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MOBILE MESSENGER SERVICE PROVIDING METHOD WITH CARTOON FORM FOR SMART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신저란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메신저는 전자우편보다 훨씬 속도가 빠르며 컴퓨터로 작업을 하면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가 급격히 보급되면서,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스마트 기기에 설치된 메신저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메신저 앱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메시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텍스트뿐만 아니라 사진, 동영상 등 각종 멀티미디어도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 Message Service)와 같은 문자메시지 대신 메신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메신저 프로그램이 중요한 대화 매체로 주목받으면서, 수많은 모바일 메신저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대부분의 모바일 메신저 프로그램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대화를 주고받도록 되어 있는데, 대화 내용에 따른 기분이나 감정은 텍스트만으로 표현을 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추가적인 감정 표현 수단에 대한 요청이 있다.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형태의 이모티콘을 대화에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애니메이션 형태의 이모티콘은 사용자의 기분이나 감정을 텍스트가 아닌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할 수 있어서 즉각적인 감정의 전달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애니메이션 형태의 이모티콘은 텍스트 기반의 대화 내용에 일부 삽입되는 것이고 움직임이 포함되기 때문에 대화에 방해가 되기도 하며, 대화 내용과 이모티콘에 의한 감정의 표현이 일체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미 만들어진 이모티콘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성을 나타내는 데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스마트 기기인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에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표정을 반영한 사용자의 캐릭터 및 메시지가 적용된 말풍선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카툰 형태로 대화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표정이 캐릭터에 반영되기 때문에 대화를 진행하는 사용자의 기분이나 감정 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고, 캐릭터의 말풍선에 메시지를 적용하기 때문에 기분 또는 감정과 메시지를 일체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릭터 또는 배경을 사용자가 직접 전송하여 입력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으로 카툰을 생성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캐릭터의 표정을 입력하거나 배경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독특한 표정 및 배경을 입력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캐릭터 및 표정을 통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캐릭터를 입력받는 단계;
(2)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는 단계;
(3) 상기 입력받은 표정을 반영한 제1 사용자의 캐릭터 및 상기 메시지가 적용된 말풍선을 포함하는 카툰 형태의 구획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는 단계; 및
(5) 상기 입력받은 표정을 반영한 제2 사용자의 캐릭터 및 상기 메시지가 적용된 말풍선을 상기 구획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의 메시지 입력에 따라 상기 단계 (2) 내지 단계 (5)를 반복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카툰 형태로 상기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단계 (1) 내지 단계 (5)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에 포함되는 말풍선이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면 새로운 구획으로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캐릭터 이미지를 전송받아 입력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 이전에는,
(0)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툰의 배경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 또는 단계 (4)에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상기 표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 또는 단계 (4)에서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이모티콘으로부터 상기 표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5) 이후에는,
(6)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선택을 입력받아 카툰 스토리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6) 이후에는,
(7) 상기 저장한 카툰 스토리를 게시하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메일 또는 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5) 이후에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이용 실적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스마트 기기인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에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표정을 반영한 사용자의 캐릭터 및 메시지가 적용된 말풍선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카툰 형태로 대화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표정이 캐릭터에 반영되기 때문에 대화를 진행하는 사용자의 기분이나 감정 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고, 캐릭터의 말풍선에 메시지를 적용하기 때문에 기분 또는 감정과 메시지를 일체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릭터 또는 배경을 사용자가 직접 전송하여 입력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으로 카툰을 생성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캐릭터의 표정을 입력하거나 배경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독특한 표정 및 배경을 입력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캐릭터 및 표정을 통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캐릭터가 표시된 제1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300이 수행되는 제1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400이 수행되는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600이 수행되는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대화 내용이 복수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카툰 형태로 구현된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카툰 스토리를 저장하는 과정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게시된 카툰 스토리 목록이 표시된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스마트 기기인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표정을 반영한 사용자의 캐릭터 및 메시지가 적용된 말풍선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카툰 형태로 대화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표정이 캐릭터에 반영되기 때문에 대화를 진행하는 사용자의 기분이나 감정 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고, 캐릭터의 말풍선에 메시지를 적용하기 때문에 기분 또는 감정과 메시지를 일체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 및 표정을 통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캐릭터 또는 배경을 사용자가 직접 전송하여 입력할 수도 있도록 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카툰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대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되,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캐릭터가 