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387A -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387A
KR20140016387A KR1020137033824A KR20137033824A KR20140016387A KR 20140016387 A KR20140016387 A KR 20140016387A KR 1020137033824 A KR1020137033824 A KR 1020137033824A KR 20137033824 A KR20137033824 A KR 20137033824A KR 20140016387 A KR20140016387 A KR 20140016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bandwidth
data bandwidth
amou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807B1 (ko
Inventor
데니스 멘디올라
Original Assignee
치카 프라이빗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G2011087194A external-priority patent/SG186527A1/en
Application filed by 치카 프라이빗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치카 프라이빗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16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32Metric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85Tariff-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3Billing soft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2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for operator independent bill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2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45Customizing according to wishes of subscriber, e.g. friends or fami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27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based on network load situ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1Dynamic pricing, e.g. change of tariff dur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02Coin-freed or check-freed systems, e.g. mobile- or card-operated phones, public telephones or boo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2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with provision for recharging the prepaid account or card, or for credit 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대역폭의 양의 조정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배치된 대역폭 조정 촉진기(facilitator) 및 상기의 대역폭 조정 촉진기(facilitator)와 통신하고, 과잉의 가용한 데이터 대역폭을 상기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한(cap)하거나 할당하는데 적합화된 대역폭 트로틀러(throttler)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요청의 수신에 있어서, 대역폭 조정 촉진기(facilitator)는 상기의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의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면, 대역폭 트로틀러(throttler)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된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한다. 시스템은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pay-per-specific time model) 또는 활동 당 지불 모델(pay per action model) 중 하나에 기반하여 과금 및 청구 중 하나 이상을 하는데 더 적당할 수 있다.
발명은 전기통신 시스템(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의 사용에 알맞게 적합하고 기존의 전기통신 시스템(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변경들을 요구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MOUNT OF DATA BANDWIDTH PROVIDED TO A MOBILE DEVICE}
제시되는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된다. 시스템 및 방법은 전기통신 캐리어(telecommunications carrier)에 선-지불(pre-paid) 가입자 계정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대역폭의 조정에 특히 적합하지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시되는 발명은 이러한 맥락에서 서술될 것이다.
제시되는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된다. 시스템 및 방법은 전기통신 캐리어(telecommunications carrier)에 선-지불(pre-paid) 가입자 계정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대역폭의 조정에 특히 적합하지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제시되는 발명은 이러한 맥락에서 서술될 것이다.
스마트폰들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사람들이 인터넷에 연결, 서로를 연결 및/또는 온라인 게임들을 하기 위한 대중적인 수단으로서 최근에 전통적인 데스크톱 또는 랩톱 PC들을 능가해왔다. 이것은 부분적으로는 소셜 네트워크들(social networks) 및 모바일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mobile software applications)에 의해 달성되었을 수 있다. 모바일 폰들의 주요 장점은 사용자가 어디에 있던 간에 "항상 온(Always On)"되거나 인터넷에 연결되는 그들의 능력에 있다. 모바일 폰 사용자들은 데이터 셀룰러 연결(세계 무선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제3 세대 이동통신기술 규격(3Generation; 3G),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또는 제4 세대 이동통신기술 규격(4Generation; 4G) 등)이 설립될 수 있는 한 사용자들이 어디에 있던 간에, 인스턴트 메세징 메세지들, "페이스북TM" 태그들 또는 "트윗들TM"에 대해 실 시간으로 즉시 수신 및/또는 응답할 수 있다.
모바일 폰의 상기의 장점은 다수의 전기통신 캐리어(telecommunication carrier) 가입자들이 모바일 데이터 후-지불(post-paid) 방침들을 선호하는 시장들을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후-지불(post-paid) 방침들의 가입자들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로 제한되는(capped), 예를 들어 12 기가바이트(Gigabytes; GB), 무제한 인터넷 데이터 접근 또는 데이터 사용에 매달 더 지불하는 것에 대해서 상관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선지불(prepaid) 방침들"(또는 "페이-애즈-유-고"(pay-as-you-go) 방침들)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에 의해 지배되는 시장들에서 "항상 온(always on)" 인터넷 또는 데이터 연결을 제공하는 것은 전기통신 캐리어들(telecommunications carriers)에게 도전으로서 남아있었다. 이러한 시장들에서, 사용자들은 인터넷 접근에 대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가입 비용을 지불하는 것에 대해 덜 자발적일 수 있다. 전형적인 선지불(prepaid) 방침은 30분의 빠른 인터넷 접근에 대한 10 페소(pesos)와 같이, 특정-시간-당-지불 모델(pay-per-specified-time model)에 기반할 수 있다.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pay-per-specified time model)의 다른 변형은 하루 당 20페소(pesos)에 대한 페이스북TM 또는 트위터TM와 같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들로만의 매일 "항상 온(always on)"인 접근일 수 있다.
선지불(prepaid) 방침 사용자들에게 비용이 일반적으로 중요한 관심이 됨에 따라, 전기통신 캐리어들(telecommunications carriers)의 도전은 매일 20페소(pesos) 미만과 같은 상대적으로 더 낮은 "봉지(sachet)" 가격 포인트들에서 인터넷 연결을 전달하는(deliver) - 그러나 여전히 선지불 방침 사용자들에게 "항상 온(always on)" 경험, 즉 인터넷 온 디맨드(on demand)를 제공하는 - 것일 수 있다. 데이터 대역폭 소비의 면에서 효율적인 특정(certain) 폰들에 대해 이것이 가능할 수 있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데이터 대역폭을 요구하는 더 최근의 스마트폰들 모델들에 대해서 그러한 "봉지(sachet)" 가격 포인트들을 구현하는 것은 전형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봉지(sachet)" 가격 포인트들을 구현하는 것과 같이 그들의 데이터 대역폭 사용량(usage)을 제어하고 조정함에 있어서 어느정도의(certain) 유연성(flexibility)을 그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시장을 점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선지불 방침 사용자들이 데이터 대역폭을 제어하고 그들의 대역폭 사용량을 감시하는 것이 가능할 지라도, 알려진 준비된(in place) 제어 메커니즘은 "올 오어 낫씽(all or nothing)" 접근법들, 즉 데이터 접근이 "올(all)"(최대의 데이터 대역폭) 또는 "낫씽(nothing)"( 어떤 데이터 대역폭도 없는 것) 중 하나로 변경될 수만 있는 접근법들일 수 있다. 상기의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사용량에 의존하여 그 또는 그녀가 원하는대로 및 원하는 때에 다른 레벨들의 데이터 대역폭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의 유연성(flexibility)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제시되는 발명은 최소한 일부에 있어서 상기에 언급된 결점들을 완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을 시도할(seek) 수 있다.
