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047A - 열관류율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열관류율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047A
KR20140017047A KR1020120081807A KR20120081807A KR20140017047A KR 20140017047 A KR20140017047 A KR 20140017047A KR 1020120081807 A KR1020120081807 A KR 1020120081807A KR 20120081807 A KR20120081807 A KR 20120081807A KR 20140017047 A KR20140017047 A KR 20140017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chamber
condition chamber
outdoo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2798B1 (ko
Inventor
강재식
이승언
최경석
최현중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79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2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heat, i.e. calorimetry, e.g. by measuring specific heat, by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1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thermal conducti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는 실외의 인공기상조건이 설정되는 실외조건 챔버와, 실내의 온도조건이 설정되는 실내조건 챔버를 구비하는 챔버; 상기 실외조건 챔버와 상기 실내조건 챔버 사이에 설치되며 시험체가 고정되는 시험체 고정프레임; 상기 실내조건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험체를 통해 흐르는 열량을 측정하는 열량측정장치; 및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상기 열량측정장치에 전자석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전자석 고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관류율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COEFFICIENT OF OVERALL HEAT TRANSMISSION}
본 발명은 열관류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험체 고정프레임과 열량측정장치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열관류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관류율이란 '단위 시간·단위 면적·단위 온도차일 때 건축부재를 통하여 흐르는 열량'으로 정의된다.
열관류율은 실외의 열이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의 열이 실외로 유출되는 단열성능을 말하므로, 창호 등과 같은 건축부재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척도가 된다.
열관류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험체를 시험체 고정프레임에 결합시킨 후,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챔버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챔버에 열을 가하여 시험체를 통과하는 열량을 측정함으로써 시험체의 열관류율을 측정하게 된다.
시험체의 열관류율을 측정할 때 시험체 고정프레임과 챔버 사이로 열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험체 고정프레임과 챔버 사이로 열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챔버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챔버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다수의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챔버에 고정시켜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챔버에 고정시켜야하므로 각 부위마다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균일하지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각 부위마다 균일하지않는 경우, 정확한 열관류율 값을 측정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에 체결력이 너무 강한 경우 시험체 고정프레임 또는 시험체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져 시험체 고정프레임 또는 시험체에 응력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이 시험체 고정프레임 또는 시험체에 응력이 발생하는 경우 시험체의 열관류율을 측정하는데 있어 정확한 열관류율 값을 측정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험체를 열관류율 측정장치에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어 열관류율 측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열관류율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균일한 체결력으로 체결하여 시험체 고정프레임 또는 시험체에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관류율 측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열관류율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는 실외의 인공기상조건이 설정되는 실외조건 챔버와, 실내의 온도조건이 설정되는 실내조건 챔버를 구비하는 챔버; 상기 실외조건 챔버와 상기 실내조건 챔버 사이에 설치되며 시험체가 고정되는 시험체 고정프레임; 상기 실내조건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험체를 통해 흐르는 열량을 측정하는 열량측정장치; 및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상기 열량측정장치에 전자석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전자석 고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 고정장치는 상기 열량측정장치에 구비되며 전류가 흐를 때 자성을 가지는 전자석과,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전자석이 자성을 가졌을 때 상기 전자석 쪽으로 당겨지는 철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열량측정장치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철판이 상기 전자석 쪽으로 당겨질 때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열량측정장치와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전자석보다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전자석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공기가 포함된 공기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량측정장치의 하부에는 상기 열량측정장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는 실외의 인공기상조건이 설정되는 실외조건 챔버; 실내의 온도조건이 설정되며 상기 실외조건 챔버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설치되는 실내조건 챔버; 시험체가 고정되며 상기 실외조건 챔버와 상기 실내조건 챔버 사이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시험체 고정프레임; 상기 실내조건 챔버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시험체를 통해 흐르는 열량을 측정하는 열량측정장치; 및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상기 열량측정장치에 전자석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전자석 고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 고정장치는 상기 열량측정장치에 구비되며 전류가 흐를 때 자성을 가지는 전자석과,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전자석이 자성을 가졌을 때 상기 전자석 쪽으로 당겨지는 철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량측정장치의 단부에는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과 밀착하기 위한 밀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열량측정장치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밀착수단보다 후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조건 챔버가 상기 실외조건 챔버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수단과, 상기 실내조건 챔버가 상기 실외조건 챔버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실내조건 챔버가 상기 실외조건 챔버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외조건 챔버 및 상기 실내조건 챔버의 단부에는 각각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과 밀착되어 열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에 의하면, 전자석을 이용하여 시험체가 설치된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일시에 챔버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열관류율 측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시험체가 고정되는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균일한 힘으로 챔버에 고정할 수 있으며, 시험체 또는 시험체 고정프레임에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험체의 열관류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에서 실외조건 챔버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에서 실내조건 챔버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전자석 고정장치의 상세도.
