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969A -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969A
KR20140014969A KR1020120082453A KR20120082453A KR20140014969A KR 20140014969 A KR20140014969 A KR 20140014969A KR 1020120082453 A KR1020120082453 A KR 1020120082453A KR 20120082453 A KR20120082453 A KR 20120082453A KR 20140014969 A KR20140014969 A KR 20140014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management
relay server
terminal
cons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직
Original Assignee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to KR1020120082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4969A/ko
Publication of KR20140014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소유주가 여행, 영화와 같은 레저 활동이나 문화 활동과 같은 서비스를 예약하면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요청하면, 애완동물의 소유주가 요청한 시간과 장소에서 애완동물의 픽업 및 위탁 처리를 수행하는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애완동물 소유주는 자신이 향유하고자 하는 서비스와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et Managemen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 소유주가 레저나 영화 관람과 같은 서비스로 인하여 애완동물을 관리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하여 애완동물의 위탁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애완동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사시대 이래로 인간과 함께 생활을 공유하였던 애완동물은 인간과의 정서적 공유나 친밀감 등을 위해 사육되었다. 최근 미혼 남녀의 1인 가구의 증가나 독거노인의 증가에 따라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의 분양, 사육, 관리를 위하여 동물병원, 애완동물 용품의 제조 및 판매업자, 애완동물 카페, 애완동물 미용업자, 애완동물 호텔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시장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오프-라인에서 애완동물의 관리와 관련한 시장의 성장과 함께,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의 제공이라든가 애완동물 관련 물품의 판매라든가 그 외 애완동물의 관리와 관련한 다수의 쇼핑몰 사이트를 비롯한 동호회 사이트라든가 스마트폰용 앱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등 온라인을 통한 애완동물 관련 시장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온라인을 통해 개설된 애완동물 관련 웹사이트라든가 앱은 단순히 애완동물 물품의 판매를 중계하거나 애완동물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예약이 가능한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한편, 애완동물을 소유하여 키우고 있는 소유주의 입장에서 볼 때, 애완동물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그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영화, 연극이나 콘서트를 관람하고자 하는 경우라든가, 해외여행이나 출장을 가는 경우와 같이 피치 못할 사정으로 자신이 애완동물을 관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애완동물 소유주는 자신이 부재하는 동안, 즉 애완동물을 관리할 수 없는 동안, 이웃집이나 친척과 같은 지인에게 애완동물의 관리를 부탁해야 한다. 지인이 없는 애완동물 소유주를 위하여 애완동물을 보관, 관리하는 업체도 있지만,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하여 지인이나 애완동물 보관 업체와 연락을 취하지 못할 수도 있다.
자신의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탁하지 못한 애완동물 소유주는 결국 자신이 원하는 레저 활동이나 문화생활을 포기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데, 사회생활의 곤란함으로 인하여 대인관계를 비롯한 사회생활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레저 활동이나 문화 활동을 포기할 수 없는 사용자는 자신과의 정서적 교감에도 불구하고 애완동물을 유기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외국의 경우에, 여름 휴가철이면 지하철 등에 유기되는 애완동물의 수가 급증한다는 사실은, 애완동물 소유주가 장기간 부재하여 애완동물을 관리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신의 애완동물을 믿고 위탁할 곳을 찾지 못한 애완동물 소유주의 상당수가 자신의 여가 생활이나 레저 활동을 위하여 친밀감을 가지고 있었던 애완동물을 유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여가 활동, 레저 활동이나 문화생활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와 별개로, 애완동물 소유주는 자신의 애완동물에 대하여 지인이나 관리 업체에 별도로 연락을 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애완동물 소유주에게는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 소유주가 사회생활을 영위하면서 영화, 연극, 미술관, 콘서트 관람과 같은 문화생활이나 여름 휴가기간 동안의 여행과 같이 일정 시간 애완동물을 관리할 수 없는 경우에도, 자신이 영위하고자 하는 문화생활이나 레저 활동과 연계되어 체계적으로 신뢰성 있게 애완동물을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방법이 요구된다. 특히,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애완동물의 위탁이 곤란한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사회생활을 영위하면서 일정 기간 자신의 애완동물을 보관, 위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애완동물 소유주의 편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 소유주가 사회생활을 영위하면서 애완동물을 직접 관리할 수 없는 경우에, 애완동물 소유주가 영위하고자 하는 각종 레저 활동이나 문화생활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애완동물을 관리를 위탁할 수 있는 시스템 내지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시스템이나 방법을 통해 얻어진 애완동물 소유주 또는 애완동물 정보를 애완동물의 위탁 처리를 넘어서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업자에게 제공하여 신규한 마케팅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내지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하는 도면을 통해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애완동물 소유주가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휴사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요청을 