제시되는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대역폭의 양의 조정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배치된 대역폭 조정 촉진기(facilitator) 및 상기의 대역폭 조정 촉진기(facilitator)와 통신하고, 과잉의 가용한 데이터 대역폭을 상기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한(cap)하거나 또는 할당하는데 적합화된 대역폭 트로틀러(throttler)를 포함하고 상기의 요청의 수신에 있어서, 상기의 대역폭 조정 촉진기(facilitator)는 상기의 요청을 처리하고 만약 상기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면, 상기의 데이터 트로틀러를 통해 상기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상기의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대역폭의 양의 조정에 대한 상기의 요청은 단문 메세징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메시지, 전자 텍스트 메시지(elctronic text message) 또는 비구조형 부가 서비스 데이터(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메시지의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데이터 대역폭은 데이터 대역폭이 9.6 kbps 이하인 트리클 모드(trickle mode) 및 데이터 대역폭이 적어도 2Mbps인 부스트 모드(boost mode)의 두 가지 모드들 간에서 조정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가입자들의 세부사항들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및 각 가입자에 대한 가용한 자금의 지불 및 체크와 각 가입자의 트랜잭션(transaction)의 히스토리의 유지에 대한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배치된 계정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지불(pre-paid) 가입자에 대한 디폴트(default) 모드는 트리클 모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량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대역폭 조정 촉진기로 상기의 요청을 자동으로 전송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대역폭 조정 촉진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량 프로파일을 감시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대역폭 조정 촉진기는 프롬프트(prompt)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데 적합화될 수 있고, 사용량 프로파일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하기를 희망하는지를 그에게 프롬프팅(prompting)할 수 있다.
데이터 대역폭이 부스트 모드로 조정되어야만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사용량 프로파일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소정의 시간의 기간 동안 상기 트리클 모드(trickle mode)의 상기 최대 데이터 대역폭을 소비하였는지를 검출, 소정의 시간의 기간 동안 비디오, 이미지들 또는 대용량의 파일들을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화된 연결이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및 아이피(Internet Protocol; IP) 주소 중 하나 이상을 갖고 설립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 특정 유형 및 크기의 파일이 접근되거나 다운로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인터넷 데이터 통신 규약(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다운로드를 사용하는지를 검출하는 것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역폭 조정 촉진기는 상기의 요청을 처리하기에 앞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근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 APN)을 체크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역폭 사용량은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pay-per-specific time) 또는 활동 당 지불 모델(pay per action mode)에 기반하여 청구되거나(charged) 또는 과금될(billed)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 또는 활동 당 지불 모델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대역폭 조정 촉진기로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고, 대역폭 조정 촉진기는, 상기의 요청을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을 구현하는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billing infrastructure) 및 상기 활동 당 지불 모델을 구현하는 독립적인 과금 모듈(billing module) 간의 토글(toggle)하는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로부터 독립적인 과금 모듈로의 상기의 토글링(toggling)은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를 스위치 오프(switching off)하거나 또는 데이터 대역폭 연결을 제로 요율(zero tariff)로서 정의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시되는 발명의 두 번째 측면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대역폭을 조정하기 위한 요청을 대역폭 조정 촉진기(facilitator)에서 수신하는 단계, 대역폭을 조정하기 위한 상기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의 성공적인 처리에 있어서 대역폭 트로틀러(throttler)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의 조정에 대한 상기의 요청은 단문 메세징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메시지, 전자 텍스트 메시지(elctronic text message) 또는 비구조형 부가 서비스 데이터(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메시지 중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역폭은 데이터 대역폭이 9.6kbps 이하인 트리클 모드 및 데이터 대역폭이 적어도 2Mbps인 부스트 모드를 포함하는 두가지 모드들 간에서 조정가능할 수 있다.
상기의 처리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입자 계정 및 가입자 유형 - 상기 가입자 유형은 선-지불 또는 후-지불임 - 을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체크하는 단계 및 대역폭의 상기 조정을 만들기 위해 가용한 자금들에 대해 계정 데이터베이스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지불 가입자의 디폴트 모드는 트리클 모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량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대역폭 조정 촉진기로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역폭 조정 촉진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량 프로파일을 감시하고 사용량 프로파일에 따라 부스트 모드로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하기 위한 프롬프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대역폭이 부스트 모드로 조정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사용량 프로파일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소정의 시간의 기간 동안 트리클 모드의 최대 데이터 대역폭을 소비하였는지의 여부, 소정의 시간의 기간 동안 비디오, 이미지들 또는 대용량의 파일들을 전달한다고 알려진 활성화된 연결이 유알엘 및 아이피 주소 중 하나 이상을 갖고 설립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 특정 유형 및 크기의 파일이 접근되거나 다운로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프로그레시브 인터넷 데이터 통신 규약 다운로드를 사용하는지를 검출하는 것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방법은 상기의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에 앞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근 포인트 이름을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방법은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 또는 활동 당 지불 모델 중 하나에 기반하여 소비된 대역폭에 대해 과금하는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 또는 활동 당 지불 모델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대역폭 조정 촉진기로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고, 대역폭 조정 촉진기는, 상기의 요청을 수신함에 있어서,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을 구현하는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 및 활동 당 지불 모델을 구현하는 독립적인 과금 모듈 간에서 토글하여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의 토글링은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를 스위치 오프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대역폭 연결을 제로 요율로서 정의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시되는 발명의 세 번째 측면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의 실행으로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하는 두 번째 측면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은 사용자 프로파일을 감시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시되는 발명의 네 번째 측면에 따라서,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pay-per-specific time model) 또는 활동 당 지불 모델(pay per action model) 중 하나의 선택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제시되는 발명은 동반되는 도면들에 대한 참조와 함께, 예시의 방법으로만, 이제 서술될 것이다.