도 6은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고정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고정장치의 상세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는 시험체(T)가 고정되는 시험체 고정프레임(10)과, 온도 등의 조건이 설정되는 챔버(20)와, 챔버(20)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를 제어하여 챔버(20) 내부의 기상 조건 등을 설정하는 제어장비(30)를 구비한다.
챔버(10)는 실외의 인공기상조건이 설정되며 바닥에 고정되는 실외조건 챔버(100)와, 실내의 온도조건이 설정되며 바닥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내조건 챔버(200)를 구비한다.
창호 등은 실외와 실내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설치되므로, 열관류율 측정대상이 되는 시험체(T)도 실외조건 챔버(100)와 실내조건 챔버(200) 사이에 설치된다.
시험체(T)를 실외조건 챔버(100)와 실내조건 챔버(200) 사이에 설치하기 위해 바닥에는 레일(21)이 설치되고, 시험체(T)가 고정되는 시험체 고정프레임(10)의 하부에는 레일(21)을 따라 구르는 바퀴(11)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시험체(T)가 고정된 시험체 고정프레임(10)을 실외조건 챔버(100)와 실내조건 챔버(200) 사이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험을 끝낸 시험체(T)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챔버(20)를 구성할 때 실외조건 챔버(100)는 고정되어 있는 반면, 실내조건 챔버(200)는 실외조건 챔버(100)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실내조건 챔버(200)가 실외조건 챔버(100)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수단(201)이 구비된다.
이동수단(201)은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202)과, 실내조건 챔버(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레일(202)을 따라 미끄러지는 바퀴(203)와, 실내조건 챔버(200)를 실외조건 챔버(100) 측으로 밀거나 당기는 유압장치(204)를 구비할 수 있다.
실내조건 챔버(200)는 이동수단(201)을 구비함으로써 실내조건 챔버(200)를 실외조건 챔버(100) 쪽으로 이동시켜 실내조건 챔버(200)가 시험체 고정프레임(1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내조건 챔버(200)가 실외조건 챔버(100)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수단(250)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수단(250)은 실외조건 챔버(100)에 구비되는 유압장치(251)와, 실내조건 챔버(200)에 구비되어 유압장치(251)가 걸리는 걸림부(255)를 구비한다.
유압장치(251)는 실외조건 챔버(100)의 일측에 회전가능 하게 결합되며 유압을 발생시키는 실린더(252)와, 실린더(252)의 내부로 인입되는 로드(253)와, 로드(253)의 단부에 구비되는 걸림후크(254)를 구비한다.
실외조건 챔버(100)에 구비된 유압장치(251)의 걸림후크(254)가 실내조건 챔버(200)에 구비된 걸림부(255)에 걸린 상태에서 실린더(252)의 유압을 이용하여 로드(253)를 당기게 되면 실내조건 챔버(200)는 실외조건 챔버(100) 측으로 이동하여 실내조건 챔버(200)가 시험체 고정프레임(1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실외조건 챔버(100)와 실내조건 챔버(200)의 단부에는 각각 시험체 고정프레임(10)과 밀착되어 열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15)이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에서 실외조건 챔버의 상세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실외조건 챔버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외조건 챔버(100)는 실외의 인공기상조건이 설정되는 챔버이다. 실외조건 챔버(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101)가 형성되어 개방된 입방체 형상을 갖는다.
실외조건 챔버(100)의 내부에는 실외의 기상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실외조건 챔버(100)의 후측에 마련된 덕트(10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덕트(105)의 내부에는 실외조건 챔버(100)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동기(110)와, 실외조건 챔버(100) 내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120)와, 냉동기(110) 또는 히터(12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실외조건 챔버(100)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130)이 설치된다.
그리고 덕트(105)의 상측에는 배출구(106)가 형성되고, 배출구(106)에는 송풍팬(13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실외조건 챔버(100) 내부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복수개의 블레이드(14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실외조건 챔버(100)에는 기류발생장치(150)가 설치될 수 있다.