상기 제휴사 서버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상기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중계하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 및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위탁 관리 요청된 애완동물의 픽업 및 위탁 관리 상태를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배송 단말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요청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또는 애완동물 용품과 관련한 마케팅 정보를 전송하는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를 통하여 회원 가입을 요청하고, 회원 가입을 통하여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전송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또는 애완동물 용품의 판매를 제공할 수 있는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탁 요청된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위탁 요청된 애완동물별로 부여되며, 위성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또는 통신망과 연결되는 위치 추적기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휴사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영화 관람, 연극 관람, 미술관 관람, 뮤지컬 관람, 콘서트 관람, 경기 관람 또는 여행을 포함하며, 상기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완동물 사업자는 동물병원, 애완동물 카페, 애완동물 호텔, 애완동물 미용실, 애완동물 용품점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애완동물 소유주가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제휴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매 또는 구매 예약이 신청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요청이 상기 제휴사 서버를 경유하여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요청이 배송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및 (d) 상기 배송 단말로부터 상기 위탁 관리 요청된 애완동물의 픽업 상태 및 위탁 관리 상태가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요청한 사용자 정보가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송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마케팅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관리 방법은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에 접속한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로부터 회원 가입이 요청되는 단계와,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회원 가입이 승인된 상기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로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또는 애완동물 용품의 판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전송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위탁 요청된 애완동물의 위치 정보가 상기 애완동물에게 부여된 위치 추적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각종 문화생활, 레저 활동 등을 위한 서비스를 위하여 제휴사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구매, 예약하면서, 부재기간 동안 자신의 애완동물의 관리를 동시에 신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서의 선택과 결제 처리만으로 사용자가 부재하는 동안 애완동물의 배송/픽업 및 위탁 관리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 소유주는 다양한 문화생활이나 레저 활동을 영위할 수 있다.
또한, 제휴사 서버로부터의 위탁관리 요청에 의해 중계 서버에 저장되는 애완동물 사용자 및 애완동물 정보를 단순히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위한 업무 처리로 한정하지 않고, 사전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의나 허락을 받아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애완동물 사업자는 신규 고객의 확보에 의한 활발한 마케팅 정보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의 구성을 조금 더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과 서버 사이에서의 업무 처리 내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의 구성을 조금 더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과 서버 사이에서의 업무 처리 내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제 2 실시예에 따라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요청한 사용자 정보가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애완동물 사업자에게 전송되어, 애완동물 사업자가 해당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단말로 마케팅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애완동물 소유주가 레저 활동이나 문화생활과 같은 사회적 서비스를 영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애완동물을 직접 관리할 수 없는 기간에도 사회적 서비스와 연계하여 애완동물의 보관 및 관리를 위탁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의 구성을 조금 더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과 서버 사이에서의 업무 처리 내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100A)은 통신망을 통하여 사회적 활동과 관련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제휴사 서버(200, 200A, 200B, 200C)와; 통신망을 통하여 제휴사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 소유주가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300)과;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요청을 제휴사 서버(200)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제휴사 서버(20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중계하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와;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로부터의 애완동물 위탁 관리 요청을 수신하여 위탁 관리 요청된 애완동물의 픽업 및 위탁 관리를 처리하기 위한 배송 단말(500)을 포함하고 있다.