도 1은 제시되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하는 시스템의 개념적인 표현일 수 있다.
도 2는 제시되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대역폭의 조정을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시스템에 대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할 수 있다.
도 3은 제시되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립적인 청구 및 과금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기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하는 시스템의 개념적인 표현일 수 있다.
발명의 다른 방식들이 가능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하기의 동반되는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반성의 대체로서 이해되지 않을 수 있다.
제시되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4)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10)이 존재할 수 있다. 시스템(10)은 대역폭 트로틀러(throttler)(24)와 통신하는 대역폭 조정 촉진기(facilitator)(16),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8) 및 계정 데이터베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데이터 대역폭은 전기통신 캐리어(telecommunications carrier)(12)와 같은 호스트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4)에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4)는 모바일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앱들'(apps)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4)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GSM 에볼루션에 대한 향샹된 데이터 속도(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제3 세대 이동통신기술(3 Generation; 3G),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또는 제4 세대 이동통신기술(4 Generation; 4G) 등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들을 통해 모바일 데이터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대역폭 조정 촉진기(16)는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사용자로부터 전기통신 네트워크(12)로의 데이터 대역폭 조정에 대한 요청들(22)을 처리하는 데 적당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대역폭 조정 촉진기(16)는 인터넷으로의 연결에 대한 프록시 게이트웨이 서버 안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의 요청들(22)은 단순 텍스트 또는 단문 메세징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비구조형 부가 서비스 데이터(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메시지들 또는 다른 형태의 전자적 신호 및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형태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4) 상에 이러한 목적에 대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8)는 각 가입자 모바일 폰의 모바일 가입자 통합 서비스 디지털 네트워크 번호(Mobile Subscribe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Number; MSISDN)와 같은 가입자들의 전기통신 네트워크(12)에 대한 세부사항들을 유지할 수 있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8)는 모바일 디바이스(14)의 가입자에 대한 가용한 자금을 지불 및 체크하는 계정 데이터베이스(2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계정 데이터베이스(20)는 각 가입자의 트랜잭션(transaction)의 히스토리를 더 유지할 수 있다.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인 경우에 대하여, 대역폭 조정 촉진기(facilitator)(16) 및 대역폭 트로틀러(throtler)(24)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코어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및 서비스 인식 지원 노드(Service Aware Support Node; SASN) 간에 전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발명은 이제 그것의 의도된 사용의 맥락으로 서술될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4)는 모바일 디바이스(14)의 특별한 모델에 의존하는 전용의(dedicated) 모바일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아이폰TM 또는 안드로이드TM와 같은 전형적인 스마트폰의 경우에, 이것은 흔히(colloquially) "앱"(app)이라고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참조를 돕기 위해, 전용의(dedicated) 모바일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교환적으로(interchangeably) "부스트 앱"(Boost Apps)으로 알려질 것이다.
사용에 앞서, 모바일 디바이스(14)는 모바일 디바이스(14)의 모바일 가입자 MSISDN의 체크들 또는 숙련된 사람에게 잘 알려진 다른 방법들을 통해 시스템(10)의 가입자로서 등록되었는지 여부가 체크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디바이스(14)가 가입자가 아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근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 APN)을 변경하도록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메시지를 알림 받을 수 있다(prompted). 메시지의 일 예는 하기와 같을 수 있다.
"ABC 부스트 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당신의 스마트폰의 접근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 APN)을 internet.abc.com으로 변경해주세요."
모바일 디바이스(14)가 시스템(10)에 대한 가입자로서 이미 등록되었으면, APN을 변경하라는 프롬프트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으로, 전기통신 캐리어 (12)는 제시되는 발명을 수행하는 전용의 APN들을 가질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사용자에게 APN을 부합되게(accordingly) 변경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APN의 변경은 전기통신 캐리어 (12)의 프록시 인터넷 게이트웨이(proxy internet gateway)를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데이터 통신이 시스템(10)을 통해 라우트되도록(routed) 안내할 수 있다.
설치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30)은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manually) 활성화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은 원하는 대로 대역폭을 조정하는 옵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2 참조)를 열 수 있다. 또는 설치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14)의 가입자의 데이터 사용량 프로파일을 탐지하는 검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알고리즘은 이후에서 논의될 것이다.
다음으로 모바일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30)은 그의 데이터 속도의 제어를 '트리클'(trickle) 모드(즉, 9.6kbp부터 14.4kbps) 및 '부스트'(boost) 모드(예를 들면, 제3 세대 이동통신기술(3G) 상에서는 2Mbps이상) 간에 온 디맨드(on demand)로 토글(toggle)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선-지불(pre-paid) 계약 또는 방침을 갖는 가입자에 대해, 데이터 속도에 대한 디폴트 모드는 '트리클'(trickle) 모드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부스트'(Boost) 버튼을 클릭함에 있어서, 데이터 속도를 '트리클'(trickle)로부터 '제3 세대 이동통신'(3Generation; 3G) 또는 더 높이(네트워크의 한계에 의존하여) 변경하는 상기의 요청(22)은 대역폭 조정 촉진기(16)에 전송될 수 있다. 대역폭 조정 촉진기(16)는 모바일 디바이스(14)의 MSISDN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8)에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상기의 요청의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게 알려진 대로 가입자를 인증하기 위하여 암호 인증, SMS 인증과 같은 추가적인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의 요청(22)이 성공적으로 확인되면, 대역폭 조정 촉진기(16)는 가입자가 '부스트'에 대해 지불할 충분한 자금을 가졌는지 확실히 하기 위해 계정 데이터베이스(20)를 체크할 수 있다.