창호 등이 설치되는 실외에는 실제로 기류 등이 발생할 수가 있는데, 이와 같은 기류에 따라 창호 등의 열관류율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기류발생장치(150)를 이용하여 기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시험체(T)가 실외에 설치된 것과 같은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기류발생장치(150)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숭풍팬(151)과, 송풍팬(151)에 의해 발생된 기류를 시험체(T)로 안내하는 가이드 덕트(15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152)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발생된 기류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가지는 기류발생장치(150)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바(15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이드 덕트(152)의 내부에는 히터 또는 냉각기가 설치되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기류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기류발생장치(150)의 하부에는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15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조건 챔버(100)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에서 실내조건 챔버의 상세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실내조건 챔버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내조건 챔버(200)는 실내의 온도조건이 설정되는 챔버이다. 실내조건 챔버(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부(201)가 형성되어 개방된 입방체 형상을 갖는다.
실내조건 챔버(200)의 내부에는 실내의 온도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실내조건 챔버(200)의 후측에 마련된 덕트(20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덕트(205)의 내부에는 실내조건 챔버(200)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동기(210)와, 실내조건 챔버(200) 내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220)와, 실내조건 챔버(200)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습기(230)와, 덕트(205) 내부의 공기를 실외조건 챔버(200)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2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실내조건 챔버(200)의 내부에는 시험체(T)를 통해 흐르는 열량을 측정하는 열량측정장치(300)가 구비된다.
열량측정장치(300)는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310)와,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스(310)의 내부로 열을 공급하는 열 공급수단(320)을 구비한다. 열량측정장치(300)의 케이스(310)는 고단열 성능을 가지는 단열재가 채워져 케이스(310)를 통해 유출되는 열량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공급수단(320)은 케이스(310)의 후단에 구비되는 격벽(321)과, 격벽(321)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322)와, 히터(322)에서 발생된 열을 케이스(310)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팬(323)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열 공급수단(320)은 제어장비(30)에 의해 제어되어, 열량측정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열량측정장치(300)의 하부에는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330)이 구비되어 열 공급수단(320)을 실내조건 챔버(200)의 내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시험체 고정프레임(10)을 열량측정장치(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전자석 고정장치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전자석 고정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전자석 고정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석 고정장치(400)는 열량측정장치(300)에 구비되며 전류가 흐를 때 자성을 가지는 전자석(410)과, 시험체 고정프레임(10)에 구비되며 전자석(410)이 자성을 가졌을 때 전자석(410) 쪽으로 당겨지는 철판(420)을 구비한다.
한편 열량측정장치(300)의 단부에는 시험체 고정프레임(10)과 밀착하기 위한 밀착수단(350)이 구비된다.
전자석(410)은 열량측정장치(300)에 복수개 구비되고, 밀착수단(350)보다 후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전자석(410)이 열량측정장치(300)의 측면 4군데 설치되는 것을 보였으나, 전자석(410)의 개수는 그 이상 또는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는 전자석 고정장치(400)를 구비하므로 전자석(4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석(410)은 자력을 가지게 되고, 자력에 의해 시험체 고정프레임(10)에 구비된 철판(420)을 당기게 된다.
이때 전자석(410)은 밀착수단(350)보다 후측에 설치되므로 밀착수단(350)이 먼저 시험체 고정프레임(10)과 밀착하게 되며, 전자석(410)은 철판(420)과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열량측정장치(300)에 구비된 전자석(410)과 시험체 고정프레임(10)에 구비된 철판(420)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열량측정장치(300)와 시험체 고정프레임(10) 사이에는 서로 당기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열량측정장치(300)와 시험체 고정프레임(1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열량측정장치(300)의 단부에 구비되는 밀착수단(350)은 시험체 고정프레임(10)에 밀착된다. 따라서 열량측정장치(300) 내부를 기밀상태로 유지한 후 열량측정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높여 시험체 고정프레임(10)에 고정되는 시험체(T)를 통한 열관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자석(4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면 열량측정장치(300)와 시험체 고정프레임(10) 사이의 당기는 힘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에서는 전자석 고정장치(400)를 이용하여 쉽게 시험체 고정프레임(10)을 열량측정장치(300)의 단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6은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고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고정장치의 상세도이다.
이하에서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고정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전자석 고정장치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고정장치(400)에서 전자석(411)은 열량측정장치(300)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열량측정장치(300)의 단부에 구비되는 밀착수단(351)은 전자석(411)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된다.
