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672A -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672A
KR20140015672A KR1020120072846A KR20120072846A KR20140015672A KR 20140015672 A KR20140015672 A KR 20140015672A KR 1020120072846 A KR1020120072846 A KR 1020120072846A KR 20120072846 A KR20120072846 A KR 20120072846A KR 20140015672 A KR20140015672 A KR 20140015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learning
language learning
language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김민영
이정선
이상성
이경후
Original Assignee
씨제이에듀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에듀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에듀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2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5672A/ko
Publication of KR20140015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신호 입력부,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를 통해 상기 캐릭터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캐릭터에 설정된 동작 정보 또는 어학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동작정보에 대응되는 어학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오디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SERVICE USING CHARACTER}
본 발명은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캐릭터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그 캐릭터에 설정된 동작정보 및 어학 정보를 출력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전문화 및 국제화에 따라 외국어 학습이 중요시되고 있고, 학습 연령층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최근 들어 외국어를 효율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다양한 어학 학습장치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문장단위의 반복 재생 기능을 갖는 어학용 카세트 플레이어, 음성정보 및 이에 해당하는 문자정보가 LCD 화면에 출력되는 캡션 카세트 플레이어, 인터넷(internet)을 통해 학습 서비스가 제공되는 휴대용 단말기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어학 학습장치들은 외국어의 음성정보와 이에 해당하는 문장, 단어와 같은 문자정보를 스피커 및 화면을 통해 출력하여, 청각 및 시각적으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외국어의 원음에 대한 학습자의 발음을 정확하게 평가 및 교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로 외국어를 체계적으로 학습한 성인층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외국어를 처음 접하거나 체계적인 학습을 하지 않은 어린이들이 학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외국어 학습 시, 외국어의 음성정보와 문자 정보만을 출력하므로, 어린이들은 싫증을 쉽게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학습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03-0009823호(2003.02.05), 발명의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게임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어린이가 좋아하는 동물 캐릭터를 터치하면서 그 동물의 특징과 영어 단어를 학습할 수 있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아이들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학습 교재 또는 놀이식 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발성한 발음과 기 저장된 발음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출력시킴으로써, 학습자의 발음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음에 가깝게 교정할 수 있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국어의 문장 또는 단어를 게임 등의 놀이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외국어의 흥미를 더욱 고취시킴은 물론 자연스럽게 외국어가 습득되어 학습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국어를 학습하면서 사진찍기 놀이를 통해 캐릭터의 동작과 그 동작에 대한 단어를 복사하여, 다양한 모양의 단어 카드를 만들 수 있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워드로 받은 다양한 활동의 워크 인쇄물(만들기, 색칠하기, 캐릭터에게 편지쓰기 등) 등 창의적인 놀이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눈과 귀, 손을 이용한 다양한 놀이 활동을 통해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의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신호 입력부,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를 통해 상기 캐릭터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캐릭터에 설정된 동작 정보 또는 어학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동작정보에 대응되는 어학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오디오부를 포함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캐릭터를 터치하면서 그 캐릭터의 특징 및 그 특징에 관련된 어학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핑거 놀이 학습, 사진찍기 놀이 학습, 리워드 놀이 학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선택된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핑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캐릭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캐릭터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를 통해 상기 캐릭터의 터치가 입력된 경우, 그 캐릭터에 설정된 동작정보를 저장부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캐릭터가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핑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캐릭터 및 오브젝트가 표시된 캐릭터 어학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를 통해 오브젝트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 정보 및 어학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획득하여, 그 동작 정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어학 정보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 실행이 완료된 경우, 현재 출력되는 단어를 음성과 텍스트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단어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그 단어의 알파벳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어가 표시된 발음 확인 화면을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단어를 오디오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단어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음성 신호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리액션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사진찍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스크린샷 명령 아이콘이 표시된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크린 샷 명령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해당 화면을 스크린샷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프린팅 장치가 검색되거나 기 설정된 프린팅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단어 카드를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리워드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기 저장된 단어 카드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어 카드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 카드를 편집할 수 있다.