가입자 선-지불(pre-paid) 계정 또는 선-지불(pre-paid) 카드에 충분한 자금이 있는지를 결정함에 있어서, 대역폭 조정 촉진기(16)는 모바일 디바이스(14)의 가입자에 대한 대역폭 설정들의 조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것은 대역폭 트로틀러)(24)를 통해 실행될 수 있는데, 대역폭 트로틀러는 모바일 디바이스(14) 및 인터넷 간의 연결의 데이터 속도를 제한(cap)하거나 과잉의 가용한 대역폭을 모바일 디바이스(14)에 허용하는 것 중 하나일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것처럼, 수동으로 전용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30)을 활성화하는 것 대신에, 모바일 디바이스(14)에 설치된 전용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30)은 모바일 디바이스(14)에 대한 가입자의 사용량 프로파일을 탐지하는 검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알고리즘은 대역폭 조정 촉진기(facilitator)(16)에 또한 설치될 수 있다.
가입자가 이미지를 다운로딩하거나, 비디오를 시청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이미지 및 그래픽 중 하나 이상에 집약적인 웹사이트를 포함하는 대용량의 파일에 접근할 것 같다는 것을 검출 알고리즘으로부터 추론함에 있어서 따라서 더 많은 데이터 대역폭을 요구함에 있어서, 대역폭 조정 촉진기(16)는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사용자에게 알림(alert)(23)을 띄우는(prompt) 전용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검출 알고리즘의 결과들에 기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사용자에게 알림(23)을 띄우는 것(prompting)에 연관된 '규칙들'은 하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 모바일 디바이스(14)가 일정 시간의 기간(a period of time) 동안 14.4kbps에서 '트리클' 모드의 최대 데이터 대역폭을 소비하였는지를 검출하는 것,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마도(possibly)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비디오를 보는 것을 시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10 초는, 따라서 사용자에게 그가 그의 연결을 (수수료를 징수하여) 부스트하기를 원하는 지에 대한 알림(alert)을 띄우는(prompt) 앱(app)을 활성화할 수 있다.
■ 비디오, 그림들, 또는 대용량의 파일들(예를 들어 www.facebook.com/video, www.youtube.com)을 전달한다고 알려진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및 아이피(Internet Protocol; IP) 주소 중 하나 이상을 갖고 활성화된 연결이 설립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
■ 순수한 텍스트 또는 경량의 하이퍼텍스트 기술용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이미지들과는 대조적으로 미디어 파일 포맷들이 다운로드 될 것을 제안할 수 있는 .RAR, .ZIP, .DOC, .DOCX, .RTF, .PPT, .ODP, .JPG, .BMP, ,PNG, .TIF, .PDF, .3GP, .AVI, .WMV, .M4V, .MPEG, .VOB, .MKV, .ASF, .M4V, .FLV, .MOV, .MP3, .AAC, .WAV, .WMA, .AU 등으로 끝나는 파일들 또는 URL과 같은 특정 타입 및 크기의 파일이 접근되거나 다운로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 및/또는
■ 사용자가 다운로딩에 대한 방법으로서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HTTP 다운로드'를 사용하는지를 검출하는 것.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들(internet gateway servers)은 다운로드될 파일이 얼마나 큰 지를 또는 파일의 타입을 검출할 수 있고, 그런 까닭에 인터넷 데이터 대역폭의 '부스트'에 대한 알림을 작동시키기 위해 전용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전용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14)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요청(22)은 상기의 규칙들 중 하나 이상이 만족된다고 일단 결정되면 대역폭을 조정하기 위해 대역폭 조정 촉진기(16)에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인스턴스들(instances) 각각에서, 전기통신 캐리어 (12)는 전용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30)에 가능한 "부스트하도록 설득(upsell to BOOST)" 알림 또는 통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술된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및 원하는 때에 '부스트'를 중단하거나 일시중지하도록 더 허용할 수 있고, 따라서 선-지급 방침의 그의 잔존 크레딧(credit)의 부분을 잘 제어할 수 있다.
제시되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대로, 동일한 숫자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참조하며, 모바일 디바이스(14)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100)이 존재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대역폭 트로틀러(24)와 통신하는 대역폭 조정 촉진기(16),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8) 및 계정 데이터베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00)은 '활동 당 지불'에 기반하는 독립적인 과금 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대역폭 조정 촉진기(16)는 다른 요금 율들(charging rates) 또는 방침들의 목록을 더 유지할 수 있고 기존의 과금 스트럭처로부터 활동 당 지불 독립 과금 모듈(300)로 토글하는(toggle) 토글링(toggling)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독립적인 과금 모듈(300)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8) 및 계정 데이터베이스(20)와의 데이터 통신하는 동작가능할 수 있다. 독립적인 과금 모듈(300)은 가입자에게 그의 인터넷 대역폭 사용량에 대한 청구 및 과금 중 하나 이상에 대해 '활동 당 청구(per action charging)'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독립적인 과금 모듈(300)은 기존의 과금 청구 스트럭처 및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 이상의 변경을 요구하지 않고 기존의 자원들에 편리한 '애드-온(add-on)"으로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활동 당 청구'는 가입자에 의해 취해진 활동에 기반하여 청구하는 모델일 수 있다. 그러한 활동(들)의 예들은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i. 페이스북TM 또는 트위터 등의 다른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들 상의 일인의 상태를 갱신하는 것.