이때 밀착수단(351)은 전자석(411)보다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수단(351)은 더 구체적으로 내부에 공기가 포함된 공기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석(411)에 전류가 인가되면, 밀착수단(351)은 시험체 고정프레임(10)에 밀착된다. 이때 밀착수단(351)이 내부에 공기가 포함된 공기튜브로 형성되므로, 공기튜브가 시험체 고정프레임(10)에 밀착될 때 횡으로 변형을 하며 밀착되기 때문에 열량측정장치(300) 내부를 기밀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술한 열관류율 측정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시험 대상이 되는 창호와 같은 시험체(T)를 시험체 고정프레임(10)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시험체 고정프레임(10) 하부의 구비된 바퀴(11)를 이용하여 시험체 고정프레임(10)을 실외조건 챔버(100)와 실내조건 챔버(200) 사이로 밀어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이동수단(201)을 이용하여 실내조건 챔버(200)를 실외조건 챔버(100) 쪽으로 이동시켜 실내조건 챔버(200)를 시험체 고정프레임(10)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걸림수단(250)을 이용하여 실내조건 챔버(200)가 실외조건 챔버(100)에 걸리도록 한다.
다음으로 전자석 고정장치(400)를 동작시켜 시험체 고정프레임(10)이 열량측정장치(300)와 밀착되도록 하여 열량측정장치(300) 내부를 기밀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열량측정장치(300) 내부를 기밀상태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어장비(30)를 이용하여 열량측정장치(300) 내부의 히터(322)를 가열하여 열량측정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실외조건 챔버(100)의 온도는 열량측정장치(300) 내부의 온도보다 낮게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실내조건 챔버(100), 특히 열량측정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30℃로 설정하고, 실외조건 챔버(200) 내부의 온도를 20℃로 설정하면 열량측정장치(300) 내부의 열은 시험체(T)를 통해 실외조건 챔버(100) 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열량측정장치(300) 내부의 온도를 30℃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열량측정장치(300) 내부의 히터(322)를 가열하여 계속적으로 열량을 투입해야 하는데, 이때 열량측정장치(300) 내부로 투입되는 열량을 측정함으로써 열량측정장치(300) 내부에서 시험체(T)를 통해 실외조건 챔버(100) 측으로 흐른 열량을 간접적으로 계산살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험체(T)를 통해 단위 시간·단위 면적·단위 온도차일 때 흐르는 열량을 측정함으로써 시험체(T)의 열관류율을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에 의하면 전자석 고정장치(400)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시험체 고정프레임(10)을 열량측정장치(300)에 일시에 고정할 수 있어, 열관류율 측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석 고정장치(400)를 이용함으로써 전자기력에 의해 열량측정장치(300)와 시험체 고정프레임(10) 사이에는 서로 당기는 힘이 발생하게 되므로, 전자석(4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면 열량측정장치(300)와 시험체 고정프레임(10) 사이의 당기는 힘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자석 고정장치(400)를 이용함으로써 시험체(T) 또는 시험체 고정프레임(10)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험체(T)의 열관류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관류율 측정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시험체 고정프레임 100: 실외조건 챔버
200: 실내조건 챔버 300: 열량측정장치
350: 밀착수단 400: 전자석 고정장치
410: 전자석 420: 철판

Claims (12)

  1. 실외의 인공기상조건이 설정되는 실외조건 챔버와, 실내의 온도조건이 설정되는 실내조건 챔버를 구비하는 챔버;
    상기 실외조건 챔버와 상기 실내조건 챔버 사이에 설치되며 시험체가 고정되는 시험체 고정프레임;
    상기 실내조건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험체를 통해 흐르는 열량을 측정하는 열량측정장치; 및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상기 열량측정장치에 전자석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전자석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류율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고정장치는
    상기 열량측정장치에 구비되며 전류가 흐를 때 자성을 가지는 전자석과,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전자석이 자성을 가졌을 때 상기 전자석 쪽으로 당겨지는 철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류율 측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기 열량측정장치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류율 측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이 상기 전자석 쪽으로 당겨질 때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열량측정장치와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류율 측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전자석보다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류율 측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전자석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공기가 포함된 공기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류율 측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량측정장치의 하부에는 상기 열량측정장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류율 측정장치.
  8. 실외의 인공기상조건이 설정되는 실외조건 챔버;
    실내의 온도조건이 설정되며 상기 실외조건 챔버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설치되는 실내조건 챔버;
    시험체가 고정되며 상기 실외조건 챔버와 상기 실내조건 챔버 사이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시험체 고정프레임;
    상기 실내조건 챔버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시험체를 통해 흐르는 열량을 측정하는 열량측정장치; 및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을 상기 열량측정장치에 전자석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전자석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류율 측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고정장치는
    상기 열량측정장치에 구비되며 전류가 흐를 때 자성을 가지는 전자석과,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전자석이 자성을 가졌을 때 상기 전자석 쪽으로 당겨지는 철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류율 측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열량측정장치의 단부에는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과 밀착하기 위한 밀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열량측정장치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밀착수단보다 후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류율 측정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조건 챔버가 상기 실외조건 챔버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수단과,
    상기 실내조건 챔버가 상기 실외조건 챔버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실내조건 챔버가 상기 실외조건 챔버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류율 측정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조건 챔버 및 상기 실내조건 챔버의 단부에는 각각 상기 시험체 고정프레임과 밀착되어 열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관류율 측정장치.