제휴사 서버(200)는 사용자가 사회생활을 하면서 향유할 수 있는 사회적, 문화적인 서비스의 구매 요청을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휴사 서버(20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사회적, 문화적 서비스로는 영화 관람, 연극 관람, 뮤지컬 관람, 미술관 관람, 경기 관람이나 여행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예시한 서비스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러한 점에서 제휴사 서버(200A)는 영화/연극/뮤지컬/콘서트 등의 예매를 위한 서버, 제휴사 서버(200B)는 여행 예약을 위한 서버, 제휴사 서버(200C)는 이와 같은 사회적, 문화적 서비스와 관련한 예매나 예약을 대행해주는 서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해서 제휴사 서버(200)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300)와 업무적인 제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입력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보관 요청을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로 전송하고, 이에 따른 비용의 결제 및 정산을 처리한다.
애완동물 소유주가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300)은 통신망을 통하여 제휴사 서버(200)에 접속하여 제휴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매 또는 예약을 신청한다. 제휴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매 또는 예약을 위해서 사용자 단말(300)을 통하여 제휴사 서버(200)에 회원 가입을 신청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은 제휴사 서버(200)의 웹 사이트나 제휴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앱을 통하여, 제휴사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제공 일자, 장소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서비스의 구매나 예약을 접수, 신청하고, 제휴사 서버(200)로부터 구매, 예약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로는 노트북이나 PC와 같은 컴퓨터 단말은 물론이고, 스마트폰이나 피처-폰, PDA와 같은 모바일 단말과 같이 통신망과 접속 가능한 단말기를 들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는 제휴사 서버(200, 200A, 200B, 200C), 사용자 단말(300) 및 배송 단말(500)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애완동물의 위탁 보관과 관련한 업무를 중계한다.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는 사용자 단말(300)이나 배송 단말(500)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웹 서버(또는 앱 서버, 410)와,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중계, 관리하는 관리 모듈(420A)과, 애완동물의 위탁 처리와 관련하여 다양한 메시지 및 인증 이미지 등을 사용자 단말(300)이나 배송 단말(500)로 전송하거나 접수하는 메시지 서버(430)와,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와 관련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4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관리 모듈(420A)은 제휴사에 대한 정보 및 결제 등의 처리를 위한 제휴사 관리 모듈(422), 애완동물 소유주인 사용자 단말(300)로 메시지 등의 전송을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모듈(424), 위탁 관리 요청된 애완동물의 배송 및 위탁 관리와 관련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배송 관리 모듈(426)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440A)는 제휴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휴사 DB(442), 위탁 관리를 요청한 사용자 및 애완동물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444), 애완동물의 배송 및 위탁 정보를 저장하는 배송 DB(446)로 구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또한, 배송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요청이 있는 경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로부터 해당 애완동물, 애완동물 소유주 및 배송 정보와 pick-up 시산 및 장소와 같은 배송 정보를 수신하는 한편, 애완동물의 픽업, 배송, 보관, 반환에 이르기까지 요청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와 관련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 및/또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PDA 등의 단말이다.