ii. 유튜브TM 상에서 10-분-까지 비디오 또는 '영화(flick)'를 보는 것. 이 점에서, 과금 또는 청구는 전체 다운로드 또는 보기에 대해 한 번 발생할 수 있다, 즉 과금 및 청구 중 하나 이상은 다운로드 또는 스트림 시작에 얼마나 오래 걸렸는지에 상관없이 동일할 수 있다. 이것은 가입자 및 엔드-유저 중 하나 이상은 다운로드에 걸린 시간에 기반하여 청구되는 전통적인 '특정 시간-당-지불' 청구에 대조될 수 있다.
iii.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들(유튜브TM 보기 예와 유사하게, 사용자에 대한 과금 및 청구 중 하나 이상은 사진을 업로드하는데 얼마나 오래 걸렸는지 또는 업로드에 수반된 파일이 얼마나 큰 지와는 상관없이 동일할 수 있다.)에 이미지들 및 비디오들 중 하나 이상을 업로딩하는 것 및/또는
iv.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또는 전기통신 네트워크 서비스 공급자 가 정의할 수 있는 다른 활동들. 이것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앱들(apps)")의 수신자 부담(toll free) 다운로드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이후의 기능들(상기의 i 부터 iii을 포함하는)을 수행하는 이러한 앱들의 사용량은 활동 당 기반으로 청구될 수 있다.
실시예의 맥락에서, '활동 당 청구'의 정의의 범위에 들어갈 수 있는 다른 활동들은 '전용의 스마트폰 '앱' 내에서의 클릭 당' 및 웹 브라우저 내에서의 클릭 당 중 하나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활동 당 청구'는 그것이 선-지불 가입자가 전통적인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 (30분의 인터넷 연결 당 10페소 및/또는 페이스북TM 또는 트위터TM와 같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들에 대해서만 매일 '항상 온(always on)' 접근에 대하여 매일 20페소와 같은 '특정 시간-당-지불' 모드)로부터 시간, 위치 및/또는 사용량과 같은 그의 기호에 의존하는 '활동 당 청구' 모델까지에서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선-지불 가입자에 대해 추가적인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전에 논의된 '부스트 앱(Boost App)'은 모바일 디바이스(14)의 가입자에게 '특정 활동-당-지불' 청구 및 과금 모델 중 하나 이상 및 '활동 당 청구' 청구 및 과금 모델 중 하나 이상 간의 토글을 허용하는 추가적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활동 당 청구로의 전환에 대한 상기의 요청(220)은 단순 텍스트 또는 SMS, 비구조형 부가 서비스 데이터(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메시지들의 형태 또는 다른 형태의 전자적인 신호 및 메세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14)에 그러한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가입자의 데이터 대역폭 사용량 청구 및 과금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과금 모듈(300)의 사용에 있어서 강조되는 실시예는 그것의 사용의 맥락에서 하기에서 서술될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사용자로부터의 요청(220)을 통해 활동 당 청구가 채택된 것이 검출됨에 있어서, 대역폭 조정 촉진기(16)는 전기통신 캐리어의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로부터 과금 모듈(300)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은 a.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를 스위치 오프하는 것 또는 b. 인터넷 연결을 제로 요율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의 무료와 대등한)로 정의함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과금 모듈(300)은 앞서 논의된 대로 '트리클 모드' 및 '부스트 모드' 간의 대역폭의 조정에 의존하는 활동 당 청구에 기반하여 과금 및 청구 중 하나 이상을 인계받을(take over) 수 있다.
과금 모듈(300)은 데이터 대역폭의 유연한 조정을 보완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요청(22)이 활동 당 청구에 기반하여 과금하는 상기의 요청(220)과 함께 '트리클'로부터 '부스트' 모드로 대역폭을 조정하기 위해 대역폭 조정 촉진기(16)에 전송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4)의 가입자는 활동 당 청구 모델에 기반하여 과금되는 '트리클'의 사용과 비교하여 활동 당 청구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거의 동일한 요금들에서 더 빠른 스피드의 비디오들 및 파일들 중 하나 이상에 접근을 즐길 수 있다.
시스템(100)은 사용의 다른 치환들(permutations) 및 조합들(combinations)을 포함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 특히, 과금 모듈(300)은 특정 웹사이트들, URL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PIs) 및 아이피 주소들(IP addresses) 접근에 대한 가격책정(pricing)에 있어서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들로의 접근은 가입자에게 모바일 데이터 요금들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할인된 요율(discounted rate)에 있을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예시적으로만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에게 명백한 추가적인 변경들 및 개선들이 여기서 서술되는 제시되는 발명의 넓은 시야(scope) 및 영역(ambit)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최소 요구조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4)가 전용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30)을 지원할 수 없는 이벤트(event)에서는, 요청(22)은 단순한 SMS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 두 가지 모드들 이상의 데이터 대역폭은 사용자의 및 가입자들의 중 하나 이상의 필요들에 의존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클' 모드(9.6kbps이하, 통지 및 텍스트 인스턴트 메시지들에 적합; 약 384kbps의 EDGE 또는 GPRS 브라우징, 일반 인터넷 메세징 및 이미지들 또는 그림들이 있는 HTML 페이지들의 브라우징 중 하나 이상에 적합; 그리고 약 2Mbps이상의 속도를 가진 3G 모드는 비디오들 시청 및 제3세대 이동통신기술 화상 통화들(3G video calls) 중 하나 이상 등에 적합할 수 있다.
■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사용자가 대역폭의 부스팅을 토글 오프(toggle off) 또는 일시중지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은 또한 전용의 모바일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적합할 수 있다. 그러한 옵션은 사용자가 그의 또는 그녀의 선-지불 크레딧들에 대한 더 나은 제어를 갖도록 허용할 수 있다.