KR1020120081807A 2012-07-26 2012-07-26 열관류율 측정장치 KR101362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807A KR101362798B1 (ko) 2012-07-26 2012-07-26 열관류율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807A KR101362798B1 (ko) 2012-07-26 2012-07-26 열관류율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047A true KR20140017047A (ko) 2014-02-11
KR101362798B1 KR101362798B1 (ko) 2014-02-14

Family

ID=5026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807A KR101362798B1 (ko) 2012-07-26 2012-07-26 열관류율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7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20A (ko) * 2014-08-22 2016-03-03 박철현 열관류율 측정장치의 부착틀
KR101700865B1 (ko) 2015-09-08 2017-02-02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창호유리의 열적 성능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340314A (zh) * 2017-09-05 2017-11-10 李亮 建筑外墙隔热保暖性能检测装置
KR20220156273A (ko) 2021-05-18 2022-11-25 한국토지주택공사 창호 성능 측정 챔버
KR102606602B1 (ko) * 2023-07-11 2023-12-01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다방향 열관류율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661B1 (ko) 2017-12-19 2019-09-09 주식회사 우창이엔씨 보온재용 열관류율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2419A (ja) * 1994-11-29 1996-06-11 Shimadzu Corp 熱分析装置
KR101101175B1 (ko) * 2009-05-20 2012-01-05 정지훈 환경 인자 측정 장치
KR20110124607A (ko) * 2010-05-11 2011-11-17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적외선 열화상 측정장치를 이용한 결로방지 성능 시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20A (ko) * 2014-08-22 2016-03-03 박철현 열관류율 측정장치의 부착틀
KR101700865B1 (ko) 2015-09-08 2017-02-02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창호유리의 열적 성능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340314A (zh) * 2017-09-05 2017-11-10 李亮 建筑外墙隔热保暖性能检测装置
KR20220156273A (ko) 2021-05-18 2022-11-25 한국토지주택공사 창호 성능 측정 챔버
KR102606602B1 (ko) * 2023-07-11 2023-12-01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다방향 열관류율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798B1 (ko) 201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798B1 (ko) 열관류율 측정장치
US10161771B2 (en)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airflow volume and a ventilation resistance and having a specific opening for allowing an opening plate to be replaceable and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ment arrangement
US9857209B2 (en)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airflow volume and ventilation resistance of wind-blowing apparatus
CN102614944A (zh) 多功能环境试验箱及其环境试验方法和用途
CN104251871A (zh) 恒温槽
JP6143714B2 (ja) 試験装置及び恒温装置
CN110045192A (zh) 多种环境下绝缘材料表面电位分布测量系统及测量方法
KR101581463B1 (ko) 창호의 기밀성 및 단열성 측정장치
JP6683164B2 (ja) 材料試験用恒温槽および材料試験機
CN104215749A (zh) 一种冻土中组合温度梯度的实现方法
AU2015269095B2 (en) Airflow diverter for reduced specimen temperature gradient
CN110082137A (zh) 一种冰箱不同部位漏热负荷测试装置与方法
CN102012710A (zh) 自然对流环境温度模拟测试箱
CN204903328U (zh) 一种吊篮移动式温度冲击试验箱
RU168702U1 (ru) Климатическая камера
KR101151900B1 (ko) 환경 시험용 챔버
CN206684125U (zh) 一种热套空气循环轻量化真空模拟试验装置
RU2645162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образцов при усталостных испытаниях на изгиб
CN116223087B (zh) 低温风口凝露与气流组织测试系统及测试方法
CN103775059A (zh) 二次换热无感热风循环烘箱
CN209356434U (zh) 一种门窗保温性能检测设备
JP7169226B2 (ja) 空調空気供給装置、材料試験機及び材料試験方法
KR102342165B1 (ko) 국부적 기류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열충격 시험장치
CN207446276U (zh) 高低温交变湿热试验箱
CN220270982U (zh) 一种钢绞线松弛性能恒温试验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