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학습하는 모습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핑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캐릭터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그 캐릭터에 설정된 동작정보를 획득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핑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캐릭터 및 오브젝트가 표시된 캐릭터 어학 학습 화면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 정보 및 어학 정보를 획득하여, 그 동작 정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어학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 실행이 완료된 경우, 현재 출력되는 단어를 음성과 텍스트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단어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그 단어의 알파벳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단어가 표시된 발음 확인 화면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오디오부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저장부로부터 상기 단어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음성 신호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리액션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사진찍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스크린샷 명령 아이콘이 표시된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샷 명령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해당 화면을 스크린샷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캐릭터 어학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영상 또는 음성에 의한 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린이가 좋아하는 동물 캐릭터를 터치하면서 그 동물의 특징과 영어 단어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아이들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학습 교재 또는 놀이식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발성한 발음과 기 저장된 발음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출력시킴으로써, 학습자의 발음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음에 가깝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외국어의 문장 또는 단어를 게임 등의 놀이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외국어의 흥미를 더욱 고취시킴은 물론 자연스럽게 외국어가 습득되어 학습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외국어를 학습하면서 사진찍기 놀이를 통해 캐릭터의 동작과 그 동작에 대한 단어를 복사하여, 다양한 모양의 단어 카드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리워드로 받은 다양한 활동의 워크 인쇄물(만들기, 색칠하기, 캐릭터에게 편지쓰기 등) 등 창의적인 놀이활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눈과 귀, 손을 이용한 다양한 놀이 활동을 통해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의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신호 입력을 위한 교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핑거 놀이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 놀이 학습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진 찍기 놀이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찍기 놀이 학습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신호 입력을 위한 교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터치 스크린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오디오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10)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CDMA, W-CDMA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는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터치 신호 입력부(122) 및 표시부(124)를 포함한다.
터치 신호 입력부(122)는 터치 기구가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터치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터치 기구는 사용자의 손, 터치 펜, 스타일러스 펜, 마우스, 교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기구가 도 2와 같은 교구(200)일 경우를 살펴보면, 교구(200)는 각 접점들을 도체로 연결하여 전류를 통하는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접점들이 교구(200)에서의 부착 높이의 차이와 닿는 면적의 차이를 '0'에 수렴해야 한다. 또한, 외부의 터치 압력 없이 접점들이 터치 스크린(120)에 밀착되어야 한다.
터치 신호 입력부(122)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물체 또는 인체의 접촉으로 인한 전류 변화를 감지하는 저항성 방식, 물체 또는 인체의 접촉으로 인한 초음파 변화를 감지하는 표면파 방식, 및 인체의 접촉으로 인한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는 전기 용량성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터치 신호 입력부(122)는 표시부(124)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일면 또는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터치 신호 입력부(122)는 터치스크린으로의 사용자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터치 신호는 터치가 입력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신호 입력부(122)는 터치 해제를 감지하며 터치가 해제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또한, 터치 신호 입력부(122)는 터치의 위치가 변경됨을 감지하며, 변경된 터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표시부(124)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24)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기타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40)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140)에는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즉, 저장부(140)에는 캐릭터 정보, 캐릭터들의 동작 정보 및 어학 정보, 각 캐릭터에 설정된 오브젝트,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의 동작 정보 및 그 동작 정보에 따른 어학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캐릭터 정보는 동물, 식물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동물의 경우 닭, 공룡, 다람쥐, 토끼, 돼지 등을 말한다. 캐릭터들의 동작정보는 각 캐릭터의 특징(특성)을 나타낸 동작으로, 울음소리, 특징적인 행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돼지인 경우, 먹는 동작, 뚱뚱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 돼지 울음소리를 내는 동작, 게으른 동작 등이 돼지의 동작 정보 일 수 있다. 또한, 캐릭터가 토끼인 경우, 뛰는 동작, 토끼 울음 소리를 내는 동작, 빠른 동작 등이 토끼의 동작정보일 수 있다. 또한, 캐릭터가 장미인 경우, 씨앗 모양, 꽃이 피는 동작 등이 장미의 동작정보 일 수 있다.