대화를 나누는 카툰 형태로 대화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캐릭터, 배경, 각종 아이템 등을 저장하고,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직접 전송하여 등록한 캐릭터, 배경, 아이템 등을 사용자 계정별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접속을 허용하고,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화를 진행하고자 하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카툰 형태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즉,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함으로써, 메시지 및 표정을 쉽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카툰 형태로 편리하게 대화를 할 수 있는 각종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캐릭터를 입력받는 단계(S100),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는 단계(S300), 표정을 반영한 제1 사용자의 캐릭터 및 말풍선을 포함하는 카툰 형태의 구획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S400),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는 단계(S500) 및 표정을 반영한 제2 사용자의 캐릭터 및 말풍선을 구획에 적용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카툰의 배경을 입력받는 단계(S200) 및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이용 실적에 따라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캐릭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릭터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캐릭터를 구매함으로써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아이템을 구매하여 캐릭터를 꾸미거나 표정 등을 추가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100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캐릭터 이미지를 전송받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갖고 있는 사진이나 캐리커처, 그림 등의 캐릭터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전송하여 본 발명에서 자신의 캐릭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캐릭터가 표시된 제1 사용자 단말기(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단계 S100에서 입력받은 제1 사용자의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성명 또는 별명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의 모바일 메신저 친구인 제2 사용자의 캐릭터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의 친구인 제2 사용자는 복수일 수 있으며, 제2 사용자의 성명 또는 별명 등을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나열하여 찾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친구 검색 기능을 제공하여 제1 사용자가 함께 대화를 하고자 하는 제2 사용자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제1 사용자가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화를 할 친구인 제2 사용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면, 선택된 제2 사용자와 제1 사용자가 카툰 형태로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카툰의 배경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캐릭터와 메시지가 카툰 형태로 삽입될 구획의 배경을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저장된 배경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카툰의 배경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단계 S200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배경 이미지를 전송받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즉,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갖고 있는 사진, 그림, 동영상 등의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전송하여 본 발명에서 카툰의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고정된 배경을 설정하지 않고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실세계의 영상을 카툰의 배경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카툰의 배경으로 사용하는 경우, 캐릭터와 말풍선이 실세계에 겹쳐지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능으로 카툰 형태의 구획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계 S300에서는, 대화를 위한 메시지를 입력받으면서 제1 사용자의 기분, 감정 등을 표현할 수 있는 표정을 함께 입력받을 수 있기 때문에, 텍스트 형태의 대화내용뿐 아니라 사용자의 감정을 충실하게 표현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표정을 입력받을 때에는, 제1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표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정의 입력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300에서는, 메시지에 포함된 이모티콘으로부터 표정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즉, 최근 사용자들은 감정에 따라 다양한 이모티콘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표정 선택 없이 이모티콘으로 표정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는 웃는 표정, “ㅜㅜ”는 우는 표정 등으로 표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계 S300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표정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카메라 사용 등의 복잡한 과정 없이 편리하게 표정의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된 얼굴 이미지 자체를 사용하거나 얼굴 인식 기능을 사용하여 표정 정보만을 사용할 수도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캐릭터에 표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300이 수행되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300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입력하고, 표정 버튼을 이용하여 표정을 입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1 사용자 단말기(200) 화면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표정이라도 적용되는 캐릭터에 따라 그 구현 상태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표정이 적용된 캐릭터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표정 입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밖에 “+” 버튼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거나 저장된 이미지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단계 S4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입력받은 표정을 반영한 제1 사용자의 캐릭터 및 메시지가 적용된 말풍선을 포함하는 카툰 형태의 구획을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단계 S400에서는, 단계 S300에서 입력받은 메시지 및 표정을 이용하여 카툰 형태의 구획을 생성할 수 있다. 