배송 단말(500)을 제어할 수 있는 배송자는 위탁 관리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시간과 장소에서 애완동물을 픽업(pick-up)한 뒤, 소정의 장소에서 애완동물의 위탁 보관을 처리할 수 있다. 배송 단말(500)은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와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배송 서버(미도시)를 경유하여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와 데이터의 전송이나 메시지 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와의 사이에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위한 비용의 정산 및 결제 처리가 수행된다.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배송 단말(500)의 화면은 배송 기사 관리, 배차 배정 조회,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요청된 애완동물 pick-up 신청 리스트 등의 예약 신청 관리, 배차 관리 및 애완동물의 pick-up, 배송 및 서비스 완료 상태를 보여줄 수 있는 인증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탁 요청된 애완동물의 픽업 및 관리를 담당하는 배송자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해당 정보를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배송자의 회원 가입과 관련해서, 배송 단말(500)을 통해 회원 가입 신청이 접수되면,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는 사업자 번호와 ID/암호를 생성하여 회원 정보 입력을 통지하고, 배송자가 사업자 정보, 배차 기사 정보(ID, 주민번호, 차량 번호, 차량 상태)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중계 서버(400A)로 전송하면, 이들 정보가 관리 서버의 배송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면서 배송자에 대한 회원 가입이 완료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A)는 단지 제휴사 서버(200)를 경유하여 요청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중계하여 배송 단말(500)로 전송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그런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는 제휴사 서버(200)로부터 요청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와 별도로, 애완동물과 관련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제공을 중계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위탁 관리를 요청한 사용자 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마케팅 수단을 창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과,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애완동물 관리 중계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 및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특징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100B)은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의 구매 및 예약을 통하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휴사 서버(200, 200A, 200B, 200C)와; 제휴사 서버(200)에 접속하여 제휴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예약 및 구매를 신청하는 사용자 단말(300)과; 애완동물 위탁 관리 요청을 제휴사 서버(200)로부터 접수하여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중계하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와;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로부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요청을 수신하여 애완동물의 픽업 등을 처리하는 배송 단말(5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에 접속하여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는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는 제휴사 서버(200), 사용자 단말(300), 배송 단말(500) 및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애완동물의 위탁 보관과 관련한 업무를 중계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는 제휴사 서버(200)와 배송 단말(500) 사이에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요청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중계하는 것 외에도,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나 상품을 제공하는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애완동물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상품을 통신망을 통해서 판매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로 새로운 고객 정보를 제공하여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과의 통신망을 통한 업무 처리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의 관리 모듈(420B)에는 제휴사 관리 모듈(422), 사용자 관리 모듈(424), 배송 관리 모듈(426)과 별도로, 애완동물 사업자와의 업무 처리를 관리하는 사업자 관리 모듈(428)을 구축하고, 이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440)에도 제휴사 DB(442), 사용자 DB(444), 배송 DB(446)와 별도로 애완동물 사업자에 대한 정보나 애완동물 사업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440B)를 통하여 수행한 서비스나 용품의 판매 내역 등을 저장하는 사업자 DB(448)를 구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은 통신망을 통하여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40B)에 접속할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은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40B)의 웹 사이트나 앱을 통하여 회원 가입을 요청하고,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40B)의 인증을 거친 뒤에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자신이 영위하는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또는 용품에 대한 판매를 청약, 등록할 수 있도록 '미니-숍(mini-shop)'을 설정,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또는 애완동물 용품을 제공하는 애완동물 사업자의 예로는 동물병원, 애완동물 카페, 애완동물 호텔, 애완동물 미용실, 애완동물 용품점을 들 수 있지만,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나 상품을 제공, 판매할 수 있다면 예시한 사업자 외에 다른 사업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사업자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는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을 대상으로 자신이 관리하는 '소셜커머스' 또는 쇼핑몰을 위한 미니-숍의 개설, 변경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 사업자는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을 통하여 사업자 정보나 관련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업로드하거나, 카테고리에 따른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쿠폰을 생성, 수정, 삭제하는 쿠폰 관리, 예약 관리, 고객 관리, Q&A 관리, 쿠폰의 발행과 예약 통계와 같은 운영 통계, 전체 쿠폰 조회, 직접 예약 등의 미니-숍 화면을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는 각각의 애완동물 사업자가 운영하는 미니-숍의 운영과 관련하여 일/요일/주간/월/년 구분의 예약 통계, 쿠폰 발행 및 매출 통계를 통하여 해당 사업자에 대한 서비스 비용을 정산, 결제할 수 있다.
한편,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을 통해 미니-숍을 개설, 변경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에 애완동물 사업자가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가 운영하는 쇼핑몰에 회원으로 가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애완동물 사업자는 사업자 단말(600)을 이용하여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의 웹 사이트나 앱 서버에 접속하여 사업자 회원 가입을 신청하여 사업자 번호 ID나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사업자 정보를 입력한 뒤, 정회원 신청을 요청한다.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는 해당 사업자의 자격을 심사하여 정회원 승인을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로 통지하는 동시에 해당 사업자 정보를 저장한다. 정회원 승인을 얻은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로 미니-숍을 생성, 설정, 변경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전송된다.