오브젝트(object)는 특정 물체로서, 각 캐릭터가 좋아하는 음식, 각 캐릭터가 좋아하는 놀이 기구 등 캐릭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다람쥐인 경우, 오브젝트는 다람쥐가 좋아하는 음식(예를 들면, 도토리 등임), 쳇바퀴 등일 수 있다.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의 동작정보는 캐릭터가 오브젝트를 먹는 동작, 캐릭터가 오브젝트를 가지고 노는 동작 등일 수 있다.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의 동작 정보에 따른 어학정보는 그 동작 정보를 표현하는 단어로, 한글, 영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로 표현되고, 각 단어에 대한 텍스트, 음성, 음성 데이터(발음 데이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다람쥐, 오브젝트가 도토리인 경우, 동작정보는 다람쥐가 도토리를 먹는 동작이고, 어학 정보는 'eat'(영어의 경우임)에 대한 음성, 스펠링, 발음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중에서 선택된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은 핑거 놀이 학습, 사진찍기 놀이 학습, 리워드 놀이 학습 등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캐릭터를 터치하면서 캐릭터의 특징 및 그 특징에 관련된 어학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핑거놀이 학습, 사진찍기 놀이 학습, 리워드 놀이 학습을 포함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목록을 선택하여 캐릭터를 터치하면서 캐릭터의 특징 및 어학 학습을 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핑거 놀이 학습을 선택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30)는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핑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핑거 놀이 학습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핑거 놀이 학습 목록 중에서 선택된 핑거 놀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핑거 놀이 학습 목록은 캐릭터 학습, 캐릭터 어학 학습 등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30)는 핑거 놀이 학습 목록중에서 캐릭터 학습이 선택된 경우,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신호 입력부(122)를 통해 캐릭터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그 캐릭터에 설정된 동작의 출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30)는 캐릭터 학습이 선택된 경우, 캐릭터 목록을 표시부(1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그 캐릭터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학습 화면을 표시부(124)에 디스플레이한다. 캐릭터 학습 화면에서 터치 신호 입력부(122)를 통해 캐릭터의 터치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30)는 그 캐릭터에 설정된 동작정보 및 어학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획득하여, 그 동작 정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어학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동작정보는 캐릭터의 특징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동작으로서, 예를 들어 캐릭터가 돼지인 경우, 먹는 동작, 뚱뚱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 돼지 울음소리를 내는 동작, 게으른 동작 등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 캐릭터의 특징, 그 특징에 대응되는 단어를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돼지가 캐릭터 학습 화면에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돼지를 터치하면서, 돼지의 특징(뚱뚱하다, 먹다 등)에 대해서 알게 되고, 그 특징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핑거 놀이 학습 목록 중에서 캐릭터 어학 학습이 선택된 경우, 캐릭터 및 오브젝트가 표시된 캐릭터 어학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신호 입력부(122)를 통해 오브젝트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 정보 및 어학 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획득하여, 그 동작 정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어학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동작 정보는 캐릭터가 오브젝트를 먹는 동작, 오브젝트를 가지고 노는 동작 등을 포함하고, 어학정보는 그 동작 정보를 표현하는 영어 단어일 수 있다. 어학정보는 오디오부(15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표시부(124)를 통해 텍스트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해당 어학 정보 및 동작 정보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오브젝트를 터치하고 놀면서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의 동작, 그 동작에 대한 어학 공부를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다람쥐와 도토리가 캐릭터 어학 학습 화면에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도토리를 터치하면서, 다람쥐가 도토리를 먹는 동작을 확인하고, 그 동작에 대응되는 'eat'라는 영어 단어를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 실행이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캐릭터와 오브젝트의 동작 실행 화면에 스크린샷 명령 아이콘이 표시된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크린샷 명령 아이콘은 예를 들면, 카메라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에서 스크린샷 명령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30)는 현재 동작 실행 화면을 스크린샷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단어 카드에는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과 그 동작에 해당하는 어학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실행 화면이 '닭이 먹이를 먹는 동작'인 경우, 단어 카드에는 '닭이 먹이를 먹는 동작'과 'eat'라는 단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에서 스크린샷 명령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해당 동작과 그 동작에 해당하는 단어를 조합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한다.