카툰 형태의 구획은 카툰을 구성하는 하나의 컷 또는 칸으로서, 카툰은 복수의 구획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대화 내용에 따라 하나의 구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카툰 형태의 구획에는 단계 S300에서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한 제1 사용자의 캐릭터가 표시될 수 있으며, 입력받은 표정이 캐릭터에 반영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을 표정으로 입력받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실제 얼굴과 캐릭터를 합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카툰 형태이므로 단계 S300에서 입력받은 메시지는 제1 사용자의 캐릭터가 말하는 것과 같은 말풍선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캐릭터 및 말풍선은 단계 S200에서 입력받은 배경 위에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 생성한 구획은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뿐 아니라, 제1 사용자와 대화를 나누는 상대방인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도 전송하여 대화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대화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므로, 단계 S400에서 생성한 구획은 대화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400이 수행되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4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생성 및 전송한 카툰 형태의 구획이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제1 사용자가 입력한 표정이 반영된 제1 사용자의 캐릭터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위에 표시될 수 있으며, 입력한 메시지 “퇴근하고 뭐해?”가 말풍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와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통하여 대화를 하는 제2 사용자도, 대화를 위하여 메시지 및 표정을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는 상세한 과정은, 제1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는 단계 S300 및 도 4와 동일하므로 세부적인 사항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계 S6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입력받은 표정을 반영한 제2 사용자의 캐릭터 및 메시지가 적용된 말풍선을 구획에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600에서는 표정이 반영된 제2 사용자의 캐릭터와 말풍선 형태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카툰 형태의 구획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 S400에서 이미 생성된 구획에 적용할 수 있다. 즉, 한 구획 당 하나의 캐릭터가 하나의 말풍선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캐릭터가 함께 표시되어 캐릭터들이 실제로 대화를 나누는 것과 같은 형태의 구획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 입력받은 표정을 제2 사용자의 캐릭터에 반영하고 메시지를 말풍선 형태로 적용하는 세부적인 과정은 단계 S400과 동일하므로 세부적인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600이 수행되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600에서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받은 메시지 및 표정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캐릭터에 적용하고, 단계 S400에서 생성한 구획에 삽입함으로써 캐릭터들이 대화를 나누는 것과 같은 장면을 하나의 카툰 형태의 구획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구획에 포함되는 말풍선이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면 새로운 구획을 생성함으로써, 하나의 구획에 포함되는 대화 내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개수는 대화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의 캐릭터들의 말풍선 개수를 합한 것일 수 있고, 각각의 캐릭터마다 할당된 말풍선 개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총 말풍선의 개수가 5개를 초과하면 6번째로 입력되는 메시지에 대해서는 새로운 구획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캐릭터당 하나의 말풍선만 포함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제1 사용자가 새로운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하면 새로운 구획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말풍선의 개수가 아닌 표정에 따라 구획이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할 때에, 표정이 고정된 상태에서 두 개의 메시지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구획에 두 개의 말풍선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메시지에 따라 표정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입력하는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표정 및 메시지가 포함되는 복수 개의 구획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메시지 입력에 따라 단계 S300 내지 단계 S600을 반복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카툰 형태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대화 내용이 복수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카툰 형태로 구현된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대화의 흐름에 따라 복수의 구획으로 카툰이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구획에서 하나의 캐릭터는 하나의 말풍선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사용자가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
단계 S7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이용 실적에 따라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 대하여,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의 사용 내역, 포스팅 내역, 아이템 구매 내역, 친구 초대 내역 등 서비스 이용 실적을 평가하고, 실적에 따라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게 아이템, 골드, 캐시, 포인트, 경품 등의 보상을 제공하거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레벨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 또는 아이템이 상이할 수 있으며, 제공받은 골드, 캐시, 포인트 등을 이용하여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고, 게임과 같은 재미를 느끼도록 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카툰 스토리를 저장하는 과정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카툰을 구성하는 구획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선택을 입력받아 카툰 스토리로 저장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하여 카툰 스토리를 저장할 수 있으며, 카툰 스토리를 게시하거나 전송하는 단계(S9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단계 S8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카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선택을 입력받아 카툰 스토리로 저장할 수 있다. 즉, 단계 S800에서는, 카툰을 구성하는 구획을 전부 선택하여 카툰 스토리로 저장할 수 있으나, 일부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첫 번째 구획과 세 번째 구획을 선택하여 두 개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카툰 스토리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800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카툰 형태 그대로 저장할 수 있으나, pdf, gif, png 등 일반적인 이미지 파일 포맷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단계 S9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저장한 카툰 스토리를 게시하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메일 또는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단계 S800에서 저장한 카툰 스토리를 게시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포스팅하여 공유하거나, 이메일이나 메시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대화 내용을 선택하고 편집하여 하나의 카툰으로 완성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재미를 배가시키고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게시된 카툰 스토리 목록이 표시된 제1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단계 S900에서 카툰 스토리를 게시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들이 단계 S900에서 게시한 카툰 스토리를 열람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게시한 카툰 스토리를 열람할 수 있다. 열람 횟수 또는 추천 수 등을 이용하여 순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순위에 따라 순위가 높은 카툰 스토리를 제작 및 게시한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서버 200: 제1 사용자 단말기