위에서 간략하게 설명한 것과 같이,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는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로 미니-숍 개설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는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위하여 제휴사 서버(200)를 경유하여 접수되는 정보 중에서, 위탁 관리를 요청한 애완동물 소유주 정보(인적사항, 연락처, 주소지 등) 및/또는 관련 애완동물 정보를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로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은 통지된 애완동물 소유주 정보 등의 새로운 고객 정보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 단말로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각종 서비스나 상품과 관련한 마케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마케팅 정보를 수신한 애완동물 소유주는 해당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에서 마케팅 정보를 토대로 애완동물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상품의 구매나 예약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 사업자로서도 신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 경우에,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신청한 고객 정보나 애완동물 정보가 마케팅 정보에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제휴사 서버(200)의 웹 사이트 등을 통해서 공지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허락이나 동의를 얻을 필요가 있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가 관리하는 소셜커머스나 쇼핑몰에 접속하여,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로부터 등록된 애완동물과 관련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또한 고려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자신이 제어할 수 있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소유하는 제 2 사용자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나 앱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뒤,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로부터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전술한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을 통해 등록된 미니-숍을 검색하여 자신의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나 용품의 구매나 예약을 신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600)로부터 등록된 다양한 미니-숍 검색, 쿠폰 조회, 쿠폰 구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가 운영하는 쇼핑몰 등에 접속하는 제 2 사용자와 관련해서, 중계 서버(400B)는 제 2 사용자를 회원으로 인증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애완동물을 별도로 소유하고 있는 제 2 사용자는 자신이 제어할 수 있는 제 2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중계 서버(400B)가 관리하는 웹 사이트나 앱을 통하여 회원 가입을 신청한다. 만약 제 2 사용자 단말로서 컴퓨터 단말을 사용하여 중계 서버(400B)가 관리하는 웹 사이트를 통해 회원 가입을 신청하는 경우라면, 제 2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E-mail ID와 암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정보(성명, 주소, 관심분야 등)를 입력한 뒤, E-mail 인증 요청을 관리 서버로 신청하고, 중계 서버(400B) 웹 사이트를 통해 접수된 사용자 인증 신청을 접수하고, 해당 E-mail로 인증 번호 등을 발송하여, 제 2 사용자 단말을 통한 E-mail의 수신 여부에 의하여 인증을 완료한다. 반면, 제 2 사용자 단말로서 스마트폰의 앱을 통한 사용자 회원 가입의 경우에는 E-mail ID와 암호를 생성하고, 고객 정보를 입력하면, 중계 서버(400B)에서 해당 단말을 바로 인증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는 자신이 별도로 관리하는 쇼핑몰 등에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제 2 사용자의 회원 인증이나 기타 관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 2 사용자가 등록한 전자 메일로 인증 메시지 등을 전송하는 메일 서버(미도시)를 추가로 구축할 수도 있다.