또한,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 실행이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현재 출력되는 단어를 음성과 텍스트로 출력하고, 출력된 단어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그 단어의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는 영어의 경우 알파벳, 한글, 한자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어를 보고 듣는 시청각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어학 시청각 학습이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발음 확인 화면을 표시부(124)를 통해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발음 확인 화면에 표시된 단어를 오디오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발음 확인 화면에는 캐릭터와 그 캐릭터의 동작정보에 해당하는 단어가 표시되어 있다. 그런 후, 오디오부(150)를 통해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발음 데이터)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른 리액션을 출력한다. 즉, 제어부(130)는 음성 입력부(15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저장부(140)로부터 해당 단어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음성 데이터와 변환된 음성 신호를 비교한 후,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리액션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와 음성신호가 동일한 경우, 제어부(130)는 'excellent'와 같은 음성 또는 텍스트를 출력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다시 말씀해 주세요'라는 음성 또는 텍스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음성 입력부(152)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영어 단어의 발음을 잘 따라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발음을 원음에 가깝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중에서 사진찍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진 찍기 놀이 학습 화면에서 스크린 샷 명령이 선택되면, 해당 화면을 스크린샷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한다. 즉, 사진찍기 놀이 학습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캐릭터 및 오브젝트외에 스크린샷 명령 아이콘이 표시된 사진 찍기 놀이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스크린샷 명령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 화면을 스크린샷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은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이 실행된 화면으로, 일정 영역에 스크린샷 명령 입력을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프린팅 장치를 검색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프린팅 장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프린팅 장치가 검색되거나, 기 설정된 프린팅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생성된 단어 카드를 프린팅 장치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 없이 단어 카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리워드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기 저장된 단어 카드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 카드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단어 카드를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단어 카드를 색칠하기, 음악 설정하기 등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만든 독창적인 카드를 이용하여 이메일을 보내거나 SNS 등록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편집된 카드를 출력하여 작품으로 장식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모든 캐릭터들의 학습이 완료된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소정의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은 쿠폰, 포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든 캐릭터들의 학습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130)는 통신부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 캐릭터 어학 학습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기 설정된 보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부(150)는 제어부(130)에 의해 표시되는 캐릭터 어학 학습에 대한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부(150)는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대한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부(15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부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따라서, 오디오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캐릭터의 특징 및 어학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54),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54)는 예를 들면 스피커일 수 있고, 음성 입력부(152)는 예를 들면 마이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사용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촬영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60)는 사용자가 학습하는 모습을 촬영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카메라 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부(124)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PIP(Picture in Picture), 팝업창 등의 방식으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촬영부(16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보호자의 단말)로 전송하여, 보호자가 유아의 행동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근거리 통신, 유선 통신, 무선 통신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캐릭터 및 어학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캐릭터 등록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족 또는 친구 사진을 캐릭터로 등록하고, 음성 입력부(152)를 통해 어학정보 등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캐릭터 등록 처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진 및 음성을 저장부(152)에 저장할 수 있다. 캐릭터 등록 처리부에 의해 등록된 사진 및 음성은 사용자가 어학 학습을 할 경우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어학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캐릭터 어학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입력받아 저장부(152)에 저장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그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릭터 어학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는 엄마의 영상(예를 들면, 사진), 엄마의 음성 등에 의한 메시지로, "미라야, 영어 공부 재밌어?"와 같은 음성과 엄마 영상의 조합일 수 있다. 유아들은 주위가 산만하여, 캐릭터 어학 학습에 집중하는 시간이 짧다. 