■ 상기에 언급된 대로, 전용의 모바일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30)은, 만약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사용자가 허용한다면, 자동적인(automatic) 모드로 갈 수 있다. 자동적인 모드에서 전용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사용자에 의해 취해질 법한 활동들(즉, 상술된 검출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수동적으로 푸쉬(push) 통지들을 기다림 또는 '무거운 콘텐트(heavy content)'에 접근함)에 의존하여 데이터 대역폭을 자동으로 부스트하거나 언부스트(unboost)할 수 있다. 발생되는 비용을 인식하는 사용자를 돕기 위해서, 사용자는 만약 그가 '부스트' 모드에 있고 그로인해 더 높은 선-지불 크레딧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 백그라운드에서 통지될 수 있다. 자동적인 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14)의 사용자에 의해 어느 시점에서도 수동적으로 '오버라이드(override)'될 수 있다.
■ 시스템(100)에서, '활동 당 청구' 과금 방법에 추가적으로, "웹 자원들의 정의된 집합에 대한 고정 수수료(flat fee)" 방법 또는 둘의 조합이 채택될 수 있다.

Claims (27)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대역폭의 양의 조정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배치된 대역폭 조정 촉진기(facilitator); 및
    상기 대역폭 조정 촉진기와 통신하고, 과잉의 가용한 데이터 대역폭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한(cap)하거나 할당하는데 적합화된 대역폭 트로틀러(throttler)
    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의 수신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조정 촉진기는 상기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면, 상기 대역폭 트로틀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된 상기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대역폭의 양의 조정에 대한 상기 요청은 단문 메세징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메시지, 전자 텍스트 메시지(elctronic text message) 또는 비구조형 부가 서비스 데이터(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메시지 중 하나의 형태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대역폭은 데이터 대역폭이 9.6kbps 이하인 트리클 모드(trickle mode) 및 데이터 대역폭이 적어도 2Mbps인 부스트 모드(boost mode)를 포함하는 두가지 모드들 간에서 조정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입자들의 세부사항들을 유지하기도록 배치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및
    각 가입자에 대한 가용한 자금의 지불 및 체크와 각 가입자의 트랜잭션(transaction)의 히스토리의 유지에 대한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배치된 계정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5. 제3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선-지불(pre-paid) 가입자의 디폴트(default) 모드는 상기 트리클 모드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량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대역폭 조정 촉진기에 상기 요청을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배치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조정 촉진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량 프로파일을 감시하고 상기 사용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하기 위한 프롬프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배치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8. 제3항 및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대역폭을 부스트 모드로 조정하는 상기 사용량 프로파일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소정의(predetermined) 시간의 기간 동안 상기 트리클 모드의 상기 최대 데이터 대역폭을 소비하였는지의 여부;
    소정의시간의 기간 동안 비디오, 이미지들 또는 대용량의 파일들을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화된 연결이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및 아이피(Internet Protocol; IP) 주소 중 하나 이상을 갖고 설립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
    특정 유형 및 크기의 파일이 접근되거나 다운로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인터넷 데이터 통신 규약(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다운로드를 사용하는지를 검출하는 것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조정 촉진기는 상기 요청을 처리하기에 앞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근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 APN)을 체크하도록 배치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대역폭 사용량은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pay-per-specific time model) 또는 활동 당 지불 모델(pay per action model) 중 하나에 기반하여 청구되거나 과금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 또는 활동 당 지불 모델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대역폭 조정 촉진기로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활성화되고, 상기 대역폭 조정 촉진기는, 상기 요청을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을 구현하는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billing infrastructure) 및 상기 활동 당 지불 모델을 구현하는 독립적인 과금 모듈(billing module) 간의 토글(toggle)하는 동작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로부터 상기 독립적인 과금 모듈로의 상기 토글링(toggling)은 상기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를 스위치 오프(switching off)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대역폭 연결을 제로 요율(zero tariff)로서 정의함에 의해 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13.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대역폭을 조정하기 위한 요청을 대역폭 조정 촉진기(facilitator)에서 수신하는 단계;
    대역폭을 조정하기 위한 상기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의 성공적인 처리에 있어서 대역폭 트로틀러(throttler)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대역폭의 양의 조정에 대한 상기 요청은 단문 메세징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메시지, 전자 텍스트 메시지 또는 비구조형 부가 서비스 데이터(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메시지 중 하나의 형태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은 데이터 대역폭이 9.6kbps 이하인 트리클 모드(trickle mode); 및 데이터 대역폭이 적어도 2Mbps인 부스트 모드(boost mode)를 포함하는 두가지 모드들 간에서 조정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입자 계정 및 상기 가입자 유형 - 상기 가입자 유형은 선-지불(pre-paid) 또는 후-지불(post-paid)임 - 을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체크하는 단계; 및
    대역폭의 상기 조정을 만들기 위해 가용한 자금들에 대해 계정 데이터베이스를 체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
  17. 제15항 및 제16항에 있어서,
    선-지불 가입자의 디폴트(default) 모드는 상기 트리클 모드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량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상기 대역폭 조정 촉진기로 자동으로 전송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조정 촉진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량 프로파일을 감시하고 상기 사용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하기 위한 프롬프트(prompt)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배치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
  20. 제15항 및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사용량 프로파일을 상기 감시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소정의(predetermined) 시간의 기간 동안 상기 트리클 모드의 상기 최대 데이터 대역폭을 소비하였는지의 여부;
    소정의 시간의 기간 동안 비디오, 이미지들 또는 대용량 파일들을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화된 연결이 유알엘(Uniform Resource Locator; URL) 및 아이피(Internet Protocol; IP) 주소 중 하나 이상을 갖고 설립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
    특정 유형 및 크기의 파일이 접근되거나 다운로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것;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인터넷 데이터 통신 규약(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다운로드를 사용하는지를 검출하는 것
    중 하나 이상에 기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근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 APN)을 체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pay-per-specific time model) 또는 활동 당 지불 모델(pay per action model) 중 하나에 기반하여 소비된 상기 대역폭에 대해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 또는 활동 당 지불 모델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대역폭 조정 촉진기로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활성화되고, 상기 대역폭 조정 촉진기는, 상기 요청을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을 구현하는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billing infrastructure) 및 상기 활동 당 지불 모델을 구현하는 독립적인 과금 모듈(billing module) 간의 토글(toggle)하는 동작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로부터 상기 독립적인 과금 모듈로의 상기 토글링(toggling)은 상기 기존의 과금 인프라스트럭처를 스위치 오프(switching off)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대역폭 연결을 제로 요율(zero tariff)로서 정의함에 의해 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방법.