그런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가 운영하는 쇼핑몰 등에 회원으로 가입하는 제 2 사용자는 제휴사 서버(200)에 회원으로 가입한 제 1 사용자와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는 제 1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중계 업무와 별도로, 제 1 사용자를 자신이 운영하는 쇼핑몰 등의 회원으로 가입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제휴사 서버(200)로부터 통지된 제 1 사용자의 정보를 토대로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는 제 1 사용자 단말(300)로 자신이 운영하는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나 용품의 구매나 예약이 가능한 웹 사이트나 앱을 홍보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휴사 서버(200)의 웹 사이트 등을 통해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가 마케팅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공지하고, 회원들의 사전 동의를 얻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100B)을 활용한다면, 애완동물 소유주는 제휴사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구매 및/또는 예약을 신청하면서, 자신이 부재중인 동안에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동시에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별개의 서비스나 상품의 구매 및 예약을 위한 쇼핑몰이나 소셜커머스를 운영하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400B)의 운영자나 해당 쇼핑몰에 회원으로 가입한 애완동물 사업자는 위탁 관리 요청과 관련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활용하여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요청한 사용자를 잠재 고객 또는 신규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활용하여 애완동물의 위탁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예시적으로 도 7에서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사업자 단말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애완동물의 소유주는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자신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거나 또는 가입되어 있지 않은 제휴사 서버에 접속하여, 제휴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매 또는 예약을 신청하고(S710), 제휴사 서버는 구매 또는 예약 확인을 사용자 단말로 현시하거나 통지한다(S720).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접속 가능한 제휴사 서버에서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는 영화 관람, 연극 관람, 미술관 관람, 뮤지컬 관람, 콘서트 관람, 경기 관람이나 여행과 같은 문화생활, 여가활동이나 레저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휴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 또는 예약 요청과 별도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간 동안 자신의 애완동물의 위탁 보관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제휴사 서버는 애완동물의 위탁 보관/관리 요청을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 전송하고(S720),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요청을 수신하였다는 사실을 제휴사 서버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로 통지한다(S725).
이러한 방법으로 제휴사 서버로부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요청일, 애완동물 픽업 및 반송 장소, 애완동물의 특이사항 정보는 물론이고 애완동물 사용자 정보가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 통지되는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는 애완동물 위탁과 관련한 정보를 기 설정된 배송 단말로 전송하고(S730), 배송 단말은 애완동물 위탁 정보의 통지를 수신하였음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S735),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을 완료한다. 이때,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는 배송자의 회원 가입을 통하여 저장된 배송자 정보에 기초하여 기-입력된 배차 기사나 배송 차량 정보를 토대로 애완동물 소유주가 요청한 애완동물의 픽업(pick-up) 및 위탁 관리 시간을 고려하여, 해당 시간대에 배송 업무가 없는 배송 단말로 애완동물 위탁 관련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이어서, 애완동물 소유주가 요청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일자 및 시간에 맞춰서 배송 단말을 소유한 배송자가 요청 장소(예를 들어 소유주의 주소지)에 도착하여 관리 대상이 되는 애완동물의 픽업을 수행한다(S740). 이때, 위탁 관리 대상이 되는 애완동물의 픽업을 위하여 출발하기 직전에, 픽업 요청을 통지받은 배송자는 배송 단말을 사용하여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의 웹 사이트나 중계 서버에서 제공하는 앱에 접속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입력하도록 하고, 도착 예정 시간은 중계 서버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로 통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배송자가 애완동물 소유주의 주소지인 픽업 장소에 도착하면 위탁 관리 대상인 애완동물을 픽업하고, 동시에 픽업 시점에서의 애완동물의 사진과 같은 인증 사진을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픽업 장소에 도착하였다는 사실을 인증하도록 하는데, 중계 서버는 해당 인증 사진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애완동물 소유주인 사용자도 픽업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S745).
배송 기사가 애완동물을 픽업하여 위탁 보관 장소에 도착할 때까지 애완동물의 위치와 배송 추적 정보가 배송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 및 중계 서버로 전송된다(S750).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픽업 및 위탁 요청된 애완동물에게 부여되며 해당 애완동물의 목이나 신체에 부착되는 위치 추적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위치 추적기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나 3G 이상의 통신망과 연결된다.