그러므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미리 등록된 엄마의 음성, 엄마의 사진 등에 의한 메시지를 출력하여, 유아가 캐릭터 어학 학습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를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S302),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S302). 즉,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캐릭터를 터치하면서 캐릭터의 특징 및 그 특징에 관련된 어학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핑거놀이 학습, 사진찍기 놀이 학습, 리워드 놀이 학습 등을 포함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목록을 선택하여 캐릭터를 터치하면서 캐릭터의 특징 및 어학 학습을 할 수 있다.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중에서 하나의 캐릭터 어학 학습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S304).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이 핑거 놀이 학습인 경우,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캐릭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S308a), 그 캐릭터 목록 중에서 하나의 캐릭터가 선택되면(S310a), 선택된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312a). 즉, 사용자가 핑거 놀이 학습을 선택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다양한 캐릭터들이 표시된 캐릭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캐릭터를 선택한다. 그러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선택된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어학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S312a의 수행 후, 캐릭터 학습 화면에서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S314a),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316a). 이때, 상기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선택된 캐릭터에 설정된 어학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핑거 놀이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단계 S306에서 선택된 캐릭터 어학 학습이 사진찍기 놀이 학습인 경우,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308b). 사진 찍기놀이 학습 화면에는 캐릭터 및 오브젝트외에 스크린샷 명령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사진 찍기 놀이 학습 화면에서 스크린 샷 명령 아이콘이 선택되면(S310b),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해당 화면을 스크린샷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한다(S312b). 즉, 캐릭터 동작 또는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이 실행된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에서 스크린샷 명령이 선택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동작 화면을 스크린샷하여 복사하고, 그 복사된 동작 화면을 기 설정된 일정 크기의 단어 카드로 생성한다. 이때,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동작 화면에 표시된 동작에 해당하는 단어를 동작 화면의 일정 영역에 표시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각 캐릭터에 설정된 다양한 동작과 그 동작에 대한 단어를 조합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한다.
만약 단계 S306에서 선택된 캐릭터 어학 학습이 리워드 놀이 학습인 경우,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기 저장된 단어 카드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S308c),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 카드를 디스플레이한다(S310c).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단어 카드를 편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S312c). 이때, 사용자는 단어 카드를 색칠하기, 음악 설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편집할 수 있다.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와 같은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캐릭터 어학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캐릭터 어학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는 엄마의 영상(예를 들면, 사진), 엄마의 음성 등에 의한 메시지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핑거 놀이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 놀이 학습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어학 정보를 영어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핑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캐릭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S402), 그 캐릭터 목록 중에서 하나의 캐릭터가 선택되면(S404), 선택된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406).
캐릭터 학습 화면에서 캐릭터의 터치가 감지되면(S408),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해당 캐릭터에 설정된 동작 정보를 획득하여, 그 캐릭터가 획득된 동작 정보를 실행하도록 한다(S410).
그런 후,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캐릭터와 오브젝트가 표시된 캐릭터 어학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S412), 그 화면에서 오브젝트의 터치가 감지되면(S414),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을 실행함과 동시에 해당 영어 단어를 출력한다(S416). 즉, 캐릭터 어학 학습 화면에서 오브젝트의 터치가 감지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 정보 및 영어 단어를 획득하고, 그 동작 정보를 실행함과 동시에 획득한 영어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때,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이 반복되도록 하고, 그 동작과 함께 영어 단어도 반복해서 출력되도록 한다.
캐릭터 어학 학습 화면을 통해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정보가 출력되는 동작이 완료되면(S418),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현재 출력되는 영어 단어를 음성과 텍스트로 출력한다(S420). 이때,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현재 출력되는 영어 단어의 스펠링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
사용자가 텍스트로 출력된 영어 단어를 터치하면(S422),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영어 단어의 알파벳을 음성으로 출력한다(S424). 그러면, 사용자는 영어 단어의 스펠링, 발음, 알파벳 등을 학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영어 단어를 보고 듣는 학습이 완료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발음 확인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S426), 사용자로부터 해당 영어 단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다(S428). 즉,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영어 단어를 잘 따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발음 확인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발음 확인 화면에는 해당 영어 단어의 스펠링이 표시되고,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그 영어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사용자는 그 출력된 영어 단어를 듣고,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그 영어 단어를 입력한다.