300: 제2 사용자 단말기
S100: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캐릭터를 입력받는 단계
S200: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카툰의 배경을 입력받는 단계
S300: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는 단계
S400: 표정을 반영한 제1 사용자의 캐릭터 및 말풍선을 포함하는 카툰 형태의 구획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S500: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는 단계
S600: 표정을 반영한 제2 사용자의 캐릭터 및 말풍선을 구획에 적용하는 단계
S700: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이용 실적에 따라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S800: 카툰을 구성하는 구획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선택을 입력받아 카툰 스토리로 저장하는 단계
S900: 카툰 스토리를 게시하거나 전송하는 단계

Claims (10)

  1.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캐릭터를 입력받는 단계;
    (2)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는 단계;
    (3) 상기 입력받은 표정을 반영한 제1 사용자의 캐릭터 및 상기 메시지가 적용된 말풍선을 포함하는 카툰 형태의 구획을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및 표정을 입력받는 단계; 및
    (5) 상기 입력받은 표정을 반영한 제2 사용자의 캐릭터 및 상기 메시지가 적용된 말풍선을 상기 구획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의 메시지 입력에 따라 상기 단계 (2) 내지 단계 (5)를 반복 처리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구성되는 카툰 형태로 상기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단계 (1) 내지 단계 (5)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에 포함되는 말풍선이 미리 정해진 개수를 초과하면 새로운 구획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캐릭터 이미지를 전송받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이전에는,
    (0)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툰의 배경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또는 단계 (4)에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상기 표정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또는 단계 (4)에서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이모티콘으로부터 상기 표정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 이후에는,
    (6)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카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선택을 입력받아 카툰 스토리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 이후에는,
    (7) 상기 저장한 카툰 스토리를 게시하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메일 또는 메시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 이후에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이용 실적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084999A 2012-08-02 2012-08-02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17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999A KR20140017959A (ko) 2012-08-02 2012-08-02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999A KR20140017959A (ko) 2012-08-02 2012-08-02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59A true KR20140017959A (ko) 2014-02-12

Family

ID=5026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999A KR20140017959A (ko) 2012-08-02 2012-08-02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795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18A (ko) * 2015-06-30 2017-01-09 주학진 감정 메시지 전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WO2017010613A1 (ko) * 2015-03-10 2017-01-19 성명석 채팅 서비스 제공방법
WO2017051962A1 (ko) * 2015-09-25 201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9930A (ko) * 2017-05-19 2017-05-31 (주)버드레터 전달 매개체를 이용하는 메시지 전달 방법
WO2019221385A1 (ko) * 2018-05-16 2019-11-21 Kim Jin Wook 대화용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13A1 (ko) * 2015-03-10 2017-01-19 성명석 채팅 서비스 제공방법
KR20170002918A (ko) * 2015-06-30 2017-01-09 주학진 감정 메시지 전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WO2017051962A1 (ko) * 2015-09-25 201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84503B2 (en) 2015-09-25 2019-05-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59930A (ko) * 2017-05-19 2017-05-31 (주)버드레터 전달 매개체를 이용하는 메시지 전달 방법
WO2019221385A1 (ko) * 2018-05-16 2019-11-21 Kim Jin Wook 대화용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15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ouch-based communications
KR102050334B1 (ko) 언어 모델을 사용한, 메시지들에서 수신되는 이미지들에 대한 자동적인 제안 응답들
US20160259502A1 (en) Diverse emojis/emoticons
KR102590492B1 (ko) 영상 채팅에 이용 가능한 평판 뱃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567555B1 (ko)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2983A (ko) 외부-리소스 도크 및 서랍을 포함하는 메시징 시스템
KR20140017959A (ko) 스마트 기기를 위한 카툰 형태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20319078A1 (en) Customizable avatar generation system
US20170024108A1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KR20190059624A (ko) 이모티콘을 활용한 디지털콘텐츠 제작 전송 및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
US10965629B1 (en) Method for generating imitated mobile messages on a chat writer server
KR20130025277A (ko)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20190131355A (ko) 대화용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방법
US11973730B2 (en) External messaging function for an interaction system
KR101644405B1 (ko) Sns 앱 기반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에서 햅틱 효과를 갖는 이모티콘을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9050049A (ja) 感情テキスト表示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20206924A1 (en) Accessing third party resources via client application with messaging capability
KR101719742B1 (ko) 아바타를 사용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6454106B2 (ja) 感情テキスト表示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4666296A (zh) 多媒体内容生成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15280357A (zh) 社交媒体接口
TWI574199B (zh) The way to dynamically change its texture style based on the user's virtual pet
US20230396572A1 (en) Contextual reply augmentation system
US20230393730A1 (en) User interface including multiple interaction zones
JP7372361B2 (ja) ユーザーに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及びユーザー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