  25.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상기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의 실행으로 상기 데이터 대역폭을 조정하는 제13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은 제20항에 따라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7.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상기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의 실행으로 상기 특정 시간-당-지불 모델(pay-per-specific time model) 또는 상기 활동 당 지불 모델(pay per action model)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3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37033824A 2011-06-29 2012-06-28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54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02462P 2011-06-29 2011-06-29
US61/502,462 2011-06-29
SG2011087194A SG186527A1 (en) 2011-06-29 2011-11-24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internet access to a computing device
SG201108719-4 2011-11-24
PCT/SG2012/000230 WO2013002732A1 (en) 2011-06-29 2012-06-28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mount of data bandwidth provided to a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387A true KR20140016387A (ko) 2014-02-07
KR101554807B1 KR101554807B1 (ko) 2015-10-06

Family

ID=4816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824A KR101554807B1 (ko) 2011-06-29 2012-06-28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874073B2 (ko)
EP (1) EP2727399B1 (ko)
JP (1) JP6157009B2 (ko)
KR (1) KR101554807B1 (ko)
CN (1) CN103636255B (ko)
AR (1) AR087025A1 (ko)
AU (1) AU2012276325B2 (ko)
BR (1) BR112013032330A2 (ko)
CA (1) CA2838263C (ko)
CO (1) CO6870010A2 (ko)
MX (1) MX337720B (ko)
MY (1) MY165069A (ko)
RU (1) RU2603692C2 (ko)
SG (1) SG194837A1 (ko)
TW (1) TWI511587B (ko)
WO (1) WO2013002732A1 (ko)
ZA (1) ZA2013091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07495A1 (en) 2002-01-08 2003-07-24 Seven Networks, Inc. Connection architecture for a mobile network
US8438633B1 (en) 2005-04-21 2013-05-07 Seven Networks, Inc. Flexible real-time inbox access
WO2006136660A1 (en) 2005-06-21 2006-12-28 Seven Networks International Oy Maintaining an ip connection in a mobile network
US8805425B2 (en) * 2007-06-01 2014-08-12 Seven Networks, Inc. Integrated messaging
US9002828B2 (en) * 2007-12-13 2015-04-07 Seven Networks, Inc. Predictive content delivery
US8862657B2 (en) 2008-01-25 2014-10-14 Seven Networks, Inc. Policy based content service
US20090193338A1 (en) 2008-01-28 2009-07-30 Trevor Fiatal Reducing network and battery consumption during content delivery and playback
US8909759B2 (en) 2008-10-10 2014-12-09 Seven Networks, Inc. Bandwidth measurement
US8838783B2 (en) 2010-07-26 2014-09-16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caching for resource and mobile network traffic management
US9043433B2 (en) 2010-07-26 2015-05-26 Seven Networks, Inc. Mobile network traffic coordination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WO2012060995A2 (en) 2010-11-01 2012-05-10 Michael Luna Distributed caching in a wireless network of content delivered for a mobile application over a long-held request
US8903954B2 (en) 2010-11-22 2014-12-02 Seven Networks, Inc. Optimization of resource polling intervals to satisfy mobile device requests
US8843153B2 (en) 2010-11-01 2014-09-23 Seven Networks, Inc. Mobile traffic categorization and policy for network use optimization while preserving user experience
US9325662B2 (en) 2011-01-07 2016-04-26 Seven Net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tion of mobile network traffic used for domain name system (DNS) queries
WO2012145544A2 (en) 2011-04-19 2012-10-26 Seven Networks, Inc. Device resource sharing for network resource conservation
US8621075B2 (en) 2011-04-27 2013-12-31 Seven Metworks, Inc. Detecting and preserving state for satisfying application requests in a distributed proxy and cache system
US8832228B2 (en) 2011-04-27 2014-09-09 Seven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requests on behalf of a mobile device based on atomic processes for mobile network traffic relief
US8918503B2 (en) 2011-12-06 2014-12-23 Seven Networks, Inc. Optimization of mobile traffic directed to private networks and operator configurability thereof
EP2789138B1 (en) 2011-12-06 2016-09-14 Seven Networks, LLC A mobile device and method to utilize the failover mechanisms for fault tolerance provided for mobile traffic management and network/device resource conservation
US9009250B2 (en) 2011-12-07 2015-04-14 Seven Networks, Inc. Flexible and dynamic integration schemas of a traffic management system with various network operators for network traffic alleviation
WO2013086447A1 (en) 2011-12-07 2013-06-13 Seven Networks, Inc. Radio-awareness of mobile device for sending server-side control signals using a wireless network optimized transport protocol
EP2792188B1 (en) 2011-12-14 2019-03-20 Seven Networks, LLC Mobile network reporting and usage analytics system and method using aggregation of data in a distributed traffic optimization system
US9713194B2 (en) * 2011-12-28 2017-07-18 United States Cellul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network reassignment
US8812695B2 (en) 2012-04-09 2014-08-19 Seven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a virtual network connection without heartbeat messages
US8775631B2 (en) * 2012-07-13 2014-07-08 Seven Networks, Inc. Dynamic bandwidth adjustment for browsing or streaming activity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prediction of user behavior when interacting with mobile applications
US9405355B2 (en) 2012-08-21 2016-08-02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operation power management by data transfer time adjustment
SG2012077830A (en) * 2012-10-18 2014-05-29 Chikka Pte Ltd Instant messaging system