그러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입력된 음성 신호와 해당 영어 단어의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고(S430), 그 비교결과에 따라 리액션을 출력한다(S432).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핑거 놀이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닭을 캐릭터로 선택한 경우,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도 5a와 같은 캐릭터 학습 화면(500)을 디스플레이한다. 캐릭터 학습 화면(500)에서 사용자가 닭(510)을 터치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닭에 설정된 동작 정보 예를 들면, 닭이 넘어지면서 '꼬끼오'라는 울음소리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캐릭터 어학 학습 화면(550)이 도 5b와 같이 닭(510)과 사과(오브젝트)(520)가 표시된 경우, 사용자가 사과(520)를 터치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닭(510)과 사과(520)간에 기 설정된 동작 정보 예를 들면, 닭이 사과를 먹는 동작을 출력함과 동시에 'eat'라는 영어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또한, 도 5b와 같은 동작 수행이 완료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도 5c와 같이 'eat' 스펠링(530)을 화면(560)상에 출력함과 동시에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eat'의 알파벳을 선택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eat'에 포함된 'e','a','t'의 알파벳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eat'라는 단어를 듣는 것은 물론 스펠링을 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시청각 학습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eat' 스펠링(530)을 화면(560)상에 출력함과 동시에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eat'를 보고 듣는 동작이 완료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도 5d와 같이 'can you tell me "eat"?를 음성으로 출력하면서 마이크를 제시하는 발음 확인 화면(570)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eat'의 음성 신호를 입력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입력된 음성 신호와 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리액션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음성 신호와 음성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상 동일한 경우,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excellent'와 같은 리액션을 출력하고, 임계치 미만인 경우 '다시 입력해 주세요'라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캐릭터 어학 학습 화면을 통해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정보가 출력되는 동작이 완료된 경우,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현재 출력되는 영어 단어를 음성과 텍스트로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진 찍기 놀이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을 통해 단어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진 찍기 놀이 학습 화면을 통해 단어 카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진 찍기 놀이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찍기 놀이 학습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진 찍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학습 서비스 제공장치는 캐릭터, 오브젝트 및 스크린샷 명령 아이콘이 표시된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602).
사진찍기 놀이학습 화면에서 스크린 샷 명령이 선택되면(S604),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해당 화면을 스크린샷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한다(S606). 이때,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생성된 단어 카드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런 후,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프린팅 장치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08).
단계 S608의 판단결과 프린팅 장치가 설정되어 있으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생성된 단어 카드를 프린팅 장치로 전송한다(S610). 그러면, 프린팅 장치는 해당 단어 카드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그 단어 카드를 오프라인 상에서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학습 서비스 제공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프린팅 장치가 검색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프린팅 장치가 검색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생성된 단어 카드를 검색된 프린팅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학습 서비스 제공장치가 단어 카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 사진 찍기 놀이 학습 화면(700)에는 캐릭터(570), 오브젝트(720) 외에 카메라(730)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730)를 선택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현재 화면을 스크린샷하여 단어 카드(740)를 생성한다.
이 경우,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다양한 동작에 대한 단어와 그 동작을 포함하는 화면을 조합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또한 예컨대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예컨대 RS-232 포트와 같은 직렬 통신 장치 및/또는 예컨대 802.11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입출력 장치는 다른 입출력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 예컨대 키보드,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110 : 통신부
120 : 터치 스크린부 122 : 터치 신호 입력부
124 : 표시부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150 : 오디오부

Claims (16)

  1.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신호 입력부;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를 통해 상기 캐릭터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캐릭터에 설정된 동작 정보 또는 어학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동작정보에 대응되는 어학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오디오부;
    를 포함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캐릭터를 터치하면서 그 캐릭터의 특징 및 그 특징에 관련된 어학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핑거 놀이 학습, 사진찍기 놀이 학습, 리워드 놀이 학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선택된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핑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캐릭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캐릭터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를 통해 상기 캐릭터의 터치가 입력된 경우, 그 캐릭터에 설정된 동작정보를 저장부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캐릭터가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핑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캐릭터 및 오브젝트가 표시된 캐릭터 어학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를 통해 오브젝트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 정보 및 어학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획득하여, 그 동작 정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어학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 실행이 완료된 경우, 현재 출력되는 단어를 음성과 텍스트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단어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그 