배송 기사가 위탁 보관 장소에 도착하면(S755), 배송 단말을 사용하여 보관 장소에 도착하였다는 사실을 사용자 단말로 통지하는 한편, 배송 단말을 사용하여 보관 장소에서의 애완동물의 인증 사진을 중계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760). 이러한 인증 사진을 통해, 애완동물 소유주는 자신이 요청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가 적절하게 수행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 역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가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로 요청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시간이 종료할 시점에서, 배송자는 보관된 애완동물을 보관 장소에서 픽업하고, 애완동물 소유주가 요 청한 장소(예를 들어 애완동물 소유주의 주소지)로 애완동물을 배송하여 애완동물 소유주에게 반환/귀가시킨다(S765). 애완동물을 소유주의 주소지에서 픽업하였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위탁 보관이 완료된 애완동물의 귀가와 관련해서도, 위탁 보관 장소에서의 출발 사실이나 귀가 도착 인증 사진을 중계 서버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제휴사 서버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업무가 종료되면, 제휴사 서버, 중계 서버 및 배송 단말은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와 관련한 결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에 따른 비용을 정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위하여 요청된 위탁 관리 정보가 단지 제휴사 서버나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 및 배송 단말로만 전송, 저장되어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신규 고객 정보로 활용되어 마케팅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와 관련해서 살펴본 것과 같이, 애완동물 사업자는 자신의 사업자 단말을 사용하여,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중계 서버에서 운영, 관리하는 소셜커머스 사이트 또는 쇼핑몰을 통하여 자신의 미니-숍을 개설하여, 쿠폰 발행이나 수정 등을 통해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나 용품의 판매나 예약을 제공한다.
그렇지만,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에서 운영, 관리하는 쇼핑몰의 미니-숍을 운영하는 애완동물 사업자는 자신이 발행한 쿠폰 등을 구매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고객에게 자신의 서비스 제공이나 용품 판매와 관련한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지만, 신규 고객을 창출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오히려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에서는 다수의 제휴사 서버를 경유하여 많은 사용자 정보와 애완동물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에서 저장, 관리하는 위탁 요청한 사용자 정보나 애완동물 정보를 애완동물 사업자가 활용할 수 있다면 마케팅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애완동물 사업자가 위탁 관리 중계 서버에서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로 자신이 운영하는 미니-숍에 대한 홍보라든가 자신이 등록하거나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나 용품의 판매나 예약과 관련한 마케팅 관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면, 단순히 미니-숍 운영에 의해 확보된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에 비해서 큰 마케팅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러한 마케팅을 위하여, 제휴사 서버에서 운영되는 웹 사이트나 앱을 통하여 사전에 사용자로부터 동의나 허락을 얻은 상태에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휴사 서버를 경유하여 중계 서버로 전송된 위탁 관리 정보 중에서 해당 사용자의 인적 정보(단말 번호, 주소, 성명) 및 애완동물 정보가 중계 서버에서 애완동물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자 단말로 전송된다(S770). 사업자 단말은 중계 서버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등을 활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이나 메일 등으로 자신이 운영하는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나 용품의 구매나 예약은 물론이고 자신이 운영하는 미니-숍 홍보 자료 등을 전송하여(S775), 신규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다.
100A, 100 B :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200 : 제휴사 서버
300 : 사용자 단말
400A, 400B :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
410 : 앱/웹 서버 420A, 420B : 관리모듈
430 : 메시지 서버 440A, 440B : 데이터베이스 서버
500 : 배송 단말 600: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

Claims (12)

  1. 애완동물 소유주가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휴사 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요청을 상기 제휴사 서버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상기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중계하는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 및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위탁 관리 요청된 애완동물의 픽업 및 위탁 관리 상태를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배송 단말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요청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또는 애완동물 용품과 관련한 마케팅 정보를 전송하는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을 더욱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를 통하여 회원 가입을 요청하고, 상기 회원 가입을 통하여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전송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또는 애완동물 용품의 판매를 제공할 수 있는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을 더욱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탁 요청된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위탁 요청된 애완동물별로 부여되며, 위성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또는 통신망과 연결되는 위치 추적기를 더욱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사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영화 관람, 연극 관람, 뮤지컬 관람, 미술관 관람, 콘서트 관람, 경기 관람 또는 여행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또는 애완동물 용품을 제공하는 애완동물 사업자는 동물병원, 애완동물 카페, 애완동물 호텔, 애완동물 미용실, 애완동물 용품점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7. (a) 애완동물 소유주 가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제휴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매 또는 구매 예약이 신청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요청이 상기 제휴사 서버를 경유하여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 요청이 배송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및
    (d) 상기 배송 단말로부터 상기 위탁 관리 요청된 애완동물의 픽업 상태 및 위탁 관리 상태가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애완동물의 위탁 관리를 요청한 사용자 정보가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송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또는 애완동물 용품과 관련한 마케팅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에 접속한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로부터 회원 가입이 요청되는 단계와, 상기 애완동물 위탁 관리 중계 서버로부터 회원 가입이 승인된 상기 애완동물 사업자 단말로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또는 애완동물 용품의 판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전송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방법.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위탁 요청된 애완동물의 위치 정보가 상기 애완동물에게 부여된 위치 추적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방법.