US8874761B2 (en) 2013-01-25 2014-10-28 Seven Networks, Inc. Signaling optim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for traffic utilizing proprietary and non-proprietary protocols
US9326185B2 (en) 2013-03-11 2016-04-26 Seven Networks, Llc Mobile network congestion recognition for optimization of mobile traffic
EP2989814B1 (en) * 2013-04-02 2019-05-08 Sierra Wireles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wireless network access and billing to subscribers
US9065765B2 (en) 2013-07-22 2015-06-23 Seven Networks, Inc. Proxy server associated with a mobile carrier for enhancing mobile traffic management in a mobile network
SG2013057476A (en) * 2013-07-29 2015-02-27 Chikka Pte Ltd Data bandwidt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50058481A1 (en) * 2013-08-22 2015-02-26 Bruce D. Miller Method & apparatus for measuring power, bandwidth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 network infrastructure from another network infrastructure
US9832043B2 (en) * 2014-02-07 2017-11-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Bandwidth boosting in shared local networks
SG10201400143UA (en) * 2014-02-21 2015-09-29 Smart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financial loans
US9300538B2 (en) 2014-07-10 2016-03-29 Cisco Technology, Inc. On-demand bandwidth provisioning in a network environment
US9622145B2 (en) 2014-12-05 2017-04-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for providing media content
CN113423121A (zh) * 2015-08-17 2021-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带宽的配置方法、装置以及数据传输方法、装置
US10659375B2 (en) 2017-02-17 2020-05-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trolling data rate based on domain and radio usage history
US11883876B2 (en) 2017-06-12 2024-01-30 Wagstaff, Inc. Dynamic mold shape control for direct chill casting
US10350674B2 (en) 2017-06-12 2019-07-16 Wagstaff, Inc. Dynamic mold shape control for direct chill casting
CN109756857B (zh) * 2019-01-04 2021-07-20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网络加速的计费方法及系统
US10911363B2 (en) 2019-03-29 2021-02-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ile shaping
CN112990952A (zh) * 2019-12-12 2021-06-18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云计算计量计费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5743A1 (en) * 2000-04-03 2005-09-08 P-Cube Ltd. Real time charging of pre-paid accounts
US7116682B1 (en) * 2001-03-19 2006-10-03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bandwidth adjustment
CN1146188C (zh) * 2001-08-13 2004-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因特网接入服务器的选择性计费方法
JP2003091687A (ja) * 2001-09-14 2003-03-28 Toppan Printing Co Ltd 料金支払方法の切替が可能な携帯端末、本人確認システム、通信事業者側システム、本人確認方法、料金切替通知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
US20060160543A1 (en) * 2002-03-14 2006-07-20 Alex Mashinsky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spectrum allocation and management
US7539165B2 (en) * 2002-05-24 2009-05-26 Antti Toskal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signaling for uplink rate control
US7003280B2 (en) * 2003-11-20 2006-02-2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djustments to the type and quality of multimedia communication sessions
JP2005328508A (ja) * 2004-04-15 2005-11-24 Sharp Corp 帯域要求システム
WO2005109692A1 (en) * 2004-05-07 2005-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iodic ranging in a sleep mode in a bwa communication system
KR100677462B1 (ko) * 2005-06-23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트리밍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의 대역폭산정시스템 및방법
CN1848895B (zh) * 2005-11-03 2010-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WiMAX中利用移动用户站切换计费方式的方法
US20090163183A1 (en) * 2007-10-04 2009-06-25 O'donoghue Hugh Recommendation gener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WO2009132477A1 (zh) * 2008-04-30 2009-11-05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带宽请求与分配的方法及装置
US8321565B2 (en) * 2009-11-02 2012-11-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etwork usage throttling systems and methods
CN101848163A (zh) * 2010-06-01 2010-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动态调整带宽业务的方法及系统、宽带策略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7399B1 (en) 2020-03-18
BR112013032330A2 (pt) 2016-12-20
US20130023232A1 (en) 2013-01-24
CN103636255B (zh) 2018-03-02
MX2013014988A (es) 2014-04-10
KR101554807B1 (ko) 2015-10-06
TWI511587B (zh) 2015-12-01
WO2013002732A1 (en) 2013-01-03
CA2838263A1 (en) 2013-01-03
AR087025A1 (es) 2014-02-05
AU2012276325A1 (en) 2013-05-02
US8874073B2 (en) 2014-10-28
SG194837A1 (en) 2013-12-30
ZA201309108B (en) 2015-03-25
RU2603692C2 (ru) 2016-11-27
EP2727399A1 (en) 2014-05-07
AU2012276325B2 (en) 2015-06-18
CA2838263C (en) 2016-09-06
CN103636255A (zh) 2014-03-12
MY165069A (en) 2018-02-28
MX337720B (es) 2016-03-16
CO6870010A2 (es) 2014-02-20
EP2727399A4 (en) 2015-03-11
RU2013153156A (ru) 2015-08-10
TW201306614A (zh) 2013-02-01
JP6157009B2 (ja) 2017-07-05
JP2014523178A (ja) 201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807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데이터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8740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internet access to a computing device
US11070681B2 (en) Platform for enabling sponsors to sponsor functions of a computing device
US9014663B2 (en) Sponsored data plan management
JP6587629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のユーザーに対する製品及びサービスの販売を促進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5199903A1 (en) Upsell framework for network services
SG1865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internet access to a compu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