단어의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어가 표시된 발음 확인 화면을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단어를 오디오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부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단어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음성 신호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리액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사진찍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스크린샷 명령 아이콘이 표시된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크린 샷 명령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해당 화면을 스크린샷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프린팅 장치가 검색되거나 기 설정된 프린팅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단어 카드를 프린팅 장치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리워드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기 저장된 단어 카드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어 카드 목록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어 카드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학습하는 모습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11.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캐릭터 어학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핑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릭터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그 캐릭터에 설정된 동작정보를 획득하여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핑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캐릭터 및 오브젝트가 표시된 캐릭터 어학 학습 화면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 정보 및 어학 정보를 획득하여, 그 동작 정보를 수행함과 동시에 어학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와 오브젝트간에 설정된 동작 실행이 완료된 경우, 현재 출력되는 단어를 음성과 텍스트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단어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 그 단어의 알파벳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가 표시된 발음 확인 화면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오디오부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저장부로부터 상기 단어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음성 신호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리액션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어학 학습 목록 중에서 사진찍기 놀이 학습이 선택된 경우, 스크린샷 명령 아이콘이 표시된 사진찍기 놀이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샷 명령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해당 화면을 스크린샷하여 단어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캐릭터 어학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영상 또는 음성에 의한 메시지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072846A 2012-07-04 2012-07-04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15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846A KR20140015672A (ko) 2012-07-04 2012-07-04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846A KR20140015672A (ko) 2012-07-04 2012-07-04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672A true KR20140015672A (ko) 2014-02-07

Family

ID=5026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846A KR20140015672A (ko) 2012-07-04 2012-07-04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56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300B1 (ko) * 2015-11-04 2016-10-07 주식회사 디앤피코퍼레이션 인터랙티브 동화책 구현 장치 및 방법
KR20180052952A (ko) *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음성인식기반 의사소통훈련 서비스장치 및 시스템
CN109215414A (zh) * 2018-10-16 2019-01-15 牡丹江师范学院 一种辅助记忆的英语单词随机生成器
CN110197599A (zh) * 2018-02-24 2019-09-03 江苏趣读文化有限公司 一种儿童学习有声字典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300B1 (ko) * 2015-11-04 2016-10-07 주식회사 디앤피코퍼레이션 인터랙티브 동화책 구현 장치 및 방법
KR20180052952A (ko) *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음성인식기반 의사소통훈련 서비스장치 및 시스템
CN110197599A (zh) * 2018-02-24 2019-09-03 江苏趣读文化有限公司 一种儿童学习有声字典卡
CN109215414A (zh) * 2018-10-16 2019-01-15 牡丹江师范学院 一种辅助记忆的英语单词随机生成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3611B2 (en) Interactive application adapted for use by multiple users via a distributed computer-based system
US20150097767A1 (en) System for virtual experience book and method thereof
US8842100B2 (en) Customer authoring tools for creating user-generated content for smart pen applications
EP3696648A1 (e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CN110568984A (zh) 在线教学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16126773A (ja) 視線追跡に基づく触覚効果を生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1516924A (ja) マルチモードの学習システム
US20210358319A1 (en) Multi-sensory learning with feedback
CN106951881B (zh) 一种三维场景呈现方法、装置及系统
US201502793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dio Interface for a Tablet Computer
WO2014160316A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WO2014151884A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KR20140015672A (ko) 캐릭터 어학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42116A (ko) 구연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구연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Boster et al. When you can't touch a touch screen
Araújo et al. Mediated reading of children’s digital literature
CN114846808A (zh) 内容发布系统、内容发布方法以及内容发布程序
US2017022031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of electronic apparatus
Jadán-Guerrero et al. Use of tangible interfaces to support a literacy system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don An Extensible Presentation Framework for Real-time Data Acquisition, Interaction and Augmented Reality Visualisations
Hulshof et al. Design principles for preschool children’s interactive TV
US201301715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teractive, Three-Dimensional Tools
Guinness Accessible Off-the-Shelf: Lowering Barriers to Accessible Spatial Display Interaction
Grussenmeyer Making Spatial Information Accessible on Touchscreens for Users who ar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Bulovic Designing for Tinkerability for Accessi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