  11.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사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영화 관람, 연극 관람, 뮤지컬 관람, 미술관 관람, 콘서트 관람, 경기 관람 또는 여행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방법.
  12.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또는 애완동물 용품을 제공하는 애완동물 사업자는 동물병원, 애완동물 카페, 애완동물 호텔, 애완동물 미용실, 애완동물 용품점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방법.
KR1020120082453A 2012-07-27 2012-07-27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40014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53A KR20140014969A (ko) 2012-07-27 2012-07-27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453A KR20140014969A (ko) 2012-07-27 2012-07-27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969A true KR20140014969A (ko) 2014-02-06

Family

ID=5026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453A KR20140014969A (ko) 2012-07-27 2012-07-27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496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47A (ko) * 2018-06-25 2019-01-03 장선경 보호자 선호도 기반의 반려동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00848A (ko) * 2018-06-25 2019-01-03 장선경 반려동물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KR20190058980A (ko) 2017-11-22 2019-05-30 김남형 자연친화적 환경의 카페 구조물
JP2024010441A (ja) * 2022-07-12 2024-01-24 株式会社キッチハイク 滞在支援システム、滞在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4010641A (ja) * 2022-07-12 2024-01-24 株式会社キッチハイク 滞在支援システム、滞在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980A (ko) 2017-11-22 2019-05-30 김남형 자연친화적 환경의 카페 구조물
KR20190000847A (ko) * 2018-06-25 2019-01-03 장선경 보호자 선호도 기반의 반려동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00848A (ko) * 2018-06-25 2019-01-03 장선경 반려동물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JP2024010441A (ja) * 2022-07-12 2024-01-24 株式会社キッチハイク 滞在支援システム、滞在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4010641A (ja) * 2022-07-12 2024-01-24 株式会社キッチハイク 滞在支援システム、滞在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1931B2 (en) Inventory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US9972046B2 (en) Mobile transactions with a kiosk management system
US10600095B2 (en) Kiosk management system
US9984352B2 (en) Kiosk network in a kiosk management system
US201901389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irport lounges
CN104054095B (zh) 用于产品注册和支持的一触式平台
KR101839256B1 (ko) 키오스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거래
CN104040573B (zh) 一触式支持服务应用编程接口
JP2015501034A (ja) 位置特定に基づく対話型消費者関与プラットフォーム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40014968A (ko)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10040591A1 (en) Virtual meeting aggregator price comparison system and method
KR20140014969A (ko)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US11023872B2 (en) Systems for collecting retailer-specific data
JP2014029643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040588A1 (en) Virtual meeting aggregator system and method
KR20150035929A (ko) 네트워크를 통한 고객과 공인중개사 간의 독점중개 거래 방법 및 부동산 중개업소 간의 공동중개 이용방법 및 이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
US20150227949A1 (en) Active feedback management system in physical world
US20170083954A1 (en) Obtaining Referral Using Customer Database
Tokkozhina et al. Decentralizing online food delivery services: A blockchain and IoT model for smart cities
KR20120137597A (ko)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20087335A (ko) 동물 정보의 통합 관리 시스템
AU2012101126A4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Hospitality Information and Services
JP5338109B2 (ja) 個人用電子決済端末、該端末を用いるリコメンド情報生成システム、同生成方法及び同生成プログラム
KR102264139B1 (ko) 